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628B1 -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628B1
KR100918628B1 KR1020070123509A KR20070123509A KR100918628B1 KR 100918628 B1 KR100918628 B1 KR 100918628B1 KR 1020070123509 A KR1020070123509 A KR 1020070123509A KR 20070123509 A KR20070123509 A KR 20070123509A KR 100918628 B1 KR100918628 B1 KR 100918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sanghwatang
fungi
fermentation
group
fung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6381A (ko
Inventor
마진열
김복규
마충제
유영법
신용규
이진형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3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628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2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fung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화탕 진균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쌍화탕에 동충하초와 같은 진균을 접종, 배양, 발효시켜 제조한 쌍화탕 진균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 독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간 기능 회복제 또는 간 기능 회복용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쌍화탕 진균 발효물, 간 독성

Description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liver toxicity comprising fungus-fermented Ssangwhatang}
본 발명은 쌍화탕 진균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쌍화탕은 쌍화산(雙和散)이라고도 하며, 이중탕(理中湯)에 사물탕(四物湯)을 합한 피로 회복에 대한 처방으로 동의보감 잡병편(雜病篇) 허로(虛勞)의 항에 기술되어 있다. 쌍화탕은 심력이 피로하고 기, 혈이 모두 손상되었거나, 큰 병 후 허로하고 기가 모자라며 땀이 나는 경우 등에 사용한다.
쌍화탕을 구성하고 있는 한약재는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계피, 감초, 생강, 대추이며 탕약으로 조제하여 복용한다. 쌍화탕 구성 한약재들의 성분별 효능을 살펴보면, 계피는 비, 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므로 소화기가 차서 소화장애가 있거나, 복부가 차서 일어나는 복통, 설사 등에 널리 이용되며 당귀는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혈액순환촉진과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작용, 진통, 경련억제, 대장운동촉진을 통한 변비개선, 어혈제거 등의 효과가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작약은 신경이나 근의 과도한 긴장을 누그러뜨려 통증을 멈추게 하거나, 보혈 및 진통의 효능을 갖고 숙지황은 혈을 보하는 약이며 황기는 인삼과 더불어 대표적인 기를 보하는 약재로 식은땀을 그치게 하고 종기 등을 치료한다.
천궁은 혈액 순환을 돕고 통증을 가라앉히는 진통효과가 있어 두통에도 자주 응용되며, 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주는 효능과 더불어 빈혈에 적용하면 조혈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건강은 주로 소화불량, 구토, 설사 치료와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대추는 위장을 튼튼히 하고 경맥을 도와서 그 부족을 보하며, 속을 편안하게 하고 비장을 보하고 진액과 기운 부족을 낫게 하며 온갖 약의 성질을 조화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한약재에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켜 인간에 유용한 물질을 얻는 기술로는 한약재의 중탕 착즙액에 성장이 좋고 풍미가 우수한 유산균을 선발하여 혼합 배양, 발효시킴으로서 정장작용의 시너지 효과를 얻는 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5619호), 곡물과 한약재 일부를 선별하여 발효한 메주콩을 이용하여 저온 속성 기법으로 원료 전부를 발효시켜 각 원료가 소유하고 있는 고유성질을 그대로 유지하고 효과를 배가시킨 기술(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78030호) 등의 예가 있으나 쌍화탕 발효 약재와 관련하여 알려진 문헌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랫트에 사염화탄소를 처리하여 간 독성을 유발한 후, 본 발명의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투여하여 간 독성이 치료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쌍화탕 진균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백작약 10 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6 내지 17, 황기 6 내지 17, 당귀 6 내지 17, 천궁 6 내지 17, 계피 3 내지 14, 감초 3 내지 14, 생강 2 내지 14 및 대추 4 내지 8 중량부를 혼합하여 열수추출한 쌍화탕에 진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쌍화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진균 균사체를 배지에 접종한 후 배양하는 단계;
2)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계피, 감초, 생강 및 대추를 혼합하여 열수추출한 쌍화탕을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상기 단계 1의 진균 균사체 배양액을 접종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4의 쌍화탕 배양액을 통기배양하며 액체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쌍화탕 진균 발효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효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진균의 바람직한 예로는 동충하초 균주가 있으며, 이 때 균사생장속도 및 균사 치밀도 등을 실험하여 생장력이 우수한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눈꽃동충하초 균사체 균총의 선단을 취해 종균 배양의 접종원으로 하여 회전형 진탕배양기에서 종균 배양한 후 5 내지 20 %(v/v)로 쌍화탕 원액에 접종하여 항온실에서 통기배양하며 액체 발효함으로써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 때, 종균배양 및 발효는 2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7℃의 항온에서 5 내지 20일 동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일 동안 실시한다.
상기에서 진균은 눈꽃동충하초 뿐 아니라 번데기동충하초, 상황버섯, 영지버섯 또는 아가리쿠스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지 역시 각각의 진균에 맞게 감자 덱스트로스 아가 배지(Potato Dextrose Agar), 쌀추출물, 콩추출물 및 효모추출물로 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쌍화탕은 직접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상품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간 독성 유발물질인 사염화탄소를 랫트에 처리한 후 일반 쌍화탕 및 본 발명의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투여하여 간의 손상정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쌍화탕과 쌍화탕 진균 발효물 투여에 의해 모든 실험군에서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고 어떠한 독성 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표 3 내지 표 6 참조).
이어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투여방법에 따라 사염화탄소 처리 후 간 무게 측정을 실시한 결과, 사염화탄소 처리 후 간 손상을 나타내는 증가된 간 무게가 쌍 화탕 진균 발효물 투여에 의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표 7, 8 및 도 1, 2 참조).
한편, 본 발명자들은 사염화탄소 처리 후 혈액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랫트의 혈액을 채취하여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LDH(lactate dehydrogenase)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사염화탄소 투여시 증가된 상기 효소의 활성이 쌍화탕 진균 발효물 투여에 의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표 9, 10 및 도 3,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쌍화탕 진균 발효물은 간 독성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쌍화탕 진균 발효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약제학적 제제는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가 있으며 이들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쌍화탕 진균 발효물의 투여용량은 환자의 상태, 연령, 성별 및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성인 1kg/day 당 1 내지 8 ㎖,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단위 제형당 상기 쌍화탕 진균 발효물의 1일 용량 또는 이의 1/2, 1/3 또는 1/4의 용량이 함유되도록 하며, 하루 1 내지 6 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회복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식품으로 사용할 경우,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원료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건강식품 내의 쌍화탕 진균 발효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고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 독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간 기능 회복제 또는 간 기능 회복용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험 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 실시예 1> 쌍화탕 진균 발효물의 제조
<1-1> 눈꽃 동충하초 우량균주의 분리 및 선발
본 발명자들은 국내에서 직접 채집 및 균주 분양기관을 통해 10종의 동충하초 균주를 순수분리한 후 리보좀 RNA 염기분석을 통해 균주동정을 하였다. 이중에서 균사생장속도 및 균사 치밀도 등을 실험하여 비교적 생장력이 우수한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 1종을 선발하여 공시균주로 사용하였다. 이후 PDA(Potato Dextrose Agar) 사면배지에 1개월 간격으로 계대배양하였고 4℃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1-2> 종균 배양
PDB(Potato Dextrose Broth, Scharlau Co., Ltd) 액체배지를 조제하여 200㎖씩 삼각플라스크(500㎖)에 분주한 후, 121℃, 15psi에서 20분간 가압 멸균하여 배지를 조제하였으며, PDA 고체배지에서 배양된 눈꽃동충하초 균사체 균총의 선단을 내경 6㎜의 코르크 보어러(cork borer)로 취하여 균사절편 3개를 삼각플라스크 종균배양의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회전형 진탕배양기(LSI-1005R Daihan Labtech Co.,Ltd)에서 24±1℃,130 rpm으로 10일간 배양하여 쌍화탕 발효액의 액종균으로 사용하였다.
<1-3> 쌍화탕 진균 발효물의 제조
백작약 468, 숙지황 187, 황기 187, 당귀 187, 천궁 187, 계피 140, 감초 140, 생강 74 및 대추 100g을 열수추출하여 쌍화탕을 조제한 후, 상기 쌍화탕 원액 10L를 유리병(Pylex 19L)에 넣어 121℃, 15psi에서 30분간 가압멸균하였다.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상기 실시예 <1-2>에서 미리 배양한 액종균을 접종하였다. 24±1℃의 항온실에서 발효초기 0.5 vvm내지 발효후 3vvm으로 15일간 통기배양하며 액체 발효하여 본 발명의 쌍화탕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액종균의 접종량은 10%(v/v)로 하였으며, 통기시에 발생하는 거품의 방지를 위해 식물성 기름을 첨가하여 거품발생을 방지하였다.
< 실험예 1> 쌍화탕 발효물의 간 독성 치료 효과 확인
본 실험에서는 (주)오리엔트(한국)로부터 8주령 수컷 랫트를 입수하여, 한국 한의학 연구원 동물실에서 2주간 검역ㆍ순화한 후, 그 중 건강한 랫트를 골라 실험에 사용하였다.
<1-1> 쌍화탕 진균 발효물의 독성 확인
<1-1-1> 군 분리 및 동물식별
랫트의 군 분리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우선, 순화기간 중 건강하다고 판정된 랫트의 체중을 측정한 후 5 g 간격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평균체중에 가까운 래트를 각각 50, 48마리를 선택하였다. 이렇게 선택된 98마리를 각 군에 5 및 8마 리씩 균등한 체중으로 분배되도록 순위화한 체중과 난수를 이용한 무작위법으로 분배하였다. 랫트의 개체식별은 피모의 색소염색법과 개체식별카드 표시법으로 실시하였다.
<1-1-2> 독성 확인
하기 실험은 사염화탄소 처리 24시간 후에 일반 쌍화탕 및 본 발명의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투여하여 간의 손상정도를 검색하여 간 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사염화탄소는 대표적인 간 독성 유발물질로서 간에 대한 독성연구를 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염화탄소 1일 투여 후(0.5 ㎖/㎏/day) 일반 쌍화탕 및 쌍화탕 진균 발효물 투여용량은 1일 섭취량 15 ㎖/㎏(3회, 3첩)을 저용량군으로 설정하고, 30 ㎖/㎏를 고용량군으로 설정하여 1일 경구투여하거나(표 1)(CCl4 복강투여 30분 후, 쌍화탕을 투여함), 사염화탄소를 2일 복강투여한 후(0 및 4 일, 1.0 ㎖/㎏/day), 일반 쌍화탕 및 쌍화탕 진균 발효물 투여용량은 1일 섭취량 15 ㎖/㎏(3회, 3첩)으로 설정하여 7일 연속 경구투여하는 것으로 하였다(표 2).(CCl4 복강투여 30분 후, 쌍화탕을 투여함)
Figure 112007086528729-pat00001
Con: 대조군,
FST: 발효군(Fermentation group of eluminating the fungi by filter, AD 30 ㎖/㎏), 발효쌍화탕을 필터로 진균만 제거,
NCT: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 group), 사염화탄소만 처리,
SHT: 쌍화탕군(Group of ssangwhatang administration, AD 30 ㎖/㎏), 사염화탄소 + 한의학제조 쌍화탕,
PCT1: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 group, AD 15 ㎖/㎏), 사염화탄소 + 시판되는 쌍화탕(동의보감 원처방 쌍화탕, 동화약품, 한국),
PCT2: 양성 대조군(AD 30 ㎖/㎏), 사염화탄소 + 시판되는 쌍화탕(동의보감 원처방 쌍화탕),
FST1: 사염화탄소 + 진균이 제거된 발효쌍화탕 군(AD 15 ㎖/㎏),
FST2: 사염화탄소 + 진균이 제거된 발효쌍화탕 군(AD 30 ㎖/㎏),
BFST1: 사염화탄소 + 진균이 포함된 발효쌍화탕 군(AD 15 ㎖/㎏)
BFST2: 사염화탄소 + 진균이 포함된 발효쌍화탕 군(AD 30 ㎖/㎏)
Figure 112007086528729-pat00002
그 결과, 쌍화탕과 쌍화탕 진균 발효물 투여에 의해 모든 실험군에서 1일(표 3) 및 7일(표 4) 후 사망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Figure 112007086528729-pat00003
Figure 112007086528729-pat00004
또한, 쌍화탕과 쌍화탕 진균 발효물 투여에 의해 모든 실험군에서 1일(표 5) 및 7일(표 6) 후 어떠한 독성 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쌍화탕 발효물은 독성이 없는 안정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07086528729-pat00005
Figure 112007086528729-pat00006
<1-2> 간 독성 치료 효과 확인
<1-2-1> 간 무게의 변화
상기 실시예 <1-1>과 같은 투여방법으로 사염화탄소를 처리한 후 간 무게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사염화탄소 1일 복강투여시 간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음성대조군은 124%, FST군 103%, SHT군 129%, PCT1군 123%, PCT2군 127%, FST1군 123%, FST2군 131%, BFST1군 114%, BFST2군 118%로 증가하였고 이는 사염화탄소 처리에 의해 간 손상이 유발되었음을 나타낸다. 한편, 쌍화탕 진균 발효물 1일 투여군에서는 사염화탄소 처리시 증가된 간의 무게가 감소되었다(BFST1군 57%, BFST2군 23%, 표 7 및 도 1).
사염화탄소를 2일 복강투여시 대조군의 간 무게는 3.19(±0.18)g이며, 음성대조군은 3.45(±0.37)g으로 108%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PCT군 104%, SHT군 105%, FST군 104%, BFST군 104%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증가폭이 4% 정도 감소하였다(표 8 및 도 2).
Figure 112007086528729-pat00007
Figure 112007086528729-pat00008
<1-2-2> 혈액 생화학적 검사
혈액 생화학적 검사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조건으로 실험한 후, 랫트의 후대정맥에서 5 ㎖의 혈액을 채취하여 실온에서 응고시키고 냉장고 속 원심분리기(Avanti 30, Beckman Co., 미국)를 사용하여 5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이 중 혈청을 분리한 후 생화학 분석기(Advia 1650, Shimaz Co., 일본)를 이용하여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LDH(lactate dehydrogenase)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사염화탄소 1일 투여시, 음성대조군의 AST 활성은 520 IU/L로 정상군에 비해 129% 증가하였고, BFST1군은 93%, BFST2 81%로 각각 감소하여 음성대조군에 비해 각각 72% 및 62%의 AST 활성 감소를 나타냈다. 음성대조군의 ALT 활성은 99 IU/L로 정상군에 비해 235% 증가하였고, BFST1군은 51%, BFST2군은 45%로 감소하였다. LDH 활성은 쌍화탕 및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1일 30 ㎖/㎏ 경구투여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표 9 및 도 3).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p<0.05).
사염화탄소 2일 투여시, 대조군의 AST 활성은 221.61 IU/L로 정상군에 비해 141%로 증가하였다, 쌍화탕 및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7일간 연속 경구투여한 PCT, SHT, FST 및 BFST군은 각각 110%, 99%, 111% 및 103%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AST 활성이 감소하였다. 음성대조군의 ALT 활성은 60 IU/L로 정상군(36 IU/L)에 비해 166% 증가하였고, 쌍화탕 및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7일간 연속 경구투여한 PCT, SHT, FST 및 BFST군은 각각 107%, 105%, 120% 및 118%로 음성대조군에 비해 ALT 활성이 증가하였다. LDH 활성은 쌍화탕 및 쌍화탕 진균 발효물 7일 15 ㎖/㎏ 투여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표 10 및 도 4).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다(*p<0.05).
Figure 112007086528729-pat00009
a; 평균으로 나타낸 값, b;±S.D
Figure 112007086528729-pat00010
a; 평균으로 나타낸 값, b;±S.D
< 제제예 1>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1-1> 연질캅셀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쌍화탕 진균 발효물 100.0mg, 콩기름 175.0mg, 황납 45.0mg, 야자경화유 127.5mg, 대두인지질 21.0mg, 젤라틴 212.0mg, 글리세린 (비중 1.24) 50.0mg, 디-소르비톨 76.0mg,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54mg,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90mg, 메칠바닐린 0.56mg, 황색 203호 적량의 성분이 1 캅셀 중에 함유되도록 약전 제제총칙중 연질캅셀의 제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쌍화탕 진균 발효물 100.0mg, 옥수수전분 90.0mg, 유당 175.0mg, 엘-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5.0mg, 폴리비닐피롤리돈90 5.0mg 및 에탄올 적량의 원료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습식과립법으로 과립화하고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8mg을 가하여 혼합한 후 1정이 400mg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 제제예 2> 건강식품의 제조
<2-1>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쌍화탕 진균 발효물 100.0mg, 옥수수전분 83.2mg, 유당 175.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8mg의 원료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1 캅셀에 360mg이 함유되도록 충전하였다.
<2-2>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쌍화탕 진균 발효물 0.48 ~ 1.28㎎, 꿀 522㎎, 치옥토산아미드 5㎎, 니코틴산아미드 10㎎,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염산피리독신 2㎎, 이노시톨 30㎎, 오르트산 50㎎ 및 물 200㎖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2-3>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쌍화탕 진균 발효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도 1은 쌍화탕 1일 경구투여 후 랫트의 간 무게를 나타낸 표이고,
도 2는 쌍화탕 7일 경구투여 후 랫트의 간 무게를 나타낸 표이고,
도 3은 쌍화탕 1일 경구투여 후 랫트의 혈청의 생화학적 수치를 나타낸 표이 고,
도 4는 쌍화탕 7일 경구투여 후 래트의 혈청의 생화학적 수치를 나타낸 표이다.

Claims (11)

  1.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계피, 감초, 생강 및 대추를 혼합하여 열수추출한 쌍화탕에 진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균을 포함하는 쌍화탕 진균 발효물로서, 상기 진균은 눈꽃동충하초, 번데기동충하초, 상황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백작약 10 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6 내지 17, 황기 6 내지 17, 당귀 6 내지 17, 천궁 6 내지 17, 계피 3 내지 14, 감초 3 내지 14, 생강 2 내지 14 및 대추 4 내지 8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
  3. 삭제
  4. 삭제
  5. 1) 진균 균사체를 배지에 접종한 후 배양하는 단계;
    2)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계피, 감초, 생강 및 대추를 혼합하여 열수추출한 쌍화탕을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상기 단계 1의 진균 균사체 배양액을 접종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쌍화탕 배양액을 통기배양하며 액체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의 진균을 포함하는 쌍화탕 진균 발효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진균은 눈꽃동충하초, 번데기동충하초, 상황버섯, 영지버섯 및 아가리쿠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배지는 감자 덱스트로스 아가 배지(Potato Dextrose Agar), 쌀추출물, 콩추출물 및 효모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단계 1의 배양 및 단계 3의 발효는 20℃ 내지 30℃에서 5 내지 20일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단계 2의 진균 균사체 배양액은 5 내지 20%(v/v)의 농도로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청구항 1의 진균을 포함하는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손상된 간에서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LDH(lactate dehydrogen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의 활성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청구항 1의 진균을 포함하는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회복용 건강식품.
KR1020070123509A 2007-11-30 2007-11-30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18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509A KR100918628B1 (ko) 2007-11-30 2007-11-30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509A KR100918628B1 (ko) 2007-11-30 2007-11-30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381A KR20090056381A (ko) 2009-06-03
KR100918628B1 true KR100918628B1 (ko) 2009-09-25

Family

ID=4098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509A KR100918628B1 (ko) 2007-11-30 2007-11-30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6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835A (ko) 2021-01-14 2022-07-25 농업회사법인 (주) 참옻들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7705B (zh) * 2014-06-26 2015-12-09 河南科技大学 一种天然保健酒及其制备方法
CN105495560A (zh) * 2015-12-28 2016-04-20 贵州汉方制药有限公司 一种复合植物多糖与菌类多糖的营养食品
CN108938714A (zh) * 2018-08-29 2018-12-07 成都乾坤动物药业股份有限公司 发酵黄芪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179949B (zh) * 2021-04-29 2022-05-31 山西大学 正己醇在诱导黄芪不定根生长以及黄芪多活性成分合成积累中的用途
CN113455397A (zh) * 2021-08-05 2021-10-01 山西省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 一种快速繁育恒山黄芪纯化株系的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쌍화탕의 Rat의 약물성 간장해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3. 2)
한국균학회지 27(1), 82~86 (199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3835A (ko) 2021-01-14 2022-07-25 농업회사법인 (주) 참옻들 담자균 배양체 함유 막걸리 유래 유산균 발효 흑도라지 및 흑모과를 이용한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381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721B1 (ko) 지구자를 포함하는 가미 쌍화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918628B1 (ko)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739888A (zh) 冠突散囊菌菌粉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922586B (zh) 一种防治鸡球虫病的益生菌发酵中药制剂的制备及其应用
CN1840166A (zh) 温胆汤现代中药口服制剂及其生产方法
KR100918629B1 (ko)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6309506B (zh) 一种具有调经功能的益生菌组合物及其应用
CN105343184A (zh) 一种组合物及其应用
CN102246956A (zh) 一种含有松花粉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3169737A (zh) 樟芝子实体与破壁灵芝孢子粉的组合物及其在免疫调节中的应用
KR101729003B1 (ko) 황칠 추출물 또는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92743A (ko)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128002B1 (ko) 갈근탕 또는 갈근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2078600B (zh) 抗癌复方灵芝组合物、其用途和包含其的药物组合物
KR102207581B1 (ko) 상심자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TWI239244B (en) Method for inhibiting cancer growth, reducing infection and promoting general health with a fermented soy extract
KR100573375B1 (ko) 으름덩굴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CN102631492B (zh) 提高免疫力、抗疲劳的中药组合物
CN105250337A (zh) 一种纵条纹炭角菌的应用
CN106511401A (zh) 戴氏虫草菌丝体多糖的制备方法及应用
KR20200079276A (ko) B 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서 시아노박테리아 바이오매스의 용도
CN109908202A (zh) 一种治疗高尿酸血症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631487B (zh) 提高免疫力、抗疲劳的中药组合物
CN104138396A (zh) 白囊耙齿菌在制备抗疲劳保健品中的用途
CN104273527B (zh) 一种保健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