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690Y1 - 파일사 편직기 - Google Patents

파일사 편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690Y1
KR200293690Y1 KR2020020023601U KR20020023601U KR200293690Y1 KR 200293690 Y1 KR200293690 Y1 KR 200293690Y1 KR 2020020023601 U KR2020020023601 U KR 2020020023601U KR 20020023601 U KR20020023601 U KR 20020023601U KR 200293690 Y1 KR200293690 Y1 KR 200293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ile yarn
ring
guide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철
Original Assignee
송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철 filed Critical 송유철
Priority to KR2020020023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690Y1/ko

Links

Landscapes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일사 편직기에 관한 것으로, 편포(2)를 상부에 형성하여 격벽(113)을 형성하되 중앙에 침상홈(114)을 형성하고 침상홈(114)의 중앙에는 파일사(4)와 지면사(3)를 편포(2)의 고리형의 편환(2a)에 직조하는 고리바늘(111)을 형성하여 회전하면서 고리바늘(111)을 상하로 작동하여 편환(2a)에 파일사(4)와 지면사(3)를 직조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의 상부에 직각의 수평형상으로 형성되어 격벽(124)을 형성하되 중앙에 침상홈(125)을 형성하고 침상홈(125)의 중앙에는 파일사(4)를 절단하는 칼바늘(121)을 형성하며 칼바늘(121)의 좌우측에는 파일사(4)를 가이드 지지하는 가이드 고리(122)를 형성하여 파일사(4)를 가이드하면서 절단하는 다이얼(120)과, 상기 실린더(110)에 형성된 편포(2a)의 상부에 가이드 치차(131)가 위치하고 침상홈(114)에는 가이드 홈(132)을 형성하여 실린더(1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고리바늘(111)이 상승하강할 때 편포(2)의 편환(2a)을 지지하는 가이드 휠(130)을 포함하여 형성하므로 가이드 휠이 편환을 고정지지하므로 고리바늘의 인출속도와 강도를 줄여서 침상홈의 마모를 최소화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편환이 항상 하부에 형성되어 가이드하므로 편환이 찢어져도 원사만 재투입하면 짧은 시간에 정상가동 할수 있어 생산성이 높아지며 고품질의 원단을 생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일사 편직기 {A Knitting Machinefor Pile Thread}
본 고안은 브러쉬 원단을 제조하는 파일 편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차로 형성된 가이드 휠을 직조되는 지면사의 상부에 형성하여 재직시에 지면사의 편환이 상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파일사를 강하게 강제인출하지 않아도 되어 마모를 최소화하고 절사시 원단이 찢어진 부분이 쉽게 정리되어 생산성을 증대하고 고품질의 원단을 생산할 수 있으며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기계의 조작이 쉬운 파일사 편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일직물은 경사로 섬유사의 고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형성된 고리를 자른 것을 컷파일이라 하여 벨벳, 실(Seal), 아스프라칸, 모켓, 융단, 인조모피 등이 있고 자르지 않은 것을 언컷파일 또는 루프파일이라 하여 타월 등에 사용된다.
이런, 파일직물은 두껍고 탄력성이 있으며 보온성, 단열성, 흡음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부드러워 모직, 견직, 면직, 화섬직물 등에 사용되며 카펫, 의자, 커버, 커튼, 방한용 복지, 예복 등과 그 밖에 공업용으로서 단열재, 필터 등에 사용된다.
상기 파일 직물 중에 고리를 형성하여 컷팅하는 컷파일하여 형성하는 브러쉬 원단은 통칭 인조 밍크라고 일컬어 지며 주로 완구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상기 컷파일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직물로 편직된 지면사에 파일환을 형성하고형성된 파일환을 실린더와 다이얼 사이에서 칼바늘로 컷팅하여 브러쉬 원단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원단을 편직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일사 편직기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0)에 편포(2)를 형성하고 상부에 직각형태로 형성된 다이얼에 파일사(4)를 공급하면 다이얼(20)에 형성된 격벽(23)의 중앙에 칼바늘(21) 양측으로 형성된 가이드 고리(22)에 걸린 상태로 실린더(10)의 격벽 중앙에 형성된 고리바늘(11)이 상부로 인출되어 파일사(4)를 실린더에 형성된 편포(2)의 고리형 편환(2a)의 내부로 이끌고 내려와서 내부로 인입한 상태로 상부로 지면사(3)를 공급하여 고리바늘(11)을 인출하여 하부로 끌어내려 편환(2a)에 파일사(4)와 함께 직조된 상태에서 가이드 고리(22)에 걸린 파일사(4)를 중앙에 형성된 칼바늘(21)의 동작으로 절단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원단을 편직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파일사 편집기는 편포(2)의 하부에 형성된 실린더(10)의 고리바늘(11)이 상승할 때 편환(2a)을 잡아줄 수 없기 때문에 재직시 편포에서 편환이 바늘을 따라 올라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고리바늘(11)의 작동을 강하게 하여 파일사(4)를 당겨야 하므로 고리바늘(11)에 걸려있는 편환(2a)이 바늘을 강하게 당기는 작용을 하여 고리바늘(11) 등이 닿는 침상홈(12)의 마모가 쉽게 발생하여 니들라인을 편포(2)에 발생시킬 뿐 아니라 편집기 전반에 마모가 심해져 실린더(10) 및 다이얼(20) 기타 부품의 수명을 단축시켜 보수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품질에도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외적요인으로 원사가 절사되어 바늘에 걸려있던 원단이 찢어져 다시원사를 투입 구편환(2a)을 벗고 새로운 편환(2a)을 편성되어야 되지만 찢어진 부분은 고리바늘(11)이 파일사(4)를 당길수 없기 때문에 재 가동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의 편환(2)을 가이드하는 싱커(30)를 형성한 싱글기계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0)의 격벽(13)의 상부에 편포(2)의 편환(2a)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31)과 걸쇠(32)를 형성하여 가이드 홈(31)에 삽입된 편환(2a)이 상부에 걸쇠(32)에 걸리도록 싱커(30)를 형성하여 편직시에 편환(2a)을 가이드하여 상부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에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하였다고 볼수 있으나 싱크(30)를 이용한 싱글기계를 새롭게 만들어야 함으로 고가의 시설 투자비가 증대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편직기는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치차형상의 가이들 휠을 형성하여 휠의 구동에 의해 치차 사이에 생성된 가이드 홈에 침상홈이 위치하도록 하여 편포의 편환을 지지 가이드한 상태로 파일사와 지면사를 편직하므로 고리바늘의 인출속도와 강도를 줄여서 침상홈의 마모를 최소화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의 편직기의 편포가 부착되는 부분에 가이드 휠만을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조작이 용이하며 고품질의 원단을 생산할 수 있는 파일사 편직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편포의 상부에 가이드 휠을 설치하면 고리바늘이 상승하면서 편직할 때 편환이 항상 하부에 형성되므로 가이드 휠의 가이드 홈으로 고리바늘이 상승 하면 구편환이 고리바늘을 따라 올라가지 못하므로 편환이 찢어져도 원사만 재투입하면 짧은 시간에 정상가동 할수 있어 생산성이 높아지며 소모품비가 절감되고 고품질의 원단을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일사 편직기의 일부 절개 주요부분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파일사 편직기의 일부 절개 주요부분 사용상태 확대 사시도.
도 3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편직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편직기의 일부 절개 주요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편직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사 편직기의 일부 절개 주요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사 편직기의 주요부분을 나태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편직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따른 부호의 설명*
1 : 원단 2 : 편포
2a : 편환 3 : 지면사
4 : 파일사 100 : 편직기
110 : 실린더 111 : 고리바늘
112 : 가이드 편 113 : 격벽
114 : 침상홈 115 : 고리형 칼바늘
120 : 다이얼 121 : 칼바늘
122 : 가이드 고리 123 : 가이드 편
124 : 격벽 125 : 침상홈
126 : 고리바늘 130 : 가이드 휠
131 : 가이드 치차 132 : 가이드 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형성된 본 고안의 파일사 편직기는 고리형의 편환으로 형성된 편포에 파일사와 지면사를 직조하고 파일사를 컷팅하여 브러쉬 원단을 형성하는 파일사 편직기에 있어서, 상기 편포를 상부에 형성하여 격벽으로 구획을 나누어 중앙에 편포가 편직되는 침상홈을 형성하고 격벽의 끝단에는 파일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편을 형성하며 침상홈의 중앙에는 파일사와 지면사를 편포의 고리형의 편환에 직조하는 고리바늘을 형성하여 회전하면서 고리바늘을 상하로 작동하여 편환에 파일사와 지면사를 직조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과,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직각의 수평형태로 형성되어 격벽으로 구획을 나누고 격벽의 중앙에 침상홈을 형성하며 격벽의 끝단에는 파일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편을 형성하고 침상홈의 중앙에는 전후로 이동하면서 파일사를 절단하는 칼바늘을 형성하며 칼바늘의 좌우측에는 파일사를 절단하기 위하여 고리형태로 파일사를 가이드 지지하는 가이드 고리를 형성하여 실린더에서 편환에 직조되는 파일사를 가이드하면서 절단하는 다이얼과,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편포의 상부에 치차형상으로 격벽에 가이드 치차가 위치하고 침상홈에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실린더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실린더의 고리바늘이 상승하강할 때 편포의 편환을 지지하는 가이드 휠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에 특징으로 한다.
또는, 편포를 상부에 수평형태로 형성하여 일정 간격으로 돌출성형된 격벽으로 구획을 나누고 격벽에 중앙에는 침상홈을 형성하며 격벽의 끝단에는 가이드편을 형성하고 침상홈의 중앙에 고리바늘을 형성하여 고리바늘의 상하 이동으로 편포의 고리형 편환에 파일사와 지면사를 직조하는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의 하부에 직각의 수직형태로 형성되어 다이얼의 격벽과 같은 간격으로 돌출 성형된 격벽을 형성하고 격벽의 중앙에는 침상홈을 형성하며 침상홈의 중앙에는 칼과 고리가 함께 형성된 고리형 칼바늘을 형성하여 다이얼에서 직조된 파일사를 고리형 칼바늘로 절단하는 하는 실린더와, 상기 다이얼에 형성된 편포의 상부에 치차형상으로 격벽에 가이드 치차가 위치하고 침상홈에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다이얼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다이얼의 고리바늘이 상승하강할 때 편포의 편환을 지지하는 가이드 휠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편직기의 일부 절개 주요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편직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사 편직기의 일부 절개 주요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사 편직기의 주요부분을 나태내는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사 편직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파일사 편직기(100)는 수직의 원통형으로 전면에 격벽(113)을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성형하여 구획을 형성하고구획의 중앙에 형성된 침상홈(114)에서 원단을 직조하는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와 직각의 수평의 원통형상으로 상면에 격벽(124)을 실린더(110)의 격벽(113)과 같은 간격으로 돌출 성형하여 구획을 형성하고 구획의 중앙에 형성된 침상홈(125)에서 원단을 직조하는 다이얼(120)과, 각 실린더(110)와 다이얼(120) 중에 편포(2)가 형성된 측의 상부에 편포(2)의 편환(2a)을 지지고정하여 직조에 따른 가이드를 수행하도록 치차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휠(130)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110)는 수직의 원통형상으로 전면측으로 일정간격으로 격벽(113)을 돌출성형하여 구획을 나누고 격벽(113)의 사이에 침상홈(114)을 형성하되 침상홈(114)의 중앙에는 고리형상의 고리바늘(111)을 형성하여 고리바늘(113)의 상승과 하강으로 실린더(111)의 상부에 형성된 편포(2)의 편환(2a)에 파일사(4)와 지면사(3)를 직조하며 격벽(113)의 상부 끝단에는 격벽(113)과 같은 형상으로 돌출성형하여 편포(2)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편(112)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실린더(110)의 상부에 편포(2)를 형성하지 않고 파일사(4)를 절단할 때는 격벽(113)의 중앙에 형성된 침상홈(114)에 고리형상으로 고리의 하부에 칼을 형성한 고리형 칼바늘(115)을 설치하여 다이얼(120)에서 직조된 편포(2)에서 인출되는 파일사(4)를 가이드 휠(130)로 편환(2a)을 지지고정하면서 절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다이얼(120)은 실린더(110)의 상부에 직각형상으로 수평의 원통으로 형성하여 상부측으로 격벽(124)을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성형하고 격벽(124)의 중앙에 형성된 홈을 침상홈(125)으로 형성하며 침상홈(125)의 중앙에는 파일사(4)를 절단하도록 칼형태의 칼바늘(121)을 형성하고 칼바늘(121)의 좌우 양측에는 고리형태로 칼바늘(121)에 의해 파일사(4)가 절단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고리(122)를 형성하여 파일사(4)를 칼바늘(121)로 절단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며 격벽(124)의 전단에는 가이드편(123)을 설치하여 가이드 고리(122)와 함께 파일사(4)를 가이드 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다이얼(120)이 파일사(4) 절단을 하지 않고 편포(2)를 직조할 때는 침상홈(125)에 고리형상의 고리바늘(126)을 설치하여 편환(2a)을 가이드 휠(130)로 지지고정하면서 고리바늘(126)의 상하 작동으로 파일사(4)와 지면사(3)를 편환(2a)에 직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휠(130)은 원형 치차 형상으로 형성하여 원단(1)을 직조하기 위해서 위치하는 실린더(110)나 다이얼(120)에 편포(2)가 형성되는 부분의 각 격벽(113, 124)에 가이드 치차(131)가 맞닿도록 하고 침상홈(114, 125)과 가이드 홈(132)이 일치되도록 형성하여 편환(2a)을 가이드 치차(131)가 지지고정하고 가이드 홈(132)으로 각 고리바늘(111, 126)이 상하로 작동하도록 하여 고리바늘(111, 126)의 상하 작동시에 편환(2a)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린더(110)에 편포(2)가 직조될 때에는 먼저 실린더(110)의 상부에 편포(2)의 편환(2a)이 격벽(113)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부에서 공급되는 파일사(4)를 다이얼(120)의 가이드 고리(122)에 건 상태로 실린더(110)의 고리바늘(111)을 상승하여 하부 끌어내리면서 편환(2a)에 직조한다.
이렇게, 직조되면 가이드 휠(130)로 편환(2a)을 고정 지지한 상태로 고리 바늘(111)이 다시 상승하여 지면사(3)를 잡고 하부로 내려서 파일사(4)와 지면사(3)를 편환(2a)에 직조한다.
이때, 실린더(110), 다이얼(120) 및 가이드 휠(130)은 같은 속도비로 회전하면서 직조를 반복하며 가이드 휠(130)은 실린더(110)의 격벽(113)의 상부에 편환(2a)을 고정하는 위치에 형성하여 가이드 홈(132)에 침상홈(114)이 일치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이얼(120)에서 편포(2a)를 직조할 때는 다이얼(120)의 상부에 편포(2)를 형성하여 편포(2)의 편환(2a)이 격벽의 중앙 전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고리바늘(126)로 공급되는 파일사(4)를 실린더(110)의 고리형 칼바늘(115)의 고리에 걸린상태로 상부의 다이얼(120)의 침상홈(125)에 형성된 편환(2a)으로 끌어서 직조하고 직조된 상태에서 다이얼(120)과 같은 속도비로 회전하면서 격벽(124)에 가이드 치차(131)가 위치하고 침상홈(125)에 가이드 홈(132)이 위치하는 가이드 휠(130)을 편포(2)의 편환(2a)의 전면부에 고정지지되도록 형성하여 편환(2a)이 고정된 상태에서 고리바늘(126)이 상승하여 지면사(3)를 편환(2a)으로 끌어서 직조한다.
이런, 직조 공정후에 실린더(110)의 침상홈(114)에 형성된 고리형 칼바늘(115)을 상승시켜 파일사(4)를 절단하는 공정을 다이얼(120), 실린더(110) 및 가이드 휠(130)이 같은 속도비로 회전하면서 반복하여 원단(1)을 생산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파일사 절단장치는 실린더(110)에 편포(2)를 형성하여 편환(2a)에 파일사(4)와 지면사(3)를 직조할 때는 다이얼(120)의 격벽(124) 중앙에형성된 침상홈(125)의 내부에 설치된 칼바늘(121) 좌우측의 가이드 고리(122)에 파일사(4)를 거치한 상태에서 실린더(110)의 고리바늘(111)을 상승 하강하여 하부의 편환(2a)에 직조하고 실린더(110)와 같은 속도비로 회전하면서 격벽(113)의 상부에 편환(2a)을 고정 지지하도록 가이드 치차(131)를 형성하고 가이드 치차(131)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132)에 침상홈(114)이 위치하도록 하여 편포(2a)를 지지고정한 상태로 고리바늘(111)을 상승 하강하여 지면사(3)를 직조하고 다이얼(120)의 가이드고리(122)와 실린더(110)의 고리바늘(111)로 지지된 파일사(4)를 칼바늘(121)로 절단하는 공정을 거듭하여 원단(1)을 생산한다.
또는, 다이얼(120)에 편포(2a)를 형성할 때에는 고리바늘(126)을 다이얼(120)에 형성하고 실린더(110)에 고리형 칼바늘(115)을 형성하며 다이얼(120)의 편포(2a)의 전면부를 지지고정하는 위치에 가이드 휠(130)을 형성하여 편포(2)의 편환(2a)에 실린더(110)의 고리형 칼바늘(115)에 파일사(4)를 지지한 상태에서 다이얼(120)의 고리바늘(126)로 전면부에 형성된 편환(2a)에 끌어서 직조하고 다이얼(120)의 전면부에 형성된 편환(2a)을 가이드 휠(130)에 고정 지지한 상태로 고리바늘(126)을 상승하강 하여 지면사(3)를 직조한 후에 실린더(110)의 고리형 칼바늘(115)을 상승하강하여 파일사(4)를 절단하는 공정을 실린더(110), 다이얼(120) 및 가이드 휠(130)이 같은 속도비로 회전하면서 반복하여 원단(1)을 생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파일사 편직기는 고리형의 편환(2a)으로 형성된 편포(2)에 파일사(4)와 지면사(3)를 직조하고 파일사(4)를 컷팅하여 브러쉬 원단(1)을 형성하는 파일사 편직기(100)에 있어서, 상기 편포(2)를 상부에 형성하여 격벽(113)으로 구획을 나누어 중앙에 편포(2)가 편직되는 침상홈(114)을 형성하고 격벽(113)의 끝단에는 파일사(4)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편(112)을 형성하며 침상홈(114)의 중앙에는 파일사(4)와 지면사(3)를 편포(2)의 고리형의 편환(2a)에 직조하는 고리바늘(111)을 형성하여 회전하면서 고리바늘(111)을 상하로 작동하여 편환(2a)에 파일사(4)와 지면사(3)를 직조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의 상부에 직각의 수평형상으로 형성되어 격벽(124)으로 구획을 나누고 격벽(124)의 중앙에 침상홈(125)을 형성하며 격벽(124)의 끝단에는 파일사(4)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편(123)을 형성하고 침상홈(125)의 중앙에는 전후로 이동하면서 파일사(4)를 절단하는 칼바늘(121)을 형성하며 칼바늘(121)의 좌우측에는 파일사(4)를 절단하기 위하여 고리형태로 파일사(4)를 가이드 지지하는 가이드 고리(122)를 형성하여 실린더(110)에서 편환(2a)에 직조되는 파일사(4)를 가이드하면서 절단하는 다이얼(120)과, 상기 실린더(110)에 형성된 편포(2a)의 상부에 치차형상으로 격벽(113)에 가이드 치차(131)가 위치하고 침상홈(114)에는 가이드 홈(132)을 형성하여 실린더(1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실린더(110)의 고리바늘(111)이 상승하강할 때 편포(2)의 편환(2a)을 지지하는 가이드 휠(130)을 포함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편포(2a)를 상부에 수평형태로 형성하여 일정 간격으로 돌출 성형된 격벽(124)으로 구획을 나누고 격벽(124)에 중앙에는 침상홈(125)을 형성하며 격벽(124)의 끝단에는 가이드편(123)을 형성하고 침상홈(125)의 중앙에 고리바늘(126)을 형성하여 고리바늘(126)의 상하 이동으로 편포(2)의 고리형 편환(2a)에 파일사와 지면사(4)를 직조하는 다이얼(120)과, 상기 다이얼(120)의 하부에 직각으로 수직형태로 형성되어 다이얼(120)의 격벽(124)과 같은 간격으로 돌출 성형된 격벽(113)을 형성하고 격벽(113)의 중앙에는 침상홈(114)을 형성하며 침상홈(114)의 중앙에는 칼과 고리가 함께 형성된 고리형 칼바늘(115)을 형성하여 다이얼(120)에서 직조된 파일사(4)를 고리형 칼바늘(115)로 절단하는 하는 실린더(110)와, 상기 다이얼(120)에 형성된 편포(2)의 상부에 치차형상으로 격벽(124)에 가이드 치차(131)가 위치하고 침상홈(125)에는 가이드 홈(132)을 형성하여 다이얼(12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다이얼(120)의 고리바늘(126)이 상승하강할 때 편포(2)의 편환(2a)을 지지하는 가이드 휠(130)을 포함하여 형성하므로 치차형상의 가이들 휠을 편환 위치에 형성하고 휠의 구동에 의해 치차 사이에 생성된 가이드 홈에 침상홈이 위치하도록 하여 편포의 편환을 지지 가이드한 상태로 파일사와 지면사를 편직하므로 고리바늘의 인출속도와 강도를 줄여서 침상홈의 마모를 최소화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의 편직기의 편포가 부착되는 부분에 가이드 휠만을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조작이 용이하며 편포의 상부에 가이드 휠을 설치되므로 고리바늘이 상승하면서 편직할 때 편환이 항상 하부에 형성되므로 가이드 휠의 가이드 홈으로 고리바늘이 상승 하면 구편환이 고리바늘을 따라 올라가지 못하므로 편환이 찢어져도 원사만 재투입하면 짧은 시간에 정상가동 할수 있어 생산성이 높아지며 소모품비가 절감되고 고품질의 원단을 생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고리형의 편환(2a)으로 형성된 편포(2)에 파일사(4)와 지면사(3)를 직조하고 파일사(4)를 컷팅하여 브러쉬 원단(1)을 형성하는 파일사 편직기(100)에 있어서,
    상기 편포(2)를 상부에 형성하여 격벽(113)으로 구획을 나누어 중앙에 편포(2)가 편직되는 침상홈(114)을 형성하고 격벽(113)의 끝단에는 파일사(4)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편(112)을 형성하며 침상홈(114)의 중앙에는 파일사(4)와 지면사(3)를 편포(2)의 고리형의 편환(2a)에 직조하는 고리바늘(111)을 형성하여 회전하면서 고리바늘(111)을 상하로 작동하여 편환(2a)에 파일사(4)와 지면사(3)를 직조하도록 수직으로 형성된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의 상부에 직각의 수평형상으로 형성되어 격벽(124)으로 구획을 나누고 격벽(124)의 중앙에 침상홈(125)을 형성하며 격벽(124)의 끝단에는 파일사(4)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편(123)을 형성하고 침상홈(125)의 중앙에는 전후로 이동하면서 파일사(4)를 절단하는 칼바늘(121)을 형성하며 칼바늘(121)의 좌우측에는 파일사(4)를 절단하기 위하여 고리형태로 파일사(4)를 가이드 지지하는 가이드 고리(122)를 형성하여 실린더(110)에서 편환(2a)에 직조되는 파일사(4)를 가이드하면서 절단하는 다이얼(120)과,
    상기 실린더(110)에 형성된 편포(2a)의 상부에 치차형상으로 격벽(113)에 가이드 치차(131)가 위치하고 침상홈(114)에는 가이드 홈(132)을 형성하여 실린더(11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실린더(110)의 고리바늘(111)이 상승하강할때 편포(2)의 편환(2a)을 지지하는 가이드 휠(130)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사 편집기.
  2. 제 1항에 있어서,
    고리형의 편환(2a)으로 형성된 편포(2)에 파일사(4)와 지면사(3)를 직조하고 파일사(4)를 컷팅하여 브러쉬 원단(1)을 형성하는 파일사 편직기(100)에 있어서,
    상기 편포(2a)를 상부에 수평형태로 형성하여 일정 간격으로 돌출 성형된 격벽(124)으로 구획을 나누고 격벽(124)에 중앙에는 침상홈(125)을 형성하며 격벽(124)의 끝단에는 가이드편(123)을 형성하고 침상홈(125)의 중앙에 고리바늘(126)을 형성하여 고리바늘(126)의 상하 이동으로 편포(2)의 고리형 편환(2a)에 파일사와 지면사(4)를 직조하는 다이얼(120)과,
    상기 다이얼(120)의 하부에 직각으로 수직형태로 형성되어 다이얼(120)의 격벽(124)과 같은 간격으로 돌출 성형된 격벽(113)을 형성하고 격벽(113)의 중앙에는 침상홈(114)을 형성하며 침상홈(114)의 중앙에는 칼과 고리가 함께 형성된 고리형 칼바늘(115)을 형성하여 다이얼(120)에서 직조된 파일사(4)를 고리형 칼바늘(115)로 절단하는 하는 실린더(110)와,
    상기 다이얼(120)에 형성된 편포(2)의 상부에 치차형상으로 격벽(124)에 가이드 치차(131)가 위치하고 침상홈(125)에는 가이드 홈(132)을 형성하여 다이얼(120)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다이얼(120)의 고리바늘(126)이 상승하강할때 편포(2)의 편환(2a)을 지지하는 가이드 휠(130)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사 편집기.
KR2020020023601U 2002-08-07 2002-08-07 파일사 편직기 KR200293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601U KR200293690Y1 (ko) 2002-08-07 2002-08-07 파일사 편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601U KR200293690Y1 (ko) 2002-08-07 2002-08-07 파일사 편직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481A Division KR100514455B1 (ko) 2002-08-07 2002-08-07 파일사 편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690Y1 true KR200293690Y1 (ko) 2002-11-01

Family

ID=7312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601U KR200293690Y1 (ko) 2002-08-07 2002-08-07 파일사 편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6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22A (ko) 2015-06-26 2017-01-04 송유철 기모원단과 표면원단을 터크편에서 실로 합포한 원단과 그 편직방법 및 편직기
KR20180087861A (ko) * 2017-01-25 2018-08-02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경편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22A (ko) 2015-06-26 2017-01-04 송유철 기모원단과 표면원단을 터크편에서 실로 합포한 원단과 그 편직방법 및 편직기
KR20180087861A (ko) * 2017-01-25 2018-08-02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경편기
KR102006805B1 (ko) 2017-01-25 2019-08-02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경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60980B (zh) 一种双面结构纬编割绒针织物及其编织方法
US3021698A (en) Method of knitting a two faced pile fabric
US1801167A (en) Knitting machine
CN113638119B (zh) 一种三贾卡双针床经编织物的工艺
KR200293690Y1 (ko) 파일사 편직기
KR101206793B1 (ko) 환편기용 파일사 절단장치
KR100514455B1 (ko) 파일사 편직기
CN108018649B (zh) 绳绣面料的编织方法
US4581905A (en) Process and weaving machine to produce patterned fabrics
US2094180A (en) Knitting method and machine therefor
US5031422A (en) Method and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patterned knitwear
KR101247071B1 (ko) 스판과 원사로 제직된 더블 니트 스판 자카드 원단, 이의 제직방법 및 이의 제직에 사용되는 자카드 형성용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
US2827866A (en) Looper mechanism for multiple needle tufting machines
US2893226A (en) Knitting machines and methods
KR102227545B1 (ko) 양면에 기모가 형성된 벨루어 제조용 환편기 및 이 환편기에서 편직된 양면에 기모가 형성된 벨루어
US65199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nitting a fabric with a lay-in yarn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2936601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s for knitting fabrics having terry loops on both sides thereof
KR200282323Y1 (ko) 파일사 절단 장치
KR100985116B1 (ko) 고밀도 환편직물의 제조 방법
US3675447A (en) Simulated-weave, warp-knit fabric,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GB1384522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making weft knitted fabrics including ground yarns and weft yarns held together by said loops
CN1958904A (zh) 编织机导纱装置
CN218812455U (zh) 一种长短毛编织用的山角装置及一种割圈绒针织机
US3124944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pile fabrics
CN113417061B (zh) 一种双面一体割绒面料的织造装置及织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6

Year of fee payment: 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