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098A -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 - Google Patents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098A
KR20000030098A KR1019990054242A KR19990054242A KR20000030098A KR 20000030098 A KR20000030098 A KR 20000030098A KR 1019990054242 A KR1019990054242 A KR 1019990054242A KR 19990054242 A KR19990054242 A KR 19990054242A KR 20000030098 A KR20000030098 A KR 20000030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utter
piston
sinker
dial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경진
Original Assignee
이이기
주식회사 코스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이기, 주식회사 코스마 filed Critical 이이기
Priority to KR1019990054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0098A/ko
Priority to KR2019990026784U priority patent/KR200180755Y1/ko
Publication of KR20000030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09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2Devices for removing lint or fluff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4Sinker head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이얼패드상의 돌출 또는 삽입용 싱커작동캠이 직접 작동되도록 실린더설치블록에 에어실린더를 이루는 피스톤을 내장시켜 일체화함으로써 그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화되게 되며 그 설치에 따른 상부베이스의 점유면적이 작아 여타의 다른 부속장치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크로스바(10)의 한쪽끝단에 피스톤설치블록(20)과 다이얼패드(30)를 관통하여 커터고정축(40)이 설치되고 이 커터고정축의 하단에 링형커터(42)와 싱커베드(44)가 설치되어 있는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설치블록(20)은 호형판재(21) 중앙의 축홀(22)과 이 축홀(22)주위의 한쪽에 2개의 피스톤설치구멍(23)을 갖는 돌출부(24)가 형성되고 이 피스톤설치구멍(23)에 에어실린더를 이루는 1,2단 피스톤(23a,23b)이 상승 또는 하강되게 내장되며, 상기 크로스바(10)는 그 끝단에 설치되는 커터고정축(4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좌우몸체(10a,10b)로 분할시키고 그 분할부분이 체결부재 (11)에 의해 체결시킨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를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An equipment of socks knitter to exclude yarns and finish}
본 발명은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얼패드에 관통 설치된 커터고정축의 중심을 래치 링의 중심에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크로스바를 분할하여 체결부재로 체결시키고 실린더설치블록과 다이얼패드의 구성이 단순화되도록 싱커베드상의 싱커를 도출 또는 삽입용 싱커작동캠을 작동시키는 1,2단 피스톤이 다이얼패드에 내장되어 있는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을 자동으로 직조하는 양말편직기는 하부베이스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며 속이 빈 파이프형상의 외면에 그 중심선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갖고 수십 여 개의 실린더바늘들이 설치된 실린더; 이 실린더의 하단부분에 마련되며 정/역회전이 가능한 별도의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타이밍벨트 풀리가 장착되고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로 동력전달을 위한 기어가 장착된 구동장치; 이 구동장치의 기어를 통해 연동되도록 크로스의 끝단부분에 마련되며 실린더의 상단부분에서 직조되는 양말 내면의 잔사를 제거하고 양말끝단을 마무리하는 싱커가 구비된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는 한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81-2460호 나타낸 바와 같이, 칼날고정축 하단의 칼날윗집 상면에는 한쪽에 솔이 설치된 솔집을 마련하고 다른 한쪽에 윗칼고정대에 윗칼을 갖는 칼집이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마련하며 상기 칼날고정축에 칼날회전축을 관통시켜 설치하되 그 하단에 톱니형 원판칼날이 착설되게 칼날밀집을 부착하고 그 상단에는 베벨기어를 부착하여 고정대로 공지의 침통내부에 장착하며 베벨기어, 유니버셜조인트, 암수연결조인트로 캠축과 연결시킨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종래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는 캠축이 회전되면 이 캠축 및 칼날회전축 상단의 베벨기어가 유니버셜조인트 및 암수연결조인트를 통해 연동됨으로써 칼날회전축이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칼날회전축이 회전되면 그 하단의 칼날밀집에 걸려있는 원판칼날 또한 회전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직조중인 양말내면에 일정한 무늬를 직조하기 위해서는 무늬사가 건너뛰기를 시작하게 되므로 상기 무늬사는 원판칼날의 톱니에 의해 걸린 상태로 회전되게 된다. 이렇게 원판칼날의 톱니에 걸린 상태로 회전되는 무늬사는 솔집의 솔에 끼워지게 되고 이후 원판칼날이 계속 회전하여 윗칼을 통과하면서 절단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에 있어서는 칼날고정축의 칼날윗집에 설치되는 칼집과 솔집의 구성이 복잡하고 캠축 및 칼날고정축의 베벨기어가 유니버셜조인트, 암수연결조인트 및 베벨기어 등과 같은 동력전달부재의 구성요소가 너무 많아 복잡함은 물론 부품구입의 증가에 따른 제조단가의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다이얼패드상의 돌출 또는 삽입용 싱커작동캠이 직접 작동되도록 실린더설치블록에 에어실린더를 이루는 피스톤을 내장시켜 일체화함으로써 그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화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그 설치에 다른 상부베이스의 점유면적이 작아 여타의 다른 부속장치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한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크로스바를 분할하여 체결부재로 체결함으로써 크로스바끝단의 실린더설치블록과 다이얼패드에 설치되는 커터고정축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래치링의 중심에 커터고정축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한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린더의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중간회전축과 커터고정축이 타이밍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일정한 회전비로 회전됨으로써 그 동력전달구성이 단순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부품수가 줄어들어 제작이 용이하고 원가절감이 이루어지도록 한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피스톤설치블록과 다이얼패드 부분에 대한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크로스바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피스톤설치블록과 다이얼패드만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a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싱커작동캠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크로스바 10a10b: 좌우몸체 11: 체결부재
20: 피스톤설치블록 21: 호형판재 22,32: 축홀
23: 피스톤설치구멍 24,34: 돌출부 25: 1단피스톤
26: 2단피스톤 30: 다이얼패드 31: 원판
33: 작동캠축홀 35: 싱커작동캠 36: 스프링
37: 볼트 40: 커터고정축 42: 링형커터
43: 싱커 44: 싱커베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부베이스 상에서 한쪽끝단의 고정핀을 중심으로 하여 180°이내의 범위 내에서 상하로 회전되게 길다란 크로스바; 이 크로스바의 끝단에 마련되며 피스톤설치구멍에 에어실린더를 이루는 1,2단 피스톤이 상승 또는 하강되게 내장된 실린더설치블록; 이 실린더설치블록의 하단에 장착되며 피스톤의 하단위치에 2개의 싱커작동캠이 스프링에 의해 항시 상부로 밀어 올리도록 탄력적으로 지지된 다이얼패드; 상기 실린더설치블록과 다이얼패드를 관통하여 회전되게 마련된 커터고정축; 상기 다이얼패드 하단에 위치되며 별도의 작동기구에 의해 커터고정축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링형 커터; 상기 커터고정축의 하단에 고정되며 다이얼패드상의 싱커작동캠에 의해 도출 또는 삽입되게 수십 여 개의 싱커가 배열된 싱커베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에 있다.
상기 크로스바는 그 끝단에 설치되는 커터고정축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좌우몸체로 분할시키고 그 분할부분이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양말편물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베이스(도시되지 않음) 상에서 한쪽끝단의 고정핀을 중심으로 하여 180°이내의 범위 내에서 상하로 회전되게 크로스바(1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크로스바(10)는 그 끝단에 설치되는 커터고정축(1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좌우몸체(10a,10b)로 분할되고 그 분할부분이 체결부재(1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바(10)의 끝단에는 실린더설치블록(20)과 다이얼패드(30)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실린더설치블록(20)과 다이얼패드(30)에는 커터고정축(4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양말내면의 잔사를 절단하는 링형 커터(42)와 양말끝단을 마무리하는 수십 여 개의 싱커(43)를 갖는 싱커베드(4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커터고정축(40)은 실린더(도시되지 않음) 하단부분의 구동장치에 따라 연동되는 중간회전축(도시되지 않았음)들을 통해 일정한 회전비로 회전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다이얼패드(30)는 얇은 원판(31)중앙에 커터고정축(40)이 관통 설치되는 축홀(32)이 형성되고 이 축홀(32) 주위에는 그 축홀(32)과 평행한 2개의 작동캠축홀(33)을 갖는 돌출부(34)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작동캠축홀(33)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2개의 싱커작동캠(35)이 마련되어 있고 이 싱커작동캠(35)의 상단에는 이를 항시 상부로 밀어 올리는 힘이 작용하도록 스프링(36)이 개재된 상태로 볼트 (37)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설치블록(20)에는 호형판재(21)의 중앙에 커터고정축(40)이 관통 설치되는 축홀(22)이 형성되고 이 축홀(22) 주위에는 그 축홀(22)과 평행한 2개의 피스톤설치구멍(23)을 갖는 돌출부(24)가 다이얼패드(30)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4)에는 상기 다이얼패드(30)와 상응하는 싱커작동캠(35)위에 위치되게 카운터보어형의 피스톤설치구멍(2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피스톤설치구멍(23)에는 기밀이 유지되면서 상하로 이동되게 1,2단 피스톤(25,26)이 설치되어 있다. 이 1,2단 피스톤(25,26)은 제어기(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해 1단 피스톤(25)을 1차로 작동시키고 일정시간경과 후 2단 피스톤(26)을 2차로 작동시켜 단계적으로 돌출 또는 삽입시킨다.
상기 커터고정축(40)의 하단에는 다이얼패드(30)의 원판(31)하단에 위치되게 싱커베드(44)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싱커베드(44)에는 싱커작동캠(35)의 작동에 따라 도출 또는 삽입되게 수십 여 개의 싱커(43)가 배열되어 있다.
상기 다이얼패드(30)와 싱커베드(44) 사이에는 별도의 작동기구에 선택적으로 회전되게 링형 커터(42)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0은 실린더상단의 싱커와 실린더바늘에 각각의 실을 공급하는 래치링으로 그 중앙에 커터고정축()하단의 링형커터()와 싱커베드()가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를 이루는 크로스바(10)에 대한 조립과정을 참고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좌우로 분할된 좌우몸체(10a,10b)의 분할부분을 체결부재(11)로 가체결하고 상기 크로스바(10)의 끝단에 장착된 실린더설치블록(20)과 다이얼패드(3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커터고정축(40)의 중심이 래치링(50)의 중심에 일치되게 조정하면서 체결부재(11)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따라서, 크로스바(11)의 끝단에 커터고정축(40)의 설치를 위한 하우징구멍의 가공오차나 이에 조립되는 각 부품간의 조립누적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는 베이스에 장착된 별도의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실린더 하단부분의 구동장치가 구동되게 되고 이 구동장치에 의해 실린더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실린더 상단외면의 실린더바늘 및 싱커들이 유기적으로 작동되면서 양말을 직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말이 직조되는 상태에서 양말에 소정형상의 무늬를 형성시킬 때 양말내면에는 잔사가 발생되게 되는데 이러한 잔사는 양말을 신을 때 걸리고 뒤집었을 때 미관이 좋지 않으므로 절단하여 제거하고 있다.
이렇게 양말에 무늬를 형성시킬 때 발생되는 잔사를 제거시키고자 할 때에는 실린더의 구동장치와 연결된 중간회전축을 통해 크로스바(10) 한쪽끝단의 커터고정축(40)을 일정한 회전비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 커터고정축(40) 하단의 링형 커터 (42) 또한 실린더설치블록(20)과 다이얼패드(30)에 설치된 작동기구(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해 연결되므로 회전 작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링형 커터(42)가 회전됨에 따라 양말내면에 발생되는 잔사를 절단하면 에어흡입구를 통해 흡입 제거되게 된다.
이렇게 양말내면의 잔사를 제거하다가 소정의 무늬부분이 지나가고 나면 실린더설치블록(20)과 다이얼패드(30)에 설치된 작동기구(도시되지 않았음)를 다시 작동시켜 링형 커터(42)를 정시시킨다.
이러한 과정은 소정의 무늬를 형성시킬 때마다 작동시키면서 양말의 직조가 마무리되는 시점에 다다르면 양말의 끝단이 풀리지 않도록 접어서 얽어매어야 한다.
이와 같이 양말을 마무리하고자할 때에는 잔사제거할 때와 마찬가지로 크로스바(10) 한쪽끝단의 실린더설치블록(20)과 다이얼패드(30)에 관통 설치된 커터고정축(40)과 함께 싱커베드(44)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에어압축기와 연결된 제어기(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해 실린더설치블록(20)의 제1,2에어홀(23a,23b)을 통해 피스톤설치구멍(23)으로 에어가 주입되게 된다.
상기 실린더설치블록(20)의 피스톤설치구멍(23)으로 에어가 주입되는 과정은 제1에어홀()로 에어가 주입되면 그 내부에 설치된 1단 피스톤(23a)의 행정만큼 이 1단 피스톤(25)이 2단 피스톤(26)을 밀고 나가므로 다이얼패드(30)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도출용 싱커작동캠(35)이 싱커베드(44)상면을 향해 도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돌출용 싱커작동캠(35)이 1단으로 도출되면 싱커베드(44)상에 반경으로 배열된 싱커(43)들의 버트를 외측으로 밀므로 반경으로 돌출시키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싱커베드(44)가 소정각도만큼 회전되었을 때 실린더설치블록 (20)의 제1에어홀(23a)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제2에어홀(23b)을 통해 피스톤설치구멍(23)으로 에어가 주입되므로 1,2단 피스톤(25,26)만이 동작됨으로써 싱커베드 (44)상면과 닿을 정도로 돌출되면서 싱커베드(44)상의 싱커(43)들을 모두 순차적으로 밀어낸다.
이와 같이 싱커베드(44)의 외면에서 도출된 싱커(43)들과 실린더(도시되지 않음)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실린더바늘들의 유기적인 동작에 의해 양말의 끝단을 얽어매어 마무리한다.
상기 실린더설치블록(20)의 피스톤설치구멍(23)에 공급되는 에어가 차단되게 되면서 다이얼패드(30)에 설치된 돌출용 싱커작동캠(35)이 스프링(36)의 탄성력으로 인해 원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이렇게 싱커베드(44)의 외면에서 방사상으로 도출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양말의 끝단을 마무리한 후 싱커(43)를 싱커베드(44)의 중심을 향하여 원위치로 삽입하고자 할 때에는 삽입용 싱커작동캠(35)이 돌출용 싱커작동캠(35)과 같은 동작에 의해 2단으로 도출되므로 싱커베드(44)상의 싱커(43)들을 순차적으로 싱커베드 (44) 중심을 향해 밀어 넣음으로써 삽입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는 에어실린더와 링크에 의해 연동되도록 마련되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다이얼패드상의 도출 또는 삽입용 싱커작동캠이 직접 작동되도록 실린더설치블록에 에어실린더를 이루는 피스톤을 내장시켜 일체화함으로써 그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화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그 설치에 다른 상부베이스의 점유면적이 작아 여타의 다른 부속장치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크로스바를 분할하여 체결부재로 체결함으로써 크로스바끝단의 실린더설치블록과 다이얼패드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커터고정축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래치링의 중심에 커터고정축의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베이스 상에서 한쪽끝단의 고정핀을 중심으로 하여 180°이내의 범위 내에서 상하로 회전되는 길다란 형상의 크로스바(10);
    이 크로스바(10)의 끝단에 마련되며 호형판재(21)의 중앙에 커터고정축(40)이 관통되는 축홀(22)이 형성되고 이 축홀(22)주위의 한쪽에 2개의 피스톤설치구멍 (23)을 갖는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피스톤설치구멍(23)에 에어실린더를 이루는 1,2단 피스톤(23a,23b)이 상승 또는 하강되게 내장된 실린더설치블록(20);
    이 실린더설치블록(20)의 하단에 장착되며 얇은 원판(31)중앙에 커터고정축 (40)이 관통 설치되는 축홀(32)과 이 축홀(32)과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작동캠축홀(33) 부분이 상부로 융기된 돌출부(34)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캠축홀(33)에는 항시 상부로 밀어 올리는 힘이 작용하도록 상단에 스프링(36)을 개재시켜 볼트(37)로 체결시킨 싱커작동캠(35)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이얼패드(30);
    상기 실린더설치블록(20) 및 다이얼패드(30)의 축홀(22,32)을 관통하여 회전되게 마련된 커터고정축(40);
    상기 다이얼패드(30) 하단에 위치되며 별도의 작동기구에 의해 커터고정축 (40)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링형 커터(42);
    상기 커터고정축(40)의 하단에 고정되며 다이얼패드(30)상의 싱커작동캠(35)에 의해 돌출 또는 삽입되게 수십 여 개의 싱커(43)가 배열된 싱커베드(4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10)는 그 끝단에 설치되는 커터고정축(4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좌우몸체(10a,10b)로 분할시키고 그 분할부분이 체결부재 (11)에 의해 체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
KR1019990054242A 1999-12-01 1999-12-01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 KR20000030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242A KR20000030098A (ko) 1999-12-01 1999-12-01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
KR2019990026784U KR200180755Y1 (ko) 1999-12-01 1999-12-01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242A KR20000030098A (ko) 1999-12-01 1999-12-01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784U Division KR200180755Y1 (ko) 1999-12-01 1999-12-01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098A true KR20000030098A (ko) 2000-06-05

Family

ID=196230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242A KR20000030098A (ko) 1999-12-01 1999-12-01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
KR2019990026784U KR200180755Y1 (ko) 1999-12-01 1999-12-01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784U KR200180755Y1 (ko) 1999-12-01 1999-12-01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0003009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33B1 (ko) * 2018-05-04 2019-10-04 이진석 양말 편직기의 실꼬리 절단장치
KR20210143665A (ko) * 2020-05-20 2021-11-29 칼 마이어 슈톨 알앤디 게엠베하 경편기의 편성 요소 바 배열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682B1 (ko) * 2017-06-15 2019-01-31 박정환 파일 조직 발가락 양말 제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751A (ko) * 1986-09-27 1988-05-30 이재연, 하인츠 디터 케루트 프린터 겸용 타자기의 간이 편집방식
KR880003754A (ko) * 1986-09-26 1988-05-30 다니이 아끼오 승화전사형 감열기록용 수상체
JPH01164779A (ja) * 1987-12-21 1989-06-28 Lion Corp 強化水硬性無機質材料成形体
KR950003665A (ko) * 1993-07-07 1995-02-17 카마카리 료오타 금속 가스켓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H11241257A (ja) * 1998-02-23 1999-09-07 Nagata Seiki Co Ltd 丸編機の糸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3754A (ko) * 1986-09-26 1988-05-30 다니이 아끼오 승화전사형 감열기록용 수상체
KR880003751A (ko) * 1986-09-27 1988-05-30 이재연, 하인츠 디터 케루트 프린터 겸용 타자기의 간이 편집방식
JPH01164779A (ja) * 1987-12-21 1989-06-28 Lion Corp 強化水硬性無機質材料成形体
KR950003665A (ko) * 1993-07-07 1995-02-17 카마카리 료오타 금속 가스켓 조립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H11241257A (ja) * 1998-02-23 1999-09-07 Nagata Seiki Co Ltd 丸編機の糸切断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33B1 (ko) * 2018-05-04 2019-10-04 이진석 양말 편직기의 실꼬리 절단장치
KR20210143665A (ko) * 2020-05-20 2021-11-29 칼 마이어 슈톨 알앤디 게엠베하 경편기의 편성 요소 바 배열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755Y1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544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men'S socks, of the type with needles on the dial
KR200180755Y1 (ko) 양말편직기의 잔사제거 및 마무리장치
AU720444B2 (en) Method and mechanism for closing the toe at the start of the process of making a stocking or sock, i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KR200180754Y1 (ko) 양말편직기의 편성캠유닛
KR100993502B1 (ko) 양말 편직기용 크로스바 헤드 조립체
KR100920927B1 (ko) 파일직물 양말편직기의 싱커커버
JP2009531559A (ja) 靴下類等のための円形編機
EP0893526A2 (en) "Single-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device for actuating the cutter mounted on the dial"
JPH1037049A (ja) シングルシリンダ靴下製造丸編機
KR200282323Y1 (ko) 파일사 절단 장치
KR101003079B1 (ko)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싱커장치
KR20080066128A (ko) 양말편직기의 다이얼상판 변속구동장치
JP2005076160A (ja) 丸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並びに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アクチュエータ
KR101639619B1 (ko) 편물용 환편기
KR20010049420A (ko) 경편기의 그립핑 나비 홀더
KR20030090293A (ko) 환편기용 전자식 스트라이핑 구동장치
KR100430029B1 (ko) 양면 벨루어 직물용 환편기
JP2005513281A (ja) 靴下類用の編機、特に円形編機のステッチ緊密度を変更する装置
KR20030076157A (ko) 자카드 환편기의 전자식 자동 스트라이핑장치
KR20030094186A (ko) 환편기용 파일 절단장치
KR101022825B1 (ko) 더블실린더형 환편기
CN216738771U (zh) 一种双针筒织袜缝头一体编织机的主传动结构
KR200267067Y1 (ko) 직물의 양면에 루우프를 편직하는 편직기
CN215328624U (zh) 一种护膝机的局部压针机构
JPH11158760A (ja) 丸編機における、編地反末にタックを付加する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