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190B1 -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190B1
KR102365190B1 KR1020210161266A KR20210161266A KR102365190B1 KR 102365190 B1 KR102365190 B1 KR 102365190B1 KR 1020210161266 A KR1020210161266 A KR 1020210161266A KR 20210161266 A KR20210161266 A KR 20210161266A KR 102365190 B1 KR102365190 B1 KR 102365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or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모
Original Assignee
김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모 filed Critical 김영모
Priority to KR1020210161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관리 장치가 매장에 설치된 인증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매장 이용 승인 여부를 판단하며, 매장에 설치된 결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구매 물품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구매 물품 결제 정보와 매장 내 진열된 물품의 무게 변동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정상 구매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결제 정보를 사전에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무인 매장에서 자유롭게 물품을 구매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무인 매장의 운영자는 사용자의 정상적인 구매 및 결제의 실행을 보증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주류 등의 성인용품을 판매하는 무인 매장에서의 미성년자 등과 같이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의 출입 자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Unmanned Store Management Method and Unmanned Store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신의 결제 정보를 사전에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무인 매장에서 자유롭게 물품을 구매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무인 매장의 운영자는 사용자의 정상적인 구매 및 결제의 실행을 보증받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주류 등의 성인용품을 판매하는 무인 매장에서의 미성년자 등과 같이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의 출입 자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의 확산으로 인한 비대면 거래의 선호 현상, 상주 직원의 인건비 부담 등의 이유로 인해 무인 매장의 설치 및 이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무인 매장은 물품을 구매한 사용자의 양심적인 결제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하여 운영되는 무인 매장과, 사용자에 대한 신뢰에 기반하지 않고 사용자의 매장 내에서의 행동을 AI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구매 물품에 대한 자동 결제가 실행되도록 하는 무인 매장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인공 지능형 무인 매장의 경우에는 아마존, 신세계 등의 대기업이 진출해 있음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시스템 구축에 상당한 비용과 기간이 소요된다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매장 내부에 진입하기 전에 자신의 결제 정보를 먼저 시스템에 등록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인 매장 시스템은 구매한 물품에 대한 성공적인 결제의 지원에만 솔루션이 집중되어 있으며, 주류 등과 같이 성인만이 구매할 수 있는 물품을 판매하는 무인 매장에 미성년자의 출입 자체를 차단할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증 관련 솔루션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결제 정보를 사전에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무인 매장에서 자유롭게 물품을 구매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무인 매장의 운영자는 사용자의 정상적인 구매 및 결제의 실행을 보증받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주류 등의 성인용품을 판매하는 무인 매장에서의 미성년자 등과 같이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의 출입 자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기술적 과제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방법은, (a) 관리 장치가, 매장에 설치된 인증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매장 이용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매장에 설치된 결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구매 물품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구매 물품 결제 정보와 상기 매장 내 진열된 물품의 무게 변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상 구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매장 입구에 설치된 감지 장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장치는, 매장에 설치된 인증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매장 이용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매장에 설치된 결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구매 물품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구매 물품 결제 정보와 상기 매장 내 진열된 물품의 무게 변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상 구매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부는, 상기 매장 입구에 설치된 감지 장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결제 정보를 사전에 등록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무인 매장에서 자유롭게 물품을 구매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무인 매장의 운영자는 사용자의 정상적인 구매 및 결제의 실행을 보증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주류 등의 성인용품을 판매하는 무인 매장에서의 미성년자 등과 같이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의 출입 자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효과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관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관리 장치(200), 및 무인 매장(10)을 포함하며, 무인 매장(10)에는 제1 감지 장비(300), 인증 단말기(400), 로드셀(500), 결제 단말기(600), 제2 감지 장비(700), 제3 감지 장비(750), 및 차단기(800)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무인 매장(10)을 방문 및 이용하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데 필요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관리 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가 설치 및 운영하는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관리 장치(200)는 매장(10)에 설치된 키오스크 단말기 등의 인증 단말기(40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매장 이용 승인 여부를 판단하며, 매장(10)에 추가 설치된 키오스크 단말기 등의 결제 단말기(600)로부터 사용자의 구매 물품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구매 물품 결제 정보와 매장 내 진열된 물품의 무게 변동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정상 구매 및 결제 실행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1에서의 매장 외부 구역(A 구역),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 매장 내부 구역(C 구역), 퇴장 대기 구역(D 구역)에는 각각 해당 구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한 촬영 기록이 관리 장치(200)에 저장되도록 하는 CCTV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관리 장치(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관리 장치(200)는 수신부(210), 저장부(230), 판단부(250), 및 송신부(270)를 포함한다.
관리 장치(200)의 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매장(10)에서 판매하는 물품의 제고 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제1 감지 장비(300) 및 제2 감지 장비(700)로부터 매장(10)을 출입하는 사용자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며, 인증 단말기(40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매장(10)에서 판매하는 물품이 진열되어 있는 선반에 설치된 로드셀(500)로부터 무게 측정 정보를 수신하며, 결제 단말기(600)로부터 사용자의 구매 물품 결제 정보를 수신한다.
관리 장치(200)의 판단부(250)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매장 이용 승인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구매 물품 결제 정보와 매장 내 진열된 물품의 무게 변동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상 구매 및 결제 실행 여부를 판단한다.
관리 장치(200)의 송신부(270)는 사용자가 재고 정보 조회를 요청한 물품의 재고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고, 인증 단말기(400)로 인증 절차 진행 요청을 송신하며, 출입구에 설치된 출입구 개폐 장치로 출입구의 개폐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한편, 수신부(210)에서의 각종 수신 정보, 판단부(250)에서의 각종 판단 및 연산 정보, 송신부(270)에서의 각종 송신 정보는 관리 장치(200)의 저장부(230)에 누적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무인 매장(10)에 방문하여 와인 등의 물품을 구매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음 구매 예정 물품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 정보를 포함하는 재고 조회 요청을 수신한다(S900).
이에 관리 장치(200)의 판단부(25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재고 조회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물품 정보에 대응되는 재고 수량 정보를 저장부(230)를 통해 검색하며, 검색된 재고 수량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91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장치(200)는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 내의 물품 진열 선반에 설치되어 있는 각 로드셀(5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진열 물품의 무게 측정 정보와 저장부(2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해당 물품의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각 매장 내의 물품의 재고 수량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무게 측정 정보를 송신한 로드셀(500)의 식별 정보(즉, 오프라인 매장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부(230)에 저장함으로써, 각 무인 매장(10)의 물품 재고 수량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경우에 전술한 S910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되는 재고 정보에는 각 오프라인 매장별 해당 물품의 재고 수량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재고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는 해당 물품의 재고가 있는 오프라인 매장(10)으로 방문하여 매장 외부 구역(A 구역)으로부터 매장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으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910 단계에서의 재고 정보에는 물품의 재고 수량이 있는 각 오프라인 매장(10)의 주소 정보 및 해당 매장(10)으로의 이동 경로 안내 정보가 포함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 편의성을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에 사용자가 진입함에 따라 해당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 등의 제1 감지 장비(300)가 사용자를 감지하게 되며, 이에 관리 장치(200)는 제1 감지 장비(300)로부터 사용자의 모션 감지 정보를 수신한다(S920).
관리 장치(200)의 판단부(250)는 제1 감지 장비(300)로부터 수신된 모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에 1인의 사용자가 있는지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지를 판단하며, 단일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인증 단말기(400)로 사용자 인증 절차 진행 요청을 송신하고(S930),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인증 단말기(400)로 인증 절차 진행 보류 요청을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에 1인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에만 사용자 인증 절차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1인의 사용자 인증을 통해 다른 사용자가 함께 매장 내부 구역(C 구역)으로 부정하게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서 관리 장치(200)는 매장 외부 구역(A 구역)에서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으로 진입하기 위한 입구인 제1 입구에 설치된 입구 개폐 장치와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으로부터 매장 내부 구역(C 구역)으로 진입하기 위한 입구인 제2 입구에 설치된 입구 개폐 장치를 제1 감지 장비(300)로부터 수신된 모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감지 장비(300)로부터 수신된 모션 감지 정보가 없는 경우에 관리 장치(200)는 제2 입구의 개폐 장치는 폐쇄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고, 제1 입구의 개폐 장치는 개방 동작을 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에 아무도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1 입구를 통해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감지 장비(300)로부터 수신된 모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에 1인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인증 절차의 종료 전까지는 제2 입구의 개폐 장치와 제1 입구의 개폐 장치 모두 폐쇄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에 사용자가 있는 동안 다른 사용자가 제1 입구를 통해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으로 추가 진입할 수 없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1 감지 장비(300)로부터 수신된 모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에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관리 장치(200)는 제2 입구의 개폐 장치는 폐쇄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되, 제1 입구의 개폐 장치는 개방 동작을 하도록 제어함으로써 1명을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들이 제1 입구를 통해 매장 외부로 다시 나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관리 장치(200)가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에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인증 단말기(400)가 관리 장치(200)로부터 인증 절차 진행 보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인증 단말기(400)는 '사용자 인증 구역에는 1명의 사용자만 있어야 하니, 다른 사용자들은 매장 외부로 나가 대기해주세요' 등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1명의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용자가 매장 외부로 나감에 따라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에 단일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이에 관리 장치(200)로부터 인증 절차 진행 요청을 수신한 인증 단말기(400)는 '스마트 폰에 설치되어 있는 전용 앱을 실행하여 생성된 QR 코드와 소지하고 계신 신분증을 스캔하여 주십시오' 등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매장 방문용 QR 코드 생성'을 선택함에 따라 생성된 QR 코드 정보와 사용자가 제시한 신분증의 이미지 정보를 인증 단말기(400)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스캔함으로써 확보한 인증 단말기(400)는 이들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관리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S940).
관리 장치(200)는 인증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성인 인증 등의 사용자 인증 절차를 실행하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에 인증 단말기(400)로 인증 성공 메시지를 송신함과 아울러 제2 입구의 개폐 장치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S95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장치(200)가 성인 인증 등의 사용자 인증 절차를 실행함에 있어서는 종래의 성인 인증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한 사용자의 회원 가입 절차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서, QR 코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의 성명, 생년월일 정보가 신분증의 스캔 이미지로부터 독출되는 사용자의 성명, 생년 월일 정보와 각각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생년 월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주류 등의 물품을 구입할 수 있는 법적 성인 연령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인증 절차 및 성인 인증 절차를 단계적으로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관리 장치(200)로부터 인증 성공 메시지를 수신한 인증 단말기(400)가 '성인 인증이 완료되었습니다. 제2 입구를 통해 매장 내부로 입장하여 주십시오.' 등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함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입구를 통해 매장 내부로 들어가 물품을 구매를 진행하게 된다.
한편, 관리 장치(200)에서의 성인 인증 등의 사용자 인증 절차가 실패한 경우에 관리 장치(200)는 제2 입구의 개폐 장치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되, 제1 입구의 개폐 장치는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인증 단말기(400)로 인증 실패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리 장치(200)로부터 인증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인증 단말기(400)가 '성인 인증에 실패하였으니, 매장 외부로 이동하여 주십시오' 등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함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입구를 통해 매장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 단말기(400)의 사용 미숙으로 인해 관리 장치(200)가 인증 단말기(400)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동안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에 갖혀 있는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에 1인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시점부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분) 동안 인증 단말기(400)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입구의 개폐 장치가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인증 단말기(400)로 인증 실패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 내에 있는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제1 입구을 통해 매장 외부 구역(A 구역)으로 다시 나갈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 구역(B 구역) 내부에서의 제1 입구 주변에는 제1 입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열림 버튼이 설치되되, 제2 입구의 개폐 장치가 개방 제어된 시점부터 폐쇄 제어되는 시점까지는 해당 열림 버튼이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 인증을 통해 매장 내부 구역(C 구역)으로 이동한 사용자가 매장 내부에 진열된 주류 등의 물품을 선택하여 픽업함에 따라 물품이 진열된 선반에 설치되어 있는 로드셀(500)의 변경된 무게 측정 정보가 관리 장치(200)로 송신된다(S960).
이후 구매 물품의 선택을 마친 사용자가 픽업한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매장 내에 설치된 결제 단말기(600)에 스캔한 다음,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의 결제 수단을 결제 단말기(600)의 카드 삽입구에 삽입하여 구매 물품에 대한 결제를 실행함에 따라, 결제 단말기(600)는 바코드 정보로부터 독출되는 구매 물품 정보, 구매 물품 수량 정보, 및 결제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물품 결제 정보를 관리 장치(200)로 송신하게 된다(S970).
이에 관리 장치(200)의 판단부(250)는 전술한 S960 단계에서 로드셀(500)로부터 수신한 무게 측정 정보와 전술한 S970 단계에서 결제 단말기(600)로부터 수신한 구매 물품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상 구매 및 결제 절차가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80).
구체적으로, 관리 장치(200)의 판단부(250)는 해당 사용자가 매장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제2 입구의 개폐 장치가 개방되도록 제어한 시점에 로드셀(500)로부터 수신된 무게 측정값과 결제 단말기(600)로부터 구매 물품 결제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로드셀(500)로부터 수신된 무게 측정값의 차이값을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의 총 무게로 산출하고, 이를 저장부(2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물품의 단위 중량값으로 나눈값을 물품의 구매 수량으로 산출한 다음, 물품의 구매 수량에 저장부(2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물품의 판매 가격을 곱한 값과 결제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된 결제 금액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구매 및 결제 절차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양자가 불일치함으로써 사용자의 구매 절차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관리 장치(200)는 구매 절차 불승인 메시지를 결제 단말기(600)와 무인 매장(10)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기로 각각 송신함과 아울러, 매장(10)의 출구에 구비된 퇴장 대기 구역(D 구역)으로 진입하기 위한 제1 출구에 설치된 개폐 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토록 제어함으로써 정상 구매 및 결제의 확인이 이루어질 때까지 사용자가 매장 밖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관리 장치(200)로부터 구매 절차 불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결제 단말기(600)는 '구매 절차가 불승인되었으니, 구매한 물품의 바코드를 누락없이 다시 스캔해주세요' 등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전술한 S970 단계 및 S980 단계가 재실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구매 및 결제 절차가 정상적으로 실행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관리 장치(200)는 구매 절차 승인 메시지를 결제 단말기(600)로 송신함과 아울러, 제1 출구에 설치된 개폐 장치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리 장치(200)로부터 구매 절차 승인 메시지를 수신한 결제 단말기(600)가 '구매 절차가 승인되었으니, 매장 밖으로 이동해주세요' 등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함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입구를 통해 퇴장 대기 구역(D 구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퇴장 대기 구역(D 구역)에 사용자가 진입함에 따라 해당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 등의 제2 감지 장비(700)가 사용자를 감지하게 되며, 관리 장치(200)는 제2 감지 장비(700)로부터 모션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S990), 제2 감지 장비(700)로부터 수신된 모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퇴장 대기 구역(D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출구 개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S995).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장치(200)는 전술한 S980 단계에서 사용자의 구매 및 결제 절차가 정상적으로 실행된 것으로 판단한 시점(제1 시점)에서 로드셀(500)로부터 수신된 무게 측정값과 퇴장 대기 구역(D 구역)에 사용자가 진입함에 따라 해당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모션 감지 센서 등의 제2 감지 장비(700)가 사용자를 감지하게 된 시점(제2 시점)에 로드셀(500)로부터 수신된 무게 측정값이 동일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양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구매 결제 이후에 물품 도난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시간 동안의 매장 내에서의 CCTV 촬영 기록을 포함하는 물품 도난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관할 경찰서 등의 외부 기관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 서버로 송신함과 아울러, 전술한 S940 단계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QR 코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폰 번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상기 물품 도난 발생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물품 도난에 대한 피해 구제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제2 감지 장비(700)로부터 수신된 모션 감지 정보가 없는 경우에 관리 장치(200)는 매장 내부 구역(C 구역)으로부터 퇴장 대기 구역(D 구역)으로 진입하기 위한 제1 출구에 설치된 개폐 장치와, 퇴장 대기 구역(D 구역)으로부터 매장 외부 구역(A 구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제2 출구에 설치된 개폐 장치가 모두 폐쇄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매장 외부로부터 퇴장 대기 구역(D 구역)을 통한 매장 내부로의 사용자의 진입 시도를 차단하되, 전술한 S980 단계에서 사용자의 구매 및 결제 절차가 정상적으로 실행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제1 출구에 설치된 개폐 장치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2 감지 장비(700)로부터 수신된 모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퇴장 대기 구역(D 구역)에 1인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관리 장치(200)는 제1 출구의 개폐 장치는 폐쇄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고, 제2 출구의 개폐 장치는 개방 동작을 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매장 외부 구역(A 구역)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제1 출구를 통해 매장 내부로 다시 진입하는 것과 구매 절차 인증을 받지 않은 다른 사용자가 제1 출구를 통해 퇴장 대기 구역(D 구역)으로 무단 진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일시적으로 개방된 제2 출구를 통해 퇴장 대기 구역(D 구역)으로 진입한 외부인이 제1 출구를 통해 매장 내부로 무단 진입하는 것을 방지토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퇴장 대기 구역(D 구역) 내부에서의 제2 출구 주변에는 사용자가 제2 출구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는 열림 버튼이 설치되되, 제1 출구의 개폐 장치가 개방 제어된 시점부터 폐쇄 제어되는 시점까지는 해당 열림 버튼이 비활성화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장치(200)가 사용자의 매장 내부로의 진입을 위해 제2 입구의 개폐 장치의 개방을 제어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시간) 동안 결제 단말기(600)로부터의 구매 물품 결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음주, 취식 등의 부적절한 이유로 매장 내부에 장시간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시간 동안의 매장 내에서의 CCTV 촬영 기록을 포함하는 매장 관리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무인 매장(10)의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가 매장 내에서 동시에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전술한 S980 단계에서 관리 장치(200)가 정상 구매 및 결제 실행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관리 장치(200)는 복수의 사용자 중 첫번째로 매장 내부로 진입한 사용자를 위해 제2 입구의 개폐 장치의 개방을 제어한 시점으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중 마지막 사용자의 퇴장을 위해 제2 출구의 개방을 제어한 시점까지의 시간 동안의 로드셀(500)의 무게 측정값의 감소량을 복수의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의 총 무게로 산출하고, 이를 저장부(2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물품의 단위 중량값으로 나눈값을 물품의 구매 수량으로 산출한 다음, 이와 같이 산출된 물품의 구매 수량에 저장부(2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해당 물품의 판매 가격을 곱한 값과, 해당 시간 동안 결제 단말기(600)로부터 누적 수신된 결제 금액의 합산값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의 구매 및 결제 절차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양자가 불일치하는 경우에 관리 장치(200)의 판단부(250)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의 사용자에 의한 물품 도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시간 동안의 매장 내에서의 CCTV 촬영 기록을 포함하는 물품 도난 발생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관할 경찰서 등의 외부 기관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 서버로 송신함과 아울러, 전술한 S940 단계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QR 코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폰 번호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단말기(100)로 상기 물품 도난 발생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물품 도난에 대한 피해 구제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가 매장 내에서 동시에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전술한 S980 단계에서 관리 장치(200)가 정상 구매 및 결제 실행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관리 장치(200)는 복수의 사용자 중 첫번째로 매장 내부로 진입한 사용자를 위해 제2 입구의 개폐 장치의 개방을 제어한 시점(제1 시점)으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중 마지막 사용자의 퇴장을 위해 제1 출구의 개방을 제어하고, 매장 내부 구역(C 구역)에 설치된 제3 감지 장비(750)로부터 매장 내부 구역(C 구역)에서의 모션 감지 정보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게 된 시점(제2 시점)까지의 시간 동안의 로드셀(500)의 무게 측정값의 감소량을 복수의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의 총 무게로 산출하고, 이를 저장부(2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물품의 단위 중량값으로 나눈값을 물품의 구매 수량으로 산출한 다음, 이와 같이 산출된 물품의 구매 수량에 저장부(2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해당 물품의 판매 가격을 곱한 값과, 상기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 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 결제 단말기(600)로부터 누적 수신된 결제 금액의 합산값의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의 구매 및 결제 절차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910 단계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재고를 확인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물품의 '구매 예약'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예약 요청을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관리 장치(200)는 매장(10)에 설치된 로드셀(500)로부터 수신되는 무게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산출된 해당 물품의 재고 수량이 다른 사용자의 구매로 인해 감소하게 되는 경우에 '예약하신 물품이 추가 판매되어 현재 재고 수량은 5개입니다.' 등의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발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매장 방문 전에 해당 물품의 재고 수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910 단계에서 물품의 재고 수량을 확인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구매 물품을 선택하고 선결제를 실행하거나, 물품의 재고 수량이 없어 예약 구매를 선택하고 선결제를 실행한 경우에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가 선결제한 물품 정보를 포함하는 선결제 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100)와, 사용자가 선결제한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함의 잠금 장치의 개폐를 제어하는 키오스크 단말기 등의 물품 인도용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사용자가 해당 매장(10)에 방문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선결제 완료 정보를 QR 코드로 생성하여 물품 인도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우에 물품 인도용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선결제 완료 정보와 관리 장치(200)로부터 기 수신된 선결제 완료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해당 선결제 완료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물품 정보에 해당하는 물품이 보관되어 있는 보관함의 잠금 장치를 해제함으로써 선결제한 물품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인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관리 장치(200)의 수신부(210)가 관리자 단말기 또는 비상 관제 센터의 서버 등으로부터 정전, 화재, 지진 등의 비상 상황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관리 장치(200)는 모든 출입구의 개폐 장치를 개방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매장 내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대피 안내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매장 밖으로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관리 장치(200)가 매장 내부 구역(C 구역)에 설치된 모션 감지 장비와, 제1 감지 장비(300) 및 제2 감지 장비(700)로부터 수신되는 모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매장 내부에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매장 출입구의 전면을 폐쇄하는 셔터 등의 차단기(800)의 차단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매장 내부로의 외부인의 진입을 차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매장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장치(200)에 설치되거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각종 기록 매체에 기록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무인 매장, 100: 사용자 단말기,
200: 관리 장치, 300: 제1 감지 장비,
400: 인증 단말기, 500: 로드셀,
600: 결제 단말기, 700: 제2 감지 장비,
750: 제3 감지 장비, 800: 차단기.

Claims (4)

  1. (a) 관리 장치가, 매장 입구의 인증 구역(B)에 설치된 감지 장비로부터 사용자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구역(B)에 1인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만 상기 매장에 설치된 인증 단말기로 사용자 인증 절차의 진행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인증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매장 이용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매장에 설치된 결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구매 물품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구매 물품 결제 정보와 상기 매장 내 진열된 물품의 무게 변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상 구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g)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구매 절차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매장의 출구에 설치된 출구 개폐 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매장의 외부 구역(A)에서 상기 인증 구역(B)으로 진입하기 위한 제1 입구에 제1 입구 개폐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인증 구역(B)으로부터 상기 매장의 내부 구역(C)으로 진입하기 제2 입구에 제2 입구 개폐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감지 장비로부터 사용자 감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 입구 개폐 장치는 개방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2 입구 개폐 장치는 폐쇄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구역(B)에 1인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사용자 인증 절차의 종료 전까지 상기 제1 입구 개폐 장치와 상기 제2 입구 개폐 장치가 모두 폐쇄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구역(B)에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제1 입구의 개폐 장치는 개방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2 입구 개폐 장치는 폐쇄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매장의 내부 구역(C)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상기 관리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첫번째로 상기 매장의 내부 구역(C)으로 진입한 사용자를 위해 상기 제2 입구 개폐 장치의 개방을 제어한 시점으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중 마지막 사용자의 퇴장을 위해 상기 출구 개폐 장치의 개방을 제어한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매장 내 진열된 물품의 무게 변동 정보와 상기 시간 구간 동안 상기 결제 단말기로부터 누적 수신된 결제 금액의 합산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의 정상 구매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무인 매장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관리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물품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 재고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매장 관리 방법.
  3. 매장 입구의 인증 구역(B)에 설치된 감지 장비로부터 사용자 감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구역(B)에 1인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만 상기 매장에 설치된 인증 단말기로 사용자 인증 절차의 진행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인증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매장 이용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매장에 설치된 결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구매 물품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구매 물품 결제 정보와 상기 매장 내 진열된 물품의 무게 변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상 구매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구매 절차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매장의 출구에 설치된 출구 개폐 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매장의 외부 구역(A)에서 상기 인증 구역(B)으로 진입하기 위한 제1 입구에 제1 입구 개폐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인증 구역(B)으로부터 상기 매장의 내부 구역(C)으로 진입하기 제2 입구에 제2 입구 개폐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감지 장비로부터 사용자 감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1 입구 개폐 장치는 개방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2 입구 개폐 장치는 폐쇄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구역(B)에 1인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사용자 인증 절차의 종료 전까지 상기 제1 입구 개폐 장치와 상기 제2 입구 개폐 장치가 모두 폐쇄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구역(B)에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제1 입구의 개폐 장치는 개방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2 입구 개폐 장치는 폐쇄 동작을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매장의 내부 구역(C)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상기 판단부는 복수의 사용자 중 첫번째로 상기 매장의 내부 구역(C)으로 진입한 사용자를 위해 상기 제2 입구 개폐 장치의 개방을 제어한 시점으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중 마지막 사용자의 퇴장을 위해 상기 출구 개폐 장치의 개방을 제어한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매장 내 진열된 물품의 무게 변동 정보와 상기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수신부가 상기 결제 단말기로부터 누적 수신한 결제 금액의 합산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의 정상 구매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무인 매장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물품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 재고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것인 무인 매장 관리 장치.
KR1020210161266A 2021-11-22 2021-11-22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 KR102365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266A KR102365190B1 (ko) 2021-11-22 2021-11-22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266A KR102365190B1 (ko) 2021-11-22 2021-11-22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190B1 true KR102365190B1 (ko) 2022-02-17

Family

ID=8049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266A KR102365190B1 (ko) 2021-11-22 2021-11-22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1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470B1 (ko) * 2017-12-01 2019-04-03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매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21993B1 (ko) * 2018-11-26 2019-09-17 윤기창 네트워크를 통한 무인 스터디 카페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2258810B1 (ko) * 2021-01-22 2021-06-02 하나시스 주식회사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470B1 (ko) * 2017-12-01 2019-04-03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매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21993B1 (ko) * 2018-11-26 2019-09-17 윤기창 네트워크를 통한 무인 스터디 카페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2258810B1 (ko) * 2021-01-22 2021-06-02 하나시스 주식회사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4971B2 (en) Secure self-checkout station
US11928694B2 (en) System providing self-service access to locked merchandise
US201802042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Transaction
KR102286030B1 (ko) 무인판매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무인판매방법
US20200135012A1 (en) Mechanisms for securing goods at a point-of-sale
KR102333347B1 (ko)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
EP4113414A1 (en) Selling and purchasing intermediation method using self-service stand
JP2009009231A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および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
WO2020208720A1 (ja) 決済処理システム、決済処理装置、及び決済処理方法
WO2020203378A1 (ja) 無人店舗システムおよび無人店舗管理方法
KR101958701B1 (ko) 스터디 카페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2101928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releasing, and managing inventory
JP2003162679A (ja) 電子決済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電子決済方法、及び電子決済用プログラム
KR102436115B1 (ko) 무인 판매기를 이용한 판매와 구매 중개 방법
US117689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fely storing an object
KR20200129911A (ko) RFID 기반 무인 자판기를 포함하는 IoT 시스템
JP2023009242A (ja) 商品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2365190B1 (ko)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
JP6901648B1 (ja) 販売機制御システム、自動販売機、及び情報出力方法
US20220341220A1 (en) Article management apparatus, article management system, article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7156615A (ja) 商品展示装置、商品展示制御方法、商品売買管理装置、商品売買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NL2025889B1 (en) Systems,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interfaces for controlling authorizations to access and/or use a physical space by a person, and spaces controlled thereby
KR102436027B1 (ko) 무인 점포 시스템,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US20210279672A1 (en) Article housing system, server, article hou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delivering article housed in storage body to user
KR102327048B1 (ko) 세대별 무인 보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보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