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411B1 -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411B1
KR102150411B1 KR1020190071920A KR20190071920A KR102150411B1 KR 102150411 B1 KR102150411 B1 KR 102150411B1 KR 1020190071920 A KR1020190071920 A KR 1020190071920A KR 20190071920 A KR20190071920 A KR 20190071920A KR 102150411 B1 KR102150411 B1 KR 102150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ng
pipe
control uni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상
Original Assignee
유현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상 filed Critical 유현상
Priority to KR1020190071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being rotated while moved, e.g. flexible rotating shaft or "snake"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F16L55/28Constructional aspects
    • F16L55/30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 F16L55/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opulsion means, e.g. towed by cables being self-conta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로 내의 유압을 이용하여 날개부의 회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의 관통부를 두고, 관로 내부의 형상과 유압을 계측하며, 배터리와 내부제어부를 두어 자율적으로 구동될 수 있어 최적의 청소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장애물 발생 시 관통부의 제1개폐부를 자율 조작하여 탈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MULTI-FUNCTION PIPE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관로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수로를 청소하기 위해 형성된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유체를 이송시키거나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파이프라인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파이프라인은 길이 또는 직경의 크기가 다양하여 내부가 오염될 경우, 인력으로 청소하기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파이프 내부에 들어있는 이물질 또는 파이프 내벽에 붙어있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장치들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세정장치가 배관 세정은 물론이고, 신설배관의 사용 전 청소작업에도 널리 사용되는 등 그 사용용도가 넓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세정장치가 단순히 세정 역할에서 벗어나 파이프 내벽에 코팅을 수행하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유체를 하나의 파이프를 통해 동시에 수송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파이프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해 세정장치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세정장치는 배관 내 퇴적되어 있는 물질들을 용이하게 제거하지 못하거나 퇴적층 제거작업을 위해 운전을 정지하는 등의 큰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2915호(이하 ‘문헌 1’)의 “파이프라인 검사 및 청소장치”에서, 파이프라인에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본체유닛이 이동되며, 본체유닛에 마련된 침전물감지유닛에 의해 침전물이 감지되고, 파이프라인의 내벽부 측으로 펼쳐지어 침전물에 대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피깅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라인 검사 및 청소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1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파이프라인의 내벽부에 쌓여있는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라인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파이프라인으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크기가 큰 침전물을 제거해야 할 경우, 파이프라인으로부터 본체유닛에 높은 압력을 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본체유닛의 위치를 계산하지 못하여 어느 부분에서 막힘 등이 발생되었는지 예측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8637호(이하 ‘문헌 2’)의 “공기유동홀이 형성된 날개부를 가지는 피그”에서, 후방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몸체부의 외측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하여 파이프라인의 직경에 관계없이 내벽면에 밀착되어 파이프라인을 청소할 수 있는 피그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간단한 구조로 제작단가가 저렴하며, 하나의 피그로 다양한 파이프라인에 적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날개부가 파이프라인의 내벽면을 긁어내는 방식으로 세척이 진행됨에 따라, 파이프라인에 얇고 강하게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7944호(이하 ‘문헌 3’)의 “피그”에서, 전자기력을 이용해 이동부재의 위치를 조정하여 바디에 대해 날개가 접히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피그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날개가 전자기력에 의해 바디에 대해 접히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부재의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날개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전자기력의 힘에 따라 사용 중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3684호(이하 ‘문헌 4’)의 “초음파 피깅시스템 및 그 방법”에서, 파이프라인의 내부 세척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피그의 위치를 진동센서로 확인할 수 있는 초음파 피깅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초음파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진동측정부에 의해 피그의 위치 및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파이프라인 내부의 상태를 측정하여 파이프라인 내부에 퇴적된 퇴적층의 크기에 적절한 세기의 초음파를 방출함으로써 파이프라인 내부를 세척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단점이 있다.
<배경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29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863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794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368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압에 의해 날개부 외측단부가 관로의 내벽에 닿을 수 있도록 펼쳐짐과 동시에 구동되어 다양한 직경을 가진 관로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관로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회전형 브러시를 갖춘 구조로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하는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관로에 유압이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 제1동력부에 의해 날개부가 구동되어 관로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체부의 계측센서 역할을 수행하는 센서부가 외부에 형성된 외부제어부와 연동 형성되어, 신호에 의해 관로 내 상태를 관찰하여 해석하고, 관로 내에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관로 내의 유압을 이용하여 날개부의 회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의 관통부를 두고, 관로 내부의 형상과 유압을 계측하며, 배터리와 내부제어부를 두어 자율적으로 구동될 수 있어 최적의 청소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장애물 발생 시 관통부의 제1개폐부를 자율 조작하여 탈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측에 센서부(13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본체부(100); 본체부(100) 일측에 관로(1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하나 이상 인입되어 관통 형성된 관통부(110); 및 본체부(100) 외측 단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 힘에 의해 관로(10) 내벽과 외측단부가 닿을 수 있을 정도로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 날개부(200);를 포함하고, 날개부(200)는, 본체부(100)의 말단에 위치하며 외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관로(10) 내에서 물막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외측단부가 관로(10) 내면에 닿도록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날개부(201); 및 제1날개부(201)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본체부(100)의 외면에 브러시 형태로 돌출 형성된 제2날개부(2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날개부(200)와 연동 형성되어 날개부(200)가 본체부(100)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지지부(2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체부(100) 내측 일측에 내부제어부(21)와 연동 형성된 배터리(120); 배터리(120) 또는 날개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며, 일측에 관통부(110) 내측으로 인입 형성된 회전부(141)를 포함하여 관통부(1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압에 의해 회전부(141)가 회전됨과 동시에 발생되는 에너지를 배터리(120)에 저장하거나, 날개부(2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동력부(140); 및 배터리(12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며, 관로(10)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압, 배터리(120), 센서부(13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관통부(110) 내측 일측에 인입되어 형성된 제1개폐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부(100) 내측에 형성되며,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의 위치, 관로(10) 내부 형상 또는 관로(10) 내에 흐르는 유체의 유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도록 형성된 센서부(130); 및 센서부(13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며, 관로(10) 외측에 형성되어, 관로(10) 내에 포함된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거나 외부로 보낼 수 있도록 형성된 외부제어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내부제어부(21)는 배터리(120), 센서부(130) 또는 제1동력부(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어 제어 하거나, 센서부(13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제1개폐부(112)를 자율 작동시킬 수 있고, 외부제어부(20)에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부(100)가 관로(10) 내에 용이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본체부(100) 외측면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이동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날개부(200) 일측 말단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장 형성된 연장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외부제어부(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로(10) 내 상태를 해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해석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압에 의해 날개부 외측단부가 관로의 내벽에 닿을 수 있도록 펼쳐짐과 동시에 구동되어 다양한 직경을 가진 관로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관로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회전형 브러시를 갖춘 구조로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하며, 본체부의 계측센서 역할을 수행하는 센서부가 관로 외부에 형성된 외부제어부와 연동 형성되어,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관로 내 상태를 관찰하여 해석하고, 관로 내에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관로에 유압이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 제1동력부에 의해 날개부가 구동되어 관로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장부가 날개부에 연장 형성되어 관로 내 포함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관로 내의 유압을 이용하여 날개부의 회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의 관통부를 두고, 관로 내부의 형상과 유압을 계측하며, 배터리와 내부제어부를 두어 자율적으로 구동될 수 있어 최적의 청소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장애물 발생 시 관통부의 제1개폐부를 자율 조작하여 탈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문헌 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문헌 2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문헌 3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문헌 4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관로, 20: 외부제어부, 21: 내부제어부
100: 본체부, 101: 홈부, 102: 제1말단, 110: 관통부, 111: 제2공간, 112: 제1개폐부, 120: 배터리, 130: 센서부, 131: 제1전달부, 132: 발생부, 140: 제1동력부, 141: 회전부
200: 날개부, 201: 제1날개부, 202: 제2날개부, 203: 제3날개부, 205: 제1고정부, 210: 제1통공부, 220: 연장부, 221: 제1연장부, 222: 제2연장부, 231: 제1지지부, 232: 제2지지부,
300: 이동수단, 301: 연장부
400: 해석장치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장치’라 함)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관통부(110) 및 날개부(20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본체부(100)는 내측에 관통부(110), 배터리(120), 센서부(13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부(100)에 의해 관로(10)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작업자는 외부에서 관로(10) 내부 관찰, 해석 또는 분석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제1말단(102)은 말단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로(10)에 흐르는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시키며, 유압에 의해 장치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말단(102)이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유체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 시키며, 관로(10)의 형상에 의한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통부(110)는 본체부(100) 일측에 관로(1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하나 이상 인입되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관통부(110)는 관로(10) 내에 포함된 유체가 장치를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내측에 제2공간(111)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부(110)에 의해 유체가 제2공간(111)을 따라 흐르게 됨으로써 제1말단(102)에 가해지는 유압의 저항이 분산되어 제1말단(102)에 가해지는 유압의 세기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제1동력부(140)가 유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관통부(11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제1개폐부(1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1개폐부(112)는 배터리(12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며, 관로(10)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압, 배터리(120), 센서부(13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관통부(110) 내측 일측에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120), 센서부(13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어에 의해 제1개폐부(112)의 개폐정도가 제어되어 제2공간(111)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압을 제1동력부(140)에 용이하게 전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배터리(12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내부제어부(21)의 신호에 의해 배터리(120)가 작동됨과 동시에 제1개폐부(112)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체가 관통부(110)를 관통하여 흐름으로써 제1동력부(140)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개폐부(112)의 개폐 정도에 따라 관통부(110)를 관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양이 조절되어 유압의 세기가 제어됨과 동시에 제1동력부(140)에 동력이 전달되는 정도가 제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상 시 제1개폐부(112)의 개폐정도에 의해 본체부(100) 내 유압을 조절하여 탈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있다.
만약, 관로(10) 내 형성된 이물질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장치가 관로(10)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을 경우, 제1개폐부(112)를 폐쇄시킴으로써, 유압이 폐쇄상태인 제1개폐부(112)를 밀어냄에 따라 최종 제조되는 장치가 관로(10)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개폐부(112)의 개폐정도는 내부제어부(21)가 배터리(120)에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제1개폐부(112)가 폐쇄상태를 유지할 경우, 유압에 의해 제1개폐부(112)가 개방되지 못하도록 제2공간(111) 내측 일측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가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배터리(120)는 본체부(100) 내측 일측에 내부제어부(21)와 연동 형성되어 제1개폐부(112)의 개폐정도를 조절하거나, 센서부(130)에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120)가 제1개폐부(112)와 연동 형성될 경우, 배터리(120)에 의해 제1개폐부(112)의 개폐정도가 조절되어 관통부(110)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압을 조절하여, 비상 시 최종 제조되는 장치의 운전을 배터리(120)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배터리(120)는 내부제어부(21)와 연동 형성되며, 내부제어부(21)가 배터리(120)를 제어함으로써, 제1개폐부(112)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관로(10) 내 형성된 이물질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장치가 관로(10)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내부제어부(21)의 신호에 의해 배터리(120)가 오프상태가 됨과 동시에 제1개폐부(112)는 폐쇄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유압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장치가 관로(10)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배터리(120)는 외부전력 또는 제1동력부(140)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를 저장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00) 외측면 일측에는 배터리(120)를 충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충전단자가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배터리(120)의 온/오프는 수동, 내부제어부(21)의 신호 또는 사용자의 신호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배터리(120)는 날개부(200) 또는 제1지지부(23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연동 형성되어, 최종 제조되는 장치가 유체가 흐르지 않는 관로(10)를 통과해야할 경우, 배터리(120)에 의해 날개부(200) 또는 제1지지부(23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제어되어 관로(10) 내 포함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1동력부(140)는 배터리(120) 또는 날개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며, 일측에 관통부(110) 내측으로 인입 형성된 회전부(141)를 포함하여 관통부(1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압에 의해 회전부(141)가 회전됨과 동시에 발생되는 에너지를 배터리(120)에 저장하거나, 날개부(2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동력부(140)가 배터리(120)와 연동 형성될 경우, 제1동력부(140)에 의해 배터리(120)가 충전됨으로써, 날개부(200)가 배터리(120)에 의해 구동되어 배터리(120)를 충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최종 제조되는 장치의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동력부(140)의 에너지는 관통부(110) 내측으로 인입 형성된 회전부(141)가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부(141)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가 제1동력부(14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부(141)는 유압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날개형식으로 형성되며, 제1개폐부(112)의 개폐에 의해 유체가 제2공간(111)을 관통하여 회전부(141)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에너지가 형성되고, 이때 형성된 에너지가 제1동력부(140)에 전달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제1동력부(140)는 터빈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배터리(120)에 에너지를 전달하거나, 제1개폐부(112)의 개폐정도를 제어하거나, 날개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제1동력부(140)는 날개부(200) 또는 제1지지부(23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어 관로(10) 내에서 날개부(200)가 본체부(100)의 외면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관로(10)에 유압 등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장치가 이동될 수 있는 별도의 힘이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 배터리(120) 또는 제1동력부(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의해 날개부(200)가 구동되어 관로(10)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날개부(200)는 본체부(100) 외측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 힘에 의해 관로(10) 내벽과 외측단부가 닿을 수 있을 정도로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200)의 외측단부가 관로(10) 내벽에 닿을 수 있을 정도로 펼쳐지기 위한 외부 힘은 유압이 될 수 있으나, 관로(10)에 유체가 없는 경우, 배터리(12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더욱이, 날개부(200)는 본체부(1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에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본체부(100)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본체부(100) 방향으로 접히거나 본체부(100) 외측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제1날개부(201) 또는 제2날개부(2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날개부(201)는 둘 이상이 형성되며, 부채꼴 모양으로 본체부(1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말단에 외경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날개부(201)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말단이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관로(10) 내벽 또는 이물질의 높이에 의해 제1날개부(201)가 쉽게 접히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날개부(201) 외측단부가 관로(10) 내면에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1날개부(201)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장치에 유압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날개부(201)가 관로(10) 내에서 물막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날개부(201)의 외측단부가 관로(10) 내면에 닿도록 펼쳐짐으로써, 관로(10)를 통해 흐르는 유체가 제1날개부(201)를 밀어냄과 동시에 제2공간(111)을 통과함으로써, 날개부(200)가 작동되거나 최종 제조되는 장치가 관로(10)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날개부(201)에 의해 관로(10) 내에 형성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날개부(201)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날개부(201)를 우측 또는 좌측에서 보면, 제1날개부(201)는 본체부(100)의 말단에 형성되며, 본체부(100)에 고정되는 부분의 내측단부는 본체부(100) 방향으로 꺾이도록 형성되며, 본체부(100)에 고정되지 않는 부분의 외측단부는 본체부(100)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제조되는 장치의 단면을 보면, 제1날개부(201)는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반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날개부(201)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됨으로써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된 관로(10)에 용이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제1날개부(201)가 본체부(100) 외측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둘 이상의 제1날개부(201)가 본체부(100)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제1날개부(201)와 관로(10) 내측 사이의 수밀성이 향상되어 최종 제조되는 장치에 유압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나아가, 제1날개부(201) 외측 단부에 의해 관로(10) 내측에 형성된 이물질이 최종 제조되는 장치의 통과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날개부(201) 일측에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통공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공부(210)가 형성됨으로써, 제1날개부(201)의 형상에 의해 유체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1날개부(201)에 의해 관로(10) 내벽으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유체의 흐름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2날개부(202)는 제1날개부(201)와 이격되어 본체부(100)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날개부(202)는 도 5,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00)의 외면으로부터 방사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솔이 묶음별로 형성되며, 각 묶음이 본체부(100)의 외면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날개부(202)와 제1지지부(231) 사이에 제1고정부(20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고정부(205)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2날개부(202)가 제1지지부(231)에 견고하게 고정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잦은 사용에 의해 제2날개부(202) 일부가 손상되었을 경우, 손상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1고정부(205)는 제1지지부(231)에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고정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날개부(202)는 배터리(12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되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동력부(140)와 연동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제2날개부(202)는 제1동력부(140)와 연동 형성되어 유체가 제2공간(111)을 관통하여 흐름으로써 회전부(141)가 회전됨과 동시에 제1동력부(140)에 에너지가 저장되며, 제1동력부(140)에 저장된 에너지에 의해 제2날개부(202)가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관로(10) 내 형성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2날개부(202)는 배터리(120)와 연동 형성됨으로써, 유체가 흐르지 않는 관로(10)를 청소할 경우, 내부제어부(21)의 신호에 의해 배터리(120)가 제어되어 제2날개부(202)를 회전시킴으로써 관로(10) 내 형성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날개부(202)와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제3날개부(20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3날개부(203)는 배터리(12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되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배터리(120)와 연동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제3날개부(203)는 배터리(120)와 연동 형성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장치가 유체가 흐르지 않는 관로(10)를 통과할 경우, 내부제어부(21)의 신호에 의해 배터리(120)가 제어되어 제3날개부(203)를 회전시킴으로써 관로(10) 내 형성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날개부(202)는 제1동력부(140)와 연동 형성되어, 최종 제조되는 장치가 유체가 흐르지 않는 관로(10)를 통과할 경우 별도로 회전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제2날개부(202) 또는 제3날개부(20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연동 형성된 제1지지부(231)는 배터리(12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어 제1지지부(231)가 본체부(100)의 외면을 따라 회전됨과 동시에 제2날개부(202) 또는 제3날개부(20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관로(10)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120) 또는 제1동력부(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2날개부(202) 또는 제3날개부(20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는 최종 제조되는 장치의 이동속도에 의해 외측단부가 관로(10) 내측면에 닿도록 형성되거나, 배터리(120) 또는 제1동력부(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동력에 의해 외측단부가 관로(10) 내측면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관로(10) 내측면에 형성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형성된 날개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지지부(23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지지부(231)는 날개부(200)와 연동 형성되어 날개부(200)가 본체부(100)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231)가 형성됨으로써, 선택적으로 날개부(200)가 제1지지부(231)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날개부(200)의 외측단부가 관로(10)의 내벽에 닿을 수 있을 정도로 용이하게 펼쳐지거나 접히는 것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개부(200)가 본체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1지지부(231)는 날개부(200)가 제1지지부(231)에 고정되어 회전에 의해 외측단부가 관로(10) 내벽에 닿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펼쳐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본체부(100)의 외측면과 외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지지부(231) 내측면이 본체부(100) 외측면에 닿을 수 있도록 형성될 경우, 날개부(200)의 외측단부가 관로(10) 내벽에 용이하게 닿을 수 있을 정도로 펼쳐지도록 제2지지부(232)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지지부(232)는 날개부(200) 내측단부 일측에 인입되어 형성되며, 내측면은 제1지지부(231)와 연동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지지부(232)는 제1지지부(231)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단부가 겹치도록 형성된 제1날개부(201)가 펼쳐지는 과정에서 서로 간섭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제1지지부(231)는 배터리(12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어, 배터리(12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달되는 에너지에 의해 제1지지부(231)가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날개부(201), 제2날개부(202) 또는 제3날개부(20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날개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지지부(231)가 회전됨과 동시에 날개부(200)도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관로(10) 내에 형성된 이물질이 날개부(200)의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지지부(231)와 배터리(120) 또는 제1동력부(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베벨기어에 의해 연동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제1동력부(140)와 연동 형성되며, 관통부(110)를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축이 제1동력부(140)에 의해 회전되고, 축 말단에 형성된 베벨기어에 의해 제1지지부(231)와 연동 형성된 축이 관통부(11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됨으로써, 제1지지부(231)가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본체부(100)의 외면을 따라 용이하게 회전됨과 동시에 제1날개부(201), 제2날개부(202) 또는 제3날개부(20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회전됨으로써, 관로(10) 내 형성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제1지지부(231)가 본체부(100)로부터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홈부(101)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홈부(101)는 본체부(100) 외측 일측에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즉, 홈부(101) 내측에 제1지지부(231) 및 날개부(200) 내측단부가 인입되어 본체부(100)에 날개부(200)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홈부(101)는 날개부(200)가 본체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깊이만큼 본체부(100) 내측방향으로 함몰되어 날개부(200)가 본체부(100)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날개부(200) 단부가 관로(10) 내벽에 닿을 수 있을 만큼 용이하게 펼쳐질 수 있을 넓이만큼 선택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홈부(101)가 더 포함되어 날개부(200)가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펼쳐지는 과정에서 뒤집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장치는 날개부(200) 외측단부가 관로(10)의 내벽에 닿을 수 있도록 펼쳐짐과 동시에 구동되어 다양한 직경을 가진 관로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최종 제조되는 장치의 길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10) 내면 직경을 H라고 하고, 장치의 길이를 D라고 할 때, H:D의 길이 비는 관로(10) 내면 직경 H를 기준으로 1:0.2~1.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3~0.8의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5의 비로 형성됨으로써, 관로(10)의 설치 방향에 따라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장치의 길이가 관로(10) 내면 직경 H를 기준으로 1:0.2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본체부(100)의 길이에 의해, 날개부(200)가 용이하게 펼쳐지거나 접힐 수 없는 단점이 있고, 1:1.5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장치의 길이에 의해, 관로(10)가 꺾이도록 형성될 경우, 장치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최종 제조되는 장치의 각 구성 재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철, 주철, 플라스틱 등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압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관로(10) 내에 형성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내측에 형성되며, 최종 제조되는 장치의 위치, 관로(10) 내부 형상 또는 관로(10) 내에 흐르는 유체의 유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센서부(13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30)는 초음파센서, 압력센서, 온도센서, 음압(音壓)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초음파센서가 포함될 경우, 관로(10) 내부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초음파센서의 초음파에 의해 관로(10) 내부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관로(10) 내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 등을 관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압력센서가 포함될 경우, 유체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관로(10) 내 포함된 이물질의 양을 유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물질이 많은 부분의 경우, 관로(10) 청소가 한 번 이상 수행하는 등의 각 구간의 상황에 맞게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관찰 또는 해석하지 않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온도센서가 포함될 경우, 유체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외부온도에 의한 관로(10)의 막힘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음압센서를 포함하여 형성될 경우, 센서부(130)는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 또는 본체부(100) 내벽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돌출 형성된 제1전달부(13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전달부(131)가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본체부(100) 내측 벽면을 타격하게 되어 외부로부터 관로(10) 내에서 음파가 전달되는 거리를 음압센서에 의해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관로(10) 내에 포함된 최종 제조되는 장치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음압센서에 의해 관로(10) 내에 음파가 전달되며, 이 음파가 관로(10) 내벽 또는 관로(10) 외부에 하나 이상 형성된 외부제어부(20)에 도달되는 시간을 외부제어부(2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측정하여 최종 제조되는 장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센서부(130)에 초음파센서 또는 음압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경우, 센서부(130) 내측 일측에 음파 또는 초음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발생시키는 발생부(132)가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초음파센서 또는 음압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본체부(100)가 관로(10)를 기준으로 관로(10) 단면의 중심위치를 유지하면서 이동됨과 동시에 관로(10) 내부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 또는 해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센서부(130)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센서부(1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외부제어부(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외부제어부(20)는 센서부(13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연동 형성되며, 관로(10) 외측에 형성되어 관로(10) 내에 포함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거나 외부로 보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부제어부(20)가 형성됨으로서, 작업자가 관로(10) 내를 직접 관찰 또는 해석하지 않고도 관로(10) 내 상태 또는 최종 제조되는 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관찰, 해석 또는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부(130)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외부제어부(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10) 외측에 부착 형성되며, 최종 제조되는 장치는 관로(10) 내에서 외부제어부(20)가 부착된 위치에 인접한 곳에 정지된 상태에서 외부제어부(20)의 신호에 의해 센서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외부제어부(20)는 해석장치(400)와 연동 형성되어 작업자가 외부에서 해석장치(400)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제어부(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터리(120) 또는 제1동력부(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온/오프 또는 제1개폐부(112)의 개폐정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본체부(100) 내측 일측에 배터리(120), 센서부(130) 또는 제1동력부(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어 제어 하거나, 센서부(13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제1개폐부(112)를 자율 작동시킬 수 있고, 외부제어부(20)에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부제어부(2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내부제어부(21)는 센서부(13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여 외부제어부(20)로 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센서부(130)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는 외부제어부(20)로 내부제어부(21)에 의해 보내지고, 외부제어부(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작업자가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관로(10) 내 상태나 최종 제조되는 장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외부에서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장치는 관로(10)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관로(10) 외부에 형성된 외부제어부(20)와 연동 형성되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관로(10) 내 상태를 관찰 또는 해석장치(400)에 의해 해석하고, 장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내부제어부(21)는 외부제어부(20)와 연동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외부로부터 외부제어부(20)에 신호를 보내면, 외부제어부(20)는 내부제어부(21)에 작업자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보냄으로써, 배터리(120), 센서부(130), 제1동력부(140) 또는 제1개폐부(1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제어부(20)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는 별도의 해석장치(400)에 저장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해석장치(400)는 외부제어부(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로(10) 내 상태를 해석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관로(10)와 이격된 외부에서 외부제어부(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로 내 상태를 해석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내부제어부(21)에 의해 배터리(120), 센서부(130), 제1동력부(140) 또는 제1개폐부(1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제어되고, 센서부(130)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는 내부제어부(21)에 저장되며, 내부제어부(21)에 저장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외부제어부(20)에 보냄으로써, 신호 또는 데이터가 외부제어부(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외부제어부(20)에 저장된 데이터는 해석장치(400)로 보내지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관로 내 상태를 관로(10) 외부에서 해석장치(400)로부터 해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외부제어부(20), 내부제어부(21) 또는 해석장치(4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유기적으로 신호를 주고받음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장치를 관로(10)를 관찰 또는 해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해석장치(400)는 관로(10) 외부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해석장치(400)를 조작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해석장치(400)를 조작하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외부제어부(20)에 보내게 되면, 이 신호를 내부제어부(21)에서 받아 본체부(100) 내측에 포함된 배터리(120), 센서부(130), 제1동력부(140) 또는 제1개폐부(1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해석장치(4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제어부(2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제어됨으로써, 본체부(100) 내측에 포함된 배터리(120), 센서부(130), 제1동력부(140) 또는 제1개폐부(11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자의 해석장치(400) 조작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관로(10) 내 상태에 맞게 최종 제조되는 장치가 신속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해석장치(400)는 외부제어부(20)에 의해 받은 데이터를 해석하여 관로(10) 내 상태를 3차원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관로(10) 내 단면 상태를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관로(10) 내의 유압을 이용하여 날개부(200)의 회전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의 관통부(110)를 두고, 관로(10) 내부의 형상과 유압을 계측하며, 배터리(120)와 내부제어부(21)를 두어 자율적으로 구동될 수 있어 최적의 청소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장애물 발생 시 관통부(110)의 제1개폐부(112)를 자율 조작하여 탈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3>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가 관로(10) 내에 용이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본체부(100) 외측면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이동수단(3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동수단(300)이 더 포함됨으로써, 유체가 없는 관로(10)의 청소를 수행할 경우, 이동수단(300)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장치가 관로(10) 내를 이동함으로써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수단(300)은 본체부(100)의 외면과 관로(10) 내벽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볼베어링, 캐스터 등을 포함하여 적용될 수 있다.
만약, 본체부(100) 외면과 관로(10) 내벽 사이의 거리가 짧을 경우, 이동수단(300)은 본체부(100) 외주면에 일측이 인입되고, 본체부(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볼베어링의 회전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장치가 관로(10)내를 이동하며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다.
반면, 본체부(100) 외면과 관로(10) 내벽 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 이동수단(300)과 연결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본체부(100) 외주면에 인입되어 형성된 연결부(301)가 더 포함되어 최종 제조되는 장치가 관로(10) 내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연결부(301)가 하나 이상의 단 또는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00) 외측면에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301) 내측에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됨으로써, 관로(10) 내 직경에 용이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체부(100) 외측면 일측에는 연결부(301)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별도의 공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본체부(100) 외측면에 형성된 별도의 공간에 연결부(301)를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고정부재가 더 포함됨으로써, 현장 상황 또는 관로(10) 내경에 알맞은 길이로 연결부(301)가 슬라이딩 또는 접힘 등에 의해 신축되어 관로(10) 내 중심지점에 최종 제조되는 장치가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4>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00) 일측 말단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장 형성된 연장부(2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연장부(220)가 더 포함되어 날개부(200)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관로(10) 내에 포함된 크기가 큰 이물질 등이 연장부(220)에 의해 2차로 타격됨으로써 연장부(220)에 의해 잘게 쪼개지게 되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연장부(220)는 제1연장부(221) 및 제2연장부(22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연장부(221)는 날개부(200)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제1연장부(221)는 제1날개부(201) 말단에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통공부(210)를 관통하여 제1날개부(201)와 연결 형성됨으로써, 제1연장부(221)가 제1날개부(201)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견고하게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연장부(221)는 로프, 사슬 등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됨으로써, 제1날개부(201)가 본체부(100) 외면을 따라 회전됨과 동시에 제1연장부(221)가 회전되어 관로(10) 내 포함된 이물질이 제1연장부(221)의 회전력에 의해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연장부(221), 제2날개부(202) 또는 제3날개부(20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말단에 제2연장부(22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연장부(222)가 형성됨으로써, 제1연장부(221), 제2날개부(202) 또는 제3날개부(20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제2연장부(222)에 전달되어 제2연장부(222)에 의해 관로(10) 내 형성된 이물질이 타격됨과 동시에 잘게 쪼개지게 되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2연장부(222)는 제1연장부(221), 제2날개부(202) 또는 제3날개부(20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이 관로(10) 내 포함된 이물질에 용이하게 전달되기 위해, 매듭 또는 구슬모양 등을 포함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연장부(220)는 날개부(200)에 연장 형성됨으로써, 관로(10) 내 포함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유압에 의해 날개부 외측단부가 관로의 내벽에 닿을 수 있도록 펼쳐짐과 동시에 구동되어 다양한 직경을 가진 관로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8)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내측에 센서부(13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본체부(100);
    본체부(100) 일측에 관로(1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하나 이상 인입되어 관통 형성된 관통부(110); 및
    본체부(100) 외측 단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 힘에 의해 관로(10) 내벽과 외측단부가 닿을 수 있을 정도로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 날개부(200);를 포함하고,
    날개부(200)는,
    본체부(100)의 말단에 위치하며, 외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관로(10) 내에서 물막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외측단부가 관로(10) 내면에 닿도록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날개부(201); 및
    제1날개부(201)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본체부(100)의 외면에 브러시 형태로 돌출 형성된 제2날개부(202);를 포함하며,
    내부제어부(21)는 배터리(120), 센서부(130) 또는 제1동력부(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어 제어 하거나, 센서부(13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제1개폐부(112)를 자율 작동시킬 수 있고, 외부제어부(20)에 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날개부(200)와 연동 형성되어 날개부(200)가 본체부(100)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지지부(2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부(100) 내측 일측에 내부제어부(21)와 연동 형성된 배터리(120);
    배터리(120) 또는 날개부(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며, 일측에 관통부(110) 내측으로 인입 형성된 회전부(141)를 포함하여 관통부(110)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압에 의해 회전부(141)가 회전됨과 동시에 발생되는 에너지를 배터리(120)에 저장하거나, 날개부(2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동력부(140); 및
    배터리(12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며, 관로(10)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압, 배터리(120), 센서부(130), 제1동력부(14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관통부(110) 내측 일측에 인입되어 형성된 제1개폐부(1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부(100) 내측에 형성되며,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의 위치, 관로(10) 내부 형상 또는 관로(10) 내에 흐르는 유체의 유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하도록 형성된 센서부(130); 및
    센서부(130) 또는 내부제어부(21)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되며, 관로(10) 외측에 형성되어, 관로(10) 내에 포함된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거나 외부로 보낼 수 있도록 형성된 외부제어부(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센서부(130)는 초음파센서, 압력센서, 온도센서, 음압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부(100)가 관로(10) 내에 용이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본체부(100) 외측면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이동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날개부(200) 일측 말단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장 형성된 연장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외부제어부(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로(10) 내 상태를 해석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해석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KR1020190071920A 2019-06-18 2019-06-18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KR102150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920A KR102150411B1 (ko) 2019-06-18 2019-06-18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920A KR102150411B1 (ko) 2019-06-18 2019-06-18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411B1 true KR102150411B1 (ko) 2020-09-01

Family

ID=7245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920A KR102150411B1 (ko) 2019-06-18 2019-06-18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913B1 (ko) * 2022-08-22 2023-05-04 신한엔비텍(주) 고압수와 고압공기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623A (ko) * 2014-09-29 2016-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라인 검사 및 청소장치
KR101674010B1 (ko) * 2016-04-21 2016-11-08 주식회사 뉴컨스텍 유체 수송관로 세척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20402A (ko) * 2017-04-27 2018-11-06 최영철 파이프의 크리닝 및 표면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623A (ko) * 2014-09-29 2016-04-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라인 검사 및 청소장치
KR101674010B1 (ko) * 2016-04-21 2016-11-08 주식회사 뉴컨스텍 유체 수송관로 세척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20402A (ko) * 2017-04-27 2018-11-06 최영철 파이프의 크리닝 및 표면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913B1 (ko) * 2022-08-22 2023-05-04 신한엔비텍(주) 고압수와 고압공기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7844B2 (en) Pipeline pig
US4991006A (en) Apparatus using an everted hose for inspecting the interior of a lateral pipeline
US20170198854A1 (en) Water pipe drone for detecting and fixing leaks
CN106513390A (zh) 一种管道清洗方法及所用的遥控旋洗式管道清洗机器人
KR102150411B1 (ko) 복합기능형 관로 청소장치
CA2874808C (en) Electro-scan integration into video pipe inspection vehicle
JP2015123399A (ja) 管路清掃装置
CN109564196B (zh) 用于发射超声波信号到测试材料和从测试材料接收超声波信号的装置、系统和方法
US20220317070A1 (en) Pig including an x-ray fluorescence sensor
US8197611B2 (en) Method, device and tool for cleaning, surveying, inspecting, etc. unpiggable pipelines
US20210291238A1 (en) Transmission array for drain cleaner
CN108194757A (zh) 管道检修装置及检修方法、下水管道检修车
CN207848733U (zh) 管道检修装置及下水管道检修车
CN107830306A (zh) 一种管道内壁检测探伤装置
JP2009189910A (ja) 管内清掃方法
US4964759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rotating a tool relative to the wall of a conduit
CN206609830U (zh) 一种用于管道内腐蚀超声波扫查装置
JP5519360B2 (ja) 水中検査システム
WO2020176996A1 (en) A rotatable inspection module and method for inspecting the conditions of the wall of a pipeline
CN214425425U (zh) 一种多轮驱动的管道无损检测爬行器
KR101959255B1 (ko) 자주식 하수관로 비굴착 보수장치
KR102569410B1 (ko) 관로의 스케일 측정 및 제거 장치
CN219187848U (zh) 一种处理盾体黏附物的简易机械弹簧装置
Meniconi et al. Initial functioning conditions vs. transient test-based technique performance for leak detection
CN218208426U (zh) 管道内检测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