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022B1 -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022B1
KR101982022B1 KR1020170098472A KR20170098472A KR101982022B1 KR 101982022 B1 KR101982022 B1 KR 101982022B1 KR 1020170098472 A KR1020170098472 A KR 1020170098472A KR 20170098472 A KR20170098472 A KR 20170098472A KR 101982022 B1 KR101982022 B1 KR 101982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sertion tube
guide
photograph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695A (ko
Inventor
공병덕
김상국
Original Assignee
화명이엔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명이엔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명이엔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8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0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G01N2021/889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providing a bare video image, i.e. without visual measurement a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G01N2021/9548Scanning the interior of a cylind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 상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관의 내부와 연통되는 별도의 플랜지소켓이 체결되고, 상기 플랜지소켓을 통해 상기 배관의 내부를 측정하는 배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랜지소켓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삽입되며, 내부에 연통공간이 형성되는 삽입관 및 상기 삽입관의 하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관의 내측 바닥면과 접촉하여 슬립에 의해 일부가 틸팅되는 힌지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모듈, 상기 플랜지소켓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모듈과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내부가 상기 개구부와 상기 삽입관 내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모듈 및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모듈의 상측에서 상기 삽입관을 관통하여 상기 배관 내부로 삽입되는 촬영라인 및 상기 촬영라인의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모듈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가이드를 따라 벤딩되며,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내시경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가이드는 상기 삽입관 내부에서 틸팅되며 상기 삽입관의 상기 연통공간과 연속하여 형성되는 내면이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배관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Water Pipe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노후한 상수도 배관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의 영상을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의 위치를 가이드하여 배관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후된 상수도관은 지속적인 사용 시 산화에 의해 녹이 발생하여 유체에 적수를 발생시키거나, 내구성 저하로 인해 발생되는 크랙 등에 의해 누수가 발생한다. 특히 상수도관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수압 저하로 인한 출수 불량, 수수수리로 인한 단수, 누수로 인한 수돗물 낭비 등 복합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수도관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빠른 보수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수도관에 유체가 흐르는 상태에서 배관 내부의 스케일이나 슬러지 등 퇴적물의 축적 등을 살펴보고 노후 정도를 진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수도관의 매설 년도와 누수발생 횟수를 고려하여 일률적으로 오래된 배관 위주로 노후관 교체를 진행해왔으나, 매설조건, 관내 유속 등에 따라 스케일 발생속도가 다르므로 교체가 불필요한 배관까지 함께 교체하거나, 이미 사용이 불가능한 배관의 교체 지연 등 비경제적인 배관 교체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수도관의 일부를 천공하여 내부에 내시경 카메라를 넣어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상수도관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였다.
하지만, 유체가 흐르고 있는 상수도관 내부에서 내시경 카메라의 조작이 어려우며, 배관 내부에서 카메라의 위치 조절이 어려워 올바른 영상을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수도 배관에 삽입하여 배관의 내부를 검사하는 경우, 촬영부가 별도의 분리 과정 없이 배관 내부로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에서 영상을 올바르게 촬영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지지부를 구비한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배관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 상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관의 내부와 연통되는 별도의 플랜지소켓이 체결되고, 상기 플랜지소켓을 통해 상기 배관의 내부를 측정하는 배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랜지소켓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삽입되며, 내부에 연통공간이 형성되는 삽입관 및 상기 삽입관의 하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관의 내측 바닥면과 접촉하여 슬립에 의해 일부가 틸팅되는 힌지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모듈, 상기 플랜지소켓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모듈과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내부가 상기 개구부와 상기 삽입관 내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모듈 및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모듈의 상측에서 상기 삽입관을 관통하여 상기 배관 내부로 삽입되는 촬영라인 및 상기 촬영라인의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모듈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가이드를 따라 벤딩되며,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내시경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가이드는 상기 삽입관 내부에서 틸팅되며 상기 삽입관의 상기 연통공간과 연속하여 형성되는 내면이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내시경모듈은 상기 촬영부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촬영부가 상기 배관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촬영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배관 내부에서 상기 촬영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촬영부상에서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며, 각각이 전후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촬영부와 결합되는 영역에 별도의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촬영부를 중심으로 확장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돌출된 끝단부에 상기 배관의 내면과 접촉하는 별도의 슬립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촬영부상에서 벤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복원력에 의해 상기 촬영부상에서 방사형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시경모듈은 상기 촬영라인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힌지가이드의 형상 및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모듈은 상기 플랜지소켓과 결합되는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부상에서 원추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가이드는 상기 삽입관의 하측 끝단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전축을 가지며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측 끝단부가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회전 시 상측 끝단부가 상기 삽입관의 하측 끝단부에 접하여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삽입관의 둘레에 따른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힌지가이드는 상측 끝단부가 상기 회전축에서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가이드는 상기 삽입관이 하측 끝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회전축을 가지며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절곡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가이드는 상기 삽입관의 하측 끝단부에서 절곡 형성된 방향으로 편향되어 상기 회전축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삽입관의 하측 끝단부에서 상기 회전축과 반대방향에 편향되어 배치되며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이 상기 배관 내부에서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틸팅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각도조절부의 돌출된 길이에 따라 상기 힌지가이드의 틸팅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삽입관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면에서 감싸는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하측이 상기 플랜지소켓과 결합되는 지지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배관의 내부에 내시경모듈을 삽입하기 위해 별도의 가이드모듈을 구비하고, 가이드모듈의 하단부에서 경사를 가지며 배치되는 힌지가이드를 통해 배관 내부에서 내시경모듈이 안정적으로 벤딩되어 촬영부의 촬영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시경모듈은 촬영부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확장되는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배관 내부에서 촬영부가 바닥으로 처지지 않고 배관의 중심선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배관 내부의 영상을 올바르게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검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배관 검사장치가 배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배관 검사장치에서 가이드모듈의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가이드모듈에서 힌지가이드가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배관 검사장치에서 체결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체결모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배관 검사장치에서 내시경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내시경모듈에서 촬영유닛에 구비된 카메라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1의 배관검사장치에서 가이드모듈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1의 배관 검사장치에서 내시경모듈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1은 도 1의 배관검사장치에서 내시경모듈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검사장치는 일반적으로 상수도 등 다양한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 내부에 삽입되어 배관 내부에 쌓이는 슬러지나 스케일(S) 등의 퇴적 정도를 측정하거나 배관의 파손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등의 배관 내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홀을 형성하여 내시경모듈(300)을 삽입함으로써 배관 내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배관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 별도의 플랜지소켓(10)을 장착하고 상기 배관(P)의 내부와 상기 플랜지소켓(10)을 연통시킨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소켓(10)은 상부에 별도의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P) 내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랜지소켓(10)이 장착된 상기 배관(P)에 본 발명에 따른 배관(P) 검사장치를 체결하여 상기 배관(P) 내부를 검사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다른 배관(P) 검사장치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P) 검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배관(P) 검사장치가 배관(P)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배관(P) 검사장치에서 가이드모듈(100)의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가이드모듈(100)에서 힌지가이드(120)가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P) 검사장치는 크게 가이드모듈(100), 체결모듈(200) 및 내시경모듈(30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모듈(100)은 후술하는 상기 내시경모듈(300)이 상기 배관(P) 내부로 안정적으로 삽입되며 촬영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구성으로, 상기 플랜지소켓(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모듈(100)은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연통공간이 형성된 삽입관(110), 상기 삽입관(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P)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틸팅되는 힌지가이드(120) 및 상기 삽입관(110)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소켓(10)에서 상기 가이드모듈(1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관(130)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관(110)은 파이프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기 설정된 직경의 연통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소켓(10)에 형성된 개구부(12)를 통해 상기 배관(P)내부로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로 상기 삽입관(110)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지 않도록 밀폐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관(110)은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플랜지소켓(10)에 형성된 개구부(12)를 통해 삽입되며, 타측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P)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상기 삽입관(110)의 삽입에 의해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분출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삽입관(110)이 상기 개구부(12)를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가 밀폐됨으로써 배관(P) 내 외부의 압력 차이로 인해 유체가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관(110)은 단일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하측 끝단부에 후술하는 상기 힌지가이드(120)가 결합되고, 상측 끝단부에는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조작핸들(11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핸들(112)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상기 내시경모듈(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시경모듈(3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유체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밀봉링이 구비된다.
즉, 상기 삽입관(110)은 상부에 조작핸들(112)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으며, 상기 내시경모듈(300)이 상기 연통공간을 통해 상기 배관(P)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때, 상기 플랜지소켓(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P)에 설치되며, 상부로 상기 개구부(12)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2)를 통해 상기 삽입관(110)의 하측 끝단부가 상기 배관(P)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관(110)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길게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상기 삽입관(110)의 하측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가지며, 틸팅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상기 삽입관(110)과 함께 상기 배관(P) 내부로 삽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관(P) 내측 바닥면과 접촉하여 슬립에 의해 기 설정된 방향으로 틸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상기 삽입관(110)의 하측 끝단부에 회전축(L1)을 가지며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부가 상기 배관(P)의 바닥면과 접촉한다.
이때, 상기 힌지가이드(120)의 최하단부는 상기 삽입관(110)이 하강하는 힘에 의해 상기 배관(P)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경우 바닥면을 따라 슬립하며 상기 회전축(L1)을 중심으로 틸팅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상기 삽입관(110)의 하측 끝단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측 끝단부가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관(110)의 하측 끝단부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관(110)의 하측 끝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회전축(L1)을 제외한 나머지부분은 상기 삽입관(110)에서 하향 경사를 가지며 이격된 형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관(110)과 상기 힌지가이드(120)가 상기 배관(P) 내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배관(P)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하측 끝단부가 바닥면과 슬라이딩하며 상기 회전축(L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가이드(120)와 상기 삽입관(110)이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L1)은 상기 삽입관(110)의 둘레에 따른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상측 끝단부가 상기 회전축(L1)에서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가이드(120)의 회전 시 상측 끝단부가 상기 삽입관(110)의 하측 끝단부에 접하여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즉,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상기 삽입관(110)의 하측 끝단부에서 상기 회전축(L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상부의 경사 각도에 의해 상기 힌지가이드(120)의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상기 삽입관(110)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관(P) 내부에서 바닥면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L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배관(P) 내부에서 틸팅된 상태로 배치되는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상기 삽입관(110)의 상기 연통공간과 연속하여 형성되는 내면이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상기 내시경모듈(300)이 상기 연통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힌지가이드(120)를 따라 일부가 휘어지며 상기 배관(P)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하측 끝단부에 별도의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배관(P)의 바닥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가이드(120)가 슬립하며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롤러가 구비되지 않고 별도의 코팅이나 마찰계수가 낮은 소재로 구성되거나 만곡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상기 삽입관(110)과 함께 상기 배관(P)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L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내시경모듈(300)이 원활하게 벤딩될 수 있도록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지지관(130)은 상기 배관(P) 외부에서 상기 삽입관(11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삽입관(110)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면에서 감싸는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하측이 상기 플랜지소켓(10) 또는 상기 체결모듈(200)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관(130)은 상기 삽입관(11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삽입관(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관(130)은 후술하는 상기 체결모듈(200)과 고정 결합되며 내부가 밀폐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관(130)은 하측 끝단부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체결모듈(200)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관(130)은 하측 끝단에 별도의 체결부재(132)를 구비하여 상기 체결모듈(200)과 밀폐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132)는 내부로 상기 체결모듈(20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체결부재(132)가 상기 체결모듈(200)에 삽입되어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모듈(100)은, 상기 삽입관(110), 상기 힌지가이드(120) 및 상기 지지관(130)을 포함하며, 일부가 상기 배관(P) 내부로 삽입되어 후술하는 상기 내시경모듈(300)이 상기 배관(P)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경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모듈(100)은 별도의 압력측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압력측정부를 통해 상기 삽입관(110) 및 상기 지지관(130)의 삽입 시 상기 배관(P) 내부의 수압을 측정하여 알맞게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압력을 고려하여 상기 가이드모듈(100)을 먼저 삽입하고 후 추가적으로 후술하는 내시경모듈(300)을 상기 가이드모듈(100)을 통해 상기 배관(P) 내부로 삽입한다.
이어서, 상기 체결모듈(200)은 상기 플랜지소켓(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모듈(100)과 상기 플랜지소켓(10)이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모듈(200)은 상기 플랜지소켓(10)과 상기 지지관(130) 사이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관(130)의 내부가 상기 배관(P)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모듈(200)은 상기 플랜지소켓(10)과 결합되는 바디부(210) 및 상기 바디부(210)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210)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소켓(10)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12)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상기 개구부(12)와 연통되도록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개구부(12)의 상부에서 연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130)과 고정 결합된다.
즉, 상기 체결모듈(200)은 상기 플랜지소켓(10)과 상기 지지관(130)을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배관(P) 내부와 상기 지지관(130) 내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210)는 상기 플랜지소켓(10)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별도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모듈(200)은 상기 지지관(130)과 상기 플랜지소켓(10)을 체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삽입관(110)이 상기 배관(P)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모듈(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시경모듈(300)은 상기 삽입관(110)을 관통하여 상기 배관(P)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배관(P) 내부에서 이미지나 영상을 촬영하는 구성으로 크게 촬영라인(310), 촬영부(320) 및 지지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라인(310)은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모듈(100)의 상측에서 상기 삽입관(110)을 통해 상기 배관(P) 내부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촬영라인(310)은 일반적인 내시경장치에서 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촬영된 이미지를 전달받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라인(310)은 내부에 광섬유 또는 전선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일측 끝단부에는 상기 촬영부(3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별도의 외부기기가 구비되어 상기 촬영부(3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확인 및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촬영라인(310)은 상기 삽입관(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연통공간보다 작은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촬영부(320)는 상기 촬영라인(310)의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모듈(100)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가이드(120)를 따라 벤딩되며,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영상을 촬영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부(320)는 일반적인 내시경 카메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촬영라인(310)의 일측 끝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촬영라인(310)과 함께 상기 삽입관(110)을 경유해 상기 힌지가이드(120)를 따라 삽입된다.
이때,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상기 배관(P) 내부에서 경사를 가진 형태로 배치되므로, 상기 촬영부(320)는 상기 힌지가이드(120)의 내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배관(P) 내부에서 벤딩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촬영라인(310)은 탄성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힌지가이드(120)에서 벤딩 되더라도 해당 위치만 벤딩된 상태이며, 상기 배관(P) 내부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부(320)가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촬영부(320)는 상기 촬영라인(310) 끝단부에서 상기 촬영라인(310)의 벤딩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관(P) 내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부(320)는 일반적인 내시경 카메라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촬영라인(310)의 끝단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렌즈가 향하도록 배치됩니다.
그리고 상기 촬영라인(310)과 함께 상기 가이드모듈(100)을 경유하여 상기 배관(P)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배관(P) 내부의 영상을 촬영합니다.
한편,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촬영부(320)상에 구비되며 상기 배관(P) 내부에서 촬영부(320)가 상기 배관(P)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촬영부(32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촬영부(320)가 상기 배관(P)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지지합니다.
이때, 상기 지지부(33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촬영부(320)에서 방사형으로 둘출 되도록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촬영부(320)가 상기 배관(P)의 내측면과 이격 됩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촬영부(3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촬영부(320)가 상기 배관(P)의 중심선상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33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내시경모듈(300)은 상기 가이드모듈(100)을 통해 상기 촬영부(320)가 상기 배관(P) 내부로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330)에 의해 상기 촬영부(320)가 안정적으로 상기 배관(P) 내부를 촬영할 수 잇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P) 검사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모듈(100), 상기 체결모듈(200) 및 상기 내시경모듈(300)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모듈(100)에 의해 상기 내시경모듈(300)의 일부가 상기 배관(P)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촬영부(320)가 상기 배관(P)의 내부에서 중앙에 위치하며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체결모듈(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배관(P) 검사장치에서 체결모듈(2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체결모듈(2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바디부(210) 및 상기 돌출부(220)를 포함하며 중앙에 연속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1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210)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소켓(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때 중앙에 상기 돌출부(220)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220)와 상기 플랜지소켓(10)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12)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지지관(130)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부(12)는 상기 돌출부(220)에 형성된 유로에 의해 상기 지지관(130) 내부와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210)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부(210)상에서 원추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210)의 중앙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중앙에 유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220)의 하부는 구형태로 외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210)는 상기 돌출부(220)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이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즉, 상기 바디부(210)의 중앙에 상기 돌출부(220)의 일부가 삽입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바디부(210)의 중앙에서 원추 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210)는 상기 플랜지소켓(10)과 고정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지지관(130)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관(110)은 상기 플랜지소켓(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부(220)에 의해 경사를 가지는 형태로 상기 배관(P)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삽입관(110)을 상기 배관(P)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힌지가이드(120) 상대적으로 쉽게 틸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후 상기 내시경모듈(300)의 삽입이 원활해 진다.
또한, 상기 돌출부(220)가 원추형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배관(P)의 위치나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상기 삽입관(110)을 상기 배관(P)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체결모듈(200)에서 상기 바디부(210)와 상기 돌출부(220)가 회동하지 않고 고정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20) 자체가 유연하게 벤딩 가능한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시경모듈(3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1의 배관(P) 검사장치에서 내시경모듈(3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내시경모듈(300)에서 촬영유닛에 구비된 카메라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촬영부(32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지지부(330)가 방사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촬영부(320)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촬영부(320)의 외측면에서 각각이 독립적으로 전후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관(P) 내부에서 확장된 상태가 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촬영부(320)와 결합되는 영역에 별도의 탄성부재(334)를 구비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330)가 방사형으로 확장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30)는 각각이 독립적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상기 배관(P) 내부의 상태에 따라 확장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부(320)의 전후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각각이 상기 촬영부(32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30)의 돌출된 끝단부에는 별도의 슬립롤러(33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슬립롤러(332)는 상기 지지부(330)의 끝단에서 상기 배관(P)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촬영부(320)의 이동이 원활하게 가능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지지부(330)가 상기 배관(P) 내부에서 확장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330)의 끝단부가 상기 배관(P) 내부에 퇴적된 스케일(S) 등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여 상기 촬영부(320)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립롤러(332)가 상기 지지부(330)의 끝단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320)가 상기 배관(P)을 따라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지지부(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부(320)의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촬영부(320)가 상기 삽입관(110)을 통해 상기 배관(P)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관(110) 내부에서는 상기 지지부(330)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전체적인 직경이 감소한 상태가 된다.
하지만, 상기 촬영부(320)가 상기 배관(P)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330)가 상기 탄성부재(334)의 복원력에 의해 후방으로 틸팅하며 방사형으로 확장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촬영부(320)가 상기 삽입관(110)을 따라 이동할 때에 접힌 상태가 되고, 상기 배관(P) 내부로 상기 촬영부(320)가 진입하는 경우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34)의 복원력에 의해 확장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부(320)에서 확장 시 전방으로만 틸팅 가능하게 구성되고 후방으로는 틸팅 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추후 상기 촬영부(320)의 회수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촬영부(320)의 회수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촬영부(320)가 상기 배관(P) 내부에서 회수되는 경우 상기 촬영부(320)는 상기 배관(P)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상기 삽입관(110) 내부로 진입해야 한다.
이때, 상기 촬영부(32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삽입관(110)의 하측 끝단부에서 전방으로 틸팅된 후 상기 촬영부(320)와 함께 상기 삽입관(110)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330)가 상기 촬영부(320)상에서 일정 각도 이상 확장되지 않으며 전방으로만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삽입관(110)을 통해 상기 촬영부(320)의 회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시경모듈(300)은 상기 촬영부(320)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확장되는 상기 지지부(3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관(P) 내부에서 상기 촬영부(320)가 바닥으로 처지지 않고 상기 배관(P)의 중심선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배관(P) 내부의 영상을 올바르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30)가 전방으로만 틸팅되어 접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촬영부(320)의 회수 시 상기 지지부(330)와 상기 삽입관(110)의 간섭을 최소화 시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가이드모듈(1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도 1의 배관(P)검사장치에서 가이드모듈(100)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가이드모듈(100)은 상기 상기 힌지가이드(120)의 구성이 상이하며, 별도의 틸팅각도조절부(14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상기 삽입관(110)의 하측 끝단부와 회전축(L2)을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끝단부가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이 아니라 상기 삽입관(110)의 하측 끝단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가이드(120)는 절곡된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상기 삽입관(110)과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L2)이 절곡된 방향으로 편향된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가이드(120)의 최하단부는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110)이 하강하는 힘에 의해 상기 배관(P)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경우 바닥면을 따라 슬립하며 상기 회전축(L2)을 중심으로 틸팅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틸팅각도조절부(140)는 상기 삽입관(110)의 하측 끝단부에서 상기 회전축(L2)과 반대방향에 편향되어 배치되며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110)이 상기 배관(P) 내부에서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틸팅각도조절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관(110)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힌지가이드(120)가 틸팅되지 않는 경우 상기 힌지가이드(120)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각도조절부(140)는 상기 힌지가이드(120)가 상기 배관(P)의 바닥면과 접하여 상기 회전축(L2)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삽입관(110)과 함께 점차 하강하여 상기 배관(P)의 바닥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틸팅각도조절부(140)의 돌출된 길이에 따라 상기 삽입관(110)의 삽입 깊이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상기 힌지가이드(120)의 틸팅 각도가 조절된다. 즉, 상기 힌지가이드(120)의 길이와 상기 틸팅각도조절부(140)의 상대적인 길이 차이에 의해 상기 힌지가이드(120)의 틸팅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상기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힌지가이드(120)가 별도의 틸팅각도조절부(140)에 의해 상기 배관(P) 내부에서 틸팅 각도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상기 내시경모듈(300)의 삽입 시 상기 촬영라인(310)의 벤딩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내시경모듈(300)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도 1의 배관(P) 검사장치에서 내시경모듈(300)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배관(P)검사장치에서 내시경모듈(300)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0을 살펴보면 상기 내시경모듈(300)의 제1변형예로 기본적인 구성은 유사하나 상기 지지부(330)의 형태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촬영부(320)를 중심으로 복수 개가 둘레를 따랄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상기 촬영부(320)외 전후방향을 틸팅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지지부(33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각각이 길게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포물선을 그리며 벤딩되어 양단이 상기 촬영부(320)상에서 동일 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배관(P) 내부에서 상기 촬영부(320)를 중심으로 확장되어 상기 촬영부(320)를 지지한다. 그리로 상기 삽입관(110) 내부에서는 상기 촬영부(3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상태로 배치된다.
즉,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삽입관(110) 내부에서는 접힌 상태로 유지되지만 상기 배관(P) 내부에서는 복원력에 의해 확장되어 상기 촬영부(32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30)는 돌출되어 상기 배관(P)의 내면과 접하는 부분이 와이어가 벤딩된 형태로 곡선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배관(P) 내부에서 상기 촬영부(320)가 이동하더라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잇다.
한편, 도 11을 살펴보면 상기 내시경모듈(300)의 제2변형예로 상기 지지부(330)의 형태가 단순한 날개 형태가 아니라 상기 촬영부(320)를 중심으로 나선형태를 띄며 확장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며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지만 단순히 돌출되는 형태로 확장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촬영부(32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330)가 나선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330)가 상기 배관(P)의 내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촬영부(3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30)는 상기 삽입관(110) 내부에서 미확장 상태의 경우 상기 촬영부(32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확장 시 탄성에 의해 나선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촬영부(320)를 지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가이드모듈
110: 삽입관
120: 힌지가이드
130: 지지관
200: 체결모듈
210: 바디부
220: 돌출부
300: 내시경모듈
310: 촬영라인
320: 촬영부
330: 지지부
10: 플랜지소켓
P: 배관

Claims (15)

  1. 배관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 상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관의 내부와 연통되는 별도의 플랜지소켓이 체결되고, 상기 플랜지소켓을 통해 상기 배관의 내부를 측정하는 배관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 검사장치는,
    상기 플랜지소켓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삽입되며, 내부에 연통공간이 형성되는 삽입관 및 상기 삽입관의 하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배관의 내측 바닥면과 접촉하여 슬립에 의해 일부가 틸팅되는 힌지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모듈;
    상기 플랜지소켓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모듈과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내부가 상기 개구부와 상기 삽입관 내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모듈; 및
    길게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모듈의 상측에서 상기 삽입관을 관통하여 상기 배관 내부로 삽입되는 촬영라인 및 상기 촬영라인의 길이방향에 따른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모듈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힌지가이드를 따라 벤딩되며,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내시경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가이드는 상기 삽입관 내부에서 틸팅되며 상기 삽입관의 상기 연통공간과 연속하여 형성되는 내면이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시경모듈은,
    상기 촬영부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촬영부가 상기 배관 내측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촬영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배관 내부에서 상기 촬영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한편, 상기 촬영부상에서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며,
    각각의 지지부에는 상기 촬영부와 결합되는 영역에 별도의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촬영부를 중심으로 확장된 상태로 배치되고, 또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각각이 전후방향으로 독립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돌출된 끝단부에는 상기 배관의 내면과 접촉하는 별도의 슬립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모듈은,
    상기 촬영라인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힌지가이드의 형상 및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검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모듈은,
    상기 플랜지소켓과 결합되는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부상에서 원추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관 검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이드는,
    상기 삽입관의 하측 끝단부에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전축을 가지며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측 끝단부가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회전 시 상측 끝단부가 상기 삽입관의 하측 끝단부에 접하여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배관 검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삽입관의 둘레에 따른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힌지가이드는 상측 끝단부가 상기 회전축에서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배관 검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이드는,
    상기 삽입관이 하측 끝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회전축을 가지며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절곡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검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이드는,
    상기 삽입관의 하측 끝단부에서 절곡 형성된 방향으로 편향되어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배관 검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삽입관의 하측 끝단부에서 상기 회전축과 반대방향에 편향되어 배치되며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이 상기 배관 내부에서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틸팅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각도조절부의 돌출된 길이에 따라 상기 힌지가이드의 틸팅 각도가 조절되는 배관 검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삽입관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면에서 감싸는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하측이 상기 플랜지소켓과 결합되는 지지관을 더 포함하는 배관 검사장치.
KR1020170098472A 2017-08-03 2017-08-03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 KR101982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72A KR101982022B1 (ko) 2017-08-03 2017-08-03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72A KR101982022B1 (ko) 2017-08-03 2017-08-03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695A KR20190014695A (ko) 2019-02-13
KR101982022B1 true KR101982022B1 (ko) 2019-05-24

Family

ID=6536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472A KR101982022B1 (ko) 2017-08-03 2017-08-03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0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326B1 (ko) * 2020-06-05 2020-12-01 주식회사 더온써브 매설관 모니터링 장치
KR20220025483A (ko) *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주영 영상기법을 활용한 수질감시장치
KR102569410B1 (ko) 2022-06-13 2023-08-21 한국토지주택공사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165B1 (ko) * 2019-09-18 2020-09-17 정해진 다굴절 파이프 라인의 내부 검사를 위한 내시경 장치
KR102122688B1 (ko) * 2019-11-09 2020-06-12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분리형 수도관 내시경 장치
KR102126636B1 (ko) * 2019-11-09 2020-06-24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
KR102150805B1 (ko) * 2019-11-09 2020-09-01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
KR102242884B1 (ko) * 2020-06-18 2021-04-21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수도관 내시경 장치
KR102322573B1 (ko) * 2020-10-13 2021-11-08 주식회사 더온써브 매설관 내부 정보 수집용 모니터링 장치
KR102322565B1 (ko) * 2020-10-13 2021-11-08 주식회사 더온써브 매설관 내부 정보 수집용 모니터링 장치
KR102385784B1 (ko) * 2021-10-19 2022-04-14 김희남 부단수 내시경장치
KR102642276B1 (ko) * 2021-11-02 2024-02-29 주식회사 블루폭스시스템즈 맨홀 조사장치 및 조사방법
KR102641169B1 (ko) * 2023-12-12 2024-02-28 주식회사 행복한건축검진연구소 배관 검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074B1 (ko) * 2009-08-31 2010-03-05 주식회사 팬아시아워터 정호 관내 검사 장치
JP2010065766A (ja) * 2008-09-11 2010-03-25 Cosmo Koki Co Ltd 導入装置
KR101086470B1 (ko) 2011-07-07 2011-11-25 (주)서용엔지니어링 상수도관 내부 촬영용 삽입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9145U (ja) * 1983-06-03 1984-1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管内検査装置
JP3084157B2 (ja) * 1992-10-16 2000-09-04 日本鋼管工事株式会社 配管の検査装置
KR101174367B1 (ko) * 2010-05-03 2012-08-16 한국전기연구원 배관 인입형 누출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의 누출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5766A (ja) * 2008-09-11 2010-03-25 Cosmo Koki Co Ltd 導入装置
KR100945074B1 (ko) * 2009-08-31 2010-03-05 주식회사 팬아시아워터 정호 관내 검사 장치
KR101086470B1 (ko) 2011-07-07 2011-11-25 (주)서용엔지니어링 상수도관 내부 촬영용 삽입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남문호 외, 카메라와 다중 레이저를 이용한 배관 탐사 로봇 기구의 적용성 평가, 2011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대한전기학회, 2011.7. pp1780-1781
최형식 외, 배관 검사 및 청소 로봇의 개발,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제33권제5호,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9.7 pp662-672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326B1 (ko) * 2020-06-05 2020-12-01 주식회사 더온써브 매설관 모니터링 장치
KR20220025483A (ko) *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주영 영상기법을 활용한 수질감시장치
KR102391810B1 (ko) 2020-08-24 2022-04-29 주식회사 주영 영상기법을 활용한 수질감시장치
KR102569410B1 (ko) 2022-06-13 2023-08-21 한국토지주택공사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695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022B1 (ko)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
US7543512B2 (en) Bore inspection probe
KR101258078B1 (ko) 통수배관 내부검사용 탐사장치
NO333307B1 (no) Anordning og fremgangsmate for optisk maling av tykkelsen av enhver avsetning av materiale pa innerveggen til en konstruksjon
KR100917876B1 (ko) 송·배전관로 도통검사용 자주식 장비
JP6062541B2 (ja) ビデオ管点検車両への電子走査統合
JP2012519264A (ja) 磁気検査車両を利用する検査システムおよび検査プロセス
CN105241375A (zh) 对接焊接的无接触检查
JP2009031259A (ja) 不断水管路撮影装置及びそのシステム
KR101740514B1 (ko) 합성수지 파형관용 하자구간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자구간 검출공법
KR20060128593A (ko) 관로 내부 비파괴 검사 장치
KR101724987B1 (ko) 증기발생기 잔류물질 검사 및 제거장치
US20050223825A1 (en) Method to prevent rotation of caliper tools and other pipeline tools
KR100807391B1 (ko) 부단수 관로 촬영장치
KR100386737B1 (ko) 관내벽면관측장치
JPH03573B2 (ko)
JP6654963B2 (ja) 既設管の更生方法及び接続口位置測定装置
KR101550674B1 (ko) 부단수 상태에서의 소구경 관로 카메라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진단방법
KR102569410B1 (ko)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KR102348445B1 (ko) 하수관로 촬영장치
KR20050088787A (ko) 연성관의 변형량 측정과 씨씨티브이촬영조사를 동시에수행하는 관로조사 장치 및 그 방법
JP2017203530A (ja) 更生管の削孔方法及び削孔装置
KR101086470B1 (ko) 상수도관 내부 촬영용 삽입기
KR102465998B1 (ko) 추락방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 탐색장치
JP2500739B2 (ja) 管路内自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