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220B1 - 내수성과 세안성을 동시에 갖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수성과 세안성을 동시에 갖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220B1
KR101572220B1 KR1020090053980A KR20090053980A KR101572220B1 KR 101572220 B1 KR101572220 B1 KR 101572220B1 KR 1020090053980 A KR1020090053980 A KR 1020090053980A KR 20090053980 A KR20090053980 A KR 20090053980A KR 101572220 B1 KR101572220 B1 KR 101572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xyethylene
cosmetic composition
water
water resistance
sorbit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5537A (ko
Inventor
이동렬
이천구
김기선
김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90053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22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5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중수형의 화장료 조성물, 특히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지방산 및 HLB가 낮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유중수형(W/O type)의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pH에 따라 계면활성제의 HLB가 바뀌어 낮은 pH에서는 내수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유제이었다가, 피부 세안 시의 높은 pH에서는 세안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제로 전환되어 기존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과 동등수준의 내수성과 높은 수준의 세안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피부에 사용 시 부드러운 감촉과 가볍고 편안한 느낌을 높여주어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고온에서의 온도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보호 효과가 뛰어나며 피부 안전성도 매우 높다.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지방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내수성, 세안성

Description

내수성과 세안성을 동시에 갖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Sun block cosmetics composition having water resistance and easy washability together}
본 발명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더욱 한정하면 자외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낮은 pH에서는 내수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유제이었다가, 피부 세안 시의 높은 pH에서는 세안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제로 전환되어, 기존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과 동등수준의 내수성과 높은 수준의 세안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피부에 사용 시 부드러운 감촉과 가볍고 편안한 느낌을 높여주어 끈적임이 없으며, 또한 고온에서의 온도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보호 효과가 뛰어나며 피부 안전성도 매우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화 화장료 조성물 형태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과 유중수형(Water in Oil, W/O)으로 크게 분류된다. 수중유형(O/W)은 친수성 타입으로서 사용감이 촉촉하고 부드러우며 세안이 잘 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내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이 보완된 친유성 타입인 유중수형(W/O)은 내수성이 매우 우수한 반면, 발림성, 끈적임 등 사용감이 불량하고, 세안이 잘 되지 않는다.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내수성 및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108118호는 알킬 또는 알키닐 인산을 함유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57493호는 실리콘 코팅된 안료를 사용하고 상기 안료를 유상에서 분사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62882호는 아크릴 삼원 중합체를 이용한 수중유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77463호는 가교된 고체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탄성 중합체 및 중화된 폴리(2-아크릴아미도-2-에틸프로판술폰산) 중합체의 조합물을 이용한 수중유 에멀젼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세안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화장료의 내수성 개선 효과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며, 내수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의 세안성 개선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수성 및 세안성이 동시에 우수하면서, 사용감 및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저장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뛰어난 유중수형(W/O)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지방산 및 폴리에칠렌글리콜 디메치콘, 소르비탄 세스키올리에이트 등과 같은 HLB가 낮은 일반적인 유중수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유상성분 10-80 중량% 및 수상성분 20-90 중량%를 포함하는 유중수형(W/O)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R-COOH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탄소수 8 내지 23의 포화 알킬기 또는 불포화 알케닐기이다. 상기 R은 직쇄형 또는 분지형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지방산인 유화제는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의 pH인 3 이상 9 미만에서는 수상과 유상의 계면에 유중수형(W/O)의 유화제로 작용하여 높은 내수성을 나타내고, 일반적인 비누 세안 조건인 pH 9 이상에서는 수중유형(O/W)의 유화제로 작용하여 세안성이 향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9 미만의 낮은 pH에서는 5이하의 낮은 HLB(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값을 가지게 되어 W/O형의 유제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으며, 반대로 일반적인 비누 세안 조건인 9 이상의 높은 pH에서는 카르복실 산이 완전 중화되어 음이온을 띄면서 17 이상의 높은 HLB 값을 가지게 되어, W/O형에서 O/W형 에멀전으로 전상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해 준다. 이와 같은 형태의 유제는 피부에 도포 시 내수성을 가지면서도, 비누 세안 시에는 높은 세안성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기로는 R은 탄소수 8-23의 포화 알킬기 또는 불포화 알케닐기이며, 일 예로, 옥틸, 라우릴, 미리스틸, 세틸, 스테아릴, 올레일, 이소스테아릴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1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산인 음이온성 유화제 및 비이온성 유화제(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상성분 10-80중량% 및 수상성분 20-9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유상성분은 유화제, 유화 안정 보조제 및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상성분은 보습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이온성 유화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유화제이며, 화장료 조성물에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1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유화입자가 제대로 형성되기 어려우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정상적인 에멀전 형성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터,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터, 폴리옥시에틸렌옥틸도데실에틸렌스테아릴에터,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터,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 디옥틸도데실라우릴글루타메이트, 디옥틸도데세스-2라우릴글루타메이트, 디옥틸도데세스-5라우릴글루타메이트, 폴리옥시에틸렌하이드로게네이티드캐스터오일 피시에이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하이드로게네이티드캐스터오일 모노이스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디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디메치콘 등과 같은 유화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화 안정 보조제는 통상적인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디스테아릴디모늄헥토라이트,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디스테아릴디모늄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화 안정 보조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실리콘계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실리콘계 오일이다. 실리콘계 오일은 휘발성류 및 비휘발성류 모두 포함하며, 휘발성 실리콘계 오일의 예로는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메칠페닐 폴리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등이 있으며, 비휘발성 실리콘계 오일의 예로는 폴리알킬 실록산, 폴리알킬아릴실록산, 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에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오일에 더하여 피부에 자극성이 적은 합성 에스터 또는 에터계 오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10 중량%로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베타인 및 솔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화장료 조성물에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성분, 예컨대 자외선 차단제, 향료, 방부제, 산화방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차단 성분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는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과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이 있으며, 무기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는 징크옥사이드, 티타늄디옥사이드 등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유기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호모살레이트 등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두발용 화장품, 두피용 화장품 또는 구강용 화장품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기초 화장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 화장품으로는 스킨, 로션, 에센스, 크림, 아이크림, 선크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성분을 혼합하여 65-75℃에서 충분히 용해시키고, 이를 65-75℃로 가온하여 분산된 유상성분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교반하면서 냉각하여 유중수형 유제 타입 화장료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의 일부를 변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지속내수성이 있으면서도 동시에 세안성이 우수하여 비누로 세안이 용이하고,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낮은 pH에서는 내수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유제이었다가, 피부 세안 시의 높은 pH에서는 세안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제로 전환되어, 기존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과 동등수준의 내수성과 높은 수준의 세안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또한 피부에 사용 시 부드러운 감촉과 가볍고 편안한 느낌을 높여주어 끈적임이 없으며, 고온에서의 온도 안정성이 우수하 고, 피부보호 효과가 뛰어나며, 피부 안전성도 매우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비교예의 제조>
하기 표1에 나타낸 조성성분과 함량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선크림)을 제조하였다.
구분(중량%) 비교예 1
정제수 To 100
글리세린 3.00
1,3-부틸렌글리콜 4.00
메칠파라벤 0.25
에칠파라벤 0.10
마그네슘설페이트 1.00
 
티타늄디옥사이드 2.00
징크옥사이드 6.00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3.00
에칠헥실메톡시신타메이트 7.35
디스테아릴디모늄헥토라이트 1.00
디스테아릴디모늄클로라이드 0.2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0
소르비탄세스키올리에이트 1.00
피이지-10디메치콘 2.50
 
향료 0.20
<실시예 1-5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성분과 함량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실시예 1-5의 화장료 조성물(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구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3.00 3.00 3.00 3.00 3.00
1,3-부틸렌글리콜 4.00 4.00 4.00 4.00 4.00
메칠파라벤 0.25 0.25 0.25 0.25 0.25
에칠파라벤 0.10 0.10 0.10 0.10 0.10
마그네슘설페이트 1.00 1.00 1.00 1.00 1.00
 
티타늄디옥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징크옥사이드 6.00 6.00 6.00 6.00 6.00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3.00 3.00 3.00 3.00 3.00
에칠헥실메톡시신타메이트 7.35 7.35 7.35 7.35 7.35
디스테아릴디모늄헥토라이트 1.00 1.00 1.00 1.00 1.00
디스테아릴디모늄클로라이드 0.20 0.20 0.20 0.20 0.20
미리스틱애씨드 1.00 - - - -
팔미틱애씨드 - 1.00 - - -
스테아릭애씨드 - - 1.00 - -
이소스테아릭애씨드 - - - 1.00 -
베헤닉애씨드 - - - - 1.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00 20.00 20.00 20.00 20.00
소르비탄세스키올리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피이지-10디메치콘 2.50 2.50 2.50 2.50 2.50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20 0.20 0.20 0.20 0.20
 
향료 0.20 0.20 0.20 0.20 0.20
<시험예>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자외선B 차단지수, 내수성 및 세안성을 측정하였다. 상세한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예 1> 자외선 차단 크림의 자외선 B 차단지수(SPF) 평가
식약청 고시 '기능성 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중 '자외선차단 기능성시험법'에 따라 비교예 1 및 실시예 1-5의 조성물에 대한 자외선 B 차단지수(SPF)를 측정하였다. 시료가 2 mg/cm2 수준이 되도록 Transpore tape에 도포, 15분 건조 후 SPF 290 analyzer로 측정하였다.
시료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in vitro SPF 37.02
±2.54
36.56
±3.32
39.16
±4.18
37.22
±3.38
38.78
±1.62
36.12
±4.34
<시험예 2> 자외선 차단 크림의 내수성 평가
식약청 '내수성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방법 가이드라인'의 지속내수성 제품 시험방법과 식약청 고시 '기능성 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중 '자외선차단 기능성시험법'에 따라 비교예 1 및 실시예 1-5의 조성물에 대한 내수성을 측정하였다.
시료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내수성비
신뢰구간(%)
68.2 71.4 65.9 70.3 67.2 68.5
<시험예 3> 자외선 차단 크림의 세안성 평가
식약청 '내수성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방법 가이드라인'에서 침수단계에서 물을 비누 5% 수용액으로 변경하여 식약청 고시 '기능성 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 중 '자외선차단 기능성시험법'에 따라 비교예 1 및 실시예 1-5의 조성물에 대한 세안성을 측정하였다.
시료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세안성비
신뢰구간(%)
64.0 31.2 25.4 42.8 22.6 38.4
<결과 해석>
상기 표 3-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과 실시예 1-5의 자외선 B 차단지수는 36.12 내지 39.16으로 유사하게 나타났고, 내수성비 신뢰구간도 65.9 내지 71.4로 50 이상으로 지속내수성을 나타내었으나, 비누 5% 수용액을 이용한 세안성 시험에서는 지방산을 함유한 실시예 1-5가 그렇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월등히 낮은 세안성비 값을 나타내어, 세안성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지속내수성을 나타내면서도 동시에 비누에 대한 세안성이 우수하고,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Claims (6)

  1. 미리스틱애씨드, 팔미틱애씨드 또는 스테아릭애씨드를 포함하는 탄소수가 8-24개의 포화 알킬기를 가진 지방산;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안성이 개선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터,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터, 폴리옥시에틸렌옥틸도데실에틸렌스테아릴에터,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터,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이소스테아레이트, 디옥틸도데실라우릴글루타메이트, 디옥틸도데세스-2라우릴글루타메이트, 디옥틸도데세스-5라우릴글루타메이트, 폴리옥시에틸렌하이드로게네이티드캐스터오일 피시에이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하이드로게네이티드캐스터오일 모노이스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디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디메치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53980A 2009-06-17 2009-06-17 내수성과 세안성을 동시에 갖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572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980A KR101572220B1 (ko) 2009-06-17 2009-06-17 내수성과 세안성을 동시에 갖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980A KR101572220B1 (ko) 2009-06-17 2009-06-17 내수성과 세안성을 동시에 갖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537A KR20100135537A (ko) 2010-12-27
KR101572220B1 true KR101572220B1 (ko) 2015-11-26

Family

ID=4350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980A KR101572220B1 (ko) 2009-06-17 2009-06-17 내수성과 세안성을 동시에 갖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2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238B1 (ko) 2018-10-31 2019-09-18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230233428A1 (en) * 2020-06-09 2023-07-27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Solid cosmetic composition for blocking ultraviolet radiation having water resistance and cleansing properties
KR102572892B1 (ko) * 2021-01-28 2023-08-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내수성 및 세안성을 갖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320A (ja) * 2001-01-25 2002-08-09 Noevir Co Ltd 油中水型乳化化粧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320A (ja) * 2001-01-25 2002-08-09 Noevir Co Ltd 油中水型乳化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537A (ko) 2010-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2752B2 (ja)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EP2915524B1 (en) Sunscreen cosmetic
KR101419372B1 (ko) 유중수형 유화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KR20100095445A (ko) 자외선 흡수제 수-분산 조성물
WO2007060823A1 (ja) 皮膚外用剤
JP2002507970A (ja) フェルラ酸エステルを含む改良された化粧品組成物
EP2412365A1 (en) Sunscreen cosmetic
JP2011126832A (ja) 油中水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JP4866066B2 (ja) 化粧料
KR101539971B1 (ko) 수중 유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JP2009126843A (ja) 乳化型浴用剤組成物
KR101572220B1 (ko) 내수성과 세안성을 동시에 갖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272543B1 (ko)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776175B1 (ko) 지속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4185320A1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法
EA024856B1 (ru) Фотостабильная солнцезащи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KR20190059663A (ko)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15042620A (ja) 化粧料
EA030286B1 (ru) Солнцезащи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KR20170054238A (ko) 내수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1037511A1 (en) Sunscreen composition without cyclomethicones
JP5765969B2 (ja) 日焼け止め用皮膚外用剤
JP2003212711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H11222420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