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410B1 -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410B1
KR102569410B1 KR1020220071345A KR20220071345A KR102569410B1 KR 102569410 B1 KR102569410 B1 KR 102569410B1 KR 1020220071345 A KR1020220071345 A KR 1020220071345A KR 20220071345 A KR20220071345 A KR 20220071345A KR 102569410 B1 KR102569410 B1 KR 102569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cale
measuring device
measu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박인건
최재혁
권서정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220071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F16L55/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being self-conta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46Launching or retrieval of pigs or mo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 F16L2101/12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내부에 측정장치가 수용되어 배관의 노후를 예측하여 교체 시기를 정확히 판단함과 동시에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하여 배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배관과 배관의 외측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복수의 플랜지를 고정하는 연결조인트와 연결조인트에 형성되며,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개폐장치와 개폐장치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배관 내부의 유량, 유속, 스케일 중 선택된 하나를 측정 및 제거하는 측정장치와 측정장치를 통신하며, 배관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측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Scale Measuring and Removal Apparatus of Pipelines}
본 발명은 배관 내부에 측정장치가 수용되어 배관의 노후를 예측하여 교체 시기를 정확히 판단함과 동시에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하여 배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하수 및 오수 배관 내부의 균열탐지를 위한 모바일 로봇에 있어서, 하수 및 오수 배관 내부를 이동하기 위한 구동부, 상기 하수 및 오수 배관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전방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공기를 분출하는 에어건, 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하수 및 오수 배관의 균열을 탐지하는 음파 측정부, 상기 탐지된 음파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하수 및 오수 배관의 균열을 판단하는 판단부, 그리고 상기 하수 및 오수 배관에 균열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지점에서 상기 구동부를 정지시키고,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컨트롤부가 구비된 로봇몸체의 전방 상측에는 CCD카메라를 설치하고 후단에는 작동케이블연결구를 설치하며, 로봇몸체의 외측에는 작동장치에 의해 절첩 전개되는 바퀴절첩전개관절을 설치하되, 각 바퀴절첩전개관절의 외측 선단과 후단에는 동력장치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는 바퀴를 장착한 것에 있어서; 로봇몸체의 전반부에 설치되어 브러시장착대를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공전장치부와; 브러시장착대에 장착되어 일단이 메인축으로 굴대 설치되는 한 쌍의 브러시암을 개폐(절첩/전개)시키는 브러시개폐장치부와; 각 브러시암의 선단 하측에 굴대 설치되는 브러시와; 각 브러시암의 선단 하측에 굴대 설치되는 브러시를 자전시키는 브러시자전장치와; 각 브러시암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수집하고 배출시키는 이물질수집배출부: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배관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 상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관의 내부와 연통되는 별도의 플랜지소켓이 체결되고, 상기 플랜지소켓을 통해 상기 배관의 내부를 측정하는 배관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 검사장치는, 상기 플랜지소켓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삽입되며, 내부에 연통공간이 형성되는 삽입관 및 상기 삽입관의 하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관의 내측 바닥면과 접촉하여 슬립에 의해 일부가 틸팅되는 힌지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모듈; 상기 플랜지소켓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모듈과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내부가 상기 개구부와 상기 삽입관 내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모듈; 및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모듈의 상측에서 상기 삽입관을 관통하여 상기 배관 내부로 삽입되는 촬영라인 및 상기 촬영라인의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모듈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 가이드를 따라 벤딩되며,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내시경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가이드는 상기 삽입관 내부에서 틸팅되며 상기 삽입관의 상기 연통공간과 연속하여 형성되는 내면이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시경모듈은, 상기 촬영부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촬영부가 상기 배관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배관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촬영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배관 내부에서 상기 촬영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촬영부상에서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며, 각각의 지지부에는 상기 촬영부와 결합되는 영역에 별도의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촬영부를 중심으로 확장된 상태로 배치되고, 또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각각이 전후방향으로 독립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돌출된 끝단부에는 상기 배관의 내면과 접촉하는 별도의 슬립롤러를 더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배관 내부를 검사하고 청소하는 장치로서, 배관 내부를 이동하기 위한 주행 대차와;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 및 흡입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구비하며, 상기 주행 대차상에 설치되는 청소 모듈과; 전방을 감시하기 위해 상기 청소 모듈상에 설치되는 전방 감시용 카메라와; 이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청소 모듈의 근처에 설치되는 이물질 확인용 카메라를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236888 B1 (2021년03월31일) KR 20-0412324 Y1 (2006년03월20일) KR 10-1982022 B1 (2019년05월20일) KR 20-2012-0004525 U (2012년06월25일)
본 발명은 배관 내부에 측정장치가 수용되어 배관의 노후를 예측하여 교체 시기를 정확히 판단함과 동시에 스케일 및 녹을 제거하여 배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에 대한 것으로 단부에 플랜지(110)가 형성되는 배관(100); 상기 배관(1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복수의 상기 플랜지(110)를 고정하는 연결조인트(200); 상기 연결조인트(200)에 형성되며,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개폐장치(300); 상기 개폐장치(30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배관(100) 내부의 유량, 유속, 스케일(10) 중 선택된 하나를 측정 및 제거하는 측정장치(400); 상기 측정장치(400)를 통신하며, 상기 배관(100) 내부의 스케일(10)을 제거하도록 상기 측정장치(400)를 제어하는 제어서버(5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배관(100); 연결조인트(200); 개폐장치(300); 측정장치(400); 제어서버(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배관(100)에 형성되며, 지중에 고정되는 제 1배관(120); 상기 제 1배관(120)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 2배관(130); 상기 제 1배관(120)과 상기 제 2배관(130) 사이에 형성되며, 유동성을 확보하는 유동부재(14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배관(100); 연결조인트(200); 개폐장치(300); 측정장치(400); 제어서버(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연결조인트(200)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1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는 조인트케이스(210); 상기 조인트케이스(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장치(400)가 관통되는 관통홀(220); 상기 조인트케이스(210)의 내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3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배관(100); 연결조인트(200); 개폐장치(300); 측정장치(400); 제어서버(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개폐장치(300)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20)에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커버(310); 상기 커버(310)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1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3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배관(100); 연결조인트(200); 개폐장치(300); 측정장치(400); 제어서버(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측정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100) 내부에 수용되는 함체(410); 상기 함체(410)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장치(400)를 전면으로 이동시키는 추진장치(430); 상기 함체(410)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100) 내부의 스케일(10) 또는 녹을 측정하는 측정센서(44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배관(100); 연결조인트(200); 개폐장치(300); 측정장치(400); 제어서버(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함체(4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스케일(10) 및 녹을 제거하는 제거부(420); 상기 제거부(420)의 단부가 결합되며, 동력에 의하여 상기 함체(410) 외측에서 회전하는 회전부(423);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배관(100); 연결조인트(200); 개폐장치(300); 측정장치(400); 제어서버(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거부(420)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423)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바(421); 상기 연장바(421)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100)의 내측면에 접하는 제거부재(42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배관(100); 연결조인트(200); 개폐장치(300); 측정장치(400); 제어서버(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추진장치(430)에 형성되며, 상기 함체(410) 후면에서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블레이드(431); 상기 블레이드(431)의 외측에 형성되며, 수평 또는 수직으로 회전하여 상기 함체(410)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부재(432);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배관(100); 연결조인트(200); 개폐장치(300); 측정장치(400); 제어서버(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측정센서(440)에 형성되며,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441); 상기 발광부(441)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관(100)의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442); 상기 측정센서(440)에서 측정한 정보를 상기 제어서버(500)로 송신하는 통신부(443);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배관(100); 연결조인트(200); 개폐장치(300); 측정장치(400); 제어서버(5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제어서버(500)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장치(400)의 정보에 따라 누수 또는 스케일(10) 위치를 산출하는 산출부(510); 상기 산출부(510)와 연동되며, 상기 측정장치(400)를 조작하는 조작부(5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플랜지를 연결조인트로 체결함에 따라 복수의 배관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조인트에 개폐장치가 형성되어 측정장치를 배관 내부로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관의 수로로 측정장치가 이동함에 따라 배관 내부의 스케일, 녹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측정장치에 의하여 배관의 유속, 유량, 유압 등을 측정하여 배관의 누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측정장치에서 회전하는 제거부가 형성되어 스케일 및 녹 등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정장치와 제어서버를 나타낸 개념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측정장치의 제거부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는 상수도, 급수, 배수, 급탕, 냉방, 난방, 가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길이 및 직경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배관(100) 내부의 유량, 유속, 유압, 스케일(10), 녹 등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는 배관(100) 내부의 스케일(10) 및 녹을 측정 및 제거하여 유량 및 유속 또는 배관(100)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는 단부에 플랜지(110)가 형성되는 배관(100)과 배관(1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복수의 플랜지(110)를 고정하는 연결조인트(200)와 연결조인트(200)에 형성되며,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개폐장치(300)와 개폐장치(30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배관(100) 내부의 유량, 유속, 스케일(10) 중 선택된 하나를 측정 및 제거하는 측정장치(400)와 측정장치(400)를 통신하며, 배관(100) 내부의 스케일(10)을 제거하도록 측정장치(400)를 제어하는 제어서버(500)를 구비한다.
복수의 배관(100)은 지중에 고정되어 형성되거나 건물의 실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1배관(120)과 제 1배관(120)에 일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 2배관(130)이 형성된다. 이때, 제 1배관(120)과 제 2배관(130)은 단부에 각각 플랜지(110)가 형성되며, 복수의 플랜지(110) 사이에는 유동부재(140)가 형성되어 수축 팽창에 의한 누수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플랜지(110) 외측에는 연결조인트(200)가 형성되며, 연결조인트(200)는 플랜지(11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는 조인트케이스(210)와 조인트케이스(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측정장치(400)가 관통되는 관통홀(220)과 조인트케이스(210)의 내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플랜지(1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30)이 형성된다.
조인트케이스(210)는 수용공간(230)이 형성되어 복수의 플랜지(110)를 감싸도록 배관(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때, 하부에 형성되는 조인트케이스(210)는 배관(100)을 설치하기 전 지중에 설치되어 배관(10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그리고 조인트케이스(210)는 복수가 서로 용접 및 볼트 등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내측에 실링부재가 형성되어 누수를 차단한다.
그리고 배관(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조인트케이스(210)에는 관통홀(220)이 형성되며, 관통홀(220)은 배관(100) 내부의 이물질을 배출하거나 측정장치(400)를 배관(100) 내부로 관통시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220)에는 개폐장치(300)가 형성되며, 개폐장치(300)는 관통홀(220)에서 회전 또는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커버(310)가 형성된다. 커버(310)는 관통홀(220)에 밀착되어 수압에 대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커버(310)에는 압력조절장치(320)가 형성되어 측정장치(400)를 삽입하기 위하여 커버(310)를 개방할 때 급격한 압력 변화에 의한 소음, 충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압력조절장치(320)는 배관(100) 내부의 압력을 서서히 줄이기 위한 것으로 펌프 등으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측정장치와 제어서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장치(400)는 연결조인트(200)를 관통하여 배관(100)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추진력에 의하여 배관(100) 내부를 이동한 후 타 연결조인트(20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측정장치(400)는 물고기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배관(100) 내부에 수용되는 함체(410)와 함체(410)의 후면에 형성되며, 측정장치(400)를 전면으로 이동시키는 추진장치(430)와 함체(410)의 전면에 형성되며, 배관(100) 내부의 스케일(10) 또는 녹을 측정하는 측정센서(440)가 형성된다.
함체(410)는 전면에 물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도록 타원 또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에 측정장치(400)를 전면으로 이동시키는 추진장치(430)가 형성된다. 추진장치(430)는 함체(410) 내부에 형성되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블레이드(431)에 의하여 전면으로 추진력을 가지며, 블레이드(431)의 외측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회전하는 전환부재(432)가 형성되어 측정장치(400)를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함체(410)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형성되어 모터를 회전시키며, 블레이드(431)와 전환부재(432)는 제어서버(500)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함체(410)의 전면에는 측정센서(440)가 형성되며, 측정센서(440)는 배관(100) 내부의 스케일(10) 또는 녹을 측정하거나 유압, 유량, 유속 등을 측정하여 배관(100)의 누수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센서(440)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441)가 형성되며, 발광부(441)에 의하여 배관(100) 내부를 제어서버(50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441)와 이격되어 배관(100)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442)가 형성되며, 촬영부(442)는 녹화 또는 실시간으로 제어서버(500)에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한다. 그리고 측정센서(440)에서 측정한 정보 또는 촬영된 정보를 제어서버(500)로 송신하는 통신부(443)가 형성되며, 통신부(443)에 의하여 제어서버(500)에서 전달된 조작 정보로 측정장치(400)가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서버(500)는 배관(100)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측정센서(440)의 통신부(443)와 통신함에 따라 정보를 전달받는다. 또한, 제어서버(500)는 측정장치(400)의 정보에 따라 배관(100)의 누수 또는 스케일(10), 녹 등의 위치를 정확히 산출하는 산출부(510)가 형성되며, 산출부(510)는 측정센서(440)에서 촬영한 영상에 의하여 스케일(10) 및 녹이 제거 가능한지 판단한다. 그리고 산출부(510)에서 스케일(10) 및 녹이 제거되었거나 누수가 판단된다 결정되면 조작부(520)에 의하여 측정장치(400)를 조작하여 스케일(10) 및 녹의 위치 또는 제거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함체(410)의 외측에는 스케일(10) 및 녹을 제거하는 제거부(420)가 형성되며, 제거부(420)는 함체(410)의 외측에 형성되는 회전부(423)에 결합된다. 회전부(423)는 함체(41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블레이드(431)를 회전시키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기어에 의하여 블레이드(431)와 제거부(420)는 동시 또는 각각 회전할 수 있다. 제거부(420)는 회전부(423)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바(421)가 형성되며, 연장바(421)는 탄성을 가짐에 따라 배관(100)의 손상은 방지하고 스케일(10) 및 녹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제거부(420)는 배관(100)의 표면에 굳은 스케일(10) 및 녹을 제거할 수 없으나 굳지 않는 스케일(10) 및 녹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바(421)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실린더가 형성되며, 연장바(421)는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관통홀(220)에 의하여 연장바(421)와 함체(410)가 수직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장바(421)의 단부에는 제거부재(422)가 형성되며, 제거부재(422)는 절단날, 브러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된다. 제거부재(422)는 연장바(421)가 회전부(423)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함체(410)가 전진할 때 스케일(10) 및 녹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스케일 100: 배관
110: 플랜지 120: 제 1배관
130: 제 2배관 140: 유동부재
200: 연결조인트 210: 조인트케이스
220: 관통홀 230: 수용공간
300: 개폐장치 310: 커버
320: 압력조절장치 400: 측정장치
410: 함체 420: 제거부
421: 연장바 422: 제거부재
423: 회전부 430: 추진장치
431: 블레이드 432: 전환부재
440: 측정센서 441: 발광부
442: 촬영부 443: 통신부
500: 제어서버 510: 산출부
520: 조작부

Claims (10)

  1. 단부에 플랜지(110)가 형성되는 배관(100);
    상기 배관(100)의 외측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복수의 상기 플랜지(110)를 고정하는 연결조인트(200);
    상기 연결조인트(200)에 형성되며,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개폐장치(300);
    상기 개폐장치(300)를 통해 상기 배관(100)에 삽입되며, 상기 배관(100) 내부의 유량, 유속, 스케일(10) 중 선택된 하나를 측정 및 제거하는 측정장치(400);
    상기 측정장치(400)를 통신하며, 상기 배관(100) 내부의 스케일(10)을 제거하도록 상기 측정장치(400)를 제어하는 제어서버(500);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100)에 형성되며, 지중에 고정되는 제 1배관(120);
    상기 제 1배관(120)에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제 2배관(130);
    상기 제 1배관(120)과 상기 제 2배관(130) 사이에 형성되며, 유동성을 확보하는 유동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조인트(200)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1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는 조인트케이스(210);
    상기 조인트케이스(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장치(400)가 관통되는 관통홀(220);
    상기 조인트케이스(210)의 내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30);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장치(300)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20)에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커버(310);
    상기 커버(310)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10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320);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장치(400)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100) 내부에 수용되는 함체(410);
    상기 함체(410)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장치(400)를 전면으로 이동시키는 추진장치(430);
    상기 함체(410)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100) 내부의 스케일(10) 또는 녹을 측정하는 측정센서(440);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장치(430)에 형성되며, 상기 함체(410) 후면에서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블레이드(431);
    상기 함체(410)의 외측에 형성되며, 수평 또는 수직으로 회전하여 상기 함체(410)의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부재(432);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410)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형성되어 모터를 회전시키며, 블레이드(431)와 전환부재(432)는 제어서버(500)에 의하여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4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스케일(10) 및 녹을 제거하는 제거부(420);
    상기 제거부(420)의 단부가 결합되며, 동력에 의하여 상기 함체(410) 외측에서 회전하는 회전부(423);를 포함하는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420)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423)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바(421);
    상기 연장바(421)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관(100)의 내측면에 접하는 제거부재(422);를 포함하는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410)의 전면에 형성되며,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441);
    상기 발광부(441)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관(100)의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442);
    상기 측정센서(440)에서 측정한 정보를 상기 제어서버(500)로 송신하는 통신부(443);를 포함하는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500)에 형성되며, 상기 측정장치(400)의 정보에 따라 누수 또는 스케일(10) 위치를 산출하는 산출부(510);
    상기 산출부(510)와 연동되며, 상기 측정장치(400)를 조작하는 조작부(520);를 포함하는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KR1020220071345A 2022-06-13 2022-06-13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KR102569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345A KR102569410B1 (ko) 2022-06-13 2022-06-13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345A KR102569410B1 (ko) 2022-06-13 2022-06-13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410B1 true KR102569410B1 (ko) 2023-08-21

Family

ID=8784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345A KR102569410B1 (ko) 2022-06-13 2022-06-13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410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24Y1 (ko) 2005-12-19 2006-03-27 정석동 배관의 내부검사 및 청소용 로봇
KR20090046117A (ko) * 2007-11-05 2009-05-1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매설용 배관의 연결 구조 및 방법
KR20100003282U (ko) * 2008-09-16 2010-03-25 김원수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
KR20110003961A (ko) * 2009-07-07 2011-01-13 (주)아산테크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대구경의 관로시스템
KR20120004525U (ko) 2010-12-15 2012-06-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내부 검사 및 청소 장치
KR101199307B1 (ko) * 2012-07-09 2012-11-08 (주)한덕엔지니어링 상수도관 누수 탐지장치
KR101592915B1 (ko) * 2014-09-29 2016-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라인 검사 및 청소장치
KR101982022B1 (ko) 2017-08-03 2019-05-24 화명이엔시 주식회사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
KR102236888B1 (ko) 2020-01-17 2021-04-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수 및 오수 배관 내부의 균열탐지를 위한 모바일 로봇 및 그것을 이용한 균열탐지 방법
KR102317352B1 (ko) * 2020-12-18 2021-10-2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방향타를 포함하는 무인잠수정의 추진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324Y1 (ko) 2005-12-19 2006-03-27 정석동 배관의 내부검사 및 청소용 로봇
KR20090046117A (ko) * 2007-11-05 2009-05-1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매설용 배관의 연결 구조 및 방법
KR20100003282U (ko) * 2008-09-16 2010-03-25 김원수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
KR20110003961A (ko) * 2009-07-07 2011-01-13 (주)아산테크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대구경의 관로시스템
KR20120004525U (ko) 2010-12-15 2012-06-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내부 검사 및 청소 장치
KR101199307B1 (ko) * 2012-07-09 2012-11-08 (주)한덕엔지니어링 상수도관 누수 탐지장치
KR101592915B1 (ko) * 2014-09-29 2016-02-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라인 검사 및 청소장치
KR101982022B1 (ko) 2017-08-03 2019-05-24 화명이엔시 주식회사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
KR102236888B1 (ko) 2020-01-17 2021-04-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수 및 오수 배관 내부의 균열탐지를 위한 모바일 로봇 및 그것을 이용한 균열탐지 방법
KR102317352B1 (ko) * 2020-12-18 2021-10-2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방향타를 포함하는 무인잠수정의 추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022B1 (ko)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
CA2465926C (en) A traction apparatus
US20170198854A1 (en) Water pipe drone for detecting and fixing leaks
EP0559592B1 (fr) Dispositif de réparation in situ de conduits ou de canalisations non visitables et procédé de réhabilitation mettant en oeuvre ledit dispositif
US20120312078A1 (en) Pipeline reflectometry apparatuses and methods
US9143740B2 (en) Electro-scan integration into video pipe inspection vehicle
KR20160101081A (ko) 향상된 초음파 탐지
KR20040045557A (ko) 하수관 검사와 보수용 로봇
US20030101821A1 (en) Ultrasonic pipe assessment
KR101174367B1 (ko) 배관 인입형 누출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누출감지 시스템
JP2006234525A (ja) 管内調査装置
CA2913939A1 (en) Device for testing ducts
KR102569410B1 (ko)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KR101215901B1 (ko) 열교환기 전열관의 초음파 부식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KR102013918B1 (ko) 이동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너플레이트 검사 시스템
JP4707594B2 (ja) 管内検査装置
JP2692735B2 (ja) 管路内清掃装置
KR101357810B1 (ko) 관내 점검을 위한 캡슐형 점검시스템
CN116538381A (zh) 一种智能巡检机器人
KR20150092574A (ko) 로봇을 이용한 관내 결함정보 검출 영상 처리시스템
NL1003857C1 (nl) Werkwijze voor het inspecteren van pijpleidingen, voor het reinigen van pijpleidingen en een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ergelijke werkwijzen.
CN114562608A (zh) 水下管状物工作仓和水下管状物检修方法
KR200372548Y1 (ko) 비파괴 관로 상태 검사장치
KR102150411B1 (ko)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CA2742579A1 (en) Pipeline reflectometry apparatuses and methods f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