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110B1 -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 Google Patents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110B1
KR102562110B1 KR1020230069329A KR20230069329A KR102562110B1 KR 102562110 B1 KR102562110 B1 KR 102562110B1 KR 1020230069329 A KR1020230069329 A KR 1020230069329A KR 20230069329 A KR20230069329 A KR 20230069329A KR 102562110 B1 KR102562110 B1 KR 102562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igarettes
cigarette
module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9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오
한승철
이정용
Original Assignee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9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6Endless ban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07F9/0235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the arrangements being full-front touch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패널에 의해 내부에 모듈수용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본체부 전면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모듈수용부를 개방하고,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형성된 도어부; 모듈수용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적치된 담배 중 하단의 담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모듈부; 및 모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모듈부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담배가 적치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수용공간 하측에 배치되어 적치된 담배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담배 중 하단의 담배가 삽입되는 가이드구가 형성되어 토출구로 가이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도어부가 모듈수용부를 폐쇄하면 토출구 및 가이드부는 서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UNMANNED AUTOMATIC CIGARETTE VENDING MACHINE FOR EXTERNAL EJEC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자동 담배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으로 작동되는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는 편의점이나 마트 등 종업원이 있는 곳에서 판매되고 있다. 이는 담배가 미성년자 구매 불가상품이기 때문에 구매자의 성인인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내법상 자동판매기를 활용하여 주류나 미성년자 구매불가 품목인 담배나 성인용품 등의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성인인증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담배자판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담배소매인 지정이 되어야 하고, 교육기관과 200m 이상 떨어져있으면서 토지이용구제정보서비스에서 행위제한이 없는 곳에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더불어, 담배자판기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신분증 등 성인인증을 위한 절차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인건비 증가 등에 따라 무인으로 운영되는 매장이나 편의점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서, 정부에서는 규제 샌드박스를 활용하여 AI 등을 활용하여 신분증을 직접적으로 스캔하지 않고 성인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도 주류나 담배용 자판기의 설치를 허여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연초형 일반 담배 및 궐련형 전자 담배를 포함하는 담배의 종류가 증가되고, 같은 종류의 담배들 중에서도 담배곽의 형태가 다양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담배 자동 판매가 가능한 자동 담배 자판기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25751호 "담배자동판매기" 기술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2255호 "성인 인증이 가능한 담배 자동자판기"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25751호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2255호
그러나 기존의 기술들은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는 담배들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낱개 판매가 가능한 자동 담배 자판기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도어에 형성된 담배토출구를 통해 원하는 담배를 사용자가 손쉽게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는 본체패널에 의해 내부에 모듈수용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전면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모듈수용부를 개방하고,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형성된 도어부; 상기 모듈수용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적치된 담배 중 하단의 담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모듈부; 및
상기 모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부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담배가 적치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공간 하측에 배치되어 적치된 담배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담배 중 하단의 담배가 삽입되는 가이드구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로 가이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가 상기 모듈수용부를 폐쇄하면 상기 토출구 및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적치된 담배의 이송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고 상기 하단의 담배가 안착되는 이송면이 형성된 컨베이어부; 및 상기 이송면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적치된 담배의 이송과정에서 상기 하단의 담배를 푸쉬하는 푸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대기상태에서 상기 푸쉬부가 설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설정위치는 상기 하단의 담배 전단 하면에 상기 푸쉬부가 배치되어 상기 하단의 담배 전단이 상측으로 들린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푸쉬부가 보이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구매를 원하는 담배종류 및 수량을 선택하기 위한 입출력부; 및 결제수단을 인식시켜 결제를 수행하여 결제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결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부로부터 결제입력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동력부를 동작시켜 상기 컨베이어부 상면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컨베이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푸쉬부의 전단이 상기 하단의 담배 후단을 전방으로 푸쉬하여 상기 하단의 담배가 전방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쉬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회전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하단의 담배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돌출길이만큼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 사이의 거리는 담배의 세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은 설정높이만큼 상측으로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부로부터 전방으로 설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구는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담배의 이송방향으로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사용자 측면에서는 별도로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사람을 통해 담배를 구매할 필요없이 원하는 담배를 무인으로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담배구매를 위해 결제수단을 인식시키면 담배가 도어부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전방으로 일부 토출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자판기처럼 도어부에 형성된 하단의 수납부를 열어 담배를 꺼내거나 할 필요가 없이 토출된 담배를 외부로 당기기만 함으로써 손쉽게 담배를 가져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조 및 생산자 측면에서는 우선 도어부에 별도로 결제된 담배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함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이에 수반하여 일반적으로 자판기의 수납함에는 상품의 적출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레이저센서나 무게센서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센서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생산단가가 줄어들 뿐 아니라 부품수도 줄어들고, 제어부의 동작제어를 위한 프로그래밍이 단순화되어 생산량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 측면에서는 내부의 모듈부 별로 담배가 적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담배종류와 적치개수, 토출위치를 모듈부 별로 설정함으로써 무인 담배 자판기의 판매담배 종류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부에 의해 적치된 담배의 재고상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담배의 재고관리가 쉬운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의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의 구성 중 모듈부의 구성 중 일측의 패널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의 모듈부가 동작하는 동작단계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100)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을 기준으로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100)의 도어부(120) 방향을 전방, 그 반대방향을 후방, 측면방향을 측방으로 정의하고, 마찬가지로 도 3을 기준으로 후술할 모듈부(200)에서 담배가 토출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방향을 후방, 측면방향을 측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아래에서 기재하는 담배는 내부에 다수의 담배를 포함하여 판매되는 하나의 담배곽을 의미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담배로 기재될 예정이며, 모듈부(200)에 적층된 담배형태가 직사각박스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짧은 변의 길이를 가로길이, 상대적으로 긴 변의 길이를 세로길이로 정의하고, 안착된 담배를 기준으로 이송되는 전방면을 전면, 후방면을 후면, 이송부(220)에 안착된 면을 하면, 그 반대면을 상면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10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100)의 도어부(12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100)의 구성 중 모듈부(200)의 구성 중 일측의 패널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100)(이하, 담배자판기)는 내부에 판매를 위한 하나 이상의 종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110), 본체부(1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수용공간을 개폐하고 담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123)가 형성된 도어부(120), 수용공간 내부에 상하방향 또는 측방으로 반복 배치되어 외부로 담배를 토출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듈부(200) 및 모듈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직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되도록 상하측후 각 면에 패널이 배치되고, 전방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본체부(11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모듈부(200), 바람직하게는 다 수의 모듈부(200)가 적치 또는 반복 배치되도록 배치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기 위한 본체패널(111), 본체패널(111)에 의해 다 수의 모듈부(200)가 적치되기 위한 모듈수용부(210)(112) 및 제어부(140)나 적치를 위한 재고물질 등을 적치하기 위한 공간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수용공간 내부에서 모듈부(200)가 배치되지 않는 공간에는 다 수의 제어를 위한 기기나 또는 담배박스 등 상품을 적치할 수 있는 적치공간 역시 형성될 수 있고 이 부분이 공간부(113)일 수 있다.
도어부(120)는 본체부(11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본체부(110)에 결합됨으로써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상세히, 도어부(120)는 본체부(110)의 일 측면에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본체부(110)를 폐쇄할 수 있는 수단이다.
도어부(120)는 본체부(110)의 전면을 개폐하기 위해 도어부(120) 전면형상에 대응된 형상을 가진 도어패널(121), 도어패널(121)의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출력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출력부(122), 사용자가 가진 결제수단을 인식하여 결제신호를 생성하는 결제부 및 도어패널(121)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담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패널(121)은 도면과 같이 본체부(110)의 전면 형상에 대응되는 직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는 패널로, 도어패널(121)이 본체부(110)에 힌지결합 됨으로써 본체부(110)의 수용공간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토출구(123)가 형성되고, 입출력부(122), 결제부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입출력부(122)는 도어패널(121)에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출력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 일 예로 터치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입출력부(122)는 도어패널(121)에서 토출구(123)가 배치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상부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담배 자판기(100)에서 토출구(123)의 위치와 간섭되지 않은 곳이라면 어디든 배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입출력부(122)를 통해 사용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담배의 종류와 개수에 대한 구매입력신호가 입력될 수 있고, 외부를 통해 구매가능한 담배 종류 및 수량이 표시되기 위한 표시신호와 구매가 완료된 경우 완료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결제부는 사용자로부터 결제수단을 인식하여 결제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신용카드 등을 인식하기 위한 카드리더부, QR코드 및 각종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코드리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123)는 도어패널(121)에 형성되어 담배가 외부로 토출되기 위한 개구이다. 상세히, 토출구(123)는 모듈부(200)로부터 이송되는 담배의 일부가 외부로 토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담배의 상단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담배 자판기(100)에서 다양한 담배가 판매되기 위하여 복 수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패널(121)에서 토출구(123)의 위치는 본체부(110) 내부에 배치된 모듈부(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토출구(123)의 개수는 본체부(110) 내부에 배치되는 모듈부(2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모듈부(200)는 수용공간 내부에 상하방향 또는 측방으로 반복 배치되어 외부로 담배를 토출하기 위해 담배를 이송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모듈부(200)는 상하방향 및 측방으로 모듈수용공간에 복 수개 수용될 수 있다. 모듈부(200)는 담배가 적층되어 수용되기 위한 적층부, 적층부에 적층된 담배 중 하단의 담배, 즉 안착된 담배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220), 토출구(123)와 연통되어 이송된 담배 일부가 토출구(12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층부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거나 또는 직사각박스 형상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적층부에 의해 형성된 적층공간은 직사각박스 형상일 수 있다. 적층공간은 담배가 적층되기 위해 담배곽의 면에 대응되는 크기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층부는 내부에 담배가 적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측에 이송부(220)가 배치되어 적층된 담배가 이송되기 위한 이송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적층부가 전면패널(211)과 후면패널(212), 양 측면패널로 이루어진 직사각박스 형상인 경우(물론 전면 및 후면패널(212)만으로도 이루어진 경우에도 동일함), 전면패널(211)은 하단이 이송부(220), 상세히는 후술할 컨베이어부(222)의 이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설정높이(L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높이(L1)는 하나의 담배 높이보다는 높고, 두개의 담배 높이보다는 낮은 높이를 의미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송부(220)가 담배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적층된 담배 중 안착된 담배, 즉 가장 하단의 담배를 제외한 담배는 전면패널(211)에 의해 전방이동이 제한되면서 이송부(220)에 안착된 담배만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부(220)는 적층부에 적층된 담배 중 가장 하단의 담배를 외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상세히, 이송부(220)는 수용부(210) 하단에 배치되어 상면에 적층된 담배 중 가장 하단의 담배가 안착될 수 있고, 안착된 담배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동력을 제공하여 적층된 담배 중 하단의 담배를 하나씩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부(220)는 수용부(210) 하측 및 후측에서 설정간격(L2)만큼 상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간격(L2)이란 후술할 푸쉬부(223)의 돌출길이(L5)를 초과하는 길이일 수 있고, 이는 이송부(2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푸쉬부(223)가 수용부(210) 하측 바닥면이나 수용부(210)의 후면패널(21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송부(220)는 담배 이송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221), 동력부(221)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기초로 회전하여 상면에 안착된 담배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부(222), 컨베이어부(222) 이송면에 배치되고 컨베이어 이송면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안착된 담배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푸쉬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221)는 컨베이어부(222)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터 등이 활용될 수 있고, 컨베이어부(222)를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다면 그 동력수단에 대한 제한은 없다.
컨베이어부(222)는 동력부(2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송면을 회전시킴으로써, 이송면에 안착된 담배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수단이다. 상세히, 컨베이어부(222)는 이송면의 측단면이 전방으로 길쭉한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동력부(221)의 동력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송면이 회전함에 따라 이송면에 안착된 담배를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부(222)의 구조나 형상은 일반적으로 공개기술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푸쉬부(223)는 컨베이어부(222)의 이송면에 배치되어 이송면에 안착된 담배가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거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담배가 토출구(123)를 통해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세히, 푸쉬부(223)는 컨베이어부(222)의 이송면의 측방으로 설정된 연장길이(L4)만큼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설정된 돌출길이(L5)만큼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길이(L4)는 담배의 가로길이보다 짧은 길이일 수 있고, 더불어 컨베이어부(222)의 측방길이, 즉 회전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일 수 있다. 또한, 돌출길이(L5)는 이송면에 안착된 담배, 즉 적치된 담배 중 하단의 담배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길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쉬부(223)는 담배의 이송과정에서 이송면에 안착된 하나의 담배만 푸쉬할 수 있고, 안착된 담배 상측에 적층된 담배를 전방으로 이송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부(222)가 동작하여 이송면이 회전하는 경우, 이송면에 안착된 담배의 후면을 푸쉬부(223)의 전면이 밀어내면서 담배가 안정적으로 가이드되어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고, 이 후 담배가 토출구(12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담배를 꺼내면 외부로 꺼내진 담배 위에 적층된 다음 담배의 하면이 푸쉬부(223)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어 외부로의 노출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제어동작은 이 후 상세히 설명한다.
가이드부(230)는 이송부(220)의 전방에 배치되고 담배가 전방으로 이송과정에서 토출구(123)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담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구(231)가 형성된 수단이다. 상세히, 가이드부(230)는 이송부(220)의 전방으로 설정간격(L3)만큼 이격될 수 있는데, 여기서 설정간격(L3)은 푸쉬부(223)의 돌출길이(L5)를 초과하는 길이일 수 있다. 이는 이송부(2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푸쉬부(223)가 가이드부(23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이드부(230)는 설정가이드길이만큼의 가이드구(231)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가이드구(231)의 단면은 담배의 상면과 하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설정가이드길이는 담배가 토출구(123)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토출구(123)를 통해 외부로 떨어지지 않고 토출구(123)에 멈춰있을 정도로 담배를 고정시킬 수 있는 길이일 수 있고, 이는 담배의 세로길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부(140)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가이드구(231)는 모듈부(200)가 담배 자판기(100)의 본체부(110) 내부에 적치된 경우, 도어부(120)에 형성된 토출구(123)와 서로 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구(231)로 토출된 담배는 도어부(120)에 형성된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모듈부(200)는 추가적으로 설정된 재고높이에 배치되어 모듈부(200)에 적치된 담뱃재고량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모듈부(200)의 수용부(210) 내측에서 설정된 재고높이에 배치되어 수용부(210)에 적치된 담배의 높이가 재고높이 미만의 높이를 가지게 되면 동작되어 재고부족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재고부족신호가 제어부(140)로 송신되어 제어부(140)의 입출력제어부에 의해 입출력부(122)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관리자단말기로 재고부족알림이 송신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무인 담배 자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입출력부(122)를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제어부, 결제부를 제어하기 위한 결제제어부 및 모듈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제어부는 입출력부(122)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입출력부(12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구매입력신호를 수신하면 재고상태를 파악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담배가 들어있는 모듈부(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입출력부(122)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표시신호 및 완료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결제제어부는 결제부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결제부로부터 결제입력신호를 입력받으면 결제수단의 정상여부와 결제금액 정보를 확정하고,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공개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모듈제어부는 모듈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입출력제어부가 구매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결제제어부가 결제를 진행하면 구매확정된 담배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모듈부(200)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다. 아래에서는 모듈제어부가 모듈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100)의 모듈부(200)가 동작하는 동작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모듈제어부는 모듈부(200)를 대기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모듈부(200)의 대기상태란 도 4의 (c)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송부(220)의 푸쉬부(223)가 설정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대기되는 상태를 의미하고, 이 경우 푸쉬부(223)의 설정위치는 이송부(220)의 컨베이어부(222)에 의해 푸쉬부(223)가 적치된 담배의 전단을 상측으로 밀어올리고 있어 토출구(123) 및 가이드구(231)를 통해 담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담배의 세로길이를 고려하여 가이드구(231)를 통해 토출구(123)로 담배의 일부가 노출되나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위치일 수 있다. 즉, 설정위치는 이송면에 안착된 하단의 담배 전단 하면에 푸쉬부(223)가 배치되어 상기 하단의 담배 전단이 상측으로 들린 상태를 유지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결제부를 통해 결제수단을 인식시키면, 도 4의 (a)와 같이 모듈제어부는 동력부(221)를 동작시켜 컨베이어부(222)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컨베이어부(2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컨베이어부(222)의 이송면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컨베이어부(222)가 회전할 수 있고, 푸쉬부(223) 역시 컨베이어부(222)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과정에서 푸쉬부(223)는 수용부(210)의 전면패널(211)이 설정높이(L1)만큼 상측으로 이격되기 때문에 걸림없이 통과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가이드부(230) 역시 이송부(220)로부터 전방으로 설정간격(L3) 이격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푸쉬부(223)가 걸림없이 회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적층된 담배 중 컨베이어부(222)에 안착된 담배의 하면은 푸쉬부(223)가 없기 때문에 컨베이어부(222)의 안착면에 평행되도록 안착될 수 있다.
모듈제어부가 동력부(221)를 제어하여 푸쉬부(223)가 컨베이어부(222)의 회전방향을 따라 계속 회전하게 되면, 푸쉬부(223)의 전면이 컨베이어부(222)에 안착된 담배의 후면을 푸쉬하여 밀어내게 된다. 이 때 푸쉬부(223)의 연장길이(L4)는 안착된 담배의 전면 가로길이에 평행되고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담배를 안정적으로 전방으로 푸쉬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푸쉬부(223)의 돌출길이(L5)는 안착된 담배의 높이보다 낮기 때문에 적층된 담배 중 안착된 담배 하나만 전방으로 푸쉬하고 안착된 담배 위에 적층된 담배는 전방으로 이송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푸쉬부(223)가 안착된 담배를 전방으로 푸쉬하는 과정에서 적층된 담배의 전면은 수용부(210)의 전면패널(211)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송되는 담배는 안착된 담배 하나가 된다.
이 후, 모듈제어부는 푸쉬부(223)가 설정위치, 즉 대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위치에 배치되면 동력부(221)의 동작을 정지시켜 컨베이어부(222)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부(222)가 정지되면 안착된 담배는 후면이 푸쉬부(223)의 전면에 의해 밀어지다가 전방으로의 이송이 정지될 수 있고, 정지된 담배는 가이드부(230)의 가이드구(231)를 통해 도어부(120)에 형성된 토출구(123)로 전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토출구(12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 담배를 외부로 꺼낼 수 있고, 담배가 꺼내지면 모듈부(200)는 도 4의 (c)와 같이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100)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사용자 측면에서는 별도로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사람을 통해 담배를 구매할 필요없이 원하는 담배를 무인으로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담배구매를 위해 결제수단을 인식시키면 담배가 도어부(120)에 형성된 토출구(123)를 통해 전방으로 일부 토출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자판기처럼 도어부(120)에 형성된 하단의 수납부를 열어 담배를 꺼내거나 할 필요가 없이 토출된 담배를 외부로 당기기만 함으로써 손쉽게 담배를 가져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조 및 생산자 측면에서는 우선 도어부(120)에 별도로 결제된 담배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함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이에 수반하여 일반적으로 자판기의 수납함에는 상품의 적출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레이저센서나 무게센서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센서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생산단가가 줄어들 뿐 아니라 부품수도 줄어들고, 제어부(140)의 동작제어를 위한 프로그래밍이 단순화되어 생산량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 측면에서는 내부의 모듈부(200) 별로 담배가 적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담배종류와 적치개수, 토출위치를 모듈부(200) 별로 설정함으로써 무인 담배 자판기(100)의 판매담배 종류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센서부에 의해 적치된 담배의 재고상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담배의 재고관리가 쉬운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110 : 본체부
111 : 본체패널 112 : 모듈수용부
113 : 공간부 120 : 도어부
121 : 도어패널 122 : 입출력부
123 : 토출구 200 : 모듈부
210 : 수용부 211 : 전면패널
212 : 후면패널 220 : 이송부
221 : 동력부 222 : 컨베이어부
223 : 푸쉬부 230 : 가이드부
231 : 가이드구 140 : 제어부
L1 : 설정높이 L2 : 설정간격
L3 : 설정간격 L4 : 연장길이
L5 : 돌출길이

Claims (7)

  1. 무인으로 담배를 판매하는 무인 담배 자판기에 있어서,
    본체패널에 의해 내부에 모듈수용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전면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모듈수용부를 개방하고,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형성된 도어부;
    상기 모듈수용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적치된 담배 중 하단의 담배를 상기 무인 담배 자판기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모듈부; 및
    상기 모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부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담배가 적치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공간 하측에 배치되어 적치된 담배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담배 중 하단의 담배가 삽입되는 가이드구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로 가이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가 상기 모듈수용부를 폐쇄하면 상기 토출구 및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적치된 담배의 이송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고 상기 하단의 담배가 안착되는 이송면이 형성된 컨베이어부; 및
    상기 이송면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적치된 담배의 이송과정에서 상기 하단의 담배를 푸쉬하는 푸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상태에서 상기 푸쉬부가 설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설정위치는 상기 하단의 담배 전단 하면에 상기 푸쉬부가 배치되어 상기 하단의 담배 전단이 상측으로 들린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푸쉬부가 보이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구매를 원하는 담배종류 및 수량을 선택하기 위한 입출력부; 및
    결제수단을 인식시켜 결제를 수행하여 결제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결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제부로부터 결제입력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동력부를 동작시켜 상기 컨베이어부 상면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컨베이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푸쉬부의 전단이 상기 하단의 담배 후단을 전방으로 푸쉬하여 상기 하단의 담배가 전방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는,
    상기 컨베이어부의 회전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하단의 담배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돌출길이만큼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전면패널 및 후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 및 상기 후면패널 사이의 거리는 담배의 세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은 설정높이만큼 상측으로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송부로부터 전방으로 설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구는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담배의 이송방향으로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KR1020230069329A 2023-05-30 2023-05-30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KR102562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329A KR102562110B1 (ko) 2023-05-30 2023-05-30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9329A KR102562110B1 (ko) 2023-05-30 2023-05-30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110B1 true KR102562110B1 (ko) 2023-08-01

Family

ID=8756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9329A KR102562110B1 (ko) 2023-05-30 2023-05-30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844B1 (ko) 2024-01-05 2024-04-23 강등용 스마트 담배보루 자판기 형성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080U (ko) * 1993-08-31 1995-03-21 자판기의 상품 투출장치
KR102184742B1 (ko) * 2020-09-25 2020-11-30 성상일 판형 상품 자판기
KR102258810B1 (ko) * 2021-01-22 2021-06-02 하나시스 주식회사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KR102293283B1 (ko) * 2020-03-27 2021-08-23 노주현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080U (ko) * 1993-08-31 1995-03-21 자판기의 상품 투출장치
KR102293283B1 (ko) * 2020-03-27 2021-08-23 노주현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KR102184742B1 (ko) * 2020-09-25 2020-11-30 성상일 판형 상품 자판기
KR102258810B1 (ko) * 2021-01-22 2021-06-02 하나시스 주식회사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844B1 (ko) 2024-01-05 2024-04-23 강등용 스마트 담배보루 자판기 형성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431B1 (ko) 카트리지 적재 장치를 사용하는 중앙집중식 자동판매 방법
US6957732B2 (en) Vending machine having direct data link to cash dispenser
US6412654B1 (en) Vending machine
KR102562110B1 (ko)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KR100736302B1 (ko) 무인 자동판매기
KR102128770B1 (ko) 포장육 자동판매기
US20080073373A1 (en) Automatic Machine For The Renting And Sale Of Durable Goods And/Or Food Products
KR20090078284A (ko) 도서 대여/반납 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케이스, 도서대여/반납 장치 및 그 방법
KR102293283B1 (ko)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US20070151981A1 (en) Firewood dispenser
JP2002092725A (ja) 自動販売機
PT1256915E (pt) Máquina automática e processo informatizado de preparação e de distribuição de fundos de caixa
KR20170080761A (ko) 박스류 발급기
JP2010017285A (ja) 景品払出機および景品払出システム
JP4830864B2 (ja) 自動販売機
KR102137790B1 (ko) 카트리지 공급장치를 이용한 카드전용 키오스크 판매기
JP5826242B2 (ja) 景品払出機
JP5163382B2 (ja) 新聞自動販売機
WO2023246850A1 (zh) 自动售卖机
CN212112638U (zh) 一种售货机及商店
US20240046733A1 (en) Kiosk-integrated cigarette vending machine
JPH0938328A (ja) 物品投出装置
KR101360006B1 (ko) 컴팩트 자동판매기
KR200191448Y1 (ko) 숙박업소용 자판기
KR20170095438A (ko) 박스류 발급기용 보관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