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585B1 -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585B1
KR101589585B1 KR1020140172251A KR20140172251A KR101589585B1 KR 101589585 B1 KR101589585 B1 KR 101589585B1 KR 1020140172251 A KR1020140172251 A KR 1020140172251A KR 20140172251 A KR20140172251 A KR 20140172251A KR 101589585 B1 KR101589585 B1 KR 101589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cultivation
module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미
Original Assignee
임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미 filed Critical 임경미
Priority to KR1020140172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소유한 고객이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최초 1회에 한해 본인의 이름, 연락처, 배송지를 설정 내지 등록하고, 구매를 목적으로 하는 관련 상품의 검색과 상품의 세부 정보를 조회 및 선택한 후 주문 결제를 완료하는 구매자용 앱;과, 스마트폰을 소유한 판매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최초 1회에 한해 본인의 이름, 연락처, 주소를 비롯한 본인 소유의 상품 대금 입금용 계좌번호를 입력 후 등록하기 위한 기본정보모듈과,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대상 상품의 상품명, 상품 가격, 메모, 생산일자를 포함한 상품에 대한 전반적인 세부 정보를 입력 후 사진을 촬영 후 등록 버튼만 누르면 상품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상품정보모듈로 구분 운용되는 판매자용 앱;과, 구매자용 앱과 판매자용 앱으로부터 등록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분하여 구축하고, 구매자에 의한 상품 검색 후 주문, 구매 결정에 따르는 제반 절차와 관련한 일련의 행위를 저장하고 데이터화하여 통제 처리하는 중앙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Direct Marketing System}
본 발명은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 상에서 유통 거래를 목적으로 하는 판매자가 기 설치된 판매자용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후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매뉴얼대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보다 간편하게 등록하고, 판매자가 제공한 상품 정보에 의거하여 중앙서버를 통해 이와 연동되는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구매자의 상품 선택 내지 주문, 구매 결정이 일괄적으로 실시되게 하는 것은 물론, 나아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수단으로 음성인식, 타이핑, 손 글씨 등에 의하여 판매자는 간편하게 상품을 등록 할 수 있으며, 구매자 또한 대상 상품을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품의 등록부터 주문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이 보다 편리하고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되는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직거래 시장은 오일장 및 벼룩시장과 같이 판매자와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거래를 행하는 직접 거래방식과, 온라인을 통해 거래할 물건을 확인하여 택배 등의 수단으로 물건을 배송받는 방식이 주를 이룬다.
최근에는 온라인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많은 소비자들이 온라인상에서 직거래를 행하고 있다.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종래 직거래 시스템은 통상 판매자가 판매할 물품을 직거래 시스템에 등록하고, 소비자가 직거래 시스템에 접속하여 판매되고 있는 물품을 검색한 후 구매할 물품의 주문 요청이 이루어지면, 직거래 시스템에서는 판매자에게 물품의 주문을 알려 판매자가 소비자의 주소로 물품을 배송하도록 하게 된다.
즉, 종래 직거래 시스템은 비용결제와 상품배송 및 판매자와 소비자간의 물품거래시에 필요한 주문정보 및, 연락처정보 등을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이와 같은 종래 직거래 시스템의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78320호 "직거래장터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서는 온라인상에서 구현된 직거래 장터의 운영일과 상품을 확인하고, 상기 직거래장터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예약하기 위한 소비자 단말기와; 상기 직거래장터에서 판매하기 위한 상품을 저장하는 냉동/냉장 창고에 구비되어, 판매자에 의해 입고되는 상품 정보를 제공해주는 냉동/냉장 창고단말기와; 상기 소비자 단말기와 냉동/냉장 창고 단말기와 온라인 상에서 연계하고, 직거래장터 운영 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제공해주고, 상기 제공되는 상품 정보로 직거래장터의 상품 정보를 갱신하는 직거래장터 운영 서버를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써, 냉동/냉장 창고를 활용하여 가장 신속하게 신선하고 저렴한 식품을 소비자에게 공급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특허를 포함한 종래의 모든 기술사상은 기기 사용이 미숙한 농·어촌 등의 판매자들에게 많은 제약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를 테면 스마트 폰의 사용이 왕성하지 않아 사용상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는 이들에게 있어 온라인 판매를 통한 직거래는 실로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특산품을 어떠한 유통 마진 없이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보다 신선한 상태로 구매 가능하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욕구 충족과 함께 직거래를 통한 수익의 증대가 유도되도록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이와 아울러, 지역 농·어촌과 같이 기기 사용이 미숙한 생산자에게 보다 원활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자신들의 생산품을 찍어 해당 사진을 전송시키는 행위만으로도 개인 구매자로 하여금 확인 및 조회 등이 가능하게 되는바 상품의 판매를 위한 일련의 과정이 더욱 간소화되고 용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또한, 각 지역의 특산품 생산 과정에 대한 일련의 정보와 생산된 상품의 유통과정에 대한 일련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지역 특산품의 품질 및 유통과정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소유한 고객이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최초 1회에 한해 본인의 이름, 연락처, 배송지를 설정 내지 등록하고, 구매를 목적으로 하는 관련 상품의 검색과 상품의 세부 정보를 조회 및 선택한 후 주문 결제를 완료하는 구매자용 앱;과, 스마트폰을 소유한 판매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최초 1회에 한해 본인의 이름, 연락처, 주소를 비롯한 본인 소유의 상품 대금 입금용 계좌번호를 입력 후 등록하기 위한 기본정보모듈과,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대상 상품의 상품명, 상품 가격, 메모, 생산일자를 포함한 상품에 대한 전반적인 세부 정보를 입력 후 사진을 촬영 후 등록 버튼만 누르면 상품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상품정보모듈로 구분 운용되는 판매자용 앱;과, 구매자용 앱과 판매자용 앱으로부터 등록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분하여 구축하고, 구매자에 의한 상품 검색 후 주문, 구매 결정에 따르는 제반 절차와 관련한 일련의 행위를 저장하고 데이터화하여 통제 처리하는 중앙서버;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서버는 판매자용 앱을 수단으로 전송된 상품의 사진을 카테고리별로 등록하여 구매자용 앱을 통한 해당 상품의 검색시 순차 정렬 제공하는 사진 정렬부;와, 판매 행위가 실시되는 상품 내역에 대하여 조회 기능을 부여하는 판매자 조회부;와, 구매 행위가 실시되는 상품에 대하여 상품 조회 및 배송 조회 기능을 부여하는 구매자 조회부;와, 거래 대상 상품의 결재 기능을 부여하는 대금 결제부;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판매자용 앱의 상품정보모듈에서는 상품의 상품명, 상품 가격, 상품과 관련한 메모를 음성인식, 타이핑, 손 글씨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판매자용 앱의 상품정보모듈에서는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상품의 사진을 촬영한 후 등록시 생산일자가 자동으로 생성 및 입력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매자용 앱은 구매자로부터 주문 행위가 실시될 경우 주문과 관련한 알림 기능을 부여하고, 주문 조회 선택시 수량이 숫자로 표기되면서 해당구매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서버의 판매자 조회부에서는 구매자별 거래 누적 횟수를 데이터화하여 별도의 리스트에 자동 등재함으로써 판매자용 앱을 통해 실시간 확인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의 구매자 조회부에서는 1회 이상 반복 거래되는 대상 상품의 누적 횟수를 데이터화하여 별도의 리스트에 자동 등재함으로써 구매자용 앱을 통해 실시간 확인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중앙서버는 상품의 생산과정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생산관리부;와, 생산된 상품의 유통과정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유통관리부;와, 상품과 상품의 유통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연산처리하는 서버부;를 더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생산관리부는 생산자 식별정보, 상품정보, 소속 집하장 정보, 재배관리번호를 관리하는 생산자모듈;과, 신규 상품의 등록과 등록된 상품정보의 조회 및 수정을 처리하는 상품모듈;과, 집하장 식별정보와 입고된 상품의 목록과 집ㆍ출하량을 파악하는 집하장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유통관리부는 유통센터ㆍ매장식별정보와 상품의 유통경로를 관리하는 유통관리모듈;과, 상품의 재고조정과 연마감ㆍ이월 및 유통기한을 관리하는 재고관리모듈;과, 상품의 가격정보를 갱신하고 관리하는 가격정보관리모듈;과, 상품의 인증 적합성을 인증 기준이 제시된 상품가이드라인과 비교함으로써 상품의 이력 추적에 사용되는 이력번호태그의 발행을 처리하는 상품인증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에 의하면,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특산품을 어떠한 유통 마진 없이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보다 신선한 상태로 구매 가능하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욕구 충족과 함께 직거래를 통한 수익의 증대가 유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역 농·어촌과 같이 기기 사용이 미숙한 생산자에게 보다 원활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자신들의 생산품을 찍어 해당 사진을 전송시키는 행위만으로도 개인 구매자로 하여금 확인 및 조회 등이 가능하게 되는바, 상품의 판매를 위한 일련의 과정이 더욱 간소화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그리고, 각 지역의 특산품 생산 과정에 대한 일련의 정보와 생산된 상품의 유통과정에 대한 일련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지역 특산품의 품질 및 유통과정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어 차트.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에 관한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상에서 유통 거래를 목적으로 하는 판매자가 기 설치된 판매자용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후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매뉴얼대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보다 간편하게 등록하고, 판매자가 제공한 상품 정보에 의거하여 중앙서버를 통해 이와 연동되는 구매자용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구매자의 상품 선택 내지 주문, 구매 결정이 일괄적으로 실시되게 하는 것은 물론, 나아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수단으로 음성인식, 타이핑, 손 글씨 등에 의하여 판매자는 간편하게 상품을 등록 할 수 있으며, 구매자 또한 대상 상품을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상품의 등록부터 주문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이 보다 편리하고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주된 요부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산지 특산품 직거래 스마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어 차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시하는 직거래 시스템은 구매자용 앱;과, 판매자용 앱;과, 중앙서버;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구매자용 앱은 스마트폰을 소유한 고객이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최초 1회에 한해 본인의 이름, 연락처, 배송지를 설정 내지 등록하고, 구매를 목적으로 하는 관련 상품의 검색과 상품의 세부 정보를 조회 및 선택한 후 주문 결제를 완료한다.
상기 판매자용 앱은 스마트폰을 소유한 판매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최초 1회에 한해 본인의 이름, 연락처, 주소를 비롯한 본인 소유의 상품 대금 입금용 계좌번호를 입력 후 등록하기 위한 기본정보모듈과,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대상 상품의 상품명, 상품 가격, 메모, 생산일자를 포함한 상품에 대한 전반적인 세부 정보를 입력 후 사진을 촬영 후 등록 버튼만 누르면 상품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상품정보모듈로 구분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판매자용 앱의 상품정보모듈에서는 상품의 상품명, 상품 가격, 상품과 관련한 메모를 음성인식, 타이핑, 손 글씨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판매자용 앱의 상품정보모듈에서는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상품의 사진을 촬영한 후 등록시 생산일자가 자동으로 생성 및 입력되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판매자용 앱은 구매자로부터 주문 행위가 실시될 경우 주문과 관련한 알림 기능을 부여하고, 주문 조회 선택시 수량이 숫자로 표기되면서 해당구매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서버는 구매자용 앱과 판매자용 앱으로부터 등록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분하여 구축하고, 구매자에 의한 상품 검색 후 주문, 구매 결정에 따르는 제반 절차와 관련한 일련의 행위를 저장하고 데이터화하여 통제 처리한다.
판매자용 앱 Flow

최초 설정(수정)

상품 등록

주문 조회

(1) 앱 구동시 최초 설정 버튼 클릭
-판매자 기본정보 입력란
-판매자 이름과 사진 등록
-판매자 연락처 등록
-판매자 주소 등록
-판매자 계좌번호 등록(상품 대금 입금용)
(2) 상품 등록 버튼 클릭
-상품명: 청도 반시 50kg(입력란-음성인식 입력 가능)
-상품 가격: 10,000원(입력란-음성인식 입력 가능)
-메모: 숙성을 위해 배송일로부터 3일 뒤에 개봉하세요.(입력란-음성인식 입력 가능)
-생산일자: 2014. 10. 31.(사진 촬영 후 등록시 자동 입력)
-판매자: 홍길동(자동 입력)
(3) 주문 조회 버튼 클릭
-구매자로부터 주문이 들어올 경우 알림 기능 부여(주문 조회 버튼에 주문 숫자 디스플레이)
-주문 조회 버튼 클릭시 구매자 정보(이름, 연락차, 주소, 수량 등)를 확인 가능
-택배 회사와 연동 가능
-단골 구매자 자동 등록
구매자용 앱 Flow

최조 정보 등록/수정

상품 검색/주문

주문 상품 배송 조회

구매 결정
(1) 앱 실행시 최초 정보(이름, 연락처, 배송지) 등록 - 스마트폰과 연동
(2) 상품 검색/주문 버튼 클릭
가) 상품 검색: 반시 or 청도반시 or 청도 반시
사과 or 청송사과 or 청송 사과
대게 or 영덕대게 or 영덕 대게
포도 or 영천포도 or 영천 포도
나) 서버에 등록되어진 상품리스트(카테고리별 최근 올라온 상품부터)와 상품 정보(사진, 가격, 판매지 등)를 디스플레이
다) 주문 클릭---> 배송지 확인
라) 결재 기능(카드 or 가상 계좌)
(3) 배송 조회 기능(택배 회사와 연동)
(4) 배송 완료 후 구매 결정(상품 주문버튼과 연계될 것) 클릭- 서버에서 대금 지급
-단골 판매자 등록 기능 추가
-Push 및 알림 기능(판매자 상품 홍보 및 지역 특산품 축제나 행사 안내 문구) 추가
중앙서버
(1) 판매자로부터 전송된 사진을 카테고리별로 자동 등록
-초기 상품 등록시 판매자 정보 동시 등록 가능
(2) 판매자 이름으로 판매 상품 조회 기능 부여
(3) 구매자 이름으로 주문, 상품 조회 및 배송 조회 기능 부여
(4) 대금 결재 관련 기능 부여
상기 중앙서버는 판매자용 앱을 수단으로 전송된 상품의 사진을 카테고리별로 등록하여 구매자용 앱을 통한 해당 상품의 검색시 순차 정렬 제공하는 사진 정렬부;와, 판매 행위가 실시되는 상품 내역에 대하여 조회 기능을 부여하는 판매자 조회부;와, 구매 행위가 실시되는 상품에 대하여 상품 조회 및 배송 조회 기능을 부여하는 구매자 조회부;와, 거래 대상 상품의 결재 기능을 부여하는 대금 결제부;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서버의 판매자 조회부에서는 구매자별 거래 누적 횟수를 데이터화하여 별도의 리스트에 자동 등재함으로써 판매자용 앱을 통해 실시간 확인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의 구매자 조회부에서는 1회 이상 반복 거래되는 대상 상품의 누적 횟수를 데이터화하여 별도의 리스트에 자동 등재함으로써 구매자용 앱을 통해 실시간 확인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품을 생산하는 관련 모든 사업자가 자신의 생산자 정보, 재배정보, 유통정보를 일괄적으로 입력하여 시스템적으로 상기 각 정보를 연결 통합 관리함으로써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는 물론, 실시간 실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또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에게 보다 확실한 신뢰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기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서버는 상품의 생산과정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생산관리부;와, 생산된 상품의 유통과정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유통관리부;와, 상품과 상품의 유통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연산처리하는 서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산관리부는 생산자 식별정보, 상품정보, 소속 집하장 정보, 재배관리번호를 관리하는 생산자모듈;과, 신규 상품의 등록과 등록된 상품정보의 조회 및 수정을 처리하는 상품모듈;과, 집하장 식별정보와 입고된 상품의 목록과 집ㆍ출하량을 파악하는 집하장모듈(1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통관리부는 유통센터ㆍ매장식별정보와 상품의 유통경로를 관리하는 유통관리모듈;과, 상품의 재고조정과 연마감ㆍ이월 및 유통기한을 관리하는 재고관리모듈;과, 상품의 가격정보를 갱신하고 관리하는 가격정보관리모듈;과, 상품의 인증 적합성을 인증 기준이 제시된 상품가이드라인과 비교함으로써 상품의 이력 추적에 사용되는 이력번호태그의 발행을 처리하는 상품인증모듈;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생산자는 생산자모듈을 통해 생산자식별정보와 소속집하장정보를 입력하고 상품모듈에 접근하여 신규 상품정보를 등록함으로써 부여되는 재배관리번호를 상품에 부착하여 출하한다.
집하장은 집하장모듈(130)을 통해 상품에 부착된 재배관리번호를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발행받은 이력번호태그를 상품에 부착하여 출고하고, 관리자는 수신받는 재배관리번호로 상품인증모듈에 접근하여 상품정보를 인증함으로써 집하장에 이력번호태그를 부여하고, 유통센터는 상품에 부착된 이력번호태그를 매개로 하여 유통관리부에 접근하여 상품을 관리하고, 예컨대 매장에서 판매가 이루어질 경우 이력번호태그가 부착되는 상품을 태그인식게이트에 통과시켜 매장 내 상품으로 등록시켜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게 된다.
이로써, 소비자는 원격으로 생산관리부와 유통관리부에 접근하여 상품정보를 파악하거나 매장에서 상품에 부착된 이력번호태그와 통신하여 상품정보에 대한 접근을 행함으로써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상기 상품모듈은 상품의 포장단위별 식별 인자로 사용되는 개체코드와, 신규 상품의 등록 후에 발급되는 재배관리번호와, 발행된 이력번호태그에 등록되어 상품의 유통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검색키로 사용되는 이력번호와, 상품의 재배단계 또는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상품상태코드와, 상품의 재배 계획과 재배 일지 및 재배 사진을 포함하는 작업내역로그와, 상품의 재배에 사용된 비료, 약제, 토양의 종류를 명시하는 자재내역로그로 구성된 정보를 중앙서버를 통해 저장 및 검색함으로써 정보의 갱신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가격정보관리모듈은 갱신된 가격정보를 상이한 포장단위로 개별포장된 동일 상품의 모든 제품군에 가격정보를 자동으로 매핑하여 매핑된 가격정보를 이력번호태그에 입력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재고관리모듈은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을 검색하여 해당 상품의 상품모듈에 통보하여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유통기한 임박 여부를 유통관리모듈에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접근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상품인증모듈은 재배인증단계, 가공포장인증단계, 유통인증단계의 3단계로 구분 구성되며, 각 단계에서 재배관리번호를 검색키로 사용하여 상품모듈로부터 상품의 검사 내역을 수득한 후 중앙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가이드라인과 비교하여 적합성을 검증하되, 재배인증단계에서는 상품의 재배 과정에서 사용된 비료, 농약, 각종 약품, 재배토양에 관한 사전 검사내역을 검증하게 되고, 가공포장인증단계는 상품의 가공 및 포장 과정에서 식품의 안정성 또는 위생을 고려하여 시행된 검사 내역을 검증하게 되고, 유통인증단계는 산지에서 포장된 상품이 집하장에 도착하기까지의 운송수단 및 상품보관환경에 대한 검사 내역을 검증하게 된다.
상기 상품가이드라인은 재배등급, 가공포장등급, 유통등급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각 등급별로 3 단계 이상의 단계로 구분되어 상품의 적합성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되, 재배등급은 상품의 재배 과정에서 화학합성비료 또는 기계장비의 사용빈도가 높을수록 부적합으로 판단되어 낮은 단계의 등급이 판정되고, 가공포장등급은 상품의 가공 또는 포장과정에서 화학약품 또는 합성재질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비율 또는 빈도가 높을수록 부적합으로 판단되어 낮은 단계의 등급이 판정되고, 유통등급은 상품의 유통과정에서 상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기계 설비적 투자비율이 낮을수록 부적합으로 판단되어 낮은 단계의 등급이 판정되어, 각 등급 중에 어느 하나라도 최하등급을 받게 되면 이력변호태그의 발행이 거부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에 의하면,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특산품을 어떠한 유통 마진 없이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보다 신선한 상태로 구매 가능하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욕구 충족과 함께 직거래를 통한 수익의 증대가 유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역 농·어촌과 같이 기기 사용이 미숙한 생산자에게 보다 원활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자신들의 생산품을 찍어 해당 사진을 전송시키는 행위만으로도 개인 구매자로 하여금 확인 및 조회 등이 가능하게 되는바, 상품의 판매를 위한 일련의 과정이 더욱 간소화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그리고, 각 지역의 특산품 생산 과정에 대한 일련의 정보와 생산된 상품의 유통과정에 대한 일련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지역 특산품의 품질 및 유통과정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해당 사항 없음.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스마트폰을 소유한 고객이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최초 1회에 한해 본인의 이름, 연락처, 배송지를 설정 내지 등록하고, 구매를 목적으로 하는 관련 상품의 검색과 상품의 세부 정보를 조회 및 선택한 후 주문 결제를 완료하는 구매자용 앱;과, 스마트폰을 소유한 판매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최초 1회에 한해 본인의 이름, 연락처, 주소를 비롯한 본인 소유의 상품 대금 입금용 계좌번호를 입력 후 등록하기 위한 기본정보모듈과,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대상 상품의 상품명, 상품 가격, 메모, 생산일자를 포함한 상품에 대한 전반적인 세부 정보를 입력 후 사진을 촬영 후 등록 버튼만 누르면 상품 등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상품정보모듈로 구분 운용되는 판매자용 앱;과, 구매자용 앱과 판매자용 앱으로부터 등록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분하여 구축하고, 구매자에 의한 상품 검색 후 주문, 구매 결정에 따르는 제반 절차와 관련한 일련의 행위를 저장하고 데이터화하여 통제 처리하는 중앙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매자용 앱은 구매자로부터 주문 행위가 실시될 경우 주문과 관련한 알림 기능을 부여하고, 주문 조회 선택시 수량이 숫자로 표기되면서 해당구매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판매자용 앱의 상품정보모듈에서는 상품의 상품명, 상품 가격, 상품과 관련한 메모를 음성인식, 타이핑, 손 글씨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게 하면서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상품의 사진을 촬영한 후 등록시 생산일자가 자동으로 생성 및 입력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판매자용 앱을 수단으로 전송된 상품의 사진을 카테고리별로 등록하여 구매자용 앱을 통한 해당 상품의 검색시 순차 정렬 제공하는 사진 정렬부;와, 판매 행위가 실시되는 상품 내역에 대하여 조회 기능을 부여하는 판매자 조회부;와, 구매 행위가 실시되는 상품에 대하여 상품 조회 및 배송 조회 기능을 부여하는 구매자 조회부;와, 거래 대상 상품의 결재 기능을 부여하는 대금 결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품의 생산과정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생산관리부;와, 생산된 상품의 유통과정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유통관리부;와, 상품과 상품의 유통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연산처리하는 서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산관리부는 생산자 식별정보, 상품정보, 소속 집하장 정보, 재배관리번호를 관리하는 생산자모듈;과, 신규 상품의 등록과 등록된 상품정보의 조회 및 수정을 처리하는 상품모듈;과, 집하장 식별정보와 입고된 상품의 목록과 집ㆍ출하량을 파악하는 집하장모듈(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통관리부는 유통센터ㆍ매장식별정보와 상품의 유통경로를 관리하는 유통관리모듈;과, 상품의 재고조정과 연마감ㆍ이월 및 유통기한을 관리하는 재고관리모듈;과, 상품의 가격정보를 갱신하고 관리하는 가격정보관리모듈;과, 상품의 인증 적합성을 인증 기준이 제시된 상품가이드라인과 비교함으로써 상품의 이력 추적에 사용되는 이력번호태그의 발행을 처리하는 상품인증모듈;로 이루어지는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품모듈은 상품의 포장단위별 식별 인자로 사용되는 개체코드와, 신규 상품의 등록 후 발급되는 재배관리번호와, 발행된 이력번호태그에 등록되어 상품의 유통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검색키로 사용되는 이력번호와, 상품의 재배단계 또는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상품상태코드와, 상품의 재배 계획과 재배 일지 및 재배 사진을 포함하는 작업내역로그와, 상품의 재배에 사용된 비료, 약제, 토양의 종류를 명시하는 자재내역로그로 구성된 정보를 중앙서버를 통해 저장 및 검색함으로써 정보의 갱신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상품인증모듈은 재배인증단계, 가공포장인증단계, 유통인증단계로 구분되고, 각 단계에서 재배관리번호를 검색키로 사용하여 상품모듈로부터 상품의 검사 내역을 수득한 후 중앙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가이드라인과 비교하여 적합성을 검증하되, 재배인증단계에서는 상품의 재배 과정에서 사용된 비료, 농약, 각종 약품, 재배토양에 관한 사전 검사내역을 검증하게 되고, 가공포장인증단계는 상품의 가공 및 포장 과정에서 식품의 안정성 또는 위생을 고려하여 시행된 검사 내역을 검증하게 되고, 유통인증단계는 산지에서 포장된 상품이 집하장에 도착하기까지의 운송수단 및 상품보관환경에 대한 검사 내역을 검증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상품가이드라인은 재배등급, 가공포장등급, 유통등급으로 구분되어 상품의 적합성을 단계적으로 표시하되, 재배등급은 상품의 재배 과정에서 화학합성비료 또는 기계장비의 사용빈도가 높을수록 부적합으로 판단되어 낮은 단계의 등급이 판정되고, 가공포장등급은 상품의 가공 또는 포장과정에서 화학약품 또는 합성재질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비율 또는 빈도가 높을수록 부적합으로 판단되어 낮은 단계의 등급이 판정되고, 유통등급은 상품의 유통과정에서 상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기계 설비적 투자비율이 낮을수록 부적합으로 판단되어 낮은 단계의 등급이 판정되게 함으로써 각 등급 중에 어느 하나라도 최하등급을 받게 되면 이력변호태그의 발행이 거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
  10. 삭제
KR1020140172251A 2014-12-03 2014-12-03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 KR101589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251A KR101589585B1 (ko) 2014-12-03 2014-12-03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251A KR101589585B1 (ko) 2014-12-03 2014-12-03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585B1 true KR101589585B1 (ko) 2016-01-29

Family

ID=5531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251A KR101589585B1 (ko) 2014-12-03 2014-12-03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734B1 (ko) * 2016-09-22 2017-07-06 주식회사 메이플테크 스마트폰을 사용한 산지 직송 로컬푸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643A (ko) * 2000-07-24 2002-01-31 육상희 생산지 상품의 영상 데이터를 통한 상품 주문 시스템
JP2003256679A (ja) * 2002-02-27 2003-09-12 Tomiko Maruta ネット販売システム
KR20100103263A (ko) * 2009-03-13 2010-09-27 조종원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전자상거래 방법
KR20130082918A (ko) * 2011-12-23 2013-07-22 최봉희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몰 운영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643A (ko) * 2000-07-24 2002-01-31 육상희 생산지 상품의 영상 데이터를 통한 상품 주문 시스템
JP2003256679A (ja) * 2002-02-27 2003-09-12 Tomiko Maruta ネット販売システム
KR20100103263A (ko) * 2009-03-13 2010-09-27 조종원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전자상거래 방법
KR20130082918A (ko) * 2011-12-23 2013-07-22 최봉희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몰 운영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734B1 (ko) * 2016-09-22 2017-07-06 주식회사 메이플테크 스마트폰을 사용한 산지 직송 로컬푸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1377B2 (ja) 収益配分システム、収益配分方法、および、収益配分プログラム
US11720955B2 (en) Offline to online management system
KR101872403B1 (ko) 거래 관리 시스템 및 거래 관리 프로그램
KR102047377B1 (ko) 구매대행 쇼핑몰을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00001744A (ko) 마트 쇼핑용 상품 구매 시스템
JP2014002453A (ja) 販売システム、販売サーバ及び販売方法
CN107251063A (zh) 用于促进货物提供的系统和方法
US110372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ne to customer, and server device and program used in this system
JP2004051374A (ja) シームレス商品物流情報システム
CN112074859A (zh) 福利型低价商城系统及其运行方法
KR102238503B1 (ko) 해외 구매 대행 기능을 갖는 온라인 마켓 관리 시스템
CN11309590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服务器及信息处理系统
US20110016012A1 (en) System For Ordering Products And Forecasting Customer Interest
JP4480388B2 (ja) 物流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物流情報記録媒体
JP2004246887A (ja) 商品識別システム
KR101589585B1 (ko) 산지 특산품 스마트 직거래 시스템
KR20150121347A (ko) 배송업체 중심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1934A (ko) 모바일 농수산물 직거래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200093749A (ko) 복수의 셀러들이 입점된 오픈 마켓 플랫폼을 이용한 셀러 입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69631A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꽃 주문 및 배송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09891B1 (ko) 다수의 오픈 마켓 거래를 통합하여 재고 관리가 가능한 인터넷 쇼핑몰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2089029A (ja) ネット販売総合管理システム
JP702208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TW201640430A (zh) 用於保證商品之將來購買價格之電腦系統、於該電腦系統中執行之方法及程式
JP2017207861A (ja) 契約栽培情報管理装置及び契約栽培情報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