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543B1 -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543B1
KR102272543B1 KR1020190134117A KR20190134117A KR102272543B1 KR 102272543 B1 KR102272543 B1 KR 102272543B1 KR 1020190134117 A KR1020190134117 A KR 1020190134117A KR 20190134117 A KR20190134117 A KR 20190134117A KR 102272543 B1 KR102272543 B1 KR 10227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ater
water resistance
weight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610A (ko
Inventor
안소연
원보령
박천호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4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5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9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에멀젼으로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아 향상된 내수성 즉, 지속내수성을 가지며, 저자극이면서 가볍고 수분감이 느껴지며 촉촉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Oil-in-water 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with very water-resistance}
본 발명은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름철 땀을 많이 흘리거나 해변이나 수영장 등에서 물놀이를 할 경우 자외선 차단제가 물에 씻겨나가는 문제가 생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내수성 자외선 차단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장시간 야외활동을 하거나 물놀이를 하는 경우 내수성 제품보다 내수성 지속 시간이 긴 지속내수성 제품을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내수성, 지속내수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대부분 외상이 오일인 유중수형 (water in oil) 에멀젼 형태로, 외상이 오일이기 때문에 피부에 부착되어 물에 잘 씻기지 않아 내수성, 지속내수성을 갖기 쉽다. 그러나, 유중수형 에멀젼은 주로 메이크업 제품에 사용하는 제형군이기 때문에 밀착감이 있지만 사용감이 무겁고 끈적임이 강하여 가볍고 산뜻한 사용감을 구현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현재 시장 상황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중 수분감이 느껴지는 젤, 로션 제형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유중수형에서는 이러한 제형을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비해 수중유형 제형은 사용감이 우수하고 클렌징도 용이하여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제가 개발된 바 있으나, 피부에의 부착을 위해 피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피막 형성제로 인해 끈적임이 나타난다. 이에 피막 형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제가 개발된 바 있으나 (한국공개특허 10-2019-0059663), 알코올을 함유하여 물과의 재유화로 인해 지속 내수성의 특성을 갖기는 어려워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일 양상은 1 내지 30 중량%의 자외선 차단제; 및 0.5 내지 5 중량%의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고,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1 내지 30 중량%의 자외선 차단제; 및 0.5 내지 5 중량%의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고,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음에 따라 지속내수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코올은 약하게나마 유화력이 있어 피부에 도포 후 물에 닿으면 재유화를 일으키므로,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음에 따라 재유화가 억제되어 지속내수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음에 따라 피부 도포시에 수분감이 느껴지는 촉촉한 사용감을 나타내며, 저자극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용어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은 알코올이 전혀 포함되지 않는 경우뿐 만 아니라, 지속내수성이 유지되고 피부 도포시에 수분감이 느껴지는 촉촉한 사용감을 나타내며 저자극성인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알코올이 소량 포함된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용어 "내수성 (water-resistance)"은 물에 견디는 능력 즉, 내수 또는 워터프루프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내수성은 내수성시험법에 따라 측정되는 내수성 자외선 차단지수로 평가할 수 있으며, 침수후의 자외선 차단지수가 침수 전의 자외선 차단지수의 50% 이상을 유지하는 경우, 내수성의 시간에 따라 "내수성" 또는 "지속내수성"으로 평가된다. 구체적으로, 내수성은 1시간 동안 침수되는 경우로, 1시간 동안 침수 후의 자외선 차단지수가 침수 전의 자외선 차단지수의 50% 이상을 유지할 경우 내수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지속 내수성은 2시간 동안 침수되는 경우로, 2시간 동안 침수 후의 자외선 차단지수가 침수 전의 자외선 차단지수의 50% 이상을 유지할 경우 지속내수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용어 "지속내수성 (very water-resistance)"은 내수성이 향상된 것으로, 도포 후 2시간 동안 침수될 경우를 가정할 때, 침수 후의 자외선 차단 지수가 침수 전의 자외선 차단지수의 50% 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후 2시간 동안 침수될 경우 침수 후의 자외선 차단 지수가 침수 전의 자외선 차단지수의 50% 이상을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및 폴리실리콘-15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 %, 예를 들어, 1 내지 25 중량 %, 1 내지 20 중량 %, 1 내지 15 중량 %, 1 내지 10 중량%, 1 내지 5 중량 %, 5 내지 30 중량%, 5 내지 25 중량%, 5 내지 20 중량%, 5 내지 15 중량%, 5 내지 10 중량%, 10 내지 30 중량%, 또는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이 30 중량% 초과일 경우, 피부에 도포시 자극이 증가하고 답답한 느낌을 줄 수 있으며, 1 중량% 미만일 경우, 자외선 차단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용어 "점증제"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폴리아크릴아마이트, 및 폴리아크릴레이트-1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5 중량%, 예를 들어, 0.5 내지 4 중량%, 0.5 내지 3 중량%, 0.5 내지 2 중량 %, 0.5 내지 1.5 중량 %, 0.5 내지 1 중량%, 1 내지 5 중량%, 1 내지 4 중량%, 1 내지 3 중량%, 1 내지 2 중량%, 또는 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점도 조절제의 함량이 5 중량% 초과일 경우, 피부에 도포시 무겁고 두꺼운 느낌을 줄 수 있으며, 0.5 중량% 미만일 경우, 유화입자가 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점도 조절제를 0.5 내지 2 중량 %로 포함하여 점도조절제 고유의 무겁고 두꺼운 느낌이 감소함에 따라 사용감이 개선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막 형성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이는 피막형성제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것뿐만 아니라,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정도의 유효한 양, 즉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되지 않은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피막형성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0.5%, 0.1%, 0.05%, 0.01% 또는 0.001%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피막형성제를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유화제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것뿐만 아니라,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정도의 유효한 양, 즉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되지 않은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유화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0.5%, 0.1%, 0.05%, 0.01% 또는 0.001%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별도의 유화제 첨가 없이도 점도 조절제를 이용하여 유화입자를 형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점도 조절제는 그물과 같은 형태로 수상에 분산되어 그 안에 자외선 차단제가 큰 입자로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상을 호모 믹서 등의 장치로 분산시킨 후 점도 조절제를 첨가시 그물과 같은 형태로 수상에 분산되어 그 안에 자외선 차단제와 같은 유용성 성분이 큰 입자로 존재 가능하므로 별도의 유화제 첨가 없이도 유화 입자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10℃ 내지 50℃의 온도에서 유화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온에서 유화하는 저온 유화법에 따라 유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존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용해제,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유화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 등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 등의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수상을 교반하는 단계; 상기 수상에 점도 조절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점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에 자외선 차단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점도조절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저온 유화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온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10℃내지 50℃, 20℃ 내지 40℃,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될 경우 피막형성제 또는 유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수중유적형 에멀젼이며, 피부 도포 시에는 가볍고 수분감이 느껴지는 사용감의 구현이 가능하고, 흡수되면서 피부 위에 얇은 오일막이 형성되어 유중수형 에멀젼과 유사한 형태가 된다. 따라서 형성된 자외선차단 오일막은 피막형성제가 없이도 내수성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알콜을 함유하지 않아 저자극이면서도 촉촉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이 구현되며, 지속 내수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코올 성분은 수상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계면활성제 없이도 유화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때문에 물에 닿으면 재유화를 일으킬 수 있는 바,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음으로써 재유화를 억제하여 향상된 내수성, 즉 지속 내수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 에멀젼으로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아 향상된 내수성 즉, 지속내수성을 가지며, 저자극이면서 가볍고 수분감이 느껴지며 촉촉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A) 및 비교예 1 (B)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씻김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저온 유화법을 이용한 알코올 미함유 수중유적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상온에서 유화하는 저온 유화법 (Low energy emulsification)을 사용하여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호모 믹서 (HOMOGENIZING MIXER Model 2.5 PRIX 사 일본) 를 이용하여 수상을 5,000rpm 으로 5분간 분산 후 점증제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첨가하여 7,000rpm 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혼합하여 점도가 형성된 후 자외선차단제로 구성된 유상 성분과 방부제를 천천히 투입하였다. 투입과 동시에 7,000rpm 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여 노란색 로션 형태의 조성물을 최종적으로 얻었다.
비교예 1. 저온 유화법을 이용한 알코올 함유 수중유적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상온에서 유화하는 저온 유화법 (Low energy emulsification)을 사용하여 알코올을 포함하는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비커에 정제수와 에탄올을 첨가하여 먼저 계량한 후, 5,000rpm 으로 5분간 분산한 뒤 점증제 첨가하였다. 점증제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첨가하여 7,000rpm 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한 뒤 자외선차단제로 구성된 유상 성분과 방부제를 천천히 투입하였다. 투입과 동시에 7,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화하였다. 그 결과, 노랑색 젤 크림 형태의 조성물을 최종적으로 얻었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 비교예1
정제수 To 100 To 100
에탄올 0 15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 7.0
호모살레이트 7.0 7.0
디에칠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4.0 4.0
징크옥사이드 5.0 5.0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1.0 2.0
방부제 0.5 0.5
실험예 1.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관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25-35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대한 발림성, 촉촉함, 번들거림 등 전반적인 만족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평가 기준 중 발림성은 피부에 도포 시 조성물이 피부 표면에 두텁게 발리지 않고 얇게 발리는 느낌을 말한다. 촉촉함은 피부에 도포 후 수분감이 유지되는 느낌을 나타낸다. 번들거림은 조성물이 흡수된 후 피부에 남아있는 오일감, 번들거리는 정도를 나타낸다.
(평가기준)
매우나쁨: 1, 나쁨: 2, 보통: 3, 좋음: 4, 매우좋음: 5
실시예 1 비교예 1
발림성 4.2 4.1
촉촉함 4.3 2.4
번들거림 3.7 3.5
흡수속도 4.2 2.9
흡수 뒤 잔여감 3.9 3.0
만족도 4.1 3.3
그 결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1이 알코올을 포함하는 비교예 1에 비해서 사용감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보다 촉촉함에 있어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에탄올이 휘발되면서 물과 함께 휘발되므로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건조함을 유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점도 조절제의 함량을 줄인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보다 흡수 속도가 빠르고 흡수 뒤 잔여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점도 조절제의 함량을 줄임에 따라 점도 조절제 고유의 무겁고 두꺼운 느낌이 줄어 사용감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2. 피부 자극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관능 피부패치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일반인 20명에 대하여 피부패치테스트를 실시한 뒤 트러블이 나타난 정도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 강한 트러블, +: 약한 트러블, ±: 정상, -: 음성
실시예 1 비교예 1
++ 2
+ 1 8
± 5 9
- 14 1
그 결과,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의 경우 실험 대상자의 5% 이하에서 트러블이 나타났으나, 비교예 1의 조성물의 경우 50 % 이상이 트러블이 나타나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1이 알코올을 포함하는 비교예 1에 비해서 자극성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알코올 성분을 함유할 경우 피부 자극이 증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3. 자외선 차단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 지수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Labsphere 사의 UV Transmittance analyzer UV-2000S 기계를 이용하여 메뉴얼에 제공된 방법에 따라 SPF 측정 판에 2mg/cm2 를 펴 발라준 뒤 자외선 차단 지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SPF 72 69
PA ++++ ++++
그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과 비교예 1의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는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알코올 함유 여부가 자외선 차단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4. 지속내수성 및 내수성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지속내수성 및 내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임상기관에서 지속내수성 및 내수성 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지속내수성 효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속내수성 효능 평가는 내수성 자외선 측정방법(Cosmetic Europe, 2005)과 주식회사 더마프로의 표준작업지침서(SOP)에 따라 수행하였다. 입수와 건조를 4회 반복한 후 15분간 건조시킨 뒤 내수성 무도포 부위와 내수성 시료 도포 부위의 최소 홍반량 측정과 판정,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시료의 내수성 자외선 차단 효과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내수성 효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내수성 효능 평가는 Cosmetics Europe의 SPF Test Method (ISO 24444) / Guidelines for Evaluating Sun Product Water Resistance (rev. 2005)와 엘리드 표준작업지침서(EL-P-7400)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이 방법에 따르면 내수성비가 50% 이상일 경우 내수성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피험자의 무도포 부위의 최소 홍반량 (Minimal Erythemal Dose, MED) 측정과 판정, 시료 도포 부위의 최소 홍반량 측정과 판정, 침수와 건조 2회 반복 후 내수성 무도포 부위와 내수성 시료 도포 부위의 최소 홍반량 측정과 판정,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시료의 내수성 자외선 차단 효과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지속내수성 효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속내수성 효능 평가는 내수성 자외선 측정방법(Cosmetic Europe, 2005)과 주식회사 더마프로의 표준작업지침서(SOP)에 따라 수행하였다. 입수와 건조를 4회 반복한 후 15분간 건조시킨 뒤 내수성 무도포 부위와 내수성 시료 도포 부위의 최소 홍반량 측정과 판정,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시료의 내수성 자외선 차단 효과 평가를 진행하였다.
하기 표 5는 상기 평가 방법에 따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dSPF
(건조 SPF)
wSPF
(침수 SPF)
% WRR
(내수성비)
실시예 1 (지속내수성) 53.6 29.9 56.4
비교예 1 (내수성) 89.4 60.1 67.2
비교예 1 (지속내수성) 57.6 18.2 31.5
그 결과,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은 지속내수성비가 50%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예 1의 경우 내수성만을 나타낼 뿐 지속내수성비가 50% 미만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의 내수성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5. 씻김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씻김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도포 후 세정 전후의 도포 부위를 촬영하여 비교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피부 위에 2 μL/cm2의 양으로 도포하고 흡수시킨 후, VISIA CR-2.2 (Canfield Scientific, Inc., U.S.A)로 이미지 촬영을 하였다. 자외선차단제에 의해 도포 부위가 진하게 나타나고, 이후 약 40℃온도의 미온수로 30초간 도포 부위를 세정하였다. 세정 후 피부를 건조시킨 후 동일 기기로 도포됐던 부위를 다시 촬영하여 세정 전과 비교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 (A) 및 비교예 1 (B)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씻김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의 경우 미온수 세정 후에도 도포 부위에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여, 물에 의해 잘 씻기지 않는 내수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해 더 많이 씻겨져 나간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의 내수성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Claims (7)

1 내지 30 중량%의 자외선 차단제; 및 0.5 내지 1.5 중량%의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고,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막형성제 또는 유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삭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후 2시간 동안 침수될 경우 침수 후의 자외선 차단 지수가 침수 전의 자외선 차단지수의 50% 이상을 유지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10℃ 내지 50℃의 온도에서 유화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도 조절제는 그물과 같은 형태로 수상에 분산되어 그 안에 자외선 차단제 입자가 존재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및 폴리실리콘-1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도 조절제는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폴리아크릴아마이트, 및 폴리아크릴레이트-1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34117A 2019-10-25 2019-10-25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2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117A KR102272543B1 (ko) 2019-10-25 2019-10-25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117A KR102272543B1 (ko) 2019-10-25 2019-10-25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610A KR20210049610A (ko) 2021-05-06
KR102272543B1 true KR102272543B1 (ko) 2021-07-05

Family

ID=75916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117A KR102272543B1 (ko) 2019-10-25 2019-10-25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5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40540A1 (fr) * 2022-10-11 2024-04-12 L'oreal Crème solaire quotidienne hydratante épaisse hybride minérale et organique
US11980678B2 (en) 2022-07-29 2024-05-14 L'oreal Hybrid mineral and organic daily sunscreen thick cream moisturiz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3271A (ja) * 2014-11-03 2017-11-09 ロレアル 非イオン性界面活性剤、アニオン性両親媒性脂質、及び脂溶性有機uv遮蔽剤をベースとするアルコール非含有エマルジョン
KR101805823B1 (ko) 2016-08-19 2017-12-0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주입된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포함하는 워터드롭 타입 화장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8118A (ja) * 2009-04-15 2010-11-04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5913475B2 (ja) * 2014-08-06 2016-04-27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用原料
KR102017772B1 (ko) * 2017-05-24 2019-09-03 한국콜마주식회사 유화제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229B1 (ko) * 2017-11-23 2019-09-18 코스맥스 주식회사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3271A (ja) * 2014-11-03 2017-11-09 ロレアル 非イオン性界面活性剤、アニオン性両親媒性脂質、及び脂溶性有機uv遮蔽剤をベースとするアルコール非含有エマルジョン
KR101805823B1 (ko) 2016-08-19 2017-12-0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주입된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포함하는 워터드롭 타입 화장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0678B2 (en) 2022-07-29 2024-05-14 L'oreal Hybrid mineral and organic daily sunscreen thick cream moisturizer
FR3140540A1 (fr) * 2022-10-11 2024-04-12 L'oreal Crème solaire quotidienne hydratante épaisse hybride minérale et organ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610A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849B1 (ko)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10053348A1 (en) Method for testing sunscreens
US4781914A (en) Sunscreen and moisturizer
KR102007800B1 (ko) 무스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8028A (ko)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1894B1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H0314806B2 (ko)
KR102272543B1 (ko)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9023B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39971B1 (ko) 수중 유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JP3491933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US20180116925A1 (en) Sunscreen compositions
KR102022229B1 (ko)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1124B1 (ko)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32885B1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KR102463836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4238A (ko) 내수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6076A (ko) 라멜라 액정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65321B1 (ko) 재결정 입자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9469A (ko) 자외선 차단용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1963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H09309818A (ja) 乳化型日焼け止め化粧料
KR100646487B1 (ko) 보습력이 증진된 고분자 실리콘 겔 화장료 조성물
JP7233684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WO2020149430A1 (ko)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