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637B1 -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637B1
KR101858637B1 KR1020150148537A KR20150148537A KR101858637B1 KR 101858637 B1 KR101858637 B1 KR 101858637B1 KR 1020150148537 A KR1020150148537 A KR 1020150148537A KR 20150148537 A KR20150148537 A KR 20150148537A KR 101858637 B1 KR101858637 B1 KR 101858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argo
transfer
load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888A (ko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6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65G47/644Switching conveyors by a pivoting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 B65G47/645Switching conveyors by a pivoting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about a horizontal axis
    • B65G47/647Switching conveyors by a pivoting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about a horizontal axis th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2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successively by a series of conveyors
    • B65G2812/014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successively by a series of conveyors with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11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다수의 적재컨베이어(130,180)와,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달수단(150)을 포함한다. 상기 전달수단(150)은 상기 다수의 적재컨베이어(130,180)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적재컨베이어(130,180) 사이에서 회전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에 설치된 적재컨베이어(130,180)의 화물을 상대적으로 하부에 설치된 적재컨베이어(130,180) 측으로 전달하며 화물을 전달한 후에 원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달수단(150)이 회전하면서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적재컨베이어(130,180) 사이에 화물을 전달하고, 화물을 전달한 후에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화물을 연속적으로 전달하므로, 다수 층의 적재컨베이어(130,180)에 다수의 화물을 순차적으로 적재할 수 있어 이송장치(100)의 적재성능이 향상되고, 이러한 적재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Auto loading type transferring apparatus for freight and transferring system using this}
본 발명은 화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이 자동으로 적재되는 이송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서로 이격된 장소 사이에서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화물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내부나 물류센터와 같이 내부에서 화물이 이송되는 장소에서는 이송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이송장치는 서로 이격된 두 장소 사이에서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여 적재물을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장치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컨베이어장치 등을 이용하는데, 이송장치에는 다수의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
이송장치에 다수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동 적재하거나 컨베이어장치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는데, 보다 많은 수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이송장치 내부에서 서로 층을 달리하여 화물을 적재할 수도 있다. 즉, 화물이 다수층을 이루면서 하나의 이송장치 내부에 적재된 후에, 이송장치가 이동하여 이들 다수의 화물을 내림으로써,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화물을 이송장치에 다수의 층으로 적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화물을 일일이 층을 달리하여 적재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화물을 자동으로 적재하기 위해서는 화물을 적재(공급)하는 측 역시 다수층으로 구성함으로써 화물이 높이를 달리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001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화물이 자동으로 높이를 달리하여 이송장치 내부에 적재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장치의 회전수단이 별도의 구동원 없이 중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화물을 높이를 달리하여 적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다수의 적재컨베이어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적재컨베이어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적재컨베이어 사이에서 회전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에 설치된 적재컨베이어의 화물을 상대적으로 하부에 설치된 적재컨베이어 측으로 전달하며 화물을 전달한 후에 원위치로 복귀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화물이 안착되고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전달몸체와, 상기 전달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달몸체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달몸체의 일단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적재컨베이어를 향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달수단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전달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전달수단을 회전시키는 중량블록이고, 상기 적재컨베이어는 상기 전달수단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화물을 공급받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제1컨베이어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전달수단을 향해 상향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일단 또는 제2컨베이어의 일단에 이웃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전달수단 사이에는 적재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스토퍼는 상기 전달수단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전달수단 사이를 선택적으로 가로막아 화물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적재스토퍼는 스토퍼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에 돌출되어 제1컨베이어의 일단을 선택적으로 가로막는 스토퍼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전달수단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간섭되어 연동되도록 하는 연동돌기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상기 중량블록은 상기 전달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추가블록을 결합하여 총 중량이 가변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는 이동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화물을 공급하거나 화물을 수취하는 하역컨베이어와, 상기 하역컨베이어로부터 공급받은 화물을 적재하고 이동하여 상기 화물을 다른 하역컨베이어에 전달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다수의 적재컨베이어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적재컨베이어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적재컨베이어 사이에서 회전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에 설치된 적재컨베이어의 화물을 상대적으로 하부에 설치된 적재컨베이어 측으로 전달하며 화물을 전달한 후에 원위치로 복귀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화물이 안착되고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전달몸체와, 상기 전달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달몸체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달몸체의 일단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적재컨베이어를 향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달수단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전달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전달수단을 회전시키는 중량블록이고, 상기 적재컨베이어는 상기 전달수단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화물을 공급받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제1컨베이어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전달수단을 향해 상향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일단 또는 제2컨베이어의 일단에 이웃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전달수단 사이에는 적재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스토퍼는 상기 전달수단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전달수단 사이를 선택적으로 가로막아 화물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적재스토퍼는 스토퍼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에 돌출되어 제1컨베이어의 일단을 선택적으로 가로막는 스토퍼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전달수단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간섭되어 연동되도록 하는 연동돌기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하역컨베이어는 화물을 상기 이송장치의 제1컨베이어로 공급하는 공급레이어와, 상기 이송장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1컨베이어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제2컨베이어로부터 화물을 전달받는 배출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레이어 및 배출레이어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장치와 상기 하역컨베이어 사이에는 하역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하역스토퍼는 상기 이송장치 및 하역컨베이어의 상대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이송장치와 하역컨베이어 사이를 선택적으로 가로막아 화물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적재컨베이어 및 전달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각각 두 개가 쌍을 이루어 구비되어, 상기 공급레이어로부터 서로 다른 종류의 화물을 각각 공급받고, 상기 배출레이어로 서로 다른 종류의 화물을 각각 전달하는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달수단이 회전하면서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적재컨베이어 사이에 화물을 전달하고, 화물을 전달한 후에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화물을 연속적으로 전달하므로, 다수 층의 적재컨베이어에 다수의 화물을 순차적으로 적재할 수 있어 이송장치의 적재성능이 향상되고, 이러한 적재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달수단 상에 화물이 안착되면 화물의 무게에 의해 전달수단이 회전되고, 화물이 이동되면 전달수단에 구비된 중량블록이 무게에 의해 전달수단이 자연스럽게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모터와 같은 구동원이나 화물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센서 등 별도의 구성이 없더라도 화물을 자동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장치의 적재 매커니즘이 간단해지고 고장률이 낮아지며 제조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송장치와 하역컨베이어 사이의 연동에 의해 둘 사이에 설치된 스토퍼가 자동으로 개폐되면서 화물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화물의 이동을 제어할 필요 없이, 화물의 하역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송장치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컨베이어 측으로 내보내는 과정에서도 전달수단이 회전하면서 상부의 적재컨베이어의 화물을 하부의 적재컨베이어 측으로 전달하면서 화물의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과정 역시 전달수단이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와 하역컨베이어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에 구비된 적재스토퍼의 일실시례가 작동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에 화물이 자동으로 적재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로부터 하역컨베이어 측으로 화물이 배출되는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화물을 적재하고 이송하기 위한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100, 이하 '이송장치'라 한다)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물 이송시스템은 화물(P1,P2)을 적재하고 이를 이동시키는 이송장치(100)와, 이송장치(100)에 화물(P0)을 공급하거나 또는 화물(P3)을 전달받는 하역컨베이어(10)를 포함한다.
참고로, 이해의 편의를 위해 화물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기로 한다. 이송장치(100)로 공급되기에 앞서 하역컨베이어(10) 측에 위치한 화물에는 P0, 이송장치(100)의 제1컨베이어(130)에 전달된 화물에는 P1, 전달수단(150)에 의해 제2컨베이어(180)에 전달된 화물에는 P2, 다시 하역컨베이어(10)에 배출된 화물에는 P3의 도면부호를 각각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먼저 하역컨베이어(10)에 대해 설명하면,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하역컨베이어(10)는 컨베이어프레임(11)에 공급레이어(15)와 배출레이어(18)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레이어(15)는 화물(P0)을 후술할 이송장치(100)의 제1컨베이어(13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컨베이어프레임(11)의 상대적으로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배출레이어(18)는 이송장치(100)로부터 화물(P3)을 전달받는 부분으로, 공급레이어(15)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공급레이어(15) 및 배출레이어(18)는 롤러컨베이어로 구성되거나 또는 벨트컨베이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공급레이어(15) 및 배출레이어(18)는 모두 롤러컨베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공급레이어(15)는 이송장치(100)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구비되고 배출레이어(18)는 상향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공급레이어(15)의 후단에는 외부로부터 화물(P0)을 공급받기 위한 연결부(13)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공급레이어(15) 및 배출레이어(18)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일체로 구성된다. 즉 하나의 하역컨베이어(10)가 화물(P0)을 이송장치(100)로 공급하거나 또는 이송장치(100)로부터 화물(P3)을 전달받는 역할을 모두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공급레이어(15)와 배출레이어(18)가 별개로 구성되거나, 화물의 공급과 수취역할을 각각 별개로 수행하는 하역컨베이어(10)가 종류를 달리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급레이어(15)의 일단에는 하역스토퍼(S1)가 구비된다. 상기 하역스토퍼(S1)는 공급레이어(15)로부터 이송장치(100) 측으로 화물(P0)이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하역스토퍼(S1)는 (i) 이송장치(100)가 상기 하역컨베이어(10) 측으로 이동하여 서로 밀착되는 과정에서 작동하여 화물(P0)이 이송장치(10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ii) 다시 이송장치(100)와 하역컨베이어(10)가 서로 멀어지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 공급레이어(15)의 화물(P0)이 외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가로막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역스토퍼(S1)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이송장치(100)에는 상기 이송장치(100)에는 제1가동부(O1)가 구비된다. 상기 제1가동부(O1)는 상기 이송장치(100)와 상기 하역컨베이어(10)가 밀착되면 상기 하역컨베이어(10)의 공급레이어(15)에 구비된 하역스토퍼(S1)를 회전시켜 상기 하역스토퍼(S1)가 상기 하역컨베이어(10)와 이송장치(100)를 가로막은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송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송장치(100)는 상기 하역컨베이어(10)로부터 공급받은 화물(P1,P2)을 싣고 이동하여 다른 위치에 화물(P1,P2)을 배출하거나 또는 다른 하역컨베이어(10)에 화물(P1,P2)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장치(100)의 내부에는 화물(P1,P2)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고, 또한 화물(P1,P2)을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적재하기 위한 전달수단(15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이송장치(100)는 메인프레임(110)이 그 형상 및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10)에는 적재컨베이어(130,180)가 설치된다. 상기 적재컨베이어(130,180)는 상기 하역컨베이어(10)로부터 화물(P1,P2)을 전달받고, 또한 다시 하역컨베이어(10)로 화물(P1,P2)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적재컨베이어(130,180)는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개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적재컨베이어(130,180)는 제1컨베이어(130) 및 제2컨베이어(180)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1컨베이어(130)는 후술할 전달수단(150)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화물(P1)을 공급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130)는 롤러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고, 이송장치(100)가 상기 하역컨베이어(10)와 밀착되면 그 일단이 하역컨베이어(10)의 공급레이어(15)와 이웃하게 된다.
상기 제2컨베이어(180)는 상기 제1컨베이어(130)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P2)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컨베이어(180)는 전달수단(150)을 향해 상향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마찬가지로 롤러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베이어(180)는 이송장치(100)가 상기 하역컨베이어(10)와 밀착되면 그 일단이 하역컨베이어(10)의 배출레이어(18)와 이웃하게 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130) 및 제2컨베이어(180) 사이에는 전달수단(150)이 구비된다. 상기 전달수단(150)은 회전을 통해 그 일단이 제1컨베이어(130) 또는 제2컨베이어(180)와 선택적으로 이웃하게 위치됨으로써 화물(P1)을 제1컨베이어(130)로부터 제2컨베이어(18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달수단(150)의 회전은 별도의 구동원 없이 구동부(160)에 의해 이루어지며, 화물(P1)을 전달한 후에 원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화물(P1)을 전달할 준비를 한다.
상기 전달수단(150)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달수단(150)에는 화물(P1)이 안착되고 고정된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전달몸체(155)가 구비된다. 상기 전달몸체(155)는 일종의 컨베이어로서, 본 실시례에서는 롤러컨베이어이다. 상기 전달몸체(155)의 상부에는 상기 제1컨베이어(130)로부터 전달된 화물(P1)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몸체(155)는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일단이 제1컨베이어(130) 또는 제2컨베이어(180)의 일단과 이웃함으로써 화물(P1)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전달몸체(155)의 회전을 위해 상기 전달몸체(155)의 일측에는 구동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160)는 상기 전달몸체(155)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달몸체(155)에 화물(P1)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달몸체(155)의 일단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제1컨베이어(130)를 향하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구동부(160)는 상기 전달몸체(155)의 후방에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전달수단(150)을 회전시키는 중량블록이다.
즉, 상기 구동부(160)는 중량블록에 작용하는 중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만일 전달몸체(155) 상에 화물(P1)이 적재되지 않으면 중량블록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전달수단(150)이 회전하여 도 2 및 도 3의 실선과 같은 상태가 되고, 화물(P1)이 안착되면 화물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도 2 및 도 3의 점선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160)는 회전축(X)을 중심으로 전달수단(150)의 후방에 설치되고, 전달수단(150)의 전방에는 화물(P1)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중량블록의 무게는 화물(P1)의 무게보다 가볍지만, 회전축(X)을 중심으로 전달수단(150) 전방에 해당하는 전달몸체(155)의 무게보다는 무겁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달수단(150)에 화물(P1)이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달수단(150)의 일단이 자엽스럽게 제1컨베이어(130)를 향하게 되고, 화물(P1)이 안착되면 회전하여 제2컨베이어(180)를 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중량블록은 상기 전달수단(15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추가블록을 결합하여 총 중량이 가변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전달수단(150)에 안착되는 화물(P1)의 중량에 따라 중량블록의 무게를 달리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화물(P1)을 이송하는데 이송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구동부(160)는 중량블록이 아니라, 탄성부재 또는 외부와 연결된 체인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상기 전달수단(150) 사이에는 적재스토퍼(S2)가 구비된다. 상기 적재스토퍼(S2)는 상기 전달수단(15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130)와 상기 전달수단(150) 사이를 선택적으로 가로막아 화물(P1)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i) 상기 전달수단(150)이 회전하여 제2컨베이어(180)를 향한 상태에서는 상기 적재스토퍼(S2)가 돌출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130)의 화물(P1)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하고, (ii) 상기 전달수단(150)이 복귀하여 제1컨베이어(130)를 향한 상태에서는 상기 적재스토퍼(S2)가 다시 회전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130)의 화물(P1)이 전달수단(150)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적재스토퍼(S2)는 제1컨베이어(130)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전달수단(150)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스토핑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적재스토퍼(S2)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5에는 그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적재스토퍼(S2)는 스토퍼축(17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몸체(170)와, 상기 회전몸체(170)에 구비되어 스토핑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몸체(17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170)에는 연동돌기(178)가 돌출되어 전달수단(15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연동돌기(178)와 간섭됨으로써 회전몸체(170)가 스토퍼축(172)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몸체(170) 및 스토퍼몸체(175)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1컨베이어(130)에 적재된 화물(P1)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게 된다. 물론 상기 연동돌기(178)는 전달수단(150)에 구비된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연동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적재컨베이어(130,180) 및 전달수단(15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각각 두 개가 쌍을 이루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적재컨베이어(130,180) 및 전달수단(150)은 상기 이송장치(100)의 적재컨베이어(130,180)와 전달수단(150)이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인데, 구분을 위해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한 적재컨베이어(130',180') 및 전달수단(150')은 별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상 좌측에 위치한 적재컨베이어(130',180') 및 전달수단(150')을 추가이송장치(100')라 하였을 때, 추가이송장치(100')는 상기 공급레이어(15)로부터 앞서 설명한 이송장치(100)와는 서로 다른 종류의 화물(P0)을 각각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장치(100)와 추가이송장치(100')는 상기 배출레이어(18)로 서로 다른 종류의 화물(P0)을 각각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송장치(100)에는 박스 내부에 제품이 포함된 화물(P0)을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면, 추가이송장치(100')는 내부에 제품이 포함되지 않은 빈 박스 상태의 화물(P0)을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이송장치(100)가 하역컨베이어(10)의 배출레이어(18)로 제품이 포함된 화물(P3)을 전달함과 동시에, 추가이송장치(100')는 공급레이어(15)로부터 제품이 포함되지 않은 빈 박스 상태의 화물(P0)을 공급받음으로써 작업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이동수단(120)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수단(120)은 바퀴와, 상기 바퀴를 작동시키는 모터 등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120)을 통해 이송장치(100)가 서로 이격된 장소 사이를 이동하면서 화물(P1,P2)을 전달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도 3 및 도 4에는 이동수단(120)이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에는 배출스토퍼(S3)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스토퍼(S3)는 상기 제2컨베이어(180)에 적재된 화물(P2)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가로 막는 구조물로,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제2컨베이어(180)의 일단에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배출스토퍼(S3)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역컨베이어(10)에 구비된 제2가동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배출스토퍼(S3)가 회전됨으로써 제2컨베이어(180)에 적재된 화물(P2)을 가로막은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P는 배출스토퍼(S3)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돌기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에 화물이 적재 및 배출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0에는 화물이 이송장치(100)에 적재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이송장치(100)가 하역컨베이어(10)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착된다. 이때 하역컨베이어(10)의 공급레이어(15)에는 다수의 화물(P0)이 존재하는 상태이고, 공급레이어(15) 일단에 위치한 하역스토퍼(S1)가 이들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고 있다.
이송장치(100)가 하역컨베이어(10)와 밀착되면 상기 하역컨베이어(10)의 하역스토퍼(S1)가 상기 이송장치(100)에 구비된 제1가동부(O1)에 의해 작동하여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레이어(15)에 위치한 화물(P0)이 경사를 따라 이동하여 이송장치(100)의 제1컨베이어(130)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화물(P1)이 제1컨베이어(130)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제1컨베이어(130)에 이웃한 전달수단(150) 방향으로 화물(P1)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달수단(150)은 구동부(160)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회전하여 그 일단이 제1컨베이어(130)를 향해 이동된 상태이므로 화물(P1)이 자연스럽게 전달수단(150)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화물(P1)이 전달수단(150) 상에 위치하면, 화물(P1)의 중력에 의해 상기 전달수단(150)은 회전된다. 즉, 화물(P1)의 무게가 구동부(160)의 무게 보다 크므로 상기 전달수단(150)이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전달수단(150)이 회전되면 상기 전달수단(150)의 일단은 제2컨베이어(180)를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달수단(150) 상의 화물(P2)은 다시 자연스럽게 제2컨베이어(180)로 이동하고, 화물(P2)의 중력이 제거된 전달수단(150)에는 다시 구동부(160)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제1컨베이어(130)로부터 다음 화물(P1)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 도 10과 같이 제1컨베이어(130) 및 제2컨베이어(180)에는 다수의 화물(P1,P2)이 적재된다.
한편, 상기 전달수단(15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컨베이어(130)의 적재스토퍼(S2)가 작동하여, 화물(P1)을 전달수단(150)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9와 같이 상기 전달수단(150)이 회전하여 제2컨베이어(180)를 향한 상태에서는 상기 적재스토퍼(S2)가 돌출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130)의 화물(P1)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하고, (ii) 상기 전달수단(150)이 복귀하여 제1컨베이어(130)를 향한 상태에서는 상기 적재스토퍼(S2)가 다시 회전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130)의 화물(P1)이 전달수단(150)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도 7참조)
보다 정확하게는, 도 5(a)에서 보듯이, 전달수단(150)이 하방(화살표①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연동돌기(178)와 간섭되면, 상기 회전몸체(170)는 시계방향(화살표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스토퍼몸체(175)가 상방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몸체(175)가 상기 제1컨베이어(130)의 화물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b)에서 보듯이, 다시 전달수단(150)이 구동부(160)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상방(화살표①'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연동돌기(178)와 간섭되면, 상기 회전몸체(170)는 반시계방향(화살표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스토퍼몸체(175)가 상방으로 눕혀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스토퍼몸체(175)가 상기 제1컨베이어(130)의 화물(P1)을 가로막은 상태가 해제되고, 화물DL 전달수단(15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기나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별도의 구동원 없이, 전달수단(150)이 중력에 의해 작동되고 그 과정에서 적재스토퍼(S2)가 연동되어 작동하게 된다.
상기 화물이 적재된 이송장치(100)는 이동하여 다른 하역컨베이어(10)로 이동한다. 그리고 하역컨베이어(10)에 화물(P1,P2)을 배출한 후에 다시 복귀하여 같은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다수의 화물(P1,P2)을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역컨베이어(10)에 구비된 제2가동부에 의해 상기 배출스토퍼(S3)가 회전됨으로써 제2컨베이어(180)에 적재된 화물(P2)을 가로막은 상태가 해제되고, 제2컨베이어(180)의 화물(P2)이 하역컨베이어(10)의 배출레이어(18)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1에는 화물(P3)을 배출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하역컨베이어(10)에는 공급레이어(15) 없이 배출컨베이어(30)만 구비될 수도 있다. 배출컨베이어(30)에는 프레임(31)에 배출레일(33)이 구비되어 전달받은 화물(P3)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100)에 설치된 전달수단(150)과 적재컨베이어(130,180)가 두 쌍으로 구성되어, 이송장치(100)가 박스 내부에 제품이 포함된 화물(P1,P2)을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면, 추가이송장치(100')는 내부에 제품이 포함되지 않은 빈 박스 상태의 화물(P1,P2)을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이송장치(100)가 하역컨베이어(10)의 배출레이어(18)로 제품이 포함된 화물(P1,P2)을 전달함과 동시에, 추가이송장치(100')는 공급레이어(15)로부터 제품이 포함되지 않은 빈 박스 상태의 화물(P1,P2)을 공급받음으로써 작업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적재컨베이어(130,180)와 전달수단(15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에 높이를 달리하면서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2에서 보듯이, 하나의 이송장치(100)에 제1컨베이어(130), 제2컨베이어(180), 제3컨베이어(230) 및 제4컨베이어(280)가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 총 3개의 전달수단(150A~150C)이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10: 하역컨베이어 15: 공급레이어
18: 배출레이어 100: 이송장치
110: 메인프레임 120: 이동수단
130: 제1컨베이어 150: 전달수단
160: 구동부 180: 제2컨베이어
P0~P3: 화물 S1: 하역스토퍼
S2: 적재스토퍼 S3: 배출스토퍼

Claims (15)

  1.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다수의 적재컨베이어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적재컨베이어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적재컨베이어 사이에서 회전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에 설치된 적재컨베이어의 화물을 상대적으로 하부에 설치된 적재컨베이어 측으로 전달하며 화물을 전달한 후에 원위치로 복귀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화물이 안착되고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전달몸체와,
    상기 전달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달몸체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달몸체의 일단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적재컨베이어를 향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달수단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전달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전달수단을 회전시키는 중량블록이고,
    상기 적재컨베이어는
    상기 전달수단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화물을 공급받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제1컨베이어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전달수단을 향해 상향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일단 또는 제2컨베이어의 일단에 이웃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전달수단 사이에는 적재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스토퍼는 상기 전달수단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전달수단 사이를 선택적으로 가로막아 화물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적재스토퍼는
    스토퍼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에 돌출되어 제1컨베이어의 일단을 선택적으로 가로막는 스토퍼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전달수단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간섭되어 연동되도록 하는 연동돌기를 포함하는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블록은 상기 전달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추가블록을 결합하여 총 중량이 가변가능한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는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
  9. 화물을 공급하거나 화물을 수취하는 하역컨베이어와,
    상기 하역컨베이어로부터 공급받은 화물을 적재하고 이동하여 상기 화물을 다른 하역컨베이어에 전달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다수의 적재컨베이어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적재컨베이어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적재컨베이어 사이에서 회전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에 설치된 적재컨베이어의 화물을 상대적으로 하부에 설치된 적재컨베이어 측으로 전달하며 화물을 전달한 후에 원위치로 복귀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화물이 안착되고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전달몸체와,
    상기 전달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달몸체에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달몸체의 일단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적재컨베이어를 향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달수단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전달몸체의 후방에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전달수단을 회전시키는 중량블록이고,
    상기 적재컨베이어는
    상기 전달수단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화물을 공급받는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제1컨베이어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전달수단을 향해 상향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수단은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일단 또는 제2컨베이어의 일단에 이웃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전달수단 사이에는 적재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스토퍼는 상기 전달수단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와 상기 전달수단 사이를 선택적으로 가로막아 화물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적재스토퍼는
    스토퍼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에 돌출되어 제1컨베이어의 일단을 선택적으로 가로막는 스토퍼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전달수단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간섭되어 연동되도록 하는 연동돌기를 포함하는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컨베이어는
    화물을 상기 이송장치의 제1컨베이어로 공급하는 공급레이어와,
    상기 이송장치에 설치되되 상기 제1컨베이어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제2컨베이어로부터 화물을 전달받는 배출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레이어 및 배출레이어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일체로 구성되는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와 상기 하역컨베이어 사이에는 하역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하역스토퍼는 상기 이송장치 및 하역컨베이어의 상대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이송장치와 하역컨베이어 사이를 선택적으로 가로막아 화물의 이동을 제한하는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에는 가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장치와 상기 하역컨베이어가 밀착되면 상기 가동부는 상기 하역컨베이어의 공급레이어에 구비된 하역스토퍼를 회전시켜 상기 하역스토퍼가 상기 하역컨베이어와 이송장치를 가로막은 상태가 해제되는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컨베이어 및 전달수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에 각각 두 개가 쌍을 이루어 구비되어, 상기 공급레이어로부터 서로 다른 종류의 화물을 각각 공급받고, 상기 배출레이어로 서로 다른 종류의 화물을 각각 전달하는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
  14. 삭제
  15.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블록은 상기 전달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추가블록을 결합하여 총 중량이 가변가능한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











KR1020150148537A 2015-10-26 2015-10-26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 KR101858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537A KR101858637B1 (ko) 2015-10-26 2015-10-26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537A KR101858637B1 (ko) 2015-10-26 2015-10-26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888A KR20170047888A (ko) 2017-05-08
KR101858637B1 true KR101858637B1 (ko) 2018-05-17

Family

ID=6016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537A KR101858637B1 (ko) 2015-10-26 2015-10-26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6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516B1 (ko) 2018-04-25 2020-01-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물류이송 케이블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KR102124388B1 (ko) 2018-04-25 2020-06-1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케이블 견인 도르래를 갖는 물류이송 케이블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5820A (ja) 2003-05-23 2004-12-09 Yazaki Ind Chem Co Ltd 重力式流動棚装置
JP2006016190A (ja) * 2004-07-05 2006-01-19 Sekisui Jushi Co Ltd 物流用棚装置
KR100954318B1 (ko) * 2008-01-10 2010-04-21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부품 상자 적재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5820A (ja) 2003-05-23 2004-12-09 Yazaki Ind Chem Co Ltd 重力式流動棚装置
JP2006016190A (ja) * 2004-07-05 2006-01-19 Sekisui Jushi Co Ltd 物流用棚装置
KR100954318B1 (ko) * 2008-01-10 2010-04-21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부품 상자 적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888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82655A1 (en) Pickface builder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US9975699B2 (en) Method of order fulfilling by preparing storage units at a picking station
US9371183B2 (en) Multilevel vertical conveyor platform guides
US20210395015A1 (en) Storage arrangement and picking system having improved loading and retrieval of loaded item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09941717B (zh) 运送装置的储存部以及用于临时储存物品的方法
CN105164035B (zh) 装载托盘的设备及方法
KR101935015B1 (ko) 저장을 위한 상품 유니트들의 그룹을 만들기 위한 장치
US20120282068A1 (en) Shelf storage system
CN110817303B (zh) 用于输送货物物品的输送机系统
CA2840810C (en) Station for loading and unloading workpiece-carrying containers
KR101521777B1 (ko) 고속 화물 열차의 상,하역 컨베이어 시스템
EP3313760B1 (en) Storage device for ceramic products and the like
KR101697657B1 (ko) 자동 화물 시스템
KR101858637B1 (ko) 자동적재형 화물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시스템
CN110239966A (zh) 一种紧凑型装卸货移动机器人及装货和卸货方法
CN109071122B (zh) 用于装载货物空间的设备
KR101175786B1 (ko) 연속식언로더
JP5671910B2 (ja) 積込装置および積込システム
CN210418002U (zh) 一种多进单出式连续提升机
CN104853602B (zh) 将肉禽装入板条箱的装载设备
CN103068700B (zh) 高速存储器
KR101801818B1 (ko) 링크 부재로 다중 연결되는 파렛트
CN114630797B (zh) 棒材进料装置和方法
JP7414039B2 (ja) 中継シュート、バラ物搬送設備、及びバラ物搬送方法
KR101951802B1 (ko) 제품 분류형 케이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