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323Y1 - 파일사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파일사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323Y1
KR200282323Y1 KR2020020011190U KR20020011190U KR200282323Y1 KR 200282323 Y1 KR200282323 Y1 KR 200282323Y1 KR 2020020011190 U KR2020020011190 U KR 2020020011190U KR 20020011190 U KR20020011190 U KR 20020011190U KR 200282323 Y1 KR200282323 Y1 KR 200282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yarn
dial
cylinder
pil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철
Original Assignee
송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철 filed Critical 송유철
Priority to KR2020020011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323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러쉬 원단을 제조하는 파일 편집기의 파일사를 절단하는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단(1)에 파일사(2)가 형성되는 간격으로 구획을 나누는 격벽(113)을 형성하고 격벽(113)의 내부 홈에 원단이 편직되는 침상홈(114)을 형성하되 침상홈(114)의 내부에는 파일사(2)를 공급하는 공급고리(111)를 수직으로 형성하여 상부에 형성된 지면사(3)에 공급하는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격벽(124)을 형성하고 내부에 홈을 침상홈(125)으로 형성하되 침상홈(125)의 내부 중앙에는 칼바늘(121)을 형성하고 칼바늘(121)의 좌우 양측에는 파일사(2)를 지지하도록 가이드 고리(122)를 형성하여 파일사를 절단하는 다이얼(120)과, 상기 실린더(110)와 다이얼(120)을 같은 속도비로 회전하도록 형성한 회전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다른 실시예로는 다이얼(120)의 단턱(127)을 형성하고 이 형상에 대응하는 단턱(140)을 가지는 원형반(141)을 형성하여 파일사(2)를 원형반의 단턱과 다이얼의 단턱에 지지하면서 절단하도록 구성하므로 다이얼을 접촉에 의해 마모시키는 원형반을 제거하고 가이드고리와 가이드 편에 의해 파일사를 지지하면서 파일사를 절단하고 실린더와 다이얼의 외주연에 가이드 편을 형성하여 바늘의 하부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마모를 최소화 하며 기존의 절단장치에 다이얼과 원형반에 단턱을 형성하여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작업효율을 증대하고 경제적으로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일사 절단 장치 {The Device of Cutting for Pile Thread}
본 고안은 브러쉬 원단을 제조하는 파일 편집기의 파일사를 절단하는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반의 구조를 변경 파일과 다이얼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절단되지 않는 불량을 감소하는 것과 원형반을 제거하고 파일사를 가이드 고리와 가이드 편으로 고정하여 파일을 칼바늘로 절단하고 다이얼의 회전부를 개선하여 파일사 절단 시에 원형반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하고 칼바늘의 마모율을 감쇄하면서 회전부에서 생성되는 베어링 줄을 제거하여 양질의 브러쉬 원단을 생산하는 파일사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일직물은 경사로 섬유사의 고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형성된 고리를 자른 것을 컷파일이라 하여 벨벳, 실(Seal), 아스프라칸, 모켓, 융단, 인조모피 등이 있고 자르지 않은 것을 언컷파일 또는 루프파일이라 하여 타월 등에 사용된다.
이런, 파일직물은 두껍고 탄력성이 있으며 보온성, 단열성, 흡음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부드러워 모직, 견직, 면직, 화섬직물 등에 사용되며 카펫, 의자, 커버, 커튼, 방한용 복지, 예복 등과 그 밖에 공업용으로서 단열재, 필터 등에 사용된다.
상기 파일 직물 중에 고리를 형성하여 컷팅하는 컷파일하여 형성하는 브러쉬원단은 통칭 인조 밍크라고 일컬어 지며 주로 완구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상기 컷파일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직물로 편직된 지면사에 파일환을 형성하고 형성된 파일환을 실린더와 다이얼 사이에서 칼바늘로 컷팅하여 브러쉬 원단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파일사를 절단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얼(20)에 지면사(3)를 편성하고 실린더(10)에 삽입 되어 있는 칼바늘(11)이 파일사(2)를 공급받아 끌고 내려온 다음 원형반(30)에서 눌러주는 위치에서 칼바늘(11)을 상승하면서 파일환(2a)을 절단하는 방식으로 원단을 생산하게 되는데 이렇게 재직된 원단은 생지 상태로 가공하면 파일사(2)가 쉽게 빠져나와 원단으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파일사(2)를 잡고 있는 지면사(3)의 배면에 본딩 혹은 접착 처리하여야만(통상 수지가공) 파일사(2)가 쉽게 빠지지 않아 원단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렇게 원단의 배면을 수지 가공하면 원단이 뻣뻣해져 질이 저하되어 일반적인 의류에 사용이 불가능하고 완구용 원단으로 밖에 사용할 수 없어 한정된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이에, 수지 가공을 하지 않는 고품질의 원단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파일사를 잡고 있는 지면사에 조직을 변환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도 2,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파일 절단장치에서는 실린더(10)에 지면사(3)를 형성하고 파일사(2)를 다이얼(20)에서 절단 하도록 하므로 다이얼(20)의 외경에 파일사(2) 절단 시 파일사(2)를 눌러주는 원형반(30)을 설치하여다이얼(20) 외경에 걸려있는 파일환(2a)을 원형반(30)이 눌러준 위치에서 칼바늘(21)이 구동하여 파일사(2)를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일사 절단장치는 칼바늘(21)이 어느 정도 사용되면 칼날이 무뎌져서 파일사(2)을 절단하기 위해 칼바늘(21)이 상승하면 파일사(2)가 늘어나면서 절단됨으로써 원단에 흠이 발생하여 칼바늘(21)을 교체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 칼바늘(21)의 교체시기에 있어서 조금만 무디어 져도 불량이 발생하여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데 그 원인은 다이얼(20)도 원이고 파일사(2)를 눌러주는 원형반(30)도 원이기 때문에 2개의 원이 맞닿는 중심에서 칼바늘(21)을 상승시켜 파일사(2)를 절단하게 되는데 이 2개의 원의 중심점이 점 접촉으로 연결되므로 중심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좌우의 간격이 발생하여 칼바늘(21)이 미세한 마모에도 파일사(2)가 끌려 나오면서 절단되는 불량이 발생한다.
이런,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원형반(30)을 다이얼(20)의 외경에 압착시켜야하므로 다이얼(20)의 외경이 쉽게 마모되어 수리 또는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다이얼을 회전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0)에 베어링(12)을 설치하고 다이얼(20)에도 베어링(22)을 설치하여 실린더(10)가 회전하면 실린더(10)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12)이 다이얼(20)에 착설되어 있는 베어링(22)을 밀면서 다이얼(2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이얼(20)을 회전하면 실린더(10)의 베어링(12)과 다이얼(20)의 베어링(22) 사이로 내려오는 원단(10)이 베어링(12, 22)에 눌려서 베어링 줄(LB)이 생성되어 가공 후에도 계속 나타나서 원단의 질을 저하하여 의류용 고급원단을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실린더(10)와 다이얼(20)의 선단부의 파손이 발생하는 원인은 실린더(10)와 다이얼(20)의 선단부가 바늘 들을 수납하여 직조시 상하로 이동하는 침상홈으로 형성되므로 열처리를 강하게 하면 조그마한 사고에도 부서져서 재직이 불가능하고 파일사(2)를 잡아줄 수 없어 바늘의 상하 운동에 의해 쉽게 마모됨으로 실린더(10)와 다이얼(20)의 선단부 마모로 인하여 원단에 흠이 발생하여 실린더(10)와 다이얼(20)의 본체를 교체하여야 함으로써 작업효율이 감소되고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원형반을 제거하고 칼바늘의 양측에 가이드 고리를 형성하여 파일사를 가이드 고리에서 가이드 하면서 칼바늘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형반에 의한 다이얼의 마모 및 파손을 억제하고 칼바늘의 수명을 증대하여 파일사 절단 시에 불량을 감쇄하고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여 경제적으로 향상된 파일사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와 다이얼의 격벽의 양단부에 가이드 편을 형성하여 바늘이 배면에 닿은 침상바닥과 간격을 형성하여 실린더와 다이얼의 최상단부와 바늘의 하단부와의 간격을 형성 직접 접촉을 피하므로써 마모를 최소화하여실린더와 다이얼의 수명을 연장하고 가이드 편의 교환만으로 장비의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파일사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이얼의 회전부를 개선하여 종래의 발생되는 베어링 줄을 제거하여 양질의 원단을 생산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원형반에 단턱을 형성하고 다이얼에도 이에 대응하는 단턱을 형성하여 파일사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정확하게 절단 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사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일부 절개 주요부분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일부 절개 주요부분 사용상태 사시도.
도 3a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주요부분 작동상태 구성도.
도 3b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구성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파손을 나타내는 구성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일부 절개 사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확대 사시도.
도 8a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주요부품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11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주요부분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a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4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확대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1 : 원단 2 : 파일사
2a : 파일환 3 : 지면사
100 : 절단장치 110 : 실린더
111 : 공급고리 112 : 가이드 편
113 : 격벽 114 : 침상홈
120 : 다이얼 121 : 칼바늘
122 : 가이드 고리 123 : 가이드 편
124 : 격벽 125 : 침상홈
126 : 고리형 칼바늘 127 : 단턱
130 : 다이얼 회전부 131 : 암
132 : 암 브라켓 133 : 베어링
134 : 베어링 브라켓 135 : 실린더 브라켓
136 : 레일 137 : 조정볼트
140 : 원형반 141 : 단턱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형성된 본 고안의 파일사 절단장치는 브러쉬 원단을 가공하는 편직기계에서 파일사를 환형으로 형성한 파일환을 지면사에 형성하고 지면사에 형성된 파일환을 절단하는 파일사 절단장치에 있어서, 원단에 파일사가 형성되는 간격으로 구획을 나누는 격벽을 돌출 성형하여 형성하고 각 격벽으로 나누어진 구획의 내부 홈에 원단이 편직되는 침상홈을 형성하되 침상홈의 내부에는 파일사를 공급하는 공급고리를 수직으로 파일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파일사를 지면사에 공급하고 지면사를 상부에 지지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와 대응되는 위치에 격벽을 돌출성형하고 내부에 홈을 침상홈으로 형성하되 침상홈의 내부 중앙에는 상하로 작동하여 파일사를 절단하는 칼바늘을 형성하고 칼바늘의 좌우 양측에는 파일사를 지지하도록 끝단에 고리를 형성한 가이드 고리를 형성하여 실린더 상부의 지면사에 공급되는 파일사를 가이드 고리에서 지지하면서 칼바늘에서 절단하는 다이얼과, 상기 실린더와 다이얼을 같은 속도비로 회전하면서 파일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이얼이 하부에 실린더와 연결되어 연동되도록 형성한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에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와 다이얼의 외경의 외부측으로 격벽의 단부에 가이드 편을 복수개로 형성하여 파일사가 공급되는 실린더의 공급고리와 파일사가 지지되는 다이얼의 가이드 고리와 칼바늘의 하단이 실린더와 다이얼의 외경과 가이드 편에 의한 간격을 형성하여 간격의 내부에 위치하여 구동되어 파일사의 측면을 지지하면서 외경과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에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는 다이얼의 하부에 원형의 암브라켓을 결합하고 암브레켓의 하부에는 일측이 연장되고 암브라켓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암을 형성하여 암브라켓에 결합하고 암이 연장된 일측의 끝단에는 양측으로 베어링 브라켓을 형성하고 베어링 브라켓에는 베어링을 결합하여 실린더에 형성된 실린더 브라켓의 일측에 수직으로 중앙에 돌출성형된 레일이 중앙에서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베어링 브라켓에 베어링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암에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조절볼트의 조작으로 레일의 양측의 결합된 베어링의 위치를 조정하여 파일사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다이얼과 실린더가 같은 속도로 회전하도록 형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에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실린더에서 공급되는 파일사를 원형의 다이얼에 형성된 고리형 칼바늘로 끌어들여 원형반에서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리형 칼바늘의 상단 고리와 같이 형성된 절단칼로 파일사를 절단하는 파일사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다이얼의 외경에 단턱을 형성하고 파일사를 밀착하는 원형반에도 다이얼의 단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턱을 형성하여 밀착되는 면적을 확대시켜 파일사를 절단하도록 형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에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일부 절개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확대 사시도이며, 도 8a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주요부품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11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주요부분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파일사 절단장치(100)는 파일사(2)를 공급하는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에서 공급된 파일사(2)를 지지하면서 절단하는 다이얼(120)과, 상기 실린더(110)와 다이얼(120)을 같은 속도비로 회전하면서 파일사의 길이를 조절하는 회전부(130)로 구성된다.
도면에 표기된 미설명 부호는 실린더의 최상단부(CT), 다이얼의 최상단부(DT), 실린더의 최상단부와 실린더 외경의 간격(CX), 다이얼의 외경과 다이얼의 최상단부(DX)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110)는 상부에 지면사(3)을 지지하면서 지면사(3)에 형성된 파일사(2)를 직조할 간격에 따라 격벽(113)을 돌출 성형하여 구획을 형성하고 형성된 구획에 내부에는 침상홈(114)을 형성하고 침상홈(114)의 내부에는 수직으로 상부에 고리가 형성되어 파일사(2)를 지면사(3)에 공급하는 공급고리(111)를 형성하여 회전하면서 파일사(2)를 공급한다.
또한, 실린더(110)의 외경에 외부측으로 격벽(113)의 상단부에 돌출되도록 가이드 편(112)을 다수개 형성하여 실린더(110)의 외경과 외측으로 실린더의 최상부(CT)와 간격(CX)을 형성하여 침상홈(114)의 중앙에 형성되어 파일사(2)를 공급하는 공급고리(111)가 작동되는 하단부가 간격(CX) 안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공급고리(111)에 걸린 파일사(2)를 가이드 편(112)이 양측에서 지지하므로 공급고리(111)의 구동시에 실린더(110)와 접촉되지 않아 마모를 최소화한다.
상기 다이얼(120)은 원형으로 상기 실린더(110)와 일정간격을 두고 직각으로 형성되어 실린더(110)의 격벽(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격벽(124)을 돌출하여 형성하고 격벽(124)의 내부에는 침상홈(125)을 형성하며 침상홈(125)의 내부 중앙에는 파일사(2)를 절단하는 칼날이 형성된 칼바늘(121)을 형성하고 칼바늘(121)의 좌우 양측에는 고리를 형성하여 파일사(2)를 양측에서 지지하는 가이드 고리(122)를 형성하여 실린더(110)의 공급고리(111)에서 지면사(3)로 공급된 파일사(2)를 가이드 고리(122)에서 지지하고 칼바늘(121)을 상승시켜 절단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다이얼(120)의 외경에 외부측으로 격벽(124)의 상단부에 돌출되도록가이드 편(123)을 다수개 형성하여 다이얼(120)의 외경과 외측으로 다이얼의 최상부(DT)와 간격(DX)을 형성하여 침상홈(125)의 중앙에 형성된 칼바늘(121)과 가이드 고리(122)의 작동되는 하단부가 간격(DX)안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칼바늘(121)과 가이드 고리(122)에 형성된 파일사(2)를 가이드 편(123)에서 양측을 지지하므로 칼바늘(121) 구동시에 다이얼(120)과 접촉되지 않아 마모를 최소화한다.
상기 회전부(130)는 다이얼(120)의 하부에 원통형의 암브라켓(132)을 형성하고 실린더(120)의 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내주연에서 중심측으로 수직의 레일(136)이 형성된 실린더 브라켓(135)을 형성하여 다이얼(120)의 암브라켓(132) 하부에 실린더 브라켓(135) 측으로 연장된 암(131)을 형성하고 암(131)의 연장부의 끝단에 양측으로 중앙에 실린더 브라켓(135)의 레일(136)이 위치하도록 베어링(133)과 베어링 브라켓(134)을 형성하고 베어링 브라켓(134)을 암(131)과 조정볼트(137)로 고정하여 조정볼트(137)의 조작으로 실린더 브라켓(135)의 레일(136)을 따라서 베어링(133)의 위치를 이동하여 하부에 형성된 원단(1)의 파일사(2) 길이를 조정하고 다이얼(120)과 실린더(110)가 같은 속도비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4a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4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사 절단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확대 구성도이다.
도 14 a, b,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10)의 상부에 형성된 지면사(3)에 파일사(2)가 결합되는 위치의 좌우에 일정간격의 격벽(113)을 돌출성형하고 격벽(113)의 중앙에 침상홈(114)을 형성하며 침상홈(114)의 내부에는 공급고리(111)를 형성한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직각으로 형성하여 실린더(110)의 격벽(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격벽(124)을 형성하고 격벽(124)의 중앙에 침상홈(125)을 형성하며 침상홈(125)의 내부에는 고리형 칼바늘(126)을 형성한 다이얼(120)과, 다이얼(120)의 외주연에 원형으로 다이얼(120)의 고리형 칼바늘(126)에 거취된 파일사(2)를 밀착하는 원형반(140)으로 구성한다.
상기 다이얼(120)의 외주연에는 단턱(127)을 형성하고 다이얼(120)의 외주연에 원형으로 밀착 형성된 원형반(140)에도 다이얼(120)의 단턱(127)과 대응되도록 단턱(141)을 형성하여 파일사(2) 밀착 시에 밀착면적을 확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린더(100)의 상부에 지면사(3)를 형성하고 다이얼(120)의 가이드 고리(122)를 상승하여 양측에 가이드 고리(122)에 파일사(2)를 인입한 상태로 가이드 고리(122)의 중앙으로 실린더(110)의 공급고리(111)를 상승시켜 파일사(2)를 집어서 공급고리(111)가 하강하면서 파일사(2)를 끌어내려 지면사(3)에 공급한다.
실린더(110)와 다이얼(120)이 회전하면서 파일사(2)가 지면사(3)에 공급되면 가이드 고리(122)를 후퇴하여 다이얼(120)의 가이드 편(123)에 파일사(2)의 측면이지지되고 하부에는 실린더(110)의 공급고리(111)로 지지하면서 가이드 고리(122)로 파일사(2)가 칼바늘(12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양측으로 지지한다.
이렇게, 파일사(2)가 지지되면 칼바늘(121)을 전진시켜 파일사(2)를 절단하고 절단이 끝나면 실린더(110)와 다이얼(120)이 계속 회전하면서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원단(1)을 제직한다.
이때, 실린더(110)가 회전하면 실린더(110)의 하부에서 중심부로 형성된 회전부(130) 실린더 브라켓(135)의 레일(136)을 중앙으로 양측에 베어링(133)을 결합하고 베어링(133)과 암(131)을 베어링 브라켓(134)으로 연결하여 실린더(110)와 연동되어 회전하므로 암(131)과 다이얼(120)을 암브라켓(132)으로 결합하여 실린더(110)와 같은 속도비로 회전한다.
이렇게, 암(131)이 회전하다가 원단(1)의 파일사(2)의 길이를 조정하려면 암(131)과 베어링 브라켓(134)을 결합하는 조정볼트(137)를 작동하여 베어링(133)이 레일(136)을 따라 위치를 조정하여 원단(1)에서 파일사(2)가 공급되는 길이를 조작하여 원단(1)에서 파일사(2)가 절단되는 길이를 조정한다.
따라서, 실린더(110)의 상부에 형성된 지면사(3)에 파일사(2)를 공급고리(111)로 공급하여 다이얼(120)에 형성된 가이드 고리(122)와 가이드편(123)에 파일사(2)를 지지하고 가이드 고리(122)의 사이에 형성된 칼바늘(121)의 상승으로 파일사(2)를 절단하여 원단(1)을 생산하며 다이얼(120)의 중앙 하부에 회전부(130)의 암(131)을 형성하고 베어링(133)으로 실린더(110)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부(130)의 실린더 브라켓(135)에 결합하여 파일사(2)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실린더(110)와 다이얼(120)이 같은 속도비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린더(110)의 상부에 지면사(3)를 형성하고 다이얼(120)에 형성된 고리형 칼바늘(126)에 파일사(2)를 형성하고 실린더(110)의 공급바늘(111)로 끌어 내려 지면사(3)에 파일사(2)를 공급하여 공급고리(111)와 고리형 칼바늘(126)로 파일사(2)를 지지한 상태에서 단턱(127)을 형성한 다이얼(120)의 외경을 따라서 다이얼(120)의 단턱(127)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한 단턱(141)을 가진 원형반(140)을 구동하여 파일사(2)를 다이얼(12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리형 칼바늘(126)을 전진시켜 파일사(2)를 절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파일사(2) 절단시에 원형인 다이얼(120)과 원형반(140)의 중심축의 접촉되는 면적을 단턱(127, 141)을 형성하여 넓히므로 견고하게 지지하여 고리형 칼바늘(126)의 수명을 늘리고 양질의 원단을 생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파일사 절단장치는 브러쉬 원단(1)을 가공하는 편직기계에서 파일사(2)를 환형으로 형성한 파일환(2a)을 지면사(3)에 형성하고 지면사(3)에 형성된 파일환(2a)을 절단하는 파일사 절단장치(100)에 있어서, 원단(1)에 파일사(2)가 형성되는 간격으로 구획을 나누는 격벽(113)을 돌출 성형하여 형성하고 각 격벽(113)으로 나누어진 구획의 내부 홈에 원단이 편직되는 침상홈(114)을 형성하되 침상홈(114)의 내부에는 파일사(2)를 공급하는공급고리(111)를 수직으로 파일사(2)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파일사(2)를 지면사(3)에 공급하고 지면사(3)를 상부에 지지하는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격벽(124)을 돌출성형하고 내부에 홈을 침상홈(125)으로 형성하되 침상홈(125)의 내부 중앙에는 상하로 작동하여 파일사(2)를 절단하는 칼바늘(121)을 형성하고 칼바늘(121)의 좌우 양측에는 파일사(2)를 지지하도록 끝단에 고리를 형성한 가이드 고리(122)를 형성하여 실린더(110) 상부의 지면사(3)에 공급되는 파일사(2)를 가이드 고리(122)에서 지지하면서 칼바늘(121)에서 절단하는 다이얼(120)과, 상기 실린더(110)와 다이얼(120)을 같은 속도비로 회전하면서 파일사(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이얼(120)이 하부에 실린더(110)와 연결되어 연동되도록 형성한 회전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다른 실시예로는 실린더(110)에서 공급되는 파일사(2)를 원형의 다이얼(120)에 형성된 고리형 칼바늘(126)로 끌어들여 원형반(140)에서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리형 칼바늘(126)의 상단 고리와 같이 형성된 절단칼로 파일사(2)를 절단하는 파일사 절단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다이얼(120)의 외경에 단턱(127)을 형성하고 파일사(2)를 밀착하는 원형반(140)에도 다이얼(120)의 단턱(127)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턱(141)을 형성하여 밀착되는 면적을 확대시켜 파일사(2)를 절단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다이얼을 접촉에 의해 마모시키는 원형반을 제거하고 가이드고리와 가이드 편에 의해 파일사를 지지하면서 파일사를 절단하도록 하고 실린더와 다이얼의 외주연에 가이드 편을 형성하여 실린더와 다이얼의 외경과 간격을 형성하여 간격 내에서 바늘이 작동되므로 가공시 작동되는 바늘의 하부와의 접촉을 방지하여마모를 최소화 하여 다이얼과 실린더의 수명을 연장하고 불량을 최소화하며 칼바늘의 수명을 연장하고 가이드 고리와 가이드 편의 교환만으로 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원가를 감소하고 양질의 원단을 생산하여 작업효율을 증대하고 경제적으로 향상된 효과를 가지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기존의 파일사 절단장치에서 다이얼과 원형반에 단턱을 형성하여 접촉면적을 극대화 함으로써, 불량을 최소화고 칼바늘의 수명을 연장하여 작업효율을 증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브러쉬 원단(1)을 가공하는 편직기계에서 파일사(2)를 환형으로 형성한 파일환(2a)을 지면사(3)에 형성하고 지면사(3)에 형성된 파일환(2a)을 절단하는 파일사 절단장치(100)에 있어서,
    원단(1)에 파일사(2)가 형성되는 간격으로 구획을 나누는 격벽(113)을 돌출 성형하여 형성하고 각 격벽(113)으로 나누어진 구획의 내부 홈에 원단이 편직되는 침상홈(114)을 형성하되 침상홈(114)의 내부에는 파일사(2)를 공급하는 공급고리(111)를 수직으로 파일사(2)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파일사(2)를 지면사(3)에 공급하고 지면사(3)를 상부에 지지하는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격벽(124)을 돌출성형하고 내부에 홈을 침상홈(125)으로 형성하되 침상홈(125)의 내부 중앙에는 상하로 작동하여 파일사(2)를 절단하는 칼바늘(121)을 형성하고 칼바늘(121)의 좌우 양측에는 파일사(2)를 지지하도록 끝단에 고리를 형성한 가이드 고리(122)를 형성하여 실린더(110) 상부의 지면사(3)에 공급되는 파일사(2)를 가이드 고리(122)에서 지지하면서 칼바늘(121)에서 절단하는 다이얼(120)과,
    상기 실린더(110)와 다이얼(120)을 같은 속도비로 회전하면서 파일사(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이얼(120)이 하부에 실린더(110)와 연결되어 연동되도록 형성한 회전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사 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10)와 다이얼(120)의 외경의 외부측으로 격벽(113, 124)의 단부에 가이드 편(112, 123)을 복수개로 형성하여 파일사(2)가 공급되는 실린더(110)의 공급고리(111)와 파일사(2)가 지지되는 다이얼(120)의 가이드 고리(122)와 칼바늘(121)의 하단이 실린더(110)와 다이얼(120)의 외경과 가이드 편(112, 123)에 의한 간격(CX, DX)을 형성하여 간격(CX, DX)의 내부에 위치하여 구동되어 파일사(2)의 측면을 가이드 편(112, 123)이 지지하면서 실린더(110)와 다이얼(120)의 외경과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사 절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30)는 다이얼(120)의 하부에 원형의 암브라켓(132)을 결합하고 암브레켓(132)의 하부에는 일측이 연장되고 암브라켓(132)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암(131)을 형성하여 암브라켓(132)에 결합하고 암(131)이 연장된 일측의 끝단에는 양측으로 베어링 브라켓(134)을 형성하고 베어링 브라켓(134)에는 베어링(133)을 결합하여 실린더(110)에 형성된 실린더 브라켓(135)의 일측에 수직으로 중앙에 돌출 성형된 레일(136)이 중앙에서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베어링 브라켓(134)에 베어링(133)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볼트(137)를 암(131)에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조정볼트(137)의 조작으로 레일(136)의 양측의 결합된 베어링(133)의 위치를 조정하여파일사(2)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다이얼(120)과 실린더(110)가 같은 속도로 회전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사 절단장치.
  4. 실린더(110)에서 공급되는 파일사(2)를 원형의 다이얼(120)에 형성된 고리형 칼바늘(126)로 끌어들여 원형반(140)에서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리형 칼바늘(126)의 상단 고리와 같이 형성된 절단칼로 파일사(2)를 절단하는 파일사 절단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다이얼(120)의 외경에 단턱(127)을 형성하고 파일사(2)를 밀착하는 원형반(140)에도 다이얼(120)의 단턱(127)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턱(141)을 형성하여 밀착되는 면적을 확대시켜 파일사(2)를 절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사 절단장치.
KR2020020011190U 2002-04-13 2002-04-13 파일사 절단 장치 KR200282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90U KR200282323Y1 (ko) 2002-04-13 2002-04-13 파일사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90U KR200282323Y1 (ko) 2002-04-13 2002-04-13 파일사 절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323Y1 true KR200282323Y1 (ko) 2002-07-19

Family

ID=7312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190U KR200282323Y1 (ko) 2002-04-13 2002-04-13 파일사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3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455B1 (ko) * 2002-08-07 2005-09-15 송유철 파일사 편직기
KR101192150B1 (ko) 2012-06-22 2012-10-17 송유철 컷팅파일기용 다이얼침상
KR101456365B1 (ko) * 2013-02-13 2014-11-03 신광식 컷팅파일기용 다이얼침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455B1 (ko) * 2002-08-07 2005-09-15 송유철 파일사 편직기
KR101192150B1 (ko) 2012-06-22 2012-10-17 송유철 컷팅파일기용 다이얼침상
KR101456365B1 (ko) * 2013-02-13 2014-11-03 신광식 컷팅파일기용 다이얼침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2212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cut pile
KR19990087729A (ko) 패턴화된 파일 직물 및 그를 위한 파일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회전 직조 장치 및 제조방법
US3041859A (en) Knitting machine
KR200282323Y1 (ko) 파일사 절단 장치
US6094944A (en) Cutting apparatus in a pile forming textile machine
KR102370861B1 (ko) 환편기
US5133196A (en) Circular weft knitting machine
US3871194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US2203948A (en) Knitting machine
KR101471953B1 (ko) 이중 베벨 유형으로 된 겹으로 편물을 짜는 원형 편물기계
KR101115031B1 (ko) 환편기
KR200293690Y1 (ko) 파일사 편직기
KR100514455B1 (ko) 파일사 편직기
US31075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rying yarn
KR200404703Y1 (ko) 양말편직기의 실밥절단장치
EP0385154B1 (en) Mechanical take down device
CN113417061B (zh) 一种双面一体割绒面料的织造装置及织造方法
CN215328621U (zh) 一种沉降片
CN210561064U (zh) 一种基于刀针的双针床经编机构
CN220846500U (zh) 可增大容纱量的挤扁针钩
US1086570A (en) Knitting-machine.
CN220977311U (zh) 一种针织圆机的切割装置
CN114481433B (zh) 一种生克罩组件及织袜机
US1082239A (en) Knitting-machine.
CN215628653U (zh) 一种便于多种旋梭安装的通用旋梭安装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