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683A -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683A
KR20090012683A KR1020070076706A KR20070076706A KR20090012683A KR 20090012683 A KR20090012683 A KR 20090012683A KR 1020070076706 A KR1020070076706 A KR 1020070076706A KR 20070076706 A KR20070076706 A KR 20070076706A KR 20090012683 A KR20090012683 A KR 20090012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ap
lever
refrigerator
chut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5945B1 (ko
Inventor
정경한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945B1/ko
Priority to PCT/KR2007/005997 priority patent/WO2009017285A1/en
Publication of KR2009001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제빙장치와 이를 통해 만들어진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탱크와 상기 얼음을 슈트(Chute)로 이송하는 푸시부재와 상기 푸시부재를 구동시키는 디스펜서모터를 구비한 냉장고에 적용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되는 메인 브라켓; 상기 메인 브라켓의 일측에 레버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 상기 레버 회전축에 연결되어 레버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래크를 구비한 레버 링키지(Linkage); 상기 메인 브라켓의 일측에 덕트캡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슈트를 개폐하는 덕트캡(Duct Cap); 상기 덕트캡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레버 링키지의 푸시작용으로 회전하여 상기 덕트캡을 회전시키는 덕트캡 링키지; 상기 덕트캡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캡이 상기 슈트를 폐쇄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래크와 연결되어 상기 덕트캡이 상기 슈트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그 회전의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냉장고, 얼음, 디스펜서, 레버, 댐퍼

Description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DISPENSER ASSEMBLY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이송통로인 슈트를 개폐하는 덕트캡의 구동수단으로 고가인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던 종래 기술과 달리 비교적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춰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제빙장치를 내장하고 있는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내부에 각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제빙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제빙장치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아이스탱크에 보관중인 얼음을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도어(D)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부(12)가 오목한 공간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D)에 인접한 냉장고의 내측에는 제빙장치(미도시)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탱크(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아이스탱크(2)의 내부에는 얼음(I)이 보관되어 있다.
상기 아이스탱크(2)의 내부에는 얼음(I)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 한 푸시부재(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푸시부재(4)는 그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펜서모터(M)에 의해 회전하면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부(12)와 연통하는 통로인 슈트(Chute: 6)로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슈트(6)의 디스펜서부(12) 방향 끝단에는 상기 슈트(6)를 개폐하는 덕트캡(Duct Cap: 10)이 설치되어 상기 슈트(6)가 개방되면 얼음(I)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덕트캡(10)을 통한 슈트(6)의 개폐와 관련된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덕트캡(10)의 상단부는 레버(13)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레버(13)의 회동에 의해 상기 덕트캡(10)이 상기 슈트(6)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레버(13)의 일단에 구비된 작동돌기(13a)는 솔레노이드(11)의 동작바(11a)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덕트캡(10)이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슈트(6)를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13)는 스프링(15)에 의해 항상 상기 슈트(6)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얼음(I)을 인출하고자 사용자가 컵과 같은 일정 용기를 디스펜서부(12)에 밀어넣어 레버(13)를 후방으로 밀면, 도 1에 도시된 스위치(8)가 눌려지면서 온(On)상태로 되고, 그에 따라 디스펜서모터(M)와 솔레노이드(11)가 함께 온상태로 된다. 따라서 디스펜서모터(M)에 의해 푸시부재(4)가 회전하면서 내부의 얼음(I)을 슈트(6) 측으로 보내게 되고, 이와 동시에 솔레노이드(11)가 작동하여 덕트캡(10)이 회전하여 상기 슈트(6)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인출되는 얼음(I)은 디스펜서부(12) 내에 있는 용기에 담겨져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냉장고용 디스펜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자장을 발생시키는 아마츄어를 자력으로 당기는 솔레노이드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아마츄어의 금속성 마찰소음 및 전원의 통전시 발생하는 자장의 포호로 인한 전기적 소음의 문제가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내부 코일에 전원을 인가할 때 발생하는 발열로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부품의 열적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발열에 의해 냉장고의 냉장효율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와 같이 상대적으로 고가의 부품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디스펜서모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관상 좋지 않고, 잦은 사용에 따라 눌려졌을 때 생기는 틈사이에 이물질이 끼게 됨으로써 세균의 온상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작동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얼음이송통로인 슈트를 개폐하는 덕트캡의 구동수단으로 고가인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던 종래 기술과 달리 비교적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춰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솔레노이드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을 해소하도록 한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또한, 디스펜서모터를 작동시키는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냉장고의 도어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 즉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발생하는 외관상의 문제나, 잦은 사용에 따라 눌려졌을때 생기는 틈사이에 이물질이 끼게 됨으로써 세균의 온상이 될 뿐만 아니라 오작동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 들을 해소하도록 한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는 제빙장치와 이를 통해 만들어진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탱크와 상기 얼음을 슈트로 이송하는 푸시부재와 상기 푸시부재를 구동시키는 디스펜서모터를 구비한 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되는 메인 브라켓과, 상기 메인 브라켓의 일측에 레버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 와, 상기 레버 회전축에 연결되어 레버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래크를 구비한 레버 링키지와, 상기 메인 브라켓의 일측에 덕트캡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슈트를 개폐하는 덕트캡과, 상기 덕트캡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레버 링키지의 푸시작용으로 회전하여 상기 덕트캡을 회전시키는 덕트캡 링키지와, 상기 덕트캡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캡이 상기 슈트를 폐쇄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래크와 연결되어 상기 덕트캡이 상기 슈트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그 회전의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댐퍼는 상기 래크와 치합되는 제1기어와, 기어축을 매개로 상기 제1기어와 연결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가 일정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하는 원웨이베어링과, 상기 제2기어와 치합되는 감속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펜서모터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가 추가로 마련되고, 상기 레버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 구동편이 추가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일단이 상기 레버 링키지의 일측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 브라켓의 일측에 지지되는 보조 코일 스프링이 추가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로는 마 이크로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덕트캡의 상면에는 상기 슈트를 실링하는 슈트 실링부재가 추가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래크는 아래쪽 방향으로 휘어진 만곡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덕트캡 링키지는 윗쪽 방향으로 휘어진 만곡형상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100)는 슈트(6)를 개폐하는 덕트캡(130)의 구동수단으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비교적 고가인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통해 해결하기 때문에 제품단가를 낮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솔레노이드의 사용에 따른 제문제, 즉 아마츄어의 금속성 마찰소음 및 전원의 통전시 발생하는 전기적 소음의 문제나, 솔레노이드 내부 코일에 전원을 인가할 때 발생하는 발열로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부품에 생길 수 있는 열적변형의 문제, 및 이러한 발열에 의해 냉장고의 냉장효율을 저하시키는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댐퍼(150)의 감속기어(158)와 연결되는 제2기어(154b)가 원웨이베어링(156)을 매개로 기어축(152)과 연결되어 일정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레버(120)가 컵(C)과 같은 용기에 밀려 후방으로 회전할 때,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래크(124a)에 의해 제1기어(154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상 기 제2기어(154b)는 상기 원웨이베어링(156)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1기어(154a)의 회전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게 됨으로써 무회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컵(C)으로 레버(120)를 후방으로 미는 과정에서는 상기 댐퍼(150)의 완충작용에 따른 반작용력을 받지 않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사용자가 컵(C)을 회수하여 레버(120)에 작용되었던 외력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제1기어(154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기어(154b) 역시 시계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이와 치합되어 있는 감속기어(158) 역시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제1기어(154a) 및 제2기어(154b)의 회전을 감속함으로써 상기 슈트(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덕트캡(130)이 회전하는 것에 대한 완충작용의 이점이 있다.
또한, 디스펜서모터(M)를 작동시키는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16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냉장고의 도어(D)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 즉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발생하는 외관상의 문제나, 잦은 사용에 따라 눌려졌을 때 생기는 틈사이에 이물질이 끼게 됨으로써 세균의 온상이 될 뿐만 아니라 오작동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 들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덕트캡이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작동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덕트캡이 폐쇄되는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 작동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100)는 제빙장치(미도시)와 이를 통해 만들어진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탱크(2)와 상기 얼음을 슈트(6)로 이송하는 푸시부재(4)와 상기 푸시부재(4)를 구동시키는 디스펜서모터(M)를 구비한 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그 단면이 대략 역L자 형상을 갖는 메인 브라켓(110)에 주요 구성요소를 장착하여 냉장고의 도어(D)에 형성된 디스펜서부(102) 상단에 체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메인 브라켓(110)의 일측 상단에는 상기 메인 브라켓(110)을 상기 디스펜서부(102) 상단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돌기(11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메인 브라켓(110)에 장착되는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메인 브라켓(110)의 일측에 레버 회전축(122)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120)가 마련된다. 상기 레버(120)는 사용자가 얼음을 인출하고자 할 때, 얼음을 담을 수 있는 컵과 같은 용기를 통해 후방으로 밀려지는 부재이다.
상기 레버 회전축(122)에는 상기 레버(12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레버 링키지(124)가 연결된다. 상기 레버 링키지(124)의 일측에는 후술할 댐퍼(150)의 제1기어(154a)와 치합되도록 구성되는 래크(124a)가 상기 레버 링키지(12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래크(124a)는 아래쪽 방향으로 휘어진 만곡형상을 가지며 상면에 상기 제1기어(154a)의 톱니와 치합되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버 링키지(124)의 일측에 그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 브라켓(110)에 지지되는 보조 코일 스프링(128)이 마련된다. 상기 보조 코일 스 프링(128)은 후술할 덕트캡(13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136)을 보조하는 한편, 상기 레버 링키지(124)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136)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1차적으로 상기 덕트캡(130)이 상기 슈트(6)를 폐쇄하도록 상기 덕트캡(13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2차적으로 상기 레버(120)가 최초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작용에도 기여하기 때문에 잦은 사용에 따른 노화로 탄성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100)는 이를 보조하기 위해 전술한 보조 코일 스프링(128)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코일 스프링(136)의 노화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 즉 상기 덕트캡(130)이 상기 슈트(6)를 불완전하게 폐쇄하여 냉기가 유출됨으로써 냉장고용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한다.
상기 메인 브라켓(110)의 일측에는 또한 덕트캡 회전축(132)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아이스탱크(2)와 연통하는 슈트(6)를 개폐하는 덕트캡(130)이 마련된다. 상기 덕트캡(130)은 상기 슈트(6)를 폐쇄하는 동안 상기 슈트(6) 내부의 냉기가 잘 유지되도록 단열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덕트캡(130)의 상면에는 상기 슈트(6)의 끝단부 접촉면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슈트(6)를 실링(Sealing)하는 슈트 실링부재(131)가 마련된다. 상기 슈트 실링부재(131)는 상기 슈트(6)의 끝단부 접촉면과 완벽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플랙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단열특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재로는 접촉면재와의 접착성이 뛰어나고, 단열성능효과가 탁월하며 가공성이 뛰어난 폴리우레탄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덕트캡 회전축(132)에는 상기 레버(120)의 회전시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레버 링키지(124)의 푸시작용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덕트캡(130)을 회전시키는 덕트캡 링키지(134)가 마련된다. 상기 덕트캡 링키지(134)는 윗쪽 방향으로 휘어진 만곡형상을 갖는다. 이는 상기 레버 링키지(124)의 푸시작용에 의한 회전시 상기 레버 링키지(124)의 작은 푸시력만으로도 효율적으로 그 힘을 전달받아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동일 길이에 비해 회전반경을 작게 함으로써 디스펜서 어셈블리(100) 전체 모듈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덕트캡 회전축(132)에는 또한 상기 덕트캡(130)이 상기 슈트(6)를 폐쇄하도록 상기 덕트캡(13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136)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래크(124a)와 연결되어 상기 덕트캡(130)이 상기 슈트(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그 회전 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폐쇄방향 회전시의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댐퍼(150)가 마련된다.
상기 댐퍼(150)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댐퍼(150)는 상기 래크(124a)와 치합되는 제1기어(154a)와, 기어축(152)을 매개로 상기 제1기어(154a)와 연결되는 제2기어(154b)와, 상기 제2기어(154b)가 일정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하는 원웨이베어링(One-Way Bearing: 156)과, 상기 제2기어(154b)와 치합되는 감속기어(1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어축(152)은 그 일단이 댐퍼 브라켓(15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메인 브라켓(110)에 설치되는 후술할 보조 브라켓(140)과 상기 댐퍼 브라 켓(151)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이들(140, 151)의 지지를 받게 되며, 상기 기어축(152)의 타단에는 전술한 제1기어(154a)가 연결된다.
상기 제2기어(154b)는 원웨이베어링(156)을 구비하여 이를 매개로 상기 기어축(152)과 연결되기 때문에 일정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전술한 레버(120)가 컵과 같은 용기에 밀려 후방으로 회전할 때, 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래크(124a)에 의해 상기 제1기어(154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2기어(154b)는 상기 원웨이베어링(156)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1기어(154a)의 회전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게 됨으로써 무회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상기 제1기어(154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기어(154b) 역시 시계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기어(154b)와 치합되어 있는 감속기어(158)가 상기 제2기어(154b)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제1기어(154a) 및 제2기어(154b)의 회전을 감속함으로써 상기 슈트(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덕트캡(130)이 회전하는 것에 대한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100)는 슈트(6)를 개폐하는 덕트캡(130)의 구동수단으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비교적 고가인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한 기구적 구성을 통해 해결하기 때문에 제품단가를 낮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솔레노이드의 사용에 따른 제문제, 즉 아마츄어의 금속성 마찰소음 및 전원의 통전시 발생하는 전기적 소음의 문제나, 솔레노이드 내부 코일에 전원을 인가할 때 발생하는 발열로 디스펜서를 구성하는 부품에 생길 수 있는 열적변형의 문제, 및 이러한 발열에 의해 냉장 고의 냉장효율을 저하시키는 단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브라켓(110)의 일측(114)에 장착되는 보조 브라켓(140)에는 아이스탱크(2)에 저장된 얼음을 슈트(6)로 이송하는 푸시부재(4)를 구동시키는 디스펜서모터(M)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16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래버 회전축(122)의 일단에 상기 레버(2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160)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 구동편(126)이 마련된다. 따라서 전술한 레버(120)가 사용자에 의해 컵과 같은 용기에 밀려 후방으로 회전할 때, 이와 연동하여 상기 스위치 구동편(126)이 회전하면서 상기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160)의 탄성바(161)를 눌러 버튼(162)이 눌러지면 상기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160)가 온(On)상태로 되면서 디스펜서모터(M)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푸시부재(4)가 작동하여 저장된 얼음이 슈트(6)를 통해 인출되어 컵과 같은 용기에 담겨지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컵을 회수하여 상기 레버(20)에 작용되었던 힘이 제거되면 전술한 과정과 반대과정이 진행되어 상기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160)가 오프(Off)상태로 되면서 디스펜서모터(M)의 구동이 정지되어 슈트(6)로의 얼음 이송이 중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100)의 경우, 디스펜서모터(M)를 작동시키는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160)가 냉장고의 도어(D)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 즉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발생하는 외관상의 문제나, 잦은 사용에 따라 눌려졌을 때 생기는 틈사이에 이물질이 끼게 됨으로써 세균의 온상이 될 뿐만 아니라 오작동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 들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덕트캡(130)이 슈트(6)를 개방하는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캡(130)이 슈트(6)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하에서 사용자가 얼음(I)을 인출하고자 컵(C)과 같은 일정 용기를 디스펜서부(102)에 밀어넣어 레버(120)를 후방으로 밀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회전축(122)을 매개로 상기 레버(120)와 연결된 레버 링키지(124)가 이와 연동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덕트캡 링키지(134)에 푸시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덕트캡 링키지(13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덕트캡 회전축(132)를 매개로 상기 덕트캡 링키지(134)와 연결된 상기 덕트캡(130)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슈트(6)를 개방하게 한다. 이때, 상기 보조 코일 스프링(128) 및 코일 스프링(136)은 가압되어 탄성복원력이 증가된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레버(120)가 후방으로 밀려질 때, 그와 동시에 레버 회전축(122)에 연결된 스위치 구동편(12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160)의 탄성바(161)를 눌러 버튼(162)이 눌러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160)가 온(On)상태로 되면서 디스펜서모터(M)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푸시부재(4)가 작동하여 저장된 얼음이 슈트(6)를 통해 인출되어 컵과 같은 용기에 담겨지게 된다.
또한, 전술한 레버(120)가 후방으로 밀려질 때, 그와 동시에 상기 래버 링키지(124)와 일체로 회전하는 래크(124a)에 의해 상기 제1기어(154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2기어(154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웨이베어링(156)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1기어(154a)의 회전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무회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감속기어(158) 역시 무회전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댐퍼(150)의 완충작용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컵(C)으로 레버(120)를 후방으로 미는 과정에서는 상기 댐퍼(150)의 완충작용에 따른 반작용력을 받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5, 도 6b 및 도 6c을 참조하여 덕트캡(130)이 슈트(6)를 폐쇄하는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 6b에 도시된 상태, 즉 슈트(6)가 개방된 상태하에서 사용자가 컵(C)을 회수하여 레버(120)에 작용되었던 외력이 제거되면, 코일 스프링(1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덕트캡(1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슈트(6)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덕트캡 회전축(132)를 매개로 상기 덕트캡(130)과 연결된 덕트캡 링키지(134)가 연동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레버 링키지(124)를 밀어올려 레버(120)를 도 6a의 최초 상태로 복원시킨다. 또한, 보조 코일 스프링(128)은 그 탄성복원력을 통해 상기 레버 링키지(1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코일 스프링(136)을 보조하여 상기 레버(120)가 도 6a의 최초 상태로 복원되도록 한다.
또한, 스위치 구동편(12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160)의 탄성바(161)에 작용되었던 푸시력이 해제되어 디스펜서모터 구동스 위치(160)가 오프(Off)상태로 되면서 디스펜서모터(M)의 구동이 정지되어 슈트(6)로의 얼음 이송이 중단된다.
한편, 코일 스프링(1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덕트캡(1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덕트캡 링키지(134)의 작용에 의해 상기 레버 링키지(1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와 일체로 회전하는 래크(124a)에 의해 상기 제1기어(154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와 연동하여 상기 제2기어(154b)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기어(154b)는 감속기어(158)에 치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회전이 감속됨으로써 완충작용을 받게 된다. 즉, 상기 덕트캡(130)이 상기 슈트(6)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개방하는 경우와 달리 전술한 바와 같은 댐퍼(150)의 완충작용을 받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냉장고의 아이스탱크에서 얼음이 이송되는 상태를 예시한 아이스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주요부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가 냉장고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 5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아이스탱크 6 : 슈트(Chute)
110 : 메인 브라켓 112 : 체결돌기
120 : 레버 122 : 레버 회전축
124 : 레버 링키지(Linkage) 124a : 래크
126 : 스위치 구동편 130 : 덕트캡
132 : 덕트캡 회전축 134 : 덕트캡 링키지
136 : 코일 스프링 140 : 보조 브라켓
150 : 댐퍼 151 : 댐퍼 브라켓
152 : 기어축 154a : 제1기어
154b : 제2기어 156 : 원웨이베어링(One-Way Bearing)
160 :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 161 : 탄성바
162 : 버튼

Claims (8)

  1. 제빙장치와 이를 통해 만들어진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탱크와 상기 얼음을 슈트로 이송하는 푸시부재와 상기 푸시부재를 구동시키는 디스펜서모터를 구비한 냉장고에 적용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로서,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 설치되는 메인 브라켓;
    상기 메인 브라켓의 일측에 래버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
    상기 레버 회전축에 연결되어 레버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래크를 구비한 레버 링키지;
    상기 메인 브라켓의 일측에 덕트캡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슈트를 개폐하는 덕트캡;
    상기 덕트캡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레버 링키지의 푸시작용으로 회전하여 상기 덕트캡을 회전시키는 덕트캡 링키지;
    상기 덕트캡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덕트캡이 상기 슈트를 폐쇄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래크와 연결되어 상기 덕트캡이 상기 슈트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그 회전의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래크와 치합되는 제1기어와, 기어축을 매개로 상기 제1기어와 연결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가 일정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하는 원웨이베어링과, 상기 제2기어와 치합되는 감속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디스펜서모터로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가 추가로 마련되고, 상기 레버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 구동편이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레버 링키지의 일측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 브라켓의 일측에 지지되는 보조 코일 스프링이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모터 구동스위치는 마이크로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 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캡의 상면에는 상기 슈트를 실링하는 슈트 실링부재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아래쪽 방향으로 휘어진 만곡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캡 링키지는 윗쪽 방향으로 휘어진 만곡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KR1020070076706A 2007-07-31 2007-07-31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KR101275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706A KR101275945B1 (ko) 2007-07-31 2007-07-31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PCT/KR2007/005997 WO2009017285A1 (en) 2007-07-31 2007-11-26 Dispenser assembly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706A KR101275945B1 (ko) 2007-07-31 2007-07-31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83A true KR20090012683A (ko) 2009-02-04
KR101275945B1 KR101275945B1 (ko) 2013-06-14

Family

ID=4030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706A KR101275945B1 (ko) 2007-07-31 2007-07-31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5945B1 (ko)
WO (1) WO200901728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840A (ko) * 2018-04-16 2019-10-25 김대환 링키지 구조의 제빙 장치
KR102613904B1 (ko) * 2023-07-10 2023-12-15 하나시스 주식회사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0027B2 (en) 2012-06-14 2014-04-08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dispenser duct door motor with adjustable drive
US9377232B2 (en) 2013-07-03 2016-06-28 The Coca-Cola Company Ice dispenser
CN103486804A (zh) * 2013-09-18 2014-01-01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联动装置及包括其的冰箱冰水分配器
US10401072B2 (en) * 2015-08-31 2019-09-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599A (ko) * 1997-10-13 1999-05-06 노성훈 공기 살균필터
KR19990060081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냉장고의 디스펜서 댐퍼
KR19990031599U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냉장고의 디스펜서
KR100624711B1 (ko) * 2004-12-29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840A (ko) * 2018-04-16 2019-10-25 김대환 링키지 구조의 제빙 장치
KR102613904B1 (ko) * 2023-07-10 2023-12-15 하나시스 주식회사 담배자판기용 키오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17285A1 (en) 2009-02-05
KR101275945B1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945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US7841493B2 (en) Dispens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6135173A (en) Ice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10072632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
US8322158B2 (en) Refrigerator
US8042708B2 (en) Dispens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1447291B1 (ko) 냉장고 도어 자동 개방 장치
JP2007132605A (ja) 冷蔵庫及び扉閉鎖装置
KR200170259Y1 (ko) 냉장고의 얼음토출구 개폐장치
KR100753731B1 (ko) 냉장고
JP4215805B2 (ja) 冷蔵庫
MX2008013268A (es) Aparato de conmutacion para surtidor de refrigerador.
JP4988483B2 (ja) 引き出し式機器
TWI316597B (ko)
KR20090080346A (ko) 냉장고 도어 자동 개방 장치
WO2005057106A1 (en) A refrigerator
JP3922939B2 (ja) 冷蔵庫等の扉開閉装置
US8146783B2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JP2003083673A (ja) 冷蔵庫の扉開放装置
KR20120091532A (ko) 냉장고용 워터 디스펜서의 잠금장치
KR20200036455A (ko) 냉장고 및 제빙 어셈블리
JP2006242495A (ja) 冷蔵庫等の扉開放装置
JP2003269852A (ja) 冷蔵庫等の扉開閉装置
KR100373071B1 (ko) 냉장고
KR20060055986A (ko) 냉장고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