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729A - 패턴화된 파일 직물 및 그를 위한 파일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회전 직조 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패턴화된 파일 직물 및 그를 위한 파일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회전 직조 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729A
KR19990087729A KR1019980707197A KR19980707197A KR19990087729A KR 19990087729 A KR19990087729 A KR 19990087729A KR 1019980707197 A KR1019980707197 A KR 1019980707197A KR 19980707197 A KR19980707197 A KR 19980707197A KR 19990087729 A KR19990087729 A KR 19990087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loop
ridge
forming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왈터 리차드 쉬미트
Original Assignee
페트리시아 덴 홀랜더
에드텍 서비시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트리시아 덴 홀랜더, 에드텍 서비시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페트리시아 덴 홀랜더
Publication of KR1999008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72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1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pile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Looms (AREA)

Abstract

절단 파일 루프 및 미절단 파일 루프를 가지는 패턴화된 파일 직물이 푀전 직조 장치에 의하여 제조되는데, 회전 직조 장치에는, 파일 요소(1)가 홀딩 후크에 의하여 분할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 파일 형성 릿지를 구비한 실린더(c)에 배치되어 있다. 직조 및 파일 형성 공정을 위하여, 파일 요소(1)는, 선택적인 차일 형성 릿지가 니이들(N) 사이에서 배치되는 두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개별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상부 파일 형성 릿지넘어로 인출되는 파일 루프는 추가적인 제거 동작에 의하여 후속 공급기에서 파일 요소로 부터 제거되며, 하부 파일 요소넘어로 형성되는 파일 루프는 파일 요소에 잔류하게 된다. 이들 파일 요소는 후속 직조 공정을 따라 파일 요소의 스탬을 따라 아래방향으로 미끄러져 간다. 하부 파일 형성 릿지에 연속하여 파일 요소의 스템에는 절단 엣지(1c)가 구비되는데, 이 절단 엣지(1c)는 절단 요소(2)의 절단 엣지(2c)와 협동하여, 이 연결부로 진입하는 모든 파일 루프를 절단 요소의 절단 동작에 의하여 절단한다.

Description

패턴화된 파일 직물 및 그를 위한 파일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회전 직조 장치 및 제조방법
루프 조직이 벨루어(velour)와 같이 개별적으로 교차되는 즉, 절단된 파일 구조로 되어 있는 파일 직물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방법에서는, 평직 루프 직물(plain loop fabric)을 직조한 후에, 후속하는 마무리 공정에 사용되는 쉬어링(shearing) 장치로서 부분적으로는 모든 파일 루프를 절단하는 것을 방지하는 패턴화 장치를 채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패턴화 장치가 필요하다는 제한이 있으며, 단일 쉬어링 작용 때문에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서로 다른 파일 길이를 가지는 파일 직물을 직조하고, 후속하여 하나 이상의 전단 작용에 의하여 긴 파일 루프를 벨루어 구조로 마감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짧은 파일 루프를 미절단 상태로 유지하면서 완벽한 벨루어 표면을 만들기 위해서는 마무리 공정 또는 쉬어링 공정에서 뿐만 아니라 직조 공정에서도 상당한 정도의 정밀한 정렬이 필요하다.
짧은 파일 루프와 긴 파일 루프를 모두 가지는 파일 직물을 직조하기 위해서는, 파일 요소, 바람직하게 싱커(sinker)는 두개의 서로 다른 파일 형성 릿지(ledges)를 구비하며, 이 파일 요소는 이들 릿지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니이들(needle)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제안은 독일 특허출원 제656,588호, 미국특허 제3,488,255호 또는 유럽공개공보 제629,727 A1호에 개시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길이로 파일 루프를 형성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4,020,653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후속 공급기에서 후속하는 직조 공정동안 파일 루프를 스트레칭(streching)하고, 직선화 시키고 계속 유지하는 것과 같은 균등화 작업이 배제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길이로 파일 루프를 형성하는 것은, 다양한 변화를 통하여, 벨루어 직물에서의 미절단 파일 루프와 같은 결함을 야기하는 파일 및 스티치(stitch)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현대적인 파일 직조 방법의 일부이다. 두 단계 파일 직물 직조시의 이러한 단점과 길게 직조된 루프만을 절단하기 위한 쉬어링 장치를 사용해야 한다는 제한은 필연적으로 직물지의 벨루어 부분에서는 인정할 수 밖에 없는 결함을 낳게 된다.
종래에는 직조 장치에서 파일 루프를 절단하기 위한 여러가지 제안이 유럽 특허공보 제82,838 A2호의 서두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유럽특허공보는 본 명세서에서 종래기술로 언급된 것이다. 이러한 제안을 이용하고, 가위같은 배열로 결합된 절단 요소와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파일을 이용하면, 낡은 파일과 절단 요소를 교체하기에 충분한 간격으로 파일 루프 절단 작업을 만족할 만한 신뢰도로 행할 수 있게 된다.
독일 OS 1 585 051 및 독일 OS 29 17 372에서 보고된 소정의 파일 루프 절단 방법은 실제 상황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들 제안에서는, 미절단 파일 루프와 절단 파일 루프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은, 사전에 정해진 파일 요소 및 대응되는 캠의 배열로 인하여 제한된다. 또한 독일 특허출원 제 1 585 051호에는, 다이알 게이지는 단지 실린더 게이지의 절반에 해당되므로 특별한 직물 구조로만 직조되어야 한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직조 공정은, 파일 루프가, 스티치 및 파일 형성 공정에 후속하여 신속히 제거되어야 한다는 단점에 있으며, 스티치 및 루프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미절단 루프를 위한 제거동작은, 절단 동작에서도 마찬가지지만, 이웃하는 니이들에 의하여 파일 루프가 형성되는 경우 이들 루프를 정확하게 제거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은 회전 직조 장치(circular knitting machine)와 파일 요소(pile element)를 채용하여, 파일 루프(pile loop)가 갈라지거나 절단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파일 구조를 가지는 패턴화된 파일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파일 절단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파일 형성 릿지 및 절단 릿지를 예시하고 있는 파일 요소의 부분 상세도이고,
도 3은 니이들 파일 및 절단 요소의 트랙의 상호관계를 보여주는 다이아그램이고,
도 4 내지 도 11은 도 3에서 IV 및 XI로 표시된 위치에서의 니이들, 파일 및 절단요소의 상호작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어떠한 제한 없이 개별적으로 사전 설정된 절단 파일 루프 및 미절단 파일 루프에 의하여 패턴화된 파일 직물을 직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미절단 파일 루프를, 절단되는 파일 루프의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로 유지하는 파일 루프를 직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에 있어서 만족할 만한 파일 및 루프 구조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독일 OS 1 585 051에 개시된 방법으로부터 출발하였는데, 본 발명은, 일련의 스티치에 미절단 파일 루프 뿐만 아니라 절단 파일 루프도 구비한 패턴화된 파일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파일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래치 니이들 사이에서 직각으로 배치된 파일 요소와 래치 니이들을 구비한 회전 직조 장치에서 행해지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일 요소는, 파일 요소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두개의 서로 다른 파일 형성 릿지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들 파일 형성 릿지는, 서로 다른 길이로 인출되며 어떤 것은 절단되어지고 어떤 것은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게 될 파일 루프를 형성하며, 파일 사는 이 두개의 파일 형성 릿지의 어느 하나로 공급된다. 또한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게 되는 파일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파일 형성 릿지는 파일 요소의 두부 측에서 끝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게 되는 파일 루프는, 후퇴하는 파일 요소에 의하여, 후속 파일 형성 작업에 앞서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 구역은 절단될 파일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파일 형성 릿지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데, 절단될 파일 루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티치 코오스(course)가 만들어진 후에야 절단 구역으로 진입하게 되고, 파일 형성에 있어서의 파일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선택 공정이, 후속하는 후퇴동작에 대하여 파일 요소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처음에는 유럽 특허공보 0 082 538 A2 에 기본적인 것이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였는데, 실제 절단 공정과는 서로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파일 루프 제조 공정이 사용된다. 이것에 의하여 선행하는 독일 특허출원 제195 18 490.4호에 따라 개선된 것과 같은 신뢰성 있는 절단 기술을 적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절단될 파일 루프가 직물에서 고정화(consolidated) 될 때 한번에 절단될 수 있게 된다.
파일 요소에 대한 선택적 제어가 파일 요소의 후속하는 후퇴 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므로, 파일 요소는, 절단될 파일 루프가 생성되는 파일 형성 과정동안 더 큰 범위로 작동될 수 있으며, 또한 파일 요소는, 후퇴 운동동안 즉, 파일 요소들이 더 작은 거리로 후퇴하여 파일 형성 릿지 상에서 파일 루프를 유지하게 되는 동안, 더 높은 위치를 갖게 된다. 한편,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을 파일 루프가 생성되는 짧은 범위로 작동되는 파일 요소는, 더 낮은 위치로 후퇴되며, 각각의 후퇴 운동에 있어서, 생성된 파일 루프는 다시 후속 공급기에서의 파일 형성 위치로 활용가능하게 된다. 파일 루프의 길이는 파일 요소의 기하적 형상에 의하여 사전에 선택될 수 있으며, 생성된 파일 루프에 따른 파일 요소의 각각의 후퇴위치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관련 파일 형성 릿지에서 절단될 파일 루프의 안전한 설치 및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을 파일 루프의 안전한 제거는, 파일 요소의 서로 다른 후퇴 위치에 의하여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을 파일 루프(Lu) 뿐만 아니라 절단되어질 파일 루프(Lc)도 파일 요소의 후퇴 운동의 일부로서 인출된다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정밀하게 사전 설정된 서로다른 후퇴 위치로 후퇴하는 운동은 파일 루프를 신장하는 공정 및 파일 루프를, 어떠한 경우든지 완전한 루프와 스티치 구조를 만들수 있는 스티치로 고정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장치에 관련된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은 독일 OS 1 585 051에 개시된, 하나의 스티치 코오스에 절단 파일 루프와 미절단 파일 루프를 가지고 있는 패턴화된 파일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회전 직조 장치로부터 출발한다. 직조 장치는 래치 니이들과, 파일 생성을 위하여 상기 래치 니이들 사이에서 직각으로 배열되어 있는 파일 요소와, 절단될 파일 루프와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을 파일 루프를 생성하기 위하여 파일 요소의 종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는 서로 다른 두개의 파일 형성 릿지를 가지는 파일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을 파일 루프를 생성하기 위한 파일 생성 릿지는 파일 요소의 헤드부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조 장치는 패턴에 따라 파일 요소를 서로 다르게 작동시키며 파일 요소를 후퇴시키기 위한 선택 메카니즘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것은 후퇴 운동을 위한 파일 요소를 선택하기 위하여 구비된 선택 메카니즘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이러한 것은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을 파일 루프를 위한 파일 형성 릿지의 반대편에 위치한 절단될 파일 요소를 위한 파일 형성 릿지상에 절단 구역이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파일 루프를 신뢰성 있게 스티치로 고정화 시키기 위해서는, 파일 루프의 신장 또는 스트레칭은, 각각 신장 릿지 또는 스트레칭 릿지 옆의 헤드측상의 단부를 이루는 두 파일 형성 릿지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특별한 방법 실시예에 있어서는,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을 파일 루프를 위한 파일 형성 릿지의 단부를 이루고 있는 스트레칭 릿지는 파일 요소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헤드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위치하는데, 그 경사각은 20。 내지 70。 내에 있어야 하며, 30。 내지 60。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련의 후퇴 운동에 있어서, 제거 공정을 위하여 파일 루프가 신장 릿지를 떠날 때, 바람직하기로는 안내 팁위로 미끄러질 때,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게 될 파일 루프의 신장공정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그 뿐만 아니라 가장 낮은 후퇴 위치 영역에서 그들의 후속 제거공정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독일 OS 1 585 051의 개시내용과 대비해 볼때, 만일 래치 니이들이 다이알에 배치되어 있고 파일 요소들이 실린더에 배열되며, 각각의 파일 요소의 내부 후위가, 마지막으로 생성될 스티치 코오스를 위한 유지수단을 형성하면서, 미절단될 파일 루프를 위한 파일 형성 릿지의 반대편에 위치한 구역에서 다이알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다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파일 요소는, 파일 요소의 돌출된 후부 바로 아래에서의 방해받지 않은 바탕 사(ground thread) 공급 및 래치 폐쇄 동작을 위한 충분한 채널을 형성하면서, 신뢰성 있는 바탕사 공급의 관점에서 가능한 가까이 다이알을 향하여 진출하게 된다. 하부 방향을 향하게 되어 있고 상부방향으로는 직물이 탈출 할 수 없도록 형성된 하부 릿지 때문에, 마지막으로 직조된 스티치들은 추가적인 요소 없이도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직조기용 파일 요소들은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본 발명에 따른 특별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파일 요소들은 파일 요소의 종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된 두개의 서로다른 파일 형성 릿지를 구비하고 그 두개의 파일 형성 릿지들은 각각 신장 또는 스트레칭에 의하여 헤드 측상의 각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독일 OS 1 585 051의 파일 요소와는 상이하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여, 절단될 파일 루프의 스트레칭과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을 파일 루프의 신장이 보장되며, 스티치의 확실한 고정화가 보장된다.
헤드측상의 파일 형성 릿지의 단부에 형성된 스트레칭 릿지가 파일 요소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헤드측 방향으로 20°내지 70°범위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30°내지 60°범위의 각도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로 인하여,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게 될 파일 루프의 제거 및 신장이 가장 낮은 후퇴 위치 영역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헤드 측상에서 파일 형성 릿지에 대향하여 파일 요소의 후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는 사실로 인하여, 마지막으로 직조되는 일련의 스티치를 위한 유지 수단이 추가적인 경비 없이도 실현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직조되는 일련의 스티치, 및 절단될 것이나 아직 절단되지 않은 파일 루프를 포함하는 직물에 대한 정밀한 제어에 의하여, 파일 요소의 돌출된 후부가, 다이알로부터 처져 있고 하부 단부에서 스로우트(throat)를 형성하는 파일 요소의 종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는 유지 및 하강 릿지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직조 장치에서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함에 있어서, 적어도 파일 요소의 일부분은, 하나의 바탕 사 및 각각의 파일 사를 포함하는 스티치 및 파일 루프 형성 공정 이전에, 니이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그들의 파일 릿지 중 하나와 함께 작동된다. 후속 니이들의 운동과 동시에 파일 루프는 파일 요소에 의하여 제어된다. 파일 요소 각각의 파일 형성 릿지는, 후퇴 운동에 의하여 니이들 래치로부터 스티치들이 제거된 후에, 파일 루프를 스트레치 시킨다. 이들 파일 요소의 추가적인 후퇴는 이미 형성되어 있는 미절단될 파일 루프들을 파일 요소에 의하여 제거시키도록 한다. 미절단 파일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미리 작동되어진 파일 요소들은, 이전에 형성되어지고 후속하는 절단 공정에서 절단되어지도록 선택된 파일 루프들을 오버스트레칭하거나 망가뜨리지 않고, 추가적인 운동에 의하여 파일 형성 릿지로부터 마지막 파일 루프를 제거하게 된다. 파일 루프의 스트레칭 및 제거공정에 후속하여, 니이들이 공급위치로 활성화되며, 파일 요소들은 절단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파일 요소는, 파일 스트레칭 작업동안 파일 루프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 후크 아래의 파일 형성 릿지의 연속된 부분인 날카로운 절단 엣지를 구비한다. 파일 루프를 절단하기 위하여 절단 요소의 절단 엣지는 파일 요소와 항상 접촉하고 있는 파일 요소의 절단 엣지의 반대 쪽에 위치한다. 절단 작업과 동시에, 후속 코오스를 위한 선택작업이 수행되고 그후에 파일 요소가, 필요한 패턴에 따라서 파일을 형성하기 위한 사전설정된 위치로 다시 작동된다.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특징은 다음에 개시되는 내용과 첨부도면 및 청구범위의 내용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서 간단한 단면도로 도시된 절단 파일 장치는 유럽 특허공보 제82,538 A2호(미국특허 제4,592,212호 및 일본 특허출원 1-457,562호에 대응됨)에 개시된 제안에 의하여 알려진 것으로서, 여기서는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개시를 위하여 참고용으로 사용되었다. 바탕 직물(ground fabric)은 다이알(D)에 설치된 래치 니이들(N)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직조되는데, 이 왕복운동은 공지의 다이알 캠 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된다. 직조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인 사항은 필요치 않다. 사전 결정된 직물 조직에 따라, 한가지 형태의 니이들(평직 직물(plain fabric)의 경우) 또는 한가지 형태 이상의 니이들(구조화된 바탕 직물의 경우)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직 바탕 직물이 균일한 니이들에 의하여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이알(D)의 직조 릿지(Dk)에서 직조된다.
파일 얀(yarn)(P)는 스티치 형성 작동과 동시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일 요소(1)의 파일 형성 릿지(1v 또는 1u)들을 넘어 파일 루프로 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C)에 배치된 파일 요소(1)들은 잭(3)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제어되는데, 이 잭(3)은 두개의 레버 아암(lever arm)으로 설계되어 있고 각각의 레버 아암에는 상부 및 하부 버트(butt)(3a, 3b)가 구비되어 있다. 잭(3)은 파일 요소(1)의 오목부에 설치되며 기계적 수단 또는 전기적 수단에 의하여 작동되는 셀렉터에 의하여 회전된다. 이러한 배치 또는 그외의 적당한 배치에 의하여, 파일 요소(1)는 그 후퇴운동에 있어서 적어도 강제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야 한다. 잭(3)은 그 분할 위치(도 1에서 실선으로 도시됨)에서 실린더(C)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부 버트(3a)와 실린더 슬롯으로 물러나 있는 하부 버트(3b)에 의하여 회전되는데 선택적으로 상부 및 하부 버트(3a, 3b) 중의 어느 하나는 잭(3)의 위치에 따라 대응되는 캠에 의해 작동한다. 도 1에 있어서, 버트(3a)에 작동하는 캠(도시되지 않음)은, 도 1의 정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요소(1)을 상부 파일 형성 릿지(1u)와 함께 니이들 사이로 상승시키며, 대응되는 캠(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작동되는 돌출된 하부 버트(3b)는 그들 각각의 파일 요소(1)를, 하부 파일 형성 릿지(1v)와 함께, 니이들 뒤의 파일 요소(1) 보여지는 것 처럼(그리고 점선으로 도시된 버트(1b, 3b)로 도시된 것처럼), 니이들 사이로 상승시킨다.
상기한 설명에 대응하는 패터닝 제어는 예를 들어 독일 OS 23 64 138 또는 독일 OS 24 47 427에 의하여 공지된 것이다.
파일 요소(1)는 절단 위치에서의 이동등을 포함하는 균일 위치선정을 위하여 버트(1b)에 의하여 제어된다.
도 2에 있어서, 각각의 파일 요소(1)는 상부 파일 형성 릿지(1u)와 하부 파일 형성 릿지(1v)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릿지(1u, 1v)는 하부 인장 릿지(1t)와 상부 분할 릿지(1d)를 구비한 분할 후크(1h)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다. 상부 파일 형성 릿지(1u)는, 하향 경사진 유지 릿지(1l)를 가진 절곡 닙(1n)상에서 확장 릿지(1s)로 연장되어 있다. 파일 형성 릿지(1v)의 연장부분에는 파일 요소(1)의 스템이 절단 엣지(1c)로 성형되어 있는데, 이 절단 엣지(1c)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요소(2)의 절곡된 절단 엣지(2c)와 함께 협동하여 작동한다.
절단 엣지(2c)가 파일 요소(1)의 절단 엣지(1c)와 협동하여 작동하게 되는 바람직한 절단 상태는 이미 언급된 독일 특허출원 제195 18 490.4호의 도면 제2도 및 제3도에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상세한 요소에 대하여 반복하여 언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이 선행 특허출원을 선행기술로서 언급한다. 절단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절단 요소(2)가 가압되어 접촉하는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파일 요소(1)와 측면 접촉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절단 엣지들(1c, 2c)은 그들의 요소(1,2)의 접촉 측면상에 마주하여 배치되며, 절단 엣지(2c)는 절단 엣지(1c)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하여 절단 각을 형성하도록 기울어져 있다. 또한 두 엣지들(1c, 2c)는, 파일 루프들이 후속하는 직조 작용에 의하여 그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되는 개방구멍과 개방 각을 형성하도록 각각 자신들로 부터 상부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절단 작업시 상기 엣지들이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것은 적어도 절단 요소의 닙(2n)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절단 작업을 위하여 필요한 파일 요소(1) 방향으로의 절단 요소(2)의 측면 압력에 의하여 절단 요소(2)의 탄력적인 휨 접촉이 발생하며, 그에 따라, 접촉점을 지나 장치를 향하여 파일 요소(1)를 겹치게 하는 파일 요소(2)의 부분은 파일 요소(1)로부터 측방향으로 휘어진다. 이 휘어짐은 절단 작업동안 절단 엣지(1c)에 대하여 절단 엣지(2c)가 기울어져 있는 배치 때문에 상부 방향으로 아래로부터 배치되어 있는 두 절단 엣지 사이의 상호 접점에서 의도하지 않게 발생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절단 엣지(1c)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파일 루프를 완전하게 가위처럼 절단하는 것은 절단 엣지(2c)에 의하여 V자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개방구가 폐쇄되므로써 이루어진다.
도 3은 파일 요소 및 절단 요소 뿐만 아니라 니이들의 필요 운동을 완전한 평직 파일 코오스(course)를 직조하기 위한 각각의 관계로 도시한 것이다. 니이들(N)은 트랙(NT)을 따라 지나간다. 절단 요소의 트랙은 2T로 표시되어 있으며, 파일 요소들은 사전 설정된 루프 형성에 따라 선택적인 트랙(1T, Pv(또는 Pu, Pw), Pc 및 Ps)를 따라 지나간다. 직조 사이클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행되며, 필수적인 구간은 도 4 내지 도 11에서 IV 내지 XI로 표시하였다.
도 4에 있어서, 절단 요소(2)는 최내측 위치로 이동한다. 절단 엣지(2c)는 절단 엣지(1c) 사이로 미리 미끄러져 들어간 파일 루프를 가위같이 완전하게 절단하기 위하여 절단 엣지(1c)를 지나 내부방향으로 이동한다. 그와 동시에, 절단 요소(2)의 움직임에 대하여 니이들(N)이 바탕 얀(G)을 니이들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위치로 물러난다. 또한 패턴 메카니즘은 잭(3)을 재배치하여, 대응되는 파일 요소(1)의 선택된 부분이 도 3에 도시된 트랙(Pv)를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트(3b)에 의하여 완전하게 상승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절단 요소의 후퇴 운종이 종료되기 전에, 파일 형성 릿지(1v)를 니이들 사이로 상승한다.
이러한 배치는 도 3에 V로 도시되여 있으며, 도 5에도 도시되어 있다. 바탕 얀(G)은 상승되어 선택된 파일 요소(1)의 뒷쪽에 배치되는데, 다른 파일 요소는 공회전 위치에 남아있게 된다. 상승된 파일 요소(1)의 전면에 파일 얀(P)을 공급한 후에 니이들(N)은 내부방향으로 후퇴하기 시작한다. 그와 동시에, 버트(3a)에서 작동하는 캠(도 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얀(P)을 파일 형성 릿지(1u)와 결합될 수 있도록, (만일 패턴 메카니즘의 추가적인 분할 작동이 제공되는 경우) 모든 또는 선택된 파일 요소(1)를 도 3에 도시된 트랙(Pu)에 의하여 표시되는 중간 위치로 상승시킨다.
도 7에 있어서, 모든 니이들(N)들은 최종적으로 캐스트-오프 위치로 후퇴되고, 그에 따라 평직의 스티치 코오스가 직조된다. 바탕 얀(G)은 다이알의 경사진 직조 릿지(Dk)에 의하여 니이들 후크의 내부에 위치되며, 다이알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파일 얀(P)은 니이들 후크의 최상 원호점에 위치하여 바탕 얀이 파일 얀에 대하여 정상적인 플래팅(plating) 관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형성 릿지(1u, 1v)들이 다이알(D)로부터 서로 떨어진 위치에 배열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길이의 파일 루프를 만들게 된다. 미절단상태로 남아있도록 결정된 파일 루프(Lu)는 절단될 루프에 대한 후속 균등화 전단 공정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절단될 루프보다 더 짧아야 한다. 서로 다른 파일 루프에 있어서 예를 들면 약 0.3mm 이상의 길이 차이에 의하여 추가적인 패터닝 효과가 발휘된다.
도 6 및 선택된 파일 요소(1)를 미절단 파일 루프를 위한 중간 위치로 활성화 시키는 캠에 관하여 살펴보면, 절단된 파일 루프와 미절단된 파일 루프를 프레이팅된(루프가 없는) 바탕 직물과 함께 교차시키므로써 생기는 패턴 효과는, 각 공급기당 두번의 분할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단지 한번의 분할 작동만 있는 경우, 선택된 파일 루프를 가진 패턴을 플레이팅된 바탕 직물과 결합된 절단될 파일 루프(또는 미절단 파일 루프)로 간단히 변화시키는 것은 각 캠을 리세트시키므로써 가능하다. 플레이팅된 바탕 직물 부분은 파일 요소가 도 3의 트랙(Pw)를 따라 작동될 때 만들어 진다.
스티치 및 파일 형성 공정에 후속하여, 니이들(N)은 다이알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상승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파일 요소들은 각각의 니이들(N)사이에 동시에 배열된다. 상승되는 니이들 상에서 스티치들의 마찰 접촉에 의하여 직물도 다이알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바탕 얀(G)으로부터 직조된, 직물 싱크 루프가 파일 요소(1)상의 하향으로 경사진 하부 릿지(1l)와 접촉하게 되므로, 직물이 니이들과 함께 더 이동되는 것은 하부 릿지(1l)에 의하여 방지되며, 이 하부 릿지(1l)는 하향 운동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직물의 위치는 파일 형성 릿지 상에서의 파일 루프의 접촉을 느슨하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분할 후크(1h)의 분할 릿지(1d)는 파일 루프(Lu)를 파일 루프(Lc)로부터의 후속 제거 분리로 제어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져야 하며, 이 파일 루프(Lc)는 파일 형성 릿지(1v)에 의하여 인출되며 그들이 절단 엣지(1c)상에 위치할 때까지 미절단 상태로 파일 요소(1)의 파일 형성 릿지에 남아 있어야 한다.
파일 요소(1)는 니이들(N)이 완전히 상승하고 스티치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이들의 래치로 부터 제거될 때까지 이 위치에 남아 있는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바와 같이, 파일 얀으로 부터의 스티치 부분은 처리과정중에 니이들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더 확대되는데, 그 확대 범위는 부주의에 의하여 직물내의 결함이 발생하게 되는 범위이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이들(N)은 초기에 가볍게 청소된 후에 단지 후퇴되며, 스티치은 다이알 및 대응 파일 형성 릿지상의 파일 루프에 마찰적으로 위치한다.
그후에는, 파일 요소(1)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하며, 파일 형성 릿지(1u)에 의하여 인출된 파일 루프(Lu)는, 파일 형성 릿지(1v) 넘어로 형성될 때는 각각 인장 릿지(1t)에 의하여 결합되며, 파일 얀(P)으로부터의 결합된 확장된 스티치 부분이 후퇴되고 니이들의 스템주위로 팽팽해지도록, 스트레칭 릿지(1s)에 의하여 맞물려진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형성 릿지(1v, 1u)에 의하여 형성된 파일 루프(Lu, Lc)는 릿지(1t, 1s)에 의하여 쉽게 인장된다. 또한 파일 루프는 동일한 작동하에서 미절단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들의 파일 요소로부터 제거된다.
파일 요소(1)의 일반적인 후퇴운동은, 이미 직조된 파일 루프(Lc)의 과도한 인장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한되며, 그에 따라 파일 요소로부터 파일 루프(Lu)의 완전한 제거작업이 완화된다. 추측이 필요한 이러한 신뢰성있는 획득(?)은, 함께 작동되는 패턴 잭(3)의 하나의 버트(3a 또는 3b)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선택적인 후퇴운동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선행하는 파일 제조 공정의 선택 제어는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직조 공정에서 미절단 파일 루프(Lu)를 만들기 위한 중간위치로 활성화되는 파일 요소(도 7)는 도 3에 도시된 트랙(Pc)을 따라 후퇴하는데, 이 파일 요소는 트랙(Ps)을 따라 이동하는 다른 파일 요소들 보다 더 낮은 위치로 후퇴한다. 미절단 파일 루프(Lu)를 제거하기 위한 파일 요소(1)의 후퇴운동은, 후속 절단공정에서 절단되어질 선행의 스티치 코오스의 파일 루프(Lc)에 의하여 제한된다.
릿지(1u)에 의하여 형성된 파일 루프(Lu)를 제거한 후에 니이들(N)은 공급위치를 향하여 내측으로 후퇴하고 선행의 스티치 코오스는 또다시 다이알의 직조 릿지(Dk)위에 위치한다. 이것은 기계식 또는 유압식 수단에 의하여 지지되어, 절단 요소(2)가 그 내부방향으로의 운동을 수행하게 되는 절단 위치로 파일 요소(1)가 상승될때, 절단된 파일 루프(Lu)를 닙(1n)의 후방 및 파일 요소(1)의 후방으로 안전하게 위치시킨다. 이러한 움직임을 통하여, 본 발명의 공정이 완수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반복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선택 메카니즘의 특징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와는 달리, 파일 루프(Lu)를 제거한 후(도 11 참조), 파일 요소(1)가 그 한계까지 즉시 상승되고, 절단 작업에 후속하여, 사전설정된 파일 요소(1)가 도 3에 도시된 트랙(Pu)를 따라 중간위치로 후퇴하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공회전 위치로 후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앞서 살펴본 실시예의 과정과 비교할 만한 직조 상태를 만들게 되는데, 이는 단지 잭(3)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파일 요소(1)의 강압적 후퇴운동만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가지 변형과 변화가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요소(1)가, 그 종방향 운동시 잭(3)에 의하여 정밀하게 제어되는 경우, 선택되고 완전히 상승된 파일 요소를 직조 작업과 동시에 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그에 의하여 절단되어질 파일 루프(Lc)의 파일 길이는 미절단 파일 루프(Lu)의 파일 길이에 맞추어진다.
상기한 파일 요소(1)의 운동에 있어서, 파일 얀은 릿지(1t)에 의하여 니이들 후크의 내부에 위치하며 파일 얀의 역방향 플래팅을 수행한다, 이것은 미절단 파일 루프(Lu)가 인출될 때, 미절단 루프(Lu)를 그들의 릿지(1s)와 함께 닙(1n)의 적당한 위치에 있게 하므로써 실현된다.
상기한 설명 이외에도 바탕 직물 제조은 다양한 기지의 방법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가장 실제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균등하고 다양한 변화가 가능한 것이다.

Claims (21)

  1. 래치 니이들(N)과, 파일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래치 니이들 사이에서 직각으로 배열되어 있는 파일 요소(1)들과, 상기 파일 요소(1)의 절단엣지(1c)와 협력하는 절단 요소(2)를 구비한 회전 직조 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스티치 코오스 내에 절단 파일 루프와 미절단 파일 루프를 모두 가지고 있는 패턴화된 파일 직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일 요소(1)는, 파일 요소의 종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고 하나는 절단될 파일 루프(Lc)를 형성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을 파일 루프(Lu)를 형성하는 것인 두개의 파일 형성 릿지(1u, 1v)를 구비하고 있으먀, 파일 사(P)는 상기 두개의 파일 형성 릿지(1u, 1v)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며,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을 파일 루프(Lu)를 형성하기 위한 파일 형성 릿지(1u)는 상기 파일 요소(1)의 헤드측 단부를 이루고 있고,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을 파일 루프(Lu)들은 후속하는 파일 형성 단계 이전에, 후퇴된 상기 파일 요소(1)에 의하여 제거되며,
    상기 파일 요소(1)를 파일 형성 위치로 제어가능하게 활성화시키기 위한 선택 위치는, 루프가 니이들 래치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후속하는 후퇴에 대하여 파일 요소(1)를 제어하기 위하여 유지되며,
    상기 절단 엣지(1c)는 상기 래치 니이들(N) 아래의 공간에 배치되며, 절단될 파일 루프(Lc)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티치가 직조된 후에야 상기 절단 릿지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 두개의 다른 위치에서 관련 파일 요소(1)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선택된 패턴 잭(3)을, 파일 형성 공정을 위한 두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하고, 패턴 잭(3)은, 제거위치로의 니이들(N) 상승과 동시에 이러한 배치를 유지하고,
    b) 니이들(N)의 상승과 함께 직물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직물을 받아 내리는 것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릿지(1l)에서, 이미 직조된 코오스의 싱커 루프에서 직물과 맞물리도록, 파일 요소를 그들의 하향 경사진 하부 릿지(1l)와 함께 니이들(N) 사이로 위치시키고,
    c) 각각 떨어져 있는 패턴 잭(3)들의 위치에 따라, 니이들(N)의 래치로부터 스티치를 제거한 후에, 파일 요소(1)를 신장 위치로 후퇴시키고,
    d) 미절단 파일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미리 상승된 파일 요소(1)를, 파일 루프(Lu)를 스트레칭 시킨 후에 상기 파일 루프(Lu)를 파일 요소(1)로부터 닙(1n)을 넘어 제거할 수 있는 범위까지, 후퇴시키고,
    e) 후속하여, 패턴 잭(3)의 리세트 및 재선택이 수행되고 니이들(N)이 후속 직조 공정을 위하여 공급위치로 후퇴함과 동시에 상기 절단 요소(2)가 절단 작동을 수행할 때, 공동작동하는 파일 요소(1)와 절단 요소(2)의 절단 엣지(1c, 2c)위로 선행 코오스의 파일 루프(Lc)를 배치시키게 되는 절단 위치까지 파일 요소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파일 요소(1)이 파일 형성에서 배제되도록, 파일 형성 공정이 수행될 때 선택된 파일 요소(1)는 절단 위치에 남아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을 파일 루프(Lu)와 절단되도록 선택된 파일 루프(Lc)는 서로 다른 길이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을 파일 루프(Lu)는, 절단되도록 선택된 파일 루프(Lc) 보다 더 짧은 길이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파일 얀(P)을 바탕 사(G)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확한 플래팅 관계에 있도록 위치시킬 수 있도록, 나이들의 파일 및 스티치 형성 작동에서, 파일 요소(1)를 그들의 파일 형성 릿지(1u, 1v)와 함께 선택된 위치에 남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요소(1)는, 바탕 사(G)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역방향 플래팅 관계가 되도록 파일 얀(P)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파일 및 스티치 형성 공정과 동시에 선택된 위치에 따라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절단되어질 파일 루프(Lc)를 형성하기 위한 파일 형성 릿지(1v)와 파일 얀(P)를 맞물리도록 선택된 상기 파일 요소(1)는, 스티치 및 파일 형성 공정과 동시에, 파일 루프(Lc)가 분할 후크(1h)의 신장 릿지(1t)에 의하여 인출되는 범위로 후퇴하며, 그에 따라 절단되어질 파일 루프(Lc)의 길이 및 미절단상태로 남아있을 파일 루프(Lu)와 절단되어질 파일 루프(Lc) 사이의 길이 차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하나의 스티치 코오스 내에 절단 파일 루프와 미절단 파일 루프를 모두 가지고 있는 패턴화된 파일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회전 직조 장치로서, 이 회전 직조 장치는.
    왕복운동 가능한 바탕 직물 직조용 래치 니이들(N)을 지지하는 다이알; 왕복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니이들(N) 사이에서 직각으로 배치되는 파일 요소(1)가 장착되는 실린더; 상기 파일 요소(1)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선택에 따라 상기 파일 요소(1)의 후퇴를 제어하는 관련 패턴 잭(3); 니이들(N)에 상대적으로 충분한 공간을 두고 위치하며, 파일 요소(1)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하며, 절단되어질 파일 루프(Lc)를 형성하기 위한 파일 형성 릿지(1v) 아래에서 상기 파일 요소(1)의 프랭크를 향하여 탄력있게 가압되는 절단 요소(2)를 지지하기 위한 싱커 링; 각각 니이들의 버트, 파일 요소(1), 절단 요소(2b) 및 패턴 잭(3a, 3b)과 공동작동하는 캠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회전 직조 장치에서는,
    상기 파일 요소(1)가, 파일 요소(1)의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 절단되어질 파일 루프(Lc) 및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을 파일 루프(Lu)를 형성하기 위한 서로 다른 두개의 파일 형성 릿지(1u, 1v)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미절단될 파일 루프(Lu)를 형성하기 위한 파일 형성 릿지(1u)는 상기 파일 요소(1)의 헤드측 단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캠 장치는 후퇴 운동을 위하여 파일 요소(1)를 선택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이며,
    상기 절단되어질 파일 루프(Lc)를 형성하기 위한 파일 형성 릿지(1v)는 그 하부측에서 절단 엣지(1c)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직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파일 형성 릿지(1u, 1v) 각각의 헤드 측 단부는 각각 스트레칭 릿지 또는 신장 릿지(1s, 1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직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파일 형성 릿지(1u)는 파일 요소(1)의 닙(1n)의 정면에서 상기 스트레칭 릿지(1s)와 함께 파일 요소(1)의 피크로 연장되며, 상기 닙(1n)은 다이알을 마주하도록 외부로 하향 경사진 하부 릿지(1l)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직조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절단 파일 루프(Lu)를 형성하기 위한 파일 형성 릿지(1u)는, 절단될 파일 루프(Lc)를 형성하기 위한 파일 형성 릿지(1v) 보다도 더 다이알(D)에 가까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직조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a) 파일 형성 공정을 위하여 관련 파일 요소(1)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시키는 버트(3a, 3b) 중 어느 하나에 작동하는 상승 캠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패턴 잭이 상승한 이후에, 상기 패턴 잭은, 니이들(N)을 제거위치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이 위치에 남아 있게 되며;
    b) 버트(1b)에 작용하는 캠에 의하여 모든 파일 요소(1)들이 니이들 사이로 배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파일 요소(2)의 하향 경사진 하부 릿지(1l)는 이미 직조된 코오스의 싱커 루프와 맞물리게 되어 니이들과 함께 직물이 움직이는 것을 막게되며 추가적으로 내려지는 것을 지지하게 되며;
    c) 니이들(N)의 래치로부터 스티치가 제거되는 즉시 그 선택된 위치에 따라 파일 요소(1)는, 관련 패턴 잭(3)의 버트(3a 또는 3b)에 작용하는 조절가능한 갬으로 부터 스트레칭 위치로 후퇴하며;
    d) 미절단 파일 루프(Lu)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부위치에서 선행하는 파일 형성 공정시 상승되어지는 패턴 잭(3)의 버트에 작용하는 캠은, 패턴 잭(3) 및 함께작동하는 파일 요소(1)를, 미절단 상태로 남아 있도록 결정된 파일 루프(Lu)가 후속하여 파일 요소(1)로부터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는 범위 까지 후퇴시키며,
    e) 파일 요소91)의 절단 엣지(1c)가, 니이들(N) 아래에 충분한 공간을 두고 위치한 절단 요소(2)의 절단 엣지(2c)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절단 위치로, 캠에 의하여 작동되는 버트(1b)상의 파일 요소(1)가 상승되며, 선행 직조죈 코오스의 절단되어질 파일 루프(Lc)는 파일 요소(1)의 절단 엣지(1c)에 위치되지 않으며, 절단 요소(2)의 절단 동작에 의하여 그리고 버트(2b)에 작동하는 캠에 의한 제어에 의하여 파일 루프(Lc)는 배타적으로 절단되어지며;
    f) 절단 동작과 동시에 패턴 잭(3)의 리세트 및 재선택 동작이 일어나며, 또한 니이들(N)은, 후속 공정에서의 직조를 위하여 제거위치로부터 공급위치로 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직조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패턴 잭(3)의 버트(3a, 3b) 중의 하나에 작동하는 캠은, 스티치 및 파일 형성 공정 동안에, 관련 파일 요소(1)를 일정한 위치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직조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스티치 및 파일 형성 공정과 동시에, 패턴 잭(3)의 버트(3a, 3b) 중의 하나에 작동하는 캠은, 관련 파일 요소(1)를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직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스티치 및 파일 형성 공정과 동시에, 파일 형성 릿지(1v)상에서 파일 얀(P)와 맞물리도록 선택된 파일 요소를 후퇴시키도록, 버트(3a, 3b)중 하나에 작동하는 캠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직조 장치.
  17. 파일 요소(1)의 종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열된 두 개의 파일 형성 릿지(1u, 1v)를 구비하고 있는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전 직조 장치용 파일 요소(1)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파일 형성 릿지(1u, 1v) 각각의 헤드 측 단부는 각각 스트레칭 릿지 또는 신장 릿지(1s, 1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요소.
  18. 제17항에 있어서,
    하부 파일 형성 릿지(1v)는 분할 후크(1h)에 의하여 상부 파일 형성 릿지(1u)와 분리되어 있는데, 분할 후크(1h)는 하부 파일 형성 릿지(1v) 넘어로 인출되는 파일 루프(Lc)를 신장하기 위하여 그 하부측에는 스트레칭 릿지(1t)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분할 후크(1h)는 제거공정 전에 상부 파일 형성 릿지(1u)에서 인출되는 파일 루프(Lu)를 제어하기 위하여 그 상부측에 분할 릿지(1d)를 구비하고 있으며;
    절단 엣지(1c)는 상기 하부 파일 형성 릿지(1v)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파일 요소(1)의 스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요소.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파일 형성 릿지(1u)는 파일 요소(1)의 닙(1n)의 정면에서 상기 스트레칭 릿지(1s)와 함께 파일 요소(1)의 피크로 연장되며, 상기 닙(1n)은 그 반대측상에서, 상기 파일 요소(1)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하부 릿지(1l)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요소.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닙(1n)의 스트레칭 릿지(1s)는 상기 파일 요소(1)의 종방향 축에 대하여 경사각 20°내지 70°, 바람직하게는 30°내지 60°의 경사각으로 헤드 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요소.
  21. 제17항에 있어서,
    미절단 파일 루프(Lu)를 위한 파일 형성 릿지(1u)와 절단되어질 파일 루프(Lc)를 위한 파일 형성 릿지(1v)는 상기 파일 요소(1)의 횡방향이 되는 파일 요소(1)의 폭 방향으로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요소.
KR1019980707197A 1996-03-12 1997-03-11 패턴화된 파일 직물 및 그를 위한 파일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회전 직조 장치 및 제조방법 KR199900877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9653A DE19609653A1 (de) 1996-03-12 1996-03-12 Verfahren und Rund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einer gemusterten Plüschware sowie Plüschelement hierfür
DE19609653.7 1996-03-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729A true KR19990087729A (ko) 1999-12-27

Family

ID=778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197A KR19990087729A (ko) 1996-03-12 1997-03-11 패턴화된 파일 직물 및 그를 위한 파일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회전 직조 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28930A (ko)
EP (1) EP0886689A1 (ko)
JP (1) JP2000506234A (ko)
KR (1) KR19990087729A (ko)
CN (1) CN1072740C (ko)
BR (1) BR9708018A (ko)
DE (1) DE19609653A1 (ko)
ID (1) ID16221A (ko)
TW (1) TW336959B (ko)
WO (1) WO1997034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2861C2 (de) * 1998-05-22 2001-05-17 Sipra Patent Beteiligung Platine für eine Rundstrickmaschine und dafür geeignete Auswähleinrichtung
DE10015629A1 (de) * 2000-03-29 2001-10-11 Achter Viktor Gmbh & Co Kg Rundstrickmaschine für mehrfarbigen Plüsch
DE10207879A1 (de) * 2002-02-18 2003-08-28 Sipra Patent Beteiligung Rund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Plüschwaren
ATE513941T1 (de) 2005-11-01 2011-07-1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von plüschware
US7117692B1 (en) * 2005-11-15 2006-10-10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Yarn guide of a knitting machine
US7127920B1 (en) 2005-11-17 2006-10-31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Knitt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plush fabrics
US7634922B2 (en) * 2005-11-21 2009-12-22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Knitting needle for knitting sueded fabrics and methods of knitting sueded fabrics
DE102005062403B3 (de) * 2005-12-23 2007-08-23 Groz-Beckert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Abstandsgestricks
US7481079B1 (en) * 2007-10-03 2009-01-27 Milliken & Company Circular knit fabric and method
US8195965B2 (en) * 2008-11-04 2012-06-05 Microsemi Corp. - Analog Mixed Signal Group Ltd. Compensation for high powered midspan power sourcing equipment
US7757515B1 (en) * 2009-03-11 2010-07-20 Hbi Branded Apparel Enterprises, Llc Cut pile fabric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1929026B (zh) * 2010-07-02 2012-09-05 江苏金辰针纺织有限公司 一种防掉绒天鹅绒针织面料的织造方法
JP5987180B2 (ja) * 2012-02-15 2016-09-07 岡本株式会社 パイル長を変化できる編機及びパイル長を変化させた編地の製造方法
DE102013215708B4 (de) * 2013-08-08 2016-07-07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Vollkopf-Wirknadel und Wirknadelanordnung
TWI554662B (zh) * 2014-04-09 2016-10-21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Cutting machin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US9890486B2 (en) * 2014-05-19 2018-02-13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Loop cutt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WI619861B (zh) * 2015-06-26 2018-04-01 Improved structure of knitted pil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50315728A1 (en) * 2015-07-13 2015-11-05 Sung-Yun Yang Process of manufacturing fabrics having jacquard and terry patterns
CN111719223A (zh) * 2019-03-20 2020-09-29 佰龙机械厂股份有限公司 以圆编机针织具有割圈绒双面布的方法
US11136698B2 (en) * 2019-07-19 2021-10-0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Weft knitting machine knitting structure with changeable yarn positions
CN113699670B (zh) * 2021-08-17 2023-03-17 福建泉州凹凸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生产超长丝绒毛面料的圆机及方法
US11781253B1 (en) * 2022-06-06 2023-10-10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Circular knitting machin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7823645V0 (it) * 1978-12-27 1978-12-27 Irmac Spa Platina speciale per la formazione di maglia a spugna su macchine circolari mono-cilindriche di maglieria.
US4592212A (en) * 1981-12-22 1986-06-03 Schmidt Walter R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cut pile
FR2706491B1 (fr) * 1993-06-17 1995-07-28 Chomarat Textiles Plastiques Procédé et installation pour la réalisation d'un tricot velours jacquard sur un métier circulaire et nouveau type de tricot ainsi réalisé.
DE9400519U1 (de) * 1994-01-13 1994-03-03 Yeh Tzu Pin Florschneide- und Zylinderanordnung für eine Rundstrickmaschine
DE19505646A1 (de) * 1995-02-18 1996-08-22 Sipra Patent Beteiligung Verfahren, Strickmaschine und Platine zur Herstellung von Plüschwa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7757A (zh) 1999-05-26
EP0886689A1 (en) 1998-12-30
TW336959B (en) 1998-07-21
DE19609653A1 (de) 1997-09-18
BR9708018A (pt) 1999-07-27
WO1997034036A1 (en) 1997-09-18
JP2000506234A (ja) 2000-05-23
ID16221A (id) 1997-09-11
US6128930A (en) 2000-10-10
CN1072740C (zh) 200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7729A (ko) 패턴화된 파일 직물 및 그를 위한 파일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회전 직조 장치 및 제조방법
US4592212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cut pile
KR100948216B1 (ko) 플러쉬 직물을 제조하는 환편기
KR20000070011A (ko) 개선된 파일 직물, 이 파일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파일
US6125662A (en) High-low plush knitwea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it
KR19990023497A (ko) 루프형성 가동 플레이트를 구비한 횡편기
JPH0347344B2 (ko)
KR970005845B1 (ko) 플레이팅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싱커
US4307586A (e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knitgoods with a pile or loop-pile surface
US2711090A (en) Plate and wrap yarn control means and method
US2057436A (en) Reverse plating knitting machine
US6705129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multicolored plush
EP0402034A1 (en) Double-knit circular knitting machine
JPWO2018186499A1 (ja) 横編機でのプレーティング編成方法
KR940009399A (ko) 자카아드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싱커
JP3240325B2 (ja) プラッシュ生地の製造方法および編み機
JPH0345758A (ja) 模様編みを行うニードル制御装置をもつ編機
US6612135B1 (en) Process for knitting a weft-knitted fabric so that cut pile is formed on the backside stitches, a knitting machine operating according to the process and a knitted fabric obtainable with such process and machine
US4389860A (en) Warp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jacquard-patterned pile-knit fabrics
US371567A (en) Knitting-machine
US4068497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US2528067A (en) Wrap stripe and plating mechanism and method
US2001653A (en) Reverse plating
US2270719A (en)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pile fabrics
US3919862A (en) Separating tubular knitted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