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389B1 -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389B1
KR102252389B1 KR1020190137455A KR20190137455A KR102252389B1 KR 102252389 B1 KR102252389 B1 KR 102252389B1 KR 1020190137455 A KR1020190137455 A KR 1020190137455A KR 20190137455 A KR20190137455 A KR 20190137455A KR 102252389 B1 KR102252389 B1 KR 102252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upstream
fire
opening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769A (ko
Inventor
문재철
황규홍
Original Assignee
엠제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제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제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7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3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구획의 컨베이어 개구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면서도 화재 시 방화문에 의해 컨베이어 개구부를 완전히 닫을 수 있는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류 컨베이어, 하류 컨베이어, 중간 컨베이어, 로터리 스토퍼 유닛과 로터리 레버로 구성되어 있다. 상류 컨베이어는 방화문에 의해 닫을 수 있는 컨베이어 개구부의 상류에 설치되어 있다. 하류 컨베이어는 컨베이어 개구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있다. 중간 컨베이어는 물품의 운반을 위하여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사이를 연결하는 반송 위치와 방화문을 닫을 수 있는 회피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있다. 로터리 스토퍼 유닛은 중간 컨베이어의 반송 위치를 구속하는 구속 위치와 구속 위치로부터 중간 컨베이어의 반송 위치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어 있다. 로터리 스토퍼 유닛은, 상류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양쪽에 결합되어 있으며 반송 위치에서 중간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로터리 바와, 로터리 바들 각각의 상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중간 컨베이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한 쌍의 롤러와, 롤러들이 지지될 수 있도록 중간 컨베이어의 아랫면 양쪽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다. 로터리 레버는 컨베이어 개구부를 닫아주는 방화문에 의해 눌려져 회전되면서 로터리 스토퍼 유닛을 구속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 시 방화문이 닫히면서 로터리 레버를 회전시키면,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사이를 연결하고 있던 중간 컨베이어가 회피 위치로 회피되어 컨베이어 개구부를 방화문에 의해 완전히 닫을 수 있으므로, 물품의 연속적인 운반을 위해 컨베이어 개구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와 방화문의 간섭을 기구적 작동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CONVEYOR SYSTEM FOR FIRE PARTITION}
본 발명은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구획의 컨베이어 개구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면서도 화재 시 방화문에 의해 컨베이어 개구부를 완전히 닫을 수 있는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화구획은 건축물을 일정면적 단위별, 층별, 및 용도별 등으로 구획함으로써 화재 시 일정범위 이외로의 연소를 방지하여 피해를 국부적으로 한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건축법상 방화에 관한 규정 중 가장 중요한 것이다. 구획부분의 구조는 내화구조의 바닥·벽, 규정에 의한 방화문 및 자동방화셔터로 구성되고 있다.
방화구획으로 사용하는 갑종방화문은 언제나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화재로 인한 연기의 발생 또는 온도의 상승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셔터는 방화구획의 용도로 화재 시 연기 및 열을 감지하여 자동 폐쇄되는 것으로서, 공항·체육관 등 넓은 공간에 부득이하게 내화구조로 된 벽을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방화셔터를 말하며, 일체형 자동방화셔터는 방화셔터의 일부에 피난을 위한 출입구가 설치된 셔터를 말한다.
한편, 컨베이어 시스템은 다양한 물품 또는 화물을 일정한 거리 사이에서 연속해서 운반·선별해야 하는 공장, 물류창고, 택배회사 등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Belt), 롤러(Roller), 체인(Chain)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시스템은 'KFS-110 건축물 연소확대방지기준'에 따라 방화구획에 설치하여야 한다.
'KFS-110 건축물 연소확대방지기준'은 일반 건축물, 위험물시설 및 물류창고 등의 특수한 건축물에서 발생한 화재·폭발 등의 사고로부터 인접 건축물로의 연소 확대를 방지하거나, 동일 건축물 내의 어느 한 장소에서 발생한 화재·폭발 등의 사고가 다른 장소로 연소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준을 정하고 있다.
기준에 따르면, 컨베이어가 방화구획을 위한 벽을 통과해야 하는 경우, 벽에 있는 개구부에 자동 폐쇄식 갑종방화문 또는 자동방화셔터를 설치하여야 하며, 컨베이어에 자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재 시 문이 닫히도록 갑종방화문 또는 자동방화셔터와 제어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컨베이어 개구부용 갑종방화문 또는 자동방화셔터는 컨베이어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폐쇄될 수 있어야 하며, 화재 시 구동기계장치가 장애물을 제거하고 문을 폐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컨베이어 개구부의 크기는 최소로 하여야 한다.
방화구획의 컨베이어 개구부를 통한 컨베이어 시스템의 설치는 작업성 및 공간의 활용성이 낮아질 수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은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 방화구획을 회피하여 설치하기도 한다. 따라서 화재 시 방화문 또는 자동방화셔터가 방해를 받지 않고 닫힐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일례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24824호 '물품 반송 설비'는 상류 컨베이어, 하류 컨베이어, 중간 컨베이어, 검지부와 제어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는 방화문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고, 중간 컨베이어는 방화문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검지부는 방화문의 하강을 감지하여 제어 장치에 입력한다. 제어 장치는 검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급전부로부터 요동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요동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요동 프레임이 회전되면, 중간 컨베이어는 반송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되어 방화문을 완전히 닫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은 화재 시 방화문의 하강이 검지부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 장치에 의해 급전부, 즉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자 제어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검지부, 급전부, 제어 장치의 오류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될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방화문의 작동과 관계없이 전원 공급 장치의 고장이나 정전 등으로 인하여 전력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요동 구동부가 작동되어 중간 컨베이어를 반송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화재로 인해 검지부, 제어 장치 등이 소실될 경우,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지 않으면서 요동 구동부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못하여 하강되는 방화문이 중간 컨베이어와 충돌되어 방화문 및 중간 컨베이어의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는 컨베이어와 방화문의 간섭을 기구적 작동에 의해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은, 방화문에 의해 닫을 수 있는 컨베이어 개구부의 상류에 설치되어 있는 상류 컨베이어와; 컨베이어 개구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있는 하류 컨베이어와; 물품의 운반을 위하여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사이를 연결하는 반송 위치와 방화문을 닫을 수 있는 회피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중간 컨베이어와; 중간 컨베이어의 반송 위치를 구속하는 구속 위치와 구속 위치로부터 중간 컨베이어의 반송 위치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로터리 스토퍼 유닛과; 컨베이어 개구부를 닫아주는 방화문에 의해 눌려져 회전되면서 로터리 스토퍼 유닛을 구속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로터리 레버를 포함한다. 로터리 스토퍼 유닛은, 컨베이어 개구부와 이웃하는 상류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샤프트와;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샤프트의 양쪽에 결합되어 있으며, 반송 위치에서 중간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로터리 바와; 한 쌍의 로터리 바 각각의 상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반송 위치에서 컨베이어 개구부와 이웃하는 중간 컨베이어 아랫면을 지지하여 중간 컨베이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한 쌍의 롤러와; 한 쌍의 롤러가 지지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 개구부와 이웃하는 중간 컨베이어의 아랫면 양쪽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은 로터리 스토퍼 유닛이 항시 중간 컨베이어를 구속하는 구속 위치에 배치되도록 중력에 의해 로터리 스토퍼 유닛을 구속 위치로 복귀시키는 한 쌍의 복귀 조정 기구를 더 구비한다. 한 쌍의 복귀 조정 기구 각각은, 상류 컨베이어의 물품 이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수직 방향의 축선을 기준으로 상류 컨베이어의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샤프트의 외면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 바와; 고정 바에 장착되어 있는 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은, 화재 시 방화문이 닫히면서 로터리 레버를 회전시키면,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사이를 연결하고 있던 중간 컨베이어가 회피 위치로 회피되어 컨베이어 개구부를 방화문에 의해 완전히 닫을 수 있으므로, 물품의 연속적인 운반을 위해 컨베이어 개구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와 방화문의 간섭을 기구적 작동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귀 조정 기구는 중력에 의해 로터리 스토퍼 유닛의 롤러가 항시 중간 컨베이어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여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한 물품의 연속적인 운반이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중간 컨베이어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중간 컨베이어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중간 컨베이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10)은 물품의 운반을 위해 방화구획의 컨베이어 개구부(2)에 설치된다. 컨베이어 개구부(2)는 화재 시 방화문(4) 또는 자동방화셔터에 의해 완전히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방화문(4)은 자동방화셔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10)은 컨베이어 개구부(2)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는 상류 컨베이어(20)와 컨베이어 개구부(2)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는 하류 컨베이어(30)로 구성되어 있다.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20, 30) 각각은 방화문(4)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컨베이어 개구부(2)를 사이에 간격을 두고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20, 30) 각각은 프레임(22, 32), 컨베이어 벨트(24, 34)와 구동 유닛(Drive unit: 26, 36)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22, 32)은 가드 프레임(Guard frame: 22a, 32a)과 레그 프레임(Leg frame: 22b, 32b)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드 프레임(22b, 32b)은 복수의 피봇 조인트(Pivot joint: 22c, 32c) 또는 힌지 조인트(Hinge joint)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레그 프레임(22a, 32a)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20, 30) 각각은 가드 프레임(22b, 32b)이 레그 프레임(22a, 32a) 위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경사 컨베이어(Incline conveyor)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20, 30) 각각은 수평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컨베이어 벨트(24, 34)는 가드 프레임(22b, 32b)의 양쪽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헤드 풀리(Head pulley) 또는 드라이브 풀리(Drive pulley)와 테일 풀리(Tail pulley)에 감아 걸려 있다. 구동 유닛(26, 36)은 모터(26a, 36a)와, 모터(26a, 36a)의 구동력을 헤드 풀리 및 테일 풀리에 전달하는 체인 전동 기구(Chain transmission mechanism)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26a, 36a)는 기어드모터(Geared motor)로 구성될 수 있다.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20, 30) 각각은 체인 구동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Chain driven belt conveyor)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20, 30) 각각은 체인 구동 롤러 컨베이어(Chain driven roller conveyor), 플랫 체인 컨베이어(Flat chain conveyo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20, 30) 각각은 컨베이어 벨트(24, 34)의 장력(Tension)을 조절하기 위한 텐셔너(Tensioner), 헤드 풀리와 테일 풀리의 접촉각을 크게 하기 위한 스넙풀리(Snub pulley), 컨베이어 벨트(24, 34)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캐리어(Carrier), 아이들롤러(Idle roll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모두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10)은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20, 30)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컨베이어(40)를 구비한다. 중간 컨베이어(40)는 컨베이어 개구부(2)와 이웃하는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20, 30) 중 어느 하나, 하류 컨베이어(30)의 한쪽에 물품의 운반을 위하여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20, 30) 사이를 연결하는 반송 위치(P1)와, 컨베이어 개구부(2)로부터 벗어나는 회피 위치(P2)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중간 컨베이어(40)가 반송 위치(P1)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류, 중간 및 하류 컨베이어(20, 30, 40)를 통해 물품을 연속해서 운반할 수 있다. 중간 컨베이어(40)가 회피 위치(P2)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하강되는 방화문(4)은 중간 컨베이어(40)와 간섭되지 않고 컨베이어 개구부(2)를 완전히 닫게 된다.
중간 컨베이어(40)는 가드 프레임(42), 컨베이어 벨트(44), 구동 유닛(46)과 피봇 조인트(48)로 구성되어 있다. 가드 프레임(42)의 한쪽은 컨베이어 개구부(2)와 이웃하는 하류 컨베이어(20)의 프레임(22)의 한쪽에 피봇 조인트(48) 또는 힌지 조인트를 중심으로 반송 위치(P1)와 회피 위치(P2)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컨베이어 벨트(44)는 가드 프레임(42)의 양쪽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헤드 풀리 또는 드라이브 풀리와 테일 풀리에 감아 걸려 있다. 구동 유닛(46)은 모터(46a)와, 모터(46a)의 구동력을 헤드 풀리 및 테일 풀리에 전달하는 체인 전동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44a)는 하류 컨베이어(30)의 프레임(32)에 장착되어 있는 기어드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체인 전동 기구는 컨베이어 벨트 전동 기구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피봇 조인트(48)는 가드 프레임(42)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는 마운팅 플레이트(Mounting plate: 48a)와, 마운팅 플레이트(48a)에 장착되어 있는 피봇(48b) 또는 힌지 샤프트(Hinge shaft)와, 가드 프레임(42)의 한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피봇(48b)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 피봇 구멍(Pivot hole: 48c) 또는 힌지 구멍(Hinge hole)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Guide rail: 50)이 컨베이어 개구부(2)와 이웃하는 가드 프레임(42)의 아랫면 양쪽에 더 장착되어 있다. 걸림턱(52)이 컨베이어 개구부(2)와 이웃하는 가이드 레일(50)들 각각의 한쪽 끝에 더 형성되어 있다. 오목면(54)이 하류 컨베이어(30)와 마주하는 걸림턱(52)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10)은 반송 위치(P1)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 컨베이어(40)를 받쳐서 구속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개구부(2)와 이웃하는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20, 30) 중 다른 하나, 상류 컨베이어(20)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는 로터리 스토퍼 유닛(Rotary stopper unit: 60)을 구비한다. 로터리 스토퍼 유닛(60)은 중간 컨베이어(40)의 반송 위치(P1)를 구속하는 구속 위치(P3)와 중간 컨베이어(40)의 구속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P4) 사이에서 작동된다. 로터리 스토퍼 유닛(60)은 샤프트(Shaft: 62), 한 쌍의 로터리 바(Rotary bar: 64), 한 쌍의 롤러(66)로 구성되어 있다.
샤프트(62)는 상류 컨베이어(20)의 물품 이송 방향(X)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폭 방향(Y)을 따라 상류 컨베이어(20)의 아래쪽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샤프트(62)는 프레임(22)의 아랫면 양쪽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베어링(62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62)의 양단은 프레임(22)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로터리 바(64)들 각각의 하단은 샤프트(6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샤프트(62)의 양쪽에 결합되어 있으며, 반송 위치(P1)에서 중간 컨베이어(4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롤러(66)들 각각은 로터리 바(64)들 각각의 상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반송 위치(P1)에서 가이드 레일(50)들 각각을 지지하여 중간 컨베이어(40)를 구속하게 된다. 롤러(66)들 각각은 걸림턱(52)의 오목면(54)에 지지되어 구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10)은 방화문(4)에 의해 눌려져 회전되면서 로터리 스토퍼 유닛(60)을 구속 위치(P3)로부터 해제 위치(P4)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로터리 레버(Rotary lever: 70)를 구비한다. 로터리 레버(70)들 각각은 상류 컨베이어(20)의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샤프트(62)의 양단에 결합되어 있다.
로터리 레버(70)들 각각은 보스(Boss: 72), 직선 레버 부분(74)과 만곡 레버 부분(76)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스(72)는 샤프트(62)의 양단에 결합되어 있다. 직선 레버 부분(74)은 보스(72)의 외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만곡 레버 부분(76)은 직선 레버 부분(74)의 말단으로부터 중간 컨베이어(40)를 향하여 원호 형상으로 굽혀져 있으며, 반송 위치(P1)에서 하강되는 방화문(4)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10)은 로터리 스토퍼 유닛(60)이 항시 중간 컨베이어(40)를 구속하는 구속 위치(P3)에 배치되도록 중력에 의해 로터리 스토퍼 유닛(60)을 구속 위치(P3)로 복귀시키는 한 쌍의 복귀 조정 기구(Return adjusting mechanism: 80)를 더 구비한다. 복귀 조정 기구(80)들 각각은 샤프트(62)의 양쪽에 장착되어 있으며, 고정 바(Fixed bar: 82)와 하나 이상의 추(84)로 구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바(82)는 상류 컨베이어(20)의 물품 이송 방향(X)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수직 방향(Z)의 축선을 기준으로 상류 컨베이어(20)의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샤프트(62)의 외면에 결합되어 있다. 고정 바(82)의 나사 체결에 의해 샤프트(62)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82a)가 고정 바(82)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추(84)는 고정 바(82)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추(84)는 두 개가 고정 바(82)에 끼워져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추(84)의 개수 및 중량은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도 2와 도 5 (a)를 참조하면, 방화문(4)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상류 컨베이어(20)와 하류 컨베이어(30)가 반송 위치(P1)의 중간 컨베이어(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류 컨베이어(20)로부터 중간 컨베이어(40)를 통해 하류 컨베이어(30)로 물품을 연속해서 운반할 수 있다.
도 5 (b)를 참조하면, 화재 시 방화문(4)이 화살표 "A"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강하여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면, 하강하는 방화문(4)의 하단이 로터리 레버(70)의 만곡 레버 부분(76)을 누르게 된다. 방화문(4)이 로터리 레버(70)를 누르게 되면, 화살표 "B"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터리 레버(70)가 샤프트(62)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롤러(66)가 가이드 레일(50)로부터 벗어나면서 로터리 스토퍼 유닛(60)들이 구속 위치(P3)로부터 해제 위치(P4)로 회전된다.
도 5 (c)를 참조하면, 롤러(66)의 지지에 의해 반송 위치(P1)에 배치되어 있던 중간 컨베이어(40)는 화살표 "C"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봇 조인트(48)를 중심으로 반송 위치(P1)로부터 회피 위치(P2)로 회전된다. 중간 컨베이어(40)가 회피 위치(P2)에 배치되면, 방화문(4)은 상류 컨베이어(20)와 하류 컨베이어(30)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여 컨베이어 개구부(2)를 완전히 닫아주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10)은 평상 시 물품을 연속적으로 운반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으며, 화재 시 자동으로 닫히는 방화문(4)과의 기구적인 연동에 의해 중간 컨베이어(40)를 회피 위치(P2)로 회피시키고 컨베이어 개구부(2)를 완전히 닫아줌으로써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닫혀있던 방화문(4)을 다시 열고 난 후, 로터리 레버(7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면, 로터리 스토퍼 유닛(60)이 샤프트(62)와 함께 회전되어 해제 위치(P4)로부터 구속 위치(P3)로 회전된다. 롤러(66)는 걸림턱(52)의 오목면(54)에 지지되어 구속 위치(P3)를 유지하게 된다. 롤러(66)가 오목면(54)에 걸려 있는 것에 의해 제자리에 있게 된다.
또한, 복귀 조정 기구(80)들의 추(84)는 중력에 의해 하향으로 회전력을 받게 되면서 샤프트(62)를 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복귀 조정 기구(80)들의 작동에 의해 샤프트(62)가 항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롤러(66)는 오목면(54)에 접촉되는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받게 되어 가이드 레일(50)들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롤러(66)는 상류 컨베이어(20) 및 중간 컨베이어(40)의 작동 시 발생되는 진동, 충격 등에 의해서 상류 컨베이어(20) 쪽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되고, 가이드 레일(50)들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어 중간 컨베이어(40)를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받쳐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10)에 의한 물품의 연속적인 운반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 20: 상류 컨베이어
30: 하류 컨베이어 40: 중간 컨베이어
48: 피봇 조인트 50: 가이드 레일
52: 걸림턱 60: 로터리 스토퍼 유닛
62: 샤프트 64: 로터리 바
66: 롤러 70: 로터리 레버
80: 복귀 조정 기구 82: 고정 바
84: 추

Claims (7)

  1. 방화문에 의해 닫을 수 있는 컨베이어 개구부의 상류에 설치되어 있는 상류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개구부의 하류에 설치되어 있는 하류 컨베이어와;
    물품의 운반을 위하여 상기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사이를 연결하는 반송 위치와 상기 방화문을 닫을 수 있는 회피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중간 컨베이어와;
    상기 중간 컨베이어의 반송 위치를 구속하는 구속 위치와 상기 구속 위치로부터 상기 중간 컨베이어의 반송 위치를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로터리 스토퍼 유닛과;
    상기 컨베이어 개구부를 닫아주는 상기 방화문에 의해 눌려져 회전되면서 상기 로터리 스토퍼 유닛을 상기 구속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류 및 하류 컨베이어 중 다른 하나에 장착되어 있는 로터리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 스토퍼 유닛은,
    상기 상류 컨베이어의 물품 이송 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개구부와 이웃하는 상기 상류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의 양쪽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반송 위치에서 상기 중간 컨베이어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로터리 바와;
    상기 한 쌍의 로터리 바 각각의 상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반송 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 개구부와 이웃하는 상기 중간 컨베이어 아랫면을 지지하여 상기 중간 컨베이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한 쌍의 롤러와;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 개구부와 이웃하는 상기 중간 컨베이어의 아랫면 양쪽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가 걸려 구속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개구부와 이웃하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레버는,
    상기 상류 컨베이어의 바깥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샤프트의 양단 각각에 결합되어 있는 보스와;
    상기 보스의 외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직선 레버 부분과;
    상기 직선 레버 부분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중간 컨베이어를 향하여 굽혀져 있으며, 상기 반송 위치에서 하강되는 상기 방화문의 하단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만곡 레버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토퍼 유닛이 항시 상기 중간 컨베이어를 구속하는 상기 구속 위치에 배치되도록 중력에 의해 상기 로터리 스토퍼 유닛을 상기 구속 위치로 복귀시키는 한 쌍의 복귀 조정 기구를 더 구비하는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복귀 조정 기구 각각은,
    상기 상류 컨베이어의 물품 이송 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수직 방향의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류 컨베이어의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 바와;
    상기 고정 바에 장착되어 있는 추로 이루어지는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
KR1020190137455A 2019-10-31 2019-10-31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 KR102252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455A KR102252389B1 (ko) 2019-10-31 2019-10-31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455A KR102252389B1 (ko) 2019-10-31 2019-10-31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769A KR20210051769A (ko) 2021-05-10
KR102252389B1 true KR102252389B1 (ko) 2021-05-14

Family

ID=7591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455A KR102252389B1 (ko) 2019-10-31 2019-10-31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3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63691B (zh) * 2023-09-08 2024-05-17 江苏铠蓝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防火卷帘联动的防尘输送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99578A (ja) * 2017-04-04 2018-12-20 トーヨーカネ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搬送装置の遮断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8318A (ja) * 1982-09-07 1984-03-19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火区画貫通コンベヤ−
JP6911650B2 (ja) * 2017-08-31 2021-07-2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99578A (ja) * 2017-04-04 2018-12-20 トーヨーカネ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搬送装置の遮断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769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81219B (zh) 物品搬送設備
KR102252389B1 (ko) 방화구획용 컨베이어 시스템
CN107848763B (zh) 电梯轿厢门联锁装置
KR101211298B1 (ko) 선회가능한 롤러를 갖춘 컨베이어
CN114206754B (zh) 搬运输送机
JP6423499B1 (ja) 搬送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633977A (en) Belt conveyer take-up
TWI805717B (zh) 輸送分類裝置
JP2004250224A (ja) 物品仕分け搬出装置
JPS5948318A (ja) 防火区画貫通コンベヤ−
KR101904067B1 (ko) 이송시스템
CN109424305B (zh) 防火卷帘
CN215206823U (zh) 一种物品过渡输送设备
JP2001233427A (ja) 支持搬送装置
CN113335894A (zh) 输送设备
CN207001598U (zh) 一种皮带运输系统急停保护装置
US4540083A (en) Unlatch assembly for a conveyor system
CA1285237C (en) Apparatus for actuating a breakaway conveyor section
CN209777574U (zh) 一种翻转链条输送机
JP2668650B2 (ja) 防火区画貫通コンベア
US11753251B1 (en) Conveyor end drive with weighted take-up roller
JPS6243933Y2 (ko)
JP6423973B1 (ja) 搬送物引掛かり除去装置
JP2000007144A (ja) ワークの落下防止方法および落下防止装置
JPS6037012B2 (ja) 画壁開口部における防火性能を有する中継コンベ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