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845B1 - 장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장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845B1
KR102575845B1 KR1020237012265A KR20237012265A KR102575845B1 KR 102575845 B1 KR102575845 B1 KR 102575845B1 KR 1020237012265 A KR1020237012265 A KR 1020237012265A KR 20237012265 A KR20237012265 A KR 20237012265A KR 102575845 B1 KR102575845 B1 KR 102575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long
long fiber
fiber nonwoven
co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2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4744A (ko
Inventor
히데오 요시다
신이치 미네무라
신이치로 이나토미
히로야스 사카구치
마사히로 사이죠
Original Assignee
도요보 엠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62365A external-priority patent/JP71073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26428A external-priority patent/JP7107414B1/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보 엠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보 엠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54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2Side-by-side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10Melt spinning methods using organic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12Stretch-spinning methods
    • D01D5/16Stretch-spinning methods using rollers, or like mechanical devices, e.g. snubbing p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crimped or curled structure; with a special structure to simulate wool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1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2성분 복합 방사의 장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 0.25g/cc 이하이고,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인 장섬유 부직포.

Description

장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제1 본 발명 및 제2 본 발명)은, 장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 용도 등에서 사용되는 첩부제나 붕대 등은, 관절 등을 움직임으로써 발생하는 피부의 움직임에 추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 중에 단부로부터 말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나, 약효가 충분히 얻어지도록 하기 위해, 벌크 밀도가 높을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부직포로서, 특허문헌 1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2성분의 폴리머를 포함하고, 권축을 갖는 장섬유가 간헐적인 영역에서 저융점 성분에 의해 융착 고정되어 있고, 겉보기 밀도가 0.10g/㎤ 이상, 세로, 가로 방향의 50% 신장 시의 강력이 모두 150g/㎝ 이하이고, 또한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모두 50% 이상인 장섬유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특정의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A)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B)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로 접합한 복합 섬유를 포함하는 단섬유를 포함하고, 신장률이 60% 이상,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인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07-04206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044070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2성분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장섬유 부직포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2성분을 포함하는 단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알려져 있다. 한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2성분을 포함하는 장섬유 부직포는, 종래, 알려져 있지 않다.
종래,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허문헌 1에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네트 상에 포집된 장섬유 웹에 대하여 권축 발현 처리를 행하고, 그 후, 권축 발현된 장섬유 웹에 대하여 엠보스 롤을 사용하여 열압착 접착 처리를 행하고, 간헐적인 영역에서 저융점 성분에 의해 융착 고정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포함되는 장섬유 웹은, 열에 의한 권축 수축이 일어나기 쉽다. 그 때문에, 고온에서 엠보스 가공 등을 실시하는 종래의 제조 방법에서는, 급격한 수축에 기인하여 주름이 발생하거나 하여, 벌크 밀도가 높고, 또한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장섬유 부직포를 얻을 수는 없다.
본 발명(제1 본 발명 및 제2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장섬유 부직포이면서, 벌크 밀도가 높고, 또한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장섬유 부직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당해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장섬유 부직포에 대하여, 예의 연구를 행하였다. 그 결과, 신규의 제조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벌크 밀도가 높고, 또한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장섬유 부직포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제1 본 발명 및 제2 본 발명)을 완성하는 데 이르렀다.
즉, 제1 본 발명은 이하를 제공한다.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2성분 복합 방사의 장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 0.25g/cc 이하이고,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상술한 바와 같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되는 장섬유 웹은, 열에 의한 권축 수축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종래의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서는, 벌크 밀도가 높고, 또한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장섬유 부직포를 얻을 수는 없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185℃ 이상에서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고온 하에서의 엠보스 가공을,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포함되는 장섬유 웹에 적용하면, 급격한 수축에 기인하여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제1 본 발명에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되는 장섬유 웹을 가압착한 후, 가압착된 상기 장섬유 웹에 권축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벌크 밀도가 높고, 또한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장섬유 부직포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제1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또한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 0.25g/cc 이하이고,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인 장섬유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기 때문에, 첩부제나 붕대 등으로서 사용했을 때, 의류 등과 마찰이 발생한다고 해도, 마찰을 받기 어려워, 사용 중에 말림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이기 때문에, 신축성이 우수하여, 첩부제나 붕대 등으로서 사용했을 때 사용감이 양호하다.
(2) 상기 (1)의 구성에 있어서는, 5% 신장 하중이 1.0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신장 하중이 1.0N/25㎜ 이하이면, 첩부제나 붕대 등으로서 사용했을 때, 팔꿈치 등의 관절 부분의 굴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권축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섬유는, 권축사이면, 더 우수한 신축성이 얻어진다.
(4) 상기 (1) 내지 (3)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코어-시스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섬유가 코어-시스 구조이면, 제조 시에, 적합하게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5) 상기 (4)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코어-시스 구조는, 코어 성분의 중앙이 2% 이상 편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시스 구조에 있어서, 코어 성분의 중앙이 2% 이상 편심되어 있으면, 제조 시에, 더 적합하게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6) 상기 (1) 내지 (3)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섬유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 구조이면, 제조 시에, 적합하게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7) 상기 (1) 내지 (6)의 구성에 있어서는, 기계적 교락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본 발명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되는 장섬유 웹을 가압착한 후, 가압착된 상기 장섬유 웹에 권축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진다. 비정질성 폴리에스테르는, 130℃ 부근까지 접착되기 어려운 특성이 있고, 접착점에 의한 구속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권축 가공의 공정에서는, 먼저 신축이 발현된다. 그리고, 신축이 발현된 상태에서 밀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기계적 교락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기계적 교락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구성의 경우,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교락 처리로서 니들 펀치를 채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니들 바늘의 혼입이라는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50 내지 85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15 내지 5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50 내지 85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15 내지 50몰%이면, 결정성이 적절하게 저하되어, 장섬유 부직포에 적합한 권축을 발현시킬 수 있다.
(9) 상기 (1) 내지 (8)의 구성에 있어서는, 첩부제의 기포(基布)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첩부제의 기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본 발명은 이하를 제공한다.
(1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2성분 복합 방사의 장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고,
10%의 신장 회복률이 6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상술한 바와 같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되는 장섬유 웹은, 열에 의한 권축 수축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종래의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서는, 벌크 밀도가 높고, 또한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장섬유 부직포를 얻을 수는 없었다. 한편, 제2 본 발명에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되는 장섬유 웹을 가압착한 후, 가압착된 상기 장섬유 웹에 권축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벌크 밀도가 높고, 또한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장섬유 부직포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제2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또한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고, 10%의 신장 회복률이 65% 이상인 장섬유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기 때문에, 첩부제나 붕대 등으로서 사용했을 때, 의류 등과 마찰이 발생한다고 해도, 마찰을 받기 어려워, 사용 중에 말림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0%의 신장 회복률이 65% 이상이기 때문에, 신축성이 우수하여, 첩부제나 붕대 등으로서 사용했을 때 사용감이 양호하다.
(11) 상기 (10)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권축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섬유는, 권축사이면, 더 우수한 신축성이 얻어진다.
(12) 상기 (10) 또는 (1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코어-시스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섬유가 코어-시스 구조이면, 제조 시에, 적합하게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3) 상기 (1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코어-시스 구조는, 코어 성분의 중앙이 2% 이상 편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시스 구조에 있어서, 코어 성분의 중앙이 2% 이상 편심되어 있으면, 제조 시에, 더 적합하게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4) 상기 (10) 또는 (1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섬유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 구조이면, 제조 시에, 적합하게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5) 상기 (10) 내지(14)의 구성에 있어서는, 기계적 교락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본 발명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되는 장섬유 웹을 가압착한 후, 가압착된 상기 장섬유 웹에 권축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진다. 비정질성 폴리에스테르는, 130℃ 부근까지 접착되기 어려운 특성이 있고, 접착점에 의한 구속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권축 가공의 공정에서는, 먼저, 신축이 발현된다. 그리고, 신축이 발현된 상태에서 밀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기계적 교락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기계적 교락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구성의 경우,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교락 처리로서 니들 펀치를 채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니들 바늘의 혼입이라는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다.
(16) 상기 (10) 내지 (15)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50 내지 85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15 내지 5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50 내지 85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15 내지 50몰%이면, 결정성이 적절하게 저하되어, 장섬유 부직포에 적합한 권축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제1 본 발명 및 제2 본 발명)은 이하를 제공한다.
(17) 상기 (1) 내지 (16)에 기재된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이며,
용융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방사 구금으로부터 토출하여, 냉각 고화시킨 후, 이젝터로 견인, 연신하여 2성분 복합 방사의 장섬유를 형성하는 공정 A와,
상기 공정 A에서 얻어진 상기 장섬유를 포집하여 장섬유 웹을 형성하는 공정 B와,
상기 장섬유 웹을 가압착하는 공정 C와,
가압착된 상기 장섬유 웹에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 D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되는 장섬유 웹은, 열에 의한 권축 수축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종래의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서는, 벌크 밀도가 높고, 또한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장섬유 부직포를 얻을 수는 없었다. 한편, 본 발명(제1 본 발명 및 제2 본 발명)에서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되는 장섬유 웹을 가압착한 후, 가압착된 상기 장섬유 웹에 권축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벌크 밀도가 높고, 또한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장섬유 부직포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18) 상기 (17)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공정 D가, 상기 장섬유 웹을 80℃ 이상의 비등수에 침지하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섬유 웹을 80℃ 이상의 비등수에 침지하면, 장섬유에 적합하게 권축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19) 상기 (18)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공정 D 후, 상기 장섬유 웹을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는 공정 E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D 후, 상기 장섬유 웹을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면, 연신 배율에 따른 두께의 장섬유 부직포가 얻어진다. 즉, 가로 방향의 연신 배율에 의해, 얻어지는 장섬유 부직포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20) 상기 (19)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공정 E 후, 상기 장섬유 웹에 캘린더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 F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E 후, 상기 장섬유 웹에 캘린더 가공을 실시하면, 캘린더 가공의 롤간 거리에 의해, 얻어지는 장섬유 부직포의 두께를 더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두께의 균일화가 도모된다.
(21) 상기 (20)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공정 F에 있어서의 캘린더 가공의 롤간 거리가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F에 있어서의 캘린더 가공의 롤간 거리가 0.1㎜ 이상이면, 섬유의 과잉 압착에 수반하는 신축 기능 저하나 초기 인장 응력 향상이 억제된다.
(22) 상기 (17)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공정 D가, 온도 변조 및 속도 비율이 변경 가능한 2개 이상의 가열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장섬유 웹에, 속도 비율을 점차 떨어뜨리면서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변조 및 속도 비율이 변경 가능한 2개 이상의 가열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장섬유 웹에, 속도 비율을 점차 떨어뜨리면서 권축 가공을 실시하면, 장섬유에 적합하게 권축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23) 상기 (17) 내지 (2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공정 A는, 상기 방사 구금으로서 편심 코어-시스 노즐을 사용하여, 코어 성분으로서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시스 성분으로서의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상기 편심 코어-시스 노즐로부터 토출하는 공정 A-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 구금으로서 편심 코어-시스 노즐을 사용하여, 코어 성분으로서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시스 성분으로서의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상기 편심 코어-시스 노즐로부터 토출하면, 나중의 권축 가공 공정(공정 D)에 있어서, 적합하게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4) 상기 (17) 내지 (23)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공정 A는, 상기 방사 구금으로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노즐을 사용하여,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섬유 길이 방향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하도록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 노즐로부터 토출하는 공정 A-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 구금으로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노즐을 사용하여,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섬유 길이 방향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하도록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 노즐로부터 토출하면, 나중의 권축 가공 공정(공정 D)에 적합하게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5) 상기 (17) 내지 (24)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50 내지 85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15 내지 5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50 내지 85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15 내지 50몰%이면, 결정성이 적절하게 저하되어, 장섬유 부직포에 적합한 권축을 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제1 본 발명 및 제2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장섬유 부직포이면서, 벌크 밀도가 높고, 또한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장섬유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제1 본 발명 및 제2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섬유 부직포]
<제1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
제1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이하, 「제1 실시 형태」라고도 함)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2성분 복합 방사의 장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 0.25g/cc 이하이고,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이다.
상기 장섬유 부직포를 구성하는 상기 장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2성분 복합 방사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장섬유란, 방사 시의 섬유의 길이가 끝이없는 것(무단 연속 섬유)을 말한다. 단, 최종적으로 얻어진 장섬유 부직포가 소정 길이로 절단된 것인 경우, 장섬유의 길이는, 상기 장섬유 부직포의 길이와 동일해진다. 한편, 단섬유란, 부직포 중에 포함되는 섬유의 길이가 부직포의 길이 미만인 것을 말한다. 즉, 장섬유 부직포란, 부직포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섬유(장섬유)로 구성된 부직포이고, 단섬유 부직포란, 상기 단섬유 부직포의 길이 미만의 섬유(단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를 말한다.
상기 장섬유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기 때문에,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계적 강도, 내열성, 보형성 등이 우수하다. 상기 장섬유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이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함유 비율이 상기 수치 범위 내이면, 기계적 강도, 내열성, 보형성 등이 더 우수하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시차 주사형 열량계(DSC)에 의한 측정에 있어서, 결정화에서 유래하는 발열 피크, 및/또는, 결정 융해에서 유래하는 흡열 피크를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이다.
상기 비정질성 폴리에스테르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한 측정에 있어서, 명확한 결정화 발열 피크 및 결정 융해 피크를 갖지 않는 수지이다. 또한, 상기 비정질성 폴리에스테르는, 유리 전이 온도(Tg)가 50℃ 이상이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는, DSC에 의해 승온 속도 20℃/min으로 승온 시의 잠열의 전이점으로부터 구한 값이다. 상기 비정질성 폴리에스테르로서, 유리 전이 온도(Tg) 50℃ 이상인 것을 채용함으로써, 내열성이 양호해진다. 즉, 상기 장섬유 부직포에 있어서는, 내열성과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정질성이면서 Tg가 높은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호모 폴리머)와 비교하여 결정성이 저하되어 있다. 상기 장섬유 부직포(상기 장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2성분 복합 방사이기 때문에, 열처리되었을 때, 결정성의 차에 기인하여 수축량에 차가 발생하여, 권축이 발현된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옥살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운데카디카르복실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헥사히드로테레프탈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고,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등의 지방족 글리콜; 비스페놀, 1,3-비스(2-히드록시에톡시)벤젠, 1,4-(히드록시에톡시)벤젠 등의 방향족 글리콜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 성분은,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Tg가 50℃ 이상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그 중에서도, 이하의 (a) 내지 (d)가 바람직하고, (a)가 보다 바람직하다.
(a)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50 내지 85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15 내지 50몰%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b)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50 내지 85몰%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5 내지 50몰%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c)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1,4부탄디올 50 내지 85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15 내지 50몰%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d)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1,4부탄디올 50 내지 85몰%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5 내지 50몰%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상기 (a), 상기 (b)의 경우, 에틸렌글리콜의 함유량은, 50 내지 85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65 내지 75몰%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c), 상기 (d)의 경우, 1,4부탄디올의 함유량은, 50 내지 85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65 내지 75몰%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a), 상기 (c)의 경우, 네오펜틸글리콜의 함유량은, 15 내지 50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내지 35몰%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b), 상기 (d)의 경우,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함유량은, 15 내지 50몰%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내지 35몰%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a) 내지 상기 (d)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결정성이 적절하게 저하되어, 장섬유 부직포에 적합한 권축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열 안정성 등의 특성이 적합하다.
상기 장섬유에 있어서의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이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함유 비율이 상기 수치 범위 내이면, 적합하게 권축을 발현시킬 수 있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한 공중합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장섬유는, 코어-시스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섬유가 코어-시스 구조이면, 제조 시에, 적합하게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코어-시스 구조는, 섬유 단면이 편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코어 성분의 중앙이 2% 이상 편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 편심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되는 편심률이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 성분의 중앙 편심은,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80% 이하, 60% 이하 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코어-시스 구조는, 적합한 권축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시스측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고, 코어측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섬유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접합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구조인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장섬유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 구조이면, 제조 시에, 적합하게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장섬유의 섬유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40㎛이다. 상기 섬유 직경이 5㎛ 이상이면, 스펀본드법에 의한 가방성이 더 양호해져, 안정된 제조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섬유 직경이 60㎛ 이하이면, 부직포의 얼룩이 심화되기 어려워, 첩부제로서 사용할 때, 약효 성분의 스며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기계적 교락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적 교락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니들 펀치법이나 워터 펀치법에 의한 교락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교락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니들 펀치법을 채용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니들 바늘의 혼입이라는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워터 펀치법은, 대량의 물을 사용하고, 또한 막대한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환경 보존의 관점 및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 상기 기계적 교락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11g/cc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g/cc 이상이다. 또한, 상기 겉보기 밀도는 0.25g/cc 이하이다. 상기 겉보기 밀도는,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0.23g/cc 이하, 0.20g/cc 이하 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기 때문에, 첩부제나 붕대 등으로서 사용했을 때, 의류 등과 마찰이 발생한다고 해도, 마찰을 받기 어려워, 사용 중에 말림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7%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또한, 상기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은,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95% 이하, 90% 이하 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이기 때문에, 신축성이 우수하여, 첩부제나 붕대 등으로서 사용했을 때 사용감이 양호하다. 예를 들어, 팔꿈치 등의 관절에 첩부한 경우에, 굴곡 부분의 피부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어,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주름의 개소를 계기로 한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이란, MD(machine direction) 방향에 있어서의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이고, 또한 CD(cross direction) 방향에 있어서의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인 것을 말한다.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5% 신장 하중이 1.0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N/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6N/25㎜ 이하이다. 상기 5% 신장 하중은, 작을수록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0.01N/25㎜ 이상, 0.05N/25㎜ 이상 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5% 신장 하중이 1.0N/25㎜ 이하이면, 첩부제나 붕대 등으로서 사용했을 때, 팔꿈치 등의 관절 부분의 굴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5% 신장 하중이 1.0N/25㎜ 이하」란, MD(machine direction) 방향에 있어서의 5% 신장 하중이 1.0N/25㎜ 이하이고, 또한 CD(cross direction) 방향에 있어서의 5% 신장 하중이 1.0N/25㎜ 이하인 것을 말한다.
종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장섬유 부직포임에도 불구하고,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고 또한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인 장섬유 부직포를 얻을 수는 없었다. 한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신규의 제조 방법, 즉,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되는 장섬유 웹을 가압착한 후, 가압착된 상기 장섬유 웹에 상기 장섬유 웹을 80℃ 이상의 비등수에 침지하는 권축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고 또한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첩부제의 기포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첩부제의 기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기 때문에, 첩부제나 붕대 등으로서 사용했을 때, 의류 등과 마찰이 발생한다고 해도, 마찰을 받기 어려워, 사용 중에 말림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이기 때문에, 신축성이 우수하여, 첩부제나 붕대 등으로서 사용했을 때 사용감이 양호하기 때문이다.
이상, 제1 실시 형태(제1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에 대하여 설명했다.
<제2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
이하, 제2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는, 제1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같이,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일 필요는 없다. 또한, 제2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는,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면 되고, 제1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같이,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 0.25g/cc 이하일 필요는 없다.
[장섬유 부직포]
제2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이하, 「제2 실시 형태」라고도 함)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2성분 복합 방사의 장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고,
10%의 신장 회복률이 65% 이상이다.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11g/cc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g/cc 이상이다. 또한, 상기 겉보기 밀도는,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0.3g/cc 이하, 0.28g/cc 이하 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기 때문에, 첩부제나 붕대 등으로서 사용했을 때, 의류 등과 마찰이 발생한다고 해도, 마찰을 받기 어려워, 사용 중에 말림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10%의 신장 회복률이 6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또한, 상기 10%의 신장 회복률은, 클수록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99.5% 이하, 99.0% 이하 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10%의 신장 회복률이 65% 이상이기 때문에, 신축성이 우수하여, 첩부제나 붕대 등으로서 사용했을 때 사용감이 양호하다. 예를 들어, 팔꿈치 등의 관절에 첩부한 경우에, 굴곡 부분의 피부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어,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주름의 개소를 계기로 한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10%의 신장 회복률이 65% 이상」이란, MD(machine direction) 방향에 있어서의 10%의 신장 회복률이 65% 이상이고, 또한 CD(cross direction) 방향에 있어서의 10%의 신장 회복률이 65% 이상인 것을 말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는, 상기에서 설명한 겉보기 밀도, 10%의 신장 회복률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일 필요는 없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는,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면 되고,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 0.25g/cc 이하일 필요는 없다.
종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장섬유 부직포임에도 불구하고,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고 또한 10%의 신장 회복률이 65% 이상인 장섬유 부직포를 얻을 수는 없었다. 한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신규의 제조 방법, 즉,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되는 장섬유 웹을 가압착한 후, 가압착된 상기 장섬유 웹에 권축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고 또한 10%의 신장 회복률 65% 이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상, 제2 실시 형태(제2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용융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방사 구금으로부터 토출하여, 냉각 고화시킨 후, 이젝터로 견인, 연신하여 2성분 복합 방사의 장섬유를 형성하는 공정 A와,
상기 공정 A에서 얻어진 상기 장섬유를 포집하여 장섬유 웹을 형성하는 공정 B와,
상기 장섬유 웹을 가압착하는 공정 C와,
가압착된 상기 장섬유 웹에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 D를 구비한다.
<공정 A>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먼저, 용융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방사 구금으로부터 토출하여, 냉각 고화시킨 후, 이젝터로 견인, 연신하여 2성분 복합 방사의 장섬유를 형성한다.
이 공정 A는, 종래 공지의 2성분 스펀본드 방사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섬유는, 섬유를 만드는 공정(방사 공정)으로부터 그대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사 직결 타입의 제조 방법인 스펀본드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서는, 상기한 장섬유 부직포의 항에서 설명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공정 A에서는, 방사 속도를 3500m/분 이상으로 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용융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방사 구금으로부터 토출하여, 냉각 고화시킨 후, 이젝터에 의해 방사 속도 3500m/분 이상으로 견인, 연신하여 2성분 복합 방사의 장섬유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 속도를 3500m/분 이상으로 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테레프탈레이트의 배향 결정화도가 높아진다. 상기 방사 속도를 3500m/분 이상으로 하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도 배향은 진행된다. 그러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결정성이 낮은 점에서, 그 후에 실시하는 권축 가공 공정(공정 D에 있어서의 가열 공정)에 있어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측의 성분의 수축이 일어나게 되어, 권축이 적합하게 발현된다. 상기 방사 속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3800m/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200m/분 이상이다. 또한, 상기 방사 속도는, 가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500m/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m/분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방사 속도는, 하기 식 (1)로 얻어지는 값을 말한다.
여기서, V는 방사 속도(m/분), T는 단섬유의 섬도(dtex), Q는 단공 토출량(g/분)이다.
단공 토출량 Q는, 2성분의 합계로,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g/분이다. 상기 단공 토출량 Q를 0.2 내지 5g/분으로 제어함으로써, 방사 속도 V를 원하는 범위로 제어하기 쉬워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4g/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g/분이다. 또한, 단섬유의 섬도 T(dtex)는, 10000미터의 단섬유의 질량을 그램 단위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공정 A에 있어서는, 상기 방사 구금으로서 편심 코어-시스 노즐을 사용하여, 코어 성분으로서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시스 성분으로서의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상기 편심 코어-시스 노즐로부터 토출하는 공정 A-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심 코어-시스 노즐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방사 구금으로서 편심 코어-시스 노즐을 사용하여, 코어 성분으로서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시스 성분으로서의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상기 편심 코어-시스 노즐로부터 토출하면, 나중의 권축 가공 공정(공정 D)에 있어서, 적합하게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공정 A에 있어서는, 상기 방사 구금으로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노즐을 사용하여,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섬유 길이 방향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하도록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 노즐로부터 토출하는 공정 A-2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 노즐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방사 구금으로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노즐을 사용하여,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섬유 길이 방향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하도록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 노즐로부터 토출하면, 나중의 권축 가공 공정(공정 D)에 적합하게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공정 A에 있어서는, 상기 공정 A-1, 또는 상기 공정 A-2의 어느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A-1, 상기 공정 A-2의 어느 것을 채용하는 경우라도, 오리피스 직경 0.1 내지 0.5㎜의 방사 구금으로부터 방출하고, 이젝터에 1.5 내지 4.0㎏/㎠의 압력(제트압)으로 건조 에어를 공급하여,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 구금의 오리피스 직경은, 0.15 내지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8 내지 0.4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트압은, 2.0 내지 4.0㎏/㎠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내지 3.8㎏/㎠가 더욱 바람직하다. 오리피스 직경을 상기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섬유 직경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건조 에어의 공급 압력(제트압)을 상기 범위 내로 제어함으로써, 방사 속도를 원하는 범위로 제어하기 쉬워짐과 함께, 적절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공정 B>
이어서, 상기 공정 A에서 얻어진 상기 장섬유를 포집하여 장섬유 웹을 형성한다(공정 B). 예를 들어, 하방의 컨베이어 상으로 상기 장섬유를 개섬시키면서 포집하여, 장섬유 웹을 형성하면 된다.
<공정 C>
이어서, 상기 공정 B에 의해 얻어진 상기 장섬유 웹을 가압착한다(공정 C). 상기 가압착은, 상기 장섬유 웹이 수축되지 않는 온도 범위 내에서 행한다. 이에 의해, 적합하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가압착 시의 온도로서는, 50℃ 내지 8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이다. 상기 가압착은 플랫 롤을 사용할 수 있다. 가압착 시의 선압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이다. 상기 선압을 상기 수치 범위 내로 하면, 반송에 의한 파단이 발생하지 않고 공정 통과할 수 있다.
<공정 D>
이어서, 가압착된 상기 장섬유 웹에 권축 가공을 실시한다(공정 D). 권축 가공이 실시된 장섬유는, 권축사로 된다.
상기 공정 D는, 상기 장섬유 웹을 80℃ 이상의 비등수에 침지하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정 D는, 온도 변조 및 속도 비율이 변경 가능한 2개 이상의 가열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장섬유 웹에, 속도 비율을 점차 떨어뜨리면서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먼저, 상기 공정 D가, 상기 장섬유 웹을 80℃ 이상의 비등수에 침지하는 공정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상기 공정 D)이, 상기 장섬유 웹을 80℃ 이상의 비등수에 침지하는 공정인 경우, 상기 비등수의 온도는, 80℃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85℃ 이상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비등수의 온도는, 급격한 수축에 기인한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99℃ 이하가 바람직하고, 97℃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비등수의 온도가 80℃ 이상이기 때문에, 장섬유에 적합하게 권축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비등수로의 침지 시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초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초 이상이다. 상기 비등수로의 침지 시간이 5초 이상이면, 충분히 권축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비등수로의 침지 시간으로서는, 생산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20초 이하, 10초 이하 등으로 할 수 있다.
비등수에 사용하는 수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함침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친수성을 부여하는 액체를 섞어도 되고, 환경면을 고려하여 중성 세제 등을 적량 더할 수 있다.
상기 공정 D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 웹을 상기 비등수에 침지하고 있는 동안은, 가로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지 않음으로써, 벌크 밀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공정 D 후, 상기 장섬유 웹을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는 공정 E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D 후, 상기 장섬유 웹을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면, 연신 배율에 따른 두께의 장섬유 부직포가 얻어진다. 즉, 가로 방향의 연신 배율에 의해, 얻어지는 장섬유 부직포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정 E에 있어서의 연신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텐터를 사용한 연신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E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연신 배율로서는, 2% 이상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신 배율로서는,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로 방향의 연신 배율이란, 연신 전의 횡폭에 대한 연신 배율을 말한다. 즉, 연신 후의 횡폭은, 연신 전의 횡폭 100%에 대하여 연신 배율을 더한 폭이 된다. 예를 들어, 연신 배율이 10%인 경우, 연신 후의 횡폭은, 연신 전의 횡폭에 대하여 110%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공정 E 후, 상기 장섬유 웹에 캘린더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 F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E 후, 상기 장섬유 웹에 캘린더 가공을 실시하면, 캘린더 가공의 롤간 거리에 의해, 얻어지는 장섬유 부직포의 두께를 더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두께의 균일화가 도모된다.
상기 공정 F에 있어서의 캘린더 가공의 롤간 거리는,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다. 상기 공정 F에 있어서의 캘린더 가공의 롤간 거리가 0.1㎜ 이상이면, 섬유의 과잉 압착에 수반하는 신축 기능 저하나 초기 인장 응력 향상이 억제된다. 상기 롤간 거리는, 얻어지는 장섬유 부직포의 두께를 적합하게 조절하는 관점에서, 0.7㎜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상기 공정 F에 있어서의 캘린더 온도(롤의 온도)는,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상기 캘린더 온도를 40℃ 이상으로 함으로써, 섬유 부직포의 두께를 더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두께의 균일화가 더 도모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공정 F 후, 상기 장섬유 웹을 건조시키는 공정 G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정 G에 있어서의 건조 온도는, 수분 제거의 관점에서, 8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또한, 상기 건조 온도는, 섬유끼리의 융착 억제의 관점에서, 15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하이다.
상기 공정 G에 있어서의 건조 시간으로서는, 수분 제거의 관점에서, 10초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초 이상이다. 또한, 상기 건조 온도는, 섬유끼리의 융착 억제의 관점에서, 100초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초 이하이다.
이상, 상기 공정 D가, 상기 장섬유 웹을 80℃ 이상의 비등수에 침지하는 공정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어서, 상기 공정 D가, 온도 변조 및 속도 비율이 변경 가능한 2개 이상의 가열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장섬유 웹에, 속도 비율을 점차 떨어뜨리면서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공정 D가, 온도 변조 및 속도 비율이 변경 가능한 2개 이상의 가열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장섬유 웹에, 속도 비율을 점차 떨어뜨리면서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인 경우, 상기 가열 롤러는, 권축이 발현하는 온도 또는 그 이상으로 설정되게 되어, 수축도 발생하게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속도 비율을 점차 떨어뜨리면서 권축 가공을 실시하기 위해, 권축에 수반하여 수축시킨 만큼, 반송의 속도 비율을 낮추기 때문에, 급격한 수축에 기인한 주름의 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가열 롤러의 개수는, 2개 이상이 바람직하고, 4개 이상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가열 롤러를 사용하여, 점차 속도 비율을 떨어뜨려 가는 것에 의해, 수축량에 따라 상기 장섬유 웹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주름의 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가열 롤러의 개수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설비 비용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12개 이하, 10개 이하 등으로 하면 된다.
권축 가공 시의 가열 온도(상기 가열 롤러의 온도)로서는, 60 내지 150℃가 바람직하고, 70 내지 140℃가 보다 바람직하고, 80 내지 130℃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온도가 상기 수치 범위 내이면, 적합하게 권축을 발현시킬 수 있다. 상기 반송 속도는, 권축 가공 시의 상기 장섬유 웹의 수축량에 따라 느리게 하면 된다.
권축 가공 시, 필요에 따라 닙을 행해도 된다. 닙은, 가장 온도가 높은 가열 롤러에 의한 권축 가공 시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온도가 높은 가열 롤러에 의한 권축 가공 시에 닙을 행하면, 밀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공정 D에서는, 권축을 가열 롤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실시하고 있다. 그 결과, 평활하고 겉보기 밀도가 높고, 또한 얇게 마무리할 수 있다.
이상, 상기 공정 D가, 온도 변조 및 속도 비율이 변경 가능한 2개 이상의 가열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장섬유 웹에, 속도 비율을 점차 떨어뜨리면서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제1 본 발명 및 제2 본 발명)에 관하여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제1 본 발명 및 제2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은, 제1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이고,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4는, 제2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이다.
(고유 점도)
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0.1g을 칭량하여, 25ml의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60/40(중량비))의 혼합 용매에 용해하고, 오스트발트 점도계를 사용하여 30℃에서 3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했다.
(유리 전이 온도)
JIS K7122(1987)에 따라, 20℃/분의 승온 속도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를 구했다.
(비중)
밀도 구배관으로 질산칼슘사수화물로 작성한 밀도 구배액을 제작하여 1.29 내지 1.5g/㎤의 범위의 비중 플로트 범위를 사용하고, 제트 연신 후의 섬유를 밀도 구배관에 투입하여 4시간 이상 안정시켜 부유되어 있는 위치의 메모리를 판독하여, 플로트의 검량선으로부터 비중을 구했다.
(단위 면적당 중량)
JIS L1913(2000) 5.2에 따라, 단위 면적당의 질량을 측정했다.
(겉보기 밀도(벌크 밀도))
JIS-L1913(2010) 5.2에 준거하여 구해진 상기 단위 면적당 중량 및 두께로부터 1㎤당의 중량으로 환산하여, 벌크 밀도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두께 측정기에 의해 0.5g/㎠의 단자를 사용하여 두께를 계측하고, 단위 면적당 중량을 두께로 나눔으로써 벌크 밀도를 구했다.
(섬유 직경)
시료(가압착 전의 장섬유 웹)의 임의의 장소 5점을 선택하고,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단섬유의 직경을 n=20에서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했다.
(섬도(dtex))
시료(가압착 전의 장섬유 플리스)의 임의의 장소 5점을 선택하고,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단섬유 직경을 n=20에서 측정하여, 평균 단섬유 직경을 구했다. 동일한 장소 5점의 섬유를 취출하여, 밀도 구배관을 사용하여 섬유의 비중을 n=5에서 측정하여, 평균 비중을 구했다. 계속해서, 평균 단섬유 직경으로부터 구한 단섬유 단면적과 평균 비중으로부터 10000m당의 섬유 중량인 섬도[dtex]를 구했다.
(편심률)
0.5 내지 2㎜의 구멍이 개방된 금속판을 준비했다. 또한, 부직포를 포함하는 섬유를 잘라내어, 흑색의 섬유로 포매했다. 상기 금속판의 상기 구멍에, 흑색의 섬유로 포매한 부직포를 포함하는 섬유를 채워 넣고, 양단을 면도날로 커트했다. 거리를 계측할 수 있는 소프트가 도입되어 있는 컴퓨터에 접속된 광학 현미경으로, 시스측의 외원의 반경(R)을 계측했다. 코어측의 중심부와 시스측 중심부의 거리를 계측하여, 이것을 편심 거리(L)라고 했다. 이어서, 편심률(%)을, 하기 식으로 구했다.
(편심률)=(L/R)×100
(방사 속도(m/분))
방사 속도 V(m/분)는, 상기 섬도 T(dtex)와 설정의 단공 토출량 Q(g/분)로부터 하기 식에 기초하여 구했다.
V=(10000×Q)/T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
25×150㎜의 시료를 준비했다. 자기 기록 장치를 갖는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손으로 느슨해지지 않을 정도로 인장한 상태에서 50㎜의 파지 간격으로 설치하여, 초기 하중을 0.02N/25㎜로 했다. 이때의 「(파지 간격)+(초기 하중을 가했을 때 신장된 길이)」를 L0으로 했다. 그 후, 인장 속도 25㎜/분으로, 파지 간격의 50%(25㎜ 신장)까지 신장했다. 이때의 길이를 L1이라고 했다. 그 후, 즉시, 동일한 속도로 초기 하중까지 제중(除重)한 시료 길이를 L2라고 했다.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은, 하기 식으로 구했다. 세로 방향, 가로 방향 각각 n=5에서 측정하고, 평균값의 소수점 첫째자리를 반올림했다.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L1-L2)/(L1-L0]×100
(5% 신장 하중)
25×150㎜의 시료를 준비했다. 자기 기록 장치를 갖는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손으로 느슨해지지 않을 정도로 인장한 상태에서 50㎜의 파지 간격으로 설치하여, 인장 속도 25㎜/분으로, 파지 간격의 5%까지 잡아늘였다. 초기 하중을 0.02N/25㎜로 하고, 이때의 「(초기 파지 간격 50㎜)+(초기 하중을 가했을 때 신장된 길이)」를 보정한 값을 파지 간격이라고 했다. 5%까지 잡아늘였을 때의 하중을 5% 신장 하중이라고 했다.
(10% 신장 회복률)
25×150㎜의 시료를 준비했다. 자기 기록 장치를 갖는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손으로 느슨해지지 않을 정도로 인장한 상태에서 50㎜의 파지 간격으로 설치하여, 초기 하중을 0.02N/25㎜로 했다. 이때의 「(파지 간격)+(초기 하중을 가했을 때 신장된 길이)」를, L0이라고 했다. 그 후, 인장 속도 25㎜/분으로, 파지 간격의 10%(5㎜ 신장)까지 잡아늘였다. 이때의 길이를 L1이라고 했다. 그 후, 즉시, 동일한 속도로 초기 하중까지 제중한 시료 길이를 L2라고 했다. 10% 신장 회복률은, 하기 식으로 구했다. 세로 방향, 가로 방향 각각 n=5에서 측정하고, 평균값의 소수점 첫째자리를 반올림했다.
10% 신장 회복률(%)=[(L1-L2)/(L1-L0]×100
(박리성 평가)
부직포 140㎜×100㎜에 의료용 접착제를 도포한 것을 피험자 5명의 팔꿈치에 첩부하고 긴팔 셔츠를 착용시켜 8시간 경과 후의 상황을 보고 판정했다. 2급 내지 5급의 경우, 박리가 억제되어 있다고 판단했다.
0급: 탈락
1급: 절반 이상 박리
2급: 1/3 박리
3급: 1/5 박리
4급: 단부가 약간 박리
5급: 박리 없음
(실시예 1)
2성분 스펀본드 방사 설비에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노즐을 사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고유 점도(iv값): 0.63)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7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30몰%인 공중합체, 고유 점도(iv값): 0.75, Tg: 75℃)를 질량비 5.5(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4.5(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비율로 방출했다. 방출은, 오리피스 직경 0.36㎜의 방사 구금으로부터 단공 토출량 1.0g/분으로 행하였다. 그 후, 또한, 이젝터에 3.5㎏/㎠의 압력(제트압)으로 건조 에어를 공급하여, 1단계에서 연신하고, 하방의 컨베이어 상으로 섬유를 개섬시키면서 포집하여, 장섬유 웹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상기 장섬유 웹을 가압착했다. 가압착의 조건은, 가압착 롤 온도 60℃, 선압 5㎏/㎝로 했다.
이상에 의해 얻어진 장섬유 웹의 섬유 직경은 14.5㎛, 방사 속도는 4500m/분, 단위 면적당 중량 25g/㎡였다.
이어서, 얻어진 장섬유 웹을 비등수에 침지했다. 비등수의 온도, 비등수로의 침지 시간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했다. 또한, 비등수로의 침지 시에는, 가로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고 있지 않다.
상기 장섬유 웹을 비등수에 침지한 후, 상기 장섬유 웹을 가로 방향으로 연신했다. 연신 배율은,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했다.
상기 장섬유 웹을 가로 방향으로 연신한 후, 상기 장섬유 웹에 캘린더 가공을 실시했다.
캘린더 온도(롤의 온도) 및 캘린더 가공의 롤간 거리(캘린더 클리어런스)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했다.
상기 장섬유 웹에 캘린더 가공을 실시한 후, 상기 장섬유 웹을 건조시켰다. 건조 온도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했다. 이상에 의해, 실시예 1에 관한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2)
편심도가 0.1㎜인 코어-시스 노즐을 사용하여, 시스측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7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30몰%인 공중합체, 고유 점도(iv값): 0.75, Tg: 75℃)를 배치시킨 것 및 횡연신 배율을 8%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3)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7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30몰%인 공중합체, 고유 점도(iv값): 0.75, Tg: 75℃)를 6.5:3.5의 비율로 한 것 및 횡연신 배율을 5%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4)
시스측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85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15몰%인 공중합체(고유 점도(iv값): 0.75, Tg: 75℃)를 사용한 것 및 횡연신 배율을 3%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1)
비등수의 온도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 및 횡연신을 행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었다. 또한, 횡연신을 행하지 않은 이유는, 비교예 1에서는, 횡연신하기 전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적었기 때문이다. 즉,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는, 얻어지는 부직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동일 정도(100g/㎡ 정도)로 하기 위해 횡연신하고 있지만, 비교예 1에서는, 횡연신하기 전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적고, 횡연신을 하면 단위 면적당 중량이 더 적어지기 때문에, 행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캘린더 클리어런스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3)
캘린더 클리어런스를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었다.
(비교예 4)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95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5몰%인 공중합체(고유 점도(iv값): 0.75, Tg: 75℃)를 사용한 것 및 횡연신을 행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었다. 또한, 횡연신을 행하지 않은 이유는, 비교예 4에서는, 횡연신하기 전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적었기 때문이다. 즉,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는, 얻어지는 부직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동일한 정도(100g/㎡ 정도)로 하기 위해 횡연신하고 있지만, 비교예 4에서는, 횡연신하기 전의 단위 면적당 중량이 적고, 횡연신을 하면 단위 면적당 중량이 더 적어지기 때문에, 행하지 않았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겉보기 밀도, MD 방향의 5% 신장 하중, CD 방향의 5% 신장 하중, MD 방향의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 CD 방향의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 및 박리성 평가 등급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Figure 112023040415665-pct00002
(실시예 5)
2성분 스펀본드 방사 설비에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노즐을 사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고유 점도(iv값): 0.63)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7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30몰%인 공중합체, 고유 점도(iv값): 0.75, Tg:75℃)를 질량비 5.5(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4.5(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비율로 방출했다. 방출은, 오리피스 직경 0.36㎜의 방사 구금으로부터 단공 토출량 1.0g/분으로 행하였다. 그 후, 또한, 이젝터에 3.5㎏/㎠의 압력(제트압)으로 건조 에어를 공급하여, 1단계에서 연신하고, 하방의 컨베이어 상으로 섬유를 개섬시키면서 포집하여, 장섬유 웹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상기 장섬유 웹을 가압착했다. 가압착의 조건은, 가압착 롤 온도 60℃, 선압 5㎏/㎝로 했다.
이상에 의해 얻어진 장섬유 웹의 섬유 직경은 14.5㎛, 방사 속도는 4500m/분, 단위 면적당 중량 25g/㎡였다.
이어서, 얻어진 장섬유 웹에 대하여, 6개의 가열 롤에 의해 반송하면서 권축 가공을 실시했다. 구체적으로, 각 가열 롤의 온도 및 각 가열 롤의 속도비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제했다. 또한, 속도비란, 제1 롤의 입구로부터 제1 롤로 반송되는 속도에 대하여, 각 롤의 출구로부터 반출되는 속도를 말한다. 또한, 제4 롤에 의한 권축 가공 시에는, 고무제의 닙롤에 의해 가압을 행하였다. 이상에 의해, 실시예 5에 관한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6)
편심도가 0.1㎜인 코어-시스 노즐을 사용하여, 시스측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7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30몰%인 공중합체, 고유 점도(iv값): 0.75, Tg: 75℃)를 배치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7)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7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30몰%인 공중합체, 고유 점도(iv값): 0.75, Tg: 75℃)를 6.5:3.5의 비율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8)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7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30몰%인 공중합체, 고유 점도(iv값): 0.75, Tg: 75℃)를 6.5:3.5의 비율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6과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 두께, 겉보기 밀도, MD 방향의 5% 신장 하중, CD 방향의 5% 신장 하중, MD 방향의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 CD 방향의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 및 박리성 평가 등급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Figure 112023040415665-pct00003
(실시예 9)
2성분 스펀본드 방사 설비에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노즐을 사용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고유 점도(iv값): 0.63)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7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30몰%인 공중합체, 고유 점도(iv값): 0.75, Tg: 75℃)를 질량비 5.5(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4.5(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비율로 방출했다. 방출은, 오리피스 직경 0.36㎜의 방사 구금으로부터 단공 토출량 1.0g/분으로 행하였다. 그 후, 또한, 이젝터에 3.5㎏/㎠의 압력(제트압)으로 건조 에어를 공급하여, 1단계에서 연신하고, 하방의 컨베이어 상으로 섬유를 개섬시키면서 포집하여, 장섬유 웹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상기 장섬유 웹을 가압착했다. 가압착의 조건은, 가압착 롤 온도 60℃, 선압 5㎏/㎝로 했다.
이상에 의해 얻어진 장섬유 웹의 섬유 직경은 14.5㎛, 방사 속도는 4500m/분, 단위 면적당 중량 25g/㎡였다.
이어서, 얻어진 장섬유 웹에 대하여, 6개의 가열 롤에 의해 반송하면서 권축 가공을 실시했다. 구체적으로, 각 가열 롤의 온도 및 각 가열 롤의 속도비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제했다. 또한, 속도비란, 제1 롤의 입구로부터 제1 롤로 반송되는 속도에 대하여, 각 롤의 출구로부터 반출되는 속도를 말한다. 또한, 제4 롤에 의한 권축 가공 시에는, 고무제의 닙롤에 의해 가압을 행하였다.
얻어진 부직포는, 단위 면적당 중량 100g/㎡, 두께 0.8㎜, 겉보기 밀도 0.13g/cc, MD 방향의 10% 신장 회복률 84%, CD 방향의 10% 신장 회복률 87%, 박리성 평가 등급은 5등급이었다.
(실시예 10)
편심도가 0.1㎜인 코어-시스 노즐을 사용하여, 시스측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7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30몰%인 공중합체, 고유 점도(iv값): 0.75, Tg: 75℃)를 배치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는, 단위 면적당 중량 98g/㎡, 두께 0.75㎜, 겉보기 밀도 0.13g/cc, MD 방향의 10% 신장 회복률 78%, CD 방향의 10% 신장 회복률 83%, 박리성 평가 등급은 4등급이었다.
(실시예 1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7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30몰%인 공중합체, 고유 점도(iv값): 0.75, Tg: 75℃)를 6.5:3.5의 비율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는, 단위 면적당 중량 95g/㎡, 두께 0.9㎜, 겉보기 밀도 0.11g/cc, MD 방향의 10% 신장 회복률 71%, CD 방향의 10% 신장 회복률 72%, 박리성 평가 등급은 3등급이었다.
(실시예 1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7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30몰%인 공중합체, 고유 점도(iv값): 0.75, Tg: 75℃)를 6.5:3.5의 비율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는, 단위 면적당 중량 97g/㎡, 두께 0.92㎜, 겉보기 밀도 0.11g/cc, MD 방향의 10% 신장 회복률 67%, CD 방향의 10% 신장 회복률 70%, 박리성 평가 등급은 3등급이었다.
(실시예 13)
시스측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85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15몰%인 공중합체(고유 점도(iv값): 0.75, Tg: 75℃)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는, 단위 면적당 중량 97g/㎡, 두께 0.85㎜, 겉보기 밀도 0.11g/cc, MD 방향의 10% 신장 회복률 65%, CD 방향의 10% 신장 회복률 67%, 박리성 평가 등급은 3등급이었다.
(실시예 14)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5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50몰%인 공중합체(고유 점도(iv값): 0.75, Tg: 75℃)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는, 110g/㎡, 두께 0.8㎜, 겉보기 밀도 0.14g/cc, MD 방향의 10% 신장 회복률 86%, CD 방향의 10% 신장 회복률 88%, 박리성 평가 등급은 5등급이었다.
(비교예 5)
가열 롤을 사용하여 권축 가공을 행하는 대신에, 130℃의 열 에어 스루에 의해 권축 가공을 행한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동일한 조건에서 스펀본드 부직포를 얻었다.
얻어진 부직포는, 101g/㎡, 두께 1.3㎜, 겉보기 밀도 0.08g/cc, MD 방향의 10% 신장 회복률 88%, CD 방향의 10% 신장 회복률 89%, 박리성 평가 등급은 1등급이었다.
(비교예 6)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7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30몰%인 공중합체, 고유 점도(iv값): 0.75, Tg: 75℃)의 중량비를 8.5:1.5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으려고 했지만, 권축에 의한 수축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비교예 7)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95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5몰%인 공중합체(고유 점도(iv값): 0.75, Tg: 75℃)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9와 동일한 조건에서 부직포를 얻으려고 했지만, 권축에 의한 수축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Figure 112023040415665-pct00004

Claims (25)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2성분 복합 방사의 장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 0.25g/cc 이하이고,
    50% 신장 시의 신장 회복률이 5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5% 신장 하중이 1.0N/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권축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코어-시스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시스 구조는, 코어 성분의 중앙이 2% 이상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7. 제1항에 있어서, 기계적 교락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50 내지 85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15 내지 5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9. 제1항에 있어서, 첩부제의 기포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1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2성분 복합 방사의 장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겉보기 밀도가 0.1g/cc 이상이고,
    10%의 신장 회복률이 6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권축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코어-시스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시스 구조는, 코어 성분의 중앙이 2% 이상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15. 제10항에 있어서, 기계적 교락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50 내지 85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15 내지 5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이며,
    용융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방사 구금으로부터 토출하여, 냉각 고화시킨 후, 이젝터로 견인, 연신하여 2성분 복합 방사의 장섬유를 형성하는 공정 A와,
    상기 공정 A에서 얻어진 상기 장섬유를 포집하여 장섬유 웹을 형성하는 공정 B와,
    상기 장섬유 웹을 가압착하는 공정 C와,
    가압착된 상기 장섬유 웹에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 D
    를 구비하는,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D가, 상기 장섬유 웹을 80℃ 이상의 비등수에 침지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D 후, 상기 장섬유 웹을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는 공정 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E 후, 상기 장섬유 웹에 캘린더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 F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F에 있어서의 캘린더 가공의 롤간 거리가 0.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D가, 온도 변조 및 속도 비율이 변경 가능한 2개 이상의 가열 롤러를 사용하여, 상기 장섬유 웹에, 속도 비율을 점차 떨어뜨리면서 권축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A는, 상기 방사 구금으로서 편심 코어-시스 노즐을 사용하여, 코어 성분으로서의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시스 성분으로서의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상기 편심 코어-시스 노즐로부터 토출하는 공정 A-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A는, 상기 방사 구금으로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노즐을 사용하여,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섬유 길이 방향으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으로 접합하도록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 노즐로부터 토출하는 공정 A-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이고,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50 내지 85몰% 및 네오펜틸글리콜 15 내지 5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KR1020237012265A 2020-09-28 2021-09-16 장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KR102575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62365A JP7107343B2 (ja) 2020-09-28 2020-09-28 長繊維不織布、及び、長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JPJP-P-2020-162365 2020-09-28
JP2021126428A JP7107414B1 (ja) 2021-08-02 2021-08-02 長繊維不織布、及び、長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JPJP-P-2021-126428 2021-08-02
PCT/JP2021/034095 WO2022065191A1 (ja) 2020-09-28 2021-09-16 長繊維不織布、及び、長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744A KR20230054744A (ko) 2023-04-25
KR102575845B1 true KR102575845B1 (ko) 2023-09-11

Family

ID=8084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265A KR102575845B1 (ko) 2020-09-28 2021-09-16 장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87613A1 (ko)
EP (1) EP4219815A4 (ko)
KR (1) KR102575845B1 (ko)
CN (1) CN116324066B (ko)
TW (1) TW202227690A (ko)
WO (1) WO20220651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2051B2 (ja) 1993-08-02 2001-09-25 株式会社クラレ 長繊維不織布
CN1163345C (zh) * 1995-07-10 2004-08-25 株式会社日本吸收体技术研究所 多孔性复合体片及其制造方法
JP3161588B2 (ja) * 1996-09-13 2001-04-25 ユニチカ株式会社 伸縮性長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96154A (ja) * 1996-09-24 1998-04-14 Unitika Ltd 伸縮性混繊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DE69836223T2 (de) * 1997-08-28 2007-08-30 Eastman Chemical Co., Kingsport Verbesserte copolymerbinderfasern
MXPA01002107A (es) * 1998-08-28 2002-08-20 Eastman Chem Co Fibras aglutinantes de copoliester.
KR100629813B1 (ko) * 1999-06-08 2006-09-29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소프트 스트레치사 및 제조 방법
JP4405057B2 (ja) * 2000-08-02 2010-01-27 マイコール株式会社 Td方向にのみ伸縮性を有する弾性複合体を使用したバンドカイロ
JP2003013353A (ja) * 2001-06-26 2003-01-15 Toray Ind Inc スパンボンド不織布
JP4948127B2 (ja) * 2005-12-07 2012-06-06 花王株式会社 熱伸長性繊維
EP1889955B1 (en) * 2006-08-14 2008-08-13 ALBIS Spa Elastic spunbonded nonwoven and composite nonwoven comprising the same
JP2013044070A (ja) 2011-08-26 2013-03-04 Toray Ind Inc 潜在捲縮性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および不織布
JP2014240531A (ja) * 2013-06-11 2014-12-25 東洋紡株式会社 低温で高収縮な長繊維不織布
ES2903221T3 (es) * 2014-12-26 2022-03-31 Kuraray Co Textil no tejido autoadhesivo
US11186931B2 (en) * 2017-04-12 2021-11-30 Unitika Ltd. Process for producing needle-punched nonwoven fabric
KR20200014743A (ko) * 2017-05-30 2020-02-1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필터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 방법
EP3690096B1 (en) * 2017-09-28 2021-12-15 Toray Industries, Inc. Spunbond nonwoven fabric
KR102570892B1 (ko) * 2018-01-25 2023-08-25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스펀본드 부직포
CN111394829B (zh) * 2019-10-21 2022-09-13 浙江恒逸石化研究院有限公司 一种偏芯中空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24066A (zh) 2023-06-23
CN116324066B (zh) 2024-03-12
TW202227690A (zh) 2022-07-16
EP4219815A1 (en) 2023-08-02
KR20230054744A (ko) 2023-04-25
US20230287613A1 (en) 2023-09-14
EP4219815A4 (en) 2023-10-18
WO2022065191A1 (ja)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8525C (en) Spun-laid webs with at least one of lofty, elastic and high strength characteristics
RU2440447C2 (ru) Термоадгезионное двухкомпонентное волокно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JP5404396B2 (ja) 熱接着性複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繊維集合物
KR101194359B1 (ko)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페트 기포지
JPS58191215A (ja) ポリエチレン系熱接着性繊維
JP2008297673A (ja) 長繊維不織布および人工皮革用基材の製造方法
KR102575845B1 (ko) 장섬유 부직포 및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US11519102B2 (en) Thermo-fusible conjugated fibers and nonwoven fabric using same
KR101079804B1 (ko) 폴리에스터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JPH01260051A (ja) 繊維ウェブ
JP7107414B1 (ja) 長繊維不織布、及び、長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JP2001003256A (ja) 長繊維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07343B2 (ja) 長繊維不織布、及び、長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JP2023136326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芯地
JP2023097053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表皮材用シート、及び表皮材
JP2023141097A (ja) 長繊維不織布及び包帯
JP2023140088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
JP2023151063A (ja) 長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136325A (ja) 長繊維不織布及び緩衝材
JPH01266218A (ja) 中空芯鞘型熱融着繊維の製造法
KR20220095753A (ko) 부직포,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9245217A1 (ko) 카펫 기포지용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193847A (ja) 人工皮革基体の製造方法
JP2016204800A (ja) ポリエチレン系短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97324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ポリエチレン複合長繊維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