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539B1 -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539B1
KR102576539B1 KR1020210005058A KR20210005058A KR102576539B1 KR 102576539 B1 KR102576539 B1 KR 102576539B1 KR 1020210005058 A KR1020210005058 A KR 1020210005058A KR 20210005058 A KR20210005058 A KR 20210005058A KR 102576539 B1 KR102576539 B1 KR 102576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quince
fermented
makgeolli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3835A (ko
Inventor
정태영
박기영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 참옻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 참옻들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 참옻들
Priority to KR1020210005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53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08Oxidation; Fermentation
    • A23F3/10Fermentation with 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2200/00Spe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통 쌍화차 원료에 담자균 배양체 및 유산균이 함유된 막걸리로 도라지와 모과를 발효 및 건조시켜 만든 흑도라지와 흑생강을 이용함으로써 사포닌 함량을 높이고 추출되는 유효성분을 강화시킨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독특한 방식으로 발효한 흑도라지와 흑모과를 함유하는 쌍화차를 제공함으로써 항암력과 면역력에 도움이 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을 크게 증진시키고, 소화 및 흡수율을 한층 높일 수 있으며, 한층 부드럽고 순한 맛을 갖는 휴대 및 섭취가 간편한 고농축 액상의 쌍화차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sanghwa tea using fermented black bellflower root and black quince by lactobacillus from makgeolli with basidiomycetes culture and the ssanghwa tea}
본 발명은 쌍화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통 쌍화차 원료에 유산균이 함유된 담자균 배양체 막걸리로 도라지와 모과를 발효 및 건조시켜 만든 흑도라지와 흑생강을 이용함으로써 사포닌 함량을 높이고 추출되는 유효성분을 강화시킨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영양과잉, 운동부족 등으로 인한 비만, 당뇨, 고혈압 및 심장병 등과 같은 생활 습관병(성인병)의 발명이 높아지고 있고,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한 노령화 사회로의 진입속도가 가속화되면서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홍삼, 글루코사민, 비타민 등을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 수요가 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즐겨 마시는 커피나 차(Tea), 음료에서도 맛과 향이 좋을 뿐만 아니라 다이어트, 피부 미용, 노화억제, 해독작용, 면역력 증진, 특정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차들이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능성 차 또는 음료는 한방 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인삼차, 구기자차, 오가피차, 결명자차 등 단일 성분이 주가 되는 차들과 함께 여러 가지 약재를 함께 넣어 만든 한방차들 중에서 오래 전부터 전통적으로 널리 음용되어 온 쌍화차가 있다.
전통 쌍화차(ssanghwa tea)는 부족한 기운을 보충하기 위해 진한 약성분을 내는 쌍화탕을 보다 가볍게 차로써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변형한 것으로서,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체력을 증진시켜 주는 쌍화탕의 효능은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서도 물의 함량을 높이고 진한 맛과 향을 일부 배제하여 음용하기 용이하도록 기호성을 강화하여 만든 것이다.
종래의 쌍화차는 건강, 숙지황, 황기, 작약, 계피, 감초, 대추 등를 이용해 만드는 건강음료로서 기력 보강용 식품으로 음용되고 있으며, 특히 환절기 면역력이 취약한 사람들에게 건강보조 음료로 이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쌍화차는 달이는 시간과 제조방법이 다소 번거롭기 때문에 현대에 와서는 현대인의 생활에 알맞게 휴대 및 섭취가 편리하도록 액상, 분말, 티백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화된 쌍화차는 휴대 및 섭취가 편리하도록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되는데 반하여, 그 약효는 전통 쌍화차에 비해 매우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202852 B1 (2021.01.08) KR 10-0918628 B1 (2009.09.16) KR 10-1493566 B1 (2015.02.09) KR 10-1540515 B1 (2015.07.23)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쌍화차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현대인의 생활에 알맞게 휴대 및 섭취가 간편하면서도 약효를 강화시킴과 아울러 소화 및 흡수가 원활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쌍화차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현대인의 생활에 알맞게 휴대 및 섭취가 간편하면서도 약효를 강화시킴과 아울러 소화와 흡수가 원활한 쌍화차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쌍화차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담자균 배양체와 유산균이 함유된 막걸리를 이용하여 사포닌 함량을 높인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제조방법은, 세척한 도라지를 섭씨 20-30도의 담자균 배양체 함유 유산균 발효 막걸리에 중량을 기준으로 1:1 비율로 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막걸리에 침지한 도라지를 섭씨 80-95도의 수증기에 2-5시간 증숙하는 단계; 상기 수증기에 증숙한 도라지를 열풍건조기에서 30-50도의 저온으로 숙성시키며 수분 함유율 20% 미만으로 건조하는 단계; 상기 도라지를 증숙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2 내지 9회 반복하여 검은 빛을 띠는 도라지(이하 흑도라지)를 만드는 단계; 세척한 모과를 절편한 다음, 섭씨 20-30도의 담자균 배양체 함유 유산균 발효 막걸리에 중량을 기준으로 1:1 비율로 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막걸리에 침지한 모과를 섭씨 80-95도의 수증기에 2-5시간 증숙하는 단계; 상기 수증기에 증숙한 모과를 열풍건조기에서 30-50도의 저온으로 숙성시키며 수분 함유율 20% 미만으로 건조하는 단계; 상기 모과를 증숙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2 내지 9회 반복하여 검은 빛을 띠는 모과(이하 흑모과)를 만드는 단계; 상기 증숙 및 건조된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각각 1-10중량%, 홍삼 0.05-1중량%, 작약, 당귀, 황기, 숙지황을 각각 5-10중량%, 대추, 감초, 계피, 갈근, 생강을 각각 10-15중량% 및 물을 고체원료의 총중량 대비 10-12배수만큼 넣고, 10-15시간 동안 섭씨 70-90도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기에서 농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통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에서 기본 원료를 법제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원료들을 독특한 방식으로 가공함으로써 사포닌의 함량을 높여 휴대 및 섭취가 간편하면서도 약효를 극대화시키고 소화와 흡수가 원활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침지하는 단계는 상기 막걸리 100중량에 대하여 담자균을 1-5% 첨가함으로써 항암작용을 높여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해죽순을 2-5중량% 더 추가함으로써, 사포닌 함량을 더욱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농축하는 단계는 추출된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Brix)이 10-50%가 될 때까지 농축함으로써 휴대와 섭취가 간편하고 소화와 흡수가 용이한 고농축 액상 파우치로 제공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제조방법은 사포닌 함량이 극대화되고, 휴대와 섭취가 간편하며, 소화와 흡수가 용이한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를 제공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독특한 방식으로 발효한 흑도라지와 흑모과를 함유하는 쌍화차를 제공함으로써 항암력과 면역력에 도움이 되는 유효성분의 함량을 크게 증진시킨 쌍화차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특한 방식으로 발효한 흑도라지와 흑모과를 함유하는 쌍화차를 제공함으로써 소화 및 흡수율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및 섭취가 간편한 고농축 액상의 쌍화차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특한 방식으로 도라지와 모과를 발효시킴으로써 도라지의 아린맛과 모과의 떫은 맛을 제거하여 유효성분의 함량은 크게 높이면서도 한층 부드럽고 순한 맛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의 제조방법을 모식화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와 일반 쌍화차의 유효성분 비교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낸 시험검사성적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낸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부"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의 제조방법을 모식화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와 일반 쌍화차의 유효성분 비교 그래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의 사포닌 함량을 나타낸 시험검사성적서로서,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의 제조방법은, 도라지 및 모과에 대하여 각각 막걸리 침지단계(S101, S201)와, 증숙단계(S103, S203)와, 저온숙성 및 건조단계(S105, S205)와, 추출단계(S207) 및 농축단계(S209)로 이루어진다.
먼저, 막걸리 침지단계(S101, S201)는 세척한 도라지를 섭씨 20-30도의 유산균 발효 막걸리에 중량을 기준으로 1:1 비율로 2-6시간 동안 침지하고, 세척한 모과를 절편한 다음 섭씨 20-30도의 담자균 배양체 함유 유산균 발효 막걸리에 중량을 기준으로 1:1 비율로 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로서, 유산균 발효 막걸리에 침지된 도라지 및 모과를 막걸리 유래 유산균에 의하여 발효시키는 단계이다.
도라지와 모과를 막걸리에 침지시켜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으로 발효시키면, 섭취 시 소화 및 흡수율이 높아지고 사포닌 등의 유효성분 함량이 크게 증가한다. 일반도라지의 사포닌 함량과 흑도라지의 사포닌 함량,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쌍화차의 사포닌 함량을 대비하여 도 2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도 2의 그래프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쌍화차의 사포닌 함량은 도 3의 시험검사성적서에 따른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막걸리는 담자균 배양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서, 담자균 배양체는 막걸리에 침지된 도라지 및 모과의 발효속도를 빠르게 진행시키고, 도라지 및 모과에 함유되어 있는 고유성분들 중 사포닌과 같은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폭시키며, 말굽버섯이나 상황버섯, 칠황버섯 등의 항암효과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담자균 자체의 항암성분을 제공한다.
담자균은 뽕나무, 옻나무, 참나무, 단풍나무 등의 표피와 목질부 사이에서 자라며, 본 발명에서 담자균 배양체는 껍질을 제거한 상기 나무들에 자연 또는 인공적으로 담자균이 자라면, 이 나무를 분쇄하여 칩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거나, 상기 나무들을을 분쇄한 칩에 담자균 균사체를 접종하여 얻을 수도 있다.
한편, 막걸리 침지단계(S101, S201)에서 상기 막걸리 100중량에 대하여 담자균 배양체를 1-5% 첨가하면 담자균의 항암작용에 의하여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유효성분이 증가하고, 발효속도를 높일 수 있다. 담자균 배양체는 막걸리를 빚는 과정에서 담자균 배양체를 누룩과 함께 넣을 수도 있고, 이미 빚어진 막걸리에 별도로 또는 추가로 첨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1-5%는 이미 빚어낸 막걸리 중량 대비 담자균 배양체의 중량비를 나타낸 것이며, 막걸리를 빚는 과정에서 첨가하는 경우에는 곡물과 물, 누룩의 양을 고려하여 담자균 배양체의 양을 증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증숙단계(S103, S203)는 상기 막걸리에 침지한 도라지 및 모과를 각각 섭씨 80-95도의 수증기에 2-5시간 증숙하는 단계이며, 저온숙성 및 건조단계(S105, S205)는 상기 수증기에 증숙한 도라지 및 모과를 각각 열풍건조기에서 30-50도의 저온으로 숙성시키며 수분 함유율 20% 미만으로 건조하는 단계로서, 도라지 및 모과는 증숙단계(S103, S203)와 저온숙성 및 건조단계(S105, S205) 최소 2회 내지 최대 9회 반복함으로써 검은 빛을 띠는 도라지(이하 흑도라지) 및 모과(흑모과)로 변화한다.
이에 따라, 흑도라지 및 흑모과는 도라지의 아린맛과 모과의 떫은 맛이 제거됨으로써 한층 부드럽고 순한 맛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사포닌과 같은 유효성분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게 됨으로써 이들을 포함하는 쌍화차의 항암력과 면역력을 크게 증진시킨다. 또한, 발효 식품이 가지게 되는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유효성분의 소화 및 흡수율을 한층 증가시키게 된다.
이어, 추출단계(S207)는 상기 증숙 및 건조된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각각 1-10중량%, 홍삼 0.05-1중량%, 작약, 당귀, 황기, 숙지황을 각각 5-10중량%, 대추, 감초, 계피, 갈근, 생강을 각각 10-15중량% 및 물을 고체원료의 총중량 대비 10-12배수만큼 넣고, 10-15시간 동안 섭씨 70-90도에서 추출하는 단계이다.
일 예시로서, 전술한 S101 내지 S205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흑도라지 20g과 흑모과20g를 홍삼 0.3g과 같이 넣고, 작약, 당귀, 황기, 대추, 감초, 계피 갈근, 숙지황, 생강을 각각 40g씩 넣은 후, 물 5리터를 넣어 12시간 동안 80도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출단계(S207)에서 해죽순을 2-5중량% 더 추가함으로써 쌍화차에 함유된 사포닌을 비롯하여 폴리페놀 성분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해죽순은 미얀마의 청정구역에서 자라는 야자수로서, 죽순의 모양을 닮아 해죽순이라 하지만 실제로는 대나무의 죽순이 아닌 니파팜이라 불리는 야자수 나무의 순이다.
마지막으로, 농축단계(S209)는 추출단계(S207)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기에서 농축하는 단계로서, 상기 추출단계(S207)에서 추출된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Brix)이 10-50%가 될 때까지 농축함으로써, 스틱 등의 파우치에 적당량 포장하여 고농축 액상차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은 현대인의 생활에 알맞게 휴대 및 섭취가 간편하면서도 약효를 강화시킴과 아울러 소화와 흡수가 원활한 쌍화차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쌍화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은 담자균 배양체와 유산균이 함유된 막걸리를 이용하여 도라지와 모과를 발효시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함유함으로써 도라지의 아린맛과 모과의 떫은 맛을 제거하여 한층 부드럽고 순한 맛을 제공하며, 사포닌과 같은 유효성분을 크게 증가시켜 이들을 포함하는 쌍화차의 항암력과 면역력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쌍화차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쌍화차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세척한 도라지를 섭씨 20-30도의 담자균 배양체 함유 유산균 발효 막걸리에 중량을 기준으로 1:1 비율로 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막걸리에 침지한 도라지를 섭씨 80-95도의 수증기에 2-5시간 증숙하는 단계;
    상기 수증기에 증숙한 도라지를 열풍건조기에서 30-50도의 저온으로 숙성시키며 수분 함유율 20% 미만으로 건조하는 단계;
    상기 도라지를 증숙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2 내지 9회 반복하여 검은 빛을 띠는 도라지(이하 흑도라지)를 만드는 단계;
    세척한 모과를 절편한 다음, 섭씨 20-30도의 담자균 배양체 함유 유산균 발효 막걸리에 중량을 기준으로 1:1 비율로 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막걸리에 침지한 모과를 섭씨 80-95도의 수증기에 2-5시간 증숙하는 단계;
    상기 수증기에 증숙한 모과를 열풍건조기에서 30-50도의 저온으로 숙성시키며 수분 함유율 20% 미만으로 건조하는 단계;
    상기 모과를 증숙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2 내지 9회 반복하여 검은 빛을 띠는 모과(이하 흑모과)를 만드는 단계;
    상기 증숙 및 건조된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각각 1-10중량%, 홍삼 0.05-1중량%, 작약, 당귀, 황기, 숙지황을 각각 5-10중량%, 대추, 감초, 계피, 갈근, 생강을 각각 10-15중량% 및 물을 고체원료의 총중량 대비 10-12배수만큼 넣고, 10-15시간 동안 섭씨 70-90도에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추출물을 농축기에서 농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자균 배양체 함유 유산균 발효 막걸리로 발효한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하는 단계의 담자균 배양체 함유 유산균 발효 막걸리는 유산균 발효 막걸리 100중량에 대하여 담자균 배양체를 1~5% 첨가한 막걸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자균 배양체 함유 유산균 발효 막걸리로 발효한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해죽순을 2-5중량%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자균 배양체 함유 유산균 발효 막걸리로 발효한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하는 단계는,
    추출된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Brix)이 10-50%가 될 때까지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자균 배양체 함유 유산균 발효 막걸리로 발효한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담자균 배양체 함유 유산균 발효 막걸리로 발효한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KR1020210005058A 2021-01-14 2021-01-14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576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058A KR102576539B1 (ko) 2021-01-14 2021-01-14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058A KR102576539B1 (ko) 2021-01-14 2021-01-14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835A KR20220103835A (ko) 2022-07-25
KR102576539B1 true KR102576539B1 (ko) 2023-09-13

Family

ID=8260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058A KR102576539B1 (ko) 2021-01-14 2021-01-14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53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628B1 (ko) 2007-11-30 2009-09-2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93127A (ko) * 2012-08-01 2012-08-22 장성수 발효 흑한방약재 제조방법
KR101493566B1 (ko) 2012-08-10 2015-02-16 배삼훈 막걸리에 발효숙성된 연잎분말을 이용한 기호식의 피 제조방법.
KR101540515B1 (ko) 2013-09-27 2015-07-3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흑도라지, 사과 및 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2202852B1 (ko) 2019-10-29 2021-01-13 김득수 전통 쌍화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전통 쌍화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835A (ko)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39789B (zh) 一种复方枸杞板栗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5018314B (zh) 一种富含花青素的紫米酒及其制备方法
CN107080126B (zh) 一种黑蒜山楂清体液及其制备方法
CN104845858B (zh) 一种无醇枸杞果酒的生产工艺
CN107603818A (zh) 一种刺梨白酒及其制备方法
CN103146533A (zh) 一种香蕉保健酒的酿制方法
CN105586241A (zh) 一种仙人掌果果醋的酿造方法
CN104630010A (zh) 滋补保健养生酒及其制备方法
CN104370981A (zh) 一种从甜茶中提取甜茶素的方法
CN110607218B (zh) 一种醒酒醋及其制备方法与用途
CN105331481B (zh) 刺梨果酒的酿造方法
CN107164148A (zh) 一种雪莲果酒及其制作方法
CN105176723B (zh) 一种保健型葡萄酒及其制备方法
CN107574081A (zh) 一种刺梨酒及其制备方法
KR102576539B1 (ko)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CN106071535A (zh) 澄清型酸枣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433261A (zh) 一种陈皮绿豆沙及其制备方法
CN115590124A (zh) 一种软儿梨复合饮料的制备方法
CN107779340A (zh) 一种橘红米酒及其制备方法
CN106754018A (zh) 一种发酵型山楂酒的制备方法
CN107574057A (zh) 一种刺梨葡萄酒及其制造方法
CN107475034A (zh) 一种耐贮存复合型果酒的制备方法
CN107509838A (zh) 一种发酵型黑米茶的制备方法
CN107057910A (zh) 一种新型保健果酒的制备方法
CN106418538A (zh) 一种水翁花砖子苗花蔬益口片的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