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810B1 -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 Google Patents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810B1
KR102258810B1 KR1020210009675A KR20210009675A KR102258810B1 KR 102258810 B1 KR102258810 B1 KR 102258810B1 KR 1020210009675 A KR1020210009675 A KR 1020210009675A KR 20210009675 A KR20210009675 A KR 20210009675A KR 102258810 B1 KR102258810 B1 KR 102258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nit
user
adul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9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4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weigh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 G07F17/263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for weigh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2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인인증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무인 판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냉장 또는 온장으로 내부의 온도조절이 가능하고, 내부에 배치된 제1 제품의 무게변화값 및 이미지변화값이 산출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1 제품수납부; 내부에 배치된 제2 제품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제품수납부; 사용자가 성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제품 및 상기 제2 제품 중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키오스크부; 및 상기 제1 제품수납부, 상기 제2 제품수납부 및 상기 키오스크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부로부터 사용자가 성인이라고 인증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제품수납부 및 상기 제2 제품수납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제품 및 상기 제2 제품 중 하나 이상이 판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UN-MANNED SELL SYSTEM OF PRODUCT FOR ADULT CERTIFICATION}
본 발명은 무게정보 및 이미지정보를 기반으로 냉장 또는 냉동제품을 판매할 뿐만 아니라 단순저장제품을 팔 수 있고, 더불어 성인인증을 통해 주류 및 담배 등 미성년자 판매금지 물품을 판매할 수 있는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장에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하고, 선택한 제품의 계산을 위해 계산대 등 계산장소로 제품을 가지고 간 상태에서 이를 판매하고 있는 판매자에게 비용을 지불하여 구매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편의점에서 커피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자는 편의점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커피를 냉장고 등 제품수납부에서 취득한 후, 이를 계산대로 들고 간 뒤 판매자에게 건네주고, 판매자가 해당 제품에 대한 가격정보를 바코드 등을 활용하여 판단한 후, 판단된 가격에 대한 금액을 결제하여 구매자에게 건네줌으로써 제품의 구입단계가 종료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제품 구매 방식의 경우, 판매자가 필수적으로 매대에 대기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판매자가 사정 상 자리를 비우는 경우에는 제품을 구매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실제로 코비드 19의 영향으로 대면 거래가 힘든 상황에서, 언택트 기술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무인판매시스템나 시스템이 배치된 매장이 국내외에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국내외 주요 이커머스 사업체는 무인매장 사업확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아마존은 무인점포 ‘아마존 고’를 런칭하고 무인운영점포의 규모를 확대하는 기술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중국의 무인편의점 시장규모 역시 2022년에는 약 293조 9,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등 대형 유통채널에서의 무인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롯데의 세븐일레븐 편의점이 2017년에 자판기형 점포 ‘세븐일레븐 익스프레스’와 자동페이 기술을 적용한 AI 점포관리 로봇인 브니를 출시하여 현재 상용화하고 있으며, 신세계의 편의점인 이마트 24는 전국에 총 15곳의 무인점포를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무인판매시스템에 대한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와 같다.
특허등록번호 제10-1949258호 (발명의 명칭 : 키오스크 기반 결제시스템) 그런데 종래의 무인판매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 국내에서 판매하는 무인판매시스템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대부분 음료나 식품 등 모든 연령층이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성인인 경우 구매가능한 제품, 예를 들어 주류나 담배 등과 같은 기호식품이나 성인용품 등의 경우에는 성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판매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대면판매, 예를 들어 편의점이나 마트 등에서 주류나 담배를 판매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분증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성인여부를 판매자가 판매할 수 있으나, 무인판매시스템의 경우 사용자가 성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문제가 있다. 해외, 특히 일본의 경우에는 주류자판기나 담배자판기가 많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신분증을 인식시켜 사용자가 성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신분증의 위조가능성이 높을 뿐 아니라, 타인의 신분증을 절도하여 주류나 담배 등을 구매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무인자판기나 키오스크의 입출력부에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생년월일 등을 입력하고, 휴대폰 등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본인인증 또는 성인인증을 진행하여 무인자판기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입출력부와 사용자단말기를 모두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류나 담배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자동판매기 내에 배치되는 경우, 각 종류별로 어떤 것이 판매되었는지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와인과 같이 온도에 민감한 주류의 경우 보관온도가 매우 중요한데 무인판매기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정리하는 것이 힘든 문제가 있다. 따라서 주류나 담배 등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의 무인 판매를 위한 무인판매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게 필요한 상황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성인인증을 수행함과 동시에 온도에 민감한 주류 등의 제품과 담배와 같은 일반적인 제품을 한 번의 성인인증을 통해 동시에 구매할 수 있는 무인판매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은, 냉장 또는 온장으로 내부의 온도조절이 가능하고, 내부에 배치된 제1 제품의 무게변화값 및 이미지변화값이 산출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1 제품수납부; 내부에 배치된 제2 제품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제품수납부; 사용자가 성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제품 및 상기 제2 제품 중 하나 이상의 제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키오스크부; 및 상기 제1 제품수납부, 상기 제2 제품수납부 및 상기 키오스크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부로부터 사용자가 성인이라고 인증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제품수납부 및 상기 제2 제품수납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제품 및 상기 제2 제품 중 하나 이상이 판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오스크부는, 외부로 상기 제1 제품 및 상기 제2 제품의 결제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제품 및 상기 제2 제품에 대한 제품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결제수단을 인식하고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 및 사용자의 안면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가 성인인지여부를 인증하는 성인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인인증부는, 신규사용자가 본인이고 성인이라고 판단되면 본인인증확인신호를 생성하는 본인인증부; 상기 신규사용자의 제1 안면정보 및 기존사용자의 제2 안면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제1 안면정보 및 상기 본인인증확인신호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안면인식부; 상기 신규사용자의 경우, 상기 제1 안면정보 및 상기 본인인증확인신호가 매칭되면 성인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기존사용자의 경우, 상기 제2 안면정보를 상기 제1 안면정보를 비교하여 설정된 유사범위를 충족하면 성인이라고 판단하는 성인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품수납부는, 내부에 상기 제1 제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수납공간의 온도조절이 가능한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잠금부가 형성된 제1 도어부;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안착면에 상기 제1 제품이 안착되는 제1 선반부; 상기 제1 선반부에 배치되어 안착된 상기 제1 제품의 무게변화값을 산출하는 무게산출부; 및 상기 제1 선반부에 배치되어 안착된 상기 제1 제품의 이미지변화값을 산출하는 이미지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로가 사용자가 성인이라고 인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부가 잠금해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도어부가 상기 제1 본체부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변화값 및 상기 이미지변화값을 기저장된 상기 제1 제품의 단위무게 및 단위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제품의 종류 및 수량을 확정하고, 제1 구매가격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제품수납부는, 내부에 상기 제2 제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제품이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구비된 제2 본체부; 및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안착면에 상기 제2 제품이 안착되는 제2 선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부가 사용자가 성인이라고 인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오스크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제2 제품의 가격정보 및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키오스크부를 통해 구매를 원하는 상기 제2 제품의 종류 및 수량을 선택하는 구매제품선택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2 제품의 종류 및 수량을 확정하고, 제2 구매가격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제품수납부는, 상기 제2 선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제품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제품을 상기 토출구로 밀어내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키오스크부를 통해 상기 제2 구매가격정보에 대한 구매확정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가압부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제2 제품을 구매수량만큼 가압하여, 상기 제2 제품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시스템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우선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을 무인판매시스템을 통해 안정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신규사용자의 경우 제1 안면정보를 인식하고 본인인증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양 정보를 매칭함으로써 성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기존사용자의 경우 별도의 본인인증 절차 없이 안면인식부를 통해 제2 안면정보만을 인식시켜 성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성인인증을 위해 불필요한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구매에 대한 시간이 절약되고 번거로움이 사라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정보를 활용하여 성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인의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또는 타인의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타인을 사칭하여 성인인증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없어, 미성년자가 해당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류 중에서 냉장보관이나 온도에 민감한 주류, 예를 들어 맥주나 와인 같은 경우에는 그 종류에 따라 제1 제품수납부 내의 온도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무인판매시스템에서도 적절한 온도에 보관되는 주류를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오스크부를 통한 한 번의 성인인증을 통해 주류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성인기호식품인 담배와 같이 실온에서 보관이 필요한 제품도 동시에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 수의 성인인증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가의 제품이 많은 주류의 경우, 무게산출부 및 이미지인식부를 통해 사용자가 외부로 반출한 제1 제품의 종류와 수량을 명확히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구매제품의 정확한 구매금액이 산출되어 결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시스템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시스템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4에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성인인증을 진행하고 성인으로 인증되면 제품수납부에 수납된 제품, 예를 들어 주류나 담배 등을 판매함과 더불어 무게 및 이미지 기반으로 판매제품에 대한 재고관리를 진행할 수 있는 무인판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장치를 간략하게 ‘무인판매시스템’ 로 호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시스템(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시스템(1000)의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시스템(1000)의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시스템(1000)는, 냉장 등 온도조절이 필요한 제1 제품이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제품수납부(100), 상온에 보관가능한 제2 제품이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제품수납부(200), 제1 제품수납부(100) 및 제2 제품수납부(200)의 제품 구매 및 결제가 진행되고 사용자가 성인인지여부를 판단하는 키오스크부(300) 및 무인판매시스템(10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인판매시스템(1000)에서는 키오스크부(300)를 통해 1회만 성인인증을 진행하더라도 제1 제품수납부(100) 및 제2 제품수납부(200), 상세히는 더 많은 제품수납부에 배치된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어부(400) 역시 다 수의 제품수납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 제품수납부(100)는 온도 조절이 필요한 제1 제품으로 성인인증이 필요한 와인이나 맥주 등과 같은 주류제품이 수납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제1 제품수납부(100)는 내부에 제1 제품이 수납되고 온도조절, 즉 냉온온도조절이 가능한 보관공간을 제공하는 제1 본체부(110), 제1 본체부(110)의 보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도어부(120), 제1 본체부(110) 내부에 배치되어 보관공간을 구획하고 제품이 안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선반부(130), 제1 선반부(130)에 배치되어 제품의 무게를 산출하는 무게산출부(140) 및 제1 선반부(130)에 배치되어 제품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이미지인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품수납부(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본체부(110)는 내부에 제1 제품이 배치되는 보관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외관을 형성하고 보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111), 본체부에 배치되어 보관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111)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보관공간에 보관된 식자재의 보온 또는 보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111)는 일반적으로 매장이나 편의점 등에 사용되는 매대를 포함할 수 있는 구성인 바,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온도조절부(112)는 냉장 또는 온장을 위한 구성으로 냉장을 위한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기가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관공간의 온도를 냉장 또는 냉동온도나 또는 상온보다 높은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냉장 및 온장기술은 공지된 기술인 바,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제1 도어부(120)는 제1 본체부(110)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슬라이드(미닫이) 또는 회전형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도어부(120)은 제1 본체부(110)를 선택적으로 잠금상태로 설정할 수 있는 잠금부(113)가 형성되어, 후술할 제어부(400)로부터 잠금설정신호를 수신하면 보관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본체부를 잠금상태로 설정할 수 있고, 반대로 제어부(400)로부터 잠금해제신호를 수신하면 보관공간이 개방될 수 있도록 제1 본체부(110)를 잠금해제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도어부(120)의 제1 본체부(110)를 잠금상태로 설정한 경우에는 구매자가 제1 도어부(120)을 밀거나 회전시키더라도 제1 본체부(110)의 보관공간이 개방되지 않는다. 이러한 잠금부(113)는 일 예로 전자식 잠금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반부(130)은 제1 본체부(110) 내부의 보관공간을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고, 특히 수평방향으로 구획하는 경우에는 안착면(상면)에 제1 제품이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는 제1 선반부(130)에 올라간 상품을 확인하고 원하는 구매제품을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무게산출부(140)은 제1 제품수납부(100)의 제1 선반부(130)에 배치되어, 제1 선반부(130)에 안착된 제품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무게산출부(140)은 제1 선반부(130) 각각에 복 수개 배치되어 제1 선반부(130)에 안착된 제품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복 수의 무게센서(141), 제1 선반부(130) 각각에 배치되어 해당 제1 선반부(130)에 배치된 복 수의 무게센서(141)가 감지한 무게변화값을 통합하여 평균무게변화값을 산출하는 무게통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복 수의 무게센서(141)는 제1 선반부(130)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제1 선반부(130)에 안착된 제품의 제1 선반부(130) 별 무게변화값을 별도로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선반부(130)이 직사각형상인 경우, 복 수의 무게센서(141)는 제1 선반부(130)의 하측 모서리 단부에 4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무게센서(141)는 제1 제품수납부(100)의 제1 도어부(120)가 보관공간을 개방하면 제1 선반부(130) 자체의 무게를 제외한 제품의 무게인 1차무게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제품수납부의 제1 도어부(120)가 수납공간을 폐쇄하면 제1 선반부(130) 자체의 무게를 제외한 수납제품의 무게인 2차무게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무게통합부(142)는 하나의 제1 선반부(130)에 하나씩 배치되어 제1 선반부(130)에 배치된 복 수의 무게센서(141)에서 감지된 2차무게정보 및 1차무게정보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무게센서(141)별 무게변화값을 결정할 수 있고, 각 센서별로 산출된 무게변화값을 평균무게변화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는 무게센서(141)별 무게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고 하나의 무게센서(141)로 측정한 경우 무게센서(141) 오류에 따른 무게측정오차값을 최소화하기 위함이고, 이에 따라 제1 선반부(130)별로 구분하여 변화된 평균무게변화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미지인식부(150)는 본체부에 배치되어 제1 선반부(130) 상단에 배치된 제품을 촬영하여 촬영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이미지인식부(150)는 내부에 센서가 배치되어, 제1 도어부(120)가 본체부를 개방한 시점에서 제1 선반부(130)에 안착된 제품의 제1 촬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제1 도어부(120)가 본체부를 폐쇄한 시점에서 센서가 인식하면 제품수납부의 촬영에 안착된 제품의 제2 촬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인식부(150)는 설정시간 간격으로 제품수납부를 촬영한 다 수의 촬영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품수납부의 개방시점 및 폐쇄시점 각각의 촬영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제품수납부(200)는 실온에서 보관가능한, 즉 온도조절이 필요하지 않은 보관공간에 보관될 수 있고 성인인증을 통해 판매가능한 제2 제품으로, 예를 들어 성인인증을 통해 구매가능한 담배가 수납될 수 있는 수단이다. 제2 제품수납부(200)는 실온 상태의 제2 보관공간을 제공하고 제품이 외부로 반출되기 위한 토출구(211)가 형성된 제2 본체부(210), 제2 보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 도어부(220), 제2 본체부(210) 내부에 배치되어 보관공간을 구획하고 제품이 안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선반부(230), 제2 선반부(230) 상에 배치되어 수납된 제품을 가압하여 밀어냄으로써 제품을 토출구(211)로 배출시키는 가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본체부(210)는 내부에 제2 제품수납부(200)가 배치되는 보관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측에 토출구(211)가 형성되어 제2 제품이 수납될 수 있는 수단이다. 제2 본체부(210)는 일반적으로 매장이나 편의점 등에 사용되는 매대를 포함할 수 있는 구성인 바,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제2 도어부(220)는 제2 본체부(210)의 보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수단이나, 제1 도어부(120)와 다른점은 사용자가 임의로 개방할 수 없고 관리자만 개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는, 제1 제품수납부(100)의 경우 사용자가 제1 도어부(120)를 개방하여 제품을 외부로 반출해야 하지만 제2 제품수납부(200)의 경우 토출구(211)를 통해 외부로 반출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본체부(210)의 개폐는 재고관리를 위해 관리자만이 개폐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이유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제2 도어부(220)는 관리자의 잠금설정신호에 의해 제2 본체부(210)를 개폐할 수 있다.
제2 선반부(230)는 제2 본체부(210) 내부의 보관공간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구획할 수 있고, 특히 수평방향으로 구획하는 경우에 안착면(상면)에 제2 제품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선반부(230)는 상면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제2 제품이 설정간격으로 적치될 수 있고, 좌우방향으로 제2 제품이 종류별로 적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구매물품을 선택할 시 가압부(240)의 작동에 의해 원하는 제품이 외부로 반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가압부(240)는 제2 선반부(230) 후측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제2 선반부(230)의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고,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 선반부(230)의 안착면에 적치된 제2 제품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토출구(211)로 밀어내는 수단이다. 상세히, 가압부(240)는 제2 선반부(230) 후측에서 측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전방으로 설정간격만큼 왕복이동할 수 있다. 관리자가 설정간격을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압부(240)는 제2 선반부(230)에 적치된 제2 제품의 전후거리에 따라 원하는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압부(240)의 동작은 모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키오스크부(300)는 제어부(400)와 연결되어 제1 제품수납부(100) 및 제2 제품수납부(200)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수단이다. 키오스크부(300)는 제1 제품수납부(100)의 전면, 상세히는 제1 도어부(12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제1 제품수납부(100)와 제2 제품수납부(200)가 다 수개 직렬로 배치된 경우에는 별도의 하나의 키오스크 장치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세히, 키오스크부(300)는 외부로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결제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신호를 입력받는 입출력부(310), 입출력부(310)를 통해 선택된 제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320) 및 제1 제품과 제2 제품 구매를 위한 사용자의 성인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성인인증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310)는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의 정보나 결제에 대한 정보, 사용되지 않는 대기시간에는 홍보영상 등을 외부로 출력하고, 사용자나 관리자의 신호를 입력받는 수단이다. 일 예로, 입출력부(310)는 터치형 디스플레이가 병합되어 하나의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는 입력부 및 출력부가 별개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결제부(320)는 사용자가 결제수단을 인식시켜 구매를 원하는 제품에 대한 결제액을 결제할 수 있는 수단이다. 결제수단은 신용카드, 체크카드나 현금뿐만 아니라, QR코드나 삼성페이 등 앱도 활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결제부(320)는 카드리더기, 코드리더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결제부(320)에 대한 구성은 공지된 기술인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성인인증부(330)는 키오스크부(300)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면 또는 사용자의 신분증을 인식하여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성인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성인인증부(330)는 사용자가 본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본인인증확인신호를 생성하는 본인인증부(331), 사용자의 안면정보를 감지하여 저장할 수 있는 안면인식부(332) 및 본인인증확인신호를 기초로 안면정보를 저장하여 성인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성인판단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인인증부(331)는 사용자가 본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본인인증확인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본인인증부(331)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본인인증 여부를 판단하거나, 신용카드나 신분증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본인인증 여부와 성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본인인증확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인이 아니거나 또는 본인이나 성인이 아닌 경우, 본인인증확인신호가 생성될 수 없다.
안면인식부(332)는 키오스크부(300)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안면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안면인식부(332)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안면의 굴곡, 홍채, 눈코입 등의 정보를 기초로 안면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안면인식부(332)는 사용자가 무인판매시스템(1000)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 즉, 신규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식된 안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제1 안면정보로 정의한다. 또한, 안면인식부(332)는 기존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안면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기존사용자가 무인판매시스템(1000)를 사용하고자 할 때 인식되는 안면정보를 제2 안면정보로 정의한다.
또한, 안면인식부(332)는 본인인증부(331)로부터 생성된 본인인증확인신호와 안면인식부(332)에서 저장된 제1 안면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세히, 안면인식부(332)는 본인인증확인신호와 제1 안면정보를 서로 매칭하고, 매칭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성인판단부(333)는 안면인식부(332)에 저장된 매칭결과의 제1 안면정보와 사용자가 무인판매시스템(1000)를 사용하기 위해 안면인식부(332)로 인식되는 제2 안면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1 안면정보와 제2 안면정보가 설정된 유사범위를 만족하면 사용자가 성인이라고 판단하여 성인인증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제품수납부(100) 및 제2 제품수납부(200)와 키오스크부(300)를 연결하여, 키오스크부(300)로부터 생성된 신호, 예를 들어 결제신호나 성인인증신호를 수신하여 제1 제품수납부(100) 및 제2 제품수납부(200)로 송신하고, 제1 제품수납부(100) 및 제2 제품수납부(200)로부터 생성된 구매확정신호를 수신하여 키오스크부(300)로 송신하는 구성이다.
상세히,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입출력부(310)를 통해 신규사용자인지 기존사용자인지 사용선택신호를 입력하면, 이를 수신하여 입출력부(31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신규사용자인 경우, 본인인증확인신호를 수신받거나, 사용자가 기존사용자인 경우 제1 안면정보 및 제2 안면정보를 수신하여 비교하여 설정된 유사범위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양 자 중 하나라도 만족하면 성인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결제부(320)로부터 인식되는 결제수단인식신호를 수신하여 결제수단의 정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1 제품수납부(100)의 무게산출부(140)에 의해 산출된 무게변화값과 이미지인식부(150)에서 산출된 이미지변화값을 기초로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제1 제품의 종류와 수량을 확정하여 제1 제품가격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입출력부(310)에 입력된 구매제품선택신호를 기초로 제2 제품의 종류와 수량을 확정하여 제2 제품가격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400)는 제1 제품가격정보 및 제2 제품가격정보를 합친 최종구매가격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입출력부(310)로부터 구매확정신호를 수신하면 최종구매가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결제부(320)로 결제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제어부(400)를 활용한 무인판매시스템(1000)의 동작에 대한 설명을 통해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시스템(1000)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5는 도 4에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시스템(1000)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성인인증을 통해 제1 제품 및 제2 제품을 판매하는 무인판매시스템(1000)를 처음 사용하기 위해 제1 안면정보를 등록해야하는 사용자를 신규사용자, 제1 안면정보를 등록 후 무인판매시스템(10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기존사용자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무인판매시스템(1000)를 사용하기 위해 키오스크부(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키오스크부(300)의 입출력부(310)를 통해 사용자가 기존사용자인지, 신규사용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선택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선택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입출력부(310)를 통해 외부로 신규사용자 버튼과 기존사용자 버튼이 팝업되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신규사용자 버튼을 선택하여 신규사용자선택신호가 생성되면, 성인인증부(330)의 안면인식부(332)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고 제1 안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인인증부(331)가 동작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인증을 위해 단말기 번호와 인증번호 정보를 입력받거나 결제부(320)를 통해 인식된 결제수단의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본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본인인증부(331)가 사용자가 본인이고 성인이라고 확정하여 본인인증확인신호를 생성하면, 안면인식부(332)가 제1 안면정보와 본인인증확인신호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1 안면정보와 본인인증확인신호를 매칭한 매칭신호를 수신하여, 입출력부(310)를 통해 사용자의 성인인증이 완료되었다는 알림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기존사용자인 경우, 즉 제1 안면정보와 본인인증확인신호를 1회 이상 매칭한 경우에는, 성인인증부(330)의 안면인식부(332)가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제2 안면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기저장된 제1 안면정보와 제2 안면정보를 비교하여 설정된 유사범위를 만족시키면 사용자의 본인인증확인신호를 기초로 사용자가 성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입출력부(310)를 통해 성인인증이 완료되었다는 알림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의 성인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품구매를 위해 키오스크부(300)의 결제부(320)를 통해 결제수단을 인식시킬 수 있고, 이 경우 결제부(320)는 결제수단인식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결제수단인식신호를 송신받아 결제수단이 정상인지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결제수단이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입출력부(31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이 수납된 제품수납부, 즉 사용자가 제1 제품수납부(100) 및 제2 제품수납부(200)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로 주류, 담배, 주류+담배의 버튼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1 제품을 선택하면 제1 제품선택신호가 생성되고, 제2 제품을 선택하면 제2 제품선택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출력부(310)를 통해 원하는 제품에 대한 제1 제품선택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400)는 제1 제품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제1 제품수납부(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세히, 결제수단이 정상이라고 판단되고 입출력부(310)를 통해 사용자가 제1 제품에 대한 제1 제품선택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400)는 제1 제품수납부(100)의 잠금부(113)가 잠금해제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1 도어부(120)가 제1 제품수납부(100)를 개방함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제품 중 원하는 제품을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제품수납부(100)의 제1 도어부(120)를 개방하여 제1 선반부(130)에 안착된 제1 제품을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제1 도어부(120)가 개방되기 전에 제1 선반부(130)에 배치된 무게산출부(140)은 제1 무게값을 측정할 수 있고, 이미지인식부(150)는 제1 선반부(130)의 제1 촬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제1 제품이 외부로 반출한 상태에서 제1 도어부(120)를 폐쇄하면 제1 선반부(130)에 배치된 무게산출부(140)이 제2 무게값을 측정할 수 있고 제1 무게값과 비교하여 무게변화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인식부(150)가 제1 도어부(120) 폐쇄 후 제1 선반부(130)의 제2 촬영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제1 촬영이미지와 제2 촬영이미지를 비교한 이미지비교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400)는 제1 제품수납부(100)로부터 무게변화값 및 이미지변화값을 수신하여, 기저장된 제품별 무게값과 이미지를 수신받은 무게변화값 및 이미지비교값을 매칭하여 외부로 반출된 제1 제품의 종류와 개수를 확정할 수 있고, 반출된 제1 제품의 종류별 가격값을 반출된 제1 제품의 개수값과 곱하여 제1 제품의 제1 구매가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출력부(310)를 통해 원하는 제품에 대한 제2 제품선택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400)는 제2 제품선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결제수단이 정상이라고 판단되고 입출력부(310)를 통해 사용자가 제2 제품에 대한 제2 제품선택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400)는 입출력부(310)를 통해 제2 제품수납부(200)에 수납된 제2 제품에 대한 종류별 정보(가격정보, 상세정보 등)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출력부(310)를 통해 제2 제품 중 원하는 제품종류와 수량을 선택할 수 있는 구매제품선택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구매제품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선택된 제2 제품의 종류와 개수를 확정할 수 있고, 구매제품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제2 제품의 종류와 개수를 기초로 제2 제품의 제2 구매가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제품선택신호 또는 제2 제품선택신호를 선택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제1 제품선택신호 및 제2 제품선택신호를 동시에 선택한 경우에도 상기한 동작들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한 번의 성인인증을 통해 제1 제품수납부(100)와 제2 제품수납부(200)에 수납된 제1 제품과 제2 제품의 가격정보인 제1 구매가격정보 및 제2 구매가격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구매가격정보 및 제2 구매가격정보를 통합하여 최종구매가격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제1 구매가격정보, 제2 구매가격정보 및 최종구매가격정보를 입출력부(3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된 제1 구매가격정보, 제2 구매가격정보 및 최종구매가격정보를 입출력부(310)를 통해 확인한 후 입출력부(310)를 통해 구매확정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매확정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400)는 구매확정신호를 수신하여 결제부(320)로 최종구매가격정보에 대한 결제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결제부(320)는 수신한 결제신호를 바탕으로 기존에 인식된 결제수단을 통해 최종구매가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부(320)에 의해 결제가 이루어지면 제어부(400)는 제2 제품수납부(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세히, 제어부(400)에는 제2 선반부(230)에 안착된 제2 제품의 위치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기저장된 제2 제품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구매제품선택신호에서 선택된 제2 제품의 위치정보와 매칭된 위치에 배치된 제2 제품수납부(200)의 가압부(2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구매제품선택신호에 선택된 제2 제품의 수량에 따라 가압부(240)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가압부(240)가 제2 선반부(230) 상에 배치된 제2 제품을 가압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제품이 구매한 수량만큼 토출구(211)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판매시스템(1000)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우선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을 무인판매시스템(1000)를 통해 안정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신규사용자의 경우 제1 안면정보를 인식하고 본인인증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양 정보를 매칭함으로써 성인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기존사용자의 경우 별도의 본인인증 절차 없이 안면인식부(332)를 통해 제2 안면정보만을 인식시켜 성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성인인증을 위해 불필요한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구매에 대한 시간이 절약되고 번거로움이 사라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정보를 활용하여 성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인의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또는 타인의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타인을 사칭하여 성인인증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없어, 미성년자가 해당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류 중에서 냉장보관이나 온도에 민감한 주류, 예를 들어 맥주나 와인 같은 경우에는 그 종류에 따라 제1 제품수납부(100) 내의 온도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무인판매시스템(1000)에서도 적절한 온도에 보관되는 주류를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오스크부(300)를 통한 한 번의 성인인증을 통해 주류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성인기호식품인 담배와 같이 실온에서 보관이 필요한 제품도 동시에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 수의 성인인증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가의 제품이 많은 주류의 경우, 무게산출부(140) 및 이미지인식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외부로 반출한 제1 제품의 종류와 수량을 명확히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구매제품의 정확한 구매금액이 산출되어 결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무인판매시스템 100 : 제1 제품수납부
110 : 제1 본체부 111 : 케이스부
112 : 온도조절부 113 : 잠금부
120 : 제1 도어부 130 : 제1 선반부
140 : 무게산출부 141 : 무게센서
142 : 무게통합부 150 : 이미지인식부
200 : 제2 제품수납부 210 : 제2 본체부
211 : 토출구 220 : 제2 도어부
230 : 제2 선반부 240 : 가압부
300 : 키오스크부 310 : 입출력부
320 : 결제부 330 : 성인인증부
331 : 본인인증부 332 : 안면인식부
333 : 성인판단부 400 : 제어부

Claims (8)

  1. 냉장 또는 온장으로 내부의 온도조절이 가능하고, 내부에 배치된 제1 제품의 무게변화값 및 이미지변화값이 산출가능한 하나 이상의 제1 제품수납부;
    내부에 배치된 제2 제품을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제품수납부;
    외부로 상기 제1 제품 및 상기 제2 제품의 결제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제품 및 상기 제2 제품에 대한 제품선택신호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결제수단을 인식하고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 및 사용자의 안면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가 성인인지여부를 인증하는 성인인증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부; 및
    상기 제1 제품수납부, 상기 제2 제품수납부 및 상기 키오스크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성인인증부는,
    신규사용자가 본인이고 성인이라고 판단되면 본인인증확인신호를 생성하는 본인인증부,
    상기 신규사용자의 제1 안면정보 및 기존사용자의 제2 안면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제1 안면정보 및 상기 본인인증확인신호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안면인식부 및
    상기 신규사용자의 경우, 상기 제1 안면정보 및 상기 본인인증확인신호가 매칭되면 성인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기존사용자의 경우, 상기 제2 안면정보를 상기 제1 안면정보를 비교하여 설정된 유사범위를 충족하면 성인이라고 판단하는 성인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크부로부터 사용자가 성인이라고 인증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제품수납부 및 상기 제2 제품수납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제품 및 상기 제2 제품 중 하나 이상이 판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품수납부는,
    내부에 상기 제1 제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수납공간의 온도조절이 가능한 제1 본체부;
    상기 제1 본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잠금부가 형성된 제1 도어부;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안착면에 상기 제1 제품이 안착되는 제1 선반부;
    상기 제1 선반부에 배치되어 안착된 상기 제1 제품의 무게변화값을 산출하는 무게산출부; 및
    상기 제1 선반부에 배치되어 안착된 상기 제1 제품의 이미지변화값을 산출하는 이미지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로가 사용자가 성인이라고 인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부가 잠금해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도어부가 상기 제1 본체부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변화값 및 상기 이미지변화값을 기저장된 상기 제1 제품의 단위무게 및 단위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제1 제품의 종류 및 수량을 확정하고, 제1 구매가격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품수납부는,
    내부에 상기 제2 제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제품이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구비된 제2 본체부; 및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안착면에 상기 제2 제품이 안착되는 제2 선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오스크부가 사용자가 성인이라고 인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오스크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제2 제품의 가격정보 및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키오스크부를 통해 구매를 원하는 상기 제2 제품의 종류 및 수량을 선택하는 구매제품선택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2 제품의 종류 및 수량을 확정하고, 제2 구매가격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품수납부는,
    상기 제2 선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제품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제품을 상기 토출구로 밀어내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키오스크부를 통해 상기 제2 구매가격정보에 대한 구매확정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가압부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제2 제품을 구매수량만큼 가압하여, 상기 제2 제품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KR1020210009675A 2021-01-22 2021-01-22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KR10225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675A KR102258810B1 (ko) 2021-01-22 2021-01-22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675A KR102258810B1 (ko) 2021-01-22 2021-01-22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810B1 true KR102258810B1 (ko) 2021-06-02

Family

ID=7637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675A KR102258810B1 (ko) 2021-01-22 2021-01-22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810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190B1 (ko) * 2021-11-22 2022-02-17 김영모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
KR102410634B1 (ko) * 2021-10-15 2022-06-22 도시공유플랫폼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무인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24667B1 (ko) 2022-02-18 2022-07-22 조흥래 파티룸 무인 관리 시스템
KR102429799B1 (ko) * 2022-01-28 2022-08-05 하나시스 주식회사 무게센서가 장착된 선반 고정구조
KR102441012B1 (ko) * 2022-01-27 2022-09-06 하나시스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통한 성인인증 도용방지 무인판매시스템
KR20230017043A (ko) * 2021-07-27 2023-02-03 (주)에스에치테크놀로지 다기능 실시간 무인 종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08620A (ko) *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스마트키오스크 무인판매 쇼케이스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8645A (ko) *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스마트키오스크 성인인증이 가능한 무인판매 단말기,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2558977B1 (ko) * 2023-05-11 2023-07-24 하나시스 주식회사 키오스크 연동형 담배 자판기
KR102562110B1 (ko) * 2023-05-30 2023-08-01 하나시스 주식회사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KR20230122200A (ko) 2022-02-14 2023-08-22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목욕탕 시스템
KR102579349B1 (ko) * 2023-07-21 2023-09-15 하나시스 주식회사 유니버설 무인자판기
KR102582654B1 (ko) * 2023-04-28 2023-09-26 하나시스 주식회사 유니버설 상품 결제 시스템
KR102613904B1 (ko) * 2023-07-10 2023-12-15 하나시스 주식회사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KR20240017275A (ko) 2022-07-29 2024-02-07 한송이 주얼리 피팅 판매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255A (ko) * 2004-07-01 2006-01-09 학교법인 영남학원 성인 인증이 가능한 담배 자동판매장치
KR101949258B1 (ko) 2017-11-03 2019-02-18 주식회사 브이알미디어 키오스크 기반 결제 시스템
KR102126637B1 (ko) * 2019-11-18 2020-06-24 권오석 결제기능을 구비한 무인 물품저장고
KR20200129911A (ko) * 2019-05-10 2020-11-18 라스트마일 주식회사 RFID 기반 무인 자판기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
KR20200143884A (ko) * 2019-06-17 2020-12-28 김미혜 무인 판매 및 재고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255A (ko) * 2004-07-01 2006-01-09 학교법인 영남학원 성인 인증이 가능한 담배 자동판매장치
KR101949258B1 (ko) 2017-11-03 2019-02-18 주식회사 브이알미디어 키오스크 기반 결제 시스템
KR20200129911A (ko) * 2019-05-10 2020-11-18 라스트마일 주식회사 RFID 기반 무인 자판기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
KR20200143884A (ko) * 2019-06-17 2020-12-28 김미혜 무인 판매 및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126637B1 (ko) * 2019-11-18 2020-06-24 권오석 결제기능을 구비한 무인 물품저장고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에서 판매하는 무인판매시스템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대부분 음료나 식품 등 모든 연령층이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성인인 경우 구매가능한 제품, 예를 들어 주류나 담배 등과 같은 기호식품이나 성인용품 등의 경우에는 성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판매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무인판매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
대면판매, 예를 들어 편의점이나 마트 등에서 주류나 담배를 판매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분증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성인여부를 판매자가 판매할 수 있으나, 무인판매시스템의 경우 사용자가 성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주류나 담배 등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의 무인 판매를 위한 무인판매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게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주류나 담배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자동판매기 내에 배치되는 경우, 각 종류별로 어떤 것이 판매되었는지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와인과 같이 온도에 민감한 주류의 경우 보관온도가 매우 중요한데 무인판매기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정리하는 것이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무인자판기나 키오스크의 입출력부에 사용자의 전화번호 및 생년월일 등을 입력하고, 휴대폰 등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본인인증 또는 성인인증을 진행하여 무인자판기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입출력부와 사용자단말기를 모두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가 있다.
해외, 특히 일본의 경우에는 주류자판기나 담배자판기가 많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신분증을 인식시켜 사용자가 성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신분증의 위조가능성이 높을 뿐 아니라, 타인의 신분증을 절도하여 주류나 담배 등을 구매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043A (ko) * 2021-07-27 2023-02-03 (주)에스에치테크놀로지 다기능 실시간 무인 종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43418B1 (ko) * 2021-07-27 2023-06-14 (주)에스에치테크놀로지 다기능 실시간 무인 종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10634B1 (ko) * 2021-10-15 2022-06-22 도시공유플랫폼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무인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65190B1 (ko) * 2021-11-22 2022-02-17 김영모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
KR20230108645A (ko) *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스마트키오스크 성인인증이 가능한 무인판매 단말기,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2652262B1 (ko) * 2022-01-11 2024-03-28 주식회사 스마트키오스크 성인인증이 가능한 무인판매 단말기,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2617761B1 (ko) * 2022-01-11 2023-12-27 주식회사 스마트키오스크 무인판매 쇼케이스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8620A (ko) *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스마트키오스크 무인판매 쇼케이스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2441012B1 (ko) * 2022-01-27 2022-09-06 하나시스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통한 성인인증 도용방지 무인판매시스템
KR102429799B1 (ko) * 2022-01-28 2022-08-05 하나시스 주식회사 무게센서가 장착된 선반 고정구조
KR20230122200A (ko) 2022-02-14 2023-08-22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목욕탕 시스템
KR102424667B1 (ko) 2022-02-18 2022-07-22 조흥래 파티룸 무인 관리 시스템
KR20240017275A (ko) 2022-07-29 2024-02-07 한송이 주얼리 피팅 판매 방법
KR102582654B1 (ko) * 2023-04-28 2023-09-26 하나시스 주식회사 유니버설 상품 결제 시스템
KR102558977B1 (ko) * 2023-05-11 2023-07-24 하나시스 주식회사 키오스크 연동형 담배 자판기
KR102562110B1 (ko) * 2023-05-30 2023-08-01 하나시스 주식회사 외부 토출용 무인 담배 자판기
KR102613904B1 (ko) * 2023-07-10 2023-12-15 하나시스 주식회사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KR102579349B1 (ko) * 2023-07-21 2023-09-15 하나시스 주식회사 유니버설 무인자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810B1 (ko)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US5728999A (en) Vending machine, a vending system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KR102377562B1 (ko) 무인판매 시스템
US20180174096A1 (en) Secure self-checkout station
US10216157B2 (en) Order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KR102286030B1 (ko) 무인판매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무인판매방법
JP2017521780A5 (ko)
US20100234987A1 (en) System and method of age verification for selling age-restricted goods from a vending machine
CN108416909A (zh) 一种智能售货柜及智能售货方法
AU710904B2 (en) A vending machine, a vending system and methods for operating same
KR102273794B1 (ko) 무인판매기의 경고 송출시스템
WO2020011165A1 (zh) 基于购买者位置定位的开放式自助销售方法及系统
JP7490650B2 (ja) モジュール式自動販売機
KR102148431B1 (ko) 전면 윈도우가 없는 쇼 케이스 타입의 멀티 밴딩 머신 시스템
KR102126637B1 (ko) 결제기능을 구비한 무인 물품저장고
CN110164033A (zh) 商品信息提取方法、商品信息提取装置与自动售货系统
CN110164032A (zh) 自动售货机及其数据处理方法与自动售货系统
JP7378075B2 (ja) 販売装置、販売システム及び販売方法
CN110164036A (zh) 自动售货机及其控制方法
KR102441012B1 (ko) 음성인식을 통한 성인인증 도용방지 무인판매시스템
KR102652262B1 (ko) 성인인증이 가능한 무인판매 단말기,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 시스템 및 방법
CN113614799A (zh) 物品收容系统、服务器、物品收容方法、程序和信息处理装置
TW202127386A (zh) 寄物販售系統及其控制方法
US20230142558A1 (en) Frictionless Retail Stores and Cabinets
KR102365190B1 (ko)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