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285B1 -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285B1
KR102565285B1 KR1020180102609A KR20180102609A KR102565285B1 KR 102565285 B1 KR102565285 B1 KR 102565285B1 KR 1020180102609 A KR1020180102609 A KR 1020180102609A KR 20180102609 A KR20180102609 A KR 20180102609A KR 102565285 B1 KR102565285 B1 KR 102565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veyor
power supply
upstream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824A (ko
Inventor
히로유키 고자와
슈이치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90024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65G47/54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t least one of which is a roller-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2Heat or fir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반송 컨베이어는, 제1 상류 컨베이어부와 제2 상류 컨베이어부와 하류 컨베이어부와 중간 컨베이어부를 구비하고, 중간 컨베이어부는 반송 위치와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급전부는,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제2 상류 컨베이어부, 하류 컨베이어부 및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주 급전부와, 제1 상류 컨베이어부, 하류 컨베이어부 및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 가능한 부 급전부를 구비하고, 부 급전부는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 장치를 구비하고, 중간 컨베이어부는 급전부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반송 위치에 있고,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서 반송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Description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방화 도어와,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방화 도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물품을 반송(搬送)하는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給電部)를 포함한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물품 반송 설비의 일례가, 일본공개특허 제2016-088649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반송 컨베이어의 중간 컨베이어부[건넴 수단(30)]가, 방화 도어의 이동 궤적인 도어 궤적과 교차하고 또한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지지하는 반송 위치와, 도어 궤적과 교차하지 않는 퇴피(退避)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중간 컨베이어부가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방화 도어[셔터(7)]는, 중간 컨베이어부에 간섭하지 않고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폐쇄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반송 컨베이어(2)의 중간 컨베이어부는,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반송 위치에 있고, 전력의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서 반송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방화 도어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켜, 화재의 연소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화재에 의해 급전선이나 통신선이 단선됨으로써, 반송 컨베이어로의 전력 공급이나 구동 신호의 송신이 불가능해져,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고 있었던 물품이 도어 궤적과 겹치는 위치에 정지할 가능성이 있어, 방화 도어가 반송 컨베이어 상의 물품에 접촉함으로써 폐쇄 위치까지 하강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방화 도어를 폐쇄 위치까지 적절하게 하강시킬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의 실현이 기대된다.
상기를 감안한, 물품 반송 설비의 특징 구성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방화 도어와,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방화 도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폐쇄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방화 도어의 이동 궤적인 도어 궤적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된 제1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된 제2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된 하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사이에 설치된 중간 컨베이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는, 상기 도어 궤적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지지하는 반송 위치와, 상기 도어 궤적과 교차하지 않는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2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주(主)급전부와,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상류 컨베이어부를 제외한,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 가능한 부(副)급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 급전부는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는, 상기 급전부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반송 위치에 있고, 상기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서 상기 반송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하는 점에 있다.
상기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제2 상류 컨베이어부는, 주 급전부로부터만 전력이 공급되지만, 제1 상류 컨베이어부 및 하류 컨베이어부에 대해서는, 주 급전부와 부 급전부 양쪽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그러므로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제2 상류 컨베이어부는 정지하기 때문에 물품을 반송할 수 없으나, 제1 상류 컨베이어부 및 하류 컨베이어부는, 부 급전부의 축전 장치에 축적되어 있는 전력이 공급되므로, 이 전력에 의해 제1 상류 컨베이어부 및 하류 컨베이어부를 구동시켜 물품을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컨베이어부는 부 급전부의 축전 장치에 축적되어 있는 전력이 공급되므로 반송 위치에 있다. 따라서,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제2 상류 컨베이어부가 정지함으로써, 제2 상류 컨베이어부로부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에 물품이 반송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제1 상류 컨베이어부, 하류 컨베이어부 및 중간 컨베이어부의 물품을 반송 방향 하류 측을 향하여 반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일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도어 궤적에 물품이 존재하고 있던 경우라도, 그 물품을 도어 궤적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 측으로 반송하여 물품을 도어 궤적으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고,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방화 도어가 물품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부 급전부로부터의 전력을 차단하여 급전부로부터 반송 컨베이어로의 전력을 차단함에 따라서,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제2 상류 컨베이어부 및 하류 컨베이어부가 정지하고, 또한 중간 컨베이어부가 반송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중간 컨베이어부를 도어 궤적으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고,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방화 도어가 중간 컨베이어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화 도어를 개방 위치로부터 도어 궤적을 따라 아래쪽으로 폐쇄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 방화 도어에 물품이나 중간 컨베이어부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방화 도어를 폐쇄 위치까지 적절하게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품 반송 설비의 특징 구성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방화 도어와,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방화 도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폐쇄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방화 도어의 이동 궤적인 도어 궤적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된 제1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된 제2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된 하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사이에 설치된 중간 컨베이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는, 상기 도어 궤적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지지하는 반송 위치와, 상기 도어 궤적과 교차하지 않는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급전부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반송 위치에 있고, 상기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서 상기 반송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퇴피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퇴피 제어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하고 나서 사전에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급전부로부터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한 구동용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퇴피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제1 상류 컨베이어부, 하류 컨베이어부 및 중간 컨베이어부의 물품을 반송 방향 하류 측을 향하여 반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반송 컨베이어의 통상 운전을 할 수 없으면 제어 장치가 판단했을 때, 도어 궤적에 물품이 존재하고 있던 경우라도, 퇴피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그 물품을 도어 궤적보다 반송 방향 하류 측으로 반송하여 물품을 도어 궤적으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급전부에서 반송 컨베이어로의 전력을 차단함에 따라서,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제2 상류 컨베이어부 및 하류 컨베이어부가 정지하고, 또한 중간 컨베이어부가 반송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중간 컨베이어부를 도어 궤적으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고,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방화 도어가 중간 컨베이어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방화 도어를 개방 위치로부터 도어 궤적 통로를 따라 아래쪽으로 폐쇄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 방화 도어에 물품이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방화 도어를 폐쇄 위치까지 적절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 물품 반송 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2] 물품 반송 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3] 물품 반송 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4] 물품 반송 설비의 블록도이다.
[도 5] 퇴피 제어의 플로차트다.
1. 실시형태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는 상하 방향 Z로 이동하여 개구(7)를 개폐하는 방화 도어(1)와, 물품(W)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는 반송 컨베이어(2)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3)와, 반송 컨베이어(2)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H)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물품(W)의 반송 방향을 「반송 방향 X」로 한다. 그리고, 반송 방향 X의 상류 측을 「반송 방향 상류 측 X1」로 하고, 물품(W)의 반송 방향의 하류 측을 「반송 방향 하류 측 X2」로 한다.
도 1로부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2)는 벽체(6)의 개구(7)를 관통하는 상태에서,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은, 벽체(6)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고, 방화 도어(1)는, 벽체(6)에 형성된 개구(7)를 개폐한다. 방화 도어(1)는, 개방 위치[도 1에 나타내는 방화 도어(1)의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폐쇄 위치[도 3에 나타내는 방화 도어(1)의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고, 개방 위치에서는 벽체(6)의 개구(7)를 개방하고, 폐쇄 위치에서는 벽체(6)의 개구(7)를 폐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화 도어(1)로서 방화 셔터를 이용하고 있다.
반송 컨베이어(2)는 개방 위치의 방화 도어(1)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반송 컨베이어(2)는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와,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와,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와,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와, 중간 컨베이어부(15)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컨베이어(2)는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중간 컨베이어부(15),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의 순서로, 반송 방향 상류 측 X1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 측 X2를 향하여 반송 방향 X를 따라 물품(W)을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컨베이어(2)로서 롤러 컨베이어가 이용되고 있다.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 및 중간 컨베이어부(15) 각각은, 바닥에 고정된 컨베이어 프레임(16)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는 방화 도어(1)의 이동 궤적인 도어 궤적(8)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 X1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는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 X2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및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는 제1 영역(A1)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는 도어 궤적(8)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 X2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는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 X2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및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는 제2 영역(A2)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컨베이어부(15)는, 반송 컨베이어(2)의 반송 방향 X에 있어서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와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컨베이어부(15)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가 도어 궤적(8)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 X2에 설치된 하류 컨베이어부에 상당한다.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및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컨베이어 유닛(2U)을 구비하고 있다. 컨베이어 유닛(2U)은 복수의 반송 롤러(17)와, 복수의 반송 롤러(17) 중 하나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베이어 유닛(2U)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반송 롤러(17) 중 하나로 모터 롤러가 이용되고 있고, 구동부(18)는 상기 모터 롤러에 내장되어 있다.
컨베이어 유닛(2U)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반송 롤러(17)는 연동부(22)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동부(22)는 반송 방향 X에 인접하는 2개의 반송 롤러(17)에 걸쳐 감긴 복수의 연동 벨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 유닛(2U)은, 구동부(18)의 구동에 의해 하나의 반송 롤러(17)(모터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컨베이어 유닛(2U)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반송 롤러(17) 모두가 회전한다. 컨베이어 유닛(2U)은, 이와 같이 복수의 반송 롤러(17)를 회전시킴으로써, 물품(W)을 반송 방향 X를 따라 반송한다.
그리고,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에 구비되어 있는 구동부(18)를 「제1 구동부(18A)」라고 칭하고,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에 구비되어 있는 구동부(18)를 「제2 구동부(18B)」라고 칭하고,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에 구비되어 있는 구동부(18)를 「제3 구동부(18C)」라고 칭하고,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에 구비되어 있는 구동부(18)를 「제4 구동부(18D)」라고 칭한다.
중간 컨베이어부(15)는 2개의 반송 롤러(17)와, 이들 2개의 반송 롤러(17)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컨베이어부(15)에 구비되어 있는 2개의 반송 롤러(17)로 모터 롤러가 이용되고 있고, 구동부(18)는 2개의 반송 롤러(17)의 각각에 내장되어 있다. 중간 컨베이어부(15)는 2개의 구동부(18)의 구동에 의해 2개의 반송 롤러(17)를 각각 별도로 회전시킴으로써, 물품(W)을 반송 방향 X를 따라 반송한다. 그리고, 중간 컨베이어부(15)에 구비되어 있는 구동부(18)를 「제5 구동부(18E)」라고 칭한다.
또한, 중간 컨베이어부(15)는 2개의 반송 롤러(17) 중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9)과, 2개의 반송 롤러(17) 중 남은 하나를 지지하는 요동 프레임(19)과, 요동 프레임(19)을 축심(軸心)(P) 주위로 회전시키는 요동 롤러(20)와, 요동 롤러(20)를 회전시키는 요동 구동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29)은 도어 궤적(8)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 X1에 설치되어 있고, 요동 프레임(19)은, 요동 롤러(20)를 통하여 지지 프레임(29)에 축심(P)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 롤러(20)는 모터 롤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요동 구동부(21)는 요동 롤러(20)에 내장되어 있다. 중간 컨베이어부(15)는, 요동 구동부(21)의 구동에 의해 요동 롤러(20)(모터 롤러)를 축심(P)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요동 프레임(19)을 축심(P) 주위로 회전시킨다. 요동 프레임(19)을 축심(P)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요동 프레임(19)의 자세가 반송 자세(도 1 참조)와 퇴피 자세(도 3 참조)로 자세 변경된다.
중간 컨베이어부(15)는 제1 규제부(23)와 제2 규제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규제부(23)는 반송 자세의 요동 프레임(19)에 접촉함으로써 요동 프레임(19)이 반송 자세로부터 제1 회전 방향(도 1 및 도 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한다. 제2 규제부(24)는 퇴피 자세의 요동 프레임(19)에 접촉함으로써 요동 프레임(19)이 퇴피 자세로부터 제2 회전 방향(도 1 및 도 3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한다. 그리고, 요동 프레임(19)이 퇴피 자세로부터 반송 자세로 자세 변경될 때 요동 프레임(19)이 회전하는 방향을 제1 회전 방향, 요동 프레임(19)이 반송 자세로부터 퇴피 자세로 자세 변경될 때 요동 프레임(19)이 회전하는 방향을 제2 회전 방향으로 하고 있다.
요동 프레임(19)을 반송 자세로 자세 변경한 상태를, 중간 컨베이어부(15)가 「반송 위치」에 있는 상태로 하고, 요동 프레임(19)을 퇴피 자세로 자세 변경한 상태를, 중간 컨베이어부(15)가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로 하고 있고, 중간 컨베이어부(15)는 반송 위치와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반송 위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컨베이어부(15)가 도어 궤적(8)과 교차하고 또한 반송 컨베이어(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W)을 지지하는 위치다. 중간 컨베이어부(15)가 반송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중간 컨베이어부(15)의 일부가 도어 궤적(8)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15)에 구비한 반송 롤러(17)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반송 롤러(17)에 의해 지지하고 있는 물품(W)을 반송 방향 X를 따라 반송한다.
퇴피 위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컨베이어부(15)가 도어 궤적(8)과 교차하지 않는 위치다. 중간 컨베이어부(15)가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중간 컨베이어부(15)의 전체가 도어 궤적(8)으로부터 퇴피하고 있어, 방화 도어(1)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한 경우라도, 방화 도어(1)가 중간 컨베이어부(15)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H)는 제1 제어 유닛(H1)과 제2 제어 유닛(H2)과 제3 제어 유닛(H3)과 제4 제어 유닛(H4)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제어 유닛(H1) 및 제3 제어 유닛(H3)은 도어 궤적(8)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 X1에 설치되고, 제2 제어 유닛(H2) 및 제4 제어 유닛(H4)은 도어 궤적(8)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 X2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제어 유닛(H1), 제2 제어 유닛(H2), 제3 제어 유닛(H3) 및 제4 제어 유닛(H4) 각각은, 상위의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와 통신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제어 유닛(H1), 제2 제어 유닛(H2), 제3 제어 유닛(H3) 및 제4 제어 유닛(H4) 각각 에는, 상위의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통상 구동 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제1 제어 유닛(H1)은 통상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및 중간 컨베이어부(15)를 제어한다. 제2 제어 유닛(H2)은 통상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를 제어한다. 제3 제어 유닛(H3)은 통상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를 제어한다. 제4 제어 유닛(H4)은 통상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를 제어한다. 상위의 컨트롤러로부터 제어 장치(H)에는, 반송 컨베이어(2)의 구동을 지령하는 신호나 반송 컨베이어(2)의 정지를 지령하는 신호 등의 통상 구동 신호가 송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 구동 신호는, 통상 시에는 항상 제어 장치(H)에 대하여 입력된다.
제어 장치(H)는 상위의 컨트롤러로부터의 통상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반송 컨베이어(2)를 제어하여 물품(W)을 반송하는 반송 제어를 실행한다.
제1 제어 유닛(H1)은, 후술하는 부 급전부(27)로부터 제1 구동부(18A) 및 제5 구동부(18E)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시한 차단부(2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제어 유닛(H2)은, 부 급전부(27)로부터 제3 구동부(18C)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시한 차단부(2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시한 차단부(25)는, 부 급전부(27)로부터 구동부(18)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사전에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부 급전부(27)로부터 구동부(18)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그리고, 설정 시간은,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의 반송 방향 상류 측 X1의 단부에 위치하는 물품(W)이, 도어 궤적(8)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 측 X2까지 반송되는 데에 요하는 시간, 또는 그 시간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정 시간은 3초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설정 시간은, 방화 도어(1)의 하강이 개시되고 나서 방화 도어(1)가 설정 높이[반송 컨베이어(2)에 반송되는 물품(W)의 상단이 위치하는 높이]까지 하강하는 데에 요하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한 차단부(25)는 릴레이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급전부(3)는 주 급전부(26)와 부 급전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주급전부(26)는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 및 중간 컨베이어부(15)에 구동용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부 급전부(27)는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 및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를 제외한,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및 중간 컨베이어부(15)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부급전부(27)에 대하여 설명을 부가하면, 부 급전부(27)는 주 급전부(26)로부터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및 중간 컨베이어부(15)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부 급전부(27)는 주 급전부(26)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충전하는 축전 장치(2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주 급전부(26)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부 급전부(27)는 축전 장치(28)에 축적되어 있는 전력을 방전함으로써,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 및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를 제외한,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및 중간 컨베이어부(15)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전 장치(28)로서 커패시터가 이용되고 있다.
중간 컨베이어부(15)는 급전부(3)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반송 위치에 있고, 급전부(3)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서, 반송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설명을 부가하면, 중간 컨베이어부(15)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요동 구동부(21)에 의해 요동 롤러(20)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요동 롤러(20)의 회전에 의해 요동 프레임(19)이 퇴피 자세로부터 반송 자세로 자세 변경되고, 또한 요동 프레임(19)이 제1 규제부(23)에 접촉하여 요동 프레임(19)이 반송 자세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급전부(3)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요동 구동부(21)의 구동력에 의해 요동 프레임(19)이 반송 자세로 유지되기 때문에, 중간 컨베이어부(15)는 반송 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중간 컨베이어부(15)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면, 요동 구동부(21)의 구동력이 상실되기 때문에, 요동 프레임(19)은 자중이나 요동 롤러(20)의 하중에 의해 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요동 프레임(19)이 제2 규제부(24)에 접촉하여 요동 프레임(19)이 퇴피 자세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급전부(3)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요동 프레임(19)의 자중이나 요동 롤러(20)의 하중에 의해 요동 프레임(19)이 퇴피 자세로 유지되기 때문에, 중간 컨베이어부(15)는 퇴피 위치에 유지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 급전부(27)는 제1 부급전 유닛(27A)과 제2 부급전 유닛(27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부급전 유닛(27A)은 도어 궤적(8)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 X1에 설치되고, 제2 부급전 유닛(27B)은 도어 궤적(8)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 X2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부급전 유닛(27A)과 제1 제어 유닛(H1)은, 제1 유지체(C1)에 유지되어 일체화되어 있고,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의 아래쪽의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2 부급전 유닛(27B)과 제2 제어 유닛(H2)은, 제2 유지체(C2)에 유지되어 일체화되어 있고,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의 아래쪽의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는 주 급전부(26)로부터의 전력 공급 또는 제1 부급전 유닛(27A)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제1 제어 유닛(H1)에 의해 제어된다.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는 주 급전부(26)로부터의 전력 공급 또는 제2 부급전 유닛(27B)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제2 제어 유닛(H2)에 의해 제어된다.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는 주 급전부(26)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제3 제어 유닛(H3)에 의해 제어된다.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는 주 급전부(26)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제4 제어 유닛(H4)에 의해 제어된다.
중간 컨베이어부(15)는, 도어 궤적(8)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 X1과 반송 방향 하류 측 X2 중,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의 중간 컨베이어부(15)가 존재하는 측인 퇴피 측에 설치되어 있는 부급전 유닛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동일한 측(퇴피 측)에 설정되어 있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의 중간 컨베이어부(15)는, 도어 궤적(8)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 X1에 존재하고 있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컨베이어부(15)는 제1 부급전 유닛(27A)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제1 제어 유닛(H1)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므로, 주 급전부(26)로부터 반송 컨베이어(2)에 구동용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 및 중간 컨베이어부(15)에 구동용 전력이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의 제1 구동부(18A),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의 제2 구동부(18B),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의 제3 구동부(18C),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의 제4 구동부(18D) 및 중간 컨베이어부(15)의 제5 구동부(18E) 각각을, 주 급전부(26)로부터의 구동용 전력의 공급에 의해 구동시킬 수 있고,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로부터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까지 물품(W)을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주 급전부(26)로부터 반송 컨베이어(2)로의 구동용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 및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에는 구동용 전력이 공급되지 않지만,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및 중간 컨베이어부(15)에 대하여 축전 장치(28)에 축적된 전력이 구동용 전력으로서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의 제1 구동부(18A),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의 제3 구동부(18C) 및 중간 컨베이어부(15)의 제5 구동부(18E) 각각을, 부 급전부(27)로부터의 구동용 전력의 공급에 의해 구동시킬 수 있고,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로부터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까지 물품(W)을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나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에는, 주 급전부(26) 및 부 급전부(27) 중 어느 것으로부터도 구동용 전력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의 제2 구동부(18B)나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의 제4 구동부(18D)를 구동시킬 수 없어,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 상의 물품(W)이나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 상의 물품(W)은 반송되지 않고 이들의 컨베이어부 상에 정지한다.
물품 반송 설비는, 개방 위치의 방화 도어(1)를 폐쇄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도어 이동 조작부(31)와,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한 방화 도어(1)를 검출하는 도어 검출부(32)와, 주 급전부(26)로부터 반송 컨베이어(2)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급전 차단부(33)와, 화재를 검출하는 화재 검출 장치(34)와, 방화 도어(1)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작업자가 조작하는 수동 조작부(35)를 포함하고 있다.
화재 검출 장치(34)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작업자가 조작하는 화재용 조작 스위치나, 화재에 의해 발생한 열이나 연기를 검지하는 화재 검지부 등에 의해 구성된다. 화재 검출 장치(34)는 화재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어 이동 조작부(31), 급전 차단부(33), 제1 제어 유닛(H1) 및 제2 제어 유닛(H2)에 통지 신호를 송신하고, 화재용 조작 스위치가 조작되는 것이나 화재 검지부가 열 또는 연기를 검지함으로써 화재를 검출한 경우에는, 통지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도어 이동 조작부(31)는 방화 도어(1)를 개방 위치에 유지하고 있고, 화재 검출 장치(34)로부터의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경우, 또는, 수동 조작부(35)가 조작됨에 따라서 송신되는 조작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방화 도어(1)에 대한 유지를 해제한다. 도어 이동 조작부(31)에 의한 유지가 해제된 방화 도어(1)는,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이, 화재 검출 장치(34)가 화재를 검출한 경우 또는 수동 조작부(35)가 조작된 경우에, 방화 도어(1)가 폐쇄되게 되어 있다.
도어 검출부(32)는, 제1 도어 검출 센서(32A)와 제2 도어 검출 센서(32B)를 구비하고 있고, 제1 도어 검출 센서(32A)는 도어 궤적(8)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 X1에 설치되어 있고, 제2 도어 검출 센서(32B)는 도어 궤적(8)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 X2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도어 검출 센서(32A) 및 제2 도어 검출 센서(32B)로서 리밋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다. 제1 도어 검출 센서(32A)가 방화 도어(1)를 검출한 경우에는, 제1 도어 검출 센서(32A)로부터 제1 제어 유닛(H1)에 도어 검출 신호가 송신되고, 제2 도어 검출 센서(32B)가 방화 도어(1)를 검출한 경우에는, 제2 도어 검출 센서(32B)로부터 제2 제어 유닛(H2)에 도어 검출 신호가 송신된다. 그리고, 개방 위치로부터 방화 도어(1)가 하강한 경우에, 제1 도어 검출 센서(32A)와 제2 도어 검출 센서(32B)에서 동시에 방화 도어(1)를 검출할 수 있도록, 제1 도어 검출 센서(32A)와 제2 도어 검출 센서(32B)는 같은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급전 차단부(33)는 주 급전부(26)로부터 반송 컨베이어(2)로의 급전 경로에 구비되어 있다. 급전 차단부(33)에는, 반송 컨베이어(2)를 비상 정지시킬 때 작업자가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고, 이 조작 스위치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서 주 급전부(26)로부터 반송 컨베이어(2)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또한, 급전 차단부(33)는, 통지 신호의 수신이 정지됨에 따라서 주 급전부(26)로부터 반송 컨베이어(2)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화재 검출 장치(34)가 화재를 검출함에 따라서 주 급전부(26)로부터 반송 컨베이어(2)로의 구동용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게 되어 있다. 급전 차단부(33)에 의해 주 급전부(26)로부터의 급전이 차단된 경우에는, 급전 차단부(33)로부터 제1 제어 유닛(H1) 및 제2 제어 유닛(H2)에 차단 신호가 송신된다.
제1 제어 유닛(H1)은 제1 도어 검출 센서(32A)로부터의 도어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방화 도어(1)가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지하고, 제2 제어 유닛(H2)은 제2 도어 검출 센서(32B)로부터의 도어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방화 도어(1)가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지한다. 또한, 화재 검출 장치(34)에 의해 화재가 검지되어 통지 신호가 제1 제어 유닛(H1)이나 제2 제어 유닛(H2)에 송신되지 않게 된 경우는 자동적으로 방화 도어(1)가 폐쇄되므로, 제1 제어 유닛(H1) 및 제2 제어 유닛(H2)은, 화재 검출 장치(34)로부터의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것에 의해, 방화 도어(1)가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 유닛(H1)이나 제2 제어 유닛(H2)이, 방화 도어(1)가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지하는 검지부(36)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제어 장치(H)는, 검지부(36)가 하강 이동을 검지한 경우, 주 급전부(26)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 및 상위의 컨트롤러로부터의 통상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경우에, 반송 컨베이어(2)가 통상 운전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퇴피 제어를 실행한다. 그리고, 검지부(36)가 방화 도어(1)의 하강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는, 도어 검출부(32)에 의해 방화 도어(1)가 검출된 경우나, 화재 검출 장치(34)에 의해 화재가 검출된 경우가 포함된다. 즉, 검지부(36)는, 개방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방화 도어(1)를 제1 도어 검출 센서(32A)가 검출한 경우나, 화재 검출 장치(34)로부터의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경우에, 하강 이동을 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지부(36)는, 개방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방화 도어(1)를 도어 검출부(32)가 검출한 것, 및 화재 검출 장치(34)로부터의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것의 양쪽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하강 이동을 검지한다.
퇴피 제어는, 반송 컨베이어(2)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제어 장치(H)가 판단하고 나서[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H)가 도어 검출부(32)로부터의 도어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또는, 제어 장치(H)가 화재 검출 장치(34)로부터의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되고 나서, 또는, 제어 장치(H)가 급전 차단부(33)로부터의 차단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부 급전부(27)로부터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및 중간 컨베이어부(15)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부 급전부(27)로부터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및 중간 컨베이어부(15)로의 구동용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다.
덧붙이면, 도어 검출부(32)가 하강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는, 도어 검출부(32)는 즉시 도어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H)에 송신하고, 급전 차단부(33)에 의해 주 급전부(26)로부터의 급전이 차단된 경우에는, 부 급전부(27)로부터 구동부(18)로의 전력 공급이 즉시 개시된다. 그러므로, 도어 검출부(32)가 하강 이동을 검지한 타이밍과, 부 급전부(27)로부터 구동부(18)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한 타이밍은, 반송 컨베이어(2)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제어 장치(H)가 판단하는 타이밍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H)는, 제1 제어 유닛(H1) 및 제2 제어 유닛(H2)이 도어 검출부(32)로부터의 도어 검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화재 검출 장치(34)로부터의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경우, 급전 차단부(33)로부터의 차단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위의 컨트롤러로부터의 통상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경우 중 어느 것이어도 아닌 경우에는, 반송 제어를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H)는, 제1 제어 유닛(H1) 및 제2 제어 유닛(H2)이 도어 검출부(32)로부터의 도어 검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화재 검출 장치(34)로부터의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경우, 급전 차단부(33)로부터의 차단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위의 컨트롤러로부터의 통상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퇴피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 장치(H)가 퇴피 제어의 실행을 개시할 때는, 제1 제어 유닛(H1) 및 제2 제어 유닛(H2)이 도어 검출부(32)로부터의 도어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화재 검출 장치(34)로부터의 통지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급전 차단부(33)로부터의 차단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상위의 컨트롤러로부터의 통상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다.
제1 제어 유닛(H1) 및 제2 제어 유닛(H2)이, 도어 검출부(32)로부터의 도어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화재 검출 장치(34)로부터의 통지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 급전 차단부(33)로부터의 차단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즉 화재 검출 장치(34)에 의해 화재가 검출되어 방화 도어(1)가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등에는, 주 급전부(26)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그러므로, 제어 장치(H)가 퇴피 제어를 실행하고 있을 때는,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 및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에 대해서는, 주 급전부(26)로부터의 전력이 차단되기 때문에 정지하고,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및 중간 컨베이어부(15)는, 부 급전부(27)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구동시킨다.
또한, 제1 제어 유닛(H1) 및 제2 제어 유닛(H2)이 상위의 컨트롤러로부터의 통상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주 급전부(26)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지만, 퇴피 제어에서는,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 및 제2 하류 컨베이어부(14)에 대해서는 정지시키고,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및 중간 컨베이어부(15)는, 주 급전부(26) 또는 부 급전부(27)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어 장치(H)는, 제1 제어 유닛(H1) 및 제2 제어 유닛(H2)이 도어 검출부(32)로부터의 도어 검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화재 검출 장치(34)로부터의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경우, 급전 차단부(33)로부터의 차단 신호를 수신한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이들 정보가 입력되어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고, 이 경과 시간이 설정 시간을 경과한 후에, 시한 차단부(25)에 의해,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및 중간 컨베이어부(15)에 대한 부 급전부(27)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퇴피 제어를 종료한다.
2. 기타의 실시형태
다음에, 물품 반송 설비의 기타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를 바닥에 고정하였으나,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를 반송차에 고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반송차에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를 고정한 경우, 반송차가 중간 컨베이어부(15)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 X2의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물품(W)을 제2 상류 컨베이어부(12),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 중간 컨베이어부(15),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의 순서로 반송하고, 반송차의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 상에 물품(W)이 실려 있는 상태에서 반송차를 정지 위치로부터 주행시켜 물품(W)을 반송한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부 급전부(27)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사전에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부 급전부(27)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였으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궤적(8)에 물품(W)이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재고 센서(41)를 포함하고, 부 급전부(27)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재고 센서(41)에 의해 물품(W)이 검출되지 않게 된 후, 부 급전부(27)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해도 된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부 급전부(27)가 제1 부급전 유닛(27A)과 제2 부급전 유닛(27B)을 구비하고 있으나, 부 급전부(27)가 단일의 부급전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부급전 유닛에 의해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와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와 중간 컨베이어부(15)의 각각에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H)가 제1 제어 유닛(H1)과 제2 제어 유닛(H2)을 구비하고 있으나, 제어 장치(H)가 단일의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제1 상류 컨베이어부(11)와 제1 하류 컨베이어부(13)와 중간 컨베이어부(15)의 각각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컨베이어부(15)는, 반송 방향 상류 측 X1에 퇴피하게 하여, 제1 부급전 유닛(27A)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제1 제어 유닛(H1)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였으나, 중간 컨베이어부(15)를, 반송 방향 하류 측 X2에 퇴피하게 하여, 제2 부급전 유닛(27B)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제2 제어 유닛(H2)에 의해 제어되도록 해도 된다.
(6)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컨베이어부(15)에 구비한 반송 롤러(17)를 구동부(18)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켰으나, 중간 컨베이어부(15)에 구비한 반송 롤러(17)를 프리 롤러로 해도 된다.
(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지부(36)는, 개방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방화 도어(1)를 도어 검출부(32)가 검출한 경우, 및 화재 검출 장치(34)로부터 송신된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경우에, 방화 도어(1)의 하강 이동을 검지하였으나, 검지부(36)는, 개방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방화 도어(1)를 도어 검출부(32)에 의해 검출한 경우, 또는, 화재 검출 장치(34)로부터의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경우의 어느 한쪽의 경우에서만, 방화 도어(1)의 하강 이동을 검지하도록 해도 된다.
(8) 그리고,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으로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타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각종 개변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물품 반송 설비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품 반송 설비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방화 도어와,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방화 도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폐쇄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방화 도어의 이동 궤적인 도어 궤적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된 제1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된 제2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된 하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사이에 설치된 중간 컨베이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는, 상기 도어 궤적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지지하는 반송 위치와, 상기 도어 궤적과 교차하지 않는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2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주 급전부와,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상류 컨베이어부를 제외한,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 가능한 부 급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 급전부는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는 상기 급전부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반송 위치에 있고, 상기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서 상기 반송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2 상류 컨베이어부는 주 급전부로부터만 전력이 공급되지만, 제1 상류 컨베이어부 및 하류 컨베이어부에 대해서는, 주 급전부와 부 급전부 양쪽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그러므로,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제2 상류 컨베이어부는 정지하기 때문에 물품을 반송할 수 없지만, 제1 상류 컨베이어부 및 하류 컨베이어부는, 부 급전부의 축전 장치에 축적되어 있는 전력이 공급되므로, 이 전력에 의해 제1 상류 컨베이어부 및 하류 컨베이어부를 구동시켜 물품을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컨베이어부는, 부 급전부의 축전 장치에 축적되어 있는 전력이 공급되므로 반송 위치에 있다. 따라서,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제2 상류 컨베이어부가 정지함으로써, 제2 상류 컨베이어부로부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에 물품이 반송되지 않게 하고, 또한 제1 상류 컨베이어부, 하류 컨베이어부 및 중간 컨베이어부의 물품을 반송 방향 하류 측을 향하여 반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일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도어 궤적에 물품이 존재하고 있던 경우라도, 그 물품을 도어 궤적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 측으로 반송하여 물품을 도어 궤적으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고,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방화 도어가 물품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부 급전부로부터의 전력을 차단하여 급전부로부터 반송 컨베이어로의 전력을 차단함에 따라서,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제2 상류 컨베이어부 및 하류 컨베이어부가 정지하고, 또한 중간 컨베이어부가 반송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중간 컨베이어부를 도어 궤적으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고,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방화 도어가 중간 컨베이어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화 도어를 개방 위치로부터 도어 궤적을 따라 아래쪽으로 폐쇄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 방화 도어에 물품이나 중간 컨베이어부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방화 도어를 폐쇄 위치까지 적절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부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사전에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부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시한 차단부를 더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부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사전에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부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간 컨베이어를 적절한 타이밍에서 반송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중간 컨베이어부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지연되어 방화 도어가 중간 컨베이어부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하강 이동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지부가 상기 하강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 퇴피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퇴피 제어는, 상기 검지부가 상기 하강 이동을 검지하고 나서 사전에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부 급전부로부터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한 구동용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검지부가 하강 이동을 검지하고 나서 사전에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제1 상류 컨베이어부, 하류 컨베이어부 및 중간 컨베이어부를 구동시켜 물품을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제1 상류 컨베이어부, 하류 컨베이어부를 정지시키고, 또한 중간 컨베이어부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방화 도어가 하강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 반송 컨베이어에 간섭하는 높이까지 방화 도어가 하강하기 전까지의 사이에서, 적절하게 물품을 반송하고 또한 중간 컨베이어부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지부가 상기 하강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 더하여,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도, 상기 퇴피 제어를 실행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도, 물품이 도어 궤적에 겹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방화 도어가 하강해 온 경우라도, 방화 도어에 물품이나 중간 컨베이어부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 급전부는 제1 부급전 유닛과 제2 부급전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제1 제어 유닛과 제2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급전 유닛 및 상기 제1 제어 유닛은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부급전 유닛 및 상기 제2 제어 유닛은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1 부급전 유닛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상기 제1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2 부급전 유닛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상기 제2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는,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상류 측과 상기 반송 방향 하류 측 중, 상기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의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가 존재하는 쪽인 퇴피 측에 설치되어 있는 부급전 유닛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상기 퇴피 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상류 컨베이어부에 급전하는 제1 부급전 유닛이나 제1 상류 컨베이어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유닛은, 도어 궤적에 대하여 제1 상류 컨베이어부가 존재하고 있는 반송 방향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류 컨베이어부에 급전하는 제2 부급전 유닛이나 하류 컨베이어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 유닛은, 도어 궤적에 대하여 하류 컨베이어부가 존재하고 있는 반송 방향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컨베이어부에 급전하는 부급전 유닛이나 중간 컨베이어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은, 중간 컨베이어가 존재하고 있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반송 컨베이어와 부 급전부나 제어 장치를 접속하는 배선을, 벽 등에 의해 사이가 떼어져 있는 경우가 많은 도어 궤적의 반송 방향 상류와 반송 방향 하류 측에 걸쳐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이들 배선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검지부는, 상기 개방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방화 도어를 도어 검출부가 검출한 것, 및 화재 검출 장치로부터의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것의 양쪽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하강 이동을 검지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실제로 방화 도어를 검출한 경우에 더하여, 화재 검출 장치로부터 통상 송신되고 있는 통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게 된 경우에, 통지부는 방화 도어의 하강 이동을 검지한다. 즉, 예를 들면 화재 검출 장치는, 화재를 검지한 경우에 통지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고, 이에 연동하여, 방화 도어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화재 검출 장치로부터의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됨(방화 도어의 하강 이동을 검지함)에 따라서 퇴피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실제로 방화 도어가 하강하는 것에 앞서 퇴피 제어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히 물품을 퇴피시킬 수 있고, 또한 중간 컨베이어부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품 반송 설비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방화 도어와,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방화 도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폐쇄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며,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방화 도어의 이동 궤적인 도어 궤적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된 제1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된 제2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된 하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사이에 설치된 중간 컨베이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는, 상기 도어 궤적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지지하는 반송 위치와, 상기 도어 궤적과 교차하지 않는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급전부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반송 위치에 있고, 상기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서 상기 반송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퇴피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퇴피 제어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하고 나서 사전에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급전부에서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한 구동용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퇴피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제1 상류 컨베이어부, 하류 컨베이어부 및 중간 컨베이어부의 물품을 반송 방향 하류 측을 향하여 반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반송 컨베이어의 통상 운전을 할 수 없다고 제어 장치가 판단했을 때, 도어 궤적에 물품이 존재하고 있던 경우라도, 퇴피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그 물품을 도어 궤적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 측으로 반송하여 물품을 도어 궤적으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급전부로부터 반송 컨베이어로의 전력을 차단함에 따라서,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제2 상류 컨베이어부 및 하류 컨베이어부가 정지하고, 또한 중간 컨베이어부가 반송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중간 컨베이어부를 도어 궤적으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고,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방화 도어가 중간 컨베이어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방화 도어를 개방 위치로부터 도어 궤적 통로를 따라 아래쪽으로 폐쇄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 방화 도어에 물품이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방화 도어를 폐쇄 위치까지 적절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하강 이동을 검지한 경우, 또는, 상위의 컨트롤러로부터 통상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경우에,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하강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 제어 장치는,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하고, 퇴피 제어를 실행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화재가 발생했기 때문에 방화 도어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물품을 도어 궤적으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으므로,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방화 도어가 물품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는, 상위의 컨트롤러와 제어 장치에 접속된 통신선이나 컨트롤러 자체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는, 제어 장치에 통상 구동 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되므로, 제어 장치는,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하고, 퇴피 제어를 실행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컨트롤러 등에 이상이 생긴 상태에서 방화 도어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물품을 도어 궤적으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으므로,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방화 도어가 물품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2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주 급전부와,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상류 컨베이어부를 제외한,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 가능한 부 급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 급전부는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퇴피 제어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하고 나서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부 급전부로부터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한 구동용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2 상류 컨베이어부는 주 급전부로부터만 전력이 공급되지만, 제1 상류 컨베이어부 및 하류 컨베이어부에 대해서는, 주 급전부와 부 급전부 양쪽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그러므로,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제2 상류 컨베이어부는 정지하기 때문에 물품을 반송할 수 없지만, 제1 상류 컨베이어부 및 하류 컨베이어부는, 부 급전부의 축전 장치에 축적되어 있는 전력이 공급되므로, 이 전력에 의해 제1 상류 컨베이어부 및 하류 컨베이어부를 구동시켜 물품을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제2 상류 컨베이어부가 정지함으로써, 제2 상류 컨베이어부로부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에 물품이 반송되지 않게 하고, 또한 제1 상류 컨베이어부, 하류 컨베이어부 및 중간 컨베이어부의 물품을 반송 방향 하류 측을 향하여 반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만일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도어 궤적에 물품이 존재하고 있던 경우라도, 그 물품을 도어 궤적으로부터 반송 방향 하류 측으로 반송하여 물품을 도어 궤적으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고,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방화 도어가 물품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 부 급전부로부터의 전력을 차단하여 급전부로부터 반송 컨베이어로의 전력을 차단함에 따라서,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제2 상류 컨베이어부 및 하류 컨베이어부가 정지하고, 또한 중간 컨베이어부가 반송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중간 컨베이어부를 도어 궤적으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고,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방화 도어가 중간 컨베이어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화 도어를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폐쇄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 방화 도어가 물품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방화 도어를 폐쇄 위치까지 적절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방화 도어와 반송 컨베이어와 급전부를 포함한 물품 반송 설비에 이용할 수 있다.
1 : 방화 도어
2 : 반송 컨베이어
3 : 급전부
8 : 도어 궤적
11 : 제1 상류 컨베이어부
12 : 제2 상류 컨베이어부
13 : 제1 하류 컨베이어부(하류 컨베이어부)
15 : 중간 컨베이어부
25 : 시한 차단부
26 : 주 급전부
27 : 부 급전부
27A : 제1 부급전 유닛
27B : 제2 부급전 유닛
28 : 축전 장치
H : 제어 장치
H1 : 제1 제어 유닛(검지부)
H2 : 제2 제어 유닛(검지부)
W : 물품

Claims (10)

  1.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방화 도어;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방화 도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물품을 반송(搬送)하는 반송 컨베이어; 및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給電部)
    를 포함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폐쇄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방화 도어의 이동 궤적인 도어 궤적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된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된 제2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된 제1 하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1 하류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된 제2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1 하류 컨베이어부 사이에 설치된 중간 컨베이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는, 상기 도어 궤적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지지하는 반송 위치와, 상기 도어 궤적과 교차하지 않는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2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1 하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2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주(主) 급전부와,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2 하류 컨베이어부를 제외한,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1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 가능한 부(副) 급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 급전부는,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는, 상기 급전부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반송 위치에 있고, 상기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서 상기 반송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하강 이동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지부가 상기 하강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 퇴피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퇴피 제어는, 상기 검지부가 상기 하강 이동을 검지하고 나서 사전에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부 급전부로부터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1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1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한 구동용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인,
    물품 반송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나서 사전에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부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시한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물품 반송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지부가 상기 하강 이동을 검지한 경우에 더하여,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도, 상기 퇴피 제어를 실행하는, 물품 반송 설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 급전부는 제1 부급전 유닛과 제2 부급전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제1 제어 유닛과 제2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급전 유닛 및 상기 제1 제어 유닛은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부급전 유닛 및 상기 제2 제어 유닛은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1 부급전 유닛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상기 제1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1 하류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2 부급전 유닛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상기 제2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는,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상류 측과 상기 반송 방향 하류 측 중, 상기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의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가 존재하는 측인 퇴피 측에 설치되어 있는 부급전 유닛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상기 퇴피 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물품 반송 설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방화 도어를 검출하는 도어 검출부; 및
    화재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검지부에 통지 신호를 송신하고, 화재를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통지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화재 검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개방 위치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방화 도어를 상기 도어 검출부가 검출한 것, 및 상기 화재 검출 장치로부터의 상기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것의 양쪽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하강 이동을 검지하는, 물품 반송 설비.
  6.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방화 도어;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방화 도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 및
    상기 반송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폐쇄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방화 도어의 이동 궤적인 도어 궤적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된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된 제2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된 제1 하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1 하류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된 제2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1 하류 컨베이어부 사이에 설치된 중간 컨베이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는, 상기 도어 궤적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지지하는 반송 위치와, 상기 도어 궤적과 교차하지 않는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급전부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반송 위치에 있고, 상기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서 상기 반송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2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1 하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2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주 급전부와,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제2 하류 컨베이어부를 제외한,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1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 가능한 부 급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 급전부는,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퇴피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퇴피 제어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하고 나서 사전에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부 급전부로부터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1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1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한 구동용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인,
    물품 반송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하강 이동을 검지한 경우, 또는, 상위의 컨트롤러로부터 통상 구동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경우에,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하는, 물품 반송 설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하는, 물품 반송 설비.
  9.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방화 도어;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방화 도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물품을 반송(搬送)하는 반송 컨베이어; 및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給電部)
    를 포함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폐쇄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방화 도어의 이동 궤적인 도어 궤적에 대하여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된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된 제2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된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사이에 설치된 중간 컨베이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는, 상기 도어 궤적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지지하는 반송 위치와, 상기 도어 궤적과 교차하지 않는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제2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주(主) 급전부와,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상류 컨베이어부를 제외한,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 가능한 부(副) 급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 급전부는, 상기 주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충전되는 축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는, 상기 급전부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반송 위치에 있고, 상기 급전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서 상기 반송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부 급전부는 제1 부급전 유닛과 제2 부급전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제1 제어 유닛과 제2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급전 유닛 및 상기 제1 제어 유닛은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상류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부급전 유닛 및 상기 제2 제어 유닛은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1 부급전 유닛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상기 제1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는, 상기 제2 부급전 유닛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상기 제2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는, 상기 도어 궤적에 대하여 상기 반송 방향 상류 측과 상기 반송 방향 하류 측 중, 상기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의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가 존재하는 측에 설치되어 있는 부급전 유닛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 같은 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물품 반송 설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 퇴피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퇴피 제어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통상 운전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하고 나서 사전에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급전부로부터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하여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 상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류 컨베이어부 및 상기 중간 컨베이어부에 대한 구동용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인, 물품 반송 설비.
KR1020180102609A 2017-08-31 2018-08-30 물품 반송 설비 KR102565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67553 2017-08-31
JP2017167553A JP6911650B2 (ja) 2017-08-31 2017-08-31 物品搬送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824A KR20190024824A (ko) 2019-03-08
KR102565285B1 true KR102565285B1 (ko) 2023-08-08

Family

ID=6551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609A KR102565285B1 (ko) 2017-08-31 2018-08-30 물품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11650B2 (ko)
KR (1) KR102565285B1 (ko)
CN (1) CN109422078B (ko)
TW (1) TWI7812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7618A (zh) * 2019-06-11 2019-09-13 河北德森建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软薄石贴片生产工艺、外墙铺设工艺及生产线
JP7192711B2 (ja) * 2019-08-20 2022-12-20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コンベア
KR102252389B1 (ko) * 2019-10-31 2021-05-14 엠제이씨 주식회사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
KR102534413B1 (ko) * 2020-12-16 2023-05-18 세메스 주식회사 방화 셔터 및 이를 갖는 천장 이송 장치
CN117163691B (zh) * 2023-09-08 2024-05-17 江苏铠蓝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防火卷帘联动的防尘输送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1681A (ja) 2010-12-08 2012-06-28 Daifuku Co Ltd 物品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物品搬送用の移動体
JP2016088649A (ja) * 2014-10-31 2016-05-23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0583A (en) * 1977-07-16 1979-02-16 Fuji Electric Co Ltd Device for protecting motor driven conveying apparatus from fire
JPH0632663B2 (ja) * 1987-03-06 1994-05-02 清水建設株式会社 火災時における防火戸連動装置
JP2527272B2 (ja) * 1990-10-31 1996-08-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ンコンベアの遠隔操作装置
JP2857308B2 (ja) * 1993-12-16 1999-02-17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搬送装置間における中継ユニット
JPH08251704A (ja) * 1995-03-15 1996-09-27 Daifuku Co Ltd 無接触給電設備
CN101190748B (zh) * 2006-12-01 2011-09-07 台湾积体电路制造股份有限公司 自动化物料传送系统
JP2008237728A (ja) * 2007-03-28 2008-10-09 Asyst Technologies Japan Inc 防火扉付搬送システム、防火扉付レール装置及び搬送システム
CN203173366U (zh) * 2013-02-16 2013-09-04 上海三禾服装物流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输送线的防火应急装置
JP6313058B2 (ja) * 2014-02-07 2018-04-18 三機工業株式会社 コンベヤライン
CN106429357A (zh) * 2016-11-08 2017-02-22 顺丰速运有限公司 输送设备用自动断开机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1681A (ja) 2010-12-08 2012-06-28 Daifuku Co Ltd 物品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物品搬送用の移動体
JP2016088649A (ja) * 2014-10-31 2016-05-23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19966A (zh) 2019-06-01
KR20190024824A (ko) 2019-03-08
TWI781219B (zh) 2022-10-21
JP2019043715A (ja) 2019-03-22
JP6911650B2 (ja) 2021-07-28
CN109422078A (zh) 2019-03-05
CN109422078B (zh)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285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2636989B1 (ko) 물품 반송 설비
US10159860B2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US9815624B2 (en) Inter-floor transport facility
JP5713203B2 (ja) 物品収納設備
JP6304107B2 (ja) 物品搬送設備
US9452852B2 (en) Sensor assembly and/or a case sealer utilizing a sensor assembly
JP2007314262A (ja) 物品処理設備
JP6423499B1 (ja) 搬送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0589386B (zh) 物品输送设备
JP2007254085A (ja) コンベヤ設備
CN114206754B (zh) 搬运输送机
TW201630051A (zh) 物品搬送設備
CN109250422B (zh) 包裹输送装置及方法
KR101858637B1 (ko)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
JP2019055871A (ja) 搬送路の遮断機構
JP2001233427A (ja) 支持搬送装置
CN113335894A (zh) 输送设备
KR101915395B1 (ko) 스트립퍼 카 및 그 제어방법
CN205294105U (zh) 输送装置
JP2017208437A (ja) 物品搬送設備
CN220637973U (zh) 一种商标加料机械臂的作业安全保护装置
JP2005263360A (ja) 搬送装置
JP2006325368A (ja) 走行台車用運転制御装置
CN111620089A (zh) 自动上料系统及其安全防护控制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