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596B1 - 편지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사용되는 환편기 - Google Patents

편지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사용되는 환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596B1
KR960014596B1 KR1019890010218A KR890010218A KR960014596B1 KR 960014596 B1 KR960014596 B1 KR 960014596B1 KR 1019890010218 A KR1019890010218 A KR 1019890010218A KR 890010218 A KR890010218 A KR 890010218A KR 960014596 B1 KR960014596 B1 KR 960014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er
needle
knitting
cam
le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188A (ko
Inventor
신지 가와세
신지 요리스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신지 가와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신지 가와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10003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지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사용되는 환편기
제1도는 제1실시예의 편성부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환편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싱커(sinker)부를 발취하여 나타낸 싱커의 입면도.
제3도는 편성과정의 일부를 전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린더침과 싱커의 동작궤적도.
제4도-제12도는 제3도에서의 4-4단면에서 12-12단면까지를 나타낸 편성설명도.
제13도는 제2실시예의 편성부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14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편성과정의 일부를 전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린더침과 싱커의 동작궤적도.
제15도-제21도는 제14도에 있어서의 15-15단면에서 21-21단면까지를 나타낸 편성설명도.
제22도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싱커의 입면도.
제23도는 무늬바퀴를 사용한 자카아드 편물기의 편성부 단면도.
제24도는 패턴드럼을 사용한 자카아드 편물기의 편성부 단면도.
제25도는 전자패턴장치를 사용한 자카아드 편물기의 편성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래치(latch) 침(편침) 2b : 훅부(Hook 部)
2c : 래치(latch) 20 : 복합침(편침)
20a : 본체부분 20b : 훅부
20c : 슬라이더부분 6 : 싱커 레스트 링(sinker rest ring)
7 : 싱커 다이얼(sinker dial)
7a : 싱커 홈(싱커안내, 미끄러져 움직이기 수단)
8,80 : 싱커 8a,80a : 싱커톱(sinker top)
9 :싱커캠(싱커캠 유지수단) 10 : 싱커캠(sinker cam)
70 : 패턴휠(Pattern wheel) 72 :패턴드럼(pattern drum)
73 : 전자패턴장치
본 발명은 실린더에 삽입된 편침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회전하는 과정으로서, 실을 편침이 포촉한 후, 편목형성부의 싱커톱(sinker top)의 하면에 실을 끌어넣어서 편목을 형성시켜, 편지(편직생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환편기로서, 복수의 편침과, 싱커를 가지고, 편침을 상승시켜서 핀스템(stem)에 루프를 이행시키기 위한 올림캠(cam) 및 편침을 하강시켜서 급사(給
Figure kpo00001
)된 실을 싱커톱(sinker top)의 하면에 필요한 편목길이만큼 끌어넣은 스티치캠(stitch cam)을 가지며, 그리하여 실린더에 수용된 편침의 사이에 배치된 싱커가 경사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하, 전후의 움직임이 싱커캠에 의하여 조정되는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싱글니트 환편기에서는 편지를 제조할 때 편침이 상승하고 있는 동안, 편침의 훅내에 있는 새로운 루우프가 편침의 래치를 강제적으로 열면서 래치의 선단을 미끄러져 내려와, 침간(針幹에 이동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실린더에 삽입되어 있는 편침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된 싱커가 편직기의 반경방향에서 수평운동하면서, 편목형성의 기준이 되는 싱커톱이 항상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있다.
편목(編目) 형성에 필요한 니트캠의 행정은 편목의 크기를 결정하는 스티치 포인트(stitch point)와, 형성된 편목을 래치로부터 탈출시키는 클리어링 포인트(clearing point)(루우프가 래치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의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 니트캠의 행정은 싱커톱으로부터 스티치 포인트까지의 높이에 추가하여 싱커톱으로부터 클리어링 포인트까지의 높이로 나타낼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14G의 싱글저어지(single jersey)기에 있어서는 스티치량(싱커톱으로부터 스티치 포인트까지의 높이)은 2.5mm가 필요한 것이 되어 있다. 또한, 클리어링 하이트(clearing hight)(싱커톱으로부터 클리어링 포인트까지의 높이)는 바늘의 래치렝그스(latch length)에 따라 상이하게 되는데, 래치렝그스(길이)가 6mm이고, 스티치량이 2.5mm인 경우 최저 8.5mm가 필요하다. 이 경우에 니트캠의 행정은 2.5mm+8.5mm=11.0mm가 된다. 이 니트캠의 행정을 얻기 위하여는 니트캠으로 배트(Batt)를 상하시키기 위한 경사각도는, 예를들면 1인치당 4급사구의 편기에서는 55도 내지 56의 급구배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근년의 고생산편직기에서는 다수의 급사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편침을 상승시키기 위한 올림캠이나 편침을 하강시켜서 편목을 형성시키기 위한 스티치캠의 각도가 급구배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캠의 각도가 급구배가 된다는 것은 래치의 개폐속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들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편침에서는 래치의 질량을 경감한다거나 래치의 길이를 짧게 하여 래치의 개폐시의 관성력을 감소시키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별도방법으로서는, 로킹싱커(rocking sinker)를 사용하는 편성방법이 일본국 특공소 62-85343호에 제안되어 있다.
이 로킹싱커는 상하방향으로 운동함과 동시에, 싱커를 전후로 요동운동시키기 위하여 레버가 사용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올림캠이나, 스티치캠의 각도를 완만하게 하고, 편침의 래치의 개폐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서, 편직이의 고속화를 도모하고저 하는 것이다. 캠각도가 급구배가되면, 고속도로 상승, 하강운동하는 편침의 올림캠이나 스티치캠과 작용하는 배트(batt)에 과부하가 걸려 배트의 마모나 파손사고가 생기기 쉽게 한다. 또한, 루우프로 래치를 개폐운동시키는 속도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래치가 파손되거나 단기간에 래치가 마모하는 등 사고의 원인이 된다.
로킹싱커를 사용하는 방법은 실린더에 수용된 편침의 사이의 동일길이 방향으로 로킹싱커를 삽입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실린더의 형상 및 기구가 복잡하게 되는 것과, 편침이나 로킹싱커를 착탈하는데 대단히 시간이 걸린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로킹싱커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캠의 각도를 완만하게 하여 래치개폐속도를 감소시키는 등의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로킹싱커를 상하와 전후용으로 2종류의 캠을 작용시켜, 다시 동기시켜서 운동시킨다는 상당히 곤란한 조작을 시행케 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오늘날 닛드업계에서 주류로서 사용되고 있는 린트(lint)(풍면) 발생률이 높은 오픈엔드실(
Figure kpo00002
)로 편성한 경우 종전의 싱커에 걸려 있는 부하에 비하여, 수배의 부하가 로킹싱커에 걸려서 그 때문에 로킹싱커를 상하, 전후로 작용시키는 배트에 집중하중이 걸리고 배트에 집중하중이 걸리고 배트의 마모나 배트불러짐 사고가 생기는 확률이 높아지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편지를 편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편침이나 싱커에 걸리는 응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서, 관련한 구성요소를 장기간 사용하는데 견디어내게 함과 동시에,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고가동률 및 고속화를 가능하게 하는 편지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이 방법에 사용하는 환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싱커를 사용하여 시행하는 환편기에서의 편지의 제조방법으로서, 1편성사이클중 편침이 하강함에 따라 훅(hook)부에서, 실을 포촉한 후 올드루우프를 크리어하여 새로운 루우프가 형성될 때, 싱커를 바깥쪽 경사진 위쪽으로 후퇴시키는 것으로서, 싱커톱을 편침보다도 위쪽에 위치시키고, 또한 편침이 상승함에 따라 핀 스템(pin stem)에 루우프가 이행되어서 희망하는 안전높이까지 상승하였을때, 싱커를 안쪽 경사진 아래쪽 전진시키는 것에 의하여, 싱커를 편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싱커에서 싱커톱의 레벨이 편침에 대하여, 항상 직각으로 교차함과 동시에 안쪽 혹은 바깥쪽의 운동에 의하여 점차 위쪽 혹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편침으로서는 공지의 래치침 또는 복합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자가아드 편물을 얻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의 패턴방법은 공지된 패턴휠, 다단식 패그호울더(peg holder) 패턴드럼, 전자패턴 방식중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방법에 사용하는 본 발명의 환편기는 실린더와 실린더 위에 고정된 싱커 레시트 링(sinker rest ring) 및 싱커 다이얼과 실린더의 침홈에 수용되고 실린더캠에 의하여 조정되는 편침과 싱커 레스트링 및 싱커 다이얼상의 반경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수용된 편침과 협력하여 움직이는 싱커와 싱커를 작동 혹은 조정하는 싱커캠을 가지며, 이런 편침이 야안(yarn) 캐리어를 경유하여 급사된 실을 편성하는 환편기로서, 상기한 싱커를 작동 혹은 조정하는 싱커캠의 유지수단 및 싱커의 안내접동수단이 거의 역재두(逆裁頭) 원추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싱커캠의 유지수단 및 싱커의 안내, 접동수단인 역재두 원추대가 5도 내지 6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도 내지 45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20도의 경사각도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침의 훅부가 실을 포촉하여 편목을 형성하는 과정에서는 싱커를 왼쪽으로 후퇴시키는 것으로서 싱커톱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리하여 형성된 편목이 편침의 래치선단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소망하는 안전높이까지 편침이 상승하는 과정에서는 싱커를 안쪽으로 후퇴시킴에 따라 싱커톱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싱커를 경사운동시킴에 따라서 스티치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니트캠의 스트로우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클리어링 포인트에 있어서도 싱커를 종래와 마찬가지로 안쪽으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싱커톱을 낮출수 있다. 동 싱커톱이 낮추어진 만큼 니트캠의 클리어링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편성부의 요부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실린더(1)의 외주에는 원형으로 늘어선 축성방향으로 늘어나는 다수의 침홈(1a)이 형성되어 있다.
각 침홈(1a)에는 수직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을 자유롭게 하는 래치침(2)이 수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편침으로는 래치침(2)을 사용하였다.
실린더(1)와 대향하는 캠호울더(3)에는 래치침(2)을 작동 또는 조정시키는 적어도 1개의 조정캠(4)이 마련되어 있다. 캠호울더(3)는 캠링(5)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실린더(1)의 상단부에는 싱커 레스트 링(sinker rest ring)(6)이 나사 등으로 장착되어 있다. 싱커 레스트 링(6)의 상단부에는 안쪽으로의 하향경사부(6a)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하향경사부와 평행하여 다수의 싱커홈(6b)이 파져서 시설되어 있다.
싱커 레스트 링(6)의 외측에는 실린더(1)에 고정되어 있는 싱커 다이얼(7)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싱커다이얼(7)에는 싱커 레스트 링(6)과 같은 모양으로, 안쪽으로의 하향경사부가 형성되고, 또한, 하향경사부와 평행으로 다수의 싱커 홈(7a)이 상기한 싱커 레스트 링(6)의 싱커 홈(6b)과 같은 경사로 파져서 시설되어 있다.
편성시에 래치침(2)과 협력하여 작동하는 싱커(8)는 싱커 레스트 링(6)과, 싱커 다이얼(7)상에는 반경방향으로 접동이 자유롭게 한다. 싱커(8)는 싱커캠(9)에 장착되어 있는 싱커캠(10)에 의하여 조정된다. 싱커캠(9)은 캠링(11)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싱커캠(9)의 내경부분에는 상기한 싱커 레스트 링(6) 및 싱커 다이얼(7)과 같이 안쪽으로의 하향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싱커 레스트 링(6), 싱커(8), 싱커 다이얼(7), 싱커캠(10) 및 싱커캠(9)의 내경부는 약 20도의 하향경사각도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경사각도 자체는 본원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현재로서 5도에서 60도까지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도 내지 45도라고 생각되고 있다.
실린더(1)의 하측부에는 이것과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구동기어(12)가 있고, 보통 기계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될 때, 실린더(1)와 동속도로 회전한다.
상기한 캠링(5)상에는, 등간격으로 배설된 서포오트(support)(13)가 있고, 상기한 캠링(11)을 고정시키고 있다.
제2도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싱커(8)의 앞끝부분에는 수평방향으로 니팅페이스(편면), 혹은 싱커톱(8a)과 싱커 레스트 링(6)의 싱커 홈(6a)에 의하여 안내되는 하면경사부(8b)와, 드로우트(8c) 및 노오즈(8d)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싱커(8)의 조정후단부분에는 싱커 다이얼(7)의 싱커 홈(7a)에 의하여 안내되는 하면경사부(8e) 및 그것과 평행하고 있는 조정배트(8f)가 시설되어 있다.
제3도는 본원 발명에 관한 편성과정의 일부를 전개하여 개략적으로 표시한 실린더침과 싱커의 동작궤적도이고, 제4도에서 제12도까지는 제2도에서의 4-4단면, 또는 12-12단면을 표시하는 편성설명도인 것이다.
제3도에 있어서, 실선(50)은 래치침(2)의 훅 선단부의 동작궤도를 보여주고, 점선(51)은 싱커드로우트(8c)의 동작궤적을 보여주며, 2점 쇄선(52)은 싱커(8)의 상하운동의 동작궤적을 보여준다. (53)은 급사이고, 이들의 사조(
Figure kpo00003
條)는 각 급사구에 시설된 각각의 야안캐리어(54)에 따라 래치침(2)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제4도 내지 제12도에 따라 상술한 편성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4도(4-4단면)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모든 래치침(2)이 최고위치(니트)에 상승한다. 그후에 야안캐리어(54)에 의하여 사조(53)가 공급된다. 이때에 싱커(8)는 가장 전진한 직후에, 싱커드로우트(8c) 편침의 배후부까지 약간 후퇴한다.
그리하여, 제5도(5-5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침(2)이 하강함에 따라, 래치침(2)의 흉부에 사조(53)가 공급된다. 이때에, 싱커(8)는 외부쪽 경사 위쪽으로 후퇴한다.
계속하여 제6도(6-6단면)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래치침(2)이 하강함에 따라 침훅부(2b)에서 사조(53)를 포촉한다. 이때에, 또다시 싱커(8)가 외부쪽 경사위쪽으로 후퇴를 계속한다. 침훅부(2b)에서 사조(53)를 포촉한 래치침(2)은 제7도(7-7단면)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싱커톱(8a)으로부터 사조(53)를 잡어내림과 동시에 올드루우프가 침간을 미끄러져 올라가서 래치(2c)가 닫혀진다. 그리고, 바늘훅부(2a)로부터 올드루우프가 클리어 다듬질한다. 이때에 싱커(8)는 가장 경사진 위쪽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제8도(8-8단면)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래치침(2)이 하강하여 최저위치(스티치 최하점)로 유도되어, 싱커톱(8a)으로부터 또다시 사조(53)가 잡어내려져서 소요길이의 루우프가 걸려 매달리게 된다. 이때에 싱커(8)는 제7도(7-7단면)와 같이 가장 외부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어서, 제9도(9-9단면)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래치침(2)은 제8도(8-8단면)의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싱커(8)가 안쪽 경사진 아래쪽으로 전진하기 시작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제10도(10-10단면)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래치침(2)이 상승하기 시작하고, 싱커(8)가 안쪽 경사진 아래쪽에 전진하면서 하강한다.
이어서, 제11도(11-11단면)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다시 래치침(2)이 상승을 계속하고, 싱커(8)가 안쪽 경사진 아래쪽으로 전진하면서 하강을 계속한다.
계속하여 제12도(12-12단면)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래치침(2)이 계속 상승한다. 이때 싱커(8)는 가장 안쪽 경사진 아래쪽으로 전진하여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하고, 이것에 의하여 싱커드로우트(8c)에서 루우프를 잡어조이는 루우프의 크기가 결정된다.
또한, 래치침(2)이 계속 상승하면, 제4도(4-4단면)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모든 래치침(2)이 최고위치에 상승한다. 그후에, 야안캐리어(54)에 의하여 사조(53)가 공급되고 1사이클의 편성동작이 종료한다.
상기한 1편성사이클의 편성동작을 반복하면서 편물이 형성된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편성부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편침으로서는 본체부분(20a) 및 슬라이더부분(20c)을 지닌 복합침(20)을 사용할 것, 제어캠(3)을 복합침용으로 변경할 것, 실안내장치의 형상이 다를 것 등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변경은 없으므로, 변경하지 않는 부분에는 최초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제14도는 제2실시예에 관한 편성과정의 일부를 전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린더침과 싱커의 동작궤적도이며, 제15도-제21도는 제14도에 있어서의 15-15단면에서 제21-21단면을 나타낸 평성설명도이다.
제14도에 있어서, 굵은 실선(60)은 복합침의 본체부분(20a)의 훅(20b) 선단부의 동작궤적을 나타내었으며, 가는 실선(61)은 슬라이더부분(20c) 선단부의 동작궤적을 나타낸 것이고 점선(62)은 싱커드로우트(throat)(8c)의 동작궤적을 나타낸 것이며 2점 쇄선(63)은 싱커(8)의 상하 운동의 동작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53)은 공급실이며, 이것들의 실은 각 급사구에 설치된 각각의 야안캐리어(yarn carrier)(54)에 따라 복합침(20)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제15도-제21도에 따라서 상술한 편성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15도(15-15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침(20)은 최저위치(스티치 최하점)에 있으며, 본체부분의 훅(20b)은 슬라이더부분(20c)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스티치 형성과정은 전 사이클에 따라 이미 완료하고 있으며, 싱커톱(8a) 보다 사조(53)가 끌어내려져서 소요길이의 루우프가 현수되어져 있다. 이때, 싱커(8)는 가장 바깥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제16도(16-16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침의 본체부분(20a)이 상승하기 시작하여 싱커(8)는 안쪽으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전진하면서 하강한다.
이어서, 제17도(17-17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금 복합침의 본체부분(20a)이 계속 상승하지만 슬라이더부분(20c)은 위치를 바꾸지 않는다. 이때, 싱커(8)는 가장 안쪽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전진한 직후 싱커드로우트(8a)에서 루우프를 잡어조이는 루우프의 크기가 결정된다.
계속하여, 제18도(18-18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침의 본체부분(20a)은 계속 상승하여 슬라이더부분(20c)도 상승을 시작한다. 이때, 싱커(8)는 가장 안쪽 비스듬이 아래쪽으로 전진한 직후 싱커드로우트(8c)의 등부분까지 약간 후퇴한다.
다시금, 복합침(20)이 상승을 계속하면 제19도(19-19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복합침(20)이 최고 위치에 상승한다. 그런다음, 야안캐리어(54)에 의하여 사조(53)가 공급된다. 이때 싱커(8)는 전술한 제18도(18-18단면)의 상태를 그대로 지속하면서 가로방향으로 이행한다.
그런다음, 제20도(20-20단면)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복합침의 본체부분(20a)의 하강에 따라서 침훅부(2b)로 사조(53)를 포착하고 슬라이더부분(20c)이 가장 상승하여 훅부(20b)가 닫혀지게 된다. 이때 싱커(8)는 비스듬히 위쪽으로 후퇴하면서 상승한다. 다시금 복합침의 본체부분(20a)과 슬라이더부분(20c)의 하강에 따라서 훅부(20b)로부터 올드루우프가 클리어하여 제21도(21-21단면)에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복합침(20)이 더욱 하강하여 최저위치(스티치 최하점)에 안내되어 싱커톱(8a)으로부터 사조(53)가 끌어내려져서 소요길이의 루우프가 걸려들이워지게 된다. 이때 싱커(8)는 제15도(15-15단면)과 마찬가지로 가장 바깥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것으로 1사이클의 편성동작이 종료한다.
상술한 1편성 사이클의 편성동작을 반복하면서 편물이 형성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상이한 편침을 사용하는 편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싱커에 대하여도 제2도에 나타낸 형상의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제3도 실시예로서 제22도에 보여주는 바와 같은 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이 싱커(80)는 싱커전단부분에 수평방향으로 니팅(knitting) 직물의 표면, 그렇지 않으면 싱커톱(80a)과, 싱커 레스트 링(6)의 싱커홈(6a)에 의하여 안내되는 하면경사부(80b)와 드로우트(80c) 및 노우즈(80d)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싱커(8)의 제어후단부분에는 싱커 다이얼(7)의 싱커홈(7a)에 의하여 안내되는 하면경사부(80e) 및 그것과 평행한 제어배트(80f)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싱커(8)의 제어후단부분에는 싱커 다이얼(7)의 싱커 홈(7a)에 의하여 안내되는 하면경사부(80e) 및 그것과 평행한 제어배트(80f)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싱커(80)가 전술한 실시예의 싱커(8)와 다른 것은 전단하면경사부(80b)와 후단경사부(80e)가 일직선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상기 싱커(80)의 작동방식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함에 따라 자카아드 편물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패턴방식은 공지의 패턴휠, 다단식 패그호울더(peg holder) 패턴드럼, 전자패턴방식중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패턴휠(70)을 사용한 자카아드 편물기의 예를 제23도에 패턴드럼(72)을 사용한 자카아드 편물기의 예를 제24도에 전자패턴장치(73)를 사용한 자카아드 편물기의 예를 제25도에 각기 나타내었다. 이들 패턴장치 자체는 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상세한 구조, 기능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들의 자카아드 편물기는 3위치의 패턴에 필요한 선침수단이 다르다는 것뿐이고 본원 발명에 관한한 편성부와 싱커의 관계는 어느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싱커를 경사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편침이 스티치할 때에 싱커를 종전과 같이 외부쪽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때에, 싱커톱을 점차로 외부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가장 높은 위치에 오도록 하는 것으로서, 스티치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니트캠의 행정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또한, 클리어링 포인트에 있어서도 싱커를 종전과 같이 안쪽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싱커톱을 내리도록 한다. 이 싱커톱이 내려진 양만큼 니트캠의 클리어링 높이를 내릴 수가 있게 된다.
이런 결과, 니트캠의 각도를 완만하게 할 수가 있게 되고, 종전기술의 로킹싱커와 같이 바늘의 배트마찰대책이나 배트파손대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전의 편성방법에서는 니트캠의 스티치부의 각도를 완만하게 하면, 약한실을 사용하였을때 실절단현상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나, 본 발명의 싱터를 경사운동시킬 경우, (로킹싱커의 경우에도 같은 것이지만) 스티치가 잡어들어감에 따라 싱커톱도 어느 각도에서는 위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시티치의 캠각도를 완만하게 하였다 하더라도 싱커톱이 위쪽으로 이동하는 각도가 부각되어서, 전체적으로는 스티치되는 각도는 빡빡하게 된다. 그 결과, 싱커톱의 아래쪽으로 잡혀들어가는 바늘개수가 적어지게 되고, 실은 흐름이 원활하게 되며, 약한 실을 사용할 때도 실절단의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환편기는 종래기술의 로킹싱커를 구비한 환편기와 동등 그렇지 않으면 그 이상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Claims (7)

  1. 싱커(8),(80)를 사용하여 시행하는 환편기에서의 편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편성사이클중 편침이 하강함에 따라 훅부에서 실을 포촉한 후에 올드루우프를 클리어하고 새로운 루우프가 형성될 때, 싱커(8),(80)를 외부쪽 경사진 위쪽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싱커톱(8a),(80a)를 편침보다도 위쪽에 위치시키고, 또한, 편침이 상승함에 따라 핀스템에 루우프가 이행되어서 소망한 안전높이까지 상승하였을때, 싱커(8),(80)를 안쪽경사진 아래쪽으로 전진시킴으로써 싱커(8),(80)를 편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싱커(8),(80)는 싱커톱(8a),(80a)의 레벨이 편침에 대하여, 항상 직각으로 교차함과 동시에, 안쪽 혹은 외부쪽의 운동에 의하여 점차로 위쪽 혹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편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편침으로는 래치침(2)을 사용하는 편지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편침으로는 복합침(20)을 사용하는 편지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자카아드(Jacquard) 편지를 제조하는 편지의 제조방법.
  6. 실린더(1)와, 실린더상에 고정되어 잇는 싱커 레스트 링(6) 및 싱커 다이얼(7)과, 실린더의 침홈(1a)에 수용되어 있고, 실린더캠(4)에 의하여 제어되는 편침(2),(20)과 싱커 레스트 링(6) 및 싱커 다이얼(7)상의 반경방향으로 미끄럼이 가능하게 수용된 편침(2),(20)과, 협력작동하는 싱커(8),(80)와, 이 싱커(8),(80)를 작동 혹은 조정하는 싱커캠(10)을 가지며, 상기한 편침(2),(20)이 야안캐리어를 경유하여 공급된 실을 편성하는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한 싱커(8),(80)를 작동 혹은 조정하는 싱커캠(10)의 유지수단(9) 및 싱커의 안내, 미끄럼수단(7a)이 역재두 원추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
  7. 제9항에 있어서, 싱커캠(10)의 유지수단(9) 및 싱커의 안내 미끄럼수단(7a)이, 10도 내지 45도의 경사각도를 갖는 환편기.
KR1019890010218A 1988-07-20 1989-07-19 편지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사용되는 환편기 KR960014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134688 1988-07-20
JP88-181346 1988-07-20
JP89-91281 1989-04-10
JP1091281A JP2805156B2 (ja) 1988-07-20 1989-04-10 編地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丸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188A KR910003188A (ko) 1991-02-27
KR960014596B1 true KR960014596B1 (ko) 1996-10-16

Family

ID=2643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218A KR960014596B1 (ko) 1988-07-20 1989-07-19 편지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사용되는 환편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05156B2 (ko)
KR (1) KR9600145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10B1 (ko) * 2004-02-10 2007-11-27 파이 룽 머시너리 밀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원형 편물기
KR100777604B1 (ko) * 2004-02-10 2007-11-27 파이 룽 머시너리 밀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원형 편물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8589U (ko) * 1988-11-29 1990-06-15
IT1398620B1 (it) * 2009-07-10 2013-03-08 Conti P "metodo di tessitura di un indumento quale un collant o simile , macchina per attuarlo ed indumento cosi' prodott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10B1 (ko) * 2004-02-10 2007-11-27 파이 룽 머시너리 밀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원형 편물기
KR100777604B1 (ko) * 2004-02-10 2007-11-27 파이 룽 머시너리 밀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원형 편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27548A (ja) 1990-05-16
KR910003188A (ko) 1991-02-27
JP2805156B2 (ja) 1998-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827B1 (ko) 환편기에서의 자카아드 편직물의 제조방법
KR960013904B1 (ko) 횡편기에 있어서 실안내방법 및 장치
KR970005845B1 (ko) 플레이팅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싱커
US4180993A (en) Sinker-needle motion reducer
KR970005846B1 (ko) 직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더블니트환편기
US4020653A (en) Sinker top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loop fabric
JP2022040970A (ja) 丸編機におけるジャカード編地編成機構、その編成機構を用いた編成方法及びその編成機構で用いられるシンカー
KR960014596B1 (ko) 편지의 제조방법 및 이것에 사용되는 환편기
US539051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jacquard pile fabric and sinkers used therein
JP2736384B2 (ja) 丸編機によるダブルフリース編地の製造方法
US27967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nitting pile fabric
EP0351935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fabric
CN212152587U (zh) 高密度织物的移圈装置
US3265021A (en) Linking chain stitch machine
JPS60199954A (ja) メツシユ編地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シンカ−
KR20040087939A (ko) 하드 비탄성 원료사(thread material)로니트웨어를 제조하기 위한 편직기 및 제조방법
EP0458073A1 (en) Take-off device for knitting machines
US1865385A (en) Process and machine for producing knitted fabric
KR0114188Y1 (ko) 편환이동구조 및 아일렛 편성구조용 리브 자카드 편성기
US2001653A (en) Reverse plating
JPS59137550A (ja) 編物の製造方法及び編機
KR102232288B1 (ko)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US3095717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JP2000314059A (ja) 丸編機におけるジャカード編地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ダブルシンカー
US3026694A (en)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