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283B1 -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 Google Patents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283B1
KR102293283B1 KR1020200037215A KR20200037215A KR102293283B1 KR 102293283 B1 KR102293283 B1 KR 102293283B1 KR 1020200037215 A KR1020200037215 A KR 1020200037215A KR 20200037215 A KR20200037215 A KR 20200037215A KR 102293283 B1 KR102293283 B1 KR 102293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osk
main door
loading
products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주현
이현택
김규태
구종회
김지홍
남승범
윤일승
문성빈
송동욱
김재민
이권석
김정동
한광재
하재민
윤승환
Original Assignee
노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주현 filed Critical 노주현
Priority to KR1020200037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07F11/5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horizontal a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의 적재 수량을 손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품의 홍보를 위한 광고영상과 상품과 관련된 관련정보영상을 표출할 수 있는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전면이 개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메인도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을 상하 및 전후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적재공간으로 구획하며 각각의 적재공간에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트레이; 상기 적재트레이에 구비되고 상품을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하고 작동에 따라 상품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하여 한 개씩 차례대로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이송모듈;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서 상기 메인도어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모듈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으로 낙하하는 상품을 상기 메인도어를 향한 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트레이; 상기 메인도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트레이와 연통하며 상기 배출트레이에 의해 전방으로 배출되는 상품을 구매자가 인출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시키는 인출구; 및 상기 메인도어의 상부에 구비되는 키오스크;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Kiosk integrated smart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마스크 등의 상품을 자동으로 판매하는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판기(自販機)는 인력 동원 없이 상품을 자동으로 파는 장치를 말한다. 즉, 자판기는 동전, 지폐,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으로 비용을 지불하고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을 자동으로 배출하고 인출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판기는 본체와, 본체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트레이와, 도어에 구비되어 적재트레이에 적재된 상품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판매되는 상품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투시창과, 적재트레이에 구비되어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이송하여 낙하시키는 이송모듈과, 적재트레이의 단부 하측에 구비되어 이송모듈에 의해 낙하하는 상품을 배출하는 배출트레이와, 도어에 구비되고 배출트레이에 의해 배출되는 상품을 인출 가능하게 외부로 노출시키는 인출구와,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모듈과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모듈이 포함되는 조작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자판기에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진 적재트레이와 이송모듈과 배출트레이와 인출구와 조작패널이 적용되어 있다. 따라서 상품에 가장 적합한 적재트레이와 배출트레이와 조작패널과 배출모듈 및 인출구의 구조와 형태를 선택하여 자판기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판기는 적재트레이가 본체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된 구조임에 따라 상품의 적재 수량을 확인하기 위해 도어를 개방하여 본체의 전방에서 적재트레이를 들여다보면 상품이 전후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게 적재된 상태이므로 상품의 적재 수량을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없어 상품 관리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어에 투시창이 구비되어 상품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도어의 전면에 상품이미지가 인쇄된 인쇄물이 부착된 구조임에 따라 상품에 대한 광고영상이나 상품과 관련된 관련정보영상을 표출할 수 없으므로 상품 판매 기능만에만 국한되어 기능적으로 한계가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품의 적재 수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상품에 대한 광고영상이나 상품과 관련된 관련정보영상을 표출할 수 있어 상품 관리가 편리하고 상품 판매 기능뿐만 아니라 영상 표출 기능도 겸비한 자판기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6720호, 2017.11.10.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상품의 적재 수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상품에 대한 광고영상이나 상품과 관련된 관련정보영상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품 관리가 편리하고 상품 판매 기능뿐만 아니라 영상 표출 기능도 겸비할 수 있는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전면이 개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메인도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을 상하 및 전후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적재공간으로 구획하며 각각의 적재공간에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트레이; 상기 적재트레이에 구비되고 상품을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하고 작동에 따라 상품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하여 한 개씩 차례대로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이송모듈;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서 상기 메인도어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모듈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으로 낙하하는 상품을 상기 메인도어를 향한 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트레이; 상기 메인도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트레이와 연통하며 상기 배출트레이에 의해 전방으로 배출되는 상품을 구매자가 인출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시키는 인출구; 및 상기 메인도어의 상부에 구비되는 키오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트레이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에 복수 개가 서로 상하 간격을 두고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을 상하로 구분되는 복수 층의 제1적재공간으로 구획하는 적재판; 상기 적재판의 상부에 복수 개가 서로 전후 간격을 두고 좌우 수평으로 입설되어 상기 제1적재공간을 전후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제2적재공간으로 구획하는 수직격판;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수직격판 사이에서 상기 적재판의 상부에 한 쌍이 서로 전후 간격을 두고 좌우 수평으로 입설되어 상기 이송모듈의 작동에 따라 상품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안내판; 및 상기 적재판의 단부에 상기 배출트레이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품을 자연스럽게 상기 배출트레이로 낙하시키는 낙하유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적재판의 일단에 설치되고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기어박스; 및 상기 제1적재공간을 따라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고 일단 중심이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일정피치 간격으로 상품이 수직방향으로 삽입 수용되도록 나선형으로 권취된 코일 형태를 가지며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안내판의 안내에 따라 상품을 상기 적재판의 타단으로 이송하여 상기 배출트레이로 낙하시키는 이송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이송스프링의 타단에 구비되고 우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송스프링에 의해 상기 적재판의 타단까지 이송 완료된 상품을 우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배출트레이로 확실하게 낙하시키는 낙하유도밀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격판은 상기 메인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서 상품이 보이도록 상품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이송안내판은 상기 이송스프링의 피치 사이에 상품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수직격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의 상부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키오스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키오스크를 상기 메인도어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메인도어의 상부 후면에서 상기 키오스크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가장자리가 상기 키오스크의 후면에 고정되는 패널보호함; 상기 메인도어의 상부 후면에 각각 서로 상하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고정되고 각각이 상기 패널보호함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브래킷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바;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바의 사이에서 서로 좌우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단과 하단이 각각 수평지지바에 일체로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바; 및 상기 수직지지바를 각각 상기 키오스크의 후면에 돌출된 컨트롤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패널보호함과 상기 수직지지바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키오스크의 컨트롤하우징을 감싸며 가장자리가 상기 키오스크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는 컨트롤하우징보호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의 하부에는 상기 키오스크의 무게가 더해진 상기 메인도어의 무게를 바닥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메인도어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메인도어의 개폐시 바닥을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하중지지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트레이가 본체의 내부에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고 적재트레이에 상품이 서로 좌우 간격을 두고 적재됨에 따라 본체의 전방에서 상품의 적재 수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상품 관리가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도어의 상부 전면에 키오스크가 설치되고 키오스크의 화면을 통해 상품에 대한 광고영상이나 상품과 관련된 관련정보영상을 표출할 수 있어 상품 판매 기능 뿐만 아니라 정보영상 표출 기능도 겸비할 수 있다.
또한 메인도어의 하부에 바닥을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한 하중지지바퀴가 설치되어 키오스크의 무게가 더해진 메인도어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하방으로 쳐지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도어의 개폐시 안정적인 회동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의 메인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의 적재트레이와 이송모듈과 배출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의 적재트레이와 이송모듈과 배출트레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의 이송모듈에 의해 상품이 적재트레이에서 이송되고 배출트레이로 낙하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방역마스크, 면진마스크, 면마스크, 덴탈마스크 등을 포함하는 마스크와 같이 비교적 중량이 가볍고 부피가 작은 상품을 무인 자동화 방식으로 판매하기 위한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는 본체의 전방에서 상품의 적재 수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상품 관리가 보다 편리하고, 상품에 대한 광고영상이나 상품과 관련된 관련정보영상을 표출할 수 있어 상품 판매 기능 뿐만 아니라 정보영상 표출 기능도 겸비한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트레이가 본체의 내부에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고 메인도어의 전면에 터치스크린 구조가 적용된 키오스크가 설치된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품을 적재트레이에 서로 좌우 간격을 두고 적재함으로써 본체의 정면에서 적재트레이에 적재된 상품의 수량을 손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키오스크의 화면을 통해 상품의 선택과 비용결제를 위한 기본영상과 상품에 대한 광고영상 및 상품과 관련된 관련정보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출함으로써 상품 판매 기능과 함께 정보영상 표출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메인도어(200)와 적재트레이(300)와 이송모듈(400)과 배출트레이(500)와 인출구(600)와 인출도어(700)와 키오스크(800)와 거치부재(900)와 카드리더기(1000) 및 감지센서(1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큐브 형태를 이루어지고 내부에 적재트레이(300)와 이송모듈(400)과 배출트레이(500)의 설치를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이 개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의 하부면에는 본체(100)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바퀴(110)가 설치될 수 있다.
단, 이동바퀴(110)에는 본체(100)의 이동을 완료한 후 이동된 위치에서 본체(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하부면에는 이동바퀴(110)를 대신하여 본체(100)를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켜 수평 상태로 맞출 수 있도록 높이조절다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도어(200)는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본체(100)의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이때 메인도어(200)는 복수 개의 경첩(210)에 의해 본체(100)에 연결되어 사용자는 메인도어(200)를 본체(100)의 정면에서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와 메인도어(200)에는 본체(100)의 전면이 메인도어(20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메인도어(200)를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잠금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적재트레이(300)는 본체(100)의 수용공간 상측을 상품(M)의 크기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적재공간으로 구획하고 각 적재공간마다 상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적재트레이(300)는 본체(100)의 수용공간 상측을 상품의 높이에 따라 상하 일정간격으로 나누어 복수 층의 제1적재공간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제1적재공간을 상품(M)의 너비에 따라 좌우 일정간격으로 나누어 복수 개의 제2적재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적재트레이(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310)과 수직격판(320) 및 이송안내판(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재판(31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본체(100)의 수용공간 상측에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본체(100)의 수용공간 상측을 상하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제1적재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수직격판(32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적재판(310)의 상부에 전후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제1적재공간을 전후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제2적재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이송안내판(3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이웃하는 두 개의 수직격판(320) 사이에서 적재판(310)의 상부에 서로 전후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입설되어 상품(M)이 적재판(31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수평 이송되도록 상품(N)의 양단을 수평방향으로 곧게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적재트레이(300)는 본체(100)의 수용공간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고 제1적재공간에 상품(M)이 좌우 방향으로 적재됨에 따라 본체(100)의 전면에서 상품(100)의 적재 수량을 손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단, 수직격판(320)은 본체(100)의 전면에서 적재트레이(300)의 내측에 적재된 상품(M)의 적재 수량 확인 가능하도록 상품(M)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모듈(400)은 적재트레이(300)에 의해 구획된 제2적재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품(M)을 적재판(310)의 일단으로 타단까지 한 개씩 차례대로 이송하면서 본체(100)의 수용공간 하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송모듈(400)은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10)와 기어박스(420)와 이송스프링(4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410)는 적재판(310)의 일단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작동하면서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구동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420)는 적재판(310)의 일단에 고정되고 입력축이 구동모터(410)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모터(41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기어비를 통해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회전동력의 토크를 증대시킨 후 출력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송스프링(430)은 적재판(3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일단의 중심이 기어박스(420)의 출력축과 연결되며 나선형으로 권취된 코일 형태로 이루어져 일정피치 간격으로 상품(M)이 수직방향으로 삽입 수용될 수 있다.
즉, 이송모듈(400)은 구동모터(410)와 기어박스(420)의 작동에 따라 토크가 증대된 회전동력에 의해 이송스프링(430)을 회전시킴으로써 이송스프링(430)의 피치 사이에 삽입 수용된 상품(M)을 적재판(310)의 타단까지 이송하여 본체(100)의 수용공간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한다.
이때 이송모듈(400)에 의해 상품(M)이 적재트레이(300)에서 우측방향으로 이송될 때 적재트레이(300)의 이송안내판(330)이 상품(M)이 이송스프링과 회전되지 않도록 상품(M)의 양단을 직선으로 안내함으로써 상품(M)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적재트레이(300)의 이송안내판(330)은 사용자가 상품(M)을 이송스프링(430)의 피치 사이에 편리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수직격판(320)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이송모듈(400)은 상품(M)이 적재트레이(300)를 따라 이송되면서 본체(100)의 수용공간 하측으로 확실하게 낙하시킬 수 있도록 낙하유도밀편(4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낙하유도밀편(440)은 이송스프링(430)의 타단에 구비되고 우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송스프링(430)에 의해 적재판(310)의 타단까지 이송 완료된 상품(M)이 본체(100)의 수용공간 하측으로 원활하게 낙하하도록 우측방향으로 더 밀어줄 수 있다.
즉, 낙하유도밀편(440)은 상품(M)의 가벼운 무게로 인해 상품(M)이 적재판(310)의 타단까지 이송 완료된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황에서 무게 중심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이송스프링(430)의 타단에 걸쳐지면서 신속하게 낙하하지 않을 때를 대비한 것이다.
여기서 낙하유도밀편(440)은 이송스프링(430)의 타단과 연결되는 일단에서 상품(M)을 밀어주는 타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낙하유도밀편(440)은 평면을 기준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축소되도록 제1면과 제2면과 제3면을 가지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1면은 이송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2면은 직선 또는 오목한 곡선으로 형성되며, 제3면은 상품(M)과 접촉되는 면으로서 상품(M)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제2면보다 길이가 길고 볼록한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낙하유도밀편(440)은 상품(M)이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순간적으로 지속되지 않도록 이송스프링(430)의 회전에 따라 상품(M)을 우측방향으로 더 밀어줌으로써 이송스프링(430)에서 상품(M)이 신속하게 이탈하여 본체(100)의 수용공간 하측으로 신속하게 낙하할 수 있다.
여기서 적재트레이(300)는 상품(M)이 이송모듈(400)에 의해 적재판(310)의 타단에서 본체(100)의 수용공간 하측으로 낙하할 때 상품(M)이 미끄러지면서 안전하게 낙하하도록 유도하는 낙하유도판(3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낙하유도판(340)은 적재판(310)의 타단에 배출트레이(500)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품(M)이 본체(100)의 내부 하측으로 자연스럽게 낙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트레이(500)는 본체(100)의 수용공간 하측에 설치되어 이송모듈(400)에 의해 적재트레이(300)에서 낙하하는 상품(M)을 메인도어(200)가 위치한 전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트레이(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판(510)과 안착판(520) 및 차단판(5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판(510)은 본체(100)의 내부 하측에 메인도어(20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경사 각도에 의해 상품(M)을 본체(100)의 전면을 향하여 전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안착판(520)은 배출판(510)의 단부에 연장되고 수평으로 설치되어 배출판(510)에 의해 전방으로 배출되는 상품(M)을 정지시켜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차단판(530)은 적재트레이(300)의 낙하유도판(340) 단부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방 수직으로 설치되며 하단이 배출판(510)과 안착판(5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품(M)이 이탈 없이 배출판(510)을 타고 안착판(52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인출구(600)는 메인도어(200)의 하부에 외부와 통하도록 관통 형성되고 배출트레이(500)와 연통되어 배출트레이(500)에 의해 본체(100)의 전면을 향하여 배출되는 상품(M)을 구매자가 인출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인출도어(700)는 인출구(60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매자의 개폐 조작에 따라 인출구(6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키오스크(800)는 메인도어(200)의 전면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고 터치 스크린 기능이 구비되며 인터넷망과의 통신이 가능하고 화면을 통해 상품(M)의 선택과 결제를 위해 구매자의 터치조작에 따른 입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기본영상과, 상품의 홍보와 광고를 위한 광고영상과, 상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관련정보영상을 선태적으로 표출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도어(200)의 하단부에는 메인도어(200)의 무게에 키오스크(800)의 무게가 더해지면서 메인도어(200)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도록 하면서 메인도어(200)의 회동시 바닥을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하중지지바퀴(2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거치부재(900)는 메인도어(200)의 상부 후면에 설치되어 키오스크(8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키오스크(800)를 메인도어(2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부재(900)는 도 2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보호함(910)과 컨트롤하우징보호함(920)과 수평지지바(930)와 수직지지바(940) 및 고정구(9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보호함(910)은 메인도어(200)의 상부 후면에 구비되고 키오스크(800)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가장자리가 고정볼트에 의해 키오스크(80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하우징보호함(920)은 키오스크(800)의 후면에 돌출된 컨트롤하우징(810)을 감싸며 가장자리가 고정볼트에 의해 키오스크(80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하우징보호함(920)에는 키오스크(800)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하고 외기를 키오스크(800)에 공급하기 위한 공기출입홀(9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바(93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메인도어(200)의 상부 후면에 각각 서로 상하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치되며 고정볼트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수평지지바(930)는 연결브래킷(931)에 의해 패널보호함(9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바(9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수평지지바(930) 사이에서 서로 좌우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단과 하단이 수평지지바(930)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950)는 수직지지바(940)를 키오스크(800)의 컨트롤하우징(8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직지지바(940)와 컨트롤하우징보호함(920)에는 고정구(950)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카드리더기(1000)는 메인도어(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품의 선택 및 구매에 따라 구매자가 신용카드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상품구매비용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카드리더기(1000)는 키오스크(800)와 연동되게 작동할 수 있다. 즉, 카드리더기(1000)는 키오스크(800)의 화면에서 상품의 선택과 구매를 위해 표출되는 기본영상과 연동되게 작동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감지센서(1100)는 메인도어(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메인도어(200)의 전방에 존재하는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키오스크(800)의 화면에 표출되는 영상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감지센서(1100)는 구매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된 객체와의 거리로 판단하여 구매자가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제1감지신호를 출력하여 기본영상이 키오스크(800)의 화면에 표출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구매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에 대응되는 제2감지신호를 출력하여 기본영상이 아닌 광고영상이나 관련정보영상이 키오스크(800)의 화면에 표출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본체
110: 이동바퀴
200: 메인도어
210: 경첩
220: 하중지지바퀴
300: 적재트레이
310: 적재판
320: 수직격판
330: 이송안내판
340: 낙하안내판
400: 이송모듈
410: 구동모터
420: 기어박스
430: 이송스프링
440: 낙하유도밀편
500: 배출트레이
510: 배출판
520: 안착판
530: 차단판
600: 인출구
700: 인출도어
800: 키오스크
810: 컨트롤하우징
900: 거치부재
910: 패널보호함
920: 컨트롤하우징보호함
930: 수평지지바
931: 연결브래킷
940: 수직지지바
950: 고정구
1000: 카드리더기
1100: 감지센서

Claims (8)

  1.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전면이 개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메인도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을 상하 및 전후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적재공간으로 구획하며 각각의 적재공간에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트레이;
    상기 적재트레이에 구비되고 상품을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하고 작동에 따라 상품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하여 한 개씩 차례대로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으로 낙하시키는 이송모듈;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서 상기 메인도어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모듈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의 하측으로 낙하하는 상품을 상기 메인도어를 향한 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트레이;
    상기 메인도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트레이와 연통하며 상기 배출트레이에 의해 전방으로 배출되는 상품을 구매자가 인출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시키는 인출구;
    상기 메인도어의 상부에 구비되는 키오스크; 및
    상기 메인도어의 상부 후면에 구비되고 상기 키오스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키오스크를 상기 메인도어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거치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메인도어의 상부 후면에서 상기 키오스크의 후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가장자리가 상기 키오스크의 후면에 고정되는 패널보호함;
    상기 메인도어의 상부 후면에 각각 서로 상하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고정되고 각각이 상기 패널보호함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브래킷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바;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바의 사이에서 서로 좌우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단과 하단이 각각 수평지지바에 일체로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지지바; 및
    상기 수직지지바를 각각 상기 키오스크의 후면에 돌출된 컨트롤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구;로 구성되는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트레이는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에 복수 개가 서로 상하 간격을 두고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측을 상하로 구분되는 복수 층의 제1적재공간으로 구획하는 적재판;
    상기 적재판의 상부에 복수 개가 서로 전후 간격을 두고 좌우 수평으로 입설되어 상기 제1적재공간을 전후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제2적재공간으로 구획하는 수직격판;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수직격판 사이에서 상기 적재판의 상부에 한 쌍이 서로 전후 간격을 두고 좌우 수평으로 입설되어 상기 이송모듈의 작동에 따라 상품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안내판; 및
    상기 적재판의 단부에 상기 배출트레이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품을 자연스럽게 상기 배출트레이로 낙하시키는 낙하유도판;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적재판의 일단에 설치되고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기어박스; 및
    상기 제1적재공간을 따라 좌우 수평으로 설치되고 일단 중심이 상기 기어박스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일정피치 간격으로 상품이 수직방향으로 삽입 수용되도록 나선형으로 권취된 코일 형태를 가지며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안내판의 안내에 따라 상품을 상기 적재판의 타단으로 이송하여 상기 배출트레이로 낙하시키는 이송스프링;을 포함하는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이송스프링의 타단에 구비되고 우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송스프링에 의해 상기 적재판의 타단까지 이송 완료된 상품을 우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배출트레이로 확실하게 낙하시키는 낙하유도밀편;을 더 포함하는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격판은
    상기 메인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전면에서 상품이 보이도록 상품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이송안내판은
    상기 이송스프링의 피치 사이에 상품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수직격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는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패널보호함과 상기 수직지지바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키오스크의 컨트롤하우징을 감싸며 가장자리가 상기 키오스크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구비되는 컨트롤하우징보호함;을 더 포함하는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의 하부에는
    상기 키오스크의 무게가 더해진 상기 메인도어의 무게를 바닥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메인도어가 하방으로 쳐지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메인도어의 개폐시 바닥을 따라 구름 운동하면서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하중지지바퀴가 설치되는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KR1020200037215A 2020-03-27 2020-03-27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KR102293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215A KR102293283B1 (ko) 2020-03-27 2020-03-27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215A KR102293283B1 (ko) 2020-03-27 2020-03-27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283B1 true KR102293283B1 (ko) 2021-08-23

Family

ID=7749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215A KR102293283B1 (ko) 2020-03-27 2020-03-27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2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110B1 (ko) * 2023-05-30 2023-08-01 하나시스 주식회사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WO2023182694A1 (ko) * 2022-03-21 2023-09-28 주식회사 우노스 키오스크 일체형 담배 자판기
WO2024019278A1 (ko) * 2022-07-22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도킹 스테이션 및 이들을 포함한 청소 시스템
KR102669309B1 (ko) 2022-03-21 2024-05-24 주식회사 우노스 키오스크 일체형 담배 자판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017A (ko) * 2002-07-16 2004-01-24 코리아벤딩머신 주식회사 가열식품 자동판매기
KR20120008233U (ko) * 2011-05-23 2012-12-03 고정원 다기능 복합 자동판매기
KR101360006B1 (ko) * 2013-04-26 2014-02-06 김선희 컴팩트 자동판매기
KR101796720B1 (ko) 2017-07-26 2017-11-10 주식회사 오투엠 미세먼지 정보 알림기능을 구비한 마스크 자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017A (ko) * 2002-07-16 2004-01-24 코리아벤딩머신 주식회사 가열식품 자동판매기
KR20120008233U (ko) * 2011-05-23 2012-12-03 고정원 다기능 복합 자동판매기
KR101360006B1 (ko) * 2013-04-26 2014-02-06 김선희 컴팩트 자동판매기
KR101796720B1 (ko) 2017-07-26 2017-11-10 주식회사 오투엠 미세먼지 정보 알림기능을 구비한 마스크 자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694A1 (ko) * 2022-03-21 2023-09-28 주식회사 우노스 키오스크 일체형 담배 자판기
KR20230136958A (ko) 2022-03-21 2023-10-04 주식회사 우노스 키오스크 일체형 담배 자판기
KR102669309B1 (ko) 2022-03-21 2024-05-24 주식회사 우노스 키오스크 일체형 담배 자판기
WO2024019278A1 (ko) * 2022-07-22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도킹 스테이션 및 이들을 포함한 청소 시스템
KR102562110B1 (ko) * 2023-05-30 2023-08-01 하나시스 주식회사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3283B1 (ko)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KR100736302B1 (ko) 무인 자동판매기
KR101021590B1 (ko) 멀티 자동판매기
JP2001014543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および商品収納方法
CN111971716B (zh) 可食用产品和/或耐用品的自动分配器
WO2020100798A1 (ja) 物品販売機の搬出機構
JP2002092725A (ja) 自動販売機
JP4010262B2 (ja) 自動販売機
JP4830864B2 (ja) 自動販売機
WO2021039460A1 (ja) 物品収納庫
JP477993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ES2352285B1 (es) Máquina para la venta automática de productos.
KR20090001088A (ko) 다수개의 물품을 한번에 판매 가능한 자동판매기의판매방법 및 그 장치
JP4238738B2 (ja) 自動販売機
JP2005267231A (ja) 物品送出装置
JP4844404B2 (ja) 商品収納装置
JP7329321B2 (ja) 物品販売機の物品検知装置
JP4457924B2 (ja) 商品収納装置
EP4250260A1 (en) Vending machine
RU101239U1 (ru)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по продаже журнальной и книжной продукции
JP7284569B2 (ja) 物品販売機の物品搬出機構
WO2007063295A1 (en) Spiral dispensing machines
JP3975949B2 (ja) 自動販売機
JP2777557B2 (ja) 商品自動販売室
JPH076257A (ja) 自動販売機及び自動販売機における商品の取り出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