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629B1 -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629B1
KR100918629B1 KR1020070123511A KR20070123511A KR100918629B1 KR 100918629 B1 KR100918629 B1 KR 100918629B1 KR 1020070123511 A KR1020070123511 A KR 1020070123511A KR 20070123511 A KR20070123511 A KR 20070123511A KR 100918629 B1 KR100918629 B1 KR 100918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lactobacillus
ssanghwatang
acid bacteria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6383A (ko
Inventor
마진열
마충제
이영철
노정해
조장원
이영경
유영법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3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6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4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쌍화탕에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과 같은 유산균을 접종, 배양, 발효시켜 제조한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 독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간 기능 회복제 또는 간 기능 회복용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 간 독성

Description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liver toxicity comprising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Ssangwhatang}
본 발명은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쌍화탕은 쌍화산(雙和散)이라고도 하며, 이중탕(理中湯)에 사물탕(四物湯)을 합한 피로 회복에 대한 처방으로 동의보감 잡병편(雜病篇) 허로(虛勞)의 항에 기술되어 있다. 쌍화탕은 심력이 피로하고 기, 혈이 모두 손상되었거나, 큰 병 후 허로하고 기가 모자라며 땀이 나는 경우 등에 사용한다.
쌍화탕을 구성하고 있는 한약재는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계피, 감초, 생강, 대추이며 탕약으로 조제하여 복용한다. 쌍화탕 구성 한약재들의 성분별 효능을 살펴보면, 계피는 비, 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므로 소화기가 차서 소화장애가 있거나, 복부가 차서 일어나는 복통, 설사 등에 널리 이용되며 당귀는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혈액순환 촉진과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작용, 진통, 경련억제, 대장운동촉진을 통한 변비개선, 어혈제거 등의 효과가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작약은 신경이나 근의 과도한 긴장을 누그러뜨려 통증을 멈추게 하거나, 보혈 및 진통의 효능을 갖고 숙지황은 혈을 보하는 약이며 황기는 인삼과 더불어 대표적인 기를 보하는 약재로 식은땀을 그치게 하고 종기 등을 치료한다.
천궁은 혈액순환을 돕고 통증을 가라앉히는 진통효과가 있어 두통에도 자주 응용되며, 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주는 효능과 더불어 빈혈에 적용하면 조혈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건강은 주로 소화불량, 구토, 설사 치료와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대추는 위장을 튼튼히 하고 경맥을 도와서 그 부족을 보하며, 속을 편안하게 하고 비장을 보하고 진액과 기운 부족을 낫게 하며 온갖 약의 성질을 조화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한약재에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켜 인간에 유용한 물질을 얻는 기술로는 한약재의 중탕 착즙액에 성장이 좋고 풍미가 우수한 유산균을 선발하여 혼합 배양, 발효시킴으로서 정장작용의 시너지 효과를 얻는 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5619호), 곡물과 한약재 일부를 선별하여 발효한 메주콩을 이용하여 저온 속성 기법으로 원료 전부를 발효시켜 각 원료가 소유하고 있는 고유성질을 그대로 유지하고 효과를 배가시킨 기술(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78030호) 등의 예가 있으나 쌍화탕 발효 약재와 관련하여 알려진 문헌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랫트에 사염화탄소를 처리하여 간 독성을 유발한 후, 본 발명의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투여하여 간 독성이 치료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백작약 10 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6 내지 17, 황기 6 내지 17, 당귀 6 내지 17, 천궁 6 내지 17, 계피 3 내지 14, 감초 3 내지 14, 생강 2 내지 14 및 대추 4 내지 8 중량부를 혼합하여 열수추출한 쌍화탕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쌍화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유산균을 배지에 접종한 후 배양하는 단계;
2)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계피, 감초, 생강 및 대추를 혼합하여 열수추출한 쌍화탕을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상기 단계 1의 유산균 배양액을 접종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쌍화탕 배양액을 통기배양하며 액체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효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유산균의 바람직한 예로는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균주가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을 접종원으로 하여 종균 배양한 후 0.1 내지 10 %(v/v)로 쌍화탕 원액에 접종하여 항온실에서 통기배양하며 액체 발효함으로써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 때, 종균배양 및 발효는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의 항온에서 1 내지 10일 동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일 동안 실시한다.
상기에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뿐 아니라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지 역시 각각의 유산균에 맞게 MRS(Man-Rogosa-Sharpe), 락토오스, M17 및 APT 배지(Asparagine Enrichment Broth)로 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쌍화탕은 직접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상품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간 독성 유발물질인 사염화탄소를 랫트에 처리한 후 일반 쌍화탕 및 본 발명의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투여하여 래트의 상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쌍화탕 또는 유산균 발효쌍화탕 투여에 의해 어떠한 독성 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어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투여방법에 따라 사염화탄소 처리 후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LDH(lactate dehydrogenase)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사염화탄소 투여시 증가된 상기 효소의 활성이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 투여에 의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은 간 독성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약제학적 제제는 정제, 경질 또는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등과 같은 경구투여용 제제가 있으며 이들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의 담체,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가용화제, 현탁화제, 보존제 또는 증량제 등을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의 투여용량은 환자의 상태, 연령, 성별 및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성인 1kg/day 당 1 내지 8 ㎖,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 단위 제형당 상기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의 1일 용량 또는 이의 1/2, 1/3 또는 1/4의 용량이 함유되도록 하며, 하루 1 내지 6 회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회복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식품으로 사용할 경우,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원료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건강식품 내의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고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 독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간 기능 회복제 또는 간 기능 회복용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 실시예 1>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
<1-1> 유산균 분양
한국식품연구원(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KFRI) 식품미생물 유전자은행에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 7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에서 락토바실러스 1종을 분양받아 실험에 이용하였다(표 1).
표 1: 발효에 사용된 락토바실러스 균주
유산균 균주번호
KFRI 128 Lactobacillus acidophilus
164 Lactobacillus fermentum
345 Lactobacillus bulgaricus
442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 lactis
658 Lactobacillus gasseri
692 Lactobacillus casei
693 Lactobacillus casei
KCTC 5033 Lactobacillus rhamnosus
<1-2> 종균배양
상기 <1-1>에서 분양받은 8종의 균주는 사면배지와 액체배지에서 계대배양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산균을 사면배지에 접종하여 37℃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유산균 콜로니가 형성되면 파라핀 필름으로 산소를 차단하여 냉장실에서 보관하였다. 이 때, 유산균 활성이 떨어지거나 잡균의 오염이 염려되므로 2~3주에 한번씩 새로운 사면한천배지로 옮긴 후, 실험시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37℃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종균배양에 사용된 배지는 유산균별로 MRS 배지(Becton Dickinson사, 미국), MRS + 0.5% 글루코스 배지, MRS + 0.5% 락토오스 배지, M17 배지(Becton Dickinson사, 미국) 또는 APT 배지(Becton Dickinson사, 미국)이다.
<1-3>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
백작약 468, 숙지황 187, 황기 187, 당귀 187, 천궁 187, 계피 140, 감초 140, 생강 74 및 대추 100g을 혼합하고 열수추출하여 쌍화탕을 조제한 후, 상기 쌍화탕 원액 10L를 유리병(Pylex 19L)에 넣고 1 M NaOH로 pH를 7.0으로 조정하였다.
이어서, 121℃, 1.5 기압에서 15분간 가압멸균 후, 상온까지 냉각시키고 상기 실시예 <1-2>에서 미리 배양한 액종균을 1%(v/v)로 하여 접종하였다. 37±1℃의 항온실에서 48시간 동안 통기배양하며 액체발효하였으며 24 및 48시간 발효 후 pH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48시간 발효 후 대부분의 쌍화탕 발효물의 pH가 4 이하로 내려가는 등의 활발한 산 생산능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1).
<1-4> 발효대사산물 분석( HPLC )
쌍화탕의 발효 전ㆍ후에 유산균에 의해 대사되는 물질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HPLC를 이용하여 성분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1-3>에서 제조된 쌍화탕 5 ml을 취하여 동결건조한 후 70% EtOH 5 ml을 가하여 70℃의 항온수욕조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추출이 끝난 시료의 잔사를 제거한 후 상등액을 감압농축시켰다. 농축이 끝난 추출물에 MeOH 5 ml을 가하여 10분 동안 초음파 분해한 후 0.45 ㎛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분석을 실시하였다. HPLC를 이용한 쌍화탕 발효 추출물중의 대사물질 분석은 아래 표 2와 같은 조건에 따라 분석하였다.
표 2: 쌍화탕 발효 대사물 분석을 위한 HPLC 시스템의 운용조건
컬럼 역-상 컬럼(μ-Bondapak C18, 300×39 mm)
검출기 UV 254 nm
용매 A B 2% 아세트산 아세토니트릴
런 타임 65 분
주입 부피 20 ㎕
유속 1.0 ml/분
농도구배 표
시간 A / B 0 80 / 20 5 80 / 20 50 20 / 80 55 80 / 20 65 80 / 20
그 결과,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쌍화탕의 경우(도 1b), 발효되지 않은 쌍화탕(도 1a)과 비교할 때 17.3분 위치에서 다량의 발효대사산물이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대사산물은 발효가 진행된 8종의 유산균에서 모두 확인되었다(도 2).
< 실험예 1> 간 독성 치료 효과 확인
본 실험에서는 (주)오리엔트(한국)로부터 8주령 수컷 래트를 입수하여, 한국 한의학 연구원 동물실에서 2주간 검역ㆍ순화한 후, 그 중 건강한 래트를 골라 실험에 사용하였다.
<1-1> 군 분리 및 동물식별
래트의 군 분리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우선, 순화기간 중 건강하다고 판정된 래트의 체중을 측정한 후 5 g 간격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평균체중에 가까운 래트를 각각 55마리를 선택하였다. 이렇게 선택된 55마리를 각 군에 5 마리씩 균등한 체중으로 분배되도록 순위화한 체중과 난수를 이용한 무작위법으로 분배하였다(표 3). 래트의 개체식별은 피모의 색소염색법과 개체식별카드 표시법으로 실시하였다.
Figure 112007086529067-pat00001
Con: 대조군,
NCT: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 group),
PCT;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 group), 시판되는 쌍화탕(동의보감 원처방 쌍화탕, 동화약품, 한국) 처리,
SHT: 쌍화탕 투여군(Administration of the ssangwhatang group),
SMT: 쌍화탕 + 지구자 투여군(Administration of the ssangwhatang add Hovenia Semen group),
S164T; 쌍화탕 발효군 +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S658T; 쌍화탕 발효군 +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S692T; 쌍화탕 발효군 +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SM658T; 쌍화탕 발효군 +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 지구자,
SAT; 쌍화탕 + 산 처리군(Ssangwhatang acid treatment group),
SMAT; 쌍화탕 + 지구자 + 산 처리군(Ssangwhatang add Hovenia Semen of the acid treatment group)
<1-2> 간 독성 치료 효과 확인
하기 실험은 사염화탄소 처리 24시간 후에 일반 쌍화탕 및 본 발명의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투여하여 간의 손상정도를 검색하여 간 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사염화탄소는 대표적인 간 독성 유발물질로서 간에 대한 독성연구를 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 쌍화탕,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 3종 또는 가미쌍화탕[쌍화탕 + 30% 지구자(대진약업사, 한국) 첨가]을 1일 섭취량(3회, 3첩) 15 ㎖/㎏으로 경구투여하고 30분 후에 사염화탄소(1.0 ㎖/㎏, 10% 옥수수 오일)를 복강주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 쌍화탕,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 3종 또는 가미쌍화탕 투여에 의해 어떠한 독성 증상도 관찰되지 않았으나 산 처리된 쌍화탕과 산 처리된 가미쌍화탕 투여군은 무기력, 호흡촉박, 복와, 타액분비 등의 증상이 관찰된 후, 4시간 이내에 모든 동물이 사망하였다(표 4).
사망동물 수 -------------------- 복용 후 시간
복용량 (㎖/㎏) 사망동물 수/동물 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CON 15 0/5 - - - - - - - - - - - - - - - - - - - - - - - -
NCT 15 0/5 - - - - - - - - - - - - - - - - - - - - - - - -
PCT 15 0/5 - - - - - - - - - - - - - - - - - - - - - - - -
SHT 15 0/5 - - - - - - - - - - - - - - - - - - - - - - - -
SMT 15 0/5 - - - - - - - - - - - - - - - - - - - - - - - -
S164T 15 0/5 - - - - - - - - - - - - - - - - - - - - - - - -
S658T 15 0/5 - - - - - - - - - - - - - - - - - - - - - - - -
S692T 15 0/5 - - - - - - - - - - - - - - - - - - - - - - - -
SM658 15 0/5 - - - - - - - - - - - - - - - - - - - - - - - -
SAT 15 5/5 - 3 2 - - - - - - - - - - - - - - - - - - - - -
SMAT 15 5/5 - 2 2 1 - - - - - - - - - - - - - - - - - - - -
<1-3> 혈액생화학검사
일반 쌍화탕,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 3종 또는 가미쌍화탕(쌍화탕 + 30% 지구자)을 투여한 지 30분 후에 사염화탄소(1.0 ㎖/㎏, 10% 옥수수 오일)를 복강주사하고 24시간 후에 후대정맥에서 5 ㎖의 혈액을 채취하여 실온에서 응고시켰다. 이를 냉장고속 원심분리기(Avanti 30, Beckman Co., 미국)를 사용하여 5000 rpm에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생화학분석기(Advia 1650, Shimaz Co., 일본)를 이용하여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LDH(lactate dehydrogenase)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과 시험물질 투여군 사이의 통계학적 유의차는 던넷 테스트(Dunnett test)에 의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통계처리하였다.
그 결과, 사염화탄소만 처리한 음성대조군의 AST 활성은 20,736 IU/L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306 IU/L)에 비해 6,776 % 증가하였고, 음성대조군에 대해 PCT군 101%, SHT군 96%, SMT군 106%, S164군 69%, S658군 80%, S692군 99%, SM658군 92%로 나타났다. 즉, 사염화탄소 처리시 혈장내 AST 함량은 약 60배 정도 증가하였고 쌍화탕 유산균 발효군(S164)에서는 31% 감소하였다.
ALT 활성은 대조군이 46.6 IU/L이며 음성대조군은 11,032 IU/L로 23,673% 증가하였고, 대조군에 대해 PCT군 28,858%, SHT군 29,210%, SMT군 35,124%, S164군 20,583%, S658군 21,476%, S692군 28,583%, SM658군 27,733%로 나타났다. 즉, 쌍화탕 투여군에서는 23% 증가하고 쌍화탕 유산균 발효군(S164)에서는 13 %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DH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음성대조군에서 5.7배 증가하였고, 음성대조군에 대해 PCT군 119%, SHT군 122%, SMT군 120%, S164군 75%, S658군 92%, S692군 123%, SM658군 109%로 나타났다. 즉, 쌍화탕 유산균 발효군(S164)에서는 혈장내 LDH 활성도가 감소하였다.
변수 수컷
CON NCT PCT SHT SMT
CCl4(㎖/㎏) 0 0 1.0 1.0 1.0
복용량(㎖/㎏) 0 0 15 15 15
동물 수 5 5 5 5 5
AST(lU/L)a) SDb ) 306.6** (70) 20736 (7858) 20960 (2701) 20044 (6159) 22148 (4085)
ALT(lU/L)a) SD 46.6** (11) 11032 (2201) 13448* (1701) 13612 (4573) 16368** (1373)
LDH(lU/L)a) SD 5280** (953) 30468 (6247) 36348 (12470) 37352 (12557) 36876 (10602)
변수 수컷
S164 S658 S692 SM658
CCl4(㎖/㎏) 1.0 1.0 1.0 1.0
복용량(㎖/㎏) 15 15 15 15
동물 수 5 5 5 5
AST(lU/L)a) SDb ) 14308 (4453) 16696 (2693) 20624 (4108) 19160 (3624)
ALT(lU/L)a) SD 9592 (2414) 10008 (1538) 13320 (3557) 12924 (3261)
LDH(lU/L)a) SD 23020* (6309) 28204 (10072) 37512 (7015) 33498 (6513)
*p<0.05, **p<0.01
< 제제예 1>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1-1> 연질캅셀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 100.0mg, 콩기름 175.0mg, 황납 45.0mg, 야자경화유 127.5mg, 대두인지질 21.0mg, 젤라틴 212.0mg, 글리세린 (비중 1.24) 50.0mg, 디-소르비톨 76.0mg,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0.54mg,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90mg, 메칠바닐린 0.56mg, 황색 203호 적량의 성분이 1 캅셀 중에 함유되도록 약전 제제총칙중 연질캅셀의 제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 100.0mg, 옥수수전분 90.0mg, 유당 175.0mg, 엘-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5.0mg, 폴리비닐피롤리돈90 5.0mg 및 에탄올 적량의 원료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습식과립법으로 과립화하고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8mg을 가하여 혼합한 후 1정이 400mg이 되도록 타정하였다.
< 제제예 2> 건강식품의 제조
<2-1>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 100.0mg, 옥수수전분 83.2mg, 유당 175.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8mg의 원료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1 캅셀에 360mg이 함유되도록 충전하였다.
<2-2>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 0.48 ~ 1.28㎎, 꿀 522㎎, 치옥토산아미드 5㎎, 니코틴산아미드 10㎎,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염산피리독신 2㎎, 이노시톨 30㎎, 오르트산 50㎎ 및 물 200㎖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2-3>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도 1은 락토바실러스 접종 후 쌍화탕의 pH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a) 쌍화탕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램, (b) 유산균(KFRI164: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첨가된 쌍화탕 발효물의 크로마토그램이다.
글리시리진: 쌍화탕의 지표물질
도 3은 쌍화탕 경구투여 후 래트의 혈액생화학적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1)

  1.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계피, 감초, 생강 및 대추를 혼합하여 열수추출한 쌍화탕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로서, 상기 유산균은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백작약 10 중량부에 대하여, 숙지황 6 내지 17, 황기 6 내지 17, 당귀 6 내지 17, 천궁 6 내지 17, 계피 3 내지 14, 감초 3 내지 14, 생강 2 내지 14 및 대추 4 내지 8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물.
  3. 삭제
  4. 삭제
  5. 1) 유산균을 배지에 접종한 후 배양하는 단계;
    2)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계피, 감초, 생강 및 대추를 혼합하여 열수추출한 쌍화탕을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상기 단계 1의 유산균 균사체 배양액을 접종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쌍화탕 배양액을 통기배양하며 액체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의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유산균은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배지는 MRS(Man-Rogosa-Sharpe), M17 및 APT 배지(Asparagine Enrichment Brot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단계 1의 배양 및 단계 3의 발효는 30℃ 내지 40℃에서 1 내지 10일 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단계 2의 유산균 배양액은 0.1 내지 10%(v/v)의 농도로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청구항 1의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손상된 간에서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LDH(lactate dehydrogenas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의 활성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청구항 1의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회복용 건강식품.
KR1020070123511A 2007-11-30 2007-11-30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18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511A KR100918629B1 (ko) 2007-11-30 2007-11-30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511A KR100918629B1 (ko) 2007-11-30 2007-11-30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383A KR20090056383A (ko) 2009-06-03
KR100918629B1 true KR100918629B1 (ko) 2009-09-25

Family

ID=4098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511A KR100918629B1 (ko) 2007-11-30 2007-11-30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4225A1 (ko) * 2009-09-18 2011-03-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갈근탕 또는 갈근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639B1 (ko) * 2010-06-23 2013-04-0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쌍화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2552518A (zh) * 2011-12-31 2012-07-11 沈阳药科大学 四味中药在解除肝肾毒性方面的应用
CN105106919B (zh) * 2015-09-30 2019-02-05 岳祥碧 一种保健药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375443B (zh) * 2017-07-28 2018-07-17 广东雷允上药业有限公司 一种补肺活血软胶囊及其制备方法
CN111358813B (zh) * 2020-03-16 2023-12-05 中山市康腾医疗高科研究有限公司 一种用于保护呼吸道的盐雾混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039B1 (ko) 2005-10-15 2006-08-22 대선주조 주식회사 기능성 한방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039B1 (ko) 2005-10-15 2006-08-22 대선주조 주식회사 기능성 한방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생약학회지 38(3), 245~253 (2007. 9.30.)
쌍화탕의 Rat의 약물성 간장해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3. 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4225A1 (ko) * 2009-09-18 2011-03-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갈근탕 또는 갈근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9549961B2 (en) 2009-09-18 2017-01-24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toxicity comprising Galgeuntang or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Galgeunta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383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721B1 (ko) 지구자를 포함하는 가미 쌍화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용 조성물
CN109789173B (zh) 源自芽孢杆菌细菌的纳米囊泡及其用途
CN103550754B (zh) 一种用于辅助降血糖的益生菌发酵中药复方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342175B (zh) 一种阴道健康益生菌组合物及其应用
KR100918629B1 (ko)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00030395A1 (en) Probiotics composition containing hericium erinaceus
KR101734960B1 (ko) 탈모 예방, 발모 촉진 또는 성기능 개선능이 있는 류코노스톡 홀잡펠리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2569323A (zh) 一种解酒护肝的组合物及其应用
CN110777098A (zh) 一种具有防治糖尿病脑病功效的乳杆菌及其分离方法和应用
CN107854495B (zh) 凝结芽孢杆菌在制备降低血尿酸制剂中的应用
JP2021527415A (ja) ロイコノストック属菌株を含む肝機能改善用組成物
KR100918628B1 (ko) 쌍화탕 진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6309506B (zh) 一种具有调经功能的益生菌组合物及其应用
CN114668783A (zh) 植物乳杆菌菌株wka86在制备护肝/抗氧化/防治酒精性肝损伤药物方面的用途
KR100988923B1 (ko) 쌍화탕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00556414C (zh) 一种具免疫调节功能的多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CN109207389B (zh) 一种消栓降脂益生复合菌中药口服液及其制备方法
KR20140102867A (ko) 황련해독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WO2005077390A1 (ja) 血糖値低下剤、糖尿病治療・予防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76223B1 (ko) 한약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5044507B (zh) 一种治疗和/或预防糖脂代谢异常的微生物组合物及其应用
CN105663650A (zh) 一种治疗肺癌的益生菌发酵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749099B (zh) 一种治疗胃癌的益生菌发酵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28002B1 (ko) 갈근탕 또는 갈근탕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독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044518A (zh) 一种护肝益生菌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