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904B1 -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904B1
KR102613904B1 KR1020230089445A KR20230089445A KR102613904B1 KR 102613904 B1 KR102613904 B1 KR 102613904B1 KR 1020230089445 A KR1020230089445 A KR 1020230089445A KR 20230089445 A KR20230089445 A KR 20230089445A KR 102613904 B1 KR102613904 B1 KR 10261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igarette
vending machine
kiosk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표
이정용
Original Assignee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2Vending machines being part of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of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자판기를 통해 담배를 구매하는 구매자의 성인인증과 결제를 수행하는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여 지도의 화상에 설정된 관심영역을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상기 관심영역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흡연구역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KIOSK FOR CIGARETTE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담배자판기가 설치된 주변 흡연구역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자판기(자동판매기)는 커피, 음료, 티켓, 위생용품 등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비치하여 노동집약적 산업구조에서 기술집약적 산업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대량생산, 대량소비, 소비패턴 변화 등의 마케팅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개발된 유통구조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결제와 인증 기술의 발달로 키오스크를 통해 성인의 인증이 가능해지면서 미성년자가 구매하지 못했던 담배의 품목을 취급하는 담배자판기가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담배자판기를 이용하는 구매자는 키오스크에서 기호에 맞는 담배를 버튼 또는 키패드를 매개로 선택하고, 성인인증 절차를 거친 후 현금이나 카드를 투입하여 결제를 수행함으로써 담배를 수령한다. 담배자판기에는 결제와 성인인증을 진행하는 결제 모듈이 키오스크의 형태로 일체화되어 보급되거나, 담배자판기와 연동되는 별도의 키오스크로 보급되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간접흡연의 위험성이 충분히 알려지지 않았던 과거에는, 흡연자들이 길거리에서 자유롭게 흡연을 할 수 있었고, 더구나 실내에서의 흡연까지도 일반적으로 허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시민들의 보건 의식과 시민 의식이 발전하면서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실내에서의 흡연금지는 물론이고, 실외일지라도 지정된 구역에서만 흡연을 할 수 있도록 강제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국민건강증진법에서 간접흡연의 피해를 방지하는 법규가 도입되었으며, 금연구역에서 흡연시 소정의 범칙금이 부과된다. 특히, 한국은 시민의식이 높고 흡연 단속이 자주 이루어지는 편이어서 대부분의 흡연자들이 흡연 전 흡연구역을 찾는다.
하지만, 흡연구역은 공공시설의 경우 법규 또는 규정에 따라 설치되고 일반 길거리의 경우에는 건물 관리인에 의해 임의적으로 형성된다. 평소 해당 지역에 연고가 없는 일반인이라면 흡연구역에 대한 명확하고 쉬운 접근성 있는 정보가 부족하다. 특히, 일반 자영업 매장의 점주들은 흡연구역의 위치를 알려주는 안내판이나 표지판을 눈에 띄도록 설치하지 않는다. 매장의 점주 입장에서는 매장 이용객이 지정된 위치에서만 흡연하여 꽁초의 처리가 편해지는 것을 원하지만, 그렇다고 눈에 띄게 흡연구역을 표시하면 손님이 아닌 일반 길거리의 흡연자들까지 몰려와 꽁초 처리의 양이 늘어나며 다른 사람의 쓰레기를 치워주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흡연자 입장에서는 평소 익숙한 지역이 아니라면 흡연구역을 찾는 것이 번거롭다. 공공시설의 경우 부스 형태의 흡연구역을 지역단체의 관리하에 설치하여 흡연구역의 위치를 안내하기도 하지만, 편의점이나 식당 및 주택가와 같은 일반 거리에는 청소미화원이나 건물 관리인, 또는 매장의 점주가 자비를 들여 흡연구역의 설치와 안내 표지판을 설치할 유인이 적다. 흡연자는 흡연구역이 어디에 위치한지 모르고 골목을 이리저리 돌아보다가, 재떨이 형태로 쓰레기통을 마련한 장소를 발견하면 그곳을 묵시적 흡연구역으로 판단하여 흡연을 하게 된다. 아무리 시민 의식이 높을지라도, 흡연구역을 찾다가 지치면 인적이 드문 아무 골목길에서 흡연 후 꽁초를 무단으로 투기하게 되는 것이 사람의 심리이다.
특히, 담배자판기에 담배를 구매하는 구매자는 즉시 흡연 욕구가 있다. 구매자는 흡연 욕구가 생겨 즉시 흡연을 하고 싶으나, 당장 담배가 떨어져서 담배를 구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담배는 즉시 사용되는 소모품의 성격을 가지며, 흡연자는 담배를 여러 갑 씩 여유있게 몸에 지니고 다니지 않는다. 흡연 욕구가 강한 구매자가 무인 매장 등에 마련되는 담배자판기에서 담배를 구매하면, 근처의 흡연구역을 찾기에 물어볼 점원이 없는 이상, 스스로 흡연구역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흡연구역을 찾기가 어렵거나 또는 인적이 드문 시간이라면, 담배 구매자는 구매 즉시 무인매장 주변 아무 곳에서 흡연한 다음 꽁초를 투기하여 무인 매장의 관리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정리해보면, 흡연구역은 구역설정의 일관성 부족과 접근성 있는 정보의 부족으로 흡연자들이 찾기 어렵다. 지역 차원에서 관리되는 공적 장소가 아닌, 대다수의 지역에서는 흡연구역을 임의로 설정한다. 일반 거리에서의 흡연구역은, 빈 깡통 등이 재떨이로 설치되어 별도의 흡연구역이라는 팻말 없이 흡연구역이 지정되어 관리된다. 흡연자들은 접근성 있는 정보를 얻기 어려워 흡연구역을 찾는데 혼란을 겪기도 하며, 특히 무인 매장과 같이 관리자가 없고 흡연 구역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구매 당시의 흡연 욕구에 못이겨 매장 주변에서 흡연 후 꽁초를 투기하여 무인 매장의 운영 관리에 어려움을 주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21-000708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담배자판기와 연동되는 키오스크로 점주가 지정한 흡연구역이 표시되어, 담배를 구매한 구매자가 담배를 구입시 주변의 흡연구역을 자연스럽게 확인하여, 구입한 담배를 지정된 구역에서 흡연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담배자판기를 통해 담배를 구매하는 구매자의 성인인증과 결제를 수행하는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여 지도의 화상에 설정된 관심영역을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관심영역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흡연구역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담배자판기가 마련되는 지도상 위치의 정보가 기준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표시부는 지도의 화상에 상기 기준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관심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지도의 화상에 설정된 상기 관심영역을 로드뷰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로부터 상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는 로드뷰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는 키오스크의 설정을 셋팅하는 관리자 모드의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관심영역을 설정받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담배자판기를 통해 담배를 구매하는 사용자의 성인인증과 결제를 수행하는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에서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여 지도의 화상에 설정된 관심영역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담배자판기를 통해 담배를 구매하는 구매자가 담배를 구입시 주변의 흡연구역을 키오스크를 통해 자연스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자는 관리자가 없더라도 구매 즉시 흡연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 근처의 지정된 장소로 유도되어 흡연하게 되고, 담배자판기를 도입한 점주는 청결한 매장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주는 제어부가 제공하는 관리자 모드를 통해서 지도 화상에 현재 매점의 위치를 기준영역으로 설정하고, 자신이 청소 및 관리하기 용이한 영역으로 재떨이를 설치한 임의적 흡연구역을 관심영역으로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점주 입장에서는 흡연구역 설정의 자유도와 편의성이 부여되면서, 이러한 임의적 흡연구역은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구매자에게만 제공됨에 따라 매장을 이용하지 않는 일반인들의 꽁초까지 관리해야 하는 부담도 완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기준영역 설정 모습이 표시부에 출력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서 수행되는 관심영역 설정 모습이 표시부에 출력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에서 담배 구매시 출력되는 흡연구역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배자판기를 나타낸다.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 및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며, 이를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 및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본 문서에 기재된 각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대체물(alternatives) 및 각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조합된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 및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권리 범위는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 및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포함할 수 있다", "구비한다", "구비할 수 있다", "가진다", "가질 수 있다" 등과 같은 표현들은, 대상이 되는 특징으로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이 존재함을 의미하며, 다른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즉, 이와 같은 표현들은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항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A, B, 및 C," "A, B, 또는 C," "A, B, 및/또는 C" 또는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A, B, 및/또는 C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각각의 나열된 항목 또는 나열된 항목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및 B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는, (1) A, (2) A 중 적어도 하나, (3) B, (4) B 중 적어도 하나, (5) A 중 적어도 하나 및 B 중 적어도 하나, (6) A 중 적어도 하나 및 B, (7) B 중 적어도 하나 및 A, (8) A 및 B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에 기초하여"라는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기술되는,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인자를 기술하는데 사용되고, 이 표현은 해당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인자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어떤 구성요소(예컨대,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컨대, 제2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는 표현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는 것뿐 아니라,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예컨대, 제3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 또는 접속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configured to)"은 문맥에 따라, "~하도록 설정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등의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이루어진(consist)의 의미와 구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및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등한(substantially equivalent)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으나, 이는 해당 구성요소가 그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10)의 구성도이다.
키오스크(10)는 담배자판기(1) 상에 일체형으로 탑재되거나, 담배자판기(1)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키오스크(10)가 담배자판기(1) 상에 일체형으로 탑재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키오스크(10)는 담배자판기(1)를 통해 담배를 구매하는 구매자의 성인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100)과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모듈(200)과 연동되고, 데이터베이스부(11), 제어부(13), 및 표시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1)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지도 데이터는 로드뷰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GIS는 지리정보를 컴퓨터 데이터로 변환하여 활용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을 의미한다. GIS는 지리적 위치를 갖고 있는 대상에 대한 위치자료와 속성자료를 통합 관리하여 지도, 도표 및 그림들과 같은 여러 형태의 정보를 제공한다. GIS는 토지, 자원, 도시, 환경, 교통, 농업, 해양 및 국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GIS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GIS 데이터는 지리적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치의 형태로 표현한다. 모든 지리정보가 수치데이터의 형태로 저장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필요한 형식에 맞추어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데이터베이스부(11)는 GI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GIS 소프트웨어는 독립실행형 소프트웨어, 데스크톱 GIS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GIS 소프트웨어를 취급하는 업체로는 ESRI, Autodesk, ERDAS, Intergraph, MapInfo 등이 있다. 일 예시로, ESRI의 ArcGIS Engine이나 MapInfo의 MapX와 같은 GIS 소프트웨어는 컴포넌트 기반으로 개발되어 사용자에게 GIS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개발환경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부(11)는 키오스크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GIS 소프트웨어를 상기의 예시된 업체들로부터 연동하여 프로그램의 형태로 공급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1)는 개발환경을 제공하는 독립실행형 GIS 소프트웨어가 탑재될 수 있으며, GIS 소프트웨어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데이터베이스부(11)는 GIS의 서버를 이용하여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GIS 서버는 클라이언트/서버 형식의 GIS 소프트웨어, 웹 지도 서비스를 위한 Web Map Server, 그리고 웹 GIS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서버 GIS 개발환경 등의 웹 GIS 서비스 형식이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ESRI의 웹 GIS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로 “ArcGIS server, online”이 있으며, 웹 GIS 애플리케이션 개발환경을 제공하고, 2D 맵 또는 3D 글로브 및 레이어 데이터를 웹 서비스 형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1)는 상기와 같이 개발환경을 제공하는 GIS 웹 서비스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키오스크의 설정을 세팅하는 관리자 모드의 기능을 제공하고, 담배자판기(1)가 마련되는 지도상 위치의 정보가 기준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관리자 모드에서,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여 사용자로부터 관심영역을 설정받을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준영역과 관심영역의 용어를 정의한다. 기준영역이란, 지도 화상에서 주변의 지도를 표시하는 기준점이 되며, 중앙부에 표시되는 영역이 될 수 있고, 담배자판기(1)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영역이 될 수 있다. 관심영역이란, 지도 화상에서 표시되는 영역으로 담배자판기(1)가 설치된 위치인 기준영역의 주변으로 설정된 흡연구역을 나타내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에서 수행되는 기준영역(P) 설정 모습을 나타낸다. 담배자판기(1)를 구매한 사용자는 제어부(13)가 제공하는 관리자 모드를 실행하여 자판기의 상태나 키오스크의 옵션 등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는 제어부(13)의 관리자 모드에서 기준영역(P)을 설정하는 모습이 표시부(15)에 출력된 실시예이다. 제어부(13)는 관리자 모드를 통해 기준영역(P) 설정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제어부(13)가 제공하는 기준영역(P) 설정 화면은 표시부(1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준영역(P) 설정을 위해 지도 화상과 함께, 표시부(15)에는 영역설정 안내 박스(151)와 지도 검색 박스(153)가 표시될 수 있다.
영역설정 안내 박스(151)는 현재 출력된 지도 화상에서 어떤 영역을 설정하는지 안내하는 라벨이다. 본 실시예로, 기준영역(P)을 설정하는 영역설정 안내 박스(151)는 담배자판기(1)가 설치된 위치를 물어보는 안내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정리하면, 영역설정 안내 박스(151)는 담배자판기(1)가 설치된 위치 또는 현재 위치, 또는 매장의 위치를 사용자로 하여금 지정하도록 하는 안내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지도 검색 박스(153)는 사용자가 기준영역(P)을 설정하기 위해 현재 매장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 UI를 의미한다. 지도 검색 박스(153)는 지번 주소 또는 도로명 주소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 창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지도 검색 박스(153)에 담배자판기(1)가 도입된 현재 매장의 위치를 검색한다. 표시부(15)는 지도 검색 박스(153)에 입력된 위치를 지도 화상으로 표시하며, 지도 화상의 해당 위치에 기준영역(P)이 마킹된다.
본 실시예로, 표시부(15)는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실외나 길거리와 같이 정확한 위치 지정이 어려운 곳에 담배자판기(1)가 설치된 경우, 근처의 위치를 지도 검색 박스(153)를 이용하여 검색한 뒤, 확대/축소 아이콘(155)을 클릭하여 지도 화상을 확대할 수 있고, 담배자판기(1)가 위치하게 되는 영역을 정확히 확인한 뒤 클릭하여 기준영역(P)을 마킹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5)는 거리뷰 아이콘(156)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현장의 사진을 확인하면서 기준영역(P)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15)는 사용자가 기준영역(P)을 설정하기 위한 지도 화상을 제공하며, 디스플레이상에 기준영역(P) 설정을 안내하는 영역설정 안내 박스(151)와, 지도 검색 박스(153)를 출력하고, 보다 정확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확대/축소(155) 기능과 로드뷰(156)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에서 수행되는 관심영역(S) 설정 모습을 나타낸다. 관리자 모드에서, 도 2에 따른 기준영역(P)의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3)는 다음 화면으로 관심영역(S) 설정 화면을 제공하며 제어부(13)가 제공하는 관심영역(S) 설정 화면은 표시부(1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흡연구역 설정을 위한 영역설정 안내 박스(151)를 출력한다. 이 때의 영역설정 안내 박스(151)에는 ‘흡연구역을 설정해주세요’와 유사한 안내문구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지도의 종류를 선택하는 지도설정 박스(152)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지도설정 박스(152)는 도식화된 일반 지도로 지도 화상을 표출하거나, 위성 지도로 실사 기반의 모습을 지도 화상으로 표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도설정 박스(152)에서 지도 화상의 모습을 선택할 수 있다.
표시부(15)는 상기의 일련의 과정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며, 사용자는 표시부(15)의 터치 스크린 또는 키패드의 입력으로 관심영역(S)을 설정한다. 관심영역(S)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청소 및 관리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지정한 흡연구역이 지정된다. 따라서, 임의로 지정된 흡연구역은 지도상 정확한 주소로 위치를 표시할 수 없으므로, 거리뷰(156) 또는 위성지도(152)로 매점 주변의 모습을 확인해서 정확한 위치로 지정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위성사진 기반 또는 거리뷰 기반의 지도 화상을 통해 자신이 설정하고자 하는 흡연구역의 모습을 확인한 후 해당 위치를 클릭하여 관심영역(S)을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된 관심영역(S)은 담배자판기(1)를 이용한 구매자(이용자)가 흡연구역의 정확한 위치와 흡연구역의 현장 사진을 개략적으로 인지하여 어려움 없이 근처의 흡연구역으로 찾아갈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5)에서 수행되는 흡연구역의 출력 모습을 나타낸다. 관리자 모드를 통해 기준영역(P)과 관심영역(S)의 설정이 완료되면, 표시부(15)는 구매 결제가 완료된 경우,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여 지도의 화상에 설정된 관심영역(S)을 키오스크(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5)는 지도의 화상에 기준영역(P)을 중심으로 관심영역(S)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5)는 지도의 화상에 설정된 상기 관심영역(S)을 로드뷰로 표시할 수 있다.
구매자는 담배를 구매한 즉시, 의도치 않아도 주변의 흡연구역을 지도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더 자세히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표시부(15)에 있는 지도설정 박스(152) 또는 거리뷰(156) 또는 확대/축소(155)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배자판기(30)를 나타낸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담배자판기(30)는 외부의 키오스크(10)와 연동되는 독립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키오스크(10)와 일체화된 담배자판기(1)의 모습을 예시하였으나, 도 1의 담배자판기(1)도 이하에서 설명할 담배자판기(30)의 실시예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담배 자판기(30)는 본체 하우징(31), 하우징 커버(33), 디스펜서(34), 디스플레이(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배 자판기(30)의 디스펜서(34) 어레이와 토출 모터부(343)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품 수납부(341)는 담뱃갑의 밑면 또는 윗면이 전면을 향하도록 눕혀져 놓여지고, 동종의 담뱃갑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어, 담뱃갑의 폭(두께) 길이가 적재높이를 형성하도록 제공된다.
제품 수납부(341)는 5개 내지 10개의 담뱃갑을 수용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고 측면과 후면에 격벽이 구성되며, 전면에는 제품 수납부(341) 내의 담뱃갑이 보이도록 절개홈이 형성된 브라켓이 체결될 수 있다.
제품 수납부(341)는 담뱃갑을 수직 방향으로 적재한다. 담뱃갑은 직육면제의 구조이며 일반적으로 너비 55mm~82mm, 높이 85mm~125mm, 두께 20mm~42mm로 제작된다. 제품 수납부(341)는 가로 길이가 담뱃갑의 너비에 해당하는 55mm~82mm, 세로 길이가 담뱃갑의 높이에 해당하는 85mm~125mm의 규격으로 베이스(B)가 형성될 수 있다. 제품 수납부(341)에 적재되는 담뱃갑은 두께에 해당되는 20mm~42mm의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제품 수납부(341)는 담뱃갑의 밑면(바닥) 또는 윗면(상면)이 제품 수납부(341) 상에 토출되는 방향인 전면(정면)을 향하도록 눕혀져서 적재되며, 이러한 수직 방향의 적재는 수납부(341)의 선반 크기와 구성을 간소화 시킬 수 있는 수납방식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적재방식은, 수납부 상에 담뱃갑이 세워져서 놓여지며, 놓여진 담뱃갑의 뒤쪽으로 담뱃갑이 적재되는 수평 방향의 적재와 구분된다. 수평 방향의 적재는 담뱃갑을 전면으로 밀어내는 토출 수단과 선반이 복잡하게 구성되어야 하며, 품목과 품목 사이를 분별하는 칸막이가 마련되어야 한다. 수평 방향의 적재는 무거운 품목을 취급하는 경우, 바람직한 수납 타입이 될 수 있다.
한편, 담배와 같이 가볍고, 직육면체로 규격화된 품목은 적층되어도 구겨지거나 변형되지 않으므로, 수직형 적재 방식이 자판기의 제품 간소화에 유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 수납부(341)는 베이스(B)의 면적이 거의 담뱃갑의 면적 규격과 유사하게 설계됨에 따라 토출 수단에서 설계상 제약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토출 수단이 재고가 남아있지 않은 상태와 잔량의 정보를 카운팅 할 수 있는 토출 모터부(343)의 실시예를 개시한다.
토출 모터부(343)는 제품 수납부(341)의 베이스(B)를 구성하며, 베이스(B)에 놓여진 담뱃갑을 전면 방향으로 밀어내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토출 모터부(343)는 모터 본체(3430), 푸쉬바(3431), 체크센서(3432), 받침대(3433), 및 이탈방지판(3434)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본체(3430)는 상면이 제품 수납부(341)의 베이스(B)를 구성하고, 모터 본체(3430)의 내부에는 전력이 인가되어 구동되는 모터가 수납될 수 있으며, 모터의 동력은 푸쉬바(3431)에 전달된다. 모터 본체(3430)에는 상면인 베이스(B)면에 푸쉬바(3431)가 진퇴될 수 있는 슬라이드 홈이 절개 형성될 수 있다.
푸쉬바(3431)는 모터의 회동력으로 모터 본체(3430)의 상면에서 슬라이드 구동될 수 있다. 푸쉬바(3431)는 적재된 담뱃갑의 밑면 또는 윗면에 접촉되어 담뱃갑을 밀어낸다.
체크센서(3432)는 모터 본체(3430)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담뱃갑이 놓여진 유무(有無)를 감지할 수 있다. 체크센서(3432)는 담뱃갑의 하중으로 눌려지는 토글 핀을 포함할 수 있고, 토글핀이 눌려져 모터 본체(3430) 내측의 센서에 접촉되면 재고가 남아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센서에 접촉되지 않으면 재고가 없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체크센서(3432)는 현재 디스펜서(34)에 담뱃갑이 남아있는지 여부만을 감지하는 것으로, 재고의 유무(有無)를 체크하는 것이지 재고의 잔량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아님에 주의한다.
받침대(3433)는 푸쉬부(3431)의 구동시 하방향으로 토글될 수 있다. 받침대(3433)는 담뱃갑을 배출할 때 충분히 낙하할 수 있는 위치까지 담뱃갑을 지지한다.
이탈방지판(3434)는 담뱃갑이 전면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절곡된 걸림턱을 형성한다. 이탈방지판(3434)은 받침대(3433)와 마찬가지로 담뱃갑이 충분히 낙하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푸쉬부(3431)의 구동시 받침대(3433)와 함께 하방향으로 토글된다.
이상에서 서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 및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한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담배자판기
10: 키오스크
11: 데이터베이스부
13: 제어부
15: 표시부
151: 영역설정 안내 박스
152: 지도설정 박스
153: 지도 검색 박스
155: 확대/축소 아이콘
156: 거리뷰 아이콘
100: 인증 모듈
200: 결제 모듈

Claims (7)

  1. 담배자판기를 통해 담배를 구매하는 구매자의 성인인증과 결제를 수행하는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
    담뱃갑의 밑면 또는 윗면이 전면을 향하도록 눕혀져 놓여지고, 동종의 담뱃갑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어, 담뱃갑의 폭 길이가 적재높이를 형성하는 제품 수납부;
    상기 제품 수납부의 베이스를 구성하며, 베이스에 놓여진 담뱃갑을 전면 방향으로 밀어내 토출시키는 디스펜서;
    상기 디스펜서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다수개 어레이되어, 상기 디스펜서로부터 토출되어 낙하한 담뱃갑이 외부로 배출되는 제품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커버; 및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여 지도의 화상에 설정된 관심영역을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면이 상기 제품 수납부의 베이스를 구성하고, 모터가 수용된 모터 본체와 상기 모터의 회동력으로 상기 모터 본체의 상면에서 슬라이드 구동되는 푸쉬바가 구비된 토출 모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관심영역으로 사용자가 지도 데이터에서 위치를 지정한 흡연구역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자판기가 마련되는 지도상 위치의 정보가 기준영역으로 설정되고,
    상기 표시부는,
    지도의 화상에 상기 기준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관심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지도의 화상에 설정된 상기 관심영역을 로드뷰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5. 제 1 항에 있어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로부터 상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는,
    로드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6. 제 1 항에 있어서,
    키오스크의 설정을 셋팅하는 관리자 모드의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를 로딩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관심영역을 설정받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7. 삭제
KR1020230089445A 2023-07-10 2023-07-10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KR10261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445A KR102613904B1 (ko) 2023-07-10 2023-07-10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445A KR102613904B1 (ko) 2023-07-10 2023-07-10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904B1 true KR102613904B1 (ko) 2023-12-15

Family

ID=8912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445A KR102613904B1 (ko) 2023-07-10 2023-07-10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9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683A (ko) * 2007-07-31 2009-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KR20200122019A (ko) * 2019-04-17 2020-10-2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 탈출용 슬라이딩 시스템
KR20200142700A (ko) * 2019-06-13 2020-12-23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차량의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7089A (ko) 2019-07-10 2021-01-20 이병희 담배꽁초 회수 및 담배판매 관리 시스템, 그리고 관리 방법
KR102258810B1 (ko) * 2021-01-22 2021-06-02 하나시스 주식회사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683A (ko) * 2007-07-31 2009-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KR20200122019A (ko) * 2019-04-17 2020-10-2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상 탈출용 슬라이딩 시스템
KR20200142700A (ko) * 2019-06-13 2020-12-23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차량의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7089A (ko) 2019-07-10 2021-01-20 이병희 담배꽁초 회수 및 담배판매 관리 시스템, 그리고 관리 방법
KR102258810B1 (ko) * 2021-01-22 2021-06-02 하나시스 주식회사 성인인증이 필요한 제품판매용 무인판매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2032B2 (en) Ordering items of playable content or other works
TWI514337B (zh) Carrying information machines, photographic device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s
US7756754B2 (en) Method for providing on-line shopping search service and system thereof
US200201239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bles
EP1211623A2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customers to product locations within a store
CN103959325A (zh) 基于位置感应来交换物品的基于位置增强现实系统和方法以及相关装置
CA2802748A1 (en) Consumer-operated kiosks for buying and/or selling consumer produc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TW201001325A (en) Franchise add-on system, user operating terminal therefor, in-store stock rack, supplement stock rack, and computer program
CN107507037A (zh) 服务器、赠品栏的赠品推送方法及存储介质
Spanopoulos et al. Retail price and point of sale display of tobacco in the UK: a descriptive study of small retailers
US80963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empty packaging
KR101657585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해시 태그 기반 상품 거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613904B1 (ko)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CN110858378A (zh) 评价信息的展示方法及订单创建方法、加购方法、装置
JPH11328222A (ja) 情報端末検索機
KR102555519B1 (ko) 자판기 세부정보 알림 시스템 및 방법
AU7212400A (en) Method and system for membership sales in internet shopping mall
KR20000036552A (ko) 별도의 플러그 인이 없이 3차원적 입체도시구조물을컴퓨터그래픽으로 작성한 지도와 3차원적 도시시설물의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한 후 두 가지를 상호 조합하여 실제지역상가(상권)를 3차원 데이터 베이스 구조로 가지게하여 지역밀착형 인터넷 컨덴트의 제공과 지역밀착형 전자상거래를 행하기 위한 방법
JP2019200568A (ja) 自動販売機システム、及び自動販売機
EP0729625B1 (fr) Machine servant a recueillir et a recuperer les boites en aluminium
JP2006318227A (ja) 自動販売機、サーバ及び景品抽選システム
JP2006107058A (ja) オンライン注文システム及びその送料調整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90038321A (ko) 온라인의 상점지도와 마일리지 활용한 온라인 복권 마케팅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70092B1 (ko) 인터넷상에서 상품만족도에 의한 상품정보 검색방법
KR20220045598A (ko) 위치 기반 마트 물건값 비교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건 구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