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845B1 - 플레이팅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싱커 - Google Patents

플레이팅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싱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845B1
KR970005845B1 KR1019900002112A KR900002112A KR970005845B1 KR 970005845 B1 KR970005845 B1 KR 970005845B1 KR 1019900002112 A KR1019900002112 A KR 1019900002112A KR 900002112 A KR900002112 A KR 900002112A KR 970005845 B1 KR970005845 B1 KR 970005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er
pile
needle
yarn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664A (ko
Inventor
신지 가와세
쇼오조오 요리스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꾸하라세이끼 세이사꾸쇼
신지 가와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꾸하라세이끼 세이사꾸쇼, 신지 가와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꾸하라세이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0001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1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pile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레이팅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싱커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는 편성부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싱커를 발취하여 나타낸 싱커의 확대입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파일용싱커와 종래의 파일용 싱커의 노우즈부분을 비교하여 나타낸 확대도.
제4도는 편침의 포오워어드훅부의 확대도.
제5도는 편성과정의 일부를 전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린더침과 싱커의 동작궤적도.
제6도-제13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6-6단면∼13-13단면을 나타낸 편성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편침 8 : 싱커(sinker)
8a : 싱커톱 8d : 노우즈(nose)
8f : 파일위치규제부 54 : 그랜드(grande)사
55 : 파일(pile)사
본 발명은 환편기 사용하여 편성하는 고품질의 플레이팅파일(plating pile)직물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방법에서 사용하는 싱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싱글니트환편기에서는 플레이팅 파일 직물을 제조할때에 편침과 희망하는 파일길이에 적합한 싱커노우즈(파일위치규제부)의 높은 위치를 지닌 싱커가 사용된다. 파일편물기에서는 1편성 사이클에 있어서 2개의 실(絲)이 공급된다.
이러한 2개의 실은 적당한 실 안내수단의 높이가 다른 위치에 의하여 각기 윗실(上絲) 및 밑실(下絲)로 된다.
윗실은 편침에 공급되고, 밑실은 싱커의 싱커톱에 공급된다. 그리고 싱커에 추진운동을 부여함에 따라 2개의 실이 바늘훅부에 포착되면 밑실은 싱커톱에 수지되고, 윗실은 싱커노우즈의 높은 위치에 의하여 수지된다. 편침이 싱커톱 이하로 하강하면, 싱켜에 수지된 2개의 실은 싱커의 고저차에 의하여 2개의 싱커루우프를 직물내에 형성한다. 위실은 싱커루우프는 파일을 만들고, 밑실(그랜드사)의 싱커루우프는 지편(地編)(변화패턴이나 색사에 의한 패턴 이외의 지조직을 이루고 있는 스티치)으로 된다.
상술한 파일 직물의 편성과정에 있어서 직물의 겉쪽에 그랜드사를 나오게 함에 따라 형성되는 직물을 플레이팅 파일 직물이라고 칭하고 있다.
이러한 플레이팅 파일 직물을 편성하기 위하여는 싱커노우즈의 높은 위치에 급사된 파일사는 바늘훅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할 필요가 있으며, 싱커드로오트에 급사된 그랜드사는 바늘훅안의 안쪽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파일사와 그랜드사를 바늘훅안의 안쪽 바깥쪽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의 형상을 변형한 포오워어드훅을지닌 편침을 사용하는 것이 공지의 기술이다.
종래기술에서는 그랜드사를 안정적으로 정치(定置)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이 취하여 지고 있다.
(1) 싱커드로로트에서 그랜드사를 가압함에 따라서 그랜드사를 바늘훅안의 안쪽에 강제적으로 위치시키는 방법.
(2) 1개의 싱커홈에 2장이 끼워진 한쪽의 싱커로서 그랜드사를 가압함에 따라서 바늘훅안의 안쪽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는 방법.
(3) 실린더의 반지름 방향으로 전후 운동하는 싱커의 싱커톱의 그랜드사를 끌어들이는 부분에 경사면을 설치함에 따라서 이 경사면에서 그랜드사를 꼭 눌러서 바늘훅안의 안쪽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는 방법.
종래기술 (1),(2)의 방법에서는 그랜드사를 바늘훅안의 안쪽으로 위치시키려 하였을때 그랜드사를 싱커드로오트와 편침으로 끼워 넣는 상태로 되어 매듭이나 린트(lint)를 편물하였을때에는 실조각이 생기기 쉽고 편물에 결점이 많이 발생한다.
또, 밀도의 변경이나 사용실을 바꾸었을때에는 싱커의 가압량 및 싱커의 타이밍을 숙연자에 의하여 미묘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 그뿐 아니라, 그 조정에는 숙연자라 하여도 장시간을 소요하였으며, 또, 싱커캡의 조정을 잘못하면 파일사의 그랜드사의 플레이팅성이 웨일(wale)에 평행한 방향에서 가로단이 발생한다.
(3)의 방법에서는 경사진 싱커톱의 경사면에서 그랜드사를 가압하므로 싱커의 가압량을 불균형에 의하여 작물의 코오스 방향에서 가로단이 생기기 쉽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플레이팅 파일 직물을 편성하는 과정에서 밀도라거나 실을 바꾸었을때의 조정에 숙련자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시간에 고품질의 직물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편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상기한 편성방법에서 사용함에 적합한 새로운 형상의 싱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편성방법은 1편성 사이클중 편침이 하강함에 따라서 훅부에서 그랜드사 및 파일사를 포착한 다음, 울드루우프를 클리어하여 새로운 루우프가 형성되는 경우, 싱커를 안쪽으로 비스듬히 하방으로 전진시킴에 따라 싱커톱 및 파일위치 규제부를 편침의 훅부보다도 상방으로 위치하게 하고, 또, 편침이 상승함에 따라서, 바늘스템에 루우프가 이행되어서 희망하는 안전높이까지 상승하였을 경우 싱커를 바깥쪽으로 비스듬히 상방으로 후퇴시킴에 따라 싱커톱 및 파일위치 규제부를 편침의 훅부보다도 하방으로 위치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는 싱커에 있어서, 싱커톱이 편침에 대하여 항상 경사교차하고, 또한 파일위치규제부가 항상 수평교차함과 동시에 안쪽, 그렇지 않으면 바깥쪽의 운동에 따라 점차 상방 그렇지 않으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파일위치규제부에서 파일사 끌려내려짐과 동시에 싱커톱에서 그랜드사가 끌려내려지는 경우, 편침의 하강에 따라서 싱커톱의 운동이 바늘훅안의 파일사의 안쪽으로 그랜드사를 위치하게 하기 위하여 안쪽으로 비스듬히 하방으로 전진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싱커는 싱커의 경사운동과 같은 방향으로 노우즈 부분을 경사지게 한 싱커에서 파일위치규제부가 대략 수평임과 동시에 싱커톱이 하향의 경사 각도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나중에 저의하는 싱커높이가 1.4mm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m-1.4mm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침의 훅부가 2개의 실을 포착하여 그랜드와 파일스티치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싱커를 안쪽으로 비스듬히 하방으로 전진시킴에 따라서 싱커톱 및 싱커의 높이위치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형성된 그랜드와 파일스티치가 편침의 래치선단으로 부터 벗어나서 희망하는 안전높이까지 편침이 상승하는 과정에서는 싱커를 바깥쪽으로 비스듬히 상방으로 후퇴시킴에 따라 싱커톱 및 싱커의 높이위치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파인게이지(Fine gauge)(30-36G)의 플레이팅 파일 직물을 얻을수 있다.
다음에 첨부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편성부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면에서 부호(1)은 실린더를 뜻한다.
실린더(1)의 외주에는 원형으로 나란한 축선방향으로 뻗은 다수의 바늘홈(1a)이 형성되어 있다. 각 바늘홈(1a)에는 수직방향으로 활동이 자유로운 편침(2)이 수용되어 있다. 각 편침(2)은 작동용 버트(2a)를 지니고 있다.
실린더(1)와 대향하는 캠호울더(3)에는 편침(2)을 제어 또는 작동시키는 적어도 1개의 제어캠(4)이 설치되어 있다. 캠호울더(3)는 캠핑(5)위에 부착되어 있다.
전술한 실린더(1)의 상단부에는 싱커·레스트·링(sinker·rest·ring)(6)이 나사등으로 부착되어 있다. 싱커·레스트·링(6)의 상단부는 안쪽으로의 하향경사부(6a)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하향경사부와 평행한 싱커홈(6b)이 설치되어 있다.
싱커·레스트·링(6)의 바깥쪽에는 실린더(1)에 고정되어 있는 싱커다이얼(7)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싱커다이얼(7)에는 싱커·레스트·링(6)의 싱커홈(6b)과 마찬가지 기울기로 설치되어 있다.
편성시에 편침(2)과 협동하는 싱커(8)는 싱커·레스트·링(6)과 싱커다이얼(7) 위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다. 상기 싱커(8)는 싱커탭(9)에 장착되어 있는 싱커탭(10)에 의하여 제어된다.
싱커탭(9)은 캡링(11)안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 싱커탭(9)의 안지름 부분에는 싱커·레스트·링(6) 및 싱커다이얼(7)과 마찬가지로 안쪽으로의 하향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싱커·레스트·링(6), 싱커다이얼(7), 싱커탭(10) 및 싱커탭(9)의 내형부는 20도의 하향의 경사각도를 지니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각도 자체는 본원발명을 제안하는 것은 아니다. 현재의 경우 5°-60°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기는 10°-45°이라고 생각된다.
실린더(1)의 하측무에는 이것과 일체적으로 부착된 구동기어(12)가 있으며, 통상기계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될 때 실린더(1)와 등속도적으로 회전한다.
전술한 캠링(5)위에는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 지지대(13)가 있으며, 캡링(11)을 고정하고 있다.
캡링(11)위에는 같은 간격으로 4개-6개의 야안캐링지지대(14)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야안캐링지지대(14)의 선단에는 야안캐링(15)이 부착되어 있다. 야안캐링(15)의 하측에는 실안내장치(16)가 부착되어 있다. 실안내장치(16)는 호울더(17)와 파일사의 2개의 실을 안내하기 위한 야안캐리어(18)를 지니고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싱커(8)의 전단부분에는 하향경사방향으로 U자형의 요부(8e)를 지니 니팅·페이스, 그렇지 않으면 싱커톱(8a)과 싱커·레스트·링(6)의 싱커홈(6a)에 의하여 안내되는 싱커톱(8a)에 평행한 하면경사부(8b)와 드로오트(8c) 및 노우즈(8d)와 파일위치규제부(8f)와 수직가장자리부(8g)가 설치되어 있다. 싱커(8)의 제어 후단부분에는 싱커다이얼(7)의 싱커홈(7a)에 의하여 안내되는 하면경사부(8h) 및 그것과 평행하고 있는 제어버트(8j)가 설치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파일용싱커(8)와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종래의 파일용싱커의 각기 노우즈부분을 비교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파일용 싱커(8)와 종래의 파일싱커와 상이한 점은 싱커톱(8a)이 편침에 대하여 하향경사각도로 되어 있다는데 있다. 파일높이를 결정하는 파일위치규제부(8f)는 종래것과 마찬가지로 수평부분으로 되어 있으므로 수직 가장자리부(8g)와 노우즈(*d)의 굴절점(8h)이 종래것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굴절점(8h)에서 파일위치규제부(8f)까지의 치수가 종래보다도 커져서 파일위치규제부(8)를 낮게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노즈의 가장자리(파일위치규제부)와 니팅페이스(싱커톱)사이의 거리를 싱커높이라고 한다면 본 발명에서는 1.4mm이하, 특히 1.0mm-1.4mm의 싱커높이(H1)를 지닌 로우파일용싱커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종래의 싱커에서는 이 싱커의 높이(H2)는 1.5mm-3.8mm정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관한 편성과정의 일부를 전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린더침과 싱커의 동작궤적도이며, 제6도-제13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6-6단면∼13-13단면을 나타낸 평성설명도이다.
제5도에 있어서, 가로방향의 가는선(57)은 싱커·레스트·링의 경사위 가장자리를 나타내고 있으며, 실선(50)은 편침(2)의 훅선단부의 동작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2점 쇄선(51)은 싱커드로오트(8c)의 동작궤적을, 1점 쇄선(52)은 파일위치규제부(8f)의 선단부의 동작궤적을, 점선(53)은 싱커노우즈(8d)의 선단부의 동작궤적을 각기 나타내고 있다. (54)는 그랜드사의 급사위치, (55)는 파일사의 급사위치이며, 이러한 실은 각 급수구에 설치된 각각의 야안캐리어(18)에 따라 편침(2)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동작궤적에 따라서 다음에 본 발명의 편성동작을 설명한다.
제6도(6-6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편침이 최고위치(니트)에 도달한 다음 야안캐리어(18)에 따라 그 세로구멍(18a)으로 부터 하사의 그랜드사(54)를 가로구멍(18b)으로 부터 상사의 파일사(55)를 고저 2단으로 나누어서 공급되기전의 편침(2)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싱커(8)는 바깥쪽으로 비스듬히 상방으로 가장 후퇴한 위치에 있다.
다음에 제7도(7-7단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편침(2)이 하강함에 따라서 그랜드사(54)가 편침에 공급됨과 동시에 래치(2a)가 올드루우프에 의하여 회전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싱커(8)는 안쪽으로 비스듬히 하방으로 전진한 위치에서 싱커드로오트(8c)안의 그랜드사(54)와 파일위치규제부(8f)상의 파일사(55)가 완전히 바늘훅(2b)안에 포착된다.
다음에 제9도(9-9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침(2)이 하강함에 따라서 파일위치규제부(8f)상의 파일사(55)가 끌려내려오게 된다. 이때, 싱커(8)는 다시금 약간 안쪽으로 비스듬히 하방으로 전진한다. 그에 따라서 그랜드사(54)는 하향경사의 싱커톱(8a)에 의하여 바늘훅안의 안쪽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조작으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훅안에서는 그랜드사(54)가 안쪽으로 파일사(55)가 바깥쪽에 위치하여 각기의 위치관계가 확실하게 된다.
다음에 제10도(19-19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금 편침의 하강에 따라서 그랜드사(54)가 싱커톱(8a)에서 끌려내려짐에 따라서 울드루우프가 클리어한다. 편침(2)이 최하점에 도달하면 그랜드사(54)와 파일사(55)는 더욱 끌려내리워져서 각기 필요로 하는 길이의 루우프가 걸려들이워진다. 이때 싱커(8)는 다시금 약간 안쪽으로 비스듬히 하방으로 전진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싱커의 전진에 따라서 클리어 한 올드루우프는 수직 가장자리부(8g)에 의하여 세게 죄어진다.
다음에 제11도(11-11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침이 상승한다. 이러한 상승에 따라서 느슨하여진 바늘훅안의 루우프가 가장 안쪽으로 비스듬히 전진한 싱커(8)에 의하여 죄어 부쳐져 있다.
다음에 제12도(12-12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침이 상승하면, 이에 따라서 바늘훅안의 루우프가 편침의 흉부를 통하여 래치(2a)를 해방한다. 이때 싱커가 바깥쪽으로 비스듬히 후퇴함에 따라 파일위치규제부(8f)위치 파일루우프(55a)와 상커노우즈(8d)를 초워하여 이탈한다.
다음에 제13도(13-13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욱 편침이 상승을 계속하면 편침의 흉부를 통한 루우프가 래치선단을 거쳐 바늘대(2c)에 미끄러져 내려 편침이 최고 위치(니트)에 도달한다. 그런다음 편침의 하강에 있어 바늘대(2c)에 있는 루우프가 제6도(6-6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2a)의 등부분에 위치하여 1사이클의 편성동작이 종료한다. 그리고, 야안캐리어(18)에 따라 새로운 그랜드사(54)와 파일사(55)가 공급된다.
상술한 1편성 사이클의 편성동작을 반복하면서 플레이팅 파일 직물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한 설명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범위내에서 개량, 변경, 수정이 가능하다. 예컨대, 편물기에 필요한 변경을 가한 다음,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래치침 대신에 복합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를 경사운동시킴에 따라서 편침이 그랜드사 및 파일사를 끌어넣었을때에 바늘훅안의 안쪽, 바깥쪽에 확실하게 위치하게 할수 있으므로 안정한 플레이팅 파일 직물을 얻을수 있다.
또, 밀도를 변경하였을때나 그랜드사의 사용사가 바뀌었을때 종래기술에서는 그때마다 바늘훅안의 안쪽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그랜드사를 싱커드로우트로 민다거나, 또 싱커의 타이밍을 변경할 필요가 있었음에 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편성방법에서는 밀도를 변경하였을때나 그랜드사의 사용사가 바뀌었을때에도 그때마다 싱커의 가압량을 떨어뜨린다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송한다거나, 또 싱커의 타이밍을 변경할 필요가 전혀 없게 되었다.
또, 경사진 싱커톱에 대하여 파일높이를 결정하는 파일위치규제부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수평부분으로 되어 있으므로 파일위치규제부에서 노우즈에 이르는 굴절점이 종래보다도 낮은 위치로 채택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에서는 불가능 하였던 1.0mm-1.4mm의 싱커높이의 로우파일용싱커가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파인게이지(30-36G)의 사용도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6)

  1. 싱커(8)를 사용하여 실행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플레이팅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편성사이클중에서 편침(2)이 하강함에 따라서 훅부(2b)에서 그랜드사(54) 및 파일사(55)를 포착한 다음 올드루우프를 클리어하여 새로운 루우프가 형성될 때 싱커(8)를 안쪽으로 비스듬히 하방으로 전진시킴에 따라 싱커톱(8a) 및 파일위치규제부(8f)를 편침의 훅부(2a)보다도 상방으로 위치하게 하고, 또 편침(2)이 상승함에 따라서 바늘스템에 루우프가 이행되어서 희망하는 안전높이까지 상승하였을 경우, 싱커(8)를 바깥쪽으로 비스듬히 상방으로 후퇴시킴에 따라 싱커톱(8a) 및 파일위치규제부(8f)를 편침의 훅부(2a)보다도 하방으로 위치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 있어서의 플레이팅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싱커높이(H1)가 1.0mm-1.4mm의 로우파일싱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팅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싱커톱(8a)이 편침(2)에 대하여 항상 경사교차하고, 또한 파일위치규제부(8f)가 항상 수평교차함과 동시에, 안쪽 그렇지 않으면 바깥쪽의 운동에 따라 점차 상방 그렇지 않으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플레이팅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파일위치규제부(8f)에서 파일사가 끌리어 내려짐과 동시에 싱커톱(8a)에서 그랜드사가 끌리어 내려지는 경우, 편침의 하강에 따라서 싱커톱의 운동이 바늘훅안의 파일사의 안쪽으로 그랜드사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안쪽으로 비스듬히 하방으로 전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팅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5. 싱커를 경사하여 전후 운동시키는 타이프의 환편기에 사용하는 싱커에 있어서, 그 경사운동과 대략 같은 각도로 노우즈부분을 경사시킬 때, 그 경사진 상태에 있어서, 파일위치규제부(8f)가 대략 수평인 동시에 싱커톱(8a)이 하향경사 각도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 파일용 싱커.
  6. 제5항에 있어서, 싱커높이(H1)가 1.0mm-1.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커.
KR1019900002112A 1989-03-13 1990-02-21 플레이팅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싱커 KR970005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61434 1989-03-13
JP89-61434 1989-03-13
JP1061434A JP2767273B2 (ja) 1989-03-13 1989-03-13 プレーティングパイル編地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シンカー
EP90310116A EP0476190B1 (en) 1989-03-13 1990-09-17 Method of constructing plating pile knit fabric and sinker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664A KR900014664A (ko) 1990-10-24
KR970005845B1 true KR970005845B1 (ko) 1997-04-21

Family

ID=2612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2112A KR970005845B1 (ko) 1989-03-13 1990-02-21 플레이팅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싱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10744A (ko)
EP (1) EP0476190B1 (ko)
JP (1) JP2767273B2 (ko)
KR (1) KR970005845B1 (ko)
DE (1) DE69024050T2 (ko)
ES (1) ES208012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7707A (en) * 1994-12-08 1995-12-26 Monarch Knitting Machinery Corp. High speed sinker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SG82515A1 (en) * 1995-06-01 2001-08-21 Jung Hao Hung Sinker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JP2001041812A (ja) * 1999-05-24 2001-02-16 Toshiba Tec Corp 重量及び形状測定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包装機
US7152436B2 (en) * 2004-01-20 2006-12-26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Circular knitting machine
DE602004014240D1 (de) * 2004-01-22 2008-07-17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Platinen für Rundstrickmaschine für Polware
JP3120217U (ja) * 2005-06-06 2006-03-30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パイル編地編成用のシンカー及びこれを有する丸編機
US8371144B1 (en) * 2011-09-21 2013-02-12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Loop forming and loosening mechanism and sinkers thereof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JP5987180B2 (ja) * 2012-02-15 2016-09-07 岡本株式会社 パイル長を変化できる編機及びパイル長を変化させた編地の製造方法
CN102877206A (zh) * 2012-10-16 2013-01-16 无锡市佳龙纺织机械有限公司 用于针织大圆机上的沉降片结构
US9834871B2 (en) * 2015-03-11 2017-12-0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Method for knitting interchanged plating on a technical face of a fabric for flat bed knitting machines
EP3418434B1 (de) * 2017-06-19 2019-05-01 Groz-Beckert KG Maschinenstrickwerkzeug, insbesondere maschinenstricknadel
CN109837648B (zh) * 2019-02-13 2021-03-23 青岛颐和针织有限公司 纬编棉盖涤弹力毛圈面料的编织方法
EP3754077B1 (de) 2019-06-17 2022-11-16 Groz-Beckert KG Verfahren und strickvorrichtung zum plattieren auf einer mit schiebernadeln bestückten rundstrick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490E (fr) * 1921-02-23 1922-07-20 Andre Gillier Procédé et dispositifs permettant d'exécuter la grisotte sur tous les métiers genre "standard" utilisant des aiguilles self-acting et produits nouveaux en résultant
US1901751A (en) * 1928-03-08 1933-03-14 Jones Thomas Henry Knitting machine sinker
US2030516A (en) * 1932-01-02 1936-02-11 Hemphill Co Jacquard pattern mechanism for knitting machines and method of patterning effected thereby
US2050962A (en) * 1935-07-26 1936-08-11 Scott & Williams Inc Sinker and method for plating and reverse plating
US2436318A (en) * 1945-02-02 1948-02-17 Scott & Williams Inc Circular knitting machine
US4020653A (en) * 1976-02-10 1977-05-03 The Singer Company Sinker top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loop fabric
ES459450A1 (es) * 1977-06-03 1978-04-01 Jumberca Sa Perfeccionamientos en la obtencion de un tejido de rizo a una sola cara en genero de punto.
DE3035582C2 (de) * 1980-09-20 1983-12-01 SIPRA Patententwicklungs-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7000 Stuttgart Rund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einer einflächigen Plüschware
AT378013B (de) * 1981-07-30 1985-06-10 Schmidt Walter Richard Verfahren und rund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einer gemusterten plueschware
SU1280056A1 (ru) * 1983-02-28 1986-12-30 Московски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Текстильный Институт Им.А.Н.Косыгина Способ в зани одностороннего кулирного плюшевого трикотажа
JP2791774B2 (ja) * 1988-03-29 1998-08-27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におけるジャカード編地の製造方法
DE68916487T2 (de) * 1988-07-20 1995-01-26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Rundstrickmaschine zum Stricken eines Tuches.
JPH0278589U (ko) * 1988-11-29 1990-06-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80124T3 (es) 1996-02-01
DE69024050D1 (de) 1996-01-18
JPH02242953A (ja) 1990-09-27
EP0476190B1 (en) 1995-12-06
EP0476190A1 (en) 1992-03-25
KR900014664A (ko) 1990-10-24
JP2767273B2 (ja) 1998-06-18
US5010744A (en) 1991-04-30
DE69024050T2 (de) 199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5845B1 (ko) 플레이팅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싱커
CN1077163C (zh) 高低毛圈针织物及其制造它的方法和装置
KR19990087729A (ko) 패턴화된 파일 직물 및 그를 위한 파일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회전 직조 장치 및 제조방법
US5463882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cut pile mechanism
JP7483257B2 (ja) 丸編機におけるジャカード編地編成機構、その編成機構を用いた編成方法及びその編成機構で用いられるシンカー
JPH05214639A (ja) プラッシュ生地製造用の丸編み機およびシンカ
US4693092A (en) Knitting machine
US4020653A (en) Sinker top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loop fabric
US3293887A (en) Sinker arrangement and control mean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US6609398B2 (en) Needle for knitting, warp knitting or hosiery machines and a knitting machine equipped therewith
KR102291231B1 (ko) 횡편기에서의 플레이팅 편성방법
KR970005846B1 (ko)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더블니트환편기
KR940009399A (ko) 자카아드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싱커
US5239843A (en)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plush goods
CN112760790B (zh) 一种新型脱圈成圈工艺
KR960010624B1 (ko) 환편기에 의한 더블플리이스직물의 제조방법
US4389860A (en) Warp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jacquard-patterned pile-knit fabrics
KR960014596B1 (ko) 편지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사용되는 환편기
EP0351935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fabric
EP1692333B1 (en) Method and equipment to change the knitting density in the production of warp fabrics and tubular articles by raschel loom and obtained products
US3879962A (en) Fabric hold-down blade for circular hosiery knitting machines
US3000199A (en) Knitting machine and method
CN219363962U (zh) 新型便于去除毛屑的针筒
US3013417A (en) Knitting machine stitch length control
US2001653A (en) Reverse pl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