KR102576663B1 - 물품 판매기의 물품 반출 기구 - Google Patents

물품 판매기의 물품 반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663B1
KR102576663B1 KR1020217014226A KR20217014226A KR102576663B1 KR 102576663 B1 KR102576663 B1 KR 102576663B1 KR 1020217014226 A KR1020217014226 A KR 1020217014226A KR 20217014226 A KR20217014226 A KR 20217014226A KR 102576663 B1 KR102576663 B1 KR 102576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ear
vending machine
belt convey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345A (ko
Inventor
다이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7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articles being supported on or by endless belts or like convey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07F11/1653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the picking arrangements being collectin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1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covers or lids for gearbo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구동부와 반출(搬出) 유닛의 연결을 용이하게 가능하게 하는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機構)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물품을 수납하는 선반의 후부(後部)에 설치되고 판매 명령에 근거하여 구동하는 구동부(60)와, 구동부(60)의 전방에 설치되고 물품이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놓이는 동시에 구동부(60)에 의해 구동되어 물품을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반출하는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을 구비하고, 구동부(60)의 출력축인 기어 샤프트(63)와,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의 입력축인 제1 기어 샤프트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부(60)에 대해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을 교환 가능하게 구성된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55)로서,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은, 물품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벨트 컨베이어(71)와, 입력축에 전달된 구동력을 벨트 컨베이어(71)에 전달시키는 평기어(76b)와, 평기어(76b) 등의 기어를 덮는 커버(77)를 구비하고, 평기어(76b)의 일부를 커버(77)의 외방(外方)으로 노출시킨다.

Description

물품 판매기의 물품 반출 기구
[0001] 본 발명은, 물품을 자동적으로 판매하는 물품 판매기에 있어서, 선반에 수납하고 있는 물품을 반출(搬出)하는 반출 기구(機構)에 관한 것이다.
[0002] 상자형상의 캐비닛 내에 설치된 선반에 복수의 종류의 물품을 수납하고, 구입자가 선택한 물품을 자동적으로 반출하는 물품 판매기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물품 판매기(자동 판매기)에서는, 캐비닛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배치된 선반의 전방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버킷(캐처 버킷)을 구비하고, 구입자가 선택한 물품을 반출 기구에 의해 선반으로부터 전방으로 밀어 내고, 해당 선반의 전방으로 이동한 버킷에 물품을 반출한다. 그리고, 물품을 실은 버킷을 물품 판매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물품 배출구(取出口)와 마주 보는 위치까지 이동시켜, 해당 물품 배출구에서 구입자가 물품을 꺼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0003]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물품 판매기에는, 선반에 올려놓은 물품을 전방으로 반출하는 반출 기구로서, 나선봉형상의 부품인 스파이럴을 구비한 스파이럴식 반출 기구와, 벨트 컨베이어식 반출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0004]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벨트 컨베이어식 반출 기구는, 선반의 안쪽판 (奧板)(배면판)에 고정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선반 위에 놓이는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반출 유닛으로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식 반출 기구는, 구동부에 대해 반출 유닛이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중국 특허공개공보 제103871171호
[0006]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반출 유닛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입력축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입력축을 구동부의 출력축에 삽입하여 연결함으로써, 구동부의 동력이 반출 유닛에 전달 가능하게 된다.
[0007] 그러나, 구동부와 반출 유닛의 연결부는, 구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해 키홈 등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할 때에 회전 위치를 맞출 필요가 있다. 이 연결부는, 선반 속에 위치하기 때문에, 눈으로 보는 것이 불가능하여, 용이하게 연결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0008]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물품 판매기의 선반에 구비되고, 구동부와 반출 유닛을 분할하여 구성된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에 있어서, 구동부와 반출 유닛의 연결을 용이하게 가능하게 하는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9]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는, 물품을 수납하는 선반의 후부(後部)에 설치되고 판매 명령에 근거하여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물품이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놓이는 동시에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물품을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반출하는 반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의 출력축과 상기 반출 유닛의 입력축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에 대해 상기 반출 유닛을 교환 가능하게 구성된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로서, 상기 반출 유닛은, 상기 물품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입력축에 전달된 구동력을 상기 이동 기구에 전달시키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의 일부가 상기 커버의 외방(外方)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0]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에, 상기 기어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開口部)를 구비하면 된다.
[0011]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어는, 상기 반출 유닛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개구부는, 상기 케이스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는, 상기 커버의 전면(前面)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0012]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축 및 상기 입력축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선반에 대해 상기 반출 유닛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구동부에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부의 출력축과 상기 반출 유닛의 입력축이 연결되면 된다.
[0013]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의 일부가 커버의 외방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손가락 등으로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출 유닛의 입력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의 출력축과 반출 유닛의 입력축을 연결할 때,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0014]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물품 판매기의 개략 외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물품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물품 수납부의 선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벨트 컨베이어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벨트 컨베이어 유닛의 기어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벨트 컨베이어 유닛의 기어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벨트 컨베이어 유닛의 기어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0015]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0016]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물품 판매기의 개략 외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물품 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0017]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 판매기(1)는, 물품을 수납하는 본체 유닛(2)과, 조작 유닛(3)을 구비하고 있다.
[0018] 본체 유닛(2)은, 전면을 개구(開口)한 상자형(箱型)으로 형성되고, 전면 개구를 자유자재로 개폐 가능하게 덮는 도어(5)를 구비한 상자형상의 캐비닛(4)을 갖고 있다. 또한, 캐비닛(4)의 내부에는,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수납부(6)가 설치되어 있다.
[0019] 조작 유닛(3)은, 본체 유닛(2)의 측방(側方)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물품의 선택 스위치와, 지폐, 동전 등에 의한 요금의 수용이나 지급, 혹은 카드에 의한 결제를 행하는 과금부(課金部)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유닛(3)은, 과금부에 있어서 요금의 지불이 행해지고, 선택 스위치에 의해 물품의 선택 조작이 됨으로써, 판매 명령을 본체 유닛(2)에 송신한다.
[0020]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2)의 도어(5)의 전면 상부에는, 투명한 유리나 수지에 의해 형성된 투명판(10)에 의해 내부가 눈으로 확인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어(5)의 하부에는, 직사각형상의 물품 배출구(11)(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다. 물품 배출구(11)에는, 직사각형 판형상(板狀)의 배출구 셔터(12)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구 셔터(12)는, 물품 배출구(11)의 상부 가장자리부(緣部)에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배출구 셔터(1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색 위치에서 물품 배출구(11)를 폐색하고, 이 폐색 위치로부터 하부를 후방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물품 배출구(11)가 개구된다.
[0021] 캐비닛(4)의 내부의 물품 수납부(6)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부(前部)를 개구한 복수 개(예컨대 6개)의 선반(13a~13f)이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물품 수납부(6)에 있어서의 최하단(最下段)의 선반(13f)은, 예컨대 패트병 음료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비교적 큰 물품을 수납하고, 최상단(最上段)의 선반(13a)은 상하 방향으로 비교적 작은 물품을 수납한다.
[0022] 선반(13a~13f)의 전단부(前端部)와 도어(5)의 전면인 투명판(10)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버킷(30)이 이동하는 공간(space)(이후, 버킷 이동 공간(21)이라고 함)이 형성되어 있다.
[0023] 버킷(30)은, 선반(13a~13f)의 좌우 방향과 거의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고, 버킷 이동 공간(2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버킷(30)은, 캐비닛(4)의 내부에 설치된 미도시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버킷(30)의 바닥판(底板)(31)의 후단부(後端部)가 각 선반(13a~13f)의 바닥판의 상하 위치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최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최하단의 선반(13f)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최하방으로 이동한 버킷(30)의 위치가 대기·배출 위치이며, 이 대기·배출 위치에 있어서, 버킷(30)의 전면에 물품 배출구(11)가 위치하고, 배출구 셔터(12)를 엶으로써, 버킷(30) 내에 손을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0024] 본체 유닛(2)의 내부에는, 물품 수납부(6)의 하방에 기계실(22)이 구비되어 있다. 기계실(22)에는, 냉동 사이클에 의한 냉각 기기의 응축기(23a), 응축기용 팬(23b), 압축기(23c)가 구비되어 있다. 기계실(22)의 전부 및 후부는, 외부와 연결되어 통해 있다. 또한, 기계실(22)과 최하단의 선반(13f) 사이에는, 하부 덕트(24)가 구비되어 있다. 하부 덕트(24)에는, 냉각 기기의 증발기(23d) 및 증발기(23d)용 팬(23e)이 구비되어 있다. 팬(23e)은, 하부 덕트(24)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증발기(23d)를 통과시키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0025] 하부 덕트(24)의 후부는, 물품 수납부(6)의 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부 덕트(25)와 연결되어 통해 있다. 또한 물품 수납부(6)의 상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덕트(26)가 구비되어 있다.
[0026] 상부 덕트(26)의 전방의 개구부는, 버킷 이동 공간(21)의 상부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부 덕트의 전방의 개구부의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예컨대 45도의 각도로 경사지는 도풍판(導風板)(27)이 설치되어 있다.
[0027] 한편, 하부 덕트(24)의 전단부에는, 백 패널(28)이 설치되어 있다. 백 패널(28)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덕트(24)와 그 전방의 버킷 이동 공간(21)을 구획한다. 또한, 백 패널(28)의 상부의 경사부(28a)에는, 직경 수 mm 정도의 통기구멍(28c)이 거의 1cm 간격으로 상하좌우로 복수 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0028] 도 2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 기기의 각 기기를 작동시키고, 특히 하부 덕트(24) 내의 팬(23e)을 작동시킴으로써, 증발기(23d)를 통과하여 냉각된 냉각풍이, 하부 덕트(24)로부터, 후부 덕트(25), 상부 덕트(26), 버킷 이동 공간(21), 그리고 하부 덕트(24)의 순서로 순환된다. 또한, 후부 덕트(25)로부터 냉각풍의 일부는 선반(13a~13f) 사이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선반(13a~13f)에 수납한 물품을 냉각한다.
[0029] 상부 덕트(26)로부터 버킷 이동 공간(21)으로 냉각풍이 이동할 때, 도풍판(27)에 의해 냉각풍은 버킷 이동 공간(21)의 후부를 하방을 향해 이동하고, 백 패널(28)의 통기구멍(28c)을 통해 하부 덕트(24)로 냉각풍이 이동한다. 따라서, 냉각풍에 의해 선반(13a~13f)의 전면에 에어 커튼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냉각풍이 도어(5)의 투명판(10)에 접촉하는 것이 억제되어, 도어(5)의 투명판(10)의 흐려짐을 억제할 수 있다.
[0030] 도 3은, 물품 수납부(6)의 선반(13)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003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13)(13a~13f)은, 바닥판(51)과 좌우의 측판(側板)(52)과 배면판(背面板)(53)을 가지며, 상방 및 전방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반(13)에는, 반출 기구(55)와 미도시된 칸막이판이 구비되어 있다.
[0032] 반출 기구(55)는, 선반(13)의 바닥판(51) 상에 배치되는 벨트 컨베이어 유닛(57)(반출 유닛)과, 선반(13)의 배면판(53)에 고정되는 구동부(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은, 바닥판(51)의 전후 길이와 거의 동일하고, 미도시된 칸막이판 사이, 혹은 칸막이판과 측판(52)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0033] 칸막이판은, 바닥판(51) 위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좌우의 측판(52) 사이를 서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된다. 칸막이판은, 선반의 바닥판(51) 및 배면판(5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0034] 구동부(60)는, 모터(61), 변속기부(62), 기어 샤프트(63)(출력축)를 구비하고 있다.
[0035] 변속기부(62)는, 변속 기어를 내장하고 있고, 선반(13)의 배면판(53)의 후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변속기부(62)의 상부의 후면측에는 모터(61)가 고정되어 있다. 변속기부(62)의 하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어 샤프트(63)의 후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어 샤프트(63)는, 원기둥형상의 샤프트의 전단부에, 원판형상의 기어(67)를 고정하여 형성되어 있다. 기어 샤프트(63)의 전단부는 배면판(53)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기어(67)는 배면판(53)에 근접하여 전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0036] 기어(67)의 전면에는,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의 입력축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부(67a)가 구비되어 있다.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은, 기어 샤프트(63)의 축선과 동일한 좌우 위치에, 선반(13)의 바닥판(51)에 놓이고, 전단부가 바닥판(51)의 전단부에, 후단부가 배면판(5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0037] 도 4는,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의 기어부(69)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의 기어부(69)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의 기어부(69)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5, 6에 있어서는, 커버(77) 및 좌우 한쪽의 세로판(縱板)(74b)을 생략하고 있다.
[0038] 도 4,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은, 선반(1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 부재(70)와, 지지 부재(70)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벨트 컨베이어(71)와, 지지 부재(70)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기어부(69)를 구비하고 있다.
[0039] 지지 부재(70)는, 전후 방향 길이가 바닥판(51)보다 수 cm 짧고, 좌우 방향 길이가 예컨대 수 cm인 부재이다.
[0040] 지지 부재(70)의 전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회전축(7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70)의 후단부에는, 전방 회전축(72)과 평행하게 거의 동일한 상하 위치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회전축(73)(벨트 구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0041] 한 쌍의 벨트 컨베이어(71)는, 전방 회전축(72)과 후방 회전축(73)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예컨대 10mm 정도)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감긴, 좌우 폭이 동일한 무단형상(無端狀; 이음매가 없는 형상)의 벨트이다.
[0042] 도 5~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69)는, 지지 부재(70)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기어 지지 부재(74)와, 제1 기어 샤프트(75)(입력축), 제2 기어 샤프트(76), 커버(77)를 구비하고 있다.
[0043] 기어 지지 부재(74)는, 후부가 개구된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상자 부재(74a)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자 부재(74a)의 전면의 좌우 단부(端部)와 지지 부재(70)의 좌우 후단부를 각각 접속하는 한 쌍의 세로판(74b)을 구비하고 있다.
[0044] 제1 기어 샤프트(75)는, 상자 부재(74a)의 전벽(前壁)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기어 샤프트(75)에는, 전벽의 전방측에 제1 베벨 기어(75a)가 고정되어 있는 한편, 상자 부재(74a)의 전벽의 후측에 접속부(75b)가 구비되어 있다. 접속부(75b)는, 구동부(60)의 기어(67)의 접속부(67a)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접속되고, 구동부(60)의 기어 샤프트(63)와 제1 기어 샤프트(75) 사이에서 회전을 전달한다. 접속부(75b)는, 예컨대 제1 기어 샤프트(75)의 후단부의 외주면(外周面)에 45도마다 톱니형상(鋸狀)의 단차(75d)를 설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기어 샤프트(75)의 단차(75d)는, 구동부(60)의 기어(67)의 전면에 설치된 접속부(67a)와 걸림결합(係合)되어, 기어 샤프트(63)와 제1 기어 샤프트(75) 사이에서 회전이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베벨 기어(75a)는, 전면이 후방측으로 오목하여 오목부(75c)가 형성되어 있다.
[0045] 제2 기어 샤프트(76)는, 한 쌍의 세로판(74b)에 형성된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기어 샤프트(76)는, 제1 기어 샤프트(75)와 상하 위치가 거의 동일하며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후방 회전축(73)과는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0046] 제2 기어 샤프트(76)의 좌우 방향의 단부 근방에는, 제1 기어 샤프트(75)의 제1 베벨 기어(75a)와 맞물리는 제2 베벨 기어(76a)가 고정되어 있다. 제2 기어 샤프트(76)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 평기어(76b)가 고정되어 있다.
[0047] 또한, 후방 회전축(73)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서 2개의 벨트 컨베이어(71) 사이에는 제2 기어 샤프트(76)의 평기어(76b)와 맞물리는 평기어(73a)(기어)가 고정되어 있다.
[0048]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을 바닥판(51) 위에 설치하고, 접속부(75b)를 구동부(60)의 기어(67)에 접속하여, 구동부(60)의 모터(61)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 기어 샤프트(75), 제2 기어 샤프트(76)를 통해 후방 회전축(73)이 회전하여, 벨트 컨베이어(71)가 회전 구동한다. 이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71)에 올려놓고 있는 물품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전방으로 반출시킬 수 있다.
[0049] 커버(77)는, 좌우의 세로판(74b) 사이를 덮고, 제1 기어 샤프트(75)(회전축) 및 제2 기어 샤프트(76), 후방 회전축(73)의 평기어(73a)를 덮도록 설치되고, 지지 부재(70)의 후단부에 나사 등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0050] 커버(77)의 전벽면(前壁面)(77a)은, 하부가 상하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며, 상부에서 원호형상으로 후방으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커버(77)의 전벽면(77a)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 저부(底部)(80a)가 하방 및 후방으로 원호형상으로 굴곡된 오목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80)의 저부(80a)에는, 평기어(76b)의 상부가 수 mm 상방으로 돌출되는 개구부(8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80)의 좌우 폭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서서히 좁아지고 있고, 최하부에 있어서, 일반적인 성인의 손가락의 폭보다 약간 큰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77)의 전측 상방으로부터 오목부(80)로 손가락을 삽입하기 쉽게 되어 있다.
[0051] 즉,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은, 커버(77)의 오목부(80)의 저부(80a)에 있어서, 평기어(76b)의 상부가 약간 노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손가락을 오목부(80)에 넣어, 평기어(76b)의 상부를 용이하게 만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0052]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판매기(1)의 선반(13)에 설치된 반출 기구(55)는, 선반(13)의 배면판(53)에 고정된 구동부(60)와,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구동부(60)의 출력축인 기어 샤프트(63)와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의 입력축인 제1 기어 샤프트(75)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부(60)에 대해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이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0053] 기어 샤프트(63)와 제1 기어 샤프트(7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이 선반(13)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삽입됨으로써, 기어 샤프트(63)의 접속부(67a)와 제1 기어 샤프트(75)의 접속부(75b)가 접속된다.
[0054] 제1 기어 샤프트(75)의 접속부(75b)는,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또한 접속부(75b)의 전측(前側)에는 상자 부재(74a)나 커버(77)에 덮인 기어부(69)를 가지므로, 접속 시에 접속부(75b) 및 접속부(67a)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접속부(75b)와 접속부(67a) 간의 회전 위치 맞춤이 곤란할 우려가 있다.
[0055]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77)의 전벽면(77a)에 평기어(76b)를 노출하는 개구부(81)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을 선반(13)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삽입하여 제1 기어 샤프트(75)의 접속부(75b)와 기어 샤프트(63)의 접속부(67a)를 접속할 때, 커버(77)의 전방으로부터 작업자의 손가락으로 평기어(76b)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0056] 이에 의해, 제1 기어 샤프트(75)를 회전시켜, 기어 샤프트(63)의 접속부(67a)와 제1 기어 샤프트(75)의 접속부 간의 회전 위치 맞춤이 가능해져, 용이하게 기어 샤프트(63)와 제1 기어 샤프트(75)를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0057] 특히, 커버(77)의 전벽면(77a)에 개구부(8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의 좌우 양측에 다른 벨트 컨베이어 유닛(57)이 존재하고 있더라도, 방해가 되지 않고 평기어(76b)를 회전시켜 위치 맞춤이 가능해진다.
[0058] 또한, 제2 기어 샤프트(76)에 대해 후방 회전축(73)이 감속하도록, 평기어(76b)는 비교적 큰 직경(大徑)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기어 샤프트(75)와 제2 기어 샤프트(76) 사이에는, 베벨 기어(75a, 76a)가 개재되어 장치(介裝)되어 있기는 하지만, 비교적 작은 힘으로, 평기어(76b)를 회전시켜, 제1 기어 샤프트(75)를 회전시킬 수 있다.
[0059] 또한, 개구부(81)의 주위에 오목부(8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목부(80)에 전방으로부터 손가락을 넣음으로써, 평기어(76b)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더라도 평기어(76b)를 용이하게 만질 수 있다.
[0060]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커버(77)의 오목부(80) 및 개구부(81) 대신에, 커버(77)의 좌단부(左端部)에 노치를 형성하여, 베벨 기어(76a)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베벨 기어(76a)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제1 기어 샤프트(75)를 회전시켜, 제1 기어 샤프트(75)와 기어 샤프트(63) 간의 회전 위치의 위치 맞춤을 행할 수 있다.
[0061]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벨트 컨베이어 유닛(57) 등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구동부(60)에 의해 구동되어 물품을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반출하는 반출 유닛에 대해서는, 벨트 컨베이어 유닛(57) 이외의 구성인 것이어도 된다.
[0062] 본 발명은, 구동부의 출력축과, 반출 유닛의 입력축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부에 대해 반출 유닛을 교환 가능하게 구성된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에 있어서, 널리 채용할 수 있다.
1 물품 판매기
13 선반
55 반출 기구
57 벨트 컨베이어 유닛(반출 유닛)
60 구동부
63 기어 샤프트(출력축)
71 벨트 컨베이어(이동 기구)
73a 평기어(기어)
75 제1 기어 샤프트(입력축)
77 커버
81 개구부

Claims (5)

  1. 물품을 수납하는 선반의 후부(後部)에 설치되고 판매 명령에 근거하여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물품이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놓이는 동시에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물품을 전방으로 순차적으로 반출(搬出)하는 반출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의 출력축과 상기 반출 유닛의 입력축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에 대해 상기 반출 유닛을 교환 가능하게 구성된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機構)로서,
    상기 반출 유닛은,
    상기 물품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입력축에 전달된 구동력을 상기 이동 기구에 전달시키는 기어와,
    상기 기어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는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오목부의 저부에 있어서, 상기 기어의 맞물리는 톱니부의 일부가 상기 커버의 외방(外方)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상기 기어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開口部)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반출 유닛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개구부는, 상기 커버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커버의 전면(前面)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 및 상기 입력축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선반에 대해 상기 반출 유닛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구동부에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부의 출력축과 상기 반출 유닛의 입력축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
KR1020217014226A 2018-11-13 2019-11-11 물품 판매기의 물품 반출 기구 KR102576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13259 2018-11-13
JP2018213259A JP7284569B2 (ja) 2018-11-13 2018-11-13 物品販売機の物品搬出機構
PCT/JP2019/044085 WO2020100799A1 (ja) 2018-11-13 2019-11-11 物品販売機の物品搬出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345A KR20210074345A (ko) 2021-06-21
KR102576663B1 true KR102576663B1 (ko) 2023-09-07

Family

ID=7073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4226A KR102576663B1 (ko) 2018-11-13 2019-11-11 물품 판매기의 물품 반출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83979B2 (ko)
EP (1) EP3843055A4 (ko)
JP (1) JP7284569B2 (ko)
KR (1) KR102576663B1 (ko)
WO (1) WO202010079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205A (ja) * 1998-06-25 2000-01-11 Alpine Electronics Inc 動力伝達機構
JP2001344648A (ja) 2000-06-05 2001-12-14 Sanden Corp 自動販売機
JP2013246564A (ja) * 2012-05-24 2013-12-09 Fuji Electric Co Ltd 商品収納装置
JP2018005331A (ja) 2016-06-28 2018-01-11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39245A (en) 1975-05-14 1978-09-26 Leonard P. Falk Article vendor with elevator
US4436194A (en) * 1983-08-03 1984-03-13 Hanley James O Coin operated delivery system for vending machines
US5341954A (en) * 1993-03-15 1994-08-30 Smith Bruce A Product dispenser for a vending machine
JP2001344647A (ja) * 2000-06-05 2001-12-14 Sanden Corp 自動販売機
EP1162582A3 (en) 2000-06-05 2003-03-12 Sanden Corporation Automatic vending machine
US8550293B2 (en) * 2009-08-28 2013-10-08 Vendors Exchange International, Inc. Replacement shelf for a vending machine
JP5949153B2 (ja) 2012-05-24 2016-07-06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
CN103871171B (zh) 2014-03-14 2016-12-07 天津雷云峰科技有限公司 一种履带式货道结构及包含其的多送货方式的货仓
JP6344427B2 (ja) 2016-05-31 2018-06-20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
US10332331B2 (en) 2016-10-14 2019-06-25 Pepsico, Inc. Modular ve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205A (ja) * 1998-06-25 2000-01-11 Alpine Electronics Inc 動力伝達機構
JP2001344648A (ja) 2000-06-05 2001-12-14 Sanden Corp 自動販売機
JP2013246564A (ja) * 2012-05-24 2013-12-09 Fuji Electric Co Ltd 商品収納装置
JP2018005331A (ja) 2016-06-28 2018-01-11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0799A1 (ja) 2020-05-22
US11983979B2 (en) 2024-05-14
KR20210074345A (ko) 2021-06-21
JP7284569B2 (ja) 2023-05-31
US20220005307A1 (en) 2022-01-06
JP2020080071A (ja) 2020-05-28
EP3843055A1 (en) 2021-06-30
EP3843055A4 (en)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65184A (en) Vending machine
EP2548182B1 (en) Vendor
KR102541531B1 (ko)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
JP6334867B2 (ja) 商品収納装置
KR102293283B1 (ko)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KR102576663B1 (ko) 물품 판매기의 물품 반출 기구
JP4904875B2 (ja) 商品搬送装置および自動販売機
JP3524780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CN110942553B (zh) 自动售货机
JP2002092725A (ja) 自動販売機
JP4010262B2 (ja) 自動販売機
JP477993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4940525B2 (ja) 自動販売機
CN213276813U (zh) 货斗和自动售货机
JP4904876B2 (ja) 開閉装置
WO2020100795A1 (ja) 物品販売機の物品検知装置
JP5467350B2 (ja) 自動販売機
JP7451207B2 (ja) 搬送装置及び物品販売機
JP3561638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21165870A (ja) 商品収納装置
JP2000123242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CN111599092A (zh) 一种格子柜自动售货装置
GB2432580A (en) Spiral dispensing machine
JP2021060686A (ja) 商品検出装置
JP2004272709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