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892B1 - 내수성 및 세안성을 갖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수성 및 세안성을 갖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892B1
KR102572892B1 KR1020210012626A KR20210012626A KR102572892B1 KR 102572892 B1 KR102572892 B1 KR 102572892B1 KR 1020210012626 A KR1020210012626 A KR 1020210012626A KR 20210012626 A KR20210012626 A KR 20210012626A KR 102572892 B1 KR102572892 B1 KR 102572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cosmetic composition
water
present
makeup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9226A (ko
Inventor
최민성
송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10012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892B1/ko
Priority to PCT/KR2022/000976 priority patent/WO2022164117A1/ko
Priority to CN202280012032.6A priority patent/CN116801855A/zh
Priority to US18/274,638 priority patent/US20240091116A1/en
Priority to JP2023546132A priority patent/JP2024505535A/ja
Publication of KR20220109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226A/ko
Priority to KR1020230112338A priority patent/KR20230127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8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2Coated by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소스테아릭애씨드, 안료급 분체 (바람직하게는, 리포아미노산으로 코팅된 안료급 분체), HLB가 0 초과 8 이하인 유화제 및 잔량의 물을 함유하며, 내수성 및 세정성이 동시에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수돗물, 땀 등 중성 이하의 pH 환경에서는 내수성이 우수하였다가, 비눗물과 같은 알칼리성 물로 피부 세안 시 세안성이 우수하도록 전환되므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수성 및 세안성을 갖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W/O TYP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WATER RESISTANCE AND EASY-WASHABILITY}
본 발명은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수성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세안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결점을 가리고 균일한 피부톤을 연출하기 위해 메이크업 제품을 사용한다. 이러한 메이크업 제품은 피부색을 내기 위해서 높은 함량의 안료를 사용하며, 피부와 밀착력이 우수하고 화장 지속력이 좋은 W/O 유화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높은 함량의 안료를 포함하는 W/O 타입의 화장품은 제거가 쉽지 않다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성상이 고체인 안료용 분체는 피부에 이물질로 느껴질 뿐 아니라 모공을 막아 트러블을 유발하기도 하며, 눈에도 잘 띄기 때문에 메이크업 제품의 세안성(세정성) 개선은 아주 중요하다. 그래서 메이크업 제품을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1차 세안 후 2차 세안을 거쳐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최근 이중 세안 후 피부 상태를 확인한 여러 결과에서, 이중 세안은 두 번에 걸친 강한 피부 마찰에 의해 장벽 손상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효과를 저해하여 건조함을 야기한다는 문제가 확인된 바 있다.
이를 위해, 한국 등록특허 제1342231호에서는 분체 표면을 pH 감응형 폴리머로 코팅하여 외부 pH 조건에 따라 표면 성질이 바뀌는 분체를 이용하여 pH가 중성인 물에는 내수성을 갖지만 pH가 높은 비눗물에는 쉽게 제거가 되는 분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 기술은 분체 자체의 세정성 개선에만 한정된 기술일 뿐, 전체 화장막 제거는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이, 사용 시에는 내수성을 가지면서, 세안 시에는 1차 세안만으로도 제거가 용이하도록 세안 용이성(세안성)을 모두 갖는 메이크업 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342231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수성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세안성(세정성)도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1차 세안만으로도 제거가 용이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소스테아릭애씨드, 안료급 분체, HLB가 0 초과 8 이하인 유화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중성 pH 수용액보다 알칼리성 pH 수용액으로 더 잘 씻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조성을 가지는 유중수형(W/O 타입)의 메이크업 제품은 물과 땀에 지워지지 않고 화장 지속력이 높지만, 세안성이 개선되어 1차 세안만으로도 제거가 용이하다는 점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안료급 분체가 고함량 포함된 화장품이 위와 같은 조성을 가질 경우 세안력 개선 효과가 다른 조성물들보다 월등히 뛰어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도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수돗물 또는 pH 7±0.5 정도의 중성 수용액에서는 내수성이 우수하지만, 알칼리성액, 예를 들어, pH가 9 내지 11인 액으로는 잘 씻겨진다는 특성이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있어 이소스테아릭애씨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40 중량% 포함되고, 안료급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40 중량% 포함되며, HLB가 0 초과 8 이하인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 성분으로 이소스테아릭애씨드(isostearic acid)를 포함하며,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안료급 분체가 고함량 처방된 처방에서는 이소스테아릭애씨드가 다른 고체 지방산에 비해 목적하는 효과가 월등히 뛰어나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상기 이소스테아릭애씨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4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4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40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7-4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소스테아릭애씨드의 함량이 너무 낮을 경우 목적하는 효과가 적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목적상, 일 성분으로 피부 톤 보정을 위한 안료급 분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안료급 분체로는 분체 크기가 후술하는 안료급인 티타늄디옥사이드, 탈크, 틴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안료급 분체는 티타늄디옥사이드이다.
본 발명에 있어, 용어 “안료급 분체”는 분체 크기가 200 nm 내지 1000nm, 바람직하게는 250 nm 내지 9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nm 내지 800nm인 분체를 의미한다.
분체 크기가 100 nm 미만 또는 200 nm 미만인 분체의 경우, 자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 주로 사용되는 반면,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산란하는 성질은 약하여 비교적 투명하기 때문에 피부에 도포하여도 피부 톤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 안료급 분체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산란하여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 톤의 변화를 야기하는 분체이며, 착색제나 안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안료급 분체는 리포아미노산으로 코팅된 안료급 분체, 특히 리포아미노산으로 코팅된 TiO2 분체이다. 이러한 리포아미노산으로 코팅된 안료급 분체는 중성 pH에서는 그 형태를 유지하여 내수성에 도움이 되면서도, 높은 pH에서는 코팅에 영향을 미쳐 세정성에 도움이 된다.
통상적으로, 안료급 분체는 유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표면처리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면처리에 사용되는 물질은 디메치콘,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지방산, 리포아미노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안료급 분체의 세정성을 평가한 결과, 리포아미노산으로 코팅된 안료급 분체가 중성(pH 7)인 물에는 유분산의 성질을 갖지만 비눗물과 같은 알칼리 물(예를 들어, pH 10)에는 코팅 물질이 해리되면서 수분산 성질을 갖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분체 코팅에 사용되는 디메치콘,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지방산 등과는 다르게 리포아미노산은 알칼리 조건에서 표면 성질이 바뀌기 때문이다. 이런 성질은 조성물이 물과 땀에는 지워지지 않지만 비눗물에는 세정성이 향상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분체가 투명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100 nm 미만 크기의 분체에서는 세정 효과를 체감하기 어려워, 분체 크기가 안료급인 경우 피부에 도포했을 때 백탁 현상이 나타나는 분체에 보다 적합하여 메이크업 제품에 더 이상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리포아미노산은 팔미토일프롤린, 마그네슘팔미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팔미토일사코시네이트,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프롤린, 팔미토일이소류신, 카프릴로일글라이신, 디옥틸도데실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콜레스테릴/옥틸도데실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피토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및 피토스테릴/데실테트라데실미리스토일메틸베타-알라니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팔미토일프롤린, 마그네슘팔미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팔미토일사코시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리포아미노산으로 코팅된 안료급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4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포아미노산으로 코팅된 안료급 분체는 3-4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7-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리포아미노산으로 코팅된 안료급 분체의 함량이 너무 낮을 경우 그 효과가 적고, 함량이 너무 높을 경우 처방 중 분체 함량이 너무 높아 안정성을 유지하기 힘들고 사용감이 너무 뻑뻑해지며 백탁이 생길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리포아미노산으로 코팅된 안료급 분체 이외의 다른 분체들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크, 틴옥사이드, 마이카, 실리카, PMMA 등과 같은 분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유중수형(W/O 형태)으로 만들기 위한 유화제를 포함하며, 특히, HLB가 0 초과 8 이하인 유화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유화제는 HLB가 8 이하, 바람직하게는 7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유화제로는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올리베이트 등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모노올레이트 등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5)경화 피마자유, POE(7.5)경화 피마자유, POE(10)경화 피마자유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9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피이지-11메칠에텔디메치콘, 피이지-10디메치콘,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피이지/피피지-20/22부틸에터다이메티콘,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와 같은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디메티콘폴리올, 폴리글리세릴-2 세스퀴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펜타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5 헥사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 디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공중합체, 디이소스테아로일 폴리글리세릴-3 다이머 디리놀리에이트와 같은 폴리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 본 발명 조성물은 안정화제로 1가 이온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제는 W/O 형태의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역할을 한다.
이러한 1가 이온염으로는 염화나트륨이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W/O형 유화제의 안정화제로 황산마그네슘, 염화칼슘 등의 2가 이온염도 사용될 수 있으나, 2가 이온염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과 불용성 침전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으려면 1가 이온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이론적 기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ZnO 등의 2가 이온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ZnO 등의 2가 이온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중량%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포함하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아예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들을 본 발명의 목적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몰리언트, (유기) 자외선차단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향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에몰리언트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이소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디스테아릴말레이트,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카놀, 글리세릴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틸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등의 실리콘 오일; 이소헥사데칸, 스쿠알란, 미네랄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등의 탄화수소계 오일; 및 올리브오일, 아보카도오일, 호호바오일, 마카다미아오일, 쉐어버터, 망고버터, 무루무루버터, 카카오버터 등의 식물성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설포닉애씨드, 3,4-메틸벤질리덴켐퍼,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호모살레이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벤조페논-3, 에칠헥실트리아존, 디이에이-메톡시신나케이트, 디소듐페닐디펜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벤조페논-8,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에칠헥실디메칠파바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보습제는 1,3-부틸렌글리콜, 2,3-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베타인, 트레할로스, 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옥탄디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점증제는 벤톤,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폴리아마이드-8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방부제는 페녹시에탄올, 파라벤,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터, 벤조산 나트륨, 솔브산, 솔브산 칼륨, 살리실산, 염화벤잘코늄, 트라이클로로카바닐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기재된 모든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한국, 중국,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관련 법규, 규범 (예를 들어, 화장품 안전 기준 등에 관한 규정(한국), 화장품 안전 기술 규범(중국), 위생 규범(중국)) 등에서 규정한 최대 사용치를 초과하지 않는다. 즉,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각국의 관련 법규, 규범에서 허용되는 함량 한도로 본 발명에 따른 성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내수성 및 세안성이 동시에 우수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과 땀에 지워지지 않고 화장 지속력이 높지만, 세안 시에는 1차 세안만으로도 제거가 용이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 조성물과 기존 비교예 조성물의 효과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2는 #1 내지 #5 조성물의 내수성을 평가한 실험 결과이며, 도 3은 #1 내지 #5 조성물의 세안 용이성을 평가한 실험 결과이다.
도 4는 #11 내지 #15 조성물의 내수성을 평가한 실험 결과이며, 도 5는 #11 내지 #15 및 #1 조성물의 세안 용이성을 평가한 실험 결과이다.
도 6은 #6 내지 #10 조성물의 내수성을 평가한 실험 결과이며, 도 7은 #6 내지 #10 조성물의 세안 용이성을 평가한 실험 결과이다.
도 8은 #16 내지 #20 조성물의 내수성을 평가한 실험 결과이며, 도 9는 #16 내지 #20 조성물의 세안 용이성을 평가한 실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 1. 지방산 함량에 따른 실험
하기 표 1의 처방과 함량을 가진, 피부 톤 보정을 위한 메이크업 제품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A항을 함량에 맞게 계량하고 70~80℃로 가열하여 완전히 녹였다. B항을 완전히 분산시키고 70~80℃로 가열하여 준비하였다. A항을 B항에 천천히 투입하면서 5분간 유화를 시키고 30℃까지 냉각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안료 X는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리포아미노산 및 팔미틱애씨드의 3가지 혼합물질로 코팅된 티타늄디옥사이드 분체 (LP-TR 10, Miyoshi); 적색산화철 (OTS RED R-516, DAITO KASEI KOGYO CO); 황색산화철(OTS-2 YELLOW LLXILO, DAITO KASEI KOGYO CO); 및 흑색산화철(OTS-2 BLACK BL-100, DAITO KASEI KOGYO CO)의 혼합물이다. 혼합 중량 비율은 93.482 : 1.080 : 5.400 : 0.038 (코팅된 TiO2 : 적색산화철 : 황색산화철 : 흑색산화철)이다. 상기 리포아미노산은 팔미토일프롤린, 마그네슘팔미토일글루타메이트, 및 소듐팔미토일사코시네이트의 혼합물이며 업체에서 제공하는 분석결과를 보면 코팅된 티타늄디옥사이드 분체 크기의 최빈값은 357nm이고 중앙값(D50)은 434nm이다. 분석 방법은 laser particle size analyzer를 통해 에탄올에 분산하여 측정되었다.
(단위: 중량%) #1 #2 #3 #4 #5
A 정제수 28 28 28 28 28
소듐클로라이드 2 2 2 2 2
글리세린 10 10 10 10 10
B 사이크로펜타실록세인 20 20 20 20 20
페닐트리메치콘 5 5 5 5 5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5 14 11 7 0
이소스테아릭애씨드 0 1 4 8 15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 5 5 5 5
피이지 10 디메치콘 5 5 5 5 5
안료 X 10 10 10 10 10
총합 100 100 100 100 100
내수성 평가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검은색 고무판에 25mg의 상시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조성물이 도포된 부위 위로 수돗물을 15초 이상 흘려 보내 씻겨 내려가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세안 용이성 평가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검은색 고무판에 25mg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그 위에 클렌징폼 20% 희석액 4~5방울을 떨어뜨리고 충분히 문질러 준 후 흐르는 물로 헹궈내고 씻기는 정도를 비교하였다. 이때 사용된 클렌징폼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라크베르 브리드 촉촉 정화 클렌징 폼을 사용하였고, 20% 희석액의 pH는 9.5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모두 수돗물에 잘 씻겨지지 않는 우수한 내수성을 나타내었다. 즉, 지방산이 포함되어도 W/O 제형의 내수성이 저하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세안용이성 평가 결과에서는 지방산을 1 중량% 이상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품이 더 잘 씻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지방산이 비눗물과 같이 pH가 높은 조건에서는 비누화 반응을 일으켜 세안에 도움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되나, 본 발명은 이러한 이론적 기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2. 지방산의 종류에 따른 실험
실험 1과 같은 방법으로 메이크업 화장품을 제조하고, 내수성 및 세안 용이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단위: 중량%) #11 #12 #13 #14 #15
A 정제수 28 28 28 28 28
소듐클로라이드 2 2 2 2 2
글리세린 10 10 10 10 10
B 사이크로펜타실록세인 20 20 20 20 20
페닐트리메치콘 5 5 5 5 5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5 5 5 5 5
미리스틱애씨드 10
팔미틱애씨드 10
스테아릭애씨드 10
이소스테아릭 애씨드 10
베헤닉애씨드 1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 5 5 5 5
피이지 10 디메치콘 5 5 5 5 5
안료 X 10 10 10 10 10
총합 100 100 100 100 100
실험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내수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세안 용이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내수성 측면에서는 지방산의 종류와 상관없이 모두 우수한 내수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세안 용이성의 경우, 다른 고체 지방산에 비해 이소스테아릭 애씨드(#14)의 효과가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 3. 안료급 분체의 종류에 따른 실험
실험 1과 같은 방법으로 메이크업 화장품을 제조하고, 내수성 및 세안 용이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표 3에서 안료 X는 표 1에서 사용된 안료 X와 동일하였다.
표 3에서 안료 Y는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및 디메치콘으로 코팅된 티타늄디옥사이드 분체 (Si TiO2 CR50, 한국후지화학공업); 적색산화철; 흑색산화철; 및 황색산화철 4가지 성분의 혼합물이다. 혼합 비율은 93.482: 1.080: 5.4: 0.038 이다. 분체의 크기는 250nm이었다. 참고로, Si TiO2 CR50는 TiO2 CR50을 실리콘 코팅한 분체인데 CR50은 가장 일반적인 안료급 분체로 250n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분체이다.
(단위: 중량%) #6 #7 #8 #9 #10
A 정제수 28 28 28 28 28
소듐클로라이드 2 2 2 2 2
글리세린 10 10 10 10 10
B 사이크로펜타실록세인 20 20 20 20 20
페닐트리메치콘 5 5 5 5 5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7 7 7 7 7
이소스테아릭애씨드 8 8 8 8 8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5 5 5 5 5
피이지 10 디메치콘 5 5 5 5 5
안료 X 8 6 4 2
안료 Y 2 4 6 8 10
총합 100 100 100 100 100
실험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내수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험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세안 용이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안료의 종류와 상관없이 높은 내수성과 세안성을 나타내었지만, 리포아미노산 코팅 분체가 포함될 때 (예를 들어, 5 중량% 이상일 때, #8 샘플의 경우 안료 X가 6 중량% 사용되었으며, 안료 X 중 리포아미노산 코팅 분체의 함량이 대략 93.4%임) 세안성이 더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4. 2가 이온의 영향
실험 1과 같은 방법으로 메이크업 화장품을 제조하고, 내수성, 세안 용이성 및 안정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단위: 중량%) #16 #17 #18 #19 #20
A 정제수 38.1 36.1 37.6 36.1 36.1
부틸렌글라이콜 10 10 10 10 10
황산마그네슘 2
소듐클로라이드 0.5 2 2
B 사이크로펜타실록세인 4 4 4 4 4
이소도데케인 8 8 8 8 8
이소스테아릭 애씨드 5 5 5 5 5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 7 7 7 7
이소아밀-P 메톡시신나메이트 7 7 7 7 7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1 1 1 1 1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4 4 4 4 4
소르비탄올리베이트 4 4 4 4 4
피이지-30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0.3 0.3 0.3 0.3 0.3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0.1 0.1 0.1 0.1 0.1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1.5 1.5 1.5 1.5 1.5
징크옥사이드 3 3 3 3
안료 X 7 7 7 7 7
총합 100 100 100 100 100
실험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내수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또, 실험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세안 용이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또한, 안정성도 평가하여 그 결과를 종합적으로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16 #17 #18 #19 #20
미포함 MgSO4 2중량% NaCl 0.5중량% NaCl2중량% NaCl
2중량%
ZnO 3중량% 3중량% 3중량% 3중량% 미포함
세안 용이성
안정성 X
(상기 표 5에서 ○는 안정성이 우수함, △는 중간 정도의 안정성, X는 안정성이 떨어짐을 의미함.)
실험 결과, #16 내지 #20 모두 내수성과 세안 용이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세안 용이성 측면에서 2가 이온을 포함하는 #16 내지 #19보다 2가 이온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20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16 내지 #20의 실험 결과, 2가 이온을 포함하는 #16 내지 #19은 세안력이 다소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가 이온을 포함하는 견본은 오랫동안 20% 클렌징폼 솔루션으로 문질러야만 제거가 가능했고, 제거 후에도 약간 남아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20은 쉽고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었으며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Claims (9)

  1.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소스테아릭애씨드, 안료급 분체, HLB가 0 초과 8 이하인 유화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며,
    상기 안료급 분체는 리포아미노산으로 코팅된 안료급 분체이며,
    상기 조성물은 중성 pH 수용액보다 알칼리성 pH 수용액으로 더 잘 씻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스테아릭애씨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40 중량% 포함되고, 안료급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40 중량% 포함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아미노산은 팔미토일프롤린, 마그네슘팔미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팔미토일사코시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급 분체는 리포아미노산으로 코팅된 TiO2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급 분체는 분체 크기가 200 nm 내지 1000 nm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가 이온염을 추가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가 이온염은 염화나트륨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ZnO를 포함하지 않거나,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12626A 2021-01-28 2021-01-28 내수성 및 세안성을 갖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72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626A KR102572892B1 (ko) 2021-01-28 2021-01-28 내수성 및 세안성을 갖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CT/KR2022/000976 WO2022164117A1 (ko) 2021-01-28 2022-01-19 내수성 및 세안성을 갖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202280012032.6A CN116801855A (zh) 2021-01-28 2022-01-19 具有耐水性和洁面性的油包水型彩妆化妆料组合物
US18/274,638 US20240091116A1 (en) 2021-01-28 2022-01-19 Water-in-oil 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water resistance and cleansing properties
JP2023546132A JP2024505535A (ja) 2021-01-28 2022-01-19 耐水性及び洗顔性を有する油中水型メイクアップ化粧料組成物
KR1020230112338A KR20230127970A (ko) 2021-01-28 2023-08-25 내수성 및 세안성을 갖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626A KR102572892B1 (ko) 2021-01-28 2021-01-28 내수성 및 세안성을 갖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2338A Division KR20230127970A (ko) 2021-01-28 2023-08-25 내수성 및 세안성을 갖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226A KR20220109226A (ko) 2022-08-04
KR102572892B1 true KR102572892B1 (ko) 2023-08-29

Family

ID=826536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626A KR102572892B1 (ko) 2021-01-28 2021-01-28 내수성 및 세안성을 갖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112338A KR20230127970A (ko) 2021-01-28 2023-08-25 내수성 및 세안성을 갖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2338A KR20230127970A (ko) 2021-01-28 2023-08-25 내수성 및 세안성을 갖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91116A1 (ko)
JP (1) JP2024505535A (ko)
KR (2) KR102572892B1 (ko)
CN (1) CN116801855A (ko)
WO (1) WO202216411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320A (ja) * 2001-01-25 2002-08-09 Noevir Co Ltd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04161655A (ja) 2002-11-12 2004-06-10 Pigeon Corp セラミド類含有乳化物の製造方法、および乳化物
US20060024375A1 (en) * 2004-07-27 2006-02-02 Yukio Hasegawa Powders coated with specific lipoamino acid composition and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JP2014221910A (ja) 2007-05-07 2014-11-27 ユーエス コスメティ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完全に拡げられた、着色バルク粉末、バルク分散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2087B2 (ja) * 2003-01-30 2007-11-21 三好化成株式会社 特定のリポアミノ酸組成物で被覆した粉体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EP1803750B1 (en) 2004-10-07 2009-12-09 SHISEIDO Co., Ltd. Use of a polymer for surface-treating a powder
KR101572220B1 (ko) * 2009-06-17 2015-11-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내수성과 세안성을 동시에 갖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JP6250400B2 (ja) * 2010-12-06 2017-12-20 ロレアル 粉末状化粧品組成物
JP6990035B2 (ja) * 2017-04-20 2022-01-12 株式会社日本色材工業研究所 油中水型乳化化粧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320A (ja) * 2001-01-25 2002-08-09 Noevir Co Ltd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04161655A (ja) 2002-11-12 2004-06-10 Pigeon Corp セラミド類含有乳化物の製造方法、および乳化物
US20060024375A1 (en) * 2004-07-27 2006-02-02 Yukio Hasegawa Powders coated with specific lipoamino acid composition and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JP2014221910A (ja) 2007-05-07 2014-11-27 ユーエス コスメティ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完全に拡げられた、着色バルク粉末、バルク分散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5535A (ja) 2024-02-06
US20240091116A1 (en) 2024-03-21
WO2022164117A1 (ko) 2022-08-04
CN116801855A (zh) 2023-09-22
KR20220109226A (ko) 2022-08-04
KR20230127970A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2752B2 (ja)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KR102223040B1 (ko) 수중유형 햇빛 그을림 방지 화장료
JP4560122B2 (ja) 酸化チタン分散体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5302523B2 (ja) 皮膚外用剤
JP6798664B2 (ja) 局所日焼け止めエマルジョン
KR101798024B1 (ko)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투명 화장료 조성물
TW201717901A (zh) 防曬化妝料
JP2014172837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WO2003075863A1 (fr) Cosmetiques
JP2010229094A (ja) 凹凸補正用皮膚外用剤
JP2015168635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72892B1 (ko) 내수성 및 세안성을 갖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23514929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組成物
KR20210022254A (ko)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79520A (ko) 고형성상의 왁스-프리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TWI690541B (zh) 共聚物
KR101572220B1 (ko) 내수성과 세안성을 동시에 갖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944236B1 (ko) 화장 조성물
JP2003212711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H08259419A (ja) 化粧料
JP7295699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WO2024042971A1 (ja) 液状油性組成物、及び該液状油性組成物を含有する化粧料
WO2023276782A1 (ja) 口唇化粧料
JP2003267853A (ja) 美白化粧料
JP2002205914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