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499A -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499A
KR20110053499A KR1020090104180A KR20090104180A KR20110053499A KR 20110053499 A KR20110053499 A KR 20110053499A KR 1020090104180 A KR1020090104180 A KR 1020090104180A KR 20090104180 A KR20090104180 A KR 20090104180A KR 20110053499 A KR20110053499 A KR 20110053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uid
endoscope
cilia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식
Original Assignee
김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식 filed Critical 김한식
Priority to KR1020090104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3499A/ko
Publication of KR20110053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4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F16L55/38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driven by fluid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0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using pigs or m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Robotic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유관, 수도관처럼 내부에 유체가 흘러 가는 관에 누수나 불순한 목적을 가진 이들에게 고의적인 도유를 당할 때 그 위치를 손쉽게 파악하여 빨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관내의 검사시스템 및 장치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종 종 뉴스 보도를 통해 송유관에 고의적으로 구멍을 내고 도유 장치를 하여 몰래 기름을 빼내어 이득을 취하는 자들을 검거하는 뉴스와 또는 그 과정에 자칫 실수를 하여 사고로 이어져 목숨을 잃거나 대형 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사고가 종종 잃어나 막대한 손실을 입고 있으며 무엇보다 소중한 생명을 잃을 수 있어 경각심마저 낳고 있다. 이러한 사고를 막기 위해 관계부처는 일일이 도보를 하여 육안으로 검사를 하고 있으나 그 거리가 너무 많아 약 2∼3년을 꼬박 같은 작업을 해야 1회 검사를 할 수 있어 실용성이 매우 적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검사 장비는 1주일이면 전 구간을 세밀히 검사할 수 있어 확실한 검사를 할 수 있으며 막대한 손실을 막을 수 있는 발명이다.
송유관, 내시경, 검사장비, 수도관

Description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oil pipeline an endoscope equipment and system}
본 발명은 송유관, 수도관의 내시경 장치 및 그 시스템으로 유체가 흐르는 내부에 그 유체가 누수 되거나 또는 도유 되는 정확한 부위를 찾는 것이 목적이다. 송유관은 약 7000여 대의 유조차 감소 효과를 가지면서도 아주 안전하고 유용한 시설이다 종래에는 그 부위를 찾기 위해 각 구간별로 압력계를 설치하여 유체의 펌프 수단에 의한 압력을 각 구간별로 체크 계산하여 압력이 낮은 구간에 누수 및 도유의 의심을 가지는 정도이고 그 구간이 너무 길어 사실상 누수나 도유의 의심이 간다 하여도 정확한 곳을 짚을 수 없어 실용성이 없는 기술로 우리나라만 해도 도유의 가능성이 있는 부위가 약 800km정도의 구간이어서 그 구간을 일일이 도보를 하여 육안으로 그 주위를 살펴보는데에 만 약 2∼3년이 소요되지만 그 또한 땅속에 있는 관을 직접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아니고 그 주변을 살펴 누수가 있는지 도유의 흔적을 찾는 정도이어서 사실상 그 기능은 신뢰도가 매우 떨어진다.
송유관에 구멍을 뚫고 도유 장치를 하여 도유를 하는 자들의 소행이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 2005년 1건이던 사건이 2006년 15건, 2007년 31건, 2008년 31건으 로 증가 추세이다. 송유관, 수도관의 누수, 도유를 막기 위해서는 도유, 누수가 되는 즉시 수일 내에 그 위치를 정확히 탐지하여 빠른 대처를 함으로서 누수에 의한 지하수 오염을 막을 수 있고 도유는 아예 원천적으로 그 싹을 자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1주일에 전 구간의 유체 이동 관의 내부를 고해상도 영상을 얻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자동 자료 판독으로 관내의 이상 유무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며 그러한 작업이 적어도 모든 시설이 1주일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반복되어 질 수 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해결점으로 송유관, 수도관, 특히 송유관의 각 구간별로 내시경 장치를 유입할 수 있고, 또 끄집어낼 수 있는 시설을 구성하는 것과, 송유관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와 같이 흘러가면서 정확히 관 내부를 고해상도로 영상을 얻어 저장 및 송신하는 내시경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송유관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와 같이 흘러가면서 관 내부를 고해상도로 촬영을 하고 촬영된 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판독하고 기록하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하는 곳이 있으면 그 위치가 촬영이 되고 그 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판독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관리자는 재빠른 조치로 누수를 막고, 도유를 막는 것으로 지하수오염사고, 도유로 인한 손해를 막을 수 있으며, 사고로 인한 인명사고도 지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도 1은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의 개시도 이며, a교환시스템(a)에서 b교환시스템(b)이 1구간이며, 1구간은 각 저유소에서, 가압소, 저장소일 수 있으며 또는 가압소에서 가압소, 저장소일 수 있다. 각 저유소, 가압소, 저장소에 a교환시스템(a), b교환시스템(b)과 같은 시설을 갖추고 내시경장치(100)를 관내부(11)에 흐르게 하여 관내부(11)의 정확한 영상의 데이터를 얻어 관리하는 것이 목적이다. a교환시스템(a)나, b교환시스템(b)은 펌푸수단(15)을 우회하여 설치 구성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유는 내시경장치(100)가 각 밸브 수단을 열었을 때 통과할 수 있으며 중간에 이음관도 통과할 수 있으나 펌프 수단은 통과하는데 무리가 따르거나 불가능하거나 무리가 따르기 때문이며 또한 각 저유소, 가압소, 저장소에 펌프 수단이 구비되기 때문에 각 저유소, 가압소, 저장소에서 a교환시스템(a)나, b교환시스템(b)을 설치 구성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서 a교환시스템(a)의 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이며 유체흐름관(10)의 관내부(11)에서 지름에 대한 사선으로 구성된 유도필터수단(21)의 사선의 유도에 따라 유도관입구부(20)로 진입하는 과정의 도면이다. 유도필터수단(21)은 구멍이 숭숭 나있는 필터 수단으로 유체의 흐름은 저항 없이 흐르게 하지만 내시경장치(100)와 같이 큰 물체는 지나가지 못하며 다만 사선으로 구성된 것으로 하여 유체의 흐름에 떠밀려 사선으로 밀리게 되어 유도관입구부(20)로 밀려서 유도관(22)으로 진입하게 된다. a교환시스템(a), b교환시스템(b)의 구성이 다음과 같다. 유체흐름관(10)의 일부에서 별도의 파이프 수단으로 펌푸수단(15)을 우회하는 경로를 만들며 유도관입구부(20), 배출관출구부(29)는 T자 연결 부위이지만 내시경장치(100)가 쉽 게 유입되고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사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부위는 연결구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고 또는 용접수단으로 접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유도관입구부(20)와 배출관출구부(29)의 사이에는 내시경장치(100)를 꺼내거나 또는 집어넣을 수 있는 교체관부(24)가 구비되고 교체관부(24)는 뚜껑수단(25)이 구비되어 열고 닫을 수 있으며 그 장치는 압력에 견디며 송유관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어 쉽게 목적에 따라 뚜껑수단(25)을 열고 닫을 수 있으나 닫혀 있을 때에는 절대 유체가 새지 않는다. 교체관부(24)과 유도관입구부(20)의 사이에는 유도관(22)으로 이어져 구성되어 있으며 그 지름은 유체흐름관(10)과 비슷하거나 조금 클 수 있고 그 구성에 밸브수단(23)을 장착하는바 밸브수단(23)을 완전히 열었을 때에는 그 개시된 구멍으로 내시경장치(100)가 충분히 빠져나가야 한다. 유도관입구부(20)부에서 유도관(22), 교체관부(24)에 유체흐름관(10)은 유도필터수단(21)의 사선에 맞추어 그 사선을 유지하거나 비슷하게 구성하여 내시경장치(100)가 유도필터수단(21)에 유도되었을 때 쉽게 유도관입구부(20), 유도관(22), 밸브수단(23), 교체관부(24)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유도관입구부(20)에서 배출관출구부(29)의 사이에는 배출관(28)이 구비되며 그 구성에 밸브수단(27)이 구비되며 밸브수단(27)을 완전히 열어 개시되었을 때 그 구멍으로 내시경장치(100)가 충분히 지나갈 수 있는 크기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교체관부(24)에서 밸브수단(27)의 사이에 정지필터수단(26)이 구비되는바 정지필터수단(26)은 유체는 저항 없이 흘려 보내지만 내시경장치(100)는 걸려 정지되게 된다. 교체관부(24)에서 정지필터수단(26), 밸브수단(27), 배출관(28), 배출관출구부(29)까지의 구성은 내시경장치(100)가 잘 흘러서 주 유체흐름관(10)에 유입될 수 있도록 사선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유도관입구부(20)에서 배출관출구부(29)까지 사이에 주 유체흐름관(10)에는 펌푸수단(15)이 있는바 내시경장치(100)는 펌푸수단(15)을 우회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간섭받지 않으면서도 펌푸수단(15)의 펌프 압력에 의해 유체와 같은 비슷하거나 같은 흐름으로 관내부(11)를 움직일 수 있다. 도 3에서 내시경장치(100)이 유도필터수단(21)에 유도되어 유도관입구부(20), 유도관(22)에 유입되어 밸브수단(23)에 걸려 있는바 밸브수단(23)을 열어 주면 내시경장치(100)은 도 4와같이 교체관부(24)로 유입되어 정지필터수단(26)에 걸려 정지하게 된다. 그러면 밸브수단(23), 밸브수단(27)을 모두 잠그고 교체관부(24)의 압력을 제거 한 다음 뚜껑수단(25)을 열어 내시경장치(100)을 꺼내어 내시경장치(100)에 저장된 각종 자료를 취하면 된다. 또한, 준비가 되어 있는 내시경장치(100)를 교체관부(24)에 넣고 뚜껑수단(25)를 닫아 기밀을 요하고, 도 5와 같이 정지필터수단(26)을 열어 내시경장치(100)가 지나갈 수 있도록 한 다음 밸브수단(23), 밸브수단(27)을 열면 내시경장치(100)이 도 6, 도 7과같이 밸브수단(27), 배출관(28), 배출관출구부(29)를 지나 주 유체흐름관(10)을 타고 다음 목적지 까지 유체와 같이 흘러가면서 임무를 수행하게 되는 휙 기적인 시스템이다. 도 8에서 내시경장치(1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몸통수단(30)의 지름은 사용되는 유체흐름관(10)의 관내부(11)보다 작아야 하며 관내부(11)에서 중심을 잡고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그 길이는 자체 지름보다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몸통수단(30)의 길이가 관내부(11)의 지름보다 커서 관내부(11)에서 내시경장치(100)가 어떠한 경우라도 앞뒤가 바뀌거나 또는 측 면이 전, 후로 돌아 자리 잡는 경우가 발생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몸통수단(30)의 길이가 관내부(11)보다 작게도 만들 수는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더 긴 것이 좋다. 그리고 중심을 잡기 위해서 몸통수단(30)의 외부에 중심잡기섬모수단(40)을 구성하였으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중심잡기섬모수단(40)의 모근 부를 섬모고정부(41)에 고정하며 이때에는 몸통수단(30)의 둘레에 적절히 분배하여 최소 3개 이상으로 분배시켜 둘레로 고정하고 길이 방향으로는 앞쪽과 뒤쪽만 구성하여도 중심을 잡을 수 있지만 더욱 안전하게 다수 구성할 수 있다. 중심잡기섬모수단(40)은 앞쪽에서 뒤쪽 방향으로 사선으로 뉘어 졌을 때 그 섬모끝부(42)가 관내부(11)의 내벽에 밀착되거나 근접할 정도가 되어야 한다 그 길이가 너무 짧아 몸통수단(30)과 90도 각으로 세워 구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항상 앞쪽에서 뒤쪽으로 사선으로 되어 있는 것이 좋다. 그 사선의 각은 섬모고정부(41)를 중심으로 몸통수단(30)의 앞쪽에서 중심잡기섬모수단(40) 각이 90도 이상으로 하고 180도 이하로 한다. 중심잡기섬모수단(40)의 몸통은 섬모고정부(41)에서 섬모끝부(42)쪽으로 그 지름이 같거나 또는 가늘어 질 수 있다. 중심잡기섬모수단(40)의 재질은 관내부(11)에 내벽에 마찰이 일어나더라도 절대 관내부(11)의 내벽에 상처를 주지 않는 플라스틱 계열의 수지로 하며 유지 성분에 강한 모든 플라스틱 계열과 경도가 높은 실리콘 계열이 바람직하며 또는 목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몸통수단(30)의 전면부에는 전방을 환히 비출 수 있는 조명수단(52)을 다수 구비하였다. 조명수단(52)은 가열식이 아닌 LED조명이 바람직하며 각 유체의 성분에 따라 그 파장을 달리하여 조명의 색깔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몸통수단(30)의 전면부의 중심에는 카메라렌즈(51)가 구비되 며 몸통수단(30)의 내부에 카메라모듈(50)에 같이 구비되어 조명수단(52)의로 전방을 환히 비추고 카메라모듈(50)의 카메라렌즈(51)로 모든 전방을 영상으로 담을 수 있으며 내시경장치(100)의 속도가 관내부(11)에 흐르는 유체 속도와 비슷하거나 같아 그 속도가 빠르므로 카메라모듈(50)은 좋은 화질을 얻기 위하여 고속카메라가 유리하다. 몸통수단(30)의 내부에는 테이터저장장치(54), 컨트롤장치(55), 전지수단(57)이 내장되어 전지수단(57)에 의한 동력을 사용하고 모든 기기들을 컨트롤장치(55)의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한다. 테이터저장장치(54)에는 모든 데이터가 저장되며 특히 영상 자료와 더불어 그 영상의 위치 정보가 정확하게 같이 저장될 수 있도록 몸통수단(30)의 일부에 장착 구비된 발진 및 수신장치(53)에서 레이저, 또는 초음파 등을 발진하고 수신하여 그 거리 데이터를 를 세밀하게 영상자료와 같이 저장하여 영상자료에 특정 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제공한다. 또한, 그 모든 데이터를 몸통수단(30)의 일부에 구비된 안테나수단(60)으로 초음파 형태로 발진하여 관리자에게 즉시 보낼 수도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몸통수단(30)의 내부에 진동모터수단(56)이 구비되어 내시경장치(100)가 유체흐름관(10)의 일부에서 걸려서 움직이지 않을 때 컨트롤장치(55)는 진동모터수단(56)을 가동시켜 내시경장치(100)에 진동을 유발시켜 움직일 수 있는 구동을 한다. 그러한 구성은 관내부(11)에서 걸릴 수 있는 확률이 없다 하여도 불순한 자들로 인하여 유체흐름관(10)에 구멍을 뚫고 쇠막대기를 꽂았다고 가정하면 내시경장치(100)가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할 상황도 연출될 수 있다. 그럴 때 진동모터수단(56)으로 탈출을 시도할 수 있으며 내시경장치(100)가 멈추었을 때에는 정확한 위치를 신호로 즉시 관리 자에게 알려 주어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는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그 해당지점에서 쇠막대를 끄집어내고 보수를 함으로서 내시경장치(100)는 탈출을 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시간이 지체되면 전지수단(57)에 있는 전원이 모두 소진될 수 있다. 따라서 몸통수단(30)의 후미의 내부에는 발전기수단(58) 그 외부에 발전터빈수단(59)이 같이 구비되어있다. 내시경장치(100)가 유체와 같은 속도로 이동할 때에는 발전터빈수단(59)이 회전하지 않지만 내시경장치(100)가 멈추어서 이동하지 않은 때에는 강한 유체의 유속에 의해 발전터빈수단(59)에 회전력이 발생하여 발전기수단(58)이 회전하면서 발전을 하여 전지수단(57)에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되기 때문에 절대 전지수단(57)은 방전되지 않고 내시경장치(100)가 제 목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매우 효율적인 내시경장치(100)이며 통틀어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이다.
도 1은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의 개시도.
도 2는 도 1에서 a교환시스템(a)의 확대하여 내시경장치(100)이 유도관입구부(20)에 진입과정을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내시경장치(100)이 유도관(22)에 진입과정을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내시경장치(100)이 교체관부(24)에 진입과정을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에서 정지필터수단(26)을 개시하여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내시경장치(100)이 배출관(28)을 지나 배출관출구부(29)를 진입과정을 보인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내시경장치(100)이 배출관출구부(29)를 지나 유체흐름관(10)에 진입과정을 보인 도면.
도 8은 내시경장치(100)의 내부를 투시도로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유체흐름관(10) 관내부(11)
펌푸수단(15)
유도관입구부(20) 유도필터수단(21)
유도관(22) 밸브수단(23)
교체관부(24) 뚜껑수단(25)
정지필터수단(26) 밸브수단(27)
배출관(28) 배출관출구부(29)
몸통수단(30) 중심잡기섬모수단(40)
섬모고정부(41) 섬모끝부(42)
카메라모듈(50) 카메라렌즈(51)
조명수단(52) 발진 및 수신장치(53)
테이터저장장치(54) 컨트롤장치(55)
진동모터수단(56) 전지수단(57)
발전기수단(58) 발전터빈수단(59)
안테나수단(60) 내시경장치(100)
a교환시스템(a) b교환시스템(b)

Claims (2)

  1. 송유관의 저유소, 가압소, 저장소, 구간별로 펌푸 수단의 압력으로 기름 유체를 흘려 이송할 때 송유관의 내부의 표면을 영상 촬영할 수 있는 로봇수단을 유체의 흐름 속도에 맞추어 이송 시키면서 영상 데이터를 얻는 시스템의 송유관 내시경장치는,
    몸통수단(30)의 지름은 사용되는 유체흐름관(10)의 관내부(11)보다 작아야 하며 관내부(11)에서 중심을 잡고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그 길이는 자체 지름보다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몸통수단(30)의 길이가 관내부(11)의 지름보다 커서 관내부(11)에서 내시경장치(100)가 앞뒤가 바뀌거나 또는, 측면이 전진 방향으로 전환되지 못하며, 몸통수단(30)의 길이가 관내부(11)보다 작게 구비 될 때에는 후미에 꼬리를 달아 그 길이를 늘려서 만들 수 있고, 몸통수단(30)의 외부에 중심잡기섬모수단(40)을 구성하였으며, 중심잡기섬모수단(40)의 모근 부를 섬모고정부(41)에 고정하며 이때에는 몸통수단(30)의 둘레에 적절히 분배하여 최소 3개 이상으로 분배시켜 둘레로 고정하고 길이 방향으로는 앞쪽과 뒤쪽만 구성하여도 중심을 잡을 수 있지만 더욱 안전하게 다수 구성할 수 있고, 중심잡기섬모수단(40)은 앞쪽에서 뒤쪽 방향으로 사선으로 뉘어 졌을 때 그 섬모끝부(42)가 관내부(11)의 내벽에 밀착되거나 근접할 정도가 되어야 하며, 그 길이가 너무 짧아 몸통수단(30)과 90도 이하의 각으로 항상 앞쪽에서 뒤쪽으로 사선으로 되어 있으며, 그 사선의 각은 섬모고정부(41)를 중심으로 몸통수단(30)의 앞쪽에서 중심잡기섬모수단(40) 후미 쪽으로 누운 각으로 하며, 중심잡기섬모수단(40)의 몸통은 섬모고정부(41)에서 섬모끝부(42)쪽으로 그 지름이 같거나 또는 가늘어 질 수 있으며, 중심잡기섬모수단(40)의 재질은 관내부(11)에 내벽에 마찰이 일어나더라도 절대 관내부(11)의 내벽에 상처를 주지 않는 플라스틱 계열의 수지로 하며 휘발성 기름 성분에 강한 모든 플라스틱 계열과 경도가 높은 실리콘 계열이 바람직하며 또는 목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몸통수단(30)의 전면부에는 전방을 환히 비출 수 있는 조명수단(52)을 다수 구비되며, 조명수단(52)은 가열식이 아닌 LED조명으로 하며, 각 유체의 성분에 따라 그 파장을 달리하여 조명의 색깔을 달리할 수 있고, 또한 몸통수단(30)의 전면부의 중심에는 카메라렌즈(51)가 구비되며 몸통수단(30)의 내부에 카메라모듈(50)에 같이 구비되어 조명수단(52)의로 전방을 환히 비추고 카메라모듈(50)의 카메라렌즈(51)로 모든 전방을 영상으로 담을 수 있으며 내시경장치(100)의 속도가 관내부(11)에 흐르는 유체 속도와 비슷하거나 같아 그 속도가 빠르므로 카메라모듈(50)은 좋은 화질을 얻기 위하여 고속카메라의 수단도 사용할 수 있으며, 몸통수단(30)의 내부에는 테이터저장장치(54), 컨트롤장치(55), 전지수단(57)이 내장되어 전지수단(57)에 의한 동력을 사용하고 모든 기기들을 컨트롤장치(55)의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하고, 테이터저장장치(54)에는 모든 데이터가 저장되며 특히 영상 자료와 더불어 그 영상의 위치 정보가 정확하게 같이 저장될 수 있도록 몸통수단(30)의 일부에 장착 구비된 발진 및 수신장치(53)에서 레이저, 또는 초음파 등을 발진하고 수신하여 그 거리 데이터를 를 세밀하게 영상자료와 같이 저장하여 영상자료에 특정 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며, 또한, 그 모든 데이터를 몸통수단(30)의 일부에 구비된 안테나수단(60)으로 초음파 형태로 발진하여 관리자에게 즉시 보낼 수도 있으며, 또한, 몸통수단(30)의 내부에 진동모터수단(56)이 구비되어 내시경장치(100)가 유체흐름관(10)의 일부에서 걸려서 움직이지 않을 때 컨트롤장치(55)는 진동모터수단(56)을 가동시켜 내시경장치(100)에 진동을 유발시켜 움직일 수 있는 구동을 할 수 있고, 몸통수단(30)의 후미의 내부에는 발전기수단(58) 그 외부에 발전터빈수단(59)이 같이 구비되어있으며, 내시경장치(100)가 유체와 같은 속도로 이동할 때에는 발전터빈수단(59)이 회전하지 않지만 내시경장치(100)가 멈추어서 이동하지 않은 때에는 강한 유체의 유속에 의해 발전터빈수단(59)에 회전력이 발생하여 발전기수단(58)이 회전하면서 발전을 하여 전지수단(57)에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되기 때문에 절대 전지수단(57)은 방전되지 않고 내시경장치(100)가 제 목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
  2. a교환시스템(a)에서 b교환시스템(b)이 1구간이며, 1구간은 각 저유소에서, 가압소, 저장소일 수 있으며 또는, 가압소에서 가압소, 저장소일 수 있고, 각 저유소, 가압소, 저장소에 a교환시스템(a), b교환시스템(b)과 같은 시설을 갖추고 내시경장치(100)를 관내부(11)에 흐르게 하여 관내부(11)의 정확한 영상의 데이터를 얻어 관리하며, a교환시스템(a)나, b교환시스템(b)은 펌푸수단(15)을 우회하여 설치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저유소, 가압소, 저장소에 펌프 수단이 구비되기 때문에 각 저유소, 가압소, 저장소에서 a교환시스템(a)나, b교환시스템(b)을 설치 구성하며, a교환시스템(a)나, b교환시스템(b)에는 유체흐름관(10)의 관내부(11)에서 지름에 대한 사선으로 구성된 유도필터수단(21)이 구비도며, 유도필터수단(21)은 구멍이 숭숭 나있는 금속의 필터 수단으로 유체의 흐름은 저항 없이 흐르게 하지만 내시경장치(100)와 같이 큰 물체는 지나가지 못하며 다만 사선으로 구성된 것으로 하여 유체의 흐름에 떠밀려 사선으로 밀리게 되어 유도관입구부(20)로 밀려서 유도관(22)으로 진입하게 되며, 유체흐름관(10)의 일부에서 별도의 파이프 수단으로 펌푸수단(15)을 우회하는 경로를 만들며 유도관입구부(20), 배출관출구부(29)는 T자 연결 부위이지만 내시경장치(100)가 쉽게 유입되고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사선으로 연결하며, 그 부위는 연결구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고 또는 용접수단으로 접합하여 연결할 수 있고, 유도관입구부(20)와 배출관출구부(29)의 사이에는 내시경장치(100)를 꺼내거나 또는 집어넣을 수 있는 교체관부(24)가 구비되고 교체관부(24)는 뚜껑수단(25)이 구비되어 열고 닫을 수 있으며 그 장치는 압력에 견디며 송유관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어 쉽게 목적에 따라 뚜껑수단(25)을 열고 닫을 수 있으나 닫혀 있을 때에는 절대 유체가 새지 않는 기밀로 되며, 교체관부(24)과 유도관입구부(20)의 사이에는 유도관(22)으로 이어져 구성되어 있으며 그 지름은 유체흐름관(10)과 비슷하거나 조금 클 수 있고 그 구성에 밸브수단(23)을 장착하는바 밸브수단(23)을 완전히 열었을 때에는 그 개시된 구멍으로 내시경장치(100)가 충분히 빠져 나오는 지름으로 되며, 유도관입구부(20)부에서 유도관(22), 교체관부(24)에 유체흐름관(10)은 유도필터수단(21)의 사선에 맞추어 그 사선을 유지하거나 비슷하게 구성하여 내시경장치(100)가 유도필터수단(21)에 유도되었을 때 쉽게 유도관입구부(20), 유도관(22), 밸브수단(23), 교체관부(24)로 진입할 수 있게 되며, 유도관입구부(20)에서 배출관출구부(29)의 사이에는 배출관(28)이 구비되며 그 구성에 밸브수단(27)이 구비되며 밸브수단(27)을 완전히 열어 개시되었을 때 그 구멍으로 내시경장치(100)가 충분히 지나갈 수 있는 크기의 지름을 가지며, 그리고 교체관부(24)에서 밸브수단(27)의 사이에 정지필터수단(26)이 구비되는바 정지필터수단(26)은 유체는 저항 없이 흘려 보내지만 내시경장치(100)는 걸려 정지되게 되고, 교체관부(24)에서 정지필터수단(26), 밸브수단(27), 배출관(28), 배출관출구부(29)까지의 구성은 내시경장치(100)가 잘 흘러서 주 유체흐름관(10)에 유입될 수 있도록 사선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유도관입구부(20)에서 배출관출구부(29)까지 사이에 주 유체흐름관(10)에는 펌푸수단(15)이 있는바 내시경장치(100)는 펌푸수단(15)을 우회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간섭받지 않으면서도 펌푸수단(15)의 펌프 압력에 의해 유체와 같은 비슷하거나 같은 흐름으로 관내부(11)를 움직일 수 있는 것으로 한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
KR1020090104180A 2009-10-30 2009-10-30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 KR201100534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180A KR20110053499A (ko) 2009-10-30 2009-10-30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180A KR20110053499A (ko) 2009-10-30 2009-10-30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499A true KR20110053499A (ko) 2011-05-24

Family

ID=4436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180A KR20110053499A (ko) 2009-10-30 2009-10-30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34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240B1 (ko) * 2012-04-20 2013-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탐사 로봇, 배관 탐사 시스템
KR102126636B1 (ko) * 2019-11-09 2020-06-24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
US11519807B2 (en) * 2019-12-13 2022-12-0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 and system to determine variations in a fluidic chann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240B1 (ko) * 2012-04-20 2013-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탐사 로봇, 배관 탐사 시스템
KR102126636B1 (ko) * 2019-11-09 2020-06-24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파이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수도관 내시경 장치
US11519807B2 (en) * 2019-12-13 2022-12-0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 and system to determine variations in a fluidic chan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9010B2 (ja) 管路内壁の調査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206938B2 (en) Pipeline inspection apparatus
ES2734290T3 (es) Sistema de inspección y proceso de inspección utilizando un vehículo de inspección magnético
CN103597340B (zh) 通过内窥镜检查查找部件缺陷的设备
JP2020537079A (ja) ジェットエンジンのボアスコープ検査のための装置と方法
KR100431721B1 (ko) 검사장치
US8753082B2 (en) Gear box of a wind power plant
US20210245362A1 (en) Mobile robot for inspecting a turbomachine
KR20110053499A (ko) 송유관 내시경 장치 및 시스템
KR102107975B1 (ko) 관로 내부 확인이 용이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세척방법
JP6937800B2 (ja) 管内調査用浮流装置、管内調査方法及び管内調査システム
JP4535842B2 (ja) 配管検査装置
CN104520942A (zh) 用于罐检查、准备和维护的系统和方法
CN110419082A (zh) 具有维护工具的检查载具
JP2019049485A (ja) 水道管の漏水検査装置
KR100611355B1 (ko) 상수도 관로 검사 장치
JP3811921B2 (ja) 内視機能等を備えた方向制御可能な小径管内の洗浄装置
KR101327727B1 (ko) 지아이에스 기반 수치데이터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CN115398093A (zh) 用于检查水力涡轮转轮的方法和设备
JP2007030008A (ja) 気中ピーニング加工装置および加工方法
JPH0469596A (ja) 配管内の点検補修用ロボット
US20100012751A1 (en) Laser Assisted Aiming System for Fluid Nozzles
CN112393221A (zh) 对蒸汽发生器内部的异物进行检查及去除的装置及其系统
JP6305794B2 (ja) 配管内確認装置
KR102405929B1 (ko) 부단수 관로 촬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