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235B1 - 경편기의 편성 요소 바 배열체 - Google Patents

경편기의 편성 요소 바 배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235B1
KR102572235B1 KR1020210063594A KR20210063594A KR102572235B1 KR 102572235 B1 KR102572235 B1 KR 102572235B1 KR 1020210063594 A KR1020210063594 A KR 1020210063594A KR 20210063594 A KR20210063594 A KR 20210063594A KR 102572235 B1 KR102572235 B1 KR 102572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arrangement
knitted
knit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665A (ko
Inventor
클라우스 브란들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슈톨 알앤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슈톨 알앤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슈톨 알앤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4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경편기의 편성 요소 바 배열체(1)가 개시되는데, 상기 편성 요소 바 배열체(1)는 바(2) 및 복수의 편성 요소 홀더들(3)을 갖고, 상기 편성 요소 홀더들(3)의 각각은 복수의 편성 요소들(4)을 갖고, 상기 편성 요소 홀더들(3)은 바 접촉 표면이 상기 바(2)에 기대어지도록 놓이고, 또한 상기 바(2)에 착탈식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편성 요소 바 배열체의 유지 및 수리를 간단하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편성 요소 홀더(3)는 일 측으로 개방된 오목부(6)를 갖고, 상기 오목부(6)에는 클램핑 요소(10)가 배열되며, 상기 클램핑 요소(10)는 상기 바(2)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바 접촉 표면의 반대 측으로부터 상기 편성 요소 홀더(3)에 작용한다.

Description

경편기의 편성 요소 바 배열체 {KNITTING ELEMENT BAR ARRANGEMENT OF A WARP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바(bar) 및 복수의 경사 편성 요소 홀더들(warp knitting element holders)을 갖는 경편기의 편성 요소 바 배열체로서, 상기 경사 편성 요소 홀더들의 각각은 복수의 경사 편성 요소들을 갖고, 상기 편성 요소 홀더들은 바 접촉 표면이 상기 바에 기대어 지도록 놓이고, 상기 바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편성 요소 바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경편기의 바에 편성 요소들을 고정하는 데는 실질적으로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하나의 가능성은, 예를 들어 바의 종방향 연장선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홈들(grooves) 또는 슬롯들(slots)의 형태로, 바 상에 편성 요소 리셉터클(knitting element receptacle)을 제공하는 것이다. 편성 요소들은 이 홈들 또는 슬롯들에 개별적으로 삽입된 다음, 그것들이 떨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 등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다른 가능성은, 소위 편성 요소 홀더에 여러 개의 편성 요소들을 결합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편성 요소들은 편성 요소 홀더 내로 넣어진다. 이 경우, 편성 요소 홀더는 납 또는 다른 금속, 또는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편성 요소 홀더는 전형적으로: 1 또는 2 인치의 폭; 및 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편성 요소들;을 갖는다.
본 발명은 후자의 가능성에 관한 것이다.
편성 요소 홀더를 바에 장착할 때, 나사가 편성 요소 홀더의 개구부를 통과한 다음, 나사는 바 내로 나사고정된다.
그러나, 편성 요소는 경편기의 마모 부품이므로 수시로 교체해야 한다. 교체하려면 나사를 다시 풀어야 한다. 나사는 편성 요소 홀더 밖으로 빼내어 새로운 편성 요소 홀더 내로 삽입해야 한다. 그 후, 나사를 바 내로 다시 나사고정해야 한다. 이 절차는 힘들기만 한 것이 아니다. 바는 종종 그 길이가 수 미터이고 그에 상응하는 많은 수의 편성 요소 홀더들을 갖기 때문에, 나사가 떨어져서 이를 찾아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나사가 경편기 내로 떨어져서 작동 동안 경편기에 큰 손상을 입힐 위험이 너무 크다. 따라서, 편성 요소 홀더의 교체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훈련되고 숙련된 인력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편기의 편성 요소 바 배열체의 유지 및 수리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앞에서 언급된 유형의 편성 요소 바 배열체로 달성되는데, 이때, 상기 편성 요소 바 배열체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편성 요소 홀더가 일 측으로 개방된 오목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편성 요소 바 배열체에는, 바에 연결된 클램핑 요소로서, 바 접촉 표면의 반대 측으로부터 편성 요소 홀더에 작용하는 클램핑 요소가 배열된다.
그러한 설계에 의해, 편성 요소 홀더의 교체는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되고, 오류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클램핑 요소를 푸는(loosen) 것이 필요하기는 하나, 클램핑 요소는 바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클램핑 요소를 푼 후에, 편성 요소 홀더는 빼내어질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편성 요소 홀더는, 바의 대응하는 결합 표면 상에서, 작은 거리에 걸쳐, 그것의 바 접촉 표면을 사용하여 활주(slide)할 수 있다. 편성 요소 홀더가 클램핑 요소의 유효 범위를 벗어나자 마자, 편성 요소 홀더는 바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새로운 편성 요소 홀더의 설치는 역순으로 수행된다. 편성 요소 홀더가 그것의 바 접촉 표면이 바와 체결되도록 하는 상태로 놓여지고, 또한, 개방된 오목부가 클램핑 요소를 향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편성 요소 홀더가 밀려짐으로써, 클램핑 요소는 오목부에 배치된다. 그 다음, 클램핑 요소는 다시 조여져서, 편성 요소 홀더를 바 상의 제자리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바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있는 유일한 부품은 편성 요소 홀더이다. 따라서, 다른 부품들은 잃어버릴 염려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오목부는, 편성 요소들의 반대측을 향하는 편성 요소 홀더의 측면에 배열된다. 이때, 편성 요소 홀더는 바의 종방향 연장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거되고 역방향으로(따라서, 마찬가지로, 바의 종방향 연장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재조립될 수 있다. 이는, 인접한 편성 요소 홀더들을 제거하지 않고도, 단일 편성 요소 홀더를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오목부는 2개의 레그(leg)들에 의해 측방향으로 한정(delimited)되고, 클램핑 요소는 이 레그들에 작용한다. 달리 표현하면, 오목부는 U자 형이다. 그 다음, 클램핑 요소는 U의 중앙에 배열되고, 레그들에 대해서만 또는 적어도 레그들에 대해 작용한다. 이는, 레그들이 벌어지는(spreading apart) 위험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레그들이 벌어지면, 편성 요소 홀더가 변형될 수 있으며, 이는, 편성 요소들의 서로에 대한 위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편성 요소 홀더의 표면 상에서 평면적으로 작용하는(acting planarly) 회전방향으로 고정된 중간 피스(rotationally fixed intermediate piece)가 클램핑 요소와 편성 요소 홀더 사이에 배열된다. 편성 요소 홀더의 표면 상에서 평면적으로 작용하는(예를 들어, 간단히 플레이트로서 형성될 수 있는) 중간 피스는 클램핑 힘이 편성 요소의 표면에 걸쳐 분산되도록 한다. 회전 방지 수단(anti-rotation means)은 항상 편성 요소 홀더에 대한 중간 피스의 특정 위치를 보장한다. 이 두 가지 요인들은 모두 편성 요소 홀더의 변형을 억제(counteract)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편성 요소 홀더를 조립한 후 편성 요소를 다시 곧게 펴야만 하는 위험이 최소화된다.
또한, 중간 피스가, 바를 향하고 레그들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돌출 배열체(projection arrangement)를 갖는 것도 유리하다. 돌출 배열체는 예를 들어 레그들의 외부에 배치되며, 그에 따라, 레그들은, 벌어지게 된다면, 돌출 배열체와 맞물리게(engagement) 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피스는 일종의 맞물림(interlock)을 형성한다.
여기서, 편성 요소 홀더가, 돌출 배열체에 적합화되어 돌출 배열체와 협동하는 결합 형상(mating geometry)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돌출 배열체는 단면이 삼각형일 수 있다. 이때, 편성 요소 홀더는 레그들에 대응하는 경사 구역들(beveled sections)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스프링 배열체가, 바의 반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중간 피스에 작용한다. 스프링 배열체는, 중간 피스가 새로운 편성 요소 홀더를 조립하는 데 필요한 바로부터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편성 요소 홀더를 분해한 후, 새로운 편성 요소 홀더를 삽입할 수 있는 자유 공간이 남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배열체는 클램핑 요소를 둘러싸는 O-링을 포함한다.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진 O-링은, 클램핑 요소를 조일 때 약간 압축될 수 있는 저렴한 부품이다. O-링은 편성 요소 배열체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큰 두께 또는 높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바는 편성 요소 홀더를 위한 정지부(stop)를 갖는다. 이것은 두 가지 이점을 갖는다. 첫째, 바의 종방향 연장선에 대해 횡방향으로의 편성 요소 홀더의 위치가 한정되며, 둘째, 정지부가, 클램핑 요소가 조여질 때 또는 작동 동안에 편성 요소 홀더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수단을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나사(screw), 또는 나사산 형성 볼트(threaded bolt)로서 형성된다. 클램핑 요소를 해제(release)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나사, 또는 나사산 형성 볼트를 한 바퀴 돌리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는, 편성 요소 홀더가 바로부터 제거될 수 있을 정도로, 클램핑 힘을 낮춘다. 편성 요소 홀더를 고정하려면, 다시, 나사, 또는 나사산 형성 볼트를 반대 방향으로 한 바퀴만 돌리면 된다. 따라서, 편성 요소 홀더의 교체는 거의 노력을 들이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는, 기부 몸체, 및 기부 몸체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캐리어 요소 배열체를 가지며, 여기서, 클램핑 장치는 캐리어 요소 배열체 상에 배열되고, 캐리어 요소 배열체는 기부 몸체에 착탈식으로 고정된다. 그러한 설계는, 특히 모든 편성 요소 홀더들을 완전히 교체하는 경우에 이점을 갖는다. 편성 요소 홀더는, 캐리어 요소 배열체가 아직 기부 몸체에 고정되지 않은 한, 캐리어 요소 배열체 상에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 요소 배열체는 또한 기계에 의해 장착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편성 요소들을 곧게 펴는 것도, 자동으로 또는 기계 제어 하에,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캐리어 요소 배열체는 기부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그 다음, 경편기 자체에서 몇 가지 수동 작업 만이 필요한데, 이때, 경편기 자체에서, 통상적으로는, 작업자가 이용가능한 공간이 거의 없다. 그 다음, 캐리어 요소 배열체를 기부 몸체에 고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나사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캐리어 요소 배열체는, 바의 종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캐리어 요소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그러한 캐리어 요소의 길이는 53.34 cm(21 인치)일 수 있다. 그러한 길이를 갖는 캐리어 요소는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고, 주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피치 차이(pitch differences)는 바의 전체 폭에 걸쳐 보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과 연계하여 바람직한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은 바 상의 편성 요소 홀더들의 매우 도식화된 도면을 보여준다.
도 2는 편성 요소 홀더를 갖는 바를 측면으로부터 보여준다.
도 3은 중간 피스를 보여준다.
도 4는 바 배열체의 변형된 구현예를 보여준다.
도 1은 경편기의 경사 편성 요소 바 배열체(1)를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바 배열체(1)는 바(2), 및 복수의 편성 요소 홀더들(3)을 갖는다. 각각의 편성 요소 홀더(3)는 복수의 편성 요소들(4)을 가지며, 본 사례에서는, 편성 요소들(4)은 안내 바늘(guide needles)로서 형성될 수 있다. 편성 요소 홀더(3)는, 바(3)에 기대어지도록 놓여지는 바 접촉 표면(5)을 갖는다. 아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편성 요소 홀더(3)는 바(2)에 착탈식으로 고정된다.
도 1에는, 3개의 편성 요소 홀더들(3)이 도시되어 있다. 오른쪽 편성 요소 홀더(3)는 바(2)에 기대어지도록만 놓여져 있으며, 아직 바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성 요소 홀더(3)는 편성 요소 홀더(3)의 에지를 향해(즉, 편성 요소들(4)의 반대측을 향하는 편성 요소 홀더(3)의 측면에서) 개방된 오목부(6)를 갖는다.
오목부(6)는 2개의 레그들(7, 8)에 의해 측방향으로 한정되며(laterally delimited), 그에 따라,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U"의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U"의 바닥이 반드시 곡선 형태일 필요는 없다. "U"는 대략적으로 직사각형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바(2)는, 나사(10)(도 2) 또는 상응하는 나사산 형성 볼트가 나사고정될 수 있는 나사산 형성 개구부(9)를 갖는다. 편성 요소 홀더(3)가 개방된 오목부(6)를 갖기 때문에, 편성 요소 홀더(3)는, 나사(10)가 이미 바(2)에 나사고정되어 있더라도, 바(2)에 조립될 수 있다.
도 1의 오른쪽에 도시된 편성 요소 홀더(3)는 아직 바(2)에 고정되지 않았다.
고정(fastening)을 달성하기 위해, "클램핑 플레이트(clamping plate)"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중간 피스(11)가 제공되는데, 중간 피스(11)는 편성 요소 홀더(3)의 표면 상에서 평면적으로 작용(act planarly)한다. 중간 피스(11)는 또한 레그들(7, 8)을 덮는다. 중간 피스(11)는 회전방향으로 고정(rotationally fixed)된다. 이것은, 하나의 회전 각도 위치 또는 작은 개수의 회전 각도 위치들에서만, 편성 요소 홀더(3)에 작용할 수 있다. 이는, 편성 요소 홀더(3) 상에서, 미리 결정된 클램핑 힘 분포가 항상 얻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편성 요소 홀더(3)는, 앞에서 언급된 나사(10)가 바(2)에 나사고정될 때, 최종적으로 바(2)에 고정된다(왼쪽에 있는 편성 요소 홀더 참조).
도 3은 중간 피스(11)의 변형된 형태를 보여준다. 중간 피스(11)는 두 개의 돌출부들(12, 13)을 갖는 돌출 배열체를 가지며, 이때, 돌출부들(12, 13)은, 중간 피스(11)가 편성 요소 홀더(3)에 놓일 때, 2개의 레그들(7, 8)의 외부 주위에 맞물린다. 이 경우, 레그들(7, 8)은 돌출부들(12, 13)의 경사진 내부 측면들과 협동하는 상응하게 형성된 외부 측면을 갖는다. 따라서, 중간 피스(11)가 나사(10)에 의해 편성 요소 홀더(3)에 클램핑될 때, 돌출부들(12, 13)은 레그들(7, 8)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벌어진다면, 편성 요소 홀더(3)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들(12, 13)이 레그들(7, 8)의 외부에 작용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대응하는 오목부들이 레그들(7, 8)에 제공됨으로써, 그 안으로 돌출부들(12, 13)이 연장해 들어갈 수 있다. 이 경우, 중간 피스(11)는 편성 요소 홀더(3)보다 더 큰 폭을 가질 필요가 없다.
나사(10)는 O-링(14)에 의해 둘러싸인다. O-링(14)은, 이완된 상태에서, 편성 요소 홀더(3)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큰 두께를 갖는다. O-링(14)은, 나사(10)가 약간 풀릴 때 중간 피스(11)를 바(2)의 반대측을 향하여 밀어내는 스프링 배열체를 형성한다.
바(2)는, 편성 요소 홀더(3)가 바(2)에 조립될 때 편성 요소 홀더(3)의 레그들(7, 8)이 기대어질 수 있는 정지부(15)를 갖는다. 따라서, 정지부(15)는 위치잡기 보조 기구(positioning aid)를 형성한다. 그러나, 또한, 이것은 회전 방지 수단을 형성하며, 그에 따라, 편성 요소 홀더(3)는 미리 결정된 배향으로 바(2)에 조립될 수 있으며, 이 배향은 나사(10)가 조여져도 변하지 않는다.
편성 요소 홀더(3)를 교체하려면, 다음 단계들이 요구된다. 먼저, 나사(10)를 약간 풀어야 한다.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한 바퀴면 충분하다. 따라서, 나사(10)는 바(2)에 남아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나사를 잃어버릴 염려가 없게 된다.
중간 피스(11)가 편성 요소 홀더(3)를 바(2)에 대고 더 이상 누르지 않을 정도로 나사(10)가 느슨해지면 곧바로, 편성 요소 홀더(3)는 이중 화살표(16)의 방향으로 바(2)로부터 벗겨져 나올 수 있다. 이중 화살표(16)의 이러한 방향은, 바(2)의 종방향 연장선에 대해 대략 수직이다. O-링(14)이 중간 피스(11)가 바(2)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중간 피스(11)는 바(2)로부터 특정 거리를 유지한다.
새로운 또는 정비된 편성 요소 홀더(3)는, 중간 피스(11)와 바(2) 사이의 O-링(14)에 의해 자유롭게 유지되는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것이 완료되면, 편성 요소 홀더(3)는 정지부(15)에 기대어질 수 있게 된다. 그 후, 유일하게 필요한 것은 나사(10)를 다시 조이는 것인데, 이때도, 필요한 클램핑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단지 한 바퀴만이 요구된다. 그에 따라, 스크류(10)는 클램핑 요소를 형성한다. 다른 클램핑 요소들, 예를 들어, 클램핑 레버(clamping lever) 등이 가능하다.
도 4는 바(2)의 변형된 구현예를 보여준다. 바(2)는 복수의 캐리어 요소들(18)이 부착되는 기부 몸체(17)를 갖는다. 지지 요소들은 하나가 다른 것의 뒤에, 바(2)의 종방향으로 그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도면의 평면에 수직으로, 배열된다. 지지 요소들은, 조립 및 해체될 수 있도록, 기부 몸체(17)에 고정된다. 이것들은, 예를 들어, 21 인치(53.34 cm)의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길이는 여전히,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으며, 원하는 정확도로 기부 몸체(17)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요소들은 편성 요소 홀더들(3)에 미리 끼워졌을 수 있고, 편성 요소들(4)은 곧게 펴졌을 수 있다. 이는 또한 기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이는, 경편기(1) 상에서 이러한 곧게 펴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취급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는 위치에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 스크류(10) 및 중간 피스(11)가 캐리어 요소(18)에 부착된다.
편성 요소들의 예정된 교체가 필요한 경우, 캐리어 요소들(18)도 함께 교체될 수 있다. 하나의 편성 요소 홀더 만이 결함이 있어 교체해야하는 경우, 나사(10)를 풀수 있고, 해당 편성 요소 홀더(3)를 제거할 수 있다.
캐리어 요소들(18)을 기부 몸체(17)에 고정하는 것은 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다. 이는, 예를 들어, 나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2)

  1. 경편기(warp knitting machine)의 편성 요소 바 배열체(knitting element bar arrangement)(1)로서, 상기 편성 요소 바 배열체는 바(bar)(2) 및 복수의 편성 요소 홀더들(knitting element holders)(3)을 갖고, 상기 편성 요소 홀더들의 각각은 복수의 편성 요소들((knitting elements)(4)을 갖고, 상기 편성 요소 홀더들(3)은 바 접촉 표면(5)이 상기 바(2)에 기대어지도록 놓이고, 또한 상기 편성 요소 홀더들(3)은 상기 바(2)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편성 요소 홀더들(3) 중 적어도 하나는 일 측으로 개방된 오목부(6)를 갖고, 상기 오목부(6)에는 상기 바(2)에 연결된 클램핑 요소(clamping element)(10)가 배열되고, 상기 클램핑 요소(10)는 상기 바 접촉 표면(5)의 반대 측으로부터 상기 편성 요소 홀더(3)에 작용하며,
    상기 바(2)는 기부 몸체(17), 및 상기 기부 몸체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캐리어 요소 배열체(carrier element arrangement)를 갖고, 상기 클램핑 요소(10)는 상기 캐리어 요소 배열체 상에 배열되고, 상기 캐리어 요소 배열체는 상기 기부 몸체(17)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편성 요소 바 배열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는, 상기 편성 요소들(4)의 반대측을 향하는 상기 편성 요소 홀더(3)의 측면에 배열되는, 편성 요소 바 배열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는 두 개의 레그들(legs)(7, 8)에 의해 측방향으로 한정되고(laterally delimited), 상기 클램핑 요소(10)는 상기 레그들에 작용하는, 편성 요소 바 배열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 요소 홀더(3)의 표면 상에 평면적으로 작용하는(acting planarly) 회전방향으로 고정된 중간 피스(rotationally fixed intermediate piece)(11)가, 상기 클램핑 요소(10)와 상기 편성 요소 홀더(3)의 사이에 배열되는, 편성 요소 바 배열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피스(11)는 돌출 배열체(12, 13)를 갖고, 상기 돌출 배열체(12, 13)는 상기 바(2)의 방향으로 향하고, 또한 상기 돌출 배열체(12, 13)는 상기 레그들(7, 8)의 벌어짐(spreading)을 방지(counteract)하는, 편성 요소 바 배열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 요소 홀더(3)는, 상기 돌출 배열체(12, 13)에 적합화되어 상기 돌출 배열체(12, 13)와 협동하는 결합 형상(mating geometry)을 갖는, 편성 요소 바 배열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스프링 배열체가, 상기 바(2)의 반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중간 피스(11)에 작용하는, 편성 요소 바 배열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배열체는, 상기 클램핑 요소(10)를 둘러싸는 O-링(14)을 포함하는, 편성 요소 바 배열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2)는 상기 편성 요소 홀더(3)를 위한 정지부(stop)(15)를 갖는, 편성 요소 바 배열체.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요소(10)는 나사(screw), 또는 나사산 형성 볼트(threaded bolt)로서 형성되는, 편성 요소 바 배열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요소 배열체는, 상기 바(2)의 종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캐리어 요소들(18)을 포함하는, 편성 요소 바 배열체.
  12. 삭제
KR1020210063594A 2020-05-20 2021-05-17 경편기의 편성 요소 바 배열체 KR102572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75602.0 2020-05-20
EP20175602.0A EP3683343B1 (de) 2020-05-20 2020-05-20 Wirkelement-barrenanordnung einer kettenwirk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665A KR20210143665A (ko) 2021-11-29
KR102572235B1 true KR102572235B1 (ko) 2023-08-29

Family

ID=70779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594A KR102572235B1 (ko) 2020-05-20 2021-05-17 경편기의 편성 요소 바 배열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683343B1 (ko)
KR (1) KR102572235B1 (ko)
CN (1) CN113699676B (ko)
ES (1) ES2922225T3 (ko)
TW (1) TWI7912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0336B (zh) * 2020-08-19 2021-10-29 浙江中多纺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经编机用空心针床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4302A (en) * 1952-12-31 1954-11-16 Carl E Weinberg Mechanism for warp knitting machines
IT1067328B (it) * 1976-12-28 1985-03-16 Brevitex Ets Exploit Perfezionamenti alle macchine a crochet,allo scopo di aumentarne la velocita' di lavoro
DE9403286U1 (de) * 1994-02-28 1994-05-05 Zimmermann Jos Gmbh & Co Kg Modul für Tuftingwerkzeuge
KR20000030098A (ko) * 1999-12-01 2000-06-05 이이기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
DE10041193B4 (de) * 2000-08-23 2004-07-22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mit mehreren Musterlegebarren
JP4287035B2 (ja) * 2000-09-28 2009-07-01 日本マイヤー株式会社 経編機におけるジャカードガイドを個別に制御する装置
CN201116328Y (zh) * 2008-01-08 2008-09-17 郑依福 集成式经编机提花导纱装置
EP2570541B1 (de) * 2011-09-16 2014-03-26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erkzeugbarre
CN103966756B (zh) * 2014-05-26 2015-12-09 江南大学 基于伺服驱动的槽针经编机形成压纱组织的方法
EP3587644B1 (de) * 2018-06-22 2021-03-10 KARL MAYER STOLL R&D GmbH Wirkwerkzeugfass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99676B (zh) 2023-12-01
TWI791213B (zh) 2023-02-01
TW202202682A (zh) 2022-01-16
CN113699676A (zh) 2021-11-26
EP3683343A3 (de) 2020-12-09
KR20210143665A (ko) 2021-11-29
ES2922225T3 (es) 2022-09-12
EP3683343B1 (de) 2022-05-18
EP3683343A2 (de)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235B1 (ko) 경편기의 편성 요소 바 배열체
EP2363643B1 (de) Hitzeschildelement
RU2129693C1 (ru) Плитчатое колосни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EP2295724A1 (de) Leitschaufel für eine axial durchströmbare Turbomaschine und zugehörige Leitschaufelanordnung
US4982478A (en) Carding machine with modular subdivision of the carding zones
EP1862740A1 (de) Brennkammerwand
GB2581854A (en) A structure enabling quick assembly between a faucet and a platform
EP0065848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arding engines and to movable flats therefor
KR102000775B1 (ko) 편성 도구 바 및 편성 도구 지지체
US5197255A (en) Anchoring device for fastening cladding panels to a wall
KR100400703B1 (ko) 공구 복합 블럭을 갖는 다단 금속-성형 기계
KR20170031611A (ko) 원형 콤 상의 콤 요소들을 위한 고정 장치
US4947522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a stationary flat of a carding machine
EP3933261A1 (de) Einbauleuchte und/oder -kamera
RU2254208C2 (ru) Зажим шибера для огнеупорной плиты
US2840732A (en) Brush holder clamping arrangement
JP5689153B2 (ja) テンプルシリンダ用のローレット及びテンプルシリンダ
DE102016214818A1 (de) Befestigungsanordnung zur Montage einer Hitzeschildkachel
KR20170031612A (ko) 원형 콤 상의 콤 요소들을 위한 고정 장치
GB2236543A (en) Flats for a carding machine
US20210129371A1 (en) Arrangement for replacing a saw chain on a motor saw
DE3420261A1 (de) Befestigungsschelle fuer kabel und rohre mit grossem durchmesserbereich
US3665558A (en)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needle carriers on a comb of a combing machine
CN212741708U (zh) 一种用于经编机的纱线架
KR102202686B1 (ko) 높이 가변형 밸브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