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437B1 - 필러 고함량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Google Patents

필러 고함량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437B1
KR102571437B1 KR1020210094383A KR20210094383A KR102571437B1 KR 102571437 B1 KR102571437 B1 KR 102571437B1 KR 1020210094383 A KR1020210094383 A KR 1020210094383A KR 20210094383 A KR20210094383 A KR 20210094383A KR 102571437 B1 KR102571437 B1 KR 102571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e resin
filler
epoxy
polyphenylene sulf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3525A (ko
Inventor
김익환
박준상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437B1/ko
Priority to EP22846127.3A priority patent/EP4375334A1/en
Priority to PCT/KR2022/010181 priority patent/WO2023003257A1/ko
Priority to CN202280049042.7A priority patent/CN117651740A/zh
Publication of KR20230013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204Polyarylenethio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5/02Polythioethers
    • C08G75/0204Polyarylenethioethers
    • C08G75/0209Polyarylenethioethers derived from monomers containing one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sulfo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1/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polysulfo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무기필러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이종 재료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고, 물성이 우수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러 고함량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Polyphenylenesulfide complex resin containing high content of filler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우수한 에폭시 접합 특성을 갖으면서 고유동성, 고인성, 고 강도 물성을 가지는 필러 고함량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기기 부품, 자동차 기기 부품, 또는 화학 기기 부품 등의 재료로서 알루미늄이나 아연 같은 다이캐스팅 금속들이 광학부품, 전기전자 부품과 같은 정밀 부품에 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금속 부품들이 최근 열가소성 수지, 주로 강화 플라스틱으로 대체되고 있다.
상기 부품에 사용되는 소재는 높은 내열성을 가지면서, 내화학성 및 약품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열가소성 수지 중 하나로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PPS 수지의 강도 등의 물성 향상을 위해, 유리섬유 등과 같은 무기필러를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무기필러로 물성을 강화한 PPS 수지는 다른 고성능 수지에 비교하면 내충격 특성이 떨어지고, 인장신율이 낮은 단점이 있으며, 타 고분자 복합재료 대비 이종 소재에 대한 접합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특히, 에폭시 수지에 대한 접착 특성이 좋지 않아서, PPS 수지의 용도가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최근 xEV(HEV, EV, FCEV) 자동차용 컨덴서 케이스, 전기모터 주변 부품 등과 같은 성형제품에 있어 제품 내구성과 원가절감을 목적으로 에폭시 수지에 대한 접착 성능이 우수한 PPS복합 재료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09-0064395호(공개일 2009.06.18)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8-0103902호(공개일 2018.09.1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기필러를 고 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이종 재료에 대한 접합 특성이 우수하고,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 조성 및 조성비를 가지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복합 수지는 MFR(Melt-flow rate, 315℃, 2.16kg 하중 기준)가 350.0 g/10분 이상이며, H+의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수지;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에폭시 수지; 및 무기필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H+의 말단기를 가지는 PPS 수지는 COOH기를 말단기로 포함하는 PPS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폴리(C1~C5의 알킬렌-co-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Poly(C1~C5 alkylene-co-glycidyl methacrylate); 2-프로페노익산, 2-(C1~C5의 알킬)-, 옥시라닐메틸에스테르, (C1~C5의 알켄)과 에테닐 아세테이트 (2-Propenoic acid, 2-(C1~C5 alkyl), oxiranylmethyl ester, polymer with C1~C5 alkene and ethenyl acetate); 및 (C1~C5 알킬렌)-1-(C7~C10의 알켄) 코폴리머((C1~C5 alkylene)-1-(C7~C10 alkene) copolymer);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기 당량 30 ~ 100 g/eq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무기필러는 커플링제로 표면처리된 무기필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기필러는 유리섬유, 글라스 비즈, 탄산칼슘 및 탈크(Talc)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커플링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커플링제, 유기실란계 커플링제, 유기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유기보란계 커플링제 및 에폭시계 커플링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는 상기 무기필러 55 ~ 72 중량%,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0.1 ~ 0.99 중량%, 상기 에폭시 수지 1.5 ~ 3.0 중량% 및 잔량의 상기 PPS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는 MFR(Melt-flow rate, 315℃, 2.16kg 하중 기준)가 8.0 g/10분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는 용융점도가 400 1/s에서 330 Pas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는 에폭시 접착제에 대한 접착강도가 6.0 Mpa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는 인장강도(ISO 527-1,2 측정 기준) 175MPa 이상, 인장신율(ISO 527-1,2 측정 기준) 1.1%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는 충격강도(ISO 179-1 측정 기준) 9.0 KJ/m2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PPS 복합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성형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성형품은 HEV(Hybrid Electric Vehicles), mHEV(Mild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FCEV((Fuel cell Hybrid Electric Vehicles), BEV(Battery Electric Vehicles) 등을 포함하는 xEV(electric Vehicle)의 자동차 부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xEV 자동차 부품은 캐퍼시터 케이스(Capacitor case), 컨덴서 케이스, 배터리 케이스, 냉각순환부품 등 전기 모터 주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는 인장강도, 인장신율,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이종 재료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며, 적정 용융질량흐름을 가지고, 에폭시 경화 반응에 의한 증점 현상에 의한 사출 성형시 구금 막힌 현상이 없어서 안정적인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는 높은 물성이 요구되는 xEV제조에 사용되는 자동차 부품(예를 들면, 캐퍼시터 케이스, 컨덴서 케이스, 배터리 케이스, 냉각순환부품 등), 전기 모터 주변 부품 등과 같은 다양한 성형품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실험예 1의 접착강도, 접착 파괴 행태 확인 실험시 사용된 PPS 복합수지 성형체 및 실험 방법에 대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이하, 'PPS 복합 수지'로 칭한다)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는 PPS 수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에폭시 수지 및 무기필러를 포함한다.
PPS 복합 수지 조성 중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PPS 복합 수지의 내충격 등의 물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α-올레핀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C1~C5의 알킬렌-co-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Poly(C1~C5 alkylene-co-glycidyl methacrylate); 2-프로페노익산, 2-(C1~C5의 알킬)-, 옥시라닐메틸에스테르, (C1~C5의 알켄)과 에테닐 아세테이트를 가지는 폴리머(2-Propenoic acid, 2-methyl-, oxiranylmethyl ester, polymer with ethene and ethenyl acetate); 및 (C1~C5 알킬렌)-1-(C7~C10의 알켄) 코폴리머((C1~C5 alkylene)-1-(C7~C10 alkene) copolymer);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C1~C3의 알킬렌-co-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프로페노익산, 2-(C1~C3의 알킬)-, 옥시라닐메틸에스테르, (C2~C3의 알켄)과 에테닐 아세테이트를 가지는 폴리머; 및 (C1~C3 알킬렌)-1-(C7~C9의 알켄) 코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른 조성물과의 혼용성 및 PPS 복합수지의 적정 물성 확보 측면에서 폴리(C1~C2 알킬렌)-co-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프로페노익산, 2-메틸-, 옥시라닐메틸에스테르, 에텐과 에테닐 아세테이트를 가지는 폴리머(Cas No. 36604-80-5); 및 (C1~C2 알킬렌)-1-(C7~C9의 알켄) 코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PPS 복합 수지 내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함량은 복합 수지 전체 중량 중 0.10 ~ 0.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20 ~ 0.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 ~ 0.70 중량%이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PPS 복합 수지의 충격강도가 낮은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은 우수하나, 접착강도가 오히려 낮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PPS 복합 수지 조성 중 상기 에폭시 수지는 이종 소재와의 접합력 증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알킬 변성 트리 페놀 메탄형 에폭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 변성 페놀형 에폭시 수지 및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폭시기 당량 30 ~ 100 g/eq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폭시기 당량 35 ~ 70 g/eq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PPS 복합 수지 내 상기 에폭시 수지의 함량은 복합 수지 전체 중량 중 0.8 ~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3.2 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3.0 중량%이며,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0.8 중량% 미만이면 PPS 복합 수지의 이종 소재에 대한 접합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3.5 중량%를 초과하면 성형시 에폭시 수지의 경화 반응에 의한 증점 형상으로 성형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 및 구금이 막혀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PPS 복합 수지 조성 중 무기필러는 PPS 복합 수지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무기필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무기필러는 유리섬유, 글라스 비즈, 탄산칼슘 및 탈크(Talc)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기필러를 커플링제로 표면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커플링제, 유기실란계 커플링제, 유기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유기보란계 커플링제 및 에폭시계 커플링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PPS 복합 수지에 적용되는 무기필러의 바람직한 일구현예를 들면, 직경이 9 ~ 23㎛인 유리섬유를 유기실란계 커플링제인 트리메톡시 실란으로 표면 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리고, PPS 복합 수지 내 상기 무기필러의 함량은 복합 수지 전체 중량 중 55 ~ 72 중량%, 바람직하게는 57.5 ~ 7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8.5 ~ 70.5 중량%이며, 무기필러의 함량이 55 중량% 미만이면 제조하고자 하는 높은 기계적 물성을 지닌 PPS 복합 수지를 제조할 수 없을 수 있으며, 무기필러 함량이 72 중량%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복합 수지 내 PPS 수지 함량이 너무 적어서 오히려 복합 수지의 물성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에 사용되는 PPS 수지는 H+의 말단기를 가지는 PPS 수지,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COOH)를 말단기로 가지는 PPS 수지로서, MFR(Melt-flow rate, 315℃, 2.16kg 하중 기준)가 350.0 g/10분 이상인 PPS 수지를, 바람직하게는 MFR 360 ~ 480 g/10분인 PPS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PPS 수지를 MFR 350.0 g/10분 미만인 것을 사용하면 컴파운드 압출 시 점도가 상승하는 문제로 생산 저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의 MFR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 내 PPS 수지의 함량은 복합 수지 100 중량% 중 앞서 설명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에폭시 수지 및 무기필러 외에 나머지 잔량 중량%이다.
앞서 설명한 조성 및 조성비를 가지는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는 MFR(Melt-flow rate, 315℃, 2.16kg 하중 기준)이 8.0 g/10분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MFR이 8.0 ~ 30.0 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MFR이 8.0 ~ 20.0 g/10분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는 용융점도가 400 1/s에서 330 Pas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는 에폭시 접착제에 대한 접착강도가 6.0 Mpa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 Mpa ~ 20.0 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Mpa ~ 16.0 Mpa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는 인장강도(ISO 527-1,2 측정 기준) 175MPa 이상, 인장신율(ISO 527-1,2 측정 기준) 1.1%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장강도 178 ~ 210 MPa 및 인장신율 1.1 ~ 2.0%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장강도 180 ~ 210 MPa 및 인장신율 1.1 ~ 1.5%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는 PPS 복합 수지는 충격강도(ISO 179-1 측정 기준) 9.0 KJ/m2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0 ~ 16.0 KJ/m2,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15.0 KJ/m2을 만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PPS 복합 수지는 고강성, 고인성, 치수 안정성 및 이종 접합 특성이 요구되는 성형품 제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례를 들면, HEV(Hybrid Electric Vehicles), mHEV(Mild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FCEV((Fuel cell Hybrid Electric Vehicles), BEV(Battery Electric Vehicles) 등을 포함하는 xEV(electric Vehicle)의 자동차 부품일 수 있다. 일구현예를 들면, 본 발명의 상기 성형품은 캐퍼시터 케이스, 컨덴서 케이스, 배터리 케이스, 냉각순환부품 등 전기 모터 주변 부품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PPS 복합수지의 제조
MFR(315℃, 2.16kg 하중 기준) 390~395 g/10분이고, 카르복실기(-COOH) 말단기를 가지는 PPS 수지(제조사:TORAY)를 준비하였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 2-프로페노익산, 2-메틸-, 옥시라닐메틸에스테르, 에텐과 에테닐 아세테이트를 가지는 폴리머(Cas No. 36604-80-5)를 준비하였다.
에폭시 수지로서, 에폭시 당량 약 43g/mol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준비하였다.
무기필러로서, 트리메톡시 실란으로 표면 처리한 직경 9 ~ 16 ㎛인 유리섬유를 준비하였다.
상기 PPS 수지,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상기 에폭시 수지 및 상기 무기필러를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혼합하여 PPS 복합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5 및 비교예 1 ~ 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을 사용하되,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이 함량을 달리하여 PPS 복합수지를 제조하여, 실시예 2 ~ 5 및 비교예 1 ~ 8을 각각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PS 복합수지를 제조하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 폴리(메틸렌-co-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PS 복합수지를 제조하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 에틸렌-1-옥텐 코폴리머를 사용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무기
필러
60.00 60.00 70.00 70.00 60.00 60.00 70.00 70.00
올레핀계엘라스토머 0.38 0.36 0.28 0.26 0.39 0.35 0.29 0.25
에폭시수지 1.50 3.00 1.50 3.00 0.00 4.00 0.00 4.00
PPS 수지 나머지 잔량 100 중량%
구분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무기
필러
60.00 60.00 60.00 60.00 60.00 54.00 73.00
올레핀계엘라스토머 0.20 0.38 0.38 0.08 1.10 0.38 0.28
에폭시수지 2.00 1.50 1.50 2.00 2.00 1.50 1.50
PPS 수지 나머지 잔량 100 중량%
실험예 : PPS 복합수지의 물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 에서 제조한 PPS 복합수지의 인장강도, 인장신율, 충격강도, 에폭시 접착강도 및 에폭시 접착 파괴 행태, 흐름성(MFR) 및 압출생산성(1ton 이상)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1) 인장강도 및 인장신율 측정방법
ISO 527-1,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충격강도
ISO 179-1에 의거하여, 23℃, V-노치 샤르피(V-notched charpy)로 측정하였다.
(3) 에폭시 접착강도 및 에폭시 접착 파괴 행태
에폭시 접착강도 및 에폭시 접착 파괴 행태는 PPS 복합수지 성형체로 ASTM 인장 시험편을 제조한 다음, 상기 시험편을 절반을 자르고 단면의 한쪽 면에 에폭시 접착제(제조사: ESP CHEMICAL IND. CO. LTD., 상품명:H-560D & EC260(D))를 도포한 후, 도 1과 같이 5mm 오버랩시킨 후 80℃에서 2시간 열처리한 후, 100℃에서 4.5 시간 동안 열 처리한 후 2 mm/min 속도로 시험편을 인장시켜서 측정하였다. 그리고, 에폭시 접착 파괴 행태 평가는 다음과 같다.
◎: 모재파괴 (접착제 + 모재 파괴), ○: 응집파괴 (접착제 파괴), ×: 계면박리
(4) 흐름성(MFR) 및 압출생산성
PPS 복합 수지의 흐름성(MFR) 및 압출생산성은 315℃, 하중 2.16 kg 조건으로 측정한 것이며, 압출생산성은 PPS 복합 수지를 1톤 이상으로 압출 성형한 후, 구금 막힘 발생 여부, 성형 불량 등 불량 발생 여부로 판단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인장강도
(Mpa)
180 180 175 175 175 175 170 165
인장신율
(%)
1.2 1.1 1.1 1.0 1.0 0.9 0.9 0.8
충격강도(KJ/m2) 12.3 10.4 10.6 9.5 10.1 9.0 8.3 8.4
접착강도(Mpa) 9.3 11.2 6.6 7.4 3.4 12.5 2.1 8.3
에폭시
접착파괴행태
× ×
흐름성(MFR, g/10분) 14.4 12.3 9.3 8.2 18.2 6.1 13.5 4.0
압출 생산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양호 불량
구분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인장강도
(Mpa)
178 178 177 174 185 167 163
인장신율
(%)
1.1 1.3 1.2 0.9 1.3 1.4 0.8
충격강도(KJ/m2) 10.7 12.0 11.7 8.4 11.6 7.8 12.0
에폭시에 대한
접착강도(Mpa)
9.5 9.2 8.9 9.5 5.8 10.1 4.7
에폭시
접착파괴행태
× ×
흐름성(MFR, g/10분) 14.8 14.0 14.7 15.4 8.8 17.5 7.6
압출 생산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상기 표 3 및 표 4의 물성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 8의 본 발명의 경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흐름성이 좋아서 압출 성형품 제조시 압출 생산성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이에 반해,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경우, 에폭시 접착강도가 4.0 Mpa 이하로 낮고, 접착 파괴 행태가 계면 박리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에폭시 수지를 3.50 중량% 초과 사용한 비교예 2 및 비교예 4의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서 흐름성을 측정할 수 없었으며, 압출 성형시, 구금 막힘이 발생하고, 성형이 불량하여 생산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 실시예 5(0.2 중량%)와 비교할 때, 충격강도가 크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1.0 중량% 초과한 1.1 중량%로 사용한 비교예 6의 경우, 충격강도는 우수하나, 접착강도가 크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무기필러를 55 중량%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7의 경우,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접착강도는 우수하나, 나머지 기계적 물성이 크게 낮은 문제가 있었다.
무기필러를 73 중량%로 과량 사용한 비교예 8의 경우,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인장강도 및 신율을 좋으나, 오히려 충격강도 및 접착강도가 낮아지고, 흐름성 및 압출생산성이 저조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PPS 복합수지가 무기필러를 고함량으로 포함하면서도, 우수한 접착성,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성형품, 바람직하게는 압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MFR(Melt-flow rate, 315℃2.16kg 하중 기준)가 360 ~ 480 g/10분이며, H+의 말단기를 가지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수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에폭시 수지; 및 무기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필러 58.5 ~ 72 중량%,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0.20 ~ 0.90 중량%, 상기 에폭시 수지 0.8 ~ 3.5 중량% 및 잔량의 상기 PPS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2-프로페노익산, 2-(C1~C5의 알킬)-, 옥시라닐메틸에스테르, (C1~C5의 알켄)과 에테닐 아세테이트(2-Propenoic acid, 2-(C1~C5 alkyl), oxiranylmethyl ester, polymer with C1~C5 alkene and ethenyl acetate); 및 (C1~C5 알킬렌)-1-(C7~C10의 알켄) 코폴리머((C1~C5 alkylene)-1-(C7~C10 alkene) copolymer);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는, MFR(Melt-flow rate, 315℃2.16kg 하중 기준)이 8.0 g/10분 이상이고, 에폭시 접착제에 대한 접착강도가 6.0 Mpa 이상이며, 용융점도가 400 1/s에서 330 Pas 이하이고, 인장강도(ISO 527-1,2 측정 기준) 175MPa 이상이고, 인장신율(ISO 527-1,2 측정 기준) 1.1% 이상이며, 충격강도(ISO 179-1 측정 기준) 9.0 KJ/m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고함량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기 당량 30 ~ 100 g/eq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필러 고함량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필러는 커플링제로 표면처리된 무기필러를 포함하며,
    상기 무기필러는 유리섬유, 글라스 비즈, 탄산칼슘 및 탈크(Talc)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고함량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커플링제, 유기실란계 커플링제, 유기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유기보란계 커플링제 및 에폭시계 커플링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고함량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필러 고함량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xEV(electric Vehicle)용 캐퍼시터 케이스(Capacitor case) 또는 전기모터 주변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210094383A 2021-07-19 2021-07-19 필러 고함량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57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383A KR102571437B1 (ko) 2021-07-19 2021-07-19 필러 고함량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EP22846127.3A EP4375334A1 (en) 2021-07-19 2022-07-13 High-filler content polyphenylene sulfide composite resi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PCT/KR2022/010181 WO2023003257A1 (ko) 2021-07-19 2022-07-13 필러 고함량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202280049042.7A CN117651740A (zh) 2021-07-19 2022-07-13 含有高含量填料的聚苯硫醚复合树脂及使用其的成型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383A KR102571437B1 (ko) 2021-07-19 2021-07-19 필러 고함량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525A KR20230013525A (ko) 2023-01-26
KR102571437B1 true KR102571437B1 (ko) 2023-08-25

Family

ID=8497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383A KR102571437B1 (ko) 2021-07-19 2021-07-19 필러 고함량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75334A1 (ko)
KR (1) KR102571437B1 (ko)
CN (1) CN117651740A (ko)
WO (1) WO202300325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926A (ja) * 2004-04-19 2005-11-04 Toray Ind Inc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507B1 (ko) * 2003-11-21 2006-03-31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5339912B2 (ja) 2006-09-25 2013-11-13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成形品
KR101944898B1 (ko) * 2012-06-11 2019-02-01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92454A (ko) * 2012-12-28 2014-07-24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JP6274352B2 (ja) 2016-01-26 2018-02-07 東レ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136316A (ko) *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아릴렌 설파이드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6926A (ja) * 2004-04-19 2005-11-04 Toray Ind Inc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525A (ko) 2023-01-26
EP4375334A1 (en) 2024-05-29
CN117651740A (zh) 2024-03-05
WO2023003257A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9135B1 (en) Multilayered cylindrical molding
JP6724916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自動車構造パネル用接着剤組成物
KR101511534B1 (ko) 스틸 인서트용 열경화성 수지 성형물
WO2005075596A1 (ja) 接着剤組成物および熱可塑性エラストマ製モールディング付きガラス板
EP1582339A1 (en) Fuel tube
CN107793747A (zh) 用于泡沫注射的长碳纤维增强的热塑性树脂组合物和使用该组合物制备的模制品
US11091635B1 (en) Polyarylene sulfide-based resin composition and insert-molded product
KR102571437B1 (ko) 필러 고함량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9809707B2 (en) Polymer resin composition, polymer composite tape, and front bumper of automobile
US10174231B2 (en) Hot-melt adhesive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vehicle headlamp
KR101147386B1 (ko) 폴리올레핀 복합소재 조성물
EP1548082A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glass plate with thermoplastic elastomer molding
JP2003001770A (ja) 自動車部品用積層体
KR101257820B1 (ko) 폴리올레핀 복합소재 조성물
JP3500429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102179471B1 (ko) 전도성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KR20210027556A (ko) 이종소재 접합용 접착포,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P4802555B2 (ja) 成型用樹脂組成物
JP2846415B2 (ja) 振動減衰性複合金属板
JPH07122056B2 (ja) 複合型制振材料用組成物
KR102558322B1 (ko) 탄소섬유 복합수지 조성물과 탄소섬유 복합수지 및 이를 이용한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프리프레그와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KR20240003152A (ko) 폴리페닐렌설파이드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동차용 성형품
KR100576331B1 (ko) 증착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2150420B1 (ko) 폴리아릴렌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용 성형품
KR20210038747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