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608A -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608A
KR20190083608A KR1020180093042A KR20180093042A KR20190083608A KR 20190083608 A KR20190083608 A KR 20190083608A KR 1020180093042 A KR1020180093042 A KR 1020180093042A KR 20180093042 A KR20180093042 A KR 20180093042A KR 20190083608 A KR20190083608 A KR 20190083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isplay
information
merchandise
commo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왕선
송재국
김명수
최정태
박혜연
Original Assignee
(주) 비지에프리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지에프리테일 filed Critical (주) 비지에프리테일
Priority to KR1020180093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3608A/ko
Publication of KR2019008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07F11/002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2Vending machines being part of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of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품 판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품 판매 시스템은,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YSTEM FOR SELLING PRODUC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상품을 판매하는 시스템 및 상품을 판매하는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매점은 역 주변, 도로변, 주택가 주변 등 고객이 이용하기 편리한 곳에 위치하여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판매한다. 또한, 고객이 원하는 어느 시간 때에도 상품 구매가 가능하도록, 연중 무휴로 24시간 영업 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편의점과 같은 소매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최근에는 소매점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가 다양해져, 취식 가능한 식음료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필품, 주류, 담배, 상품권 및 안전상비의약품 등까지 판매하고 있다. 또한, 택배 발송 또는 수령 등과 같이 상품 판매 이외에도 다양한 서비스가 소매점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이외에도, 소매점에서는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매점은 대형 마트, 대형 유통 업체 등과의 차별화를 위하여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방향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한편, 소매점을 운영하기 위해 수행되는 업무는, 상품 주문, 상품 수령, 상품 검수, 상품 진열, 상품의 반품 및 폐기와 같은 노동 집약적 성격이 강하다. 또한, 고객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매점에서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취급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소매점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의 업무가 가중되고 있다. 또한, 소매점을 운영하는 운영자는 소매점의 운영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인건비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른 비용적 측면에서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 또한, 특정 상품에 대해 대면 거래를 기피하는 고객이 증가하고 있어, 비대면 거래의 필요가 증가되고 있다. 다만, 비대면 거래는 주문 시점과 상품 수취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배송비가 발생한다는 점에서 상품 구매에 있어 고객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 또는 다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상품 판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은, 복수의 상품을 저장하는 복수의 상품 저장소, 상품 주문을 위한 제1 입력의 수신에 따라, 상기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 외부로 반출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개폐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기 복수의 상품 저장소로부터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 및 통신 모듈,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가격 정보, 저장 위치 정보 및 상품과 관련된 영상들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결제 장치 또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판매 시스템은, 복수의 상품을 저장하는 복수의 제1 상품 저장소, 결제가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저장하는 제2 상품 저장소,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개폐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운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 통신 모듈,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상기 복수의 상품 저장소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저장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상기 제2 저장소로 운반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반출을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반출을 요청한 고객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고객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고객에 대한 정보와 상기 결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반출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반출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판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품 주문을 위한 제1 입력의 수신에 따라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복수의 상품 저장소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표시하도록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된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결제 장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개폐 장치로 운반하도록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은, 고객으로부터 상품을 주문 받고, 주문 받은 상품을 운반 장치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이 전자 장치를 통해 주문한 상품을 원하는 시간에 픽업해갈 수 있도록 상품을 미리 준비해 둘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매점을 운영함에 있어 요구되는 노동력이 절감될 수 있으며, 대면 거래 또는 비대면 거래에서 고객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인 점포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1 개폐 장치, 결제 장치, 제1 디스플레이, 제2 디스플레이 및 진열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되는 입력에 따라 상품 판매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현실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결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에 의한 필요 소모품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에 포함된 운반 장치를 도시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복수의 상품 저장소 내에 위치한 운반 장치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1 개폐 장치, 결제 장치, 제1 디스플레이, 제2 디스플레이 및 진열대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에 의한 상품을 조리하여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의 시스템의 제1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조리 방법 선택 화면을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1 개폐 장치, 결제 장치, 제1 디스플레이, 제2 디스플레이 및 진열대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1 개폐 장치에서 상품을 패킹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에 의한 반품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상품을 구매하여 수취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구매 과정에서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에 기초하여"라는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기술되는,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인자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며, 이 표현은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인자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인 점포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점포(100)는 운영자 또는 근무자가 무인 점포(100)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상품의 저장 및 판매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무인 점포(100)는 복수의 상품을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상품 저장소(110)를 포함하고, 무인 점포(100)로 입고되는 상품을 복수의 상품 저장소(110)로 운반하기 위한 제1 운반 장치(121) 및 고객(140, 141)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반출하기 위한 개폐 장치로 운반하는 제2 운반 장치(12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인 점포(100)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송 기사(140)에 의해 이송된 상품은 개폐 장치를 통해 무인 점포(100) 내로 반입될 수 있다. 무인 점포(100)는 이송된 상품을 자동으로 식별 및 검수하여 상품을 무인 점포(100) 내의 복수의 상품 저장소(110) 중 하나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송 기사(140)로부터 상품이 이송될 때, 근무자가 이송된 상품을 육안으로 일일이 확인하여 검사하고, 직접 진열대나 저장소에 상품을 저장할 필요가 없게 되어, 노동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무인 점포(100)는 상품의 재고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무인 점포(100)에서 어떤 상품이 필요한지를 파악하여 물류 센터로 필요한 상품을 발주함으로써, 재고 파악 및 상품 발주 등과 같은 기존 소매점의 운영자에게 부가되던 업무 부담이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150, 151)은 상품을 선택하고 결제하기 위한 장치(130)(예: 키오스크 등) 또는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를 통해 무인 점포(100)에서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무인 점포(100)는 고객(150, 151)에 의해 주문된 상품을 제2 운반 장치(122)를 통해 복수의 상품 저장소(110)로부터 운반하여 제공할 수 있다. 고객(150, 151)에게 상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무인 점포(100)에는 기존의 소매점에서와 같이 소매점의 운영 시간에 항시 근무자가 상주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노동력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고객(150, 151)은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신속하게 구매하여 수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면 거래를 통해 구입하기 어려운 상품을 부담 없이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인 점포(100)는 상품의 저장 및 판매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노동력 및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고객의 입장에서도 보다 편리하게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여 수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 점포(100)에 포함되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제1 디스플레이(211), 제2 디스플레이(212), 결제 장치(220), 제1 운반 장치(230), 복수의 상품 저장소(241, 242, 243, 244), 메모리(251), 프로세서(252) 및 통신 모듈(253)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250), 제1 개폐 장치(260) 및 조리 장치(26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211)는 결제 장치(220)에 포함될 수도 있고, 결제 장치(22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디스플레이(212)는 무인 점포(100)의 외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211) 및 제2 디스플레이(212)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1 디스플레이(211) 및 복수의 제2 디스플레이(212)가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211)는 상품 주문을 위한 제1 메뉴, 상품 픽업을 위한 제2 메뉴 및 다양한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211)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디스플레이(211)는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 인터페이스(예: 버튼, 키 입력 장치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211)는 프로세서(252)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251)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상품 저장소(241, 242, 243, 244)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과 관련된 광고들 중 적어도 하나의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들과 관련된 광고는 제어 장치(250)에 포함되는 통신 모듈을 통해 무인 점포(100)에 상품을 공급하는 외부 서버 또는 복수의 상품 저장소(241, 242, 243, 244)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의 제조사들로부터 수신되어 메모리(251)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광고 표시 기준을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메모리(251)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과 관련된 광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광고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251)는 가격 정보, 저장 위치 정보 및 상품과 관련된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격 정보는 상품 별 가격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저장 위치 정보는 상품 별 저장 위치 및 필요 소모품의 저장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위치 정보는 상품이 어느 상품 저장소의 어느 위치에 저장되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필요 소모품이 어느 상품 저장소의 어느 위치에 저장되는 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품과 관련된 영상들은, 상품의 광고 영상, 상품의 정보를 나타내는 영상 등과 같이 상품을 소개하기 위한 다양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51)는 상품에 대한 필요 소모품 정보, 조리 정보, 판매 제한 정보 및 규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 소모품 정보는, 상품 별로 상품과 관련된 필요 소모품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조리 정보는 조리가 필요한 상품에 대하여 상품의 조리 방법, 상품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장치가 어떤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판매 제한 정보는 상품에 대하여 설정된 판매 제한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규격 정보는 상품 별 규격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목적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상품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51)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판매 이력 정보, 복수의 상품 저장소(241, 242, 243, 244)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재고 정보 및 가격이 할인된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 할인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운반 장치(230)는 무인 점포(100) 내에서 상품을 운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운반 장치(230)는 무인 점포(100) 내에서 이동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고정된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운반 장치(230)는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어 지정된 위치로 상품을 운반할 수도 있고, 복수의 운반 장치를 포함하고, 복수의 운반 장치 간에 서로 상품을 전달함으로써, 지정된 위치로 상품을 운반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 내에서 상품을 운반하는 제1 운반 장치(230)와 입고된 상품을 지정된 위치로 운반 위한 제2 운반 장치(26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운반 장치(230) 및 제2 운반 장치(260) 모두 입고된 상품을 지정된 위치로 운반하고, 선택된 상품을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운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은 상품의 특성 또는 상품의 보관 방법에 따라 제1 상품 저장소(241) 내지 제n 상품 저장소(244) 중 하나의 상품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품 저장소(241)는 설정된 제1 온도 이하로 보관되는 상품을 저장하고, 제2 상품 저장소(242)는 제1 온도를 초과하고 설정된 제2 온도 미만으로 보관되는 상품들을 저장하고, 제3 상품 저장소(243)는 제2 온도 이상으로 보관되는 상품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n 상품 저장소(244)는 주류, 담배 등과 같이 판매에 있어 제한이 있는 상품이나 현금성 상품, 고가의 상품등과 같이 상품 보관에 있어 보안이 요구되는 상품과 같이 별도의 보관이 요구되는 상품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목적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품의 특성 또는 상품의 보관 방법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상품들을 분류하고, 상품들 각각을 복수의 상품 저장소 중 분류 결과에 따라 선택된 상품 저장소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상품 저장소(241) 내지 제n 상품 저장소(244)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는 각각의 저장소 내에서 이동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각각의 저장소 내에 고정된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는 제2 운반 장치(260)로부터 상품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상품을 상품에 대해 지정된 위치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는 고객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확인하고, 확인된 상품을 제1 운반 장치(23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인 점포(100)는 반품 상품 저장소(2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품 상품 저장소(245)는 반품이 결정된 반품 상품을 저장할 수 있다. 상품의 유통 기한, 판매 중단 요청, 설정된 판매 허용 기간, 상품의 판매 이력, 고객의 변심, 상품의 불량 등 다양한 이유로 반품 결정된 반품 상품은 제2 운반 장치(290)에 의해 반품 상품 저장소(245)로 운반될 수 있다. 반품 상품 저장소(245)에 저장된 반품 상품은 제3 개폐 장치(271)롤 통해 무인 점포(100)의 외부로 반출되어 수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개폐 장치(260)는 제1 운반 장치(230)를 통해 운반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폐 장치(260)는 폐쇄된 상태에서, 제1 운반 장치(23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운반되는 경우, 운반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폐 장치(260)는 프로세서(252)의 제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개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개폐 장치(260)는 입력 인터페이스(예: 버튼, 터치 스크린 등)를 포함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방 요청이 수신되면, 개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개폐 장치(210)는 센서 또는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폐 장치(210)는 센서를 통해 제1 개폐 장치(210)로부터 설정된 거리 내에서 상품이 감지되거나 리더기를 통해 설정된 정보(예: 영수증에 인쇄된 정보 등)가 판독되면, 개방 요청이 된 것으로 판단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개폐 장치(260)는 출력 인터페이스(예: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 램프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폐 장치(260)는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센서를 통한 개방 요청에 따라, 개방 요청을 한 사람에게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알림을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개폐 장치(260)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개방을 요청한 사람에게 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 장치(260)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개방을 요청한 사람에게 권한이 없다고 판단되면, 권한이 없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개폐 장치(260)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품은 이동 장치 통해 제1 개폐 장치(260)를 통과하여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내부로 반입될 수 있다. 제1 개폐 장치(210)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되었음이 확인되면, 폐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상품 주문을 위한 제1 입력(예: 제1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의 수신에 따라, 복수의 상품 저장소(241, 242, 243, 244)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입력을 입력한 고객의 고객 정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위치 정보, 날씨 정보, 계절 정보, 판매 이력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설정된 상품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상품 분류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제1 디스플레이(211)에 표시된 복수의 상품 분류 항목 중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이 복수의 상품 저장소(241, 242, 243, 244)에 저장된 상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복수의 상품 저장소(241, 242, 243, 244)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이 저장 상태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의 저장 상태에 대한 영상을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211)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열 영상은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복수의 상품이 복수의 상품 저장소에 저장된 상태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가상 현실 이미지(virtual reality image)를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복수의 상품 저장소(241, 242, 243, 244)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획득되는 복수의 상품의 저장 상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고객이 실제 무인 점포(100) 내에 위치한 것과 같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제1 디스플레이(211), 결제 장치(220) 또는 통신 모듈(253)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211)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제2 입력이 수신되면,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제2 입력이 수신되면, 판매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하여 설정된 판매 제한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하여 미성년자에게는 판매가 제한이 되는 조건이 설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기에 앞서, 제2 입력을 입력한 고객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하여 미성년자에게 판매가 제한이 되는 조건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2 입력을 입력한 고객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52)는 판매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추가적인 절차가 요구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판매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추가적인 절차가 요구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추가적인 절차의 수행을 고객에게 요청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미성년자에게는 판매가 제한이 되는 조건이 설정되어, 고객이 미성년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고객 인증 절차가 요구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고객 인증을 위한 고객 정보를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제1 디스플레이(211) 또는 통신 모듈(253)을 통해 고객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수신된 고객 정보만으로 고객 인증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고객 인증을 위한 추가적인 절차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추가적인 절차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설정된 판매 제한 조건이 만족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설정된 판매 제한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결제 장치(220)로 전달할 수 있다. 결제 장치(220)는 판매 제한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장치(220)는 판매 제한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미성년자에게는 판매가 제한이 되는 조건이 설정되어 수행된 고객 인증 절차를 통해, 고객 인증이 성공하면,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고객 인증 절차를 통해 고객 인증이 실패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판매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 장치(220)는 제2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장치(22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프로세서(25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가 수행된 경우, 프로세서(252)는 통신 모듈(253)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결제 장치(220)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결제 장치(220)가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결제 장치(220) 또는 통신 모듈(253)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메모리(251)에 저장된 상품과 관련된 영상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을 검색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211)는 프로세서(252)의 제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하도록 제1 운반 장치(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운반 장치(230)는 프로세서(252)의 제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로부터 제1 개폐 장치(260)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제1 운반 장치(230)를 통해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되기까지의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위치와 제1 개폐 장치(26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운반되기까지의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되는 동안,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제1 개폐 장치(260)를 통해 반출되기까지의 시간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 및 제2 디스플레이(212) 중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제2 입력이 수신되면, 필요 소모품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제1 필요 소모품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 소모품은 빨대, 일회용 스푼, 나무 젓가락 등과 같이 상품과 관련하여 필요한 다양한 소모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수량에 따라 필요 소모품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필요 소모품의 저장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확인되는 제1 필요 소모품의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필요 소모품을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하도록 제1 운반 장치(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되는 동안, 제1 운반 장치(230)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획득되는 제1 운반 장치(230)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획득되는 제1 운반 장치(230)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에 대한 영상을 이용하여 제2 디스플레이(212)에 표시하기 위한 운반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운반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제1 개폐 장치(26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은 제1 개폐 장치(260)를 통과하여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제1 개폐 장치(260)를 통해 상품 판매 시스템의 외부로 반출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종류 및 수량에 기초하여, 재고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재고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재고량을 확인된 수량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재고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필요 소모품이 제1 개폐 장치(260)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된 경우, 재고 정보에서 제공된 필요 소모품에 대응하는 재고량을 제공된 필요 소모품의 수량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장치(261)는 조리가 필요한 상품을 조리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조리 장치(261)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조리 장치(261)가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장치(261)는 전자 레인지, 설정된 온도 이상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온수 공급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장치(261)는 프로세서(252)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조리 방법으로 조리가 필요한 상품을 조리할 수 있다. 제1 운반 장치(230)는 조리가 완료된 상품을 제1 개폐 장치(260)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조리를 요청하는 제3 입력이 수신되면, 조리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고객으로부터 조리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4 입력이 수신되면, 제4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선택된 조리 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도록 제1 운반 장치(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선택된 조리 장치로 운반되면, 조리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조리 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도록 선택된 조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고객으로부터 조리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제5 입력이 수신되면, 제5 입력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조리 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도록 선택된 조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선택된 조리 장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조리가 완료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하도록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제1 개폐 장치(260)를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선택된 조리 장치로 운반되는 동안, 제1 운반 장치(230)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선택된 조리 장치에서 조리되는 동안, 선택된 조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는 동작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획득되는 제2 상품을 반하는 동작에 대한 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는 동작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획득되는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에 대한 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는 동작에 대한 영상을 이용하여 제2 디스플레이(212)에 표시하기 위한 운반 영상 및 조리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운반 영상 및 조리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개폐 장치(260)는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에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패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폐 장치(260)는 프로세서(252)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패킹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를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에 패킹하여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되면,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규격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규격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패킹하도록 제1 개폐 장치(26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판매 이력 정보 및 상품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판매 이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함께 구매 시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되는 제4 상품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상품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 및 제2 디스플레이(212) 중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필요한 상품에 대한 정보가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제1 디스플레이(211) 또는 결제 장치(220)에 근접하게 배치된 진열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열대에는 외부 서버로부터 지정된 상품이 진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외부 서버로부터 진열대에 진열할 진열 상품을 나타내는 진열 상품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진열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제3 상품의 제1 위치 및 진열대에 진열된 제4 상품의 제2 저장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제4 상품을 진열대에서 제2 저장 위치로 운반하고, 제3 상품을 제1 저장 위치에서 진열대로 운반하도록 제1 운반 장치(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인 점포(100)로의 상품을 공급하는 외부 서버는 특정 상품을 고객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진열대를 통해 진열함으로써,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를 촉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통신 모듈(253), 제1 디스플레이(211) 또는 결제 장치(220)를 통해 반품을 요청한 사유 및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반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반품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개폐 장치(260)를 통해 반품 요청 상품이 입고되면, 반품 요청 상품을 식별하고, 반품 요청 상품의 파손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반품 요청 상품을 상품 검사 장치(280)로 운반하도록 제1 운반 장치(230) 및 제2 운반 장치(29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품 검사 장치(280)는 반품 요청 상품을 식별하고, 반품 요청 상품의 파손 여부를 검사하고, 식별 및 검사 결과를 프로세서(252)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반품 정보와 식별 및 검사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반품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반품이 허용되면, 반품 요청 상품을 반품 저장소(245)로 운반하도록 제1 운반 장치(230) 및 제2 운반 장치(29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0)는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결제를 취소하도록 결제 장치(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반품이 거절되면, 반품 요청 상품을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하도록 제1 운반 장치(230) 및 제2 운반 장치(29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제1 개폐 장치(260)를 통해 반품 요청 상품을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결제가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저장하는 반출 대기 상품 저장소(2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출 대기 상품 저장소(246)는 고객이 픽업하기 전, 결제가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통신 모듈(253)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정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결제한 고객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반출 대기 상품 저장소(246)로 운반하도록 제1 운반 장치(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반출을 요청하는 입력이 통신 모듈(253), 제1 디스플레이(211) 또는 결제 장치(220)를 통해 수신되면, 반출을 요청한 고객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 고객과 반출을 요청한 고객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반출을 요청한 고객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통신 모듈(253), 제1 디스플레이(211) 또는 결제 장치(220)를 통해 반출을 요청한 고객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반출을 요청한 고객에 대한 정보와, 결제 정보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반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반출을 요청한 고객에 대한 정보와, 결제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결제한 고객에 대한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반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반출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제1 개폐 장치(260)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반출 대기 상품 저장소(246)에서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하도록 제1 운반 장치(230)를 제어하고, 제1 개폐 장치(26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반출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반출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인 점포(100)는 제2 개폐 장치(270), 제3 개폐 장치(271), 상품 검사 장치(280) 및 제2 운반 장치(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개폐 장치(270)는 폐쇄된 상태에서, 무인 점포(100)로 상품이 이송되는 경우, 이송된 상품을 무인 점포(100)의 내부로 반입하기 위하여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3 개폐 장치(271)는 폐쇄된 상태에서, 반품이 결정된 반품 상품을 무인 점포(100)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검사 장치(280)는 제2 개폐 장치(270)를 통해 무인 점포(100) 내부로 이송된 상품을 식별하고, 상품의 파손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상품 검사 장치(280)는 이송된 상품의 포장 상태에 따라, 이송된 상품을 포장하는 포장 용기를 해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운반 장치(290)는 무인 점포(100) 내에서 이동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고정된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운반 장치(290)는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어 지정된 위치로 상품을 운반할 수도 있고, 복수의 운반 장치를 포함하고, 복수의 운반 장치 간에 서로 상품을 전달함으로써, 지정된 위치로 상품을 운반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운반 장치(290)는 고객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된 상품을 운반할 수도 있고, 제1 운반 장치(230)와 마찬가지로 입고된 상품을 지정된 위치로 운반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 도 6, 도 9, 도 10, 도 14,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개시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31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상품 주문을 위한 제1 입력의 수신에 따라, 복수의 상품 저장소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프로세서(252)는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제1 입력을 입력한 고객 정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위치 정보, 날씨 정보, 계절 정보, 판매 이력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표시하도록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32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입력의 수신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제1 디스플레이(211), 결제 장치(220) 또는 통신 모듈(253)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211)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제2 입력이 수신되면,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33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결제 장치(220) 또는 통신 모듈(253)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메모리(251)에 저장된 상품과 관련된 영상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을 검색하고,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34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통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개폐 장치로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제1 개폐 장치로 운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35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개폐 장치로 운반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에 대한 영상 또는 제2 디스플레이(212)에 표시하기 위하여 생성된 운반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36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개폐 장치로 운반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개폐 장치를 통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제1 개폐 장치(26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은 제1 개폐 장치(260)를 통과하여 고객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된 후,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종류 및 수량에 기초하여 재고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재고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재고량을 확인된 수량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메모리(251)는 상품에 대한 필요 소모품 정보, 조리 정보, 판매 제한 정보 및 규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는, 필요 소모품 정보, 조리 정보, 판매 제한 정보 및 규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이 상품의 판매 과정에서 이용 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목적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품의 판매 과정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정보가 상품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메모리(251)에 저장된 상품 정보는 복수의 상품 저장소에 저장되는 복수의 상품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품 상세 정보(401, 402, 403, 40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품 상세 정보(401, 402, 403, 404)는 필요 소모품 정보를 저장하는 제1 필드(410), 조리 정보를 저장하는 제2 필드(420), 판매 제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3 필드(430) 및 규격 정보를 저장하는 제4 필드(4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상품 상세 정보(401, 402, 403, 404)는 상품의 판매 과정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1 개폐 장치, 결제 장치, 제1 디스플레이, 제2 디스플레이 및 진열대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개폐 장치(260)는 폐쇄된 상태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서 판매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폐 장치(260)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제1 개폐 장치(26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내로 운반되면, 출력 인터페이스(511)를 통해 판매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반출 대기 중임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 장치(260)는 반출 대기 상품 저장소(246)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저장된 것으로 확인되면, 출력 인터페이스(511)를 통해 판매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반출 대기 중임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개폐 장치(260)는 입력 인터페이스(512)를 통해 개방 요청이 수신되거나, 센서(미도시)를 통해 제1 개폐 장치(260)로부터 설정된 거리 내에 사람이 감지되거나, 리더기를 통해 설정된 정보(예: 영수증 정보 등)가 판독되면, 개방 요청이 된 것으로 판단하여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 장치(260)는 개방 요청에 따라, 개방 요청을 한 사람에게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요청하는 알림을 출력 인터페이스(51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개폐 장치(260)는 입력 인터페이스(512)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개방을 요청한 사람에게 권한이 있다고 판단되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 장치(260)는 입력 인터페이스(512)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개방을 요청한 사람에게 권한이 없다고 판단되면, 권한이 없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출력 인터페이스(51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개폐 장치(260)는 개방된 후, 제1 개폐 장치(260)에 포함된 이동 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되었음이 확인되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511)는 진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되는 단계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 장치(220)는 제1 디스플레이(2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211)는 결제 장치(220)에 포함되지 않고, 결제 장치(220)에 근접하게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211)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 장치(220)는 스캔 장치(521), 신용 카드를 통해 결제를 수행하는 카드 단말기(522), 현금 결제를 위한 현금 투입구 및 반환구(523), 영수증 출력을 위한 영수증 출력구(524), 결제 장치(200)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 장치(525) 및 고객 또는 상품을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5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결제 장치(220)는 제1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은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기 위해 스캔 장치(521)를 이용할 수 있다. 고객은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소지하고 있는 상품을 스캔 장치(521)를 통해 스캔할 수 있다. 결제 장치(220)는 스캔 장치(521)를 통해 상품이 스캔되는 경우, 스캔된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스캔된 상품의 가격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은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신속하게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자신의 고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객 정보가 저장된 고객 카드 등을 스캔 장치(521)를 통해 스캔할 수 있다. 결제 장치(220)는 고객 카드 등이 스캔됨에 따라, 고객 카드에 저장된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고객 정보는 판매 제한 조건이 설정된 상품을 구매 시, 할인 정보 제공 시, 마일리지 적립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은 선택한 상품에 대해 카드 단말기(522)를 통해 신용 카드 결제하거나 현금 투입구 및 반환구(523)를 통해 현금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고객은 영수증 출력구(524)를 통해 영수증을 획득할 수 있다. 고객은 결제한 상품을 수취하기 위하여, 제1 개폐 장치(260)를 개방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 장치(220)는 고객이 이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장치(220)는 입력 장치(525)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 및 휠체어 등을 사용하는 고객도 쉽게 결제 장치(220)를 통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도한, 결제 장치(220)는 입력 장치(525)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에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고객이 무인 점포(100)에 몰리는 시간 때에, 고객은 다른 고객들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는 위치로 결제 장치(220)를 좌우로 이동시켜 가며,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 장치(220)는 카메라(526)를 통해 고객 또는 상품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고객에 대한 영상은, 고객 인증에 이용될 수 있으며, 획득된 상품에 대한 영상은 반품 또는 상품 선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211)는 상품 주문을 위한 제1 메뉴, 상품 픽업을 위한 제2 메뉴, 신상품에 대한 영상 및 광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메뉴는 무인 점포(100)를 방문하여 상품을 선택하고, 구매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상품 주문 및 판매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한 메뉴이고, 제2 메뉴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PC 등 같은 전자 장치를 통해 주문 및 결제를 완료한 후, 결제 완료한 상품을 픽업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상품 출고 프로세스를 시작하기 위한 메뉴이다. 고객이 제1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되는 상품 주문 및 판매 프로세스 및 고객이 제2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되는 상품 출고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신상품이 입고되는 경우, 신상품의 입고일을 기준으로 설정된 기간 동안, 신상품을 홍보하기 위하여 신상품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외부 서버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홍보 요청이 수신되면, 특정 상품을 홍보하기 위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표시되는 상품에 대한 영상은 외부 서버 또는 상품의 제조사로부터 통신 모듈(253)를 통해 수신되어 메모리(251)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프로세서(252)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광고 표시 기준을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메모리(251)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과 관련된 광고들 중, 광고 영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광고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212)는 무인 점포(100)의 외벽에 배치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제2 디스플레이(212)가 무인 점포(100)의 외벽에 배치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52)는 복수의 상품 저장소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복수의 상품의 저장 상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획득되는 복수의 상품의 저장 상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이용하여 가상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 현실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252)는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편리하게 선택하게 하고, 고객이 실제 무인 점포(100) 내에 위치한 것과 같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열대(530)는 무인 점포(100)의 외벽을 통해 고객에게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진열대(530)는 진열대(530)에 진열된 진열 상품(531)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 결제 장치(220) 또는 제2 디스플레이(212)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진열대(530)에 진열할 진열 상품을 나타내는 진열 상품 정보를 통신 모듈(253)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메모리(251)에 저장된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진열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제3 상품의 제1 저장 위치 및 진열대(530)에 진열된 진열 상품(531)의 제2 저장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제1 저장 위치 및 제2 저장 위치를 확인한 후, 진열 상품(531)을 진열대(530)에서 제2 저장 위치로 운반하고, 제3 상품을 제1 저장 위치에서 진열대(530)로 운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상품을 고객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진열대(530)를 통해 진열함으로써,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를 촉진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되는 입력에 따라 상품 판매 시스템(200)이 동작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61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상품 주문을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프로세서(252)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제1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출력되는 상품 주문을 위한 제1 메뉴(531)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통신 모듈(253)을 통해 상품 주문을 위한 제1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62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제1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복수의 상품 저장소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제1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도 7의 (a)에서와 같이 설정된 상품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된 복수의 상품 분류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쉽게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상품 분류 항목을 제1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표시된 복수의 상품 분류 항목 중, 고객에 의해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은 도 7의 (a)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의 저장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복수의 상품 분류 항목의 표시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품 판매 시스템(200) 마다 취급하는 상품이 다르고,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위치 또는 시간대에 따라 주요 고객층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날씨, 계절 등에 따라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서 주로 판매되는 상품이 상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고객이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편리하고 빠르게 검색하도록 하기 위하여, 프로세서(252)는 복수의 상품 분류 항목의 표시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고객 정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위치 정보, 날씨 정보, 계절 정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판매 이력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품 분류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고객의 구매 이력에 따라 고객이 주로 구매한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분류 항목이 다른 상품 분류 항목에 비해 앞서 표시되도록 복수의 상품 분류 항목의 표시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분석되는 상권과 유사한 상권을 가지는 다른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주로 판매되는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분류 항목이 다른 상품 분류 항목에 비해 앞서 표시되도록 복수의 상품 분류 항목의 표시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날씨 정보, 계절 정보, 시간 정보, 및 판매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서 주로 판매되는 상품에 대응하는 상품 분류 항목이 다른 상품 분류 항목에 비해 앞서 표시되도록 복수의 상품 분류 항목의 표시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목적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252)는 고객의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쉽게 검색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복수의 상품 분류 항목의 표시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제1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도 7의 (b)에서와 같이 추천 상품으로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고객이 상품을 검색하는 수고를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제1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은, 도 7의 (b)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에 대한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품 판매 시스템(200) 마다 취급하는 상품이 다르고,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위치 또는 시간대에 따라 주요 고객층이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날씨, 계절 등에 따라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서 주로 판매되는 상품이 상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52)는 고객이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의 검색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도, 다양한 정보에 기반하여 고객의 구매가 예측되는 상품을 제1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우선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고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고객 정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위치 정보, 날씨 정보, 계절 정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판매 이력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고객의 구매 이력에 따라 고객이 주로 구매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분석되는 상권과 유사한 상권을 가지는 다른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주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날씨 정보, 계절 정보, 시간 정보, 및 판매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서 주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목적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252)는 고객의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쉽게 검색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63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선택하기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도 7의 (c)와 같이,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이미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메모리(251)에 저장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판매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함께 판매된 이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상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제2 입력이 수신되면, 메모리(251)에 저장된 상품 할인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함께 구매 시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상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도 7의 (d)에서와 같이,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상품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이미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가격 정보와 함께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252)는 고객에게 관련된 상품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현실 이미지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프로세서(252)는 도 8의 (a)와 같이, 복수의 상품이 복수의 상품 저장소에 저장된 상태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가상 현실 이미지(virtual reality image)를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제2 디스플레이(212)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가상 현실 이미지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제2 디스플레이(212)를 통해 제1 가상 현실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고객으로부터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제1 가상 현실 이미지를 기준으로, 전체 가상 현실 이미지에서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대응하는 제2 가상 현실 이미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2 가상 현실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고객으로부터 특정 진열대를 확대하기 위한 줌-인 입력이 수신되면, 도 8의 (b)와 같이, 특정 진열대를 확대하여 제2 디스플레이(212)르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특정 진열대를 확대하여 표시한 후, 고객으로부터 특정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특정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 특정 상품에 대해 진행되는 행사에 대한 정보, 특정 상품과 함께 증정되는 증정 상품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이 특정 상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가상 현실 이미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객은 제2 디스플레이(212)를 통해 표시되는 가상 현실 이미지를 통해, 실제 무인 점포(100)내에 위치한 것과 같은 경험을 제공 받으며, 간단한 입력을 통해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결제 방법의 흐름도이다.
91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주문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제1 디스플레이(211)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제1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선택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거나, 통신 모듈(253)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선택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제1 디스플레이(211)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외에도, 결제 장치(220)에 포함된 스캔 장치(521) 또는 결제 장치(220)에 포함된 카메라(526)를 통해 제2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92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해 판매 제한 조건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메모리(251)에 판매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하여 판매 제한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93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하여 판매 제한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판매 제한 조건에서 요구되는 추가적인 절차의 수행을 고객에게 요청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판매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추가적인 절차가 요구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추가적인 절차의 수행을 고객에게 요청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미성년자에게는 판매가 제한이 되는 조건이 설정되어, 고객이 미성년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고객 인증 절차가 요구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고객 인증을 위한 고객 정보를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94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추가적인 절차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설정된 판매 제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고객이 미성년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고객 인증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211) 또는 통신 모듈(253)을 통해 고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수신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이 미성년자 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수신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서도 고객이 미성년자인지 여부가 인증되지 않을 경우, 결제 장치(220)에 포함된 카메라(526) 및 통신 모듈(253)을 통해, 판매 제한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담당자와 통신 연결,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담당자가 판매 제한 조건, 예를 들어 고객이 미성년자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후, 담당자로부터 확인 결과에 대한 정보를 통신 모듈(253)을 통해 수신하고, 이를 통해 판매 제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 예를 들어 고객이 미성년자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95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설정된 판매 제한 조건이 만족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고객이 미성년자가 아니라는 것이 인증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판매 제한 조건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930 단계 내지 940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판매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해 판매 제한 조건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96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설정된 판매 제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판매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고객이 미성년자가 아니라는 것이 인증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판매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메모리(251)에 저장된 가격 정보뿐만 아니라, 상품 할인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할인 대상 상품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할인 대상 상품인 경우, 가격 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가격에 할인을 적용한 가격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메모리(251)에 저장된 증정 행사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증정 행사 중인 상품인지를 확인하고, 증정 행사 상품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함께 제공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결제 장치(220)를 통해 고객이 결제를 수행하기에 앞서, 추가 할인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추가 정보를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제1 디스플레이(211), 결제 장치(220) 또는 통신 모듈(253)을 통해 수신되는 추가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할인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추가 할인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추가 할인 금액을 결정하고, 추가 할인 금액이 반영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최종 가격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에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추가 할인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추가 할인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에 의한 필요 소모품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101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제1 필요 소모품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필요 소모품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제1 필요 소모품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수량에 따라 필요 소모품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102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제1 필요 소모품의 저장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필요 소모품의 저장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103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제1 필요 소모품을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확인되는 제1 필요 소모품의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필요 소모품을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하도록 제1 운반 장치(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재고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필요 소모품이 제1 개폐 장치(260)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된 경우, 재고 정보에서 제1 필요 소모품에 대응하는 재고량을 제공된 제1 필요 소모품의 수량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 포함된 운반 장치를 도시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 포함된 운반 장치(1110)는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반 장치(1110)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프로세서(252)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 장치(1110)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복수의 상품 저장소(241, 242)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중, 고객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복수의 상품 저장소(241, 242)로부터 조리 장치(261) 또는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품 저장소(241, 242)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저장된 저장소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확인된 저장소에서 조리 장치(261) 또는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하도록 운반 장치(1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 장치(1110)는 프로세서(252)의 제어에 따라 확인된 저장소 내로 이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픽업하고, 상품을 픽업한 상태로 조리 장치(261) 또는 제1 개폐 장치(260)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운반 장치(1110)는 확인된 저장소로 이동하여, 확인된 저장소 내에 위치한 운반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전달받을 수 있다. 운반 장치(1110)는 전달 받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픽업한 상태로 조리 장치(261) 또는 제1 개폐 장치(26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 포함된 운반 장치(1120)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반 장치(1120)는 프로세서(252)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 장치(1120)는 복수의 상품 저장소(241, 242)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중, 고객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복수의 상품 저장소(241, 242)로부터 조리 장치(261) 또는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품 저장소(241, 242)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저장된 저장소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확인된 저장소에서 조리 장치(261) 또는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하도록 운반 장치(1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 장치(1120)는 확인된 저장소 내에 위치한 운반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전달받을 수 있다. 운반 장치(1120)는 전달 받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 장치(261) 또는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하기 위하여, 프로세서(252)의 제어에 따라 상품을 운반하는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이동하여 조리 장치(261) 또는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복수의 상품 저장소 내에 위치한 운반 장치를 도시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복수의 상품 저장소 내에 위치한 운반 장치(1210)는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반 장치(1210)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프로세서(252)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 장치(1010)는 고객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에서 픽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운반 장치(1210)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에서 픽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운반 장치(121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에 대응하는 진열대(1221, 1222)의 진열 칸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의 저장 위치는 복수의 상품 저장소 내에 위치한 진열대의 칸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운반 장치(121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픽업하기 위하여 확인된 진열 칸으로 이동하고, 확인된 진열 칸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픽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확인된 진열 칸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동일한 종류의 상품들 각각의 입고일을 확인하고, 입고일이 가장 앞선 상품을 픽업하도록 운반 장치(1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운반 장치(1210)는 도 11의 운반 장치(1110, 1120)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전달 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복수의 상품 저장소 내에 위치한 운반 장치(1231, 1232)는 제1 프레임(1241, 1242)을 통해 상하로 이동하고, 제2 프레임(1251, 1252)을 통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반 장치(1231, 1232)는 프로세서(252)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 장치(1231, 1232)는 고객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픽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운반 장치(1231, 1232)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에서 픽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운반 장치(121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에 대응하는 진열대(1221, 1222)의 진열 칸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의 저장 위치는 복수의 상품 저장소 내에 위치한 진열대의 칸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운반 장치(1231, 123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픽업하기 위하여 확인된 진열 칸으로 이동하고, 확인된 진열 칸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픽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0)는 확인된 진열 칸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동일한 종류의 상품들 각각의 입고일을 확인하고, 입고일이 가장 앞선 상품을 픽업하도록 운반 장치(1231, 123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운반 장치(1231, 1232)는 도 11의 운반 장치(1110, 1120)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전달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1 개폐 장치, 결제 장치, 제1 디스플레이, 제2 디스플레이 및 진열대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제1 디스플레이(211)는 고객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후,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메모리(251)에 저장된 상품과 관련된 영상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을 검색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광고 영상,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음악(예: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광고 영상에 포함된 CM 송 등)을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제2 디스플레이(21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에 대한 영상을 이용하여 제2 디스플레이(212)에 표시하기 위한 운반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운반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통해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되기까지의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되는 동안,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제1 개폐 장치(260)를 통해 반출되기까지의 시간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 및 제2 디스플레이(212) 중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52)는 산출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보다 빠르게 반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운반 장치가 하나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보다 빠르게 반출될 수 있도록 운반 장치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운반 장치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운반 장치들 간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보다 빠르게 반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특정 저장소 내에 저장된 상품들에 대한 주문이 증가할 경우, 다른 운반 장치를 특정 저장소 내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거나, 특정 저장소 내의 운반 장치로부터 상품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특정 저장소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저장소 내에 저장된 상품들에 대한 주문이 증가하더라도, 상품의 반출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52)는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반출되는 동안, 고객이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에 의한 상품을 조리하여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141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조리를 요청하는 제3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프로세서(252)는 조리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조리가 필요한 상품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상품에 대하여 조리를 수행할지 여부를 고객에게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제1 디스플레이(211), 결제 장치(220) 또는 통신 모듈(253)을 통해 제3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142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메모리(251)에 저장된 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 포함된 복수의 조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제1 디스플레이(211), 결제 장치(220) 또는 통신 모듈(253)을 통해 조리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4 입력이 수신되면, 제4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143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선택된 조리 장치로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선택된 조리 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144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조리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조리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조리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5와 같이, 프로세서(252)는 고객에게 조리 방법의 선택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함께 취식할 소스의 선택을 요청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1 디스플레이(211), 결제 장치(220) 또는 통신 모듈(253)을 통해 조리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제6 입력이 수신되면, 제6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조리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145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조리 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조리 방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도록 선택된 조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1 개폐 장치, 결제 장치, 제1 디스플레이, 제2 디스플레이 및 진열대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제1 디스플레이(211)는 고객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조리되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함께 판매된 이력이 있는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조리되는 동안,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메모리(251)에 저장된 판매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함께 판매된 이력이 있는 상품들을 검색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검색된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디스플레이(21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조리되는 동안, 조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는 동작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선택된 조리 장치에서 조리되는 동안, 선택된 조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는 동작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는 동작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는 동작에 대한 영상을 이용하여 제2 디스플레이(212)에 표시하기 위한 조리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조리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21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1 개폐 장치에서 상품을 패킹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7a에서와 같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제1 개폐 장치(260)로 고객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운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제1 개폐 장치(260)로 운반되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메모리(251)에 저장된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규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프로세서(252)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규격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포장 용기가 제1 지지판(1711) 및 제2 지지판(1712)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1 개폐 장치(2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7b와 같이, 제1 개폐 장치(250)에 포함되는 제1 지지판(1711) 및 제2 지지판(1712)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가 위치한 지점으로 낙하시키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판(1711) 및 제2 지지판(1712)은 고정축에 고정된 일단은 고정된 채로 있고, 타단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지지판(1711) 및 제2 지지판(1712)은 운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아래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7c에서와 같이, 제1 지지판(1711) 및 제2 지지판(1712)가 프로세서(252)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은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 안으로 낙하되어 패킹될 수 있다. 제1 개폐 장치(260)는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에 의해 패킹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고객에게 제공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고객의 선택에 따라,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에 패킹하지 않고, 고객이 직접 패킹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를 함께 제1 개폐 장치(260)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시스템에 의한 반품 방법의 흐름도이다.
181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반품을 요청한 사유 및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반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통신 모듈(253), 제1 디스플레이(211) 또는 결제 장치(220)를 통해 반품을 요청한 사유 및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반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품을 요청한 사유로는, 유통 기한 도과, 상품 파손, 단순 고객 변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820 동작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반품 요청 상품을 식별하고, 반품 요청 상품의 파손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제1 개폐 장치(260)를 통해 반품 요청 상품이 입고되면, 반품 요청 상품을 식별하고, 반품 요청 상품의 파손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반품 요청 상품을 상품 검사 장치(280)로 운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183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식별 및 검사 결과에 따라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반품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식별 결과와 반품 정보에 포함된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반품 요청 상품이 제대로 입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252)는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정보와 식별 결과가 대응되지 않으면, 반품을 허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2)는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정보와 식별 결과가 대응되면, 파손 여부 검사 결과 및 반품 정보에 포함된 반품 사유에 기초하여 반품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반품 사유가 유통 기한 도과, 단순 고객 변심 등과 같이 상품의 파손과 관계 없는 사유인 경우에, 파손 여부 검사 결과를 확인하여 입고된 반품 요청 상품이 파손된 것으로 확인되면, 반품을 허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반품 사유가 상품 파손과 관계 있는 사유인 경우, 반품 요청 상품이 판매될 당시의 영상을 통해 반품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반품 요청 상품이 판매될 당시 이미 반품 사유가 될 정도로 상품이 파손된 것으로 확인되면, 검사 결과와 관계 없이 반품을 허용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252)는 반품 요청 상품이 판매될 당시 반품 사유가 될 정도로 상품이 파손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반품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184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입고된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해 반품을 허용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반품 요청 상품을 반품 상품 저장소(245)로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반품 요청 상품을 반품 상품 저장소(245)로 운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185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결제를 취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결제를 취소하도록 결제 장치(220)를 제어할 수 있다.
186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해 반품을 허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반품 요청 상품을 제1 개폐 장치(260)를 통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반품 요청 상품을 1 개폐 장치(260)로 운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하고, 제1 개폐 장치(260)를 통해 반품 요청 상품을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상품을 구매하여 수취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1901 단계에서, 외부 전자 장치(1900)는 고객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상품 판매 시스템 중 상품을 구매 및 수취할 상품 판매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0의 (a)에서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1900)는 상품 판매 시스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수신되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1900)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복수의 상품 판매 시스템을 표시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900)는 고객의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복수의 상품 판매 시스템 중 상품을 구매 및 수취할 상품 판매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1901 단계는 고객에 의해 선택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된 후 수행될 수도 있다.
1902 단계에서, 외부 전자 장치(1900)는 선택된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취급하는 복수의 상품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고객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0의 (b)에서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1900)는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취급하는 복수의 상품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취급하는 복수의 상품에 대한 정보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상품 판매 시스템(200)에 상품을 공급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1903 단계에서, 외부 전자 장치(190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0c에서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190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1904 단계에서, 외부 전자 장치(190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상품 판매 시스템(2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결제한 고객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905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반출 대기 상품 저장소(246)로 운반할 수 있다. 반출 대기 상품 저장소(246)는 고객이 픽업하기 전, 결제가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프로세서(252)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메모리(251)에 저장된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위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반출 대기 상품 저장소(246)로 운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1906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반출 대기 상품 저장소(246)로 운반된 후, 외부 전자 장치(1900)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반출 대기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이 반출 대기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통신 모듈(253)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900)로 송신할 수 있다.
1907 단계에서, 외부 전자 장치(1900)는 상품 판매 시스템(200)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반출을 요청할 수 있다.
1908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반출을 요청한 고객에 대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1900)로 요청할 수 있다.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반출을 요청하는 입력이 통신 모듈(253)을 통해 수신되면, 반출을 요청한 고객에 대한 정보를 통신 모듈(253)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1900)로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52)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반출을 요청하는 입력이 통신 모듈(253)을 통해 수신되면, 반출을 요청한 고객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211)를 제어할 수 있다.
1909 단계에서, 외부 전자 장치(1900)는 고객에 대한 정보를 상품 판매 시스템(2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1900)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반출을 위해 고객에 대한 정보가 요청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1910 단계에서, 상품 판매 시스템(200)은 수신된 고객에 대한 정보를 결제 보와 대응되는 경우, 상품 판매 시스템(200)의 제1 개폐 장치(260)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52)는 수신된 고객에 대한 정보가 결제 정보에 포함된 고객에 대한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된 고객에 대한 정보가 결제 정보에 포함된 고객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면, 제1 개폐 장치(260)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수신된 고객에 대한 정보가 결제 정보에 포함된 고객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반출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1 디스플레이(211) 또는 제1 개폐 장치(260)의 출력 인터페이스(51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객은 자신의 전자 장치를 통해 물건을 주문하고,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주문된 상품을 미리 준비해 두면, 상품 판매 시스템에 방문하여 피킹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대면 거래를 통해 구입하는 것이 기피되는 특정 상품에 대해서도, 부담 없이 상품 판매 시스템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Claims (22)

  1. 상품 판매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상품을 저장하는 복수의 상품 저장소;
    상품 주문을 위한 제1 입력의 수신에 따라, 상기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 외부로 반출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개폐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기 복수의 상품 저장소로부터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 및
    통신 모듈,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가격 정보, 저장 위치 정보 및 상품과 관련된 영상들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결제 장치 또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상기 복수의 상품 저장소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개폐 장치를 통해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외부로 반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종류 및 수량에 기초하여 상기 재고 정보를 갱신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품에 대한 필요 소모품 정보, 조리 정보, 판매 제한 정보 및 규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더 저장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필요 소모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제1 필요 소모품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필요 소모품의 저장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필요 소모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필요 소모품을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판매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판매를 위하여 고객 인증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고객 인증이 요구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고객 인증을 위한 고객 정보를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고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 인증을 수행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고객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고객 인증이 실패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판매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품을 조리하기 위한 복수의 조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조리를 요청하는 제3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조리 정보 또는 조리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제4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리 장치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조리 장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선택된 조리 장치로 운반되면, 상기 조리 정보 또는 조리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제5 입력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조리 방법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도록 상기 선택된 조리 장치를 제어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선택된 조리 장치로 운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조리되는 동안, 상기 선택된 조리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조리하는 동작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에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패킹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되면, 상기 규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규격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규격에 기초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포장 용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패킹하도록 상기 개폐 장치를 제어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판매 이력 정보 및 가격이 할인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나타내는 상품 할인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매 이력 정보 및 상기 상품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함께 판매된 이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함께 구매 시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상품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하나를 제어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되기까지의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되는 동안, 상기 산출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개폐 장치를 통해 반출되기까지의 시간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하나를 제어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근접하게 배치된 진열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진열 상품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진열 상품 정보에 대응하는 제3 상품의 제1 저장 위치 및 상기 진열대에 진열된 제4 상품의 제2 저장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제4 상품을 진열대에서 상기 제2 저장 위치로 운반하고, 상기 제3 상품을 상기 제1 저장 위치에서 상기 진열대로 운반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입력이 수신되면, 설정된 상품 분류 기준에 따른 복수의 상품 분류 항목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상품 분류 항목 중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이 상기 복수의 상품 저장소에 저장된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의 가격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입력이 수신되면, 고객 정보,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위치 정보, 날씨 정보, 계절 정보, 판매 이력 정보 및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상품 저장소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상품이 상기 복수의 상품 저장소에 저장된 상태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가상 현실 영상(virtual reality image)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반품을 요청한 사유 및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반품 정보가 수신된 후, 상기 개폐 장치를 통해 반품 요청 상품이 입고되면, 상기 반품 요청 상품을 식별하고, 상기 반품 요청 상품의 파손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반품 정보와 상기 식별 및 검사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상기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반품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반품 상품을 저장하는 반품 저장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반품이 허용되면, 상기 반품 요청 상품을 상기 반품 저장소로 운반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결제를 취소하도록 상기 결제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반품 요청 상품에 대한 반품이 거절되면, 상기 반품 요청 상품을 상기 개폐 장치를 통해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외부로 반출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19. 상품 판매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상품을 저장하는 복수의 제1 상품 저장소;
    결제가 완료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저장하는 제2 상품 저장소;
    디스플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외부로 반출하기 위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개폐 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운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
    통신 모듈,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상기 복수의 상품 저장소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저장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상기 제2 저장소로 운반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반출을 요청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반출을 요청한 고객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고객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고객에 대한 정보와 상기 결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반출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반출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결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결제한 고객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반출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반출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22. 상품 판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품 주문을 위한 제1 입력의 수신에 따라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복수의 상품 저장소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을 표시하도록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된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결제 장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저장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과 관련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개폐 장치로 운반하도록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운반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운반하는 동작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의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이 상기 개폐 장치로 운반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 외부로 반출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 장치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80093042A 2018-08-09 2018-08-09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83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42A KR20190083608A (ko) 2018-08-09 2018-08-09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42A KR20190083608A (ko) 2018-08-09 2018-08-09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229A Division KR101889679B1 (ko) 2018-01-04 2018-01-04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608A true KR20190083608A (ko) 2019-07-12

Family

ID=6725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042A KR20190083608A (ko) 2018-08-09 2018-08-09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36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277A (ko) * 2019-08-01 2021-02-10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0717A (ko) * 2019-08-16 2021-02-24 쿠팡 주식회사 자동화된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실시간 리스크 정보활용 반품 아이템 수거를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277A (ko) * 2019-08-01 2021-02-10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0717A (ko) * 2019-08-16 2021-02-24 쿠팡 주식회사 자동화된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실시간 리스크 정보활용 반품 아이템 수거를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US11120498B2 (en) 2019-08-16 2021-09-14 Coupang Corp.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risk-informed return item collection using an automated kiosk
KR20220024317A (ko) * 2019-08-16 2022-03-03 쿠팡 주식회사 자동화된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실시간 리스크 정보활용 반품 아이템 수거를 위한 컴퓨터 구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4030B2 (ja) 物流システム及び物流方法
US11475503B1 (en) Materials handling facility to present predicted items to a user
KR101963999B1 (ko) 상품 저장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6745785B2 (ja) 店舗
CN207965932U (zh) 一种智能货架、商品芯片及智能购物系统
US11475504B2 (en) Dynamic product suggestions and in-store fulfillment
WO2019130778A1 (ja) 無人店舗システム
JP2023509844A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小売環境
JP6745786B2 (ja) 店舗
KR20160022474A (ko)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면세품 판매 및 공항내에서의 판매 면세품 전달 방법
KR20070117048A (ko) 핸디 바코드 스캐너 단말기를 이용한 쇼핑/결제 시스템 및방법
KR20190083608A (ko)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889679B1 (ko)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2950839B (zh) 商品售卖方法
KR20190041957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쇼핑하기 위한 시스템 및 쇼핑 방법
CN11309590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服务器及信息处理系统
KR10143925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쇼핑시스템
KR20190083627A (ko) 상품 저장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03288537A (ja) 商品宅配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41484B1 (ko) 슈퍼마켓에 설치된 pos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해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관리가 가능한 슈퍼마켓에 대한 상품 주문 처리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26900B1 (ko) 온/오프라인 연동 물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US2024002912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ulse purchases at remote locations
RU2747128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магазин и способ его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KR20180078643A (ko)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자동판매기 상품판매 시스템
KR101589585B1 (ko)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