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347B1 -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347B1
KR102333347B1 KR1020190093888A KR20190093888A KR102333347B1 KR 102333347 B1 KR102333347 B1 KR 102333347B1 KR 1020190093888 A KR1020190093888 A KR 1020190093888A KR 20190093888 A KR20190093888 A KR 20190093888A KR 102333347 B1 KR102333347 B1 KR 102333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product
recognition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5277A (ko
Inventor
신재규
황준석
이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093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3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1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6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security or operator identification provisions, e.g. password en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은 스마트 스토어의 인식 단말기가 이용자를 인식하여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인식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제 1 정보 통신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등록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인증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입장 또는 퇴장할 수 있도록 입구 게이트 및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관리부;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상품 관리부; 및 클라우드 POS 서버에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정보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LAYING SMART STORE}
본 발명은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프라인 상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편의시설 및 상점(편의점, 소형마켓, 대형마켓)은 이용자가 편의시설 내부에 배치된 POS 기기를 이용하여 현금이나 신용카드로 상품의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소비자층이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삼성페이와 같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가 개발되어 상품을 구매하려는 이용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마그네틱 보안전송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마그네틱 신용카드의 정보를 전송하여 결제하는 방식이므로, 기존 현금과 신용카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POS 기기를 통해 결제해야 하는 한계점이 존재하고 있다.
다시 말해, 오프라인의 편의시설 및 상점은 반드시 POS 기기와 같은 결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므로, 이는 상품의 판매자로 하여금 결제수단 설치비용 및 인건비와 같은 상점 운영 및 유지비용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편의시설에서 POS 기기와 같은 결제수단 및 판매점원 없이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결제처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용자가 편의시설에서의 상품을 구매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용자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특정 편의시설 내의 새로운 상품의 입고를 도울 수 있는 스마트 선반 기반의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은 스마트 스토어의 인식 단말기가 이용자를 인식하여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인식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제 1 정보 통신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등록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인증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입장 또는 퇴장할 수 있도록 입구 게이트 및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관리부;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상품 관리부; 및 클라우드 POS 서버에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정보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스토어는 이용자 단말기가 이용자로부터 획득한 식별코드를 스캐닝하고, 상기 이용자로부터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인식 단말기; 상기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입장을 허용하는 입구 게이트; 상기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퇴장을 허용하는 출구 게이트; 상품이 진열되는 스마트 선반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결제 수단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 수단이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결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주 결제 수단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주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선반은 판매용 스마트 선반 및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상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카메라와 상기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 단말기는 상기 입구 게이트에 설치되는 제 1 인식 단말기, 상기 출구 게이트에 설치되는 제 2 인식 단말기, 상기 판매용 스마트 선반에 설치되는 제 3 인식 단말기 및 상기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에 설치되는 제 4 인식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1 인식 단말기로부터 스캐닝된 식별코드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멤버십 회원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 등록부는 상기 이용자가 멤버십 회원이면,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와 매칭하여 매장 진입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게이트 관리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입구 게이트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3 인식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판매용 스마트 선반의 도어를 언로킹하고, 상기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카메라와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후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응되는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2 인식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게이트 관리부는 상기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식별코드와 이용자 신원 정보를 포함하는 퇴점 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퇴점 완료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출구 게이트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제 2 정보 통신부로부터 상기 퇴점 완료 정보와 상기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퇴점 완료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용자 신원 정보 및 상기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주 결제 수단의 결제 인증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결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금액을 계산하여 결제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제된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결제내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4 인식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 1 결제내역 정보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제 1 결제내역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의 도어를 언로킹하고, 상기 이용자에 의해 반품된 상품을 카메라와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후 상기 반품된 상품에 대응하는 반품 거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반품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반품된 상품을 제외한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제 2 정보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제 2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결제를 취소하고, 상기 이용자 신원 정보 및 상기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주 결제 수단의 결제 인증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결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금액을 계산하여 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제된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결제내역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품 관리부는 요청 단말기로부터 이용자가 선택하여 생성된 요청 상품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요청 상품 정보와 상기 스마트 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재고부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상품 정보와 상기 스마트 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미판매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미판매 상품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취합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요청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입고 요청을 생성한다.
또한, 스마트 스토어 중계방법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입장할 수 있도록 입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퇴장할 수 있도록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은 편의시설에서 POS 기기와 같은 결제수단 및 판매점원 없이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결제처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편의시설에서의 상품을 구매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이용자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특정 편의시설 내의 새로운 상품의 입고를 도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선반 기반의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중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가 스마트 스토어에 입장하기 위해 입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가 스마트 선반으로부터 선택한 상품의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가 스마트 스토어로부터 퇴장하기 위해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기', '~블록',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기', '~블록',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선반 기반의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선반 기반의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기(100), 스마트 스토어(200),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300), 클라우드 POS 서버(400) 및 요청 단말기(500)로 구성된다.
이용자 단말기(100), 스마트 스토어(200),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300),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및 요청 단말기(500)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용자 단말기(100)는 이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자의 멤버십 회원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품의 결제를 위한 식별코드를 획득하거나 이용자 신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며, 이용자가 스마트 스토어로 입장 및 퇴장하거나 상품을 구매함에 있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결제 수단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수단은 애플페이, 페이먼트, 페이팔,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케이페이, 시럽페이, T 머니, 네이버페이, SSG페이, 스마일페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SSG페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결제 수단이 등록되어 있으면, 결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주 결제 수단으로 선택한다.
단, 결제 수단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결제 수단 설치를 위한 화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제 수단을 설치한다.
또한, 이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선택된 주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되는 식별코드는 1차원 바코드 또는 2차원 바코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1차원 바코드는 굵기가 서로 다른 흑백 막대가 조합되어 있으면서 번호를 포함하는 바코드이며, 2차원 바코드는 흔히 QR코드로 불리는 형태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스토어(200)는 이용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상기 이용자에게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스토어(200)는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입장을 허용하는 입구 게이트(210), 상품이 진열되는 스마트 선반(220),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퇴장을 허용하는 출구 게이트(230) 및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획득한 식별코드를 스캐닝하고, 이용자로부터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인식 단말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 단말기(240)는 상기 입구 게이트(210)에 설치되는 제 1 인식 단말기(241), 출구 게이트에 설치되는 제 2 인식 단말기(242), 판매용 스마트 선반(221)에 설치되는 제 3 인식 단말기(243) 및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222)에 설치되는 제 4 인식 단말기(24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인식 단말기(240)는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인식 정보는 안면, 지문, 동공 및 골격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와 이용자가 선택한 상기 주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식별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식 단말기(240)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인식 정보는 이용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획득한 안면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식 단말기(240)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인식 정보는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스캐닝하여 획득한 이용자의 식별코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인식 단말기(240)는 이용자로부터 식별코드와 안면 정보와 같은 생체 정보를 획득하거나, 이용자로부터 식별코드만을 획득할 수 있다.
스마트 선반(220)은 판매용 스마트 선반(221) 및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2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진열되는 상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카메라와 진열되는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300)은 스마트 스토어(200)의 인식 단말기(240)가 이용자를 인식하여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인식 단말기(240)로부터 제공받는 제 1 정보 통신부(310),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입장 또는 퇴장할 수 있도록 입구 게이트 및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관리부(320),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상품 관리부(330),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인증부(340),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등록부(350), 및 클라우드 POS 서버(400)에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정보 통신부(360)로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300)은 이용자의 인식 정보 및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와 인식 단말기(240)로부터 제공받은 이용자의 식별코드를 매칭한 매장 진입 정보를 저장하는 이용자 정보 DB, 이용자가 구매한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내역 D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입장을 위해서, 상기 제 1 인식 단말기(241)가 이용자의 식별코드를 스캐닝한 후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300)의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1 인식 단말기(410)로부터 스캐닝된 식별코드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340)는 상기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멤버십 회원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 등록부(350)는 이용자가 멤버십 회원이면,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와 매칭하여 매장 진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게이트 관리부(320)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가 생성되면, 입구 게이트(210)가 열리도록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300)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가 생체 정보일 경우, 이용자의 식별코드와 상기 생체 정보를 매칭한 매장 진입 정보를 이용자 정보 DB에 저장함으로써 이용자의 생체 정보를 등록한 후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입장을 허용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300)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가 식별코드일 경우, 인식 정보와 식별코드를 매칭할 필요없이 상기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매장 진입 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매장 진입 정보는 이용자의 생체 정보와 식별코드가 매칭된 정보이거나 식별코드만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제 3 인식 단말기(243)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310)는 제 3 인식 단말기(243)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340)는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제 3 인식 단말기(243)가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한다.
이때, 정보 인증부(340)는 기 저장된 매장 진입 정보와 제 3 인식 단말기(243)가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비교하고,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이용자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상품 관리부(330)는 판매용 스마트 선반(221)의 도어를 언로킹하고,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카메라와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후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응되는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 1 상품 구매 정보는 상품의 종류 및 상품의 수량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의 퇴장을 위해서, 상기 제 2 인식 단말기(242)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310)는 제 2 인식 단말기(242)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340)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제 2 인식 단말기(242)가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한다.
이때, 정보 인증부(330)는 기 저장된 매장 진입 정보와 제 2 인식 단말기(242)가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비교하고,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이용자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게이트 관리부(320)는 상기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이용자의 식별코드와 이용자 신원 정보를 포함하는 퇴점 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퇴점 완료 정보가 생성되면, 출구 게이트(230)가 열리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이용자 신원 정보는 이용자의 CI(Conneting Information)-번호일 수 있으며, 제 1 정보 통신부(310)는 이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이용자 신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용자의 상품 반품을 위해서, 상기 제 4 인식 단말기(244)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획득하면, 제 1 정보 통신부(310)는 제 4 인식 단말기(244)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340)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제 4 인식 단말기(244)가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한다.
이때, 정보 인증부(340)는 기 저장된 매장 진입 정보와 제 4 인식 단말기(244)가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비교하고,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이용자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인증부(340)는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자의 제 1 결제내역 정보 유무를 판단한다.
이후, 상기 상품 관리부(330)는 상기 제 1 결제 내역 정보가 검색되면,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222)의 도어를 언로킹하고, 이용자에 의해 반품된 상품을 카메라와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후 상기 반품된 상품에 대응하는 반품 거래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상품 관리부(330)는 상기 반품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반품된 상품을 제외한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용자의 무인 결제 처리를 위하여,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제 2 정보 통신부(360)로부터 퇴점 완료 정보와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는 제 1 상품 구매 정보에 포함된 상품 정보와 함께 상품의 가격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후,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퇴점 완료 정보에 포함된 이용자 신원 정보 및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주 결제 수단의 결제 인증 코드를 획득한다.
또한,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결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금액을 계산하여 결제할 수 있다.
더하여,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제된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결제내역 정보를 제공한다.
이용자의 무인 반품 결제 처리를 위하여,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제 2 정보 통신부(360)로부터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제 2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결제를 취소하고, 이용자 신원 정보 및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주 결제 수단의 결제 인증 코드를 획득한다.
또한,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결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제 2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금액을 계산하여 결제할 수 있다.
더하여, 클라우드 POS 서버(400)는 이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제된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결제내역 정보를 제공한다.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 단말기(500)는 스마트 선반(220)의 미판매 상품 여부 및 상품의 재고 부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용자의 요청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 단말기(500)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스마트 스토어(200)에서 퇴장하면,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의 생성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요청 단말기(500)는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요청 상품을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요청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요청 단말기(500)는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요청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요청 상품에 대응하는 요청 상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상품 정보를 상기 상품 관리부(330)로 제공한다.
더하여, 상품 관리부(300)는 요청 단말기(500)로부터 이용자가 선택하여 생성된 요청 상품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요청 상품 정보와 상기 스마트 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재고부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상품 정보와 상기 스마트 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미판매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품 관리부(300)는 미판매 상품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취합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요청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입고 요청을 생성한다.
이후, 상품 관리부(300)는 상기 상품 입고 요청을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품 관리부(300)는 재고부족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상품 관리부(300)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취합된 미판매 상품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미판매 상품 정보를 기 저장된 판매 불가 상품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판매 불가 상품 정보에 상기 미판매 상품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요청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입고 요청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스토어 중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을 활용한 스마트 스토어 중계 방법(S10)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입장할 수 있도록 입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S100),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퇴장할 수 있도록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가 스마트 스토어에 입장하기 위해 입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가 스마트 선반으로부터 선택한 상품의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가 스마트 스토어로부터 퇴장하기 위해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입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S100)는 제 1 정보 통신부(310)가 제 1 인식 단말기(241)로부터 스캐닝된 식별코드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110), 정보 인증부(340)가 상기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멤버십 회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20), 정보 등록부(350)가 이용자가 멤버십 회원이면,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와 매칭하여 매장 진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30), 및 게이트 관리부(320)가 상기 매장 진입 정보가 생성되면, 입구 게이트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00)는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310)가 제 3 인식 단말기(243)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210), 정보 인증부(340)가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단계(S220), 상품 관리부(330)가 상기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판매용 스마트 선반(221)의 도어를 언로킹하는 단계(S230), 및 상품 관리부(330)가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카메라와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후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응되는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S300)는 제 1 정보 통신부(310)가 제 2 인식 단말기(242)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S310), 정보 인증부(340)가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단계(S320), 게이트 관리부(320)가 상기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식별코드와 이용자 신원 정보를 포함하는 퇴점 완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30), 및 게이트 관리부(320)가 상기 퇴점 완료 정보가 생성되면, 출구 게이트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단계(S340)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을 포함하는 스마트 선반 기반의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은 편의점과 같은 상품매장에서 POS 기기와 같은 결제수단 및 판매점원 없이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의 결제처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편의시설에서의 상품을 구매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용자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특정 매장 내의 새로운 상품의 입고를 돕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용자 단말기
200: 스마트 스토어
220: 스마트 선반
240: 인식 단말기
300: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400: 클라우드 POS 서버
500: 요청 단말기

Claims (15)

  1.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과 요청 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기가 이용자로부터 획득한 식별코드를 스캐닝하고, 상기 이용자로부터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인식 단말기와 상기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입장을 허용하는 입구 게이트와 상기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퇴장을 허용하는 출구 게이트와 상품이 진열되는 스마트 선반이 포함된 스마트 스토어의 인식 단말기가 이용자를 인식하여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인식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제 1 정보 통신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등록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인증부;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입장 또는 퇴장할 수 있도록 입구 게이트 및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관리부;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상품 관리부; 및
    클라우드 POS 서버에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정보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 단말기는,
    상기 스마트 선반의 미판매 상품 여부 및 상품의 재고 부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용자의 요청 상품 정보를 생성하되,
    이용자가 스마트 스토어에서 퇴장하면,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에서 생성되는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의 생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요청 상품을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요청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요청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요청 상품에 대응하는 상기 요청 상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요청 단말기로부터 이용자가 선택하여 생성된 요청 상품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요청 상품 정보와 상기 스마트 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재고부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상품 정보와 상기 스마트 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미판매 상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미판매 상품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취합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요청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입고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취합된 미판매 상품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미판매 상품 정보를 기 저장된 판매 불가 상품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판매 불가 상품 정보에 상기 미판매 상품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요청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입고 요청을 미생성하는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결제 수단이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 수단이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결제 수단 중 어느 하나를 주 결제 수단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주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획득하는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선반은,
    판매용 스마트 선반 및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상품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카메라와 상기 상품의 중량을 측정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 단말기는,
    상기 입구 게이트에 설치되는 제 1 인식 단말기, 상기 출구 게이트에 설치되는 제 2 인식 단말기, 상기 판매용 스마트 선반에 설치되는 제 3 인식 단말기 및 상기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에 설치되는 제 4 인식 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1 인식 단말기로부터 스캐닝된 식별코드와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식별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멤버십 회원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보 등록부는 상기 이용자가 멤버십 회원이면,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식별코드와 매칭하여 매장 진입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게이트 관리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입구 게이트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3 인식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판매용 스마트 선반의 도어를 언로킹하고,
    상기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카메라와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후 상기 선택된 상품에 대응되는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2 인식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게이트 관리부는 상기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식별코드와 이용자 신원 정보를 포함하는 퇴점 완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퇴점 완료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출구 게이트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제 2 정보 통신부로부터 상기 퇴점 완료 정보와 상기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 1 상품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퇴점 완료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이용자 신원 정보 및 상기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주 결제 수단의 결제 인증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결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금액을 계산하여 결제하는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제된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결제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통신부는 상기 제 4 인식 단말기로부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정보 인증부는 상기 매장 진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 1 결제내역 정보의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상품 관리부는 상기 제 1 결제내역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반품전용 스마트 선반의 도어를 언로킹하고,
    상기 이용자에 의해 반품된 상품을 카메라와 무게 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후 상기 반품된 상품에 대응하는 반품 거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반품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반품된 상품을 제외한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제 2 정보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 2 상품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제 2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결제를 취소하고,
    상기 이용자 신원 정보 및 상기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주 결제 수단의 결제 인증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결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에 포함된 상품의 금액을 계산하여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는,
    상기 이용자 단말기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결제된 상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결제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과 요청 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토어 운영 시스템을 활용한 스마트 스토어 운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이,
    이용자 단말기가 이용자로부터 획득한 식별코드를 스캐닝하고, 상기 이용자로부터 인식 정보를 획득하는 인식 단말기와 상기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입장을 허용하는 입구 게이트와 상기 이용자의 스마트 스토어 퇴장을 허용하는 출구 게이트와 상품이 진열되는 스마트 선반이 포함된 스마트 스토어의 인식 단말기가 이용자를 인식하여 획득한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상기 인식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의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입장 또는 퇴장할 수 있도록 입구 게이트 및 출구 게이트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인식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클라우드 POS 서버에 상기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선반의 미판매 상품 여부 및 상품의 재고 부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용자의 요청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요청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이용자가 스마트 스토어에서 퇴장하면, 상기 클라우드 POS 서버에서 생성되는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의 생성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이용자별 장바구니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요청 상품을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요청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요청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요청 상품에 대응하는 상기 요청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 구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 단말기로부터 이용자가 선택하여 생성된 요청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요청 상품 정보와 상기 스마트 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재고부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요청 상품 정보와 상기 스마트 선반에 진열되는 상품의 정보를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경우, 미판매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판매 상품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취합하여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요청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입고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취합된 미판매 상품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미판매 상품 정보를 기 저장된 판매 불가 상품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판매 불가 상품 정보에 상기 미판매 상품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요청 상품 정보에 대응되는 상품 입고 요청을 미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스토어 운영 방법.
KR1020190093888A 2019-08-01 2019-08-01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333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888A KR102333347B1 (ko) 2019-08-01 2019-08-01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888A KR102333347B1 (ko) 2019-08-01 2019-08-01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277A KR20210015277A (ko) 2021-02-10
KR102333347B1 true KR102333347B1 (ko) 2021-11-30

Family

ID=7456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888A KR102333347B1 (ko) 2019-08-01 2019-08-01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3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810B1 (ko) * 2023-10-31 2024-04-01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969B1 (ko) * 2021-02-24 2024-01-18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간편 출입 인증을 지원하는 결제 처리 방법 및 결제 처리 시스템
KR102347645B1 (ko) * 2021-03-30 2022-01-10 유비씨엔(주)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매장의 출입인증과 상품판매 및 재고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334095B1 (ko) * 2021-04-13 2021-12-02 주식회사 고스트패스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WO2022220570A1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고스트패스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품 운송 수단에 설치되는 전용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KR102612033B1 (ko) * 2021-06-29 2023-12-07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신용 카드 또는 체크 카드의 토큰 정보를 활용한 무인 매장 결제 장치 및 방법
KR102578787B1 (ko) * 2021-10-08 2023-09-15 주식회사 더베스트페이 결제 정보 등록 시스템
KR102540745B1 (ko) * 2021-10-18 2023-06-12 와이폴라리스 주식회사 비전 인식을 기반으로 매장을 운영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355B1 (ko) * 2014-06-26 2015-06-04 (주) 메이저피스 모바일 현장결제방법
CA2954179A1 (en) * 2014-07-01 2016-01-07 Ronny HAY Computer-controlled, unattended, automated checkout store outlet and related method
KR20190083608A (ko) * 2018-08-09 2019-07-12 (주) 비지에프리테일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810B1 (ko) * 2023-10-31 2024-04-01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277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347B1 (ko)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
JP641702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146058B1 (ko) 무인 점포의 결제 처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8053204B (zh) 自动结算方法及售卖设备
EP304089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which stores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RU2394275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транзакций
US11756039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payment system, payment system, and cash register system
EP3291162A1 (en) Pre-verification processing
WO2020203381A1 (ja) 精算決済装置および無人店舗システム
WO2020203378A1 (ja) 無人店舗システムおよび無人店舗管理方法
US2023002738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7298594B2 (ja) 店舗管理装置および店舗管理方法、プログラム
US20150317642A1 (en) Process to query electronic sales receipts with a portable computerized device
KR20200024438A (ko) 매장 무인 판매 시스템
US20110202425A1 (en) Self checkout system
US10083444B1 (en) Biometric computing system and method for e-commerce
CN113785336A (zh) 费用计算和支付装置以及无人值守商店系统
CN113646812A (zh) 费用计算和支付装置以及无人值守商店系统
KR10234764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매장의 출입인증과 상품판매 및 재고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254284B1 (ko) 전통 시장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7181766B2 (ja) 商品決済システム、商品運搬カート及び商品決済方法
KR102652262B1 (ko) 성인인증이 가능한 무인판매 단말기, 이를 이용한 무인판매 시스템 및 방법
NL2025889B1 (en) Systems,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interfaces for controlling authorizations to access and/or use a physical space by a person, and spaces controlled thereby
KR102570769B1 (ko) Qr 코드를 연계한 자동판매기 결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결제 방법
KR10164082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인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