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431B1 - 카트리지 적재 장치를 사용하는 중앙집중식 자동판매 방법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적재 장치를 사용하는 중앙집중식 자동판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431B1
KR100848431B1 KR1020027006416A KR20027006416A KR100848431B1 KR 100848431 B1 KR100848431 B1 KR 100848431B1 KR 1020027006416 A KR1020027006416 A KR 1020027006416A KR 20027006416 A KR20027006416 A KR 20027006416A KR 100848431 B1 KR100848431 B1 KR 100848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ding machine
door
barrier
products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4350A (ko
Inventor
헨리 제이. 에이. 카마슨
안톤케이. 심슨
피터씨. 브루소
프랭크 루스킨
토드에이. 심슨
죤디. 부차카
Original Assignee
헨리 제이. 에이. 카마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666,038 external-priority patent/US6367653B1/en
Priority claimed from US09/794,521 external-priority patent/US6478187B2/en
Application filed by 헨리 제이. 에이. 카마슨 filed Critical 헨리 제이. 에이. 카마슨
Publication of KR20020054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1Interfacing with vending machines using mobile or wearable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18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several coin-freed apparatus from one pl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zig-zag for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2Vending machines being part of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of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Drilling Tools (AREA)
  • Handcart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자판기(1)는 주입된 부피팽창 합성 발포 재료 사이에 내부 이음매 없는 플라스틱 라이너(22)와 외부 금속 박판 쉘(18)로 만들어지는 단단한 용기에 하우징된다. 하나 이상의 물품저장 저장고(3,77)는 용기 내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다. 키패드, 문자-숫자 표시 및 카드 판독기는 용기의 앞쪽을 차단하는 도어(4)에 일체화된다. 구동모터 모듈(61)과 동전 수용기(7)는 라이너 내부에 대해서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복잡하거나 예민한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기계는 서비스되고, 세척되며 수분내에 위생처리 될 수 있다. 한 쌍의 자판기에서, 하나는 스낵류를 저장하고 다른 하나는 음료수 캔을 저장하는 것이 함께 조합되어 동작하고 단일 제어 패널로부터 조합된 품목을 배출한다. 두 개의 음료수 및 스낵류 저장기는 라이너 내부에 장착된 동일한 형태의 모터 모듈로부터 구동된다. 기계는 여러 사용자의 위치에 설치된 여러개의 기계를 통해 물품을 판매하기 위한 중앙 집중식 방법과 연계되어 사용된다. 기계는 미리 만들어진 배달 루트를 따라서 분배되고 공급센터에서 채워진다. 각각의 기계를 서비스 하는 것은 기계를 열고, 이전에 설치된 저장고를 제거하고, 새로운 다 채워진 저장고로 교체하며, 다른 유지작업이나 물품 혹은 현금을 셀 필요없이 기계를 잠그는 것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적재 장치를 사용하는 중앙집중식 자동판매 방법{CENTRALIZED VENDING METHOD USING CARTRIDGE-LOADED MACHINES}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관련되는데, 패스트리, 스낵류, 음료를 분류할 수 있는 형태의 자동판매기에 관련된다.
패스트리, 청량음료, 캔디 바 같은 스낵류를 판매하는 종래의 자판기는 제품을 자자 갈아주지 않아도 되어야 한다. 따라서 바닥 넓이는 1 ㎡(10 ft2), 높이는 거의 2미터(72인치)를 자치하고 부피가 크며 매우 무거운 경향이 있다.
이러한 기계를 다시 채우는 것은 시간을 낭비하는데 물품이 하나씩 집어넣어야 하고 팔리지 않은 품목의 목록에서 유통기한이 자주 체크되고 교체되어야 한다. 현금은 서비스맨이 수집해서 일일이 세야한다. 물품 보관장치는 기름과 구리스로 깨끗이 잘 닦여야 하며 포장된 물품 밖으로 새나올 수가 있다. 이러한 성가진 일들은 시간낭비이며, 노동 집중적이고 때로는 도둑질 당하기도 한다.
종래의 기계는 150명 이하의 사업장에서는 적합하지 않은데, 서비스 비용에 대해서 이익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펠너(fellner) 등의 미국 특허 4,236,649는 제거 가능하고 교체 가능한 저장고를 사용하여 전술된 문제점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데, 상기 저장고는 공정에서 탑재되어서 비어있는 저장고 혹은 부분적으로 빈 것으로 교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식의 저장고는 비교적 충분하지 않은데 각각의 장소에 오직 하나의 품목만을 담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전히 동전을 수집해야하고 계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동일한 형태의 결점이 록우드(lockwood) 등의 미국 특허 RE. 32,115에 공지된 자판기의 특성을 이루는데, 상기 특허는 판매될 물품을 고정시키기 위해 회전 드럼을 사용한다. 상기 회전 드럼이 가득 찬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하더라도, 각각의 회전 스테이션은 하나의 품목만 저장하며 현금은 따로 취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충분하지 못한 설계로 인해 좁은 장소에 적합하지 않은 부피가 큰 기계를 만들어낸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결점을 보완하려는 노력의 결과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과 2차 목적은 주어진 기간동안 여러 위치에 있는 자판기를 유지하고 재충전 하는데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도난으로 인한 손실과 자판기 내에서 새 나온 음료수와 음식으로 인한 건강상의 위험을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중요한 목적은 모든 물품이 제거가능하고 교체 가능한 저장고 내에 보관되도록 하는 소형 자판기를 사용함으로 이루어진다. 일련의 저장고는 중심부에서 채워진 다음 정해진 루트를 따라 여러개의 자판기로 전송된다. 각각의 위치에서 기계를 다루는 것은 기계를 열고, 이전에 설치된 저장고를 제거하며 새로운 저장고를 설치하여서 자판기를 고정시키는 것인데, 한 품목씩 남아 있는 물품을 세거나 목록을 만들고 수집된 현금을 계수한다. 자판지 운영자에 의해 그 장소의 소유자에 게 데빗카드를 통해 지불된다. 현금으로도 지불되는데 일단 기계 안으로 들어가면 저장소 내에 축적되어서 특별한 열쇠를 사용하여 중심부에서 회수될 수 있다. 원하는 물품의 선택과 지불은 휴대전화 혹은 다른 휴대 장치로 무선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정한 위치에서 스낵종류와 음료 자판기 조합이 할인된 가격으로 특별히 광고된 조합을 전달하기 위한 작업을 한다. 중심부로 되돌아온 저장고는 새로운 위치로 분배되기 위한 루트로 할당되지 전에 팔리지 않은 물품, 수집된 현금으로 비어있고,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새로운 물품으로 채워진다.
기계는 "스마트(smart)" 카드라고 불리는 메모리 칩 장착카드로 열린다. 열릴 때 기계는 자동적으로 동전 박스에 축적된 현금의 양을 포함하여 마지막 서비스 이후에 발생된 모든 판매에 대한 것이 카드에 다운로드 된다. 카드는 제거된 저장고를 따라서 되돌아온 구성요소가 보존된 것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배센터로 복귀되어서 서비스 하는 사람이 도둑질 하지 못하도록 한다. 동일한 "스마트(smart)"카드가 새로운 저장고에 저장된 판매가능한 물품의 가격, 위치, 형식을 기계에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스낵류 자판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자판기에 대한 횡단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을 따르는 횡단면도;
도 4는 저장고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음료수 자판기의 횡단면도;
도 6은 음료수 캔 저장고의 사시도;
도 7은 게이트 장치의 측면도;
도 8은 전기제어 시스템의 블록 다이아그램;
도 9은 기계의 작동에 대한 다이아그램;
도 10은 스크롤 표시장치가 있는 멀티유닛 기계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을 따르는 자판기의 제 1 선택적인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2-2선을 따르는 횡단면도;
도 13은 물품 집중 삽입기를 갖는 분배채널의 횡단면도;
도 14는 캔분배 장치의 횡단면도;
도 15는 게이트 플레이트(gating plate)의 평면도;
도 16,17,18은 각각 도 15에서 6-6,7-7,8-8 선을 따르는 횡단면도;
도 19는 배리어(barrier) 장치에 대한 상세 횡단면도;
도 20은 분배채널의 선택적인 변형에 대한 횡단면도;
도 21은 스낵류 분배 기계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횡단면도;
도 23은 저장고의 사시도;
도 24는 고정 장치에 대한 상세도;
도 25는 저장고의 사시도;
도 26은 카트리지 고정 장치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27은 고정핀에 대한 측면도;
도 28은 구동모터 커플링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9는 카트리지 트레이에 대한 사시도;
도 30은 선택적인 음료수 캔 분배 카트리지에 대한 횡단면도;
도 31은 선택적인 게이팅 플레이트와 배리어 구동 장치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32는 도 31의 평면도;
도 33은 패키지 공급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34는 케이스를 뺀 음료수캔 전용 기계에 대한 확대도;
도 35는 선택적인 물품 분배 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36은 연속적인 게이트 열림 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37은 연속적인 게이트 닫힘 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38은 푸셔구동 장치에 대한 횡단면도;
도 39는 선택적인 분배 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40은 게이트 액츄에이터의 상세도;
도 41은 분배 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42는 도 41의 평면도;
도 43은 도 41의 저면도;
도 44는 자판기 전체에 대한 정면도;
도 45는 저장고와 용기의 대칭적인 측면도;
도 46은 아치형 분배 게이트 장치의 평면도;
도 47은 도 46의 측면도;
도 48은 구동캠에 대항 평면도;
도 49는 또 다른 분배 게이트 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50은 도 49의 측면도;
도 51은 음료수 캔 분배 장치와 보조 저장고에 대한 측면도;
도 52는 저장고 연결 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53은 저장고 게이트에 대한 평면도;
도 54는 자판기 전자제어에 대한 블록 다이아그램;
도 55는 중앙처리장치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대한 블록 다이아그램;
도 56은 저장고 처리에 대한 블록 다이아그램;
* 부호 설명 *
1 : 자판기 2 : 케이스
3 : 저장고 4 : 전방도어
5 : 표시장치 6 : 키보드
7 : 현금 수용기 8 : 카드 판독기
9 : 포켓 10 : 물품
11 : 셀 14 : 나선형 랙
18 : 쉘 22: 라이너
26 : 적재구획 28 : 플레이트
도면을 참고해보면 몰딩 플라스틱과 금속판 케이스(2)로 하우징된 소형, 카운터 탑(counter top) 자판기(1)가 도시되었다. 교체가능하고 4변형 저장고(3)는 케이스 전방도어(4) 뒤에 케이스 안에 고정된다. 고객 인터페이스는 메시지 표시장치(5), 원하는 물품을 선택할 수 있는 키보드(6), 현금수용기(7), 카드판독기(8) 그리고 분배 포켓(9)을 포함한다. 물품(10)과 여러개의 스테이션 혹은 셀(11)이 케이스의 투명 도어를 통해 관찰될 수 있다.
각각의 스테이션 혹은 셀(11)은 여러개의 동일한 판매가격을 갖는 물품을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스테이션은 문자(A-C)와 숫자(1-6)로 식별된다. 각각의 스테이션(11)에서 여러개의 물품은 나선형 랙(14)의 코일에 저장된다. 이러한 물품들은 여러 가지 크기나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나선형 랙이 회전할 때 아르키메데스 나선 같이 작동하여 물품을 저장고의 전방향을 따라 접근 포트(14)쪽으로 움직인다. 저장고는 물품 저장 스테이션 유닛의 세 개의 트리에 혹은 레이어(15)로 구성된다. 각각의 유닛에서의 스테이션 개수와 저장고에서의 유닛 개수는 서로 다른 크기와 여러 종류의 물품을 수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캔디바 같은 작은 물품은 각각의 트레이의 오른쪽 측면에 도시된 것 같이 좁은 셀을 통해 추가될 수 있다. 큰 셀을 필요로 하는 패스트리와 포테이토 칩 같은 큰 품목은 각각의 트레이 좌측 및 중앙에 도시된 것 같은 스테이션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고(3)의 하단, 측면 코너는 케이스 내에 형성된 선반(16)에 안착된다.
케이스(2)는 상단 두 개의 대향한 측벽을 형성하기 위해 구부러진 금속의 제 1 박판(29)으로 만들어진 외부쉘(18)과, 케이스의 뒷부분을 막는 제 2 박판(20) 그리고 하부를 형성하는 제 3 박판(21)으로 구성된다.
플라스틱 라이너(liner)(22)는 열린 전방부를 통해 쉘(18) 내에 놓인다. 쉘과 라이너는 각각 플랜지된 주변의 전방변부(23,24)에 대해서 결합된다. 라이너는 도어(4)에 의해 닫히는 공동을 형성한다. 공동은 주요 부분을 차지하는 적재구획(26)을 분할되고 적재구획 아래에 전달된 품목을 수용하는 포켓 혹은 저장소(9)로 분리된다.
적재구획와 포켓을 분리하는 선반(16)은 쉘을 형성하는 세 개의 박판(19,20,21)에 고정된 기울어진 플레이트(28)로 지지된다.
팽창된 부피를 갖고 절연 폴리우레탄 수지 발포재료(17)가 라이너(22)와 쉘 사이에 주입되는데, 기울어진 플레이트(28) 아래에 형성되는 공간(29)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단 고체화되면 발포재료는 견고하지만 가벼운 박스를 형성하기 위해 쉘과 라이너를 조합한다. 그러므로 외부쉘은 통상적으로 2mm 두께의 강철, 알루미늄 혹은 플라스틱 같은 비교적 얇은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비슷하게 플라스틱 라이너의 두께는 약 1.5mm로 제한될 수 있다.
도어(4)의 구조적인 구성요소는 몰드된 상단부(30), 몰드된 하단부(31) 그리고 상단 및 하단부를 결합하는 두 개의 돌출된 측면 지주(32,33)로 구성된다. 이러한 네 개의 구성요소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유리창 패널(3)을 형성한다. 도어는 좌측 지주(33)의 외부 변부를 따라서 라이너 둘레 변부 및 쉘의 결합되고 플랜지된 좌측에 힌지된다. 상단부, 하단부 및 지주는 도어가 쉘과 라이너의 결합된 둘레 변부와 만날 때 도어의 수직중앙부가 케이스의 전방변부로부터 떨어지도록 외부 변부를 따라서 플랜지된다. 그 사이의 공단은 선택된 물품이 포켓(9) 쪽으로 떨어지는 낙하장치(chute)(27)를 형성한다. 탄성압축 가스킷(35)은 도어가 닫혔을 때 밀봉을 형성하도록 도어의 변부에 고정된다. 몰드된 상단부의 상단 우측변부에 접근이 가능한 키홀(37)을 갖는 고정 장치(36)는 도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케이스와 도어의 양 둘레변부를 따라서 플랜지(38,39)를 겹치도록 하여서 이러한 두 개의 구성요소 사이에 지렛대 도구(prying tool)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형광등설비(40)는 상단 도어부분(30) 뒤에 장착된다. 표시장치(5), 키패드(6), 카드 판독기(8) 및 기계의 작동을 위한 전자제어 모듈(41)을 포함하는 전자모듈(41)은 하단 도어부분(31)의 후방 상단영역에 대해서 장착된다. 하단부의 하부영역에 있는 틈(42)은 판매된 물품이 떨어지는 포켓(9)에 접근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틈은 스윙도어(43)로 고정된다. 도어가 포켓에 있는 물품을 꺼내기 위해 안쪽으로 밀려날 때 낙하장치(27)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서 저장고의 셀에 있는 물품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한다.
현금 수용기(7)는 라이너(22)의 우측벽에 장착된다. 두 개의 영역으로 된 채널(44)은 도어의 우측 지주(33)로에서 현금수용기의 입구까지 코인슬롯 역할을 한다. 코인 낙하장치(45)는 저장고의 기저부(47)에 있는 동전 수용박스(46)에 현금수용기의 출구를 연결시킨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는 기저부(47), 세 개의 물품저장 트레이(15), 커버(48), 모든 구성요소를 함께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 스트랩(49)으로 구성된다. 기저부의 우측영역을 차지하는 코인 수용박스(46)는 락(lock)(51)으로 고정되는 뚜껑(50)으로 차단된다. 각각의 트레이의 스테이션 혹은 셀(11)에서, 나선형 랙(13)의 후방단부는 베어링으로 지지되는 트레이의 후방벽(52)을 통과하는 짧은 축에 연결된다. 상기 축은 암 커플링(53) 형상이고 구동 장치의 상응하는 수 커플링(54)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나선형 랙이 구동 장치에 의해 360°로 회전할 때, 하나의 물품(10)은 선택적으로 셀로부터 밀려나서 아래에 있는 포켓(9) 안으로 떨어진다. 커버(48)는 저장고를 편리하게 수용하기 위해 그 중심에 접힘손잡이(55)를 갖는다. 고정 스트랩(49)은 저장고의 다른 구성요소를 가까이 고정시키기 위한 형상과 치수로 되어 있다. 구부러진 좌측단부(56)는 커버(48)의 상단에 일치하는 리세스(57) 안으로 고정된다. 스트랩의 하단단부에서, 비슷한 고리단부(58)는 기저부에 있는 유사한 리세스 안에서 고정된다.
각각의 나선형 랙에 대해서, 구동 장치는 모터가 동력이 가해질 때 한번에 한 바퀴 회전하도록 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모터조립체(60)로 구성된다. 밀봉 구동모듈(61)에 패키지된 6개의 모터 조립체는 각각의 트레이(15) 뒤에 있는 라이너의 후방벽의 리세스(62)에 장착된다.
구리줄(pigtail) 콘넥터(63A)에 각각의 구동 모듈에서 모터 조립체의 배선되는데, 상기 콘넥터는 케이스 도어에 있는 전자제어 모듈(41)쪽으로 향하는 메인 배선장치(63) 위에 상응하는 콘넥터(63B)와 일치한다. 구동모듈은 스냅핑 체결부로 제자리에 고정된다. 따라서 여러개의 모터 조립체를 갖는 구동모듈은 트레이의 구성에 서로 일치하도록 빠르게 대체될 수 있다.
분리 가능한 커버(12)는 중앙 서비스 설치로 이송되는 중에 모든 접근 포트(14)를 차단하기 위해 저장고의 전방에 부착된다.
낙하장치(27)에서 전자센서(65)는 분배포켓 쪽을 향하는 물품의 경로를 감지한다. 센서의 출력은 전자모듈(41)의 주요구성요소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66)로 공급된다. 통상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저장메모리 혹은 상응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적외선 트랜시버(68)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데이터에 접근한다. 상기 트랜시버는 소위 "블루투스(bluetooth)"라고 하는 여러개의 형식의 장치 및 네트워크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에 대해서 당해업자들에게 이미 공지된 휴대폰 혹은 다른 휴대용 장치를 사용하여 판매된 물품 및 지불된 금액 같은 유용한 정보를 서비스 맨이 판독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트랜시버(68)는 비슷한 무선통신장치로부터 물품을 주문하고 지불하는데 응답할 수 있다. 일단 사용자가 키패드(6)를 눌러 선택하면 스테이션은 원하는 형식의 물품을 식별하고, 물품배출 장치는 활성화될 수 있는 특정한 스테이션은 나선형 랙에 있는 물품이 낙하장치(27)를 통해 분배 포켓(9) 안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판기의 작동은 마이크로프로세서(66)에 의해 제어된다. 모터는 모터제어 모듈(69) 및 어드레스-디코더(70)로 제어된다. 모터제어 모듈과 어드레스 디코더는 마이크로프로에서 제어 하에서 두 개의 적합한 모터에 순방향 전류를 공급하는 게이트 전류 드라이버(gated current driver)로 구성된다. 모뎀(71)은 종래의 전화서비스나 인터넷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케이스 도어에 있는 표시장치(5)의 한 부분인 LCD 메시지 표시장치(72)는 선택된 품목이 존재하지 않고 하기 설명될 다른 메시지를 전달할 때 사용자가 다른 것을 선택하도록 제안한다. 전력공급장치(73)는 기울어진 플레이트(28) 아래에 하우징된다. 전력공급장치를 조명장치(40)와 전자모듈(41)에 연결하는 배선장치(74)는 라이너(22)를 통과하는 유일한 구성요소이다.
도 9에 더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의 작동은 현금 수용기가 삽입된 현금(10)을 감지했을때, 지불카드가 삽입(102)되거나 인터넷을 통해 전자적으로 여러 가지 지불이 될 때 혹은 휴대용 무선 장치로 감지돌 때 작동을 시작한다. 현금으로 지불될 경우, 일단 알맞은 금액이 수용(103)되면, 시스템은 사용자가 적합한 줄에 있는 문자로 물품을 선택하기 시작하기를 기다린다. 카드로 지불할 경우, 시스템은 우선 신용카드(104)인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 카드 소지자의가 식별(105)된다. 만약 신용이 거절되면, 사용자에게 거절메세지가 표시(108)된다. 만약 신용카드 소지자의 신용이 적합하다면,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릴 것이다. 만약 카드가 신용카드가 아니라면, 시스템은 소위 "스마트 카드"라고 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잔액(109)을 판독한다. 만약 잔액이 충분하지 않으면, 거절 메시지가 표시(108)된다. 만약 구입(110)하는데 잔액이 충분하다면, 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릴 것이다.
일단 사용자가 열(row)(111)을 선택하면 열의 식별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들어간다(112). 그런다음 시스템은 적합한 행(113)을 누를 때까지 기다릴 것이다. 행이 선택될 때 프로세서(114)에 식별된다. 이점에서 상응하는 모터가 시작(115)되고 동시에 10초의 타이머가 시작(116)한다. 마약 타이머가 전자센서(65)가 물품이 분배포켓으로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기 전에 종료(117)한다면, 모터는 정지(118)하고 다른 선택(119)을 제안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20초 타이머가 또한 시작(120)된다. 만약 상기 타이머가 새로운 열에 있는 문자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기 전에 종료(121)된다면, 기계 안에 주입된 마그네틱 카드 혹은 현금이 거절(122)된다. 만약 열에 있는 문자가 타이머(123)가 종료되기 전에 선택된다면, 시스템은 열을 식별(112)하여서 전술된 행(114)이 식별된다. 만약 전자센서(65)가 10초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에 물품(124)의 경로를 감지한다면 모터는 정지(125)한다. 만약 현금(126)으로 지불될 경우, 현금이 수용(127)되고 현금 수용기(46)로 떨어진다. 신용카드(128)로 지불될 경우, 모뎀(71)을 통해 은행(129)에 지불이 확인된다. "스마트 카드"로 지불될 경우, 카드는 물품의 가격으로 결제(130)된다.
모뎀(71)은 현재 현금 수용기(46)에 있는 정확한 현금을 포함하여 판매된 물품의 양 같은 자판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창고나 다른 형식의 제어센터와 인터넷을 통해 통신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공지된 방법으로 인터넷을 통해 혹은 종래의 전화망을 통해 측정한 간격동안 상기와 같인 종류의 통신을 시작하려고 프로그램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저장되고 컴파일되는 기계의 작동과 판매 데이터는 확장된 저장고를 따라 중심부로 되돌아오는 스마트 카드 같은 저장매체로 서비스 맨에 의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어센터로부터 시작되는 폴링콜(polling call)에 응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센터의 정보로부터, 서비스 맨이 기계의 저장고를 교환하도록 하는 적합한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저장고에 남아 있는 물품의 양 뿐만 아니라 현금 수용기에 있는 돈은 이미 공지되며 저장고를 수용하는데 대해서 증명될 수 있다. 서비스 맨에 의해 손상되거나 도둑질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자판기의 선호되는 실시예는 총 높이가 85cm(33.5inch), 폭이 72.5cm(28.5inch), 깊이가 57cm(22.5inch), 비어 있는 저장고를 포함하여 대략적인 무게가 34kg(75pound)가 된다. 이러한 자판기는 쉽게 이송되고 테이블이나 카운터 탑 같은 곳에 설치되어서 0.5㎡(5.4ft2) 이하의 면적을 차지한다.
다양한 스낵류를 배출하기 위한 전술된 자판기(1)는 음료수 캔을 배출하기 위한 비슷한 기계(75)와 조합되는데, 도 5-7에 자세히 도시되었다. 음료수 배출기계는 스낵류 기계중 하나와 비슷한 케이스(76)를 사용한다. 현금 수용기는 없지만 네 개의 나란한 저장고(77)가 있다. 각각의 저장고는 하나의 모터 조립체(60)로만 구동된다. 따라서, 라이너(22)의 적재구획 영역에 대해서 장착된 하나의 모터 구동 모듈(61)이 있다.
각각의 네 개의 저장고(77)에서 최고 24개의 355ml(12온스) 음료수 캔이 단일셀(78)의 지그재그 채널을 형성하는 구불구불한 패턴으로 뒤로 차례대로 놓인다. 채널은 다섯 개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된 영역을 갖는데, 경사진 제품 지지바닥은 캔이 배출 게이트 장치(80)쪽으로 구르도록 한다. 게이트 넘어에서 저장고 하부의 오프닝(81)은 배출된 캔이 배출 포켓(9) 안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게이트 장치(80)는 저장고 후방벽의 하단영역에 있는 커플링(83)에 결합된 수평축(8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커플링은 제 1 기계의 나선형 랙 축과 연결되도록 사용되는 것과 비슷하며 모터 조립체(60)중 하나에 상응하는 커플링에 맞물리도록 하는 크기와 모양을 갖는다. 축의 대향한 단부에서, 제 1 팬 모양의 배리어가 축이 회전할 때 상기 제 1 배리어가 채널의 가장 낮은 캔(85)의 경로에 대해서 방사상으로 올라가도록 축의 한 측면에 수직으로 장착된다. 제 2 팬 형상의 게이트(86)는 축(82)의 대향한 측면에 장착되고 방사상으로 제 1 배리어(84)의 것과 반대이며, 캔의 직경에 거의 근사한 축거리에 있다. 따라서, 제 1 배리어가 축(82)의 180°회전으로 낮아질 때, 제 2 배리어는 제 1 캔(85)과 바로 뒤에 놓인 제 2 캔(87) 사이에서 상승한다. 제 1 캔이 오프닝(81)을 통해서 저장고 밖으로 굴러나올 수 있으므로해서, 제 1 캔은 축이 완전히 회전을 할 때까지 제 2 배리어(86)에 의해 뒤로 고정된다. 그때에 제 2 배리어(86)는 경사진 바닥(79) 아래로 낮아진다. 제 2 캔(87)은 정지할 때까지 아래로 구르며 방금 상승된 제 1 배리어(84)로 고정된다. 중력으로 인해서, 저장고에 모든 남아 있는 캔들은 전체 구불구불한 채널을 따라서 한 장소로 굴러 내려온다. 장치는 제 2 캔을 배출할 준비가 되어 있다. 음료수 캔 배출 기계(75)는 냉장 조립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냉장 조립체는 기울어진 플레이트(28) 아래에 장착된 컴프레서(88), 라이너의 천정영역(90) 위에 장착된 냉각코일(89), 후방 박판(20)의 내부측면에 대해서 장착된 콘덴서(91)로 구성된다.
전력공급장치(73)는 콘덴서 바로 다음에 있는 기울어진 플레이트(28) 아래에 하우징된다. 동일한 냉각 조립체가 스낵류 자판기(1)에 편리하게 구비된다는 사실을 주시해야 한다.
장치(74)에 대한 통로 외에 라이너(22)는 이음새 없고 구멍이 없는 벽표면을 형성한다. 장치통로는 절연 발포재료가 주입될 때 자동적으로 밀봉된다. 따라서 적대구획 및 포켓의 내부는 편리하게 청소되며 강한 세정제나 살균제로 세척된다. 금속이나 민감한 장치가 없어서 기계를 유지하는 것을 편리하게 하며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필요하다면 세척과 청소를 하는 도중에 구동모듈(61) 및 현금 수용기(7)는 장치(74)로부터 편리하게 분리되고 빼내어진다.
자판기의 사용과 적합성은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5,493,802에 공지된 형식의 프로그램 가능한 스크롤 표시장치를 조합하여 향상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롤 표시장치(131)는 음료수만을 배출하는 보조 자판기의 도어 안으로 선호적으로 일체화된다. 음료수 배출기계는 여러가지 가능한 품목을 투명 도어를 통해 보여지도록 할 필요가 없다. 가능한 음료수의 종류는 분배포켓(9) 위에 위치한 그림(132)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음료수의 선택과 지불은 키패드(6)를 누르고 기계(1)의 현금 수용기 혹은 카드 판독기(8)로 수행된다. 단순한 연결 케이블(133)은 두 개의 기계를 연결시킨다. 여러 가지 다양한 메시지가 표시장치의 스크롤(134)에 표시될 수 있다. 스크롤에 표시된 메시지는 연속적인 작동 모드로 프레임 당 수초동안 노출된다. 어떠한 메시지는 주 기계의 식품과 보조 기계의 음료수의 조합을 할인된 가격으로 권유할 것이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날짜의 시간과 함께 메시지와 일치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샌드위치 및 푸딩은 점심이나 저녁시간에 강조되고 캔디나 쿠키는 차 마시는 시간에 제안된다. 스크롤 표시장치의 작동은 잘 알려진 프로그래밍 법칙하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66)의 작동으로 제어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입력은 모뎀(71)을 통해 무선 통신으로 혹은 서비스 맨의 "스마트 카드"로 카드 판독기(8)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201)는 저장 케이스(203)로부터 제거 가능한 물품 및 현금 카트리지(202)를 특징으로 한다. 선호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케이스는 상단 수평힌지(205) 및 하단 락(206)에 의해 케이스에 고정된 투명도어(204)를 포함한다. 카트리지(202)는 케이스의 하단영역에 고정된 쌍으로 된 슬라이드(207)에 장착된다.
투명 도어(204)가 열렸을 때, 저장고는 자체지지 슬라이드로부터 들어 올려지고 빼내진다.
케이스의 전방 우측영역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키패드(208), 은행 카드로 지불하는 카드슬롯(209) 혹은 소위 "스마트 카드"라고 하는 입력 및 다운로드 데이터, 현금으로 지불하는 동전슬롯(210)이 있다. 도어의 하단영역에 있는 넓은 오프닝(211)은 구입한 물품이 떨어지는 배출 포켓(212)으로 인도된다. 압축기(213)와 응축기(214)로 구성된 냉장유닛은 케이스의 하단 후방영역에 있다. 뒷판(215)에 전자모듈(216) 및 일련의 모터 조립체(217)에 부착된다. 도어(24)에 장착된 조명(219)은 전체 기계를 밝혀준다. 카트리지는 세 개 이상의 상품 고정 트레이(219,220,221)와 삼각형 현금수용기(222)로 구성된다. 현금수용기는 카트리지의 기저부를 형성하고 하단 측면 레지(ledge)는 슬라이드(207)에 안착된다. 트레이는 서로 적층되고 현금 수용기의 기울어진 상단에 적층된다. 트레이는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바닥을 갖고 저장된 상품을 위한 배출 오프닝(225)을 형성하는 아래쪽의 가장자리 전방영역을 노출하는 수직으로 정렬된 끝이 뾰족한 전방 표면(224)을 포함한다. 트레이는 거의 동일한 폭을 갖는다. 따라서 기울어진 방향으로 인해서 각각의 트레이 아래쪽의 후방영역(226)이 노출된다. 커버(223)는 상단 트레이를 밀봉하기 위해 사용된다. 커버, 트레이 및 현금 수용기는 각각의 측면변부를 따라서 일련의 러그(lug)(227)에 결합된 나사로 서로 고정된다.
카트리지는 다른 크기와 형태의 물품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트레이와 결합된다. 설명을 위해서 선호되는 실시예가 캔디바나 쿠키 같은 작은 물품을 저장하는 구조로 된 상단 트레이(219)를 갖는 것이 도시되었다. 중간 트레이(220)는 칩이나 비스킷 같은 봉지 스낵을 저장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단 프레이(221)는 표준 335ml(12온스)의 음료수 캔을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트레이는 네 개 혹은 8개의 열로 분할되며 각각의 열은 자체 배출 장치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60cm(24inch) 넓이의 카트리지는 4열의 음료수 캔 혹은 스낵류, 8열의 캔디 혹은 쿠키를 수용할 수 있다. 음료수 캔 저장 트레이(221)의 각각 열은 동일한 배출 게이트로 공급되는 2개층으로 된 캔으로 구성된다. 캔의 층 개수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음료수용 전체 카트리지는 네 개의 열로 분할된 하나의 트레이로 구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스낵봉지를 위해 초기에 구성된 열은 더 작은 품목(232)을 수용하기 위해 삽입부(231)를 추가하여 변형될 수 있다.
각 열의 하부에 있는 미Rm럼 게이트부재(233)는 배출 오프닝(225)을 차단하는 전방영역을 갖는다. 게이트 부재의 대향한 단부에서, 톱니형 랙(234)은 외부전기모터(236)로 구동되는 피니언 혹은 기어(235)로 맞물린다. 각 열에 하나씩 있는 일단의 모터는 뒷판(215)에 고정된 모터 조립체(217)에 장착된다. 따라서 각각의 트레이는 모터 조립체 보드를 필요로 한다. 만약 카트리지 내에서 트레이의 구조가 변할경우, 케이스 뒤에 있는 모터 조립체의 배열은 그에 따라서 다시 구성되어야 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가 케이스 안으로 밀려날 때, 피니언(235)을 구동시키는 축의 단부에 장착된 평평한 키요소(237)는 모터 축을 덮는 헤드(240) 안에 끼워진 슬롯(239)에 맞물린다. 그런다음 모터는 배출 오프닝(225)을 열거나 닫기 위해 양 방향으로 기어를 구동시키도록 전력이 공급된다.
하기 설명과 같이 카트리지가 이송될 때, 모든 배출 오프닝은 닫힌다. 따라서, 키(237)는 항상 모터 축 헤드(240)의 슬롯(239)을 향할 수 있다.
각각의 트레이에서, 물품은 전방표면(224)의 후방에 놓이고 마지막 품목의 후방표면에 대해서 삽입된 삼각형 푸쉬블록(pushing block)(242)으로 그 위치에 유지된다. 물품이 하나씩 배출됨에 따라서, 블록은 전방표면(224) 및 배출 오프닝(225)쪽으로 남아 있는 물품을 따라서 계속 미끄러지게 된다.
푸쉬블록은 반드시 중력 외에 적용되는 아랫방향 힘 없이도 방출 게이트를 향해 미끄러질 수 있는 부드럽고 둥근 형태의 물품과 연계될 필요는 없다.
하나이상의 품목이 게이트 부재(233)가 움직일 때마다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배리어(243)는 배출되는 품목과 미끄럼 게이트 부재(233)의 뒤로 움직일 때 동기화하는 다음번 품목 사이에 솟아오른다. 배리어는 미끄럼 게이트 부재(233)의 전방향 단부영역 안으로 삽입된 4변형 창문(245)을 통과한다.
음료수 캔 트레이(221)에서, 배리어는 나일론 플레이트(246)로 구성되는데, 상기 플레이트는 배리어(243)를 형성하는 두 개의 돌출 패널(250,251)을 잇는 세 개의 힌지(247,248,249)를 형성하기 위해 세 개의 평행한 선을 따라서 주름이 잡힌다. 배리어의 전방단부(252)는 창문(245)의 전방단부에 고정된다. 후방단부(253)는 게이트 부재(233)의 길이방향을 따라 비슷한 형상의 채널(255)내에서 작동하는 사다리꼴 나일론 푸쉬바(254)에 연결된다. 푸쉬바의 후방단부는 피니언 혹은 기어(235)를 게이트 부재 자체의 랙(243)에 대향한 위치에서 맞물리도록 하는 톱니형 채널(255) 안에 형성된다. 따라서 게이트 부재가 방출 오프닝(225)을 열기 위해 트레이의 후방쪽으로 물러날 때, 푸쉬바(254)는 배리어가 솟아오르도록 하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256)의 무거운 무게를 게이트부재(233)가 감당하지 못하도록 하고 이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게이트 부재는 채널바닥(258)의 중앙에 있는 침하부(257)에 놓인다. 그러므로 캔의 변부는 채널의 측변부에 나머지 숄더(259)에서 움직인다.
도 21-24에 도시된 스낵류 방출기의 제 2 선택적인 실시예(260)는 도 1-9에 도시된 제 1 실시예(1)와 기본적으로 비슷하다. 그러나, 저장고(3)는 케이스(2)의 천정에 있는 슬롯(262)을 통해 제거될 수 있는 재단기 형태의 커버 플레이트(261)로 고정된다. 커버 플레이트의 우측변부에 삽입된 한 쌍의 노치(263)는 두 개의 락(264)의 볼트로 결합된다. 락은 저장고가 처리되는 중앙부에 있는 특별한 키를 사용하여 작동한다. 카드는 현재날짜를 포함하는 식별번호를 갖는다. 기계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자체 날짜를 유지한다. 스마트 카드로부터 판독된 날짜와 식별번호가 마이크로프로에 저장된 것과 일치할 때 락이 작동된다. 분실된 카드는 쓸모없게 되지 않고 날짜를 알려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카드는 중앙처리위치에 있는 특별한 장비로 매일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각각의 락(264)은 두 개의 연결모듈로 구성된다. 제 1 모듈(265A)은 커버 플레이트 저장 채널(263A)바로 옆에 저장고(3)의 외부벽에 대해서 장착된다. 제 2 모듈(265B)은 케이스(2)의 내부벽에 장착되고 저장고가 케이스 안에 삽입될 때 제 1 모듈을 연결시킨다. 각각의 모듈은 솔레노이드를 당겨서만이 수축될 수 있는 스프링 편향된 볼트(266A,266B)를 포함한다. 제 1 모듈의 볼트는 커버 플레이트 노치(263)에 맞물린다. 제 2 모듈의 볼트는 도어의 변부에 있는 구멍에 맞물린다. 커버 플레이트(261)는 도어가 열렸을 때 제거될 수 없다. 도어는 만약 커버 플레이트가 저장고에 잠기지 않을 경우 열리지 않는다. 도어는 만약 케이스에 저장고가 없을 경우 잠길수 없다. 이러한 상태는 접촉센서와 단순 논리회로를 사용하여 쉽게 구현될 수 있다.
도11-18에 도시된 실시예(201)에서, 모든 게이트 부재(233)를 배출 오프닝(225)을 차단하는 가장 전방 위치에 잠그기 위해서, 잠금 장치가 도 25-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트레이에 공급된다. 잠금 장치는 각각의 트레이 후방 하단 코너를 따라 이동하는 잠금바(267)로 구성되며 잠금 상태에서 각각의 랙(234) 후방단부 뒤에서 미끄러지도록 위치한 일련의 러그(268)를 갖는다. 풀림 상태에서, 러그는 피니언(235) 위에 남아 있는 틈(269) 내에서 떨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바의 좌측단부는 트레이 벽을 통과하고, 트레이의 촤측면의 하단 후방 코너에 대해서 장착된 락(270) 안을 통과한다. 락은 바(267)의 단부에 있는 원형보어(272) 안에 결합되는 편심캠(271)으로 구성된다. 락의 전방 단부에서, 레버(273)는 서비스 맨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락의 후방단부는 카트리지가 케이스 안에 완전히 설치되었을 때 케이스의 뒷판(215)에 영구적으로 고정된 키(275)에 의해 맞물리도록 정렬되고 구성된 컵모양 조립체로 구성된다. 컵모양 조립체(274)는 만약 키(275)가 결합되지 않을 경우 레버(273)가 작동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키로부터 컵모양 조립체를 분리하기 위해서, 잠김상태에서 상기 장치가 적용되어야 한다. 카트리지가 케이스 밖에 있을 때 배출 오프닝(225)은 닫히고, 레버(273)는 기계 안에 설치된 것과 비슷한 키를 사용하지 않고 작동될 수 없다. 일단 카트리지가 기계 안에 설치되면 잠금 장치는 레버(273)의 작동으로 해제되며, 배출 오프닝은 구동모터(236)의 작동으로만 열릴 수 있다.
동전 슬롯(210) 안에 공급된 동전은 현금 수용기(222)의 뒤에 있는 작은 틈으로 낙하장치를 통해 놓인다. 트레이를 고정시키는 동일한 형태의 잠금 장치로 제어되는 미끄럼 게이트는 장치 레버가 카트리지를 해제하기 위해 구현될 때 구멍을 막는다. 따라서, 카트리지가 저장고 밖에 있을 때, 동전 수용기는 상기 구멍을 통해 접근할 수 없다.
잠긴 도어(277)는 서비스 센터에서 현금 수용기를 비우기 위해 제공된다. 게이트 부재 및 배리어 구동 장치의 선택적인 실시예(278)는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되었으며, 랙과 피니언 조립 대신에 인라인(in-line) 모터(280)로 구동되는 나사형 로드(rod)(279)를 사용한다. 로드(279)는 게이트 부재(233)에 있는 공동으로 결합되는 사각형 너트(281)와 맞물린다. 로드의 원위단부(282)는 배리어(243)의 후방변부에 있는 보어와 맞물린다. 모터가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사각형 너트를 통해 움직이는 로드로 인해 방출 오프닝으로부터 게이트가 멀어지고, 동시에 배리어의 후방측면 쪽으로 민다.
도 33에 도시된 공급 장치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물품은 관통된 탭(286)을 통해 회전하는 나사형 랙(285)에 매달린 분리팩(284)에 고정된다. 각각의 탭에 있는 구멍은 랙이 호전할 때 방출 오프닝쪽으로 이동하도록 나사형 랙(285)에 미끄러도록 축방향으로 맞물린다. 랙은 게이트 부재(233)를 제어하는 동일한 모터로 구동된다. 그러므로, 물품은 정밀하게 이송되어서 게이트 부재의 움직임과 동기적으로 방출 오프닝에 떨어진다.
도 30 및 도 34에 도시된 음료수 캔 방출 기계(287)는 일렬로 장착된 캔 카트리지(288)를 사용하는데, 각각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약은 다른 변형체로 구성된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도 30에 도시된 하나의 방출 오프닝을 공급하는 여러개의 열을 갖는다.
각각의 카트리지는 한 쌍의 슬레이트된 지지레일(289) 및 전방 바(290)에 안착된다. 전방 바는 케이스 내에 있는 카트리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카트리지의 기저부에서 잠금 조립체(292)와 함께 상호작용하는 일련의 핀키를 장착시킨다. 비슷한 잠금 장치(293)가 동전 수용기(294)에 구비된다. 카트리지 적재는 상단, 측면 혹은 후방벽에 있는 제거 가능한 패널을 통해 혹은 방출 오프닝을 통해 이루러질 수 있다. 음료수 트레이 혹은 카트리지의 기울어진 열은 선호적으로 수평에서 10°~20°사이가 된다.
스낵류 혹은 캔디 바 열에서 기울기는 20°~30°사이가 된다.
폭 60cm(24inch), 높이 75cm(30inch), 깊이 55cm(22inch) 카트리지는 32개의 캔을 수용할 수 있고 총 용량은 128캔을 수용할 수 있다.
도 35-40에 품목을 게이트 쪽으로 이동시키는데 중력을 의존하지 않는 방출 제어를 위한 선택적인 설계가 도시되었다. 게이트 오프닝과 동기화 작동하는 푸시 장치를 사용한다.
방출 장치(300)에서, 접힘 게이트(301)는 방출 슬롯(302)에 대해서 장착되고, 가늘고 긴 나사형 로드 조립체로 뒷판 장착 모터(303)로 구동된다. 접힘 게이트(301)의 전방단부는 나사형 슬리브(305)에 맞물린 대향한 단부를 갖는 나사형 스프라인(spline)(304)에 고정된다. 슬리브의 대향한 단부는 모터(303)로 구성되는 나사형 로드(306)의 단부에 단단히 부착된다. 그러므로 모터가 작동할 때 접힘 게이트(301)가 물러나고,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된 첫 번째 품목(307)과 다음 것(308) 사이에 배리어를 형성한다. 방출될 품목은 푸셔 플레이트(310)로 방출 채널의 정방표면에 대해서 정렬되고 눌려지는데, 상기 푸셔 플레이트는 채널의 바닥(313)에 있는 종방향 슬롯(312)에서 움직이는 구동 장치(313)를 갖는다. 이러한 구동 장치(313)는 나사형 로드(306)로 맞물리는 것을 갖는 U자형 브라켓(bracket)(314)으로 구성된다. 나사형 로드(306)로 맞물린 코일 스프링(316)과 사각형 너트(315)는 브라켓의 다리 사이에 장착된다. 리프스프링 플레이트(317)는 로드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동안 너트가 로드(306)의 회전 운동을 따르도록 하지만, 모터가 방출 게이트(301)를 닫기 위해 전환될 때 모터(303)에 대향한 로드의 원위단부 쪽으로 너트가 진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사각형 너트(315)의 움직임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슬롯쪽으로 푸셔 플레이트(310)가 품목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브라켓(314)의 원위단부에 대해서 스프일(316)을 통해 압력을 가한다. 너트가 미는 코일 스프링(316)은 푸셔 플레이트(310)의 작동 하에서 포테이토 칩 같은 잘 부서지는 품목을 피하고 품목 크기의 작은 차이를 수용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미는 동작은 하나의 품목이 방출된 다음에만 발생하고 그 다음 것은 접힘 게이트(301) 대해서 위치되어야 한다.
접힘 게이트와 배리어에 있는 힌지의 위치를 변화시키서 다른 두께의 품목이 빠르게 수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출 슬롯의 폭을 줄이기 위해서 전방표면의 후방측면에 투명한 것이 삽입될 수 있다. 접힘 게이트가 가벼운 싸이클을 갖고 어떠한 응력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힌지를 형성하기 위해 적합한 주름이 발생된 다른 합성 박판 재료 혹은 나일론으로 편리하게 구현된다. 순단한 스내핑(snapping) 닙-공동 장치로 스플라인과 채널의 바닥에 게이트 요소가 부착된다. 따라서, 게이트 배리어는 새로운 높이과 크기로 조절하기 위해 빠르게 대체되거나 많이 마모되었을 경우 교체될 수 있다. 고객이 방출 슬롯에 다다를 수 없기 때문에, 접힘 게이트가 방출 슬롯의 전체 폭에 맞을 필요가 없다. 중앙의 세 번째 슬롯을 닫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시스템의 모든 가동성 구성요소는 나일론 혹은 비슷한 자체윤활 및 녹방지 재료로 편리하게 만들어진다.
도 41-45에 도시된 자판기의 또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401)에서, 제품 방출 장치에 대한 구동력은 각각의 물품 저장 스테이션에 있는 포켓도어(402)중 하나를 사용자가 열어서 제공된다.
안쪽으로 구부러진 하부영역(403) 같은 각각의 포켓도어는 물품이 방출된 구멍을 형성한다. 포켓도어는 구부러진 영역(403)의 수평축에 대해서 측면 베어링(404)으로 회전하도록 고정된다. 포켓도어가 손잡이(405)로 당겨져 열릴 때, 구부러진 영역의 후미는 포켓에 있는 품목(406)과 도 41에 점선으로 도시된 같은 줄에서 방출될 다음 품목(407) 사이에서 돌출된다. 동시에, 구부러진 영역(403)에 결합된 레버(409)로 작동하는 배리어 플랩(408)은 아래쪽으로 회전한다. 배리어 플랩은 스테이션이 남이 있는 물품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포켓도어의 구부러진 영역(403)과 결합한다.
스테이션에 있는 마지막 품목(411) 뒤에 있는 푸쉬 플레이트(410)는 매번 닫힐 때마다 포켓어도 쪽으로 향한다. 포켓도어는 한 쌍의 스프링(412)으로 닫힌위치 쪽으로 편향된다. 푸쉬 플레이트는 스테이션 바닥에 있는 슬롯(414)을 통해 아래쪽으로 돌출된 닙(nib)(413)을 갖으며 한 쌍의 연속적은 구동벨트(415)에 고정된다. 벨트는 포켓도어의 구부러진 영역(403)의 아래쪽에 있는 톱니부분(417)에 결합되는 톱니바위 기어 장치(416)로 구동된다.
포켓도어는 제 1 톱니영역(419)을 포켓도어의 하부표면에 결합시키는 솔레노이드 제어 볼트(418)로 잠긴다. 솔레노이드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 볼트(418)는 코일 스프링(420)으로 포켓도어 쪽으로 밀리고 제 2 톱니영역(419)과 맞물려서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품목의 두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서 구동벨트(416)는 선호적으로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어느 정도의 탄성 미끄럼이 푸쉬 플레이트의 닙(413)과 벨트 사이에 존재하다. 만약 스테이션 바닥이 포켓도어쪽인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면, 기계의 전술된 몇가지 실시예에서와 같이 푸쉬 플레이트와 그 구동 장치는 필요없게 된다.
배리어 플랩에 대한 피봇핀(pivot-pin)(421)과 포켓도어 베어링(403)은 스테이션의 전방 프레임(422)에 고정된다.
제거 가능하고 교체 가능한 저장고(423)는 포켓도어 및 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포켓도어와 그 장치로 구성된 저장고 전방부(424)는 공급센터에서 다시 적재하도록 하는 나머지 저장고로부터 라인(425)을 따라 분리 가능하다.
현금 수용기(426)는 저장고의 바닥(428)과 가장 낮은 스테이션의 바닥(427) 사이에 위치한다. 카드 판독기(429)와 키패드(430)는 기계의 엔클로저 측면에 장착된다.
또다른 방출게이트 장치(431)의 실시예가 도 46-48에 도시되었다. 이러한 장치는 불규칙한 형상의 품목을 방출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음료수 캔을 방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동 게이트(432)는 아치형이며 사분원 하단(433)을 갖는 홈통을 형성한다. 게이트는 한 쌍의 브라켓(435)에 장착된 한 쌍의 핀(434)으로 각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매달린다. 브라켓의 기저부는 물품저장 패널의 하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436)의 측면 레지에 고정된다. 플레이트는 모터(438)로 작동되는 회전 캠의 작동 하에서 종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아치형 게이츠(432)의 측벽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한 쌍의 암(439)은 암 양쪽에 장착된 두 개의 고정 포스트(440,441)와 접촉한다. 두 개의 포스트 중 하나와 접촉할 때, 암(439)은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플레이트(436)에 수직한 축에 대해서 지지핀(434) 주변으로 게이트가 회전하도록 하는 레버 같이 작동한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437)이 작동할 때, 플레이트(436)는 완전히 물러나고 게이트(432)는 안쪽으로 회전하며, 방출 슬롯(442)을 개방시킨다. 방출 슬롯의 폭은 플레이트(436)의 이송량과 함께 게이트의 4분원 코드(chord)의 합이다. 따라서 1.25cm(.5inch)로 움직이는 플레이트와 함께 2.5cm(1inch)의 반경을 갖는 게이트는 약 5cm(2inch)의 총 방출 슬롯 오프닝을 만들 수 있다. 아치형 게이트의 뒷부분(443)은 방출슬롯(442) 쪽으로 방출될 한줄로 정렬된 품목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를 형성하도록 바닥 플레이트(436)의 전방변부 위로 솟아오른다. 플레이트(436)가 앞쪽으로 미끄러질 때, 아치형 게이트는 도 47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상태로 가정하는데, 게이트의 뒷부분(443)은 바닥 플레이트의 전방 변부와 일치한다. 도 46에 특히 더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영역(443)과 게이트 그리고 플레이트(436)의 전방 변부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일련의 맞물린 총안(crenel)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방출될 몇 개의 품목의 하부다 게이트와 플레이트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음료수 캔을 방출하기에 적합한 방출 게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49 및 도 50에 도시되었다. 이러한 경우에서, 게이트는 미끄럼 플레이트(448)가 0.625cm(.24inch) 만큼 적게 물러날 때 정지부(447)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그 무게로 인해 떨어지는 트랩도어(trapdoor)(446)로 형성된다. 트랩도어 게이트(446)는 트랩도어 게이트(446)의 후방변부로부터 약 1.25cm(1.5inch)에 위치한 핀(449)으로 미끄럼 플레이트(448)의 단부에 힌지된다. 따라서, 게이트의 후방단부(450)는 게이트가 아래로 내려왔을 때 다음번 캔(451)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를 형성한다. 물품저장 측벽에 단단히 고정된 한 쌍의 수평 포스트(452)는 미끄럼 플레이트(448)가 앞쪽으로 이동할 때 게이트의 후방영역 상단표면과 접촉하여 방출 게이트가 위쪽으로 회전하고 방출 슬롯이 닫히도록 한다.
음료수 캔 방출장치의 편리한 또 다른 실시예는 도 51-53에 도시되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케이스(444)와 기본장치(455)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비슷하다. 케이스의 전방도어(456)는 기본 저장고(455)의 상단에 보조 저장고(458)를 장착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단 변부보다 오히려 그 기저부(457)에 힌지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본 저장고는 16개의 캔을 저장할 수 있다. 동전 수용기(469)와 도 47 및 도 48에 도시된 형식의 캠과 모터 장치(461)로 구동되는 방출 게이트(460)를 포함한다. 기본 저장고는 미끄럼으로 지지되지는 않지만 수평 위치에 있는 저장고의 앞쪽과 함께 경사진 바(462)위 전방 하단 코너를 우선적으로 위치시켜서 설치되는데, 이동 플레이트(464)의 후방단부가 캠 및 모터 장치(461)와 접촉할 때까지 화살표(463)로 표시된 방향인 위쪽으로 저장고를 기울인다. 캔들은 수평에서 약 5도 정도 기울어진 세 개의 미끄럼 레벨을 따라 구른다. 저장고는 하기 설명될 미끄럼 게이트로 닫힌 상단에 슬롯 오프닝(465)으로부터 적재된다. 기본장치(455)는 휴대용 보조 저장고(458)로부터 단순하게 탑재되거나 완전히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맨은 두 가지의 선택사항을 갖는데, 기본 저장고를 제거하고 완전히 다른 것으로 교체하던지 기본 저장고를 재충전하기 위해 필요한 캔을 가능한 많이 추가하기 위해 휴대용 보조 저장고(458)를 사용하는 것이다. 보조 저장고(458)는 기본 보조저장고 상단과 기하학적으로 일치하도록 설계된 하단 모양을 갖는다. 또한 보조 저장고 하부의 방출 게이트(466)는 두 개의 저장고가 완전히 일치할 때만 열릴 수 있다. 기본 저장고의 충전 오프닝(465)과 보조 저장고의 방출 슬롯(466)은 도 52 및 도 53에 도시된 비슷하게 일치하는 장치(467,468)로 작동하는 미끄럼 게이트로 제어된다. 각각의 미끄럼 플레이트(469)는 전방변부(472) 근처에 있는 한 쌍의 종방향 슬롯(470,471)을 갖는다. 제 1 슬롯(470)은 상응하는 저장고의 전방표면에 대해서 경사진 브라켓(474)으로 장착된 락(473)에 의해 결합된다. 기울어진 브라켓은 락의 몸체에 부착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볼트를 장착한 축에 부착된다. 제 1 슬롯의 전방단부에 있는 확대영역(475)은 락(476)의 회전 주 몸체로 맞물리도록 하는 형상 및 치수로 되어 있으며 락의(476)의 주 몸체는 도 53에 도시된 위치에서 잠기게 된다. 그러므로 게이트(479)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제 2 슬롯(478)은 다른 저장고 락의 키(477)를 통과하도록 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상기 키는 저장고의 전방 표면에 대해서 브라켓(479)으로 장착된다. 어느 하나의 저장고의 미끄럼 게이트(479)를 자유롭게 해주기 위해서, 양쪽 저장고는 각각의 락에 적합하게 맞물리도록 키(477)와 가장 잘 일치한다. 이러한 점에서, 각각의 락의 주 몸체(476)는 미끄럼 게이트(469)가 빠져나오고 개별의 저장고에 대한 공급 및 방출 슬롯(465,466)을 열도록 열(480)로 표시되는 것과 같이 회전될 수 있다. 각각의 락 몸체와 관련된 손잡이(481)는 회전을 편리하게 하도록 제공된다. 보조 저장고(458)는 락으로 고정된 상단 뚜껑(482)을 열어서 서비스 센터에서 재충전될 수 있다.
서비스 맨은 두 개의 저장고 중 하나로 저장되는 물품에 절대 접근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설명된 실시예같이, 기계의 또 다른 형식은 소위 "스마트 카드"라고 하는 것으로 지불된다. 스마트 카드는 데이터가 추가 혹은 삭제될 수 있는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을 장착한 데빗카드(debit card) 형식이다. 통상적으로 스마트 카드는 소액의 서비스 비용과 함께 고정된 가격으로 구입할 수가 있다. 고정된 가격은 마이크로칩에 저장된 돈의 양과 일치한다. 카드 같은 것으로 지불되는 기계는 마이크로칩 파일로부터 구입에 상응하는 비용을 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이러한 형식의 스마트 카드 및 관련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은 카드로직스(Cardlogix, 캘로포니아, 어바인)사에서 상업적으로 구입이 가능하다.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판기는 데이터 버스(484)가 고객에 의해 사용되는 스마트 카드(486)와 기계의 성능 및 재고목록을 추적하기 위해 서비스 맨에 의해 사용되는 스마트 카드를 읽고 쓸수 있는 스마트 카드 판독기/기록기(485)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주변 장치에 연결된 마이크로프로세서(483)로 구비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버스는 고객이 상품을 선택하기 위해 누르는 키패드(487)에 연결되고, 서비스 맨은 특정한 정보와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버스는 기계작동 명령과 같이 고객에게 시각적인 메시지를 보내도록 사용되는 문자-숫자장치(488)에 접근한다. 일단 고객이 선택을 하면, 명령은 선택된 몰품이 저장된 채널에 상응하는 모터를 작동시키고 선택하는 모터 제어장치(489)에 전송된다. 여러개의 상태 스위치(490)의 위치는 기계가 적합하게 작동하는지를 증명하기 위해 데이터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로 판독될 수 있다. 방출 슬롯의 입구에 위치한 광학센서(491)는 선택된 물품이 방출 포켓으로 떨어졌다는 표시를 보낸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태 스위치(490)에 의해 반영되는 특정한 상태를 따라서 기계의 특정한 작동을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시키는 특정한 래치(latch)(492)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기계는 만약 저장고가 닫혀있는 전방 도어와 기계 안으로 적합하지 삽입되지 않을 때 물품을 방출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고체상태의 메모리 혹은 동일한 제공매체(493)는 재고목록 정보뿐만 아니라 마이크로프로세서 작동을 저장하도록 사용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자세한 재고목록을 유지하고 모든 판매를 모니터할 수 있다. 기계를 서비스하기 전에 서비스 맨은 카드 판독기에 스마트 카드를 삽입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서비스 맨의 스마트 카드로 고상 메모리(483)로 붙어 재고 데이터를 전송을 지시하도록 키패드의 코드를 누른다. 스마트 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작동하고 판독되는 특정한 프로그램 지시를 저장할 수가 있다. 이러한 지시는 스크롤 표시장치에 특정한 명령이나 가격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제거된 혹은 부분적으로 비어있는 저장고 뿐만 아니라 스마트 카드는 처리되고 재충전되기 위해 서비스 센터로 되돌아올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483)는 동전 슬롯(210)과 현금 수용기(7)를 통해 삽입되는 상응하는 양의 현금으로 사용자의 스마트 카드를 재충전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센터는 스마트 카드 판독기/기록기(495) 및 프린터(496)로 구비된 중앙 처리장치(494)가 장착된다. 서비스 맨의 스마트 카드(497)를 읽는 정보는 기계에서 방출된 물품의 형식이나 수량과 일치하지 되돌아온 카트리지 내용물을 점검하는데 사용되고 서비스 지역의 여러 자판기에 저장된 나머지 물품의 완전한 재고목록을 만들뿐만 아니라 이전에 서비스된 기계로 여전히 저장되어 있는 물품의 양의 상태에 따라 다음날 수행될 서비스 스케줄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중앙 처리장치(494)는 되돌아온 카트리지 소프트웨어 모듈(498), 재고목록 제어모듈(499), 루트 플랜 모듈(500)을 포함한다. 중앙처리장치는 전체 작동에 대해서 통계적인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스마트 카드 및 판독기는 "블루투스(blue tooth)"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휴대용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혹은 데이터 처리기술에서 이미 공지된 인터넷을 통해 직접 연결하여 다른 저장 장치로 교체될 수가 있다.
도 56은 사용자의 위치와 중앙 처리위치에 있는 저장고를 처리하는 블록 다이아그램을 도시한다.
사용자의 위치에 도달하여 서비스 맨은 자판기 프로세서에 축적된 판매 데이터를 다운로드(501)할 수 있다. 다운로드는 스마트 카드, 휴대용 저장장치 혹은 다른 편리한 저장매체에 이루어질 수 있다. 기계가 중앙처리 위치와 직접 통신하는 경우에서, 다운로드 단계는 건너뛸 수 있다.
다음에, 서비스 맨은 케이스 도어를 열고(503) 잠그며 기계 내부에 있는 부분적으로 소비된 저장고를 고정(502) 시킨다. 기계의 몇가지 변형체에서, 이러한 두 가지 단계는 도어의 약간 해체시켜 이루어진다. 소비되거나 이전에 장착된 저장고를 제거(504)한 후에, 새롭게 다 채워진 저장고가 케이스에 설치(505)된다. 그런다음 케이스 도어는 닫히고(506), 새롭게 설치된 저장고는 해제(507)된다. 다시 몇가지 변형에서 이러한 두 개의 최종단계는 도어를 잠궈서 이루어진다.
소비된 기계는 중앙처리장소로 되돌아간다(508). 기계가 사용됨에 따라서, 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판매된 물품과 현금지불 같은 판매 데이터를 수집(509)한다. 원격장소에서부터 나오는 명력 혹은 서비스 맨의 스마트 카드 혹은 무선 통신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되는 프로그램으로 인한 지시에 대해서, 각각의 스테이션에 있는 물품의 가격이 입력되며, 표시장치가 작동하며(510), 특별한 할인된 가격이 표시장치에 광고되고 나타난다(511).
저장고가 중앙처리장소에 도달했을 때,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내용물은 서비스 맨의 스마트 카드(512)에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서 증명되고 기입된다. 그런다음 저장고는 비어있게 되고, 세척되며 위생처리(513)된다. 물품으로 재충전(514)된 다음 분배를 위해 발송(515)된다. 충전된 저장고는 사용자의 위치로 이송(516)되어서 전술된 과정이 반복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는데, 본 발명의 범위와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30)

  1. 다양한 제품들을 공급센터로부터 다수의 판매위치들에 있는 고객들 및 고용인들에게 공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품의 비용이 지불될 때 분리가능한 저장고(3)들로부터 상기 제품들을 분배하는 한 개이상의 자판기(1)가 상기 판매위치들에 설치되는 단계,
    상기 저장고(3)들이 상기 공급센터에서 상기 제품들로 충전되는 단계(514),
    주어진 수의 판매위치들을 연결하는 이송경로들이 형성되는 단계(500,515),
    제품들로 충전된 저장고(3)들이 상기 이송경로들을 따라 상기 판매위치들로 전달되고(516), 상기 자판기(1)내에 장착된 저장고가 제거되고 제거된 저장고 대신에 제품들로 충전된 저장고들이 상기 자판기내에 장착되는 단계(504,505),
    판독가능한 스마트카드(486)내에 저장된 제품거래에 관한 기록정보가 상기 자판기(1)의 메모리내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단계(509),
    자판기로부터 제거된 상기 저장고들이 상기 공급센터로 반송되는 단계(508),
    반송된 상기 저장고들의 내용물들이 기록되고 반송된 저장고들이 세척되며 새로운 제품들로 재충전되는 단계(512,513,514)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위치의 자판기내에 제품들 및 현금이 없을 때, 제품들로 충전된 상기 저장고들이 자판기내에 장착되는 상기 단계가
    상기 자판기(1)의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503),
    자판기내에 장착된 저장고가 제거되는 단계(504),
    제거된 저장고 대신에 제품들로 충전된 저장고가 삽입되는 단계(505),
    상기 자판기의 도어가 잠기는 단계(5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판매위치의 자판기에 저장된 제품들의 재고목록과 저장고의 이송에 관한 명령이 메모리에 입력되는 단계,
    판독기가 판독가능한 형태의 상기 명령이 휴대용 스마트카드(497)에 기록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은 상기 판매위치의 자판기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판매위치에서 상기 휴대용 스마트카드가 상기 자판기들 중 한 개의 판독기/기록기(485)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제품거래에 관한 기록정보가 상기 자판기의 판독기/기록기부터 상기 휴대용 스마트카드에 다운로드되는 단계,
    판매위치의 자판기에 관한 데이터가 상기 휴대용 스마트카드로부터 판독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자판기(1)가 상기 판매위치에 설치되는 단계동안, 한 개이상의 스낵류 자판기와 음료수 자판기가 판매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스낵류와 음료수에 관한 한 개이상의 조합에 대해 할인된 제품가격을 상기 자판기들 중 한 개에 표시하는 단계 및,
    할인된 제품가격이 지불될 때, 상기 자판기들이 스낵류와 음료수의 조합을 전달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이 기록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제품거래에 관한 기록정보가 상기 자판기의 메모리내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단계동안, 각각의 거래를 위한 지불방법이 기록되고 자동으로 입력된 기록정보가 스마트카드 또는 무선통신장치에 의해 주기적으로 다운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삭제
  11. 상단, 하단, 마주보는 측벽들 및 개방된 전방부로 구성된 외부쉘(18),
    상기 외부쉘(18)내에 배열되고 주변의 전방변부(23,24)주위에서 외부쉘(18)과 연결되는 내부의 플라스틱 라이너(22)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라이너(22)가 적재구획을 형성하며,
    상기 외부쉘(18)과 플라스틱 라이너(22)사이에 삽입된 절연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부를 분리가능하게 밀폐시키는 도어(4)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변부(23,24)주위에서 상기 도어(4)가 상기 외부쉘(18) 및 상기 플라스틱 라이너(22)와 만나는 상단부(30), 하단부(31) 및 측면지주(32,33), 전방의 패널(34)을 포함하며,
    제품들이 저장된 한 개이상의 저장고(3)가 상기 적재구획내에 고정되고,
    상기 저장고(3)내에 저장된 다양한 제품들을 저장고로부터 선택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적재구획내에서 상기 방출수단과 결합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개시신호들에 응답하고 상기 개시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전자제어모듈(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는
    비슷한 크기의 제품들을 고정하는 한 개이상의 셀(11)을 포함하고, 상기 셀(11)은 상기 전방의 패널(34)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출수단은, 상기 개구부와 마주보는 저장고의 후방영역과 결합하는 구동축(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가 상기 적재구획내부에 배열될 때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플라스틱 라이너(22)에 장착되는 한 개이상의 전자기계장치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계 장치는 모터조립체(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수단은 추가로 구동축에 결합된 나선형 랙(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수단은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구동축과 결합되는 게이트장치(8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셀(11)은 셀내부에 고정된 제품을 상기 게이트장치(80)를 향해 미는 경사진 바닥(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장치(80)는
    상기 구동축에 대해 구동축의 반경방향으로 구성된 제 1 배리어(84),
    상기 제 1 배리어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져 배열되고 제 1 배리어와 반대방향을 향해 구동축의 반경방향으로 연결된 제 2 배리어(85)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이 180°도 회전하면, 제 1 배리어가 하강하고 상기 제 1 제품이 상기 셀을 빠져나오며, 상기 제 1 제품 바로 뒤에 배열된 제 2 제품이 상기 제 2 배리어에 의해 상기 셀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모듈은 상기 전방의 패널(34)에 장착된 키보드(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20. 삭제
  21. 제품들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트레이(219,220,221)로부터 제품들을 한 개씩 방출하기 위한 방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트레이가 게이트(233) 및 바닥(258)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258)은 상기 게이트와 근접하게 배열된 전방 변부 및 하향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트레이는 서로 1열로 적재된 제품들을 고정하고,
    상기 게이트는 밀폐위치와 개방위치를 가지는 도어를 포함하며, 도어의 밀폐위치에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제품들 중 한 개의 제품만을 고정하고,
    상기 도어가 밀폐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1열로 배열되고 상기 도어에 의해 고정된 제품과 다음에 배열된 제품사이에 배리어(243)가 삽입되며,
    상기 밀폐위치와 개방위치 중 한 개의 위치로부터 다른 한 개의 위치로 상기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평평한 구조를 가지고, 도어의 밀폐위치에서 상기 도어는 경사진 바닥과 동일한 평면을 가지며, 도어의 개방위치에서 도어는 경사진 바닥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바닥의 하향 경사부에 대해 수직인 축주위에서 아치형상을 가진 게이트(432)로 구성되고,
    상기 게이트의 후방영역(443)이 상기 바닥의 전방변부와 인접하게 배열되는 도어의 밀폐위치 및, 상기 후방영역이 상기 전방변부위로 상승하여 배리어를 형성하는 도어의 개방위치사이에서 상기 축주위에서 상기 게이트(432)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436,437,438)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회전가능한 수평축(82)이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수평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구성되고 수평축의 한쪽 측부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제 1 배리어(84)를 포함하며,
    상기 배리어는 상기 제 1 배리어(84)로 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져 배열되고 제 1 배리어와 마주보며 상기 수평축의 반경방향으로 연결된 제 2 배리어(86)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축(82)이 180°도 회전하면, 상기 제 1 배리어가 하강하고 제 1 제품이 방출되며 제 1 제품의 바로 뒤에 배열된 제 2 제품이 상기 제 2 배리어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은 구불구불한 패턴을 가진 복수개의 기울어진 바닥(7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장치.
  26. 스마트카드를 판독하고 기록하기 위한 판독기/기록기(485),
    상기 판독기/기록기(485)를 통해 스마트카드(497)에 대해 데이터를 기록하고 판독하도록 프로그램된 마이크로 프로세서(483)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상기 판독기/기록기(485)를 통해 제품가격을 결제하고,
    판매거래를 감시하고 판매거래기록을 유지하며,
    상기 판독기/기록기(485)를 통해 상기 판매거래기록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1).
  27. 삭제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기/기록기(485)는 메모리 칩이 장착된 스마트카드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29. 제 26항에 있어서, 원통형 벽을 가진 대칭구조의 제품들을 배출하기 위하여, 제품을 고정하는 저장고(77)와 제품을 배출하는 배출포켓(9)사이에 게이트장치(80)가 배열되고,
    상기 저장고(77)는 상기 게이트장치(80)를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바닥(79)을 가진 채널을 포함하며,
    중력이외에 다른 힘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용기들은 상기 게이트장치를 향해 상기 바닥(79)위에서 자유롭게 일렬로 구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30. 제 26 항에 있어서, 추가로 자판기로부터 배출되는 제품들을 표시하는 스크롤 표시장치(131) 및 스크롤 표시장치의 스크롤에 표시되는 다수의 메세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KR1020027006416A 2000-09-20 2001-09-01 카트리지 적재 장치를 사용하는 중앙집중식 자동판매 방법 KR100848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66,038 US6367653B1 (en) 1997-04-22 2000-09-20 Centralized machine vending method
US09/666,038 2000-09-20
US09/794,521 US6478187B2 (en) 2001-02-26 2001-02-26 Compact vending machine
US09/794,521 2001-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350A KR20020054350A (ko) 2002-07-06
KR100848431B1 true KR100848431B1 (ko) 2008-07-28

Family

ID=2709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416A KR100848431B1 (ko) 2000-09-20 2001-09-01 카트리지 적재 장치를 사용하는 중앙집중식 자동판매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402488A2 (ko)
JP (1) JP4922541B2 (ko)
KR (1) KR100848431B1 (ko)
CN (2) CN1247906C (ko)
AU (2) AU9285601A (ko)
CA (1) CA2423352A1 (ko)
MX (1) MXPA03002515A (ko)
WO (1) WO200202555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0868B2 (en) 2021-07-22 2023-04-04 Trinity Axis Inc. Techniques to dispense an item and release a jammed item from a dispens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4609B2 (en) * 2004-04-15 2007-06-26 Redbox Automated Retail, L.L.C. Articl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for same
EP1771783A4 (en) * 2004-04-15 2009-03-04 Redbox Automated Retail L L C ARTICLE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FOR
GB0426260D0 (en) * 2004-11-30 2004-12-29 Eastwood Liam A vending apparatus
CA2606388C (en) 2005-04-22 2015-10-06 Redbox Automated Retail,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vending inventory
BRPI0604040A (pt) * 2006-09-06 2008-04-22 Whirlpool Sa dispositivo dispensador de latas de bebida
US9886809B2 (en) 2007-09-28 2018-02-06 Redbox Automated Retail, Llc Article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for auditing inventory while article dispensing machine remains operational
US8768789B2 (en) 2012-03-07 2014-07-01 Redbox Automated Retail, Ll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utilization of inventory space for dispensable articles
US8712872B2 (en) 2012-03-07 2014-04-29 Redbox Automated Retail, Ll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utilization of inventory space for dispensable articles
US8151598B2 (en) 2007-10-09 2012-04-10 Fawn Engineering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ngle or multiple temperature zone(s) in refrigerated vending machine
IT1393979B1 (it) * 2009-05-11 2012-05-17 Borghi Distributore automatico e procedimento di distribuzione automatica di cibi pronti
US9104990B2 (en) 2009-09-05 2015-08-11 Redbox Automated Retail, Llc Article v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exchanging an inoperable article for an operable article
US8996162B2 (en) 2009-09-05 2015-03-31 Redbox Automated Retail, Llc Article v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exchanging an inoperable article for an operable article
US8386074B2 (en) 2010-05-25 2013-02-26 Interactive Vending Corporation Vending machine
US8538581B2 (en) 2010-09-03 2013-09-17 Redbox Automated Retail, Llc Article v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received articles
EP2721576A4 (en) 2011-06-14 2014-10-29 Redbox Automated Retail Llc SYSTEM AND METHOD FOR REPLACING A MULTIMEDIA ARTICLE WITH AN ALTERNATIVE DATA CARRIER
CN102364129A (zh) * 2011-06-30 2012-02-29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一种电梯护栏插销
WO2013025392A2 (en) 2011-08-12 2013-02-21 Redbox Automated Retail, Llc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parental control limits from content providers to media content
CN102411809A (zh) * 2011-08-28 2012-04-11 陈太明 新型节能自动售货机
CN102542675A (zh) * 2012-01-18 2012-07-04 长沙鸿鹄文化传播有限公司 自动售货机的出货机构
CN102622813B (zh) * 2012-03-27 2014-06-11 江苏白雪电器股份有限公司 罐装或瓶装商品售货机抽屉
US9747253B2 (en) * 2012-06-05 2017-08-29 Redbox Automated Retail, Llc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article retrieval and transaction validation
CN102777460A (zh) * 2012-06-19 2012-11-14 无锡市百顺机械厂 固定销
CN102760328A (zh) * 2012-06-25 2012-10-31 天津雷云峰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售货机大容量货仓
CN103277383A (zh) * 2013-06-14 2013-09-04 苏州柏德纳科技有限公司 一种六角嵌件
CN103700187B (zh) * 2013-12-31 2016-05-11 常州工学院 一种罐装售货机及其出罐方法
CN106600826A (zh) * 2015-10-14 2017-04-26 上海允昌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曲折形货道的新型自动售货装置
CN105194828A (zh) * 2015-11-09 2015-12-30 陈春来 锥形消防箱及其堆叠结构
CN105488926B (zh) * 2015-12-08 2017-11-14 李尚锋 商品出仓时的结算方法
CN105528837B (zh) * 2015-12-08 2018-08-31 李尚锋 超市购物的智能结算系统
CN106952406A (zh) * 2017-05-11 2017-07-14 深圳市长风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模块化分离式的自动售卖机
CN109993911B (zh) * 2017-12-29 2021-07-20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货箱及自动售货机
CN108550221B (zh) * 2018-07-01 2024-03-19 焦智轩 一种立式一次性雨衣售卖机
CN110428546A (zh) * 2018-11-28 2019-11-08 广州顺立得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售卖装置
CN112124942A (zh) * 2019-04-09 2020-12-25 李开诗 面膜加工用放置机构
WO2020256543A1 (en) * 2019-06-20 2020-12-24 Leonard Jakob VAN SCHOTHORST First dispenser module, vending kit comprising said first dispenser module and method
CN110647069A (zh) * 2019-09-04 2020-01-03 浪潮金融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售货机货道电机逻辑控制方案
CN110754860B (zh) * 2019-10-31 2020-12-04 固安县朔程燃气有限公司 一种利用饮料自重自动放取饮料的装置
RU202017U1 (ru) * 2020-02-17 2021-01-27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оронеж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Вега" (АО "ВНИИ "Вег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изуальной проверки печатных плат
CN115924324B (zh) * 2023-03-15 2023-07-07 南通市众惠模具有限公司 一种五金加工用机械运输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6649A (en) 1979-04-06 1980-12-02 Fellner N Van Compact vending machine
US4412292A (en) 1981-02-17 1983-10-25 The Coca-Cola Company System for the remote monitoring of vending machines
WO1998047799A1 (en) * 1997-04-22 1998-10-29 Charmasson Henri J A Compact table-top vending machine
WO2000031701A1 (en) * 1998-11-19 2000-06-02 The Coca-Cola Company Network of vending machines connected interactively to data-base-building hos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6219A (en) * 1980-03-26 1981-12-15 Micro-Magnetic Industries, Inc. Vending machine acquisition system
JP2547537B2 (ja) * 1985-03-25 1996-10-23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送出装置
JPH07220145A (ja) * 1994-01-31 1995-08-18 Mitsubishi Heavy Ind Ltd 飲料製品等の配送方法
US5509573A (en) * 1994-03-23 1996-04-23 Campoli; William J. Aseptic dispensing system
JPH1083479A (ja) * 1996-09-06 1998-03-31 Norio Watanabe 自動販売機の断熱構造
JP3695057B2 (ja) * 1997-04-24 2005-09-14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断熱内扉
GB2328057B (en) * 1997-08-04 2001-05-30 Ma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ransactions
JP2000163639A (ja) * 1998-11-26 2000-06-16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6649A (en) 1979-04-06 1980-12-02 Fellner N Van Compact vending machine
US4412292A (en) 1981-02-17 1983-10-25 The Coca-Cola Company System for the remote monitoring of vending machines
WO1998047799A1 (en) * 1997-04-22 1998-10-29 Charmasson Henri J A Compact table-top vending machine
WO2000031701A1 (en) * 1998-11-19 2000-06-02 The Coca-Cola Company Network of vending machines connected interactively to data-base-building hos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0868B2 (en) 2021-07-22 2023-04-04 Trinity Axis Inc. Techniques to dispense an item and release a jammed item from a dispensing system
US11830310B2 (en) 2021-07-22 2023-11-28 Trinity Axis Inc. Techniques to dispense an item and release a jammed item from a dispen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3002515A (es) 2004-09-10
AU2001292856B2 (en) 2007-08-09
KR20020054350A (ko) 2002-07-06
EP1402488A2 (en) 2004-03-31
CN1492974A (zh) 2004-04-28
WO2002025552A3 (en) 2003-12-31
CA2423352A1 (en) 2002-03-28
JP2004510233A (ja) 2004-04-02
JP4922541B2 (ja) 2012-04-25
AU9285601A (en) 2002-04-02
CN1529877B (zh) 2011-08-10
CN1247906C (zh) 2006-03-29
WO2002025552A2 (en) 2002-03-28
CN1529877A (zh) 200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431B1 (ko) 카트리지 적재 장치를 사용하는 중앙집중식 자동판매 방법
US6367653B1 (en) Centralized machine vending method
US6330958B1 (en) Compact table-top vending machine
US6478187B2 (en) Compact vending machine
AU2001292856A1 (en) Centralized vending method using cartrige-loaded machines
US7418311B1 (en) Portable dispensing device for refreshments and sundries
RU2752368C2 (ru) Упрощенный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US6416270B1 (en) Automated library kiosk
US7114650B2 (en) Retail products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US7108180B2 (en) Vending machine with electronic payment media
KR101364037B1 (ko) 개선된 상품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한 자동 상품 공급기
WO1994002039A1 (en) Vending system having improved vending access and identification
CA1225373A (en) Article vendor
WO1998047799A1 (en) Compact table-top vending machine
US20060043112A1 (en) Transport mechanism for automated product dispenser
AU2019274397B2 (en) Compact vending machine
WO1998025240A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pensing food products, specifically bakery products
WO2000030961A1 (en) Vending machine
WO2007100400A2 (en) Propane vending machine and method of providing propane cylinders
ZA200203940B (en) Centralized vending method using cartrige-loaded machines.
US20070262083A1 (en) Vending machine with non-vend storage area and modular storage unit
US20220327884A1 (en) First dispenser module, vending kit comprising said first dispenser module and method
NL2023352B1 (en) Vending kit and method for repurposing a refrigerator as a vending machine
CZ35994U1 (cs) Výdejní automat
JPH0486987A (ja) ストック機付き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