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282U -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 - Google Patents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03282U KR20100003282U KR2020080012488U KR20080012488U KR20100003282U KR 20100003282 U KR20100003282 U KR 20100003282U KR 2020080012488 U KR2020080012488 U KR 2020080012488U KR 20080012488 U KR20080012488 U KR 20080012488U KR 20100003282 U KR20100003282 U KR 2010000328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release
- drain pipe
- drain
- drain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F16L55/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being self-contain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을 절단하지 않고 내시경장비를 투입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공사시간에 따른 단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지중에 매설된 배수관 내부에 내시경장비를 투입하여 배수관 내부를 진단하는 것에 있어서, 절단된 배수관 사이에 이형관 양단을 연결 설치하되, 상기 이형관 양단에는 양측 배수관에 각각 연결하고, 상기 이형관 상단에는 내부에 내시경장비를 투입할 수 있도록 출입플랜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출입플랜지부에는 마개플랜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출입플랜지부를 통해 배수관을 절단하지 않고도 이형관 내부에 내시경장비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배수관 절단 및 복구에 소요되는 공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또한 반복적인 도로 굴착작업이 불필요하므로, 공사시간과 단수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시민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배수관, 이형관, 압륜, 마개플랜지, 내시경장비.
Description
본 고안은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을 절단하지 않고 내시경장비를 투입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공사시간에 따른 단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배수관은 물을 나누어 보내 주는 관으로써, 주로 배수지에서 물을 여러 갈래로 나누어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배수관은 재질에 따라 주철관, 강관, 콘크리트관 등으로 구분이 되고, 특히 주철관의 경우 형상에 따라 직관과 이형관으로 구분이 된다. 이 중 이형관은 곡관이나 이음관과 같이 모양이 직관과 다른 관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것으로써, 플랜지소켓관, 플랜지관, 이음관, 곡관, T형관, Y형관, U형관, 십자관, 편락관, 소화전용곡관, 드레인관 등을 들 수 있다.
즉, 위와 같은 직관과 이형관들의 조합을 통해 배수관을 지중에 매설함과 아울러 배수관을 상하수처리장과 각급 가정 및 산업시설 등에 연결함으로써, 상하수도의 배수 시스템을 갖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수도법에서는 수도사업자로 하여금 수도시설의 관리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5년 마다 정수장, 상수도관망 등 수도시설에 대한 기술진단을 실시하도록 강제하고 있고, 이를 통해 수도 개선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에, 종래에는 수도 시설물 관리가 필요할 때마다 배수관이 매설된 도로를 굴착하여 배수관을 절단하고, 절단된 배수관 내부에 내시경장비를 투입하여 촬영한 후, 다시 절단된 배수관을 연결하고, 도로를 복구하였다. 즉, 배수관 내부에 촬영이 가능한 특수 내시경장비를 투입하여 배수관 내부를 점검함으로써, 배수계통의 수질관리와 함께 수도 시설물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정은 배수관 자체에 내시경장비를 투입할 수 있는 별도의 출입구가 없어 내시경장비의 투입이 필요할 때마다 배수관을 절단하고 이를 원상복구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지나치게 예산을 낭비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배수관 절단과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됨으로써, 장시간 단수에 따른 민원 발생과 함께 도로 굴착에 따른 공사시간이 지연되어 시민들의 불편을 가중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수관을 절단하지 않고 내시경장비를 배수관 내부에 투입 가능하여 배수관 진단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수관 점검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단수시간을 줄이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지중에 매설된 배수관 내부에 내시경장비를 투입하여 배수관 내부를 진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을 절단하고, 그 절단된 배수관 사이에 'T'자 형의 이형관 양단을 각각 연결 설치하되, 상기 이형관 양단에는 양측 배수관에 각각 접합 연결하고, 상기 이형관 상단에는 내부에 내시경장비를 투입할 수 있도록 출입플랜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출입플랜지부에는 마개플랜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형관 일단에는 소켓부를 형성하여 일측 배수관에 접합 연결하고, 상기 이형관 타단에는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밸브와 연결하며, 상기 밸브에는 플랜지관을 연결하고, 상기 플랜지관에는 이음관을 이용하여 타측 배수관에 접합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출입플랜지부는 내시경장비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이형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고안은, 출입플랜지부를 통해 배수관을 절단하지 않고도 이형관 내부에 내시경장비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배수관 절단 및 복구에 소요되는 공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관 내부 점검시 반복적인 도로 굴착작업이 불필요하므로, 배수관 점검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배수관 점검 중 실시되는 단수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 시민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에 대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형관(10)과 배수관(20)을 연결한 제1실시예 형태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형관(10)과 배수관(20)을 연결한 제2실시예 형태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형관(10) 상단의 출입플랜지부(13)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에, 도 1 및 도 3을 통해 제1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수관(20) 일부를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배수관(20) 사이에 이형관(10)을 연결한다. 이러한, 상기 이형관(10)은 'T'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양단에 소켓부(11)를 각각 형성하고, 양 소켓부(11)에 이탈방지압륜(30)을 이용하여 절단된 배수관(20) 일단부를 각각 접합 연결함으로써, 양 배수관(20) 사이에 이형관(10)을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압륜(30)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배수관(20)의 직경을 따라 원형으로 압륜(31)을 구비하고, 상기 압륜(31) 일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스파이크(32)를 일체 성형하며, 상기 스파이크(32)에는 배수관(20)을 향하여 압착볼트구멍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스파이크(32)와 이웃하는 스파이크(32) 사이에는 결합볼트구멍을 다수 형성한다.
이때, 상기 스파이크(32)는 배수관(20) 표면에 완전 밀착이 되는 구조로써, 스파이크(32)의 날 끝단은 날카로운 칼날 모양이고, 날의 곡률 반경은 배수관(20)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압착볼트구멍에는 압착볼트(33)를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압착볼트구멍 내부에는 압착볼트(33)의 조임에 따라 배수관(20)을 가압 압착할 수 있도록 압착구(도시 생략)를 내장 구비한다.
또한, 상기 결합볼트구멍에는 단부가 고리 형태로 형성된 결합볼트(34)를 끼우되, 상기 고리를 소켓부(11)에 걸어 너트로 조임으로써, 배수관(20)과 이형관(10)을 접합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20) 외주면과 소켓부(11) 내주면 사이에는 고무링(도시 생략)을 결합함으로써, 결합볼트(34)의 조임시 압륜(31)이 고무링을 소켓부(11) 내측으로 가압하여 배수관(20)과 이형관(10) 사이의 밀봉을 강화시킨다.
한편, 도 2와 도 3을 통해 제1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수관(20) 일부를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배수관(20) 사이에 이형관(10)을 연결한다. 이러한, 상기 이형관(10)은 'T'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일단에 소켓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소켓부(11)에 이탈방지압륜(30)을 이용하여 절단된 배수관(20) 일단부를 접합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형관(10) 타단에는 플랜지부(12)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부(12)에는 밸브(21)의 일단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하며, 상기 밸브(21) 타단에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플랜지관(22)의 일단부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21)는 정기적인 배수관(20) 내부 세척을 위한 퇴수변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소화전에 연결하여 소화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도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관(22) 타단에는 이음관(23)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이음관(23) 타단에는 절단된 배수관(20)의 타단부를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이음관(23) 양단에는 소켓부(부호 생략)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랜지관(22)과 배수관(20)을 전술한 이탈방지압륜(30)을 이용하여 이음관(23)에 연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설명된 이형관(10) 상단에는 출입플랜지부(13)를 개방 형성하고, 상기 출입플랜지부(13)에는 마개플랜지(14)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출입플랜지부(13)는 이형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타원형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길이가 길게 형성된 내시경장비(40)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플랜지(14)는 출입플랜지부(13)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동일한 타원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저면 둘레를 따라 끼움턱(14a)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배수계통의 수질 및 수도 시설물 관리를 위해 본 고안의 이형관(1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로를 굴착하여 지중에 매설된 배수관(20) 일부를 절단하고, 절단된 배수관(20) 부분에 이탈방지압륜(30)을 이용하여 이형관(10)을 접합 연결한다.
이 후, 상기 이형관(10) 상단에 구비된 마개플랜지(14)를 개방하여 출입플랜지부(13)에 내시경장비(40)를 투입한다. 여기서, 상기 내시경장비(40)는 바퀴가 달린 납작한 차량 형태의 것으로, 전후 길이가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시경장비(40)의 출입이 원활하도록 출입플랜지부(13)를 타원형으로 길게 형성한다.
이처럼, 이형관(10) 내부에 투입된 내시경장비(40)는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하면서 배수관(20) 내부를 촬영하게 되는데, 배수관(20) 내부에 목침 또는 곡관부가 없는 경우에는 약 100m까지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내시경장비(40)는 배수관(2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배수관(20)에서의 내시경장비(40)의 이동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내시경장비(40)를 통해 배수관(20) 내부의 촬영을 모두 완료한 이 후에는, 이형관(10) 내부에 투입되었던 내시경장비(40)를 꺼내고, 개방된 출입플랜지부(13)에 마개플랜지(14)를 덮어 폐쇄한 후, 굴착된 도로 위에 맨홀을 형성한다.
이 후, 배수관(20) 내부의 추가적인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로 굴착작업 없이 맨홀과 출입플랜지부(13)의 간편한 개방을 통해 내시경장비(40)를 배수관(20) 내부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수질관리 및 수도 시설물 관리를 더욱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의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은 배수관(20) 일부에 출입플랜지부(13)를 갖는 이형관(10)을 연결함으로써, 출입플랜지부(13)를 통해 이형관(10) 내부에 내시경장비(40)를 투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배수관(20)의 점검이 필요한 경우 배수관(20)을 절단하지 않고도 내시경장비(40)를 배수관(20) 내부에 투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관(20) 절단 및 복구에 소요되는 공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은 배수관 내부 점검시 반복적인 도로 굴착작업이 불필요하므로, 배수관(20) 점검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배수관(20) 점검 중 실시되는 단수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어 시민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형관과 배수관을 연결한 제1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형관과 배수관을 연결한 제2실시예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형관 상단의 출입플랜지부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이형관 11 : 소켓부
12 : 플랜지부 13 : 출입플랜지부
14 : 마개플랜지 14a : 끼움턱
20 : 배수관 21 : 밸브
22 : 플랜지관 23 : 이음관
30 : 이탈방지압륜 31 : 압륜
32 : 스파이크 33 : 압착볼트
34 : 결합볼트 40 : 내시경장비
Claims (3)
- 지중에 매설된 배수관 내부에 내시경장비를 투입하여 배수관 내부를 진단하는 것에 있어서,상기 배수관(20)을 절단하고, 그 절단된 배수관(20) 사이에 'T'자 형의 이형관(10) 양단을 각각 연결 설치하되, 상기 이형관(10) 양단에는 양측 배수관(20)에 각각 접합 연결하고, 상기 이형관(10) 상단에는 내부에 내시경장비(40)를 투입할 수 있도록 출입플랜지부(13)를 형성하며, 상기 출입플랜지부(13)에는 마개플랜지(14)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관(10) 일단에는 소켓부(11)를 형성하여 일측 배수관(20)에 접합 연결하고, 상기 이형관(10) 타단에는 플랜지부(12)를 형성하여 밸브(21)와 연결하며, 상기 밸브(21)에는 플랜지관(22)을 연결하고, 상기 플랜지관(22)에는 이음관(23)을 이용하여 타측 배수관(20)에 접합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플랜지부(13)는 내시경장비(40)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이형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타원형의 형상으로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2488U KR20100003282U (ko) | 2008-09-16 | 2008-09-16 |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2488U KR20100003282U (ko) | 2008-09-16 | 2008-09-16 |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3282U true KR20100003282U (ko) | 2010-03-25 |
Family
ID=4419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2488U KR20100003282U (ko) | 2008-09-16 | 2008-09-16 |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03282U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4700B1 (ko) | 2016-07-08 | 2017-01-11 | 한국유체기술(주) | 상수관망 진동측정장치를 이용한 상수관망 진단시스템 |
KR102569410B1 (ko) * | 2022-06-13 | 2023-08-21 | 한국토지주택공사 |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
KR20240076877A (ko) | 2022-11-23 | 2024-05-31 | 주식회사 이룸기술 | 상수도 디지털 트윈 적용을 통한 상수관망 지능화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
-
2008
- 2008-09-16 KR KR2020080012488U patent/KR20100003282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4700B1 (ko) | 2016-07-08 | 2017-01-11 | 한국유체기술(주) | 상수관망 진동측정장치를 이용한 상수관망 진단시스템 |
KR102569410B1 (ko) * | 2022-06-13 | 2023-08-21 | 한국토지주택공사 |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
KR20240076877A (ko) | 2022-11-23 | 2024-05-31 | 주식회사 이룸기술 | 상수도 디지털 트윈 적용을 통한 상수관망 지능화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2079B1 (ko) | 밸브 접합관 | |
US6082183A (en) | Test assembly for fluid tight integrity of pipeline joint | |
KR200399091Y1 (ko) | 배관 차단용 핏팅 | |
EP1033518A1 (en) | Pipe coupling | |
KR20100003282U (ko) | 배수관 진단용 이형관 | |
JP5909216B2 (ja) | 管路の更新方法及びその管路 | |
KR20090099621A (ko) | 배관연결구 | |
CN208280174U (zh) | 一种用于地下综合管廊的新式预埋槽 | |
JP4505836B2 (ja) | 止水プラグ及びバイパスシステム | |
CN107747661B (zh) | 承插式自来水管接头渗漏不停水快速封堵装置 | |
KR100899598B1 (ko) | 플랜지 소켓 일체형 맨홀 관접속장치 | |
CN212003255U (zh) | 一种隧道衬砌层间被动排水系统 | |
CN107338852B (zh) | 雨水管道的防渗漏安装装置及其安装方法 | |
KR200465270Y1 (ko) | 관 막이용 패커 | |
KR101194158B1 (ko) | 상수도용 부동전 | |
JP5584344B1 (ja) | 更生管の分岐方法及び分岐部構造 | |
JPH06113438A (ja) | ケーブル等の管路の止水方法と構造 | |
KR101356711B1 (ko) | 집수정의 배수장치 | |
US20120049515A1 (en) | Boltless Pipe Joint Assembly | |
KR20120046364A (ko) | 부단수 밸브 교체방법 | |
KR101039255B1 (ko) |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대구경의 관로시스템 | |
KR200364270Y1 (ko) | 맨홀의 관연결부재 | |
KR200216512Y1 (ko) | 조립식 관로구 | |
JP4010844B2 (ja) | パイプインパイプ工法及びパイプインパイプ工法実施装置 | |
KR200444054Y1 (ko) |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