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636B1 -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636B1
KR102126636B1 KR1020190143051A KR20190143051A KR102126636B1 KR 102126636 B1 KR102126636 B1 KR 102126636B1 KR 1020190143051 A KR1020190143051 A KR 1020190143051A KR 20190143051 A KR20190143051 A KR 20190143051A KR 102126636 B1 KR102126636 B1 KR 102126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pipe
cap
guid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143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3Arrangement for testing of watertightness of water supply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G01N2021/9542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using a pro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내시경 장치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홀을 형성하는 메인 파이프; 상기 메인 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 및 상기 메인 홀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케이블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캡에 걸림되는 가이드 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PIPE ASSEMBLY AND WATER PIPE ENDOSCOP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파이프 어셈블리 및 수도관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요자에게 안정적인 물의 공급을 위하여 배수지로부터 수요자의 계량기까지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수관망'이라는 물의 수송체계를 거쳐야 하고, 수요자가 사용한 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하수관망'이라는 물의 수송체계를 거쳐야 한다.
상수도 배관의 누수 여부 등을 검사하기 위하여 수도관 내부에 카메라를 삽입시키는 내시경 장치가 알려져 있다. 수도관 내부의 상수를 단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배관 중 카메라가 삽입되는 입구를 막아주는 샤프트와, 상수도 배관 내로 삽입되는 카메라 및 카메라에 연결된 케이블을 구비한 내시경 장치가 알려져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구를 통해 카메라를 넣은 상태에서 케이블을 계속해서 밀어 넣어주는 방식으로, 수도관 내부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종래의 상수관 내시경 장치는, 내시경 조사 중 수압으로 인해 내시경 장치에서 발생하는 누수가 상당히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수도관 내시경 장치용 파이프 어셈블리의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내시경 장치용 파이프 어셈블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홀을 형성하는 메인 파이프; 상기 메인 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 및 상기 메인 홀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케이블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캡에 걸림되는 가이드 캡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수도관 내시경 장치의 실시예들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내시경 장치는, 상기 파이프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수도관 내시경 장치는, 수도관 입구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 본체; 및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상기 케이블을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는 상기 파이프 어셈블리를 상하로 관통하고, 상기 파이프 어셈블리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시경 조사 중 수압에 의해 발생하는 누수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비를 용이하게 분해 가능하면서도, 장비 사용 중 수압에 의한 누수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내시경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도관 내시경 장치(1)의 일 측면을 보여주는 입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도관 내시경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도관 내시경 장치(1)의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수도관 내시경 장치(1)의 입면도로서, 도 5는 본체(100)에 대해 파이프 어셈블리(200)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6은 본체(100)가 검사용 삽입 관(PIa)에 결합된 상태에서 파이프 어셈블리(200)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카메라 어셈블리(3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7은 도 1의 수도관 내시경 장치(1)의 클램프(120)가 배치된 부분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본체(100)가 배치된 부분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카메라(310)가 배치된 부분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E1 부분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의 E2 부분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가 배치된 부분을 확대한 부분 입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의 일 부분을 보다 확대하고 작동 상태를 달리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입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의 샘플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6은 도 3의 캡(220) 및 가이드 캡부(253)가 배치된 부분의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4의 E3 부분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중심축'은 후술할 본체(100)의 중심을 관통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을 의미하고, '반경 외측 방향'은 중심축(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반경 내측 방향'은 중심축(X)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원주 방향'이란 중심축(X)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설명에 있어서 '하측 방향'은 후술할 메인 파이프(210)가 수도관으로 삽입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측 방향'은 상기 하측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 2에는 중심축(X), 반경 외측 방향(XO), 반경 내측 방향(XI), 상측 방향(U) 및 하측 방향(D)이 도시된다. 이러한 방향의 정의는 어디까지나 본 실시예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고, 다른 기준에 따라 각 방향들이 다르게 정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내시경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도관 내시경 장치(1)의 일 측면을 보여주는 입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도관 내시경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도관 내시경 장치(1)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관 내시경 장치(1)는 본체(100)와, 파이프 어셈블리(200)와, 카메라 어셈블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도관 내시경 장치(1)는 본체 핸들(400)과, 파이프 핸들(5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수도관 내시경 장치(1)의 입면도로서, 도 5는 본체(100)에 대해 파이프 어셈블리(200)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6은 본체(100)가 검사용 삽입 관(PIa)에 결합된 상태에서 파이프 어셈블리(200)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카메라 어셈블리(3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체(100)는 수도관 입구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하단부에 수도관 입구와 결합되는 스크류를 내경면에 형성하는 체결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반(GR) 내의 수도관(PI)에는 검사를 위한 삽입 관(PIa)이 분기되어 있을 수 있고, 삽입 관(Pla)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수도관 입구에 체결부(110)를 결합한 후, 파이프 어셈블리(200)를 삽입 관(Pla)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파이프 어셈블리(200)는, 본체(100)를 상하로 관통하고, 본체(100)에 대해 상하 방향(도 5의 화살표 M1과 도 6의 화살표 M2 참고)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어셈블리(200)는, 본체(1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300)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310)와,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케이블(32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300)는, 파이프 어셈블리(200)를 상하로 관통하고, 파이프 어셈블리(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어셈블리(300)는, 유도 가이드(250)를 상하로 관통하고, 유도 가이드(25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도 4 참고).
도 6을 참고하여, 파이프 어셈블리(200)의 하단이 수도관(PI)의 저면에 닿도록, 파이프 어셈블리(2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화살표 M3 참고), 사용자는 원하는 방향으로 파이프 어셈블리(200)를 회전시키고, 카메라 어셈블리(300)를 수도관(PI)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화살표 M4 참고). 이 때, 사용자는 파이프 어셈블리(200)의 상측에 노출된 케이블(320)을 하측으로 이동시켜(화살표 M3), 수도관(PI)을 따라 카메라(310)가 나아가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310)를 통해 수도관(PI) 내부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정보는 케이블(320)을 통해 전송되어, 수도관(PI) 외부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수도관(PI)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란 사진이나 동영상에 관련된 정보를 말한다.
도 3, 도 4,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카메라 어셈블리(300)는 상술한 카메라(310) 및 케이블(320)을 포함한다. 카메라 어셈블리(300)는 카메라(310)의 상측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340)는 탄성 부재 걸림부(350)의 하측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340)는 결합 대응부(352)와 카메라(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340)의 일단은 결합 대응부(352)에 고정되고, 탄성 부재(340)의 타단은 카메라(310)에 고정된다.
탄성 부재(340)는 휘어질 때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310)가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를 슬라이딩하며 나아가게 하여, 사용자가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를 이용하여 쉽게 카메라(310)의 진행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340)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된 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탄성 부재(340)의 재질이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탄성 부재 걸림부(350)는 케이블(320)의 하단이 배치되는 결합부(351)와, 결합부(35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대응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대응부(352)는 카메라(310)와 연결된다. 결합 대응부(352)는 케이블 연결부(360)에 의해 카메라(310)와 연결된다. 케이블 연결부(360)는 결합 대응부(352)와 카메라(310) 사이에 배치된다. 케이블 연결부(360)는 탄성 부재(340)를 상하로 관통하며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 연결부(360)는 상기 영상 정보를 카메라(310)로부터 케이블(320)로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310)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는 케이블 연결부(360) 및 케이블(320)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전송될 수 있다. 결합부(351)의 상하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카메라(310)의 사하 방향에 수직한 단면보다 작을 수 있다. 사용자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1)를 분해할 때, 결합부(351) 및 결합 대응부(352)를 서로 분리하고, 캡(cap)(220)이 메인 파이프(2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부(351)와 케이블(320)과 유도 가이드(250)를 메인 파이프(210)로부터 상측으로 빼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1)에서 카메라(310)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결합부(351) 및 결합 대응부(352)를 서로 분리하고, 카메라(310)와 탄성 부재(340)와 케이블 연결부(360)와 결합 대응부(352)의 조립체 부분만 교체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수도관 내시경 장치(1)는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본체 핸들(4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본체 핸들(400)이 제공된다. 본체(100)는 원주 방향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본체 핸들 체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핸들 체결부(160)는 본체 핸들(400)이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체 핸들 체결부(160)의 개수는 본체 핸들(400)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주 방향의 둘레를 따라 90˚ 간격의 4개 방향에서 본체 핸들(400)을 삽입 가능한 4개의 본체 핸들 체결부(16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협소한 공간에서도 필요에 따라 본체의 다수의 본체 핸들 체결부(160) 중 일부에 본체 핸들(400)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체 핸들(400)의 분리가 가능한 본체 핸들 체결부(160)는 스틸 인서트(steel insert)를 포함하여, 본체 핸들(400)로부터 받는 힘에 의한 파손 확률을 낮추고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수도관 내시경 장치(1)는 메인 파이프(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핸들(5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파이프 핸들(500)이 제공된다. 메인 파이프(210)는 원주 방향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핸들 체결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 핸들 체결부(212)는 파이프 핸들(500)이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 핸들 체결부(212)의 개수는 파이프 핸들(500)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주 방향의 둘레를 따라 90˚ 간격의 4개 방향에서 파이프 핸들(500)을 삽입 가능한 4개의 파이프 핸들 체결부(212)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협소한 공간에서도 필요에 따라 본체의 다수의 파이프 핸들 체결부(212) 중 일부에 파이프 핸들(500)을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파이프 핸들(500)의 분리가 가능한 파이프 핸들 체결부(212)는 스틸 인서트를 포함하여, 파이프 핸들(500)로부터 받는 힘에 의한 파손 확률을 낮추고 마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체(1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홀(S1)을 형성하는 본체 바디(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바디(170)의 내주면은 메인 파이프(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체(100)는 본체(100)에 대한 메인 파이프(21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잠금 가능하게 구성되는 클램프(12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120) 잠금 상태에서, 메인 파이프(210)는 본체(100)에 대한 상하 운동이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클램프(120)는 본체(100)에 대한 메인 파이프(210)의 상대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잠금을 해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클램프(120)는 본체(100)에 대한 메인 파이프(210)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잠금을 해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클램프(120)는 본체(100)에 대해 메인 파이프(210)가 중심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잠금을 해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클램프(120)는 본체 바디(17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클램프(120)는 메인 파이프(2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클램핑 부재(121)를 포함한다. 클램핑 부재(121)는 중앙의 홀의 일 측방이 개구되는 틈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클램핑 부재(121)는 스테인레스 스틸(SU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 부재(121)는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125)에 의해 본체 바디(170)에 고정된다.
클램프(120)는 클램핑 부재(121)의 상기 틈을 좁혀주거나 넓혀주도록 조정하는 조임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임 부재(123)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임 부재(123)를 돌려주어, 상기 틈을 좁혀주거나 넓혀 줄 수 있다. 상기 틈이 좁혀지면 클램프 부재(121)가 메인 파이프(210)의 둘레를 조여주게 되어 클램프(120)는 잠금 상태가 된다. 상기 틈이 넓혀지면 클램프(120)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본체(100)는 본체 홀(S1)에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50)는 메인 파이프(210)의 외측면과 본체 바디(170)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메인 파이프(210)는 가이드 부재(150)에 형성된 홀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파이프(2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시, 가이드 부재(150)의 내측면을 슬라이딩하며 이동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유로(S2)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 부재(150)에는 하측의 공간(S1)과 상측의 유로(S2)를 연결시키는 공극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물이 하측의 공간(S1)으로부터 유로(S2)로 이동할 수 있다. 유로(S2)는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본체(100)는 유로(S2)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밸브(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유로(S2) 내의 수압을 측정하여 측정 값을 보여주는 수압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8을 참고하여, 파이프 어셈블리(200)는 메인 파이프(210)와, 메인 파이프(21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220)과, 메인 파이프(210)의 내에 배치되는 유도 가이드(2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파이프(210)는 본체(100)를 상하로 관통할 수 있다. 메인 파이프(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메인 파이프(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홀(210h)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홀(210h) 내에 유도 가이드(250)가 삽입될 수 있다. 메인 파이프(210)는 본체(1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메인 파이프(210)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파이프(210)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지지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13)는 본체(100)를 통과하며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파이프(210)는 지지부(213)의 상단에 배치되는 캡 체결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캡 체결부(211)는 캡(220)과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 체결부(211)는 스크류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여, 메인 파이프(210)는 지지부(213)의 외측면보다 반경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이탈 방지턱(219)을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턱(219)은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턱(219)은 메인 파이프(210)가 본체(100)를 통과하여 상측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메인 파이프(210)의 외표면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본체(100)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수도 내부의 수압에 의해 파이프 어셈블리(200)가 본체(100)에 대해 상승할 때, 파이프 어셈블리(200)가 본체(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6 및 도 12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메인 파이프(210)는 수도관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는 수도관(PI)으로 진입한 파이프 어셈블리(200)의 하단이 수도관(PI)의 저면에 닿을 때, 관절 구조에 의해 상하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꺾이게 하여, 카메라 어셈블리(300)가 슬라이딩되며 유도된 방향으로 원활하게 꺾이며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6에는 예시적인 카메라 어셈블리(300)의 하단의 이동 방향(M4)을 보여주고, 도 14는 카메라(310)의 이동 경로(A)를 보여준다.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는 회전 지지부(215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지지부(2155)는 하측으로 연장되고, 카메라(31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2155)는 지지부(213)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는 카메라 어셈블리(300)가 통과하는 파이프 어셈블리(200)의 홀(상술한 메인 홀(210h))의 하단을 형성하는 홀 하단 형성부(2156)를 포함할 수 있다. 홀 하단 형성부(2156)의 하단에 카메라(310)의 상단이 걸림될 수 있다. 홀 하단 형성부(2156)에 회전 지지부(2155)의 상단이 고정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2155)의 상단은 상기 메인 홀(210h)의 하단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은 메인 홀(210h)을 기준으로 어느 한 반경 외측 방향을 의미한다.
도 9 및 도 12를 참고하여, 회전 지지부(2155)의 상하 방향의 길이(d2)는 탄성 부재(340)의 상하 방향의 길이(d1)보다 짧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310)가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에 슬라이딩하며 방향을 전환할 때, 탄성 부재(340)의 상측부가 메인 홀(210h)의 하단에 의해 위치를 유지하면서, 탄성 부재(340)의 탄성 휨 변형을 유도하고, 카메라(310)가 가이드 조립체(215)에 보다 잘 접촉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는 회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유닛은 회전 지지부(2155)의 하단에 상하 방향에 수직한 제1 회전축(Y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제1 회전축(Y1)이란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닌 가상의 축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회전축(Y1)의 기능을 제공하는 제1 핀(2157)이 구비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유닛 및 회전 지지부(2155)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된 돌기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를 중심으로 다른 하나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제1 회전축(Y1)의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 유닛은, 제1 회전축(Y1)에 평행한 제2 회전축(Y2)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부(2151, 215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회전부(2151, 2152)는 카메라(31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 유닛은 n개의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n이란 2 이상의 자연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회전부가 도시되나, 3개 이상의 회전부가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회전 유닛이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회전부(2151, 2152)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회전부(2151)와 제2 회전부(215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제2 회전축(Y2)이란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닌 가상의 축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회전축(Y2)의 기능을 제공하는 제2 핀(2158)이 구비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인접한 2개의 회전부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된 돌기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를 중심으로 다른 하나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제2 회전축(Y2)의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회전부(2151, 2152) 각각은 상측으로 인접한 회전축(Y1, Y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 범위인 회전각(Ag1, Ag2)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부(2151)는 상측으로 인접한 제1 회전축(Y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 범위인 회전각(Ag1)이 설정되고, 제2 회전부(2152)는 상측으로 인접한 제2 회전축(Y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 범위인 회전각(Ag2)이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부(2151, 2152)의 상기 회전각의 합(Ag1+Ag2)은 45° 이상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회전부(2151, 2152)의 상기 회전각의 합(Ag1+Ag2)은 5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수직으로 만나는 수도관의 교차 지점에서 카메라(310)의 이동 경로를 라운드지게 하여, 카메라(310)의 수도관 내 진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각의 합(Ag1+Ag2)이 약 60˚로 설정된다.
복수의 회전부(2151, 2152)의 상기 회전각들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n개의 회전부의 설정된 n개의 회전각은 서로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각(Ag1)과 제2 회전각(A2)이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다. 이를 통해, 카메라(310)의 수도관 내 진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회전각(Ag1)이 30°로 설정되고, 제2 회전각(Ag2)도 30°로 설정된다.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가 구부러지는 방향을 '제1 회전 방향'(R1)이라 정의하고,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가 펴지는 방향을 '제2 회전 방향'(R2)이라 정의할 수 있다.
복수의 회전부(2151, 2152) 각각은 상측으로 인접한 회전축(Y1, Y2)을 중심으로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는 최대 범위를 제한하는 제1 리미트(P1)를 포함할 수 있다. 어느 한 회전부(2151 또는 2152)의 제1 리미트(P1)는 상측으로 인접한 구조물(2155 또는 2151)의 어퍼 리미트(P3)에 접촉(예를 들어, 도 13의 C1 참고)함으로써,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는 최대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부(2151, 2152) 각각은 상측으로 인접한 회전축(Y1, Y2)을 중심으로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하는 최대 범위를 제한하는 제2 리미트(P2)를 포함할 수 있다. 어느 한 회전부(2151 또는 2152)의 제2 리미트(P2)는 상측으로 인접한 구조물(2155 또는 2151)의 어퍼 리미트(P3)에 접촉(예를 들어, 도 13의 C2 참고)함으로써,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하는 최대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213) 및 회전 유닛(2151, 2152)은, 카메라(310)가 이동하는 경로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213) 및 상기 회전 유닛에는, 상기 일측 방향(카메라(310)의 이동 경로에 대해 회전 지지부(213) 및 회전 유닛(2151, 2152)이 배치된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카메라이 이동 경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2155a, 2151a, 2152a)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213)에는 상기 일측 방향으로 함몰되고 회전 지지부(213)의 연장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운드(round)진 홈(2155a)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회전부(2151, 2152)에는 상기 일측 방향으로 함몰되고 각각의 회전부(2151, 2152)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운드진 홈(2151a, 215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310)가 수도관 내부로 보다 부드럽게 진입할 수 있다.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는 회전 지지부(213)와 상기 회전 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회전축(Y1)의 기능을 제공하는 제1 핀(2157)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는 상기 복수의 회전부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회전부(2151, 2152) 사이에 배치되어 제2 회전축(Y2)의 기능을 제공하는 제2 핀(215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핀(2157) 및 제2 핀(2158)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여,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는 회전부 스프링(2153, 2154)을 포함할 수 있다. 어느 한 회전부 스프링(2153 또는 2154)은 상기 어느 한 회전부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구조물이 서로 꺾인 상태로 변경될 때(즉, 제1 회전 방향(R1)으로 꺾일 때)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 스프링(2153, 2154)은, 제1 회전축(Y1)을 중심으로 회전 지지부(213)와 상기 회전 유닛이 꺾인 상태로 변경될 때 탄성 변형하는 제1 회전부 스프링(215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 스프링(2153, 2154)은, 제2 회전축(Y2)을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회전부(2151, 2152)가 서로 꺾인 상태로 변경될 때 탄성 변형하는 제2 회전부 스프링(21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가 수도관의 꺾임 형태에 따라 수도관의 내벽에 밀착하며 꺾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카메라를 원활하게 수도관 내로 삽입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 스프링(2153, 2154)은 토션(torsion) 스프링이나, 스프링의 종류 및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는 상기 복수의 회전부 중 최하단에 배치된 회전부(2152)의 하단에 배치되는 롤러(2159)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2159)는 제1 회전축(Y1)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215)가 수도관 내의 바닥면에 접촉시에도 부드럽게 관절이 꺾이도록 유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여, 캡(220)은 메인 파이프(21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캡'은 '마개캡'이라 지칭될 수도 있다. 캡(220)은 메인 파이프(21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캡(22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캡(220)의 상기 홀에 가이드 캡부(25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캡(220)의 상기 홀에 가이드 캡부(253)의 상측 파트(2531)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 도 3, 도 4, 도 8, 도 11,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여, 유도 가이드(250)는 메인 파이프(210)의 메인 홀(210h)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도 가이드(250)는 메인 파이프(210)로부터 상측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유도 가이드(250)의 하단에 탄성 부재 걸림부(350)가 걸림될 수 있다. 유도 가이드(250)의 상단은 캡(220)에 의해 걸림될 수 있다. 유도 가이드(250)는, 캡(220)이 메인 파이프(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캡(220)에 걸림되어 메인 파이프(210)로부터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도 가이드(250)는, 캡(220)이 메인 파이프(2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메인 파이프(210)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여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유도 가이드(250)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251) 및 가이드 캡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51)는 케이블(320)을 둘러쌀 수 있다. 가이드부(251)에는 상하 방향으로 케이블(320)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251)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이드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부(251)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251)는, 반경 외측 방향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파트는, 제1 파트(2511)와 제2 파트(2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2511)와 제2 파트(2512)는 각각 반원 기둥의 형태로 형성되고, 제1 파트(2511)와 제2 파트(2512)가 서로 결합되어 원기둥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중심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케이블(320)이 통과하게 할 수 있다. 제1 파트(2511)와 제2 파트(2512)가 서로 결합되어 가이드부(251)의 상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파트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51)는 상기 복수의 파트를 둘러싸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의 적어도 하나의 링(2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링(2513)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링(25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2513)은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링(2513)이 상기 복수의 파트를 서로 결합시켜 줄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여, 가이드 캡부(253)는, 메인 파이프(210)의 메인 홀(210h)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는 메인 파이프(210)로부터 상측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는 가이드부(25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는 복수의 가이드부(251) 중 최상단에 있는 가이드부(251)의 상단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는 케이블(320)을 둘러쌀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에는 상하 방향으로 케이블(320)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는 캡(220)에 걸림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는, 캡(220)이 메인 파이프(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캡(220)에 걸림되어 메인 파이프(210)로부터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는, 캡(220)이 메인 파이프(2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메인 파이프(210)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여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는 상측 파트(2531)와 하측 파트(2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파트(2531)는 캡(220)에 걸림될 수 있다. 상측 파트(2531)에는 케이블(320)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 파트(2531)는 하측 파트(2532)의 상단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하측 파트(2532)는 상측 파트(25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파트(2532)에는 케이블(320)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하측 파트(2532)는 가이드부(251)의 상단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는 상측 파트(2531) 및 하측 파트(2532)의 사이에 끼여서 배치되는 끼임 부재(2533)를 포함할 수 있다. 끼임 부재(2533)에는 케이블(320)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끼임 부재(2533)를 상측 파트(2531)와 하측 파트(2532)의 사이에 둠으로써, 케이블(320)과 가이드부(251)의 내측면 사이로 이동하여 누수되는 물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끼임 부재(2533)는 중앙에 홀이 형성된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끼임 부재(2533)는, 상측 파트(2531) 및 하측 파트(2532)에 비해 탄성 변형이 더 잘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변형이 더 잘된다는 의미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같은 힘을 받았을 때 더 많이 탄성 변형을 한다는 의미이다. 이를 통해, 수도관 내시경 장치(1)를 사용하는 중에 더욱 효율적으로 누수를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파트(2531) 및 하측 파트(2532)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끼임 부재(2533)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파트(2531)에는, 끼임 부재(2533)의 상측부가 삽입되는 상측 삽입 홈(253g)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삽입 홈(253g)은 상측 파트(2531)의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측 파트(2532)에는, 끼임 부재(2533)의 하측부가 삽입되는 하측 삽입 홈(253h)이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삽입 홈(253h)은 하측 파트(2532)의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끼임 부재(2533)의 상하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외주는 상측 파트(2531)의 상하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외주보다 반경 내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끼임 부재(2533)의 상하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외주는 하측 파트(2532)의 상하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외주보다 반경 내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는 캡(220)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는, 가이드 캡부(253)의 홀을 중심으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의 상기 복수의 파트는 제1 상측 파트(2531a)와 제2 상측 파트(2531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의 상기 복수의 파트는 제1 하측 파트(2532a)와 제2 하측 파트(253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파트(2531)는, 상측 파트(2531)의 홀을 중심으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측 파트(2531a) 및 제2 상측 파트(25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측 파트(2531a)의 홈과 제2 상측 파트(2531b)의 홈이 서로 결합되어 상측 파트(2531)의 상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하측 파트(2532)는, 하측 파트(2532)의 홀을 중심으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측 파트(2532a) 및 제2 하측 파트(25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측 파트(2532a)의 홈과 제2 하측 파트(2532b)의 홈이 서로 결합되어 하측 파트(2532)의 상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는, 가이드 캡부(253)의 상기 복수의 파트를 둘러싸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의 적어도 하나의 링(2531c, 2532c)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링(2531c, 2532c)은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링(2531c, 2532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2531c, 2532c)은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링(2531c, 2532c)이 가이드 캡부(253)의 상기 복수의 파트를 서로 결합시켜 줄 수 있다. 링(2531c)은 제1 상측 파트(2531a) 및 제2 상측 파트(2531b)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링(2532c)은 제1 하측 파트(2532a) 및 제2 하측 파트(2532b)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는, 가이드 캡부(253)의 상기 복수의 파트를 서로 연결하여 체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2531d, 2532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부재(2531d, 2532d)는 2개의 파트를 연결하는 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2531d)는 제1 상측 파트(2531a) 및 제2 상측 파트(2531b)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2532d)는 제1 하측 파트(2532a) 및 제2 하측 파트(2532b)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는, 캡(220)에 접촉되어 걸림되는 상측면을 가진 상측 걸림부(253H)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걸림부(253H)는 캡(220)의 내측면 중 하측을 바라보는 면에 접촉하여 걸림될 수 있다. 상측 걸림부(253H)는 상측 파트(2531)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에서, 상측 걸림부(253H)는 반경 외측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는, 상측 걸림부(253H)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걸림부(253L)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걸림부(253L)는 메인 파이프(210)의 상단에 접촉되어 걸림되는 하측면을 가질 수 있다. 하측 걸림부(253L)는 하측 파트(2532)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캡부(253)에서, 하측 걸림부(253L)는 반경 외측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수도관 내시경 장치(1)를 분해 또는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1)를 분해하기 위해서, 먼저 캡(220)을 메인 파이프(210)로부터 분해한후, 유도 가이드(250)를 메인 파이프(210)로부터 상측으로 빼낸다. 유도 가이드(250)를 메인 파이프(210)로부터 상측으로 빼내기 전에, 먼저 카메라 어셈블리(300)의 결합부(351)와 결합 대응부(352)를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유도 가이드(250)를 메인 파이프(210)로부터 상측으로 빼낸 후, 복수의 링(2513, 2531c, 2532c)을 풀고 복수의 체결 부재(2531d, 2532d)의 체결을 해제하여, 가이드부(251)를 복수의 파트로 분해하고 가이드 캡부(253)를 복수의 파트로 분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320)을 별도로 분리해 낼 수 있다. 사용자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1)를 조립하기 위하여, 위에서 설명한 분해 방법을 역으로 수행하여 부품들을 서로 조립할 수 있다.
1 : 수도관 내시경 장치, 100 : 본체, 110: 체결부, 120: 클램프, 130: 수압계, 140: 밸브, 150: 가이드 부재, 160: 본체 핸들 체결부, 170: 본체 바디, 200: 파이프 어셈블리, 210: 메인 파이프, 215: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 219: 이탈 방지턱, 220: 캡, 250: 유도 가이드, 251: 가이드부, 253: 가이드 캡부, 300: 카메라 어셈블리, 310: 카메라, 320: 케이블, 340: 탄성 부재, 350: 탄성 부재 걸림부, 360: 케이블 연결부, 400: 본체 핸들, 500: 파이프 핸들

Claims (11)

  1.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홀을 형성하는 메인 파이프;
    상기 메인 파이프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는 캡; 및
    상기 캡의 홀에 삽입되고, 상하 방향으로 케이블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캡이 상기 메인 파이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캡에 걸림되어 상기 메인 파이프로부터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캡이 상기 메인 파이프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파이프로부터 상측으로 이동하여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이드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캡부는,
    상기 가이드 캡부의 홀을 중심으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파트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용 파이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캡부는,
    상기 캡에 걸림되고,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상측 파트;
    상기 상측 파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하측 파트; 및
    상기 상측 파트 및 상기 하측 파트의 사이에 끼여서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끼임 부재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용 파이프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 부재는, 상기 상측 파트 및 상기 하측 파트에 비해 탄성 변형이 더 잘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용 파이프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파트에는, 상기 끼임 부재의 상측부가 삽입되는 상측으로 함몰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파트에는, 상기 끼임 부재의 하측부가 삽입되는 하측으로 함몰된 홈이 형성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용 파이프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파트는,
    상기 상측 파트의 홀을 중심으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상측 파트 및 제2 상측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파트는,
    상기 하측 파트의 홀을 중심으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측 파트 및 제2 하측 파트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용 파이프 어셈블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캡부는, 상기 복수의 파트를 둘러싸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의 적어도 하나의 링을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용 파이프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캡부는, 상기 복수의 파트를 서로 연결하여 체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용 파이프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캡부는,
    상기 캡에 접촉되어 걸림되는 상측면을 가진 상측 걸림부; 및
    상기 상측 걸림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파이프의 상단에 접촉되어 걸림되는 하측면을 가진 하측 걸림부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용 파이프 어셈블리.
  10. 삭제
  11.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파이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하단부에 수도관 입구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상기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어셈블리를 상하로 관통하고, 상기 파이프 어셈블리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는 카메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
KR1020190143051A 2019-11-09 2019-11-09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 KR102126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051A KR102126636B1 (ko) 2019-11-09 2019-11-09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051A KR102126636B1 (ko) 2019-11-09 2019-11-09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960A Division KR102242884B1 (ko) 2020-06-18 2020-06-18 수도관 내시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636B1 true KR102126636B1 (ko) 2020-06-24

Family

ID=71407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051A KR102126636B1 (ko) 2019-11-09 2019-11-09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6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889B1 (ko) * 2008-04-08 2010-08-30 주식회사 두배시스템 배관 내부 검사 장치
KR20110053499A (ko) * 2009-10-30 2011-05-24 김한식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
KR101545150B1 (ko) * 2015-05-07 2015-08-19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유해가스 감지장치
KR101913659B1 (ko) * 2017-05-10 2018-10-31 (주) 삼신웰테크 파이프용 내경 척킹장치
KR20190014695A (ko) * 2017-08-03 2019-02-13 화명이엔시 주식회사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889B1 (ko) * 2008-04-08 2010-08-30 주식회사 두배시스템 배관 내부 검사 장치
KR20110053499A (ko) * 2009-10-30 2011-05-24 김한식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
KR101545150B1 (ko) * 2015-05-07 2015-08-19 플루오르테크주식회사 유해가스 감지장치
KR101913659B1 (ko) * 2017-05-10 2018-10-31 (주) 삼신웰테크 파이프용 내경 척킹장치
KR20190014695A (ko) * 2017-08-03 2019-02-13 화명이엔시 주식회사 상수도 배관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8611B1 (en) Compression fitting nut with interlocked ferrule
TWI657213B (zh) 開口環聯結器
US9127803B2 (en) Pipe inspection and servicing
EP3434955B1 (en) Fittings having arcuate stiffness ribs
RU2612522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ксации уплотнения трубного зажима
RU248237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хан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KR101683143B1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242884B1 (ko) 수도관 내시경 장치
BR112014012188B1 (pt) método para acoplar primeiro e segundo elementos de tubos em relação de extremidade a extremidade
US11045931B2 (en) Tool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eal by allowing a precompression to join two tubular parts
KR102126636B1 (ko)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
JP4987869B2 (ja) 継手アセンブリ
CN108368733B (zh) 包括内锁定环和可移除的销的用于组装两个立管部段的连接件
KR102154692B1 (ko) 공구없이 분리결합가능한 플라스틱 배관용 pb이음관 그립링 손상방지장치
JP7069130B2 (ja) 締結し、プレストレスを与えるためのばね要素を有する取り外し可能なタップ
KR102150805B1 (ko) 카메라 가이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
KR102122688B1 (ko) 분리형 수도관 내시경 장치
US10794492B2 (en) Sealing device for drive shaft
US10422456B2 (en) Tube connector for detachably connecting two connector parts for gas-tight connecting of riser tubes to vessels
KR20090019056A (ko) 압착형 연결배관의 압착공구
CN107764639B (zh) 保持圆管曲率的自紧式圆管环向拉伸试验装置
GB2551771A (en) Coupling
US11421805B2 (en) Telescoping meter flange
KR101435576B1 (ko) 부시 및 이를 포함하는 관이음 장치
US20230141879A1 (en) Tube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