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027B1 - 무인 점포 시스템,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무인 점포 시스템,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027B1
KR102436027B1 KR1020200069836A KR20200069836A KR102436027B1 KR 102436027 B1 KR102436027 B1 KR 102436027B1 KR 1020200069836 A KR1020200069836 A KR 1020200069836A KR 20200069836 A KR20200069836 A KR 20200069836A KR 102436027 B1 KR102436027 B1 KR 102436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customer
space
control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845A (ko
Inventor
김영혁
이윤호
정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Priority to KR1020200069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02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10Movable barriers with registering means
    • G07C9/15Movable barriers with registering means with arrangements to prevent the passage of more than one individual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의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무인 점포 시스템,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위하여,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하고 고객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며 서버로부터 고객정보의 인증을 수신하는 인증장치와, 상기 인증장치가 인증을 수신하면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제1게이트를 여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와, 사전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고객이 점포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를 여는 제2게이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점포 시스템,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인 점포 시스템,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Unattended store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인 점포 시스템,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고객의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무인 점포 시스템,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마트, 슈퍼마켓, 쇼핑센터 또는 편의점 등의 공간에서, 일반적으로는 구매자가 상품을 선택하여 계산대로 진입하면, 직원이 직접 상품의 바코드 등을 리더기로 스캔하고, 구매자는 결제 수단(예컨대 신용카드, 현금 등)을 제시하여 상품의 금액을 결제하는 방식으로,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진다.
최근 일부 마트 등에 도입된 셀프계산대를 이용할 경우에는, 구매자가 스스로 상품의 바코드 등을 리더기로 스캔하고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함으로써,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점포에서는 구매자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기에, 상품의 도난 등의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객의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무인 점포 시스템,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하고 고객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며 서버로부터 고객정보의 인증을 수신하는 인증장치와, 상기 인증장치가 인증을 수신하면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제1게이트를 여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와, 사전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고객이 점포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를 여는 제2게이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점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2게이트 제어장치는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가 제1게이트를 닫으면 고객이 점포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를 열 수 있다.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는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를 닫을 수 있다.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할 수 있는 고객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는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1게이트를 닫을 수 있다.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할 수 있는 고객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는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를 닫으며, 상기 제2게이트 제어장치는 제1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2게이트를 열 수 있다.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는 제1게이트를 열 수 있다.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가 제1게이트를 연 후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이 되면,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는 제1게이트를 닫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고객이 접근하면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제1게이트를 여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와, 사전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고객이 점포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를 여는 제2게이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점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는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를 닫고, 상기 제2게이트 제어장치는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가 제1게이트를 닫으면 고객이 점포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를 열 수 있다.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할 수 있는 고객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는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1게이트를 닫고, 상기 제2게이트 제어장치는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가 제1게이트를 닫으면 고객이 점포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를 열 수 있다.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할 수 있는 고객감지센서와,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하고 고객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며 서버로부터 고객정보의 인증을 수신하는 인증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는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1게이트를 닫고, 상기 인증장치는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가 제1게이트를 닫으면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2게이트 제어장치는 상기 인증장치가 인증을 수신하면 고객이 점포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를 열 수 있다.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할 수 있는 고객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는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를 닫으며,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는 제1게이트를 열 수 있다.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안내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는 안내메시지 송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무인 점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하고 고객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며 서버로부터 고객정보의 인증을 수신하는 인증단계와, 인증을 수신하면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제1게이트를 여는 단계와, 사전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고객이 점포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를 여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2게이트를 여는 단계는, 열린 제1게이트가 닫히면 고객이 점포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를 여는 단계일 수 있다.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를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1게이트를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를 닫는 단계와, 제1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2게이트를 여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제1게이트를 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상태에서 제1게이트 제어장치가 제1게이트를 연 후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이 되면, 제1게이트를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무인 점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고객이 접근하면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제1게이트를 여는 단계와, 사전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고객이 점포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를 여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를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게이트를 여는 단계는 제1게이트가 닫히면 고객이 점포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를 여는 단계일 수 있다.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1게이트를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게이트를 여는 단계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가 제1게이트를 닫으면 고객이 점포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를 여는 단계일 수 있다.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1게이트를 닫는 단계와, 제1게이트가 닫히면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하고 고객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며 서버로부터 고객정보의 인증을 수신하는 인증단계와, 인증을 수신하면 고객이 점포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를 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를 닫는 단계와,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제1게이트를 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안내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같은 방법들 중 어느 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의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무인 점포 시스템,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인 점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인 점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의 무인 점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10)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인 점포 시스템(10)은 통신망(30)을 통해 서버(20)와 연결된다. 예컨대 통신망(30)은 무인 점포 시스템(10)이 서버(2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통신망(3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또는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3G, 4G, 5G 및 LTE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20)는 통신망(30)을 통해 무인 점포 시스템(10)과 통신하여 고객의 고객정보를 인증하거나, 고객의 고객정보 기반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서버(20)는 기 등록된 고객의 개인정보인 고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객정보는 특정 고객에 대한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항목은 가령 성명, 연령, 성별, 주된 결제수단 및 멤버쉽 가입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고객정보는 특정 고객에 대한 지문, 홍채, 정맥 패턴 또는 안면 형상 등의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는 고객의 고객정보에 연동되는 계좌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계좌정보는, 출금 가능한 은행계좌에 대한 정보이거나, 출금 또는 대금 지불이 가능한 신용카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서버(20)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하나의 서버 장치만을 포함하는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서버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는 고객정보를 저장 및/또는 인증하는 제1서버와, 고객정보를 인증하고 고객정보에 대응되는 계좌정보를 저장하는 제2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객정보의 인증은, 고객정보를 인증하는 제1서버의 제1인증 및 고객정보에 대응되는 계좌정보를 인증하는 제2서버의 제2인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인 점포 시스템(10)은 최소한의 직원 개입으로 점포가 운영되는 시스템일 수 있다. 고객은 개인적인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점포에 출입하고, 고객정보를 이용하여 점포에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무인 점포 시스템(10)은 직원의 개입을 전혀 요구하지 않을 수 있으나, 특정 상황에서는 직원의 개입을 요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무인 점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은 무인 점포(S)를 관리하기 위한 여러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데, 예컨대 제1인증장치(C1),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 및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인 점포(S)에는 이러한 구성요소들과 연결된 제1게이트(G1) 및 제2게이트(G2)가 위치하고, 그 외에도 상품 계산에 사용될 수 있는 제2인증장치(C2)와 무인계산장치(10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3인증장치(C3), 제3게이트 제어장치(GC3) 및 이와 연결된 제3게이트(G3) 등도 위치할 수 있다.
제1인증장치(C1)는 무인 점포(S)에 입장하고자 하는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1인증장치(C1)는 획득한 고객정보를 통신망(30)을 통해 도 1의 서버(20)에 전송하며, 서버(20)로부터 고객정보의 인증을 수신한다.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인증장치(C1)의 인증 결과에 따라 제1게이트(G1)를 제어한다. 제1인증장치(C1)가 인증을 수신하면,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열어, 인증된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
고객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더라도, 제2게이트(G2)가 닫혀 있기 때문에 아직은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할 수 없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사전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만 제2게이트(G2)를 열어, 고객이 무인 점포(S) 내에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경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증되지 않은 고객이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와 제2게이트(G2)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통상적으로는 제1인증장치(C1)에 의해 인증된 고객만이 제1게이트(G1)를 통해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하게 된다. 하지만 인증된 고객이 제1게이트(G1)를 통해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할 시, 인증되지 않은 다른 고객이 인증된 고객과 함께 또는 인증된 고객의 뒤를 따라, 제1게이트(G1)를 통해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할 수도 있다. 이는 추후 무인 점포(S) 내의 상품의 도난 등의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경우에는 인증된 고객이 제1게이트(G1)를 통과한 후에 바로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하는 것이 아니라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한다. 그리고 사전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가 제2게이트(G2)를 열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이 제2게이트(G2)를 통과하여 무인 점포(S) 내에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인증되지 않은 고객이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가 제2게이트(G2)를 열기 위한 사전설정된 조건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인증된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한 후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닫는 것이, 사전설정된 조건일 수 있다. 즉,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닫으면 고객이 무인 점포(S)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G2)를 열 수 있다. 이 경우,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을 통상적으로 한 명의 고객만이 머물 수 있는 크기로 만듦으로써, 제1인증장치(C1)에 의해 인증된 고객 외에 다른 미인증 고객은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가 제2게이트(G2)를 열기 전,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인 점포 시스템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할 수 있는 고객감지센서(SS)를 더 구비하고,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닫으면 고객이 무인 점포(S)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G2)를 열 수 있다.
이러한 고객감지센서(SS)는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고객감지센서(SS)는 인체열 감지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체열 감지형 센서는 고객이 움직일 때 인체열의 이동을 감지하는 PIR센서(passive infrared sensor)로 인원을 카운트한다. 이러한 인체열 감지형 센서는 사람이 움직일 때만 반응하지만, 제1게이트(G1)가 열리면 고객은 제1게이트(G1)를 통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으므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물론 고객감지센서(SS)는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반 영상 카메라나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이미지 내에서 사람의 형상을 추출함으로써 고객의 수를 확정할 수도 있다.
물론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닫는 것이,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가 제2게이트(G2)를 여는 조건이 아닐 수도 있다. 예컨대 인증된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닫고, 그 상태에서 고객감지센서(SS)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할 수 있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1게이트(G1)가 닫힌 상태에서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2게이트(G2)를 열 수 있다.
만일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열 수 있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1명의 고객만 남도록 다른 고객들이 퇴장하여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이 되면,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이어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2게이트(G2)를 열어, 고객이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이어서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연 후, 모든 고객들이 제1게이트(G1)를 통해 외부로 이동한 경우에는,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2게이트(G2)를 열지 않을 수 있다.
무인 점포 시스템은 안내메시지 송출부(160, 도 3 참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안내메시지 송출부(160)는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안내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안내메시지는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한 명의 고객만 입장해달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안내메시지 송출부(160)는 음성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스피커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고, 이미지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제2게이트(G2)를 통과하여 무인 점포(S)에 입장한 고객은, 상품 진열대를 둘러보며 상품을 선택한 후, 무인계산장치(100)를 이용하여 상품 금액을 결제할 수 있다. 무인계산장치(100)가 갖는 제2인증장치(C2)는 계산하고자 하는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하여, 고객정보를 통신망(30)을 통해 도 1의 서버(20)에 전송한다. 서버(20)는 수신한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정보 기반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제2인증장치(C2)는 서버(20)로부터 그러한 결제 승인을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무인계산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무인계산장치(100)는 고객으로부터 결제 수단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통신망(30)을 통해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는 결제 수단 정보의 인증에 성공하면 결제를 승인하고 이를 통신망(30)을 통해 무인계산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무인계산장치는 그러한 승인여부를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고객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3인증장치(C3)는 무인 점포(S)에서 퇴장하고자 하는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3인증장치(C3)는 획득한 고객정보를 통신망(30)을 통해 도 1의 서버(20)에 전송하며, 서버(20)로부터 고객정보의 인증을 수신한다. 제3게이트 제어장치(GC3)는 제3인증장치(C3)의 인증 결과에 따라 제3게이트(G3)를 제어한다. 제3인증장치(C3)가 인증을 수신하면, 제3게이트 제어장치(GC3)는 제3게이트(G3)를 열어, 인증된 고객이 제3게이트(G3)를 통해 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무인 점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인 점포 시스템(10)은 통신망(30)을 통해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다. 무인 점포 시스템(1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10)를 포함하며,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무인 점포 시스템(10)은 도 2에 도시된 무인 점포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10)의 동작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10)이 갖는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70)에 의해 또는 통신망(30)을 통해 제어부(110)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메모리(17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인증장치(C1)의 작동에 따라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인증장치(C1)는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하고, 고객정보를 통신망(30)을 통해 서버(20)에 전송하며, 서버(20)로부터 고객정보의 인증을 수신할 수 있다. 제1인증장치(C1)가 인증을 수신하면, 제어부(110)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통해 제1게이트(G1)를 연다.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어부(110)의 일부일 수도 있다. 제1게이트(G1)가 열린 후, 제어부(110)는 사전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를 통해 제2게이트(G2)를 연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어부(110)의 일부일 수도 있다.
사전설정된 조건은 전술한 것과 같은 다양한 것일 수 있다. 사전설정된 조건은 제어부(110)가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통해 제1게이트(G1)를 닫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어부(110)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통해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고객감지센서(SS)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하도록 하고,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어부(110)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통해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또는, 사전설정된 조건은,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어부(110)가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통해 제1게이트(G1)를 닫고, 제1게이트(G1)가 닫힌 상태에서 제어부(110)는 고객감지센서(SS)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하도록 하며, 이때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인 것일 수 있다. 이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110)는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를 통해 제2게이트(G2)를 열 수 있다. 만일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통해 제1게이트(G1)를 열 수 있다. 그리고 제1게이트(G1)가 열린 상태에서도 제어부(110)는 고객감지센서(SS)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하도록 하며,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이 되면, 제어부(110)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통해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안내메시지 송출부(160)를 통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안내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안내메시지는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한 명의 고객만 입장해달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안내메시지 송출부(160)는 음성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스피커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고, 이미지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물론 이 외에도, 제어부(11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무인계산장치(100)를 통한 결제 과정에서 일련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결제 가능한 상태의 상품 총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결제 유닛에 총 결제 금액을 제공하고, 결제 유닛은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결제 수단 정보를 서버(20)에 전송하여 총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서버(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결제 유닛이 서버(20)로부터 결제 승인을 받으면, 결제 완료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여 고객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무인 점포 시스템(10)은 메모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메모리(170)는 통신망(30)을 통해 서버(20)로 전송하는 정보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거나, 통신망(30)을 통해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제1인증장치(C1),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 고객감지센서(SS) 또는 안내메시지 송출부(16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설정 등의 정보가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무인 점포 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전술한 내용이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는 무인 점포(S)의 구성요소들, 제1서버(210) 및 제2서버(22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제1서버(210) 및 제2서버(220)는 도 1에 도시된 서버(20)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제1서버(210) 및 제2서버(220)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서 기능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제1서버(210)는 고객정보를 저장 및/또는 인증할 수 있다. 제2서버(220)는 고객정보를 인증하고 고객정보에 대응되는 계좌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먼저 단계 511에서 무인 점포(S)의 제1인증장치(C1)는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한다. 고객정보는 특정 고객에 대한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항목은 가령 성명, 연령, 성별, 주된 결제수단 및 멤버쉽 가입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고객정보는 특정 고객에 대한 지문, 홍채, 정맥 패턴 또는 안면 형상 등의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12에서 무인 점포(S)의 제1인증장치(C1)는 고객정보를 제1서버(210)에 전송한다. 단계 513에서 제1서버(210)는 고객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제1서버(210)는 사전 등록된 고객의 고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서버(210)는 단계 512에서 수신된 고객정보가 사전 등록된 고객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전 등록된 고객정보인 경우, 해당 고객정보를 인증할 수 있다.
단계 514에서 제1서버(210)는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
단계 515에서 무인 점포(S)의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단계 514에서 수신된 인증 결과가 성공인 경우, 제1게이트(G1)를 열어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단계 517에서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닫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도 있다. 고객이 입장하지 않더라도, 사전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도 있다.
단계 517에서 제1게이트(G1)가 닫히면, 사전설정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인식하여 단계 519에서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2게이트(G2)를 열어, 고객이 무인 점포(S)에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521에서 무인 점포(S)의 제2인증장치(C2)는 고객으로부터 결제수단정보를 획득한다. 결제수단정보는, 전술한 고객정보를 포함한다. 고객정보는 전술하였듯이 생체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무인계산장치(100)의 결제유닛은 사용자로부터 휴대폰 번호 등의 추가 정보를 더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제 수단 정보는, 고객정보 및 추가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정보는 반드시 결제유닛을 통하여 입력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무인계산장치(100)의 표시유닛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거나, 별도로 마련된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522에서 무인점포(S)의 무인계산장치는 결제수단정보를 제2서버(220)에 전송한다.
단계 523에서 제2서버(220)는 결제수단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제2서버(220)는 사전 등록된 고객의 결제수단정보(고객정보 및 추가정보를 포함) 및 이에 연동되는 계좌정보를 자체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계좌정보는, 출금 가능한 은행계좌에 대한 정보이거나, 출금 또는 대금 지불이 가능한 신용카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2서버(220)는 단계 522에서 전송된 결제수단정보가,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기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결제수단정보를 인증할 수 있다. 단계 523에서 제2서버(220)는 인증에 성공하면 결제수단정보에 대응되는 계좌정보로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단계 524에서 제2서버(220)는 인증결과를 무인점포(S)의 무인계산장치(100)의 결제유닛에 전송한다. 단계 524에서 전송되는 인증결과는,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에 대한 인증결과와, 결제승인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25에서 무인 점포(S)의 무인계산장치(100)는 인증결과 및 결제승인이 수신되면, 결제를 완료 처리한다. 결제를 완료 처리한다는 것은, 결제가 완료된 상태로 진행함을 의미한다. 단계 525에서 무인계산장치(100)는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단계 524에서 전송된 인증결과가 "인증실패"인 경우, 단계 525로 진행하지 않고 프로세스를 종료하며, 무인계산장치(100)의 제어부는 표시 유닛에 인증 실패에 관한 정보 및 결제수단정보 재입력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531에서 무인 점포(S)의 제3인증장치(C3)는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한다. 제3인증장치(C3)는 제1인증장치(C1)와 동일한 방식으로 고객의 고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532에서 제3인증장치(C3)는 고객정보를 제1서버(210)에 전송한다. 단계 533에서 제1서버(210)는 고객정보를 인증한다. 단계 533에서의 인증은, 단계 513에서의 인증과 동일할 수 있다.
단계 534에서 제1서버(210)는 인증결과를 무인 점포(S)의 제3인증장치(C3)에 전송한다. 단계 535에서 제3게이트 제어장치(GC3)는 제3게이트(G3)를 오픈하여, 고객이 무인 점포(S)에서 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단계 516이 추가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경우, 단계 515에서 무인 점포(S)의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단계 514에서 수신된 인증 결과가 성공인 경우, 제1게이트(G1)를 열어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단계 516에서 고객감지센서(SS)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한다.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단계 516에서 획득한 고객 수 정보로부터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단계 517에서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단계 519에서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닫으면 고객이 무인 점포(S)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G2)를 연다. 이후,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2게이트(G2)를 닫는다. 이후의 절차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단계 518이 추가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경우, 단계 517에서 제1게이트(G1)를 닫은 후, 단계 518에서 고객감지센서(SS)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한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단계 518에서 획득한 고객 수 정보로부터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인 경우에는, 단계 519에서 고객이 무인 점포(S)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G2)를 연다. 그리고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2게이트(G2)를 닫는다. 이후의 절차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만일 단계 518에서 획득한 고객 수 정보로부터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열 수 있다. 이때 안내메시지 송출부(160)를 통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안내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안내메시지는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한 명의 고객만 입장해달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안내메시지 송출부(160)는 음성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스피커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고, 이미지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이후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이 되면,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과 상이한 점은, 제1서버(210)와 제2서버(220)가 제3서버(230)로 통합되었다는 점이다. 즉, 단계 511 내지 단계 525는, 제1서버(210)와 제2서버(220)가 제3서버(230)로 통합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한편, 단계 522에서 제3서버(230)로 전송하는 결제수단정보는 고객의 고객정보와 연동되어 있는 것이기에, 결제처리(525)가 완료되면 단계 535에서 제3게이트 제어장치(GC3)는 제3게이트(G3)를 열어, 고객이 퇴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이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무인 점포 시스템과 상이한 점은, 고객이 접근하면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제1게이트를 연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무인 점포 시스템은 근접센서(PS)를 구비할 수 있다. 근접센서(PS)는 정전식 센서, 정전용량형 변위 센서(capacitive displacement sensor), 도플러 효과 기반 센서, 광전감지 센서,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근접센서(PS)가 고객이 제1게이트(G1)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열어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게 한다.
고객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더라도, 제2게이트(G2)가 닫혀 있기 때문에 아직은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할 수 없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사전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경우에만 제2게이트(G2)를 열어, 고객이 무인 점포(S) 내에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경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증되지 않은 고객이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가 제2게이트(G2)를 열기 위한 사전설정된 조건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한 후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닫는 것이, 사전설정된 조건일 수 있다. 즉,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닫으면 고객이 무인 점포(S)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G2)를 열 수 있다. 이 경우,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을 통상적으로 한 명의 고객만이 머물 수 있는 크기로 만듦으로써, 1명의 고객 외에 다른 고객은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가 제2게이트(G2)를 열기 전,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인 점포 시스템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할 수 있는 고객감지센서(SS)를 더 구비하고,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닫으면 고객이 무인 점포(S)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G2)를 열 수 있다.
이러한 고객감지센서(SS)는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고객감지센서(SS)는 인체열 감지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체열 감지형 센서는 고객이 움직일 때 인체열의 이동을 감지하는 PIR센서(passive infrared sensor)로 인원을 카운트한다. 이러한 인체열 감지형 센서는 사람이 움직일 때만 반응하지만, 제1게이트(G1)가 열리면 고객은 제1게이트(G1)를 통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으므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물론 고객감지센서(SS)는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반 영상 카메라나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이미지 내에서 사람의 형상을 추출함으로써 고객의 수를 확정할 수도 있다.
물론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닫는 것이,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가 제2게이트(G2)를 여는 조건이 아닐 수도 있다. 예컨대 인증된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닫고, 그 상태에서 고객감지센서(SS)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할 수 있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1게이트(G1)가 닫힌 상태에서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2게이트(G2)를 열 수 있다.
만일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열 수 있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1명의 고객만 남도록 다른 고객들이 퇴장하여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이 되면,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이어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2게이트(G2)를 열어, 고객이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이어서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연 후, 모든 고객들이 제1게이트(G1)를 통해 외부로 이동한 경우에는,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2게이트(G2)를 열지 않을 수 있다.
무인 점포 시스템은 안내메시지 송출부(160, 도 9 참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안내메시지 송출부(160)는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안내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안내메시지는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한 명의 고객만 입장해달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안내메시지 송출부(160)는 음성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스피커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고, 이미지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또는, 무인 점포 시스템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할 수 있는 고객감지센서(SS)와, 무인 점포(S)에 입장하고자 하는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하고 고객정보를 서버(20)에 전송하며, 서버(20)로부터 고객정보의 인증을 수신하는 제1인증장치(C1)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제1인증장치(C1)는 획득한 고객정보를 통신망(30)을 통해 도 1의 서버(20)에 전송하며, 서버(20)로부터 고객정보의 인증을 수신한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1인증장치(C1)의 인증 결과에 따라 제2게이트(G2)를 제어한다. 제1인증장치(C1)가 인증을 수신하면,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2게이트(G2)를 열어, 인증된 고객이 제2게이트(G2)를 통과해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하도록 할 수 있다.
제2게이트(G2)를 통과하여 무인 점포(S)에 입장한 고객은, 상품 진열대를 둘러보며 상품을 선택한 후, 무인계산장치(100)를 이용하여 상품 금액을 결제할 수 있다. 무인계산장치(100)가 갖는 제2인증장치(C2)는 계산하고자 하는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하여, 고객정보를 통신망(30)을 통해 도 1의 서버(20)에 전송한다. 서버(20)는 수신한 고객정보를 바탕으로, 고객정보 기반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제2인증장치(C2)는 서버(20)로부터 그러한 결제 승인을 수신할 수 있다. 무인계산장치(100), 제3인증장치(C3), 제3게이트 제어장치(GC3) 및 제3게이트(G3)의 작동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다.
도 9는 도 8의 무인 점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인 점포 시스템(10)은 통신망(30)을 통해 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다. 무인 점포 시스템(10)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10)를 포함하며,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무인 점포 시스템(10)은 도 8에 도시된 무인 점포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도 8를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은 도 9에 도시된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10)의 동작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10)이 갖는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근접센서(PS)에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제어할 수 있다. 근접센서(PS)는 고객이 제1게이트(G1)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고객이 제1게이트(G1)에 접근하면 이를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통해 제1게이트(G1)를 연다.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어부(110)의 일부일 수도 있다. 제1게이트(G1)가 열린 후, 제어부(110)는 사전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를 통해 제2게이트(G2)를 연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어부(110)의 일부일 수도 있다.
사전설정된 조건은 전술한 것과 같은 다양한 것일 수 있다. 사전설정된 조건은 제어부(110)가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통해 제1게이트(G1)를 닫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어부(110)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통해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고객감지센서(SS)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하도록 하고,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어부(110)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통해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또는, 사전설정된 조건은,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어부(110)가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통해 제1게이트(G1)를 닫고, 제1게이트(G1)가 닫힌 상태에서 제어부(110)는 고객감지센서(SS)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하도록 하며, 이때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인 것일 수 있다. 이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110)는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를 통해 제2게이트(G2)를 열 수 있다. 만일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제어부(110)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통해 제1게이트(G1)를 열 수 있다. 그리고 제1게이트(G1)가 열린 상태에서도 제어부(110)는 고객감지센서(SS)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하도록 하며,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이 되면, 제어부(110)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를 통해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안내메시지 송출부(160)를 통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안내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안내메시지는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한 명의 고객만 입장해달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안내메시지 송출부(160)는 음성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스피커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고, 이미지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또는,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면, 제어부(110)는 제1인증장치(C1)의 작동에 따라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를 제어할 수 있다. 제1인증장치(C1)는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하고, 고객정보를 통신망(30)을 통해 서버(20)에 전송하며, 서버(20)로부터 고객정보의 인증을 수신할 수 있다. 제1인증장치(C1)가 인증을 수신하면, 제어부(110)는 (제1게이트(G1)가 닫힌 상태에서)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를 통해 제2게이트(G2)를 연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어부(110)의 일부일 수도 있다.
물론 이 외에도, 제어부(110)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무인계산장치(100)를 통한 결제 과정에서 일련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결제 가능한 상태의 상품 총 금액에 대한 결제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결제 유닛에 총 결제 금액을 제공하고, 결제 유닛은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결제 수단 정보를 서버(20)에 전송하여 총 결제 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서버(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결제 유닛이 서버(20)로부터 결제 승인을 받으면, 결제 완료에 따라 제공되는 화면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여 고객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무인 점포 시스템(10)은 메모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메모리(170)는 통신망(30)을 통해 서버(20)로 전송하는 정보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거나, 통신망(30)을 통해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제1인증장치(C1),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 고객감지센서(SS) 또는 안내메시지 송출부(16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설정 등의 정보가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 무인 점포 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전술한 내용이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0에 도시된 흐름도는 무인 점포(S)의 구성요소들, 제1서버(210) 및 제2서버(22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제1서버(210) 및 제2서버(220)는 도 9에 도시된 서버(20)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제1서버(210) 및 제2서버(220)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버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서 기능적으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제1서버(210)는 고객정보를 저장 및/또는 인증할 수 있다. 제2서버(220)는 고객정보를 인증하고 고객정보에 대응되는 계좌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먼저 단계 515에서 무인 점포(S)의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열어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근접센서(PS)가 고객이 제1게이트(G1)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제1게이트(G1)를 열 수 있다. 이어 단계 517에서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닫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도 있다. 고객이 입장하지 않더라도, 사전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도 있다.
단계 517에서 제1게이트(G1)가 닫히면, 사전설정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인식하여 단계 519에서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2게이트(G2)를 열어, 고객이 무인 점포(S)에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521에서 무인 점포(S)의 제2인증장치(C2)는 고객으로부터 결제수단정보를 획득한다. 결제수단정보는, 전술한 고객정보를 포함한다. 고객정보는 전술하였듯이 생체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무인계산장치(100)의 결제유닛은 사용자로부터 휴대폰 번호 등의 추가 정보를 더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제 수단 정보는, 고객정보 및 추가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정보는 반드시 결제유닛을 통하여 입력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무인계산장치(100)의 표시유닛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거나, 별도로 마련된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522에서 무인점포(S)의 무인계산장치는 결제수단정보를 제2서버(220)에 전송한다.
단계 523에서 제2서버(220)는 결제수단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제2서버(220)는 사전 등록된 고객의 결제수단정보(고객정보 및 추가정보를 포함) 및 이에 연동되는 계좌정보를 자체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계좌정보는, 출금 가능한 은행계좌에 대한 정보이거나, 출금 또는 대금 지불이 가능한 신용카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2서버(220)는 단계 522에서 전송된 결제수단정보가,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기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결제수단정보를 인증할 수 있다. 단계 523에서 제2서버(220)는 인증에 성공하면 결제수단정보에 대응되는 계좌정보로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단계 524에서 제2서버(220)는 인증결과를 무인점포(S)의 무인계산장치(100)의 결제유닛에 전송한다. 단계 524에서 전송되는 인증결과는,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에 대한 인증결과와, 결제승인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25에서 무인 점포(S)의 무인계산장치(100)는 인증결과 및 결제승인이 수신되면, 결제를 완료 처리한다. 결제를 완료 처리한다는 것은, 결제가 완료된 상태로 진행함을 의미한다. 단계 525에서 무인계산장치(100)는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단계 524에서 전송된 인증결과가 "인증실패"인 경우, 단계 525로 진행하지 않고 프로세스를 종료하며, 무인계산장치(100)의 제어부는 표시 유닛에 인증 실패에 관한 정보 및 결제수단정보 재입력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531에서 무인 점포(S)의 제3인증장치(C3)는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한다. 고객정보는 특정 고객에 대한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항목은 가령 성명, 연령, 성별, 주된 결제수단 및 멤버쉽 가입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고객정보는 특정 고객에 대한 지문, 홍채, 정맥 패턴 또는 안면 형상 등의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32에서 제3인증장치(C3)는 고객정보를 제1서버(210)에 전송한다. 단계 533에서 제1서버(210)는 고객정보를 인증한다. 제1서버(210)는 사전 등록된 고객의 고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서버(210)는 단계 532에서 수신된 고객정보가 사전 등록된 고객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전 등록된 고객정보인 경우, 해당 고객정보를 인증할 수 있다.
단계 534에서 제1서버(210)는 인증결과를 무인 점포(S)의 제3인증장치(C3)에 전송한다. 단계 535에서 제3게이트 제어장치(GC3)는 제3게이트(G3)를 오픈하여, 고객이 무인 점포(S)에서 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단계 516이 추가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경우, 단계 515에서 무인 점포(S)의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열어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단계 516에서 고객감지센서(SS)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한다.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단계 516에서 획득한 고객 수 정보로부터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단계 517에서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단계 519에서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가 제1게이트(G1)를 닫으면 고객이 무인 점포(S)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G2)를 연다. 이후,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2게이트(G2)를 닫는다. 이후의 절차는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단계 518이 추가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경우, 단계 517에서 제1게이트(G1)를 닫은 후, 단계 518에서 고객감지센서(SS)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한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단계 518에서 획득한 고객 수 정보로부터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인 경우에는, 단계 519에서 고객이 무인 점포(S)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G2)를 연다. 이후,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2게이트(G2)를 닫는다. 이후의 절차는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만일 단계 518에서 획득한 고객 수 정보로부터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열 수 있다. 이후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이 되면,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단계 518에서 획득한 고객 수 정보로부터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안내메시지 송출부(160)에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안내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안내메시지는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한 명의 고객만 입장해달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안내메시지 송출부(160)는 음성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스피커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고, 이미지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과 상이한 점은, 단계 511 내지 단계 514가 추가되었다는 점이다.
단계 517에서 제1게이트(G1)가 닫히면, 단계 511에서 무인 점포(S)의 제1인증장치(C1)는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한다. 고객정보는 특정 고객에 대한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항목은 가령 성명, 연령, 성별, 주된 결제수단 및 멤버쉽 가입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고객정보는 특정 고객에 대한 지문, 홍채, 정맥 패턴 또는 안면 형상 등의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12에서 무인 점포(S)의 제1인증장치(C1)는 고객정보를 제1서버(210)에 전송한다. 단계 513에서 제1서버(210)는 고객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제1서버(210)는 사전 등록된 고객의 고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서버(210)는 단계 512에서 수신된 고객정보가 사전 등록된 고객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전 등록된 고객정보인 경우, 해당 고객정보를 인증할 수 있다.
단계 514에서 제1서버(210)는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
단계 519에서 무인 점포(S)의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단계 514에서 수신된 인증 결과가 성공인 경우, 제2게이트(G2)를 열어 고객이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 고객이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한 후 또는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2게이트(G2)를 닫는다. 이후의 절차는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과 상이한 점은, 단계 516이 추가되었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경우, 단계 515에서 무인 점포(S)의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열어 고객이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단계 516에서 고객감지센서(SS)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한다.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단계 516에서 획득한 고객 수 정보로부터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단계 517에서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이후의 절차는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단계 518이 추가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경우, 단계 517에서 제1게이트(G1)를 닫은 후, 단계 518에서 고객감지센서(SS)가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한다.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단계 518에서 획득한 고객 수 정보로부터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인 경우에는, 단계 511에서 무인 점포(S)의 제1인증장치(C1)는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한다. 고객정보는 특정 고객에 대한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항목은 가령 성명, 연령, 성별, 주된 결제수단 및 멤버쉽 가입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고객정보는 특정 고객에 대한 지문, 홍채, 정맥 패턴 또는 안면 형상 등의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12에서 무인 점포(S)의 제1인증장치(C1)는 고객정보를 제1서버(210)에 전송한다. 단계 513에서 제1서버(210)는 고객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제1서버(210)는 사전 등록된 고객의 고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서버(210)는 단계 512에서 수신된 고객정보가 사전 등록된 고객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전 등록된 고객정보인 경우, 해당 고객정보를 인증할 수 있다.
단계 514에서 제1서버(210)는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 인증 결과가 인증 승인일 경우, 단계 519에서 제2게이트 제어장치(GC2)는 제2게이트(G2)를 열어 고객이 무인 점포(S) 내로 입장하도록 한다. 만일 인증 결과가 인증 실패라면,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열어 고객이 제1게이트(G1)를 통해 외부로 퇴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인증 결과가 인증 실패일 경우, 무인 점포(S)의 제1인증장치(C1)가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새로이 다시 획득할 수도 있다.
단계 518에서 획득한 고객 수 정보로부터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에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열어 고객이 제1게이트(G1)를 통해 외부로 퇴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고객감지센서(SS)가 감지한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이 되면, 제1게이트 제어장치(GC1)는 제1게이트(G1)를 닫을 수 있다.
단계 518에서 획득한 고객 수 정보로부터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안내메시지 송출부(160)는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안내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안내메시지는 제1게이트(G1)와 제2게이트(G2) 사이의 공간에 한 명의 고객만 입장해달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안내메시지 송출부(160)는 음성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스피커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고, 이미지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제2게이트(G2)를 여는 단계 519 이후는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과 상이한 점은, 제1서버(210)와 제2서버(220)가 제3서버(230)로 통합되었다는 점이다. 즉, 단계 511 내지 단계 525는, 제1서버(210)와 제2서버(220)가 제3서버(230)로 통합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한편, 단계 522에서 제3서버(230)로 전송하는 결제수단정보는 고객의 고객정보와 연동되어 있는 것이기에, 결제처리(525)가 완료되면 단계 535에서 제3게이트 제어장치(GC3)는 제3게이트(G3)를 열어, 고객이 퇴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7 및 도 10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도 3 또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GC1: 제1게이트 제어장치 GC2: 제2게이트 제어장치
GC3: 제3게이트 제어장치 G1: 제1게이트
G2: 제2게이트 G3: 제3게이트
C1: 제1인증장치 C2: 제2인증장치
C3: 제3인증장치 10: 무인 점포 시스템
20: 서버 30: 통신망
100: 무인계산장치 110: 제어부
160: 안내메시지 송출부 170: 메모리
210: 제1서버 220: 제2서버
230: 제3서버

Claims (2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하고, 고객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며, 서버로부터 고객정보의 인증을 수신하는, 인증장치;
    상기 인증장치가 인증을 수신하면,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제1게이트를 여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
    사전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고객이 점포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를 여는, 제2게이트 제어장치; 및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할 수 있는 고객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는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를 닫으며,
    제1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는 상기 제2게이트 제어장치가 제2게이트를 열고,
    제1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가 제1게이트를 열며,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이 되면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는 제1게이트를 다시 닫는, 무인 점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고객이 접근하면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제1게이트를 여는, 제1게이트 제어장치;
    사전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고객이 점포에 입장할 수 있도록 제2게이트를 여는, 제2게이트 제어장치;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를 감지할 수 있는 고객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는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를 닫으며,
    제1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는 상기 제2게이트 제어장치가 제2게이트를 열고,
    제1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는 제1게이트를 열며,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이 되면 상기 제1게이트 제어장치는 제1게이트를 다시 닫는, 무인 점포 시스템.
  13. 제5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안내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는 안내메시지 송출부를 더 구비하는, 무인 점포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무인 점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고객으로부터 고객정보를 획득하고, 고객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며, 서버로부터 고객정보의 인증을 수신하는, 인증단계;
    인증을 수신하면,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제1게이트를 여는 단계;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를 닫는 단계;
    제1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만 제2게이트를 여는 단계;
    제1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에는 제1게이트를 다시 여는 단계; 및
    제1게이트가 다시 열린 상태에서,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이 되면 제1게이트를 다시 닫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무인 점포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고객이 접근하면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할 수 있도록 제1게이트를 여는 단계;
    고객이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입장하면 제1게이트를 닫는 단계;
    제1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일 경우에는 제2게이트를 여는 단계;
    제1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제1게이트를 열며,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1명이 되면 제1게이트를 다시 닫는 단계; 및
    제1게이트가 다시 닫히면, 제2게이트를 여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26. 제18항 및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객감지센서가 감지한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고객의 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제1게이트와 제2게이트 사이의 공간에 안내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27.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8항 및 제2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69836A 2020-06-09 2020-06-09 무인 점포 시스템,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436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836A KR102436027B1 (ko) 2020-06-09 2020-06-09 무인 점포 시스템,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836A KR102436027B1 (ko) 2020-06-09 2020-06-09 무인 점포 시스템,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845A KR20210152845A (ko) 2021-12-16
KR102436027B1 true KR102436027B1 (ko) 2022-08-24

Family

ID=7903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836A KR102436027B1 (ko) 2020-06-09 2020-06-09 무인 점포 시스템,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0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029B1 (ko) * 2006-08-09 2007-11-06 엄익식 보안구역의 출입 통제 장치
JP2016062262A (ja) * 2014-09-17 2016-04-25 吉川工業株式会社 供連れ侵入防止ゲート
KR101858530B1 (ko) * 2017-07-14 2018-05-17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무인 점포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무인 계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308A (ko) * 2017-06-26 2018-02-21 주식회사 시큐런스 스피드 게이트 및 출입문 비인가자 검색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029B1 (ko) * 2006-08-09 2007-11-06 엄익식 보안구역의 출입 통제 장치
JP2016062262A (ja) * 2014-09-17 2016-04-25 吉川工業株式会社 供連れ侵入防止ゲート
KR101858530B1 (ko) * 2017-07-14 2018-05-17 주식회사 코리아세븐 무인 점포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무인 계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845A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058B1 (ko) 무인 점포의 결제 처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019066B2 (en) Terminal
KR102333347B1 (ko) 스마트 스토어 중계 시스템 및 방법
JP2009009231A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および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
US1175586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combined transaction by an assignee on behalf of one or more users
WO2019001363A1 (zh) 实体店铺应用系统、用户信息处理方法及装置
WO2020208720A1 (ja) 決済処理システム、決済処理装置、及び決済処理方法
JP2018532211A (ja) 指静脈と指紋を同時にスキャニングしてユーザ認証を処理するマルチ安全ロック機能を有する金融取引中継システムおよびその処理方法
WO2020203378A1 (ja) 無人店舗システムおよび無人店舗管理方法
JP7444160B2 (ja) 店舗システム、決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162679A (ja) 電子決済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電子決済方法、及び電子決済用プログラム
KR20200097671A (ko) 무인 점포의 결제 처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70003B1 (ko) 무인 점포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무인 계산 장치
JP2006178709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2014074972A (ja) 顔画像による本人認証支援システム
KR102436027B1 (ko) 무인 점포 시스템, 무인 점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US20220374853A1 (en) Hybrid autonomous store
WO2021120047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automated teller machine
JP724844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店舗システム
TWI760521B (zh) 智慧商店購物系統及使用其之購物方法
US2021001972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21066000A1 (ja) 店舗システム、店舗サーバ及び店舗システムの処理方法
KR102398182B1 (ko) 안면 또는 홍채 인식을 이용한 인공지능 무인 판매 결제 시스템
WO2014092665A1 (en) Integrat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in self-service machines
KR102365190B1 (ko) 무인 매장 관리 방법 및 무인 매장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