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0888B1 -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0888B1
KR102560888B1 KR1020177021672A KR20177021672A KR102560888B1 KR 102560888 B1 KR102560888 B1 KR 102560888B1 KR 1020177021672 A KR1020177021672 A KR 1020177021672A KR 20177021672 A KR20177021672 A KR 20177021672A KR 102560888 B1 KR102560888 B1 KR 102560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minated glass
interlayer film
interlayer
thermal con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5050A (ko
Inventor
다쯔야 이와모또
나미 미나꾸찌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5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1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particles for purposes other than dyeing
    • B32B17/10633Infrared radiation absorbing or reflec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8Heat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Landscapes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Abstract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1층의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층의 연화점이 60℃ 이상이고, 중간막은, MD 방향과 TD 방향을 갖고, 제1 내측 부분, 제2 내측 부분 및 중앙 부분을 각각 80℃에서 2분간 가열했을 때의 열 수축률에 관하여, 열 수축률 MD1MAX, 열 수축률 MD2MAX 및 열 수축률 MD3MAX의 전부가, 18% 이하이다.

Description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본 발명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접합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서 파손되어도 유리 파편의 비산량이 적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는, 1층의 구조를 갖는 단층의 중간막과,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 있다.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아세탈화도가 60 내지 85몰%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의 적어도 1종의 금속염 0.001 내지 1.0중량부와,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차음층이 개시되어 있다. 이 차음층은, 단층으로 중간막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상기 차음층과 다른 층이 적층된 다층의 중간막도 기재되어 있다. 차음층에 적층되는 다른층은, 아세탈화도가 60 내지 85몰%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의 적어도 1종의 금속염 0.001 내지 1.0중량부와, 30중량부 이하인 가소제를 포함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33℃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중합체층인 중간막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3에는, 폭 방향의 두께 분포가 10% 이하, 휘발분이 1.0질량% 이하인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이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필름에서는,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필름 전체 폭의 5% 내측 부분에 대해서, 각각 150℃에서 30분 가열했을 때, 필름에 평행하고 또한 폭 방향으로 수직인 흐름 방향의 열 수축률이 큰 쪽의 값을 열 수축률 MD1, 다른 한쪽의 값을 열 수축률 MD2로 하고, 필름의 폭 방향의 중앙 부분을 150℃에서 30분 가열했을 때의 필름에 평행하고 또한 폭 방향에 수직인 흐름 방향의 열 수축률을 열 수축률 MD3으로 했을 경우에, 열 수축률 MD1, 열 수축률 MD2 및 열 수축률 MD3 모두 3 내지 20%이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7-070200호 공보 US 2013/0236711 A1 WO 2012/133668 A1
예비 압착 시(니퍼 롤, 진공백)에, 연화점이 높은 중간막은, 상대적으로 연화점이 낮은 중간막에 비해, 바로 수축이 시작된다는 문제가 있다. 접합 유리를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우선, 중간막이 2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적층된 적층체를 예비 압착하는 공정이 있다. 니퍼 롤법에서는,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적층체에 압력을 가하고, 가열하고, 예비 압착한다. 진공백법에서는, 적층체가 설치된 백 내로부터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적층체에 압력을 가하고, 가열하고, 예비 압착한다.
그러나, 연화점이 높은 중간막이 2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적층된 적층체를 예비 압착하고, 접합 유리를 연속 생산하면, 얻어지는 접합 유리의 표면이나 단부에 고형물이 부착된다는 과제를, 본 발명자들은 알아내었다. 또한, 연화점이 높은 중간막이 2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적층된 적층체를 예비 압착하면, 롤의 표면이나 백의 내부에 중간막의 일부가 부착된다는 과제를, 본 발명자들은 알아내었다.
롤의 표면이나 백의 내부에 중간막의 일부가 부착된 후에 접합 유리를 연속 생산하면, 접합 유리의 표면이나 단부에, 고형물인 중간막의 일부가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적층체는, 중간막이 유리판의 단부로부터 비어져 나오도록(트림되도록) 적층되고, 2개의 유리판의 단부가 일치하도록 적층되어 있다(도 6의 (a)). 그러나, 중간막의 연화점이 높은 경우, 예비 압착 공정에 있어서 가열된 중간막이 수축함으로써, 트림 부분이 수축하여, 적층체에 있어서의 2개의 유리판의 단부가 어긋난다(도 6의 (b) 참조). 어긋난 단부에서는, 접합 유리의 두께 방향으로 중간막이 수축하면서 변형된다. 이 결과, 적층체를 예비 압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변형된 중간막의 선단이, 롤의 표면이나 백의 내부에 접촉함으로써, 롤의 표면이나 백의 내부에 중간막의 일부가 고형물로서 부착된다. 이 문제는 특히, 유리판의 두께가 얇은(예를 들어, 1.8㎜ 이하) 경우에 확인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따르면, 1층의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층의 연화점이 60℃ 이상이고, 중간막은, MD 방향과 TD 방향을 갖고, 하기의 제1 내측 부분, 하기의 제2 내측 부분 및 하기의 중앙 부분을 각각 80℃에서 2분간 가열했을 때의 열 수축률에 관하여, 하기의 열 수축률 MD1MAX, 하기의 열 수축률 MD2MAX 및 하기의 열 수축률 MD3MAX의 전부가, 18%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제공된다.
제1 내측 부분: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X로 했을 때,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0.05X의 거리 부분인 5㎝ 정사각형의 부분을 나타낸다.
제2 내측 부분: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X로 했을 때, 중간막의 TD 방향의 타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0.05X의 거리 부분인 5㎝ 정사각형의 부분을 나타낸다.
중앙 부분: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X로 했을 때,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각각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0.5X의 거리 부분인 5㎝ 정사각형의 부분을 나타낸다.
열 수축률 MD1MAX 및 열 수축률 MD1MIN: 제1 내측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상이한 경우에는, 열 수축률이 높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1MAX, 열 수축률이 낮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1MIN으로 하고, 제1 내측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동일한 경우에는, 한쪽의 열 수축률을 MD1MAX로 하고, 다른 쪽의 열 수축률을 MD1MIN으로 한다.
열 수축률 MD2MAX 및 열 수축률 MD2MIN: 제2 내측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상이한 경우에는, 열 수축률이 높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2MAX, 열 수축률이 낮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2MIN으로 하고, 제2 내측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동일한 경우에는, 한쪽의 열 수축률을 MD2MAX로 하고, 다른 쪽의 열 수축률을 MD2MIN으로 한다.
열 수축률 MD3MAX 및 열 수축률 MD3MIN: 중앙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상이한 경우에는, 열 수축률이 높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3MAX, 열 수축률이 낮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3MIN으로 하고, 중앙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동일한 경우에는, 한쪽의 열 수축률을 MD3MAX로 하고, 다른 쪽의 열 수축률을 MD3MIN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떤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의 연화점이 61.5℃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떤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떤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1층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떤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며,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떤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9.5몰% 이상 많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떤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2층이 필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떤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3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측의 제2 표면측에, 상기 제3층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떤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며,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33몰%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떤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층이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25중량부 이상, 35중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떤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열 수축률 MD1MAX, 상기 열 수축률 MD2MAX 및 상기 열 수축률 MD3MAX의 전부가, 16%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떤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열 수축률 MD1MIN, 상기 열 수축률 MD2MIN 및 상기 열 수축률 MD3MIN의 전부가, 4% 이상이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따르면,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전술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사이에,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1층의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층의 연화점이 60℃ 이상이고, 중간막은, MD 방향과 TD 방향을 갖고, 상기 제1 내측 부분, 상기 제2 내측 부분 및 상기 중앙 부분을 각각 80℃에서 2분간 가열했을 때의 열 수축률에 관하여, 상기 열 수축률 MD1MAX, 상기 열 수축률 MD2MAX 및 상기 열 수축률 MD3MAX의 전부가, 18% 이하이므로,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열 수축률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대상물(중간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접합 유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2개의 유리판의 단부가 정렬된 경우와, 2개의 유리판의 단부가 어긋난 경우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간막」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은, 1층의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서는, 상기 제1층의 연화점이 60℃ 이상이다. 제1층은 비교적 단단하다. 이와 같은 제1층을 구비하는 중간막은 비교적 단단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은, MD 방향과 TD 방향을 갖는다. 중간막은, 예를 들어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MD 방향은, 중간막의 제조 시의 중간막의 흐름 방향이다. TD 방향은, 중간막의 제조 시의 중간막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또한 중간막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서는, 하기의 제1 내측 부분, 하기의 제2 내측 부분 및 하기의 중앙 부분을 각각 80℃에서 2분간 가열했을 때의 열 수축률에 관하여, 하기의 열 수축률 MD1MAX, 하기의 열 수축률 MD2MAX 및 하기의 열 수축률 MD3MAX의 전부가, 18% 이하이다.
제1 내측 부분: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X로 했을 때,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0.05X의 거리 부분(0.05X 떨어진 부분)인 5㎝ 정사각형의 부분을 나타낸다.
제2 내측 부분: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X로 했을 때, 중간막의 TD 방향의 타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0.05X의 거리 부분(0.05X 떨어진 부분)인 5㎝ 정사각형의 부분을 나타낸다.
중앙 부분: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X로 했을 때,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각각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0.5X의 거리 부분(0.5X 떨어진 부분)인 5㎝ 정사각형의 부분을 나타낸다.
열 수축률 MD1MAX 및 열 수축률 MD1MIN: 제1 내측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상이한 경우에는, 열 수축률이 높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1MAX, 열 수축률이 낮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1MIN으로 하고, 제1 내측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동일한 경우에는, 한쪽의 열 수축률을 MD1MAX로 하고, 다른 쪽의 열 수축률을 MD1MIN으로 한다.
열 수축률 MD2MAX 및 열 수축률 MD2MIN: 제2 내측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상이한 경우에는, 열 수축률이 높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2MAX, 열 수축률이 낮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2MIN으로 하고, 제2 내측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동일한 경우에는, 한쪽의 열 수축률을 MD2MAX로 하고, 다른 쪽의 열 수축률을 MD2MIN으로 한다.
열 수축률 MD3MAX 및 열 수축률 MD3MIN: 중앙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상이한 경우에는, 열 수축률이 높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3MAX, 열 수축률이 낮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3MIN으로 하고, 중앙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동일한 경우에는, 한쪽의 열 수축률을 MD3MAX로 하고, 다른 쪽의 열 수축률을 MD3MIN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 있어서의 전술한 구성의 채용에 의해,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서는, 연화점이 60℃ 이상인 제1층이 존재하는데도 불구하고, 니퍼 롤법 및 진공백법에 있어서의 예비 압착 공정에 있어서,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과 제2 접합 유리 부재와의 적층체에 있어서의 2개의 접합 유리 부재의 단부가 어긋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예비 압착 공정에 있어서, 롤의 표면이나 백의 내부에 중간막의 일부가 부착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서는, 접합 유리 부재의 두께가 얇아도, 예비 압착 공정에 있어서, 롤의 표면이나 백의 내부에 중간막의 일부가 부착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열 수축률 MD1MIN, 열 수축률 MD2MIN 및 열 수축률 MD3MIN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다.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열 수축률 MD1MAX, 열 수축률 MD2MAX 및 열 수축률 MD3MAX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17.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이하,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이다.
상기 열 수축률을 달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중간막의 응력을 완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간막을 어닐 처리하거나, 압출 공정에 있어서, 중간막을 인장하는 힘을 약하게 하거나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압출 공정에 있어서, 중간막의 온도가 높은(예를 들어, 90℃를 초과한 경우) 상태에서 중간막을 인장하는 경우 1, 및 중간막의 온도가 낮은(예를 들어, 90℃ 이하인 경우) 상태에서 중간막을 인장하는 경우 2를 비교하면, 상기 경우 2의 중간막의 열 수축률은 상기 경우 1의 중간막의 열 수축률보다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압출 공정에 있어서, 중간막의 온도가 동일했다고 하여도, 중간막을 인장하는 힘이 강한 경우 3(예를 들어, 선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경우), 및 중간막을 인장하는 힘이 약한 경우 4(예를 들어, 선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경우)를 비교하면, 상기 경우 3의 중간막의 열 수축률은 상기 경우 4의 중간막의 열 수축률보다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합성 시에 숙성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얻어지는 중간막의 가열 수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 부분의 MD 방향의 열 수축률, 상기 제2 내측 부분의 MD 방향의 열 수축률 및 상기 중앙 부분의 MD 방향의 열 수축률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대상물(중간막 A1, 중간막 A2 및 중간막 A3)은, 이하와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중간막의 MD 방향의 치수가 10㎝가 되도록 중간막을 잘라내어, 중간막 A를 얻는다. 중간막 A의 치수 변화를 억제하지 않는 방법(그대로 그물 선반 위에 두는 등)으로 23℃, 30%RH에서 2일간 조습을 행한다. 그 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습한 중간막 A로부터, TD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0.05X의 거리 부분인 5㎝ 정사각형의 부분인 중간막 A1(시험편), TD 방향의 타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0.05X의 거리 부분인 5㎝ 정사각형의 부분인 중간막 A2(시험편), 및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각각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0.5X의 거리 부분인 5㎝ 정사각형의 부분인 중간막 A3(시험편)을 얻는다. TD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0.05X의 위치가, 중간막 A1의 중심선과 겹치도록, 5㎝ 정사각형 크기의 중간막 A1을 얻는다. TD 방향의 타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0.05X의 위치가, 중간막 A2의 중심선과 겹치도록, 5㎝ 정사각형 크기의 중간막 A2를 얻는다. TD 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각각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0.5X의 위치가, 중간막 A3의 중심선과 겹치도록, 5㎝ 정사각형 크기의 중간막 A3을 얻는다.
중간막 A1, 중간막 A2 및 중간막 A3을 각각, 80℃에서 2분간 가열한다. 가열 시에, 중간막 A1, 중간막 A2 및 중간막 A3은 고정하지 않고, 열풍 건조기(애즈원사 제조 프로그램 정온 건조기 「형식 DO-600FPA」) 내에 둔 불소 수지 시트(애즈원사 제조 「제품 번호 7-363」, 두께 5㎜) 위에 수평하게 둔다. 또한, 80℃의 열풍 건조기 내에 불소 수지 시트를 20분간 두어 예열한 후에, 중간막 A1, 중간막 A2 및 중간막 A3을 각각, 예열된 불소 수지 시트 위에 수평하게 둔다.
열처리 전후에, MD 방향의 길이를 0.1㎝ 단위로 측정한다. 중간막 A1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 중, TD 방향의 일단부측의 변의 길이를 측정하고, 열 수축률을 계산한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열 수축률의 측정을 3회 행하고, 평균값을 중간막 A1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 중, TD 방향의 일단부측의 열 수축률로 한다. 계속해서, 중간막 A1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 중, TD 방향의 타단부측의 변의 길이를 측정하고, 열 수축률을 계산한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열 수축률의 측정을 3회 행하고, 평균값을 중간막 A1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 중, TD 방향의 타단부측의 열 수축률로 한다. 또한, 중간막 A1의 TD 방향의 일단부측의 열 수축률과 TD 방향의 타단부측의 열 수축률을 비교하여, 열 수축률이 높은 쪽의 열 수축률을 MD1MAX로 하고, 열 수축률이 낮은 쪽의 열 수축률을 MD1MIN으로 한다. 또한, 중간막 A1의 TD 방향의 일단부측의 열 수축률과 TD 방향의 타단부측의 열 수축률이 동일한 경우에는, MD1MAX와 MD1MIN이 동일한 수치가 된다. 마찬가지로, 중간막 A2 및 중간막 A3이 각각의 MD2MAX, MD2MIN, MD3MAX 및 MD3MIN을 구한다.
열 수축률은 하기 식(X)에 의해 구해진다.
열 수축률%=(열처리 전의 MD 방향의 치수-열처리 후의 MD 방향의 치수)/열처리 전의 MD 방향의 치수×100 … 식(X)
또한, 예를 들어 중간막의 TD 방향의 치수가 15㎝ 이상 50㎝ 미만인 경우에는, 중간막 A1 및 중간막 A2에 대해서는, 중간막의 일단부 및 타단부로부터 각각, TD 방향으로 5㎝, MD 방향으로 5㎝의 정사각형의 중간막을 잘라낸다. 또한, 중간막의 TD 방향의 치수가 15㎝ 미만인 경우에는, 중간막 A1, 중간막 A2 및 중간막 A3에 대하여, TD 방향의 거리를 3등분한 경우의 TD 방향의 치수를 기준으로 하여, 정사각형의 중간막을 잘라낸다. 또한, 중간막의 TD 방향의 치수의 바람직한 하한은 50㎝,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70㎝, 더욱 바람직한 하한은 80㎝, 바람직한 상한은 500㎝,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400㎝,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300㎝이다.
상기 중간막은, 1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2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3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며, 3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이 1층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인 경우에는, 상기 제1층이 중간막이다. 상기 중간막이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인 경우에는, 상기 중간막은, 상기 제1층과, 다른 층(제2층, 제3층 등)을 구비한다.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상기 제1층을 표면층으로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후술하는 제3층을 표면층으로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중간막(11)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다. 중간막(11)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1)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1)은, 제1층(1)과 제2층(2)과 제3층(3)을 구비한다. 제2층(2)의 제1 표면(2a)에, 제1층(1)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2층(2)의 제1 표면(2a)과는 반대측의 제2 표면(2b)에, 제3층(3)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2층(2)은 중간층이다. 제1층(1) 및 제3층(3)은 각각 보호층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층이다. 제2층(2)은, 제1층(1)과 제3층(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중간막(11)은, 제1층(1)과 제2층(2)과 제3층(3)이 이 순서로 적층된 다층 구조(제1층(1)/제2층층(2)/제3층(3))를 갖는다.
또한, 제1층(1)과 제2층(2)의 사이, 및 제2층(2)과 제3층(3)의 사이에는 각각, 다른 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층(1)과 제2층(2), 및 제2층(2)과 제3층(3)은 각각,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층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층을 들 수 있다.
중간막은, 중간막에 있어서의 중간층 또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이 아닌 층으로서, 제2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중간막은,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으로서, 제1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으로서, 제3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중간막(11A)은, 1층의 구조를 갖는 단층의 중간막이다. 중간막(11A)은 제1층이다. 중간막(11A)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1A)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을 구성하는 상기 제1층, 상기 제2층 및 상기 제3층의 상세, 및 상기 제1층, 상기 제2층 및 상기 제3층에 포함되는 각성분의 상세를 설명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상기 제1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고, 열가소성 수지 (1)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고, 열가소성 수지 (2)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고, 열가소성 수지 (3)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지는 점에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1)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 (3)은, 동일하여도 되며, 상이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며,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1),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3)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며,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 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 내지 99.9몰%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70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4 또는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로서,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로서는,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며, n-부틸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며,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7몰%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5몰% 미만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한층 더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20몰% 이상이면 반응 효율이 높아 생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27몰% 미만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2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몰%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31몰%을 초과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1.5몰%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2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3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7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6.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6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한층 더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접합 유리의 강성을 높게 하고,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33몰%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각각,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몰% 이상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접합 유리의 강성을 높게 하고,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9.5몰% 이상 많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9.5몰% 이상 많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7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아세틸화도가 0.1몰% 이상, 25몰% 이하이면, 내관통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각 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4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각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1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뺀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STM D1396-92에 의한 측정을 사용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에는,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상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상기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는, 아세틸화도 (a)가 8몰% 미만이고, 또한 아세탈화도 (a)가 65몰%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이거나, 또는 아세틸화도 (b)가 8몰%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여도 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여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의 아세틸화도 (a)는 8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7.9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8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5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이다. 상기 아세틸화도 (a)가 0.1몰% 이상, 8몰% 미만이면 가소제의 이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의 아세탈화도 (a)는 6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66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7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7.5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4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3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 (a)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 (a)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의 수산기의 함유율 (a)는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9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1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3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1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9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a)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상기 제2층의 접착력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a)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의 아세틸화도 (b)는 8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6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 (b)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 (b)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의 아세탈화도 (b)는 바람직하게는 5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3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2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 (b)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 (b)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의 수산기의 함유율 (b)는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9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1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3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1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9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b)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상기 제2층의 접착력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b)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는 각각,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
상기 제1층(단층의 중간막을 포함함)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사용에 의해, 또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의 병용에 의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층의 접합 유리 부재 또는 다른층에 대한 접착력이 알맞게 높아진다.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 (1)과 상기 가소제 (2)와 상기 가소제 (3)은 동일하여도 되며, 상이해도 된다. 상기 가소제(1), 상기 가소제(2) 및 상기 가소제(3)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며,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및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유기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글리콜과 일염기성 유기산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및 데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및 아젤라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렌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아디프산 디헥실, 아디프산 디옥틸, 아디프산 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 헵틸과 아디프산 노닐과의 혼합물, 아디프산 디이소노닐, 아디프산 디이소데실, 아디프산 헵틸노닐, 세바스산 디부틸, 유변성 세바스산 알키드, 및 인산 에스테르와 아디프산 에스테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사용해도 된다. 전술한 아디프산 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아디프산 에스테르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7074626221-pct00001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1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p는 3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중의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5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1) 100중량부(열가소성 수지 (1)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인 경우에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1)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3) 100중량부(열가소성 수지 (3)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인 경우에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3)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4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9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4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3 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1)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1)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접합 유리의 강성을 높게 하고,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1)은 25중량부 이상, 35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3)은 25중량부 이상, 35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100중량부(열가소성 수지 (2)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인 경우에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2)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5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2)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2)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함유량 (2)는 상기 함유량 (1)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함유량 (2)는 상기 함유량 (3)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1)과 상기 함유량 (2)의 차의 절댓값, 및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2)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를 초과하는 것이다. 상기 함유량 (1)과 상기 함유량 (2)의 차의 절댓값, 및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2)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부 이하이다.
(필러)
상기 제2층은 필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필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3층은 필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필러로서는, 탄산칼슘 입자 및 실리카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필러는 탄산칼슘 입자 또는 실리카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실리카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필러의 사용에 의해, 차음성 및 굽힘 강성이 높아지고, 또한 각 층간의 접착력도 높아진다. 상기 필러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며,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실리카 입자의 BET법에 의한 비표면적은 바람직하게는 50㎡/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g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50㎡/g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g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g 이하이다. 상기 비표면적은, 비표면적/세공 분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가스 흡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시마즈 세이사쿠쇼사 제조 「아삽 2420」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2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필러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65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필러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각 층간의 접착력이 한층 더 높아지고, 굽힘 강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필러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차열성 화합물)
상기 중간막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성 화합물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며,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성분 X:
상기 중간막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의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차열성 화합물이다. 상기 성분 X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며,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성분 X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X로서, 종래 공지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탈로시아닌 및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의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 가시광선 투과율을 한층 더 높은 레벨로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 및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의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에 산소 원자가 결합한 구조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중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열 입자:
상기 중간막은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차열성 화합물이다.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며,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의 산화물에 의해 형성된 입자(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보다도 긴 파장 780nm 이상의 적외선은, 자외선과 비교하여 에너지양이 작다. 그러나, 적외선은 열적 작용이 커, 적외선이 물질에 흡수되면 열로서 방출된다. 이로 인해,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열선으로 불리고 있다. 상기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열 입자란, 적외선을 흡수 가능한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차열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도프 산화주석 입자, 인듐 도프 산화주석 입자,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입자(ATO 입자), 갈륨 도프 산화아연 입자(GZO 입자), 인듐 도프 산화아연 입자(IZO 입자), 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 입자(AZO 입자), 니오븀 도프 산화티타늄 입자,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 주석 도프 산화아연 입자, 규소 도프 산화아연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나, 육붕소화란타넘(LaB6)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차열 입자를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기 때문에, 금속 산화물 입자가 바람직하고, ATO 입자, GZO 입자, IZO 입자,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고,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고, 또한 입수가 용이하므로,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가 바람직하고, 산화텅스텐 입자도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산화텅스텐 입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텅스텐 입자」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포함된다. 상기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및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해당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는, 식: Cs0 . 33WO3으로 표시되는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열선의 차폐성이 충분히 높아진다.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 입자의 분산성이 높아진다.
상기 「평균 입자 직경」은, 체적 평균 입자 직경을 나타낸다. 평균 입자 직경은, 입도 분포 측정 장치(닛키소사 제조 「UPA-EX150」)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이다.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금속염)
상기 중간막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의 적어도 1종의 금속염(이하, 금속염 M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 M의 사용에 의해,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성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금속염 M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며,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금속염 M은, Li, Na, K, Rb, Cs, Mg, Ca, Sr 및 B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염은, K 및 Mg 중의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염 M은,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알칼리 토금속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 마그네슘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 칼륨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 마그네슘염 및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 칼륨염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세트산 마그네슘, 아세트산 칼륨, 프로피온산 마그네슘, 프로피온산 칼륨, 2-에틸 부티르산 마그네슘, 2-에틸부탄산 칼륨, 2-에틸헥산산 마그네슘 및 2-에틸헥산산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에 있어서의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5p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ppm 이하이다.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성을 한층 더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
상기 중간막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차폐제의 사용에 의해, 중간막 및 접합 유리가 장기간 사용되어도, 가시광선 투과율이 한층 더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며,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에는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자외선 흡수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말론산 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옥살산 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및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백금 입자, 백금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팔라듐 입자 및 팔라듐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는, 차열 입자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및 산화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에 관하여, 표면이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의 표면의 피복 재료로서는, 절연성 금속 산화물, 가수분해성 유기 규소 화합물 및 실리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바스프(BASF)사 제조 「티누빈(Tinuvin) P」),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바스프사 제조 「티누빈 320」),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바스프사 제조 「티누빈 326」) 및 2-(2'-히드록시-3',5'-디-아밀 페닐)벤조트리아졸(바스프사 제조 「티누빈 328」) 등의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를 들 수 있다. 자외선을 흡수하는 성능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염소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옥타벤존(바스프사 제조 「키마소르브(Chimassorb) 81」)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데카(ADEKA)사 제조 「LA-F70」 및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바스프사 제조 「티누빈 1577FF」)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 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2-(p-메톡시벤질리덴)말론산 디메틸, 테트라에틸-2,2-(1,4-페닐렌 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2-(p-메톡시벤질리덴)-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말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 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의 시판품으로서는, 호스타빈(Hostavin) B-CAP, 호스타빈 PR-25, 호스타빈 PR-31(모두 클라리언트(Clariant)사 제조)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살산 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N-(2-에틸페닐)-N'-(2-에톡시-5-t-부틸페닐)옥살산 디아미드, N-(2-에틸페닐)-N'-(2-에톡시-페닐)옥살산 디아미드, 2-에틸-2'-에톡시-옥시아닐리드(클라리언트사 제조 「샌두버(Sanduvor) VSU」) 등의 질소 원자 위에 치환된 아릴기 등을 갖는 옥살산 디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바스프사 제조 「티누빈 120」)등을 들 수 있다.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한층 더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중량% 이하이다. 특히,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이 0.2중량% 이상임으로써,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
상기 중간막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며,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및 인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페놀 골격을 갖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황계 산화 방지제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는 인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또는 인계 산화 방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2,6-디-t-부틸-p-크레졸(BHT), 부틸화히드록시아니솔(BHA),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비스(3,3'-t-부틸페놀)부티르산 글리콜에스테르 및 비스(3-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젠프로판산)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노닐포스파이트, 비스(트리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에틸에스테르아인산,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1-페닐옥시)(2-에틸헥실옥시)포스포러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바스프사 제조 「이르가녹스(IRGANOX) 245」, 바스프사 제조 「이르가포스(IRGAFOS) 168」, 바스프사 제조 「이르가포스 38」, 스미토모 가가쿠 고교사 제조 「스밀라이저 BHT」, 및 바스프사 제조 「이르가녹스 1010」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0.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 방지제의 첨가 효과가 포화하므로,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2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
상기 제1층, 상기 제2층 및 상기 제3층은 각각, 필요에 따라, 규소, 알루미늄 또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커플링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접착력 조정제, 내습제, 형광 증백제 및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의 첨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며,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다른 상세)
접합 유리의 강성을 높게 하고,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제1층의 연화점은 60℃ 이상이다. 중간막의 강성을 한층 더 높게 하고, 공극이 억제된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층의 연화점은 바람직하게는 6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2.5℃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6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66℃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중간막의 강성을 한층 더 높게 하고, 공극이 억제된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3층의 연화점은 바람직하게는 5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6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66℃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3층의 각각의 연화점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3층의 각각의 연화점은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6℃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이하이다.
접합 유리의 강성을 한층 더 높게 하고, 접합 유리의 제조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3층의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8℃ 이상이다.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3층의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층 및 상기 제3층의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8℃ 이하이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된다.
상기 연화점과 유리 전이 온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된다.
얻어진 중간막을 온도 23℃, 습도 30%에서 1개월 이상 또는 1개월 보관한 후에, 중간막이 다층인 경우에는 제1층 및 제3층을 박리함으로써 단리하고, 프레스 성형기로 프레스 성형한 측정 대상물에 대해서, TA Instruments사 제조 「ARES-G2」를 사용하여 측정을 행한다. 또한, 중간막이 단층인 경우에는 직경 8㎜로 절단하고, 측정을 행한다. 지그로서, 직경 8㎜의 패러렐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3℃/분의 강온 속도로 100℃에서부터 -10℃까지 온도를 저하시키는 조건, 및 주파수 1㎐ 및 왜곡 1%의 조건에서 측정을 행한다. 얻어진 측정 결과에 있어서,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 Tg(℃)로 한다. 100℃에서부터 Tg(℃) 사이의 온도 영역에서 손실 정접의 값이 극소가 되는 온도를 연화점으로 한다. 얻어진 중간막을 온도 23℃, 습도 30%에서 보관하는 기간은 1개월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개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정 대상물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두께가 300 내지 8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용면의 관점, 및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충분히 높이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투명성이 한층 더 양호해진다.
상기 중간막은,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중간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단층의 중간막의 경우에,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해서 압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다층의 중간막의 경우에,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사용해서 각 층을 각각 형성한 후에 , 예를 들어 얻어진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및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속적인 생산에 적합하기 때문에, 압출 성형하는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제1층과 상기 제3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층과 상기 제3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동일한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제1층과 상기 제3층이 동일한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막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쐐기형이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의 표면에 엠보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의 최표면의 연화점이 높으면, 엠보싱을 부여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나, 접합 유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엠보싱이 찌부러지지 않아, 접합 유리에 발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엠보싱을 부여할 때 중간막의 온도, 프레스 압력, 또는 엠보싱 롤의 온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적절한 엠보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막의 최표면의 연화점이 높으면, 중간막끼리나, 상기 중간막과 유리판의 사이에 있어서의 마찰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지만, 적절한 엠보싱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접합 유리)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접합 유리(31)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와 중간막(11)을 구비한다. 중간막(11)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중간막(11)의 제1 표면(11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1)의 제1 표면(11a)과는 반대의 제2 표면(11b)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제1층(1)의 외측 표면(1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제3층(3)의 외측 표면(3a)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접합 유리(31A)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와 중간막(11A)을 구비한다. 중간막(11A)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중간막(11A)의 제1 표면(11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1A)의 제1 표면(11a)과는 반대의 제2 표면(11b)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중간막이,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상기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사이에, 상기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로서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접합 유리에는, 2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뿐만 아니라, 유리판과 PET 필름 등의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도 포함된다. 상기 접합 유리는, 유리판을 구비한 적층체이며,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각각, 유리판 또는 PET 필름이며, 또한 상기 접합 유리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의 적어도 한쪽으로서, 유리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양쪽이, 유리판(제1 유리판 및 제 2의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의 사이에 배치되고,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무기유리 및 유기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유리로서는, 플로트판유리, 열선흡수판유리, 열선반사판유리, 연마판유리, 형판유리 및 선입(線入)판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유리는, 무기유리에 대용되는 합성 수지 유리이다. 상기 유기유리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및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으로서는, 폴리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유리판인 경우에, 해당 유리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PET 필름인 경우에, 해당 PET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는 평판 유리여도 되고, 만곡 유리여도 되지만, 상기 접합 유리 부재의 두께가, 예를 들어 1.8㎜ 이하인 경우에는, 만곡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접합 유리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연화점이 높은 중간막은, 만곡 유리의 만곡 형상에 일치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지만, 중간막에 엠보싱을 부여함으로써, 만곡 유리의 만곡 형상에 중간막을 일치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사이에, 중간막을 끼우고, 가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백에 넣어서 감압 흡인하거나 하여,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의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한다. 그 후, 약 70℃ 내지 110℃에서 예비 접착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다음으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거나 하여, 약 120 내지 150℃ 및 1 내지 1.5MPa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시에, 제1층과 제2층과 제3층을 적층해도 된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이들 용도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차량용 또는 건축용의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용의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의 프론트 유리,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또는 루프 유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중간막은, 자동차의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투명성이 한층 더 우수한 접합 유리를 얻는 관점에서는, 접합 유리의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6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접합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JIS R3211(1998)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JIS R3208에 준거한, 두께 2㎜의 2매의 그린유리(열선 흡수 판유리)의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얻어진 접합 유리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선 투과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하기의 표 1 내지 4에 나타내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적절히 사용하였다. 사용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서는 모두, 아세탈화에, 탄소수 4의 n-부틸알데히드가 사용되고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관해서는,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아세틸화도 및 수산기의 함유율은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ASTM D1396-92에 의해 측정한 경우도,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과 마찬가지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가소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필러)
종류 (1)(하기 표에 있어서 (1)이라고 기재함): 니프겔(Nipgel) AZ 201(실리카 입자, 도소·실리카사 제조, BET법에 의한 비표면적 300㎡/g)
종류 (2)(하기 표에 있어서 (2)라고 기재함): 에어로실(AEROSIL) 380(실리카 입자, 닛폰 에어로실사 제조, BET법에 의한 비표면적 380±30㎡/g)
종류 (3)(하기 표에 있어서 (3)이라고 기재함): 니프겔 AZ 204(실리카 입자, 도소·실리카사 제조, BET법에 의한 비표면적 300㎡/g)
종류 (4)(하기 표에 있어서 (4)라고 기재함): 실리시아(SYLYSIA) 310P(실리카 입자, 후지 실리시아 가가쿠사 제조, BET법에 의한 비표면적 300㎡/g)
(자외선 차폐제)
티누빈 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바스프사 제조 「티누빈 326」)
(산화 방지제)
BHT(2,6-디-t-부틸-p-크레졸)
(실시예 1)
제1층 및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제작: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종류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와, 가소제(3GO) 31중량부와, 자외선 차폐제(티누빈 326) 0.2중량부와, 산화 방지제(BHT) 0.2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층 및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제2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제작: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종류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와, 가소제(3GO) 60중량부와, 필러(니프겔 AZ201) 20중량부와, 자외선 차폐제(티누빈 326) 0.2중량부와, 산화 방지제(BHT) 0.2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중간막의 제작:
제1층 및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과, 제2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공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제1층(두께 340㎛)/제2층(두께 100㎛)/제3층(두께 340㎛)의 적층 구조를 갖는 중간막(두께780㎛)을 제작하였다.
또한, 공압출의 조건은 이하와 같았다. 공압출기에 사용하는 금형 출구와, 금형에 가장 가까운 제1 롤의 접촉점과의 거리를 12㎝, 금형 출구와 제1 롤 사이의 중간막의 선속도를 0.6m/분, 중간막의 온도를 175℃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제1 롤 및 제 2 롤(냉각용 롤)을 통과시킴으로써, 중간막의 온도를 25℃로 냉각하였다. 또한, 중간막을, 제3 롤(온도 조정 롤)을 통과시킴으로써, 중간막의 온도가 90℃가 되도록 조정하고, 135℃로 온도 조정된 제4 롤(예를 들어, 엠보싱 부형용 롤)을 통과시켰다. 제3 롤에 대한 제4 롤의 속도비를 1.45배로 조정하였다. 제4 롤을 통과한 후에, 중간막을, 제5 롤(냉각용 롤)을 통과시킴으로써, 중간막의 온도를 25℃로 조정한 후에, 중간막을 선속도 0.9m/분으로 코어에 권취하였다. 또한, 중간막을 코어에 권취하기 전에, TD 방향의 길이가 150㎝였던 중간막의 각각의 단부를, 각각의 단부로부터 25㎝ 절단하고, TD 방향의 길이가 100㎝인 중간막을 코어에 권취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제1층 및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제2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배합 성분의 종류 및 배합량, 그리고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의 두께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중간막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제3 롤을 중간막이 통과했을 때, 중간막의 온도가 100℃가 되도록 조정하고, 제3 롤에 대한 제4 롤의 속도비를 1.48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조건에서 중간막을 얻었다.
(실시예 5 내지 15, 21 내지 26)
제1층 및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제2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배합 성분의 종류 및 배합량, 그리고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의 두께를 하기의 표 2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중간막을 제작하였다. 또한, 공압출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16 내지 20)
제1층 및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제2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배합 성분의 종류 및 배합량을 하기의 표 3 내지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하여, 중간막을 제작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또한, 공압출의 조건은 이하와 같이 하고,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의 두께를 하기의 표 3 내지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한 중간막을 제작하였다. 공압출기에 사용하는 금형 출구와, 금형에 가장 가까운 제1 롤의 접촉점과의 거리를 12㎝, 금형 출구와 제1 롤 사이의 중간막의 선속도를 0.6m/분, 중간막의 온도를 175℃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제1 롤 및 제 2 롤(냉각용 롤)을 통과시킴으로써, 중간막의 온도를 25℃로 냉각하였다. 또한, 중간막을, 제3 롤(온도 조정 롤)을 통과시킴으로써, 중간막의 온도가 90℃가 되도록 조정하고, 135℃로 온도 조정된 제4 롤(예를 들어, 엠보싱 부형용 롤)을 통과시켰다. 제3 롤에 대한 제4 롤의 속도비를 1.2배로 조정하였다. 제4 롤을 통과한 후에, 중간막을, 제5 롤(냉각용 롤)을 통과시킴으로써, 중간막의 온도를 25℃로 조정한 후에, 제5 롤을 통과한 후에, 중간막을 110℃에서 2분간 어닐하였다. 중간막을 선속도 0.7m/분으로 코어에 권취하였다. 또한, 중간막을 코어에 권취하기 전에, TD 방향의 길이가 150㎝였던 중간막의 각각의 단부를, 각각의 단부로부터 25㎝ 절단하고, TD 방향의 길이가 100㎝인 중간막을 코어에 권취하였다.
또한, 표 1 내지 4에서는, 자외선 차폐제 및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 기재를 생략하였다. 실시예 2 내지 26 및 비교예 1에서는, 제1층 및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한 자외선 차폐제 및 산화 방지제를 0.2중량부로 배합하고, 제2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실시예 1과 같은 자외선 차폐제 및 산화 방지제를 0.2중량부로 배합하였다.
(평가)
(1) 연화점 및 유리 전이 온도
얻어진 중간막을 온도 23℃, 습도 30%에서 1개월간 보관한 후에, 표면층 (제1층 및 제3층)을 박리함으로써 단리하고, 프레스 성형기로 프레스 성형한 측정 대상물에 대해서, TA Instruments사 제조 「ARES-G2」를 사용하여 측정을 행하였다. 지그로서, 직경 8㎜의 패러렐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3℃/분의 강온 속도로 100℃에서부터 -10℃까지 온도를 저하시키는 조건, 및 주파수 1Hz 및 왜곡 1%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 결과에 있어서,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 Tg(℃)로 하였다. 또한, 100℃에서부터 Tg(℃) 사이의 온도 영역에서 손실 정접의 값이 극소가 되는 온도를 연화점으로 하였다. 또한, 단리된 표면층을 프레스 성형기로 프레스 성형할 때 측정 대상물의 두께를 800㎛로 제어해도 마찬가지의 결과가 얻어졌다.
(2) 열 수축률
전술한 방법에 의해, TD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0.05X의 거리 부분인 5㎝ 정사각형의 부분인 중간막 A1(시험편), TD 방향의 타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0.05X의 거리 부분인 5㎝ 정사각형의 부분인 중간막 A2(시험편), 및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각각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0.5X의 거리 부분인 5㎝ 정사각형의 부분인 중간막 A3(시험편)을 얻고, 전술한 방법에 의해 열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3) 예비 압착 성능 1(유리의 두께 2㎜)
얻어진 중간막을, 2매의 클리어 유리(세로 2.5㎝×가로 30.5㎝×두께 2㎜) (세로 방향이 중간막의 MD 방향에 대응) 사이에 끼워 넣어, 적층체를 얻었다. 중간막의 트림 부분이 5㎜가 되도록, 중간막을 절단하였다. 이때, 2매의 클리어 유리와 중간막의 중심, 세로 방향(MD 방향) 및 가로 방향(TD 방향)은 정렬되어 있었다. 또한, 얻어진 중간막의 TD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부분이, 2매의 클리어 유리의 가로 방향의 중심 부분과 일치하도록 적층하였다. 다음으로, 중간막을 절단한 후의 적층체를, 니퍼 롤법에 의해, 80℃에서 2분간 가열하고, 예비 압착하였다. 예비 압착후에,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고, 통상의 오토클레이브 조건(140℃, 압력 1.2MPa의 조건에서 20분간 압착)에서, 접합 유리를 얻었다. 얻어진 접합 유리의 단부를 관찰하여, 예비 압착 성능 1을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예비 압착 성능의 판정 기준]
○○: 접합 유리의 표면의 수평면을 넘고, 트림이 변형되어 있지 않음
○: 2개의 유리의 단부가 어긋나 있으며, 유리의 한 변에만, 접합 유리의 표면의 수평면을 넘고, 트림이 변형되어 있음
×: 2개의 유리의 단부가 어긋나 있으며, 유리의 가로 30.5㎝의 양변에, 접합 유리의 표면의 수평면을 넘고, 트림이 변형되어 있음
(4) 예비 압착 성능 2(유리의 두께 1.8㎜)
클리어 유리의 두께를 1.8㎜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비 압착 성능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평가를 행하고, 예비 압착 성능 2를 예비 압착 성능 1과 마찬가지의 판정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상세 및 결과를 하기의 표 1 내지 4에 나타낸다. 또한, 하기의 표 1 내지 4에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가소제 및 필러 이외의 배합 성분의 기재는 생략하였다.
Figure 112017074626221-pct00002
Figure 112017074626221-pct00003
Figure 112017074626221-pct00004
Figure 112017074626221-pct00005
1: 제1층
1a: 외측의 표면
2: 제2층
2a: 제1 표면
2b: 제2 표면
3: 제3층
3a: 외측의 표면
11, 11A: 중간막
11a: 제1 표면
11b: 제2 표면
21: 제1 접합 유리 부재
22: 제2 접합 유리 부재
31, 31A: 접합 유리

Claims (13)

1층의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제1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층의 연화점이 60℃ 이상이고,
중간막 중의 모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 해당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가 200 이상 3000 이하이고,
중간막은, MD 방향과 TD 방향을 갖고,
하기의 제1 내측 부분, 하기의 제2 내측 부분 및 하기의 중앙 부분을 각각 80℃에서 2분간 가열했을 때의 열 수축률에 관하여, 하기의 열 수축률 MD1MAX, 하기의 열 수축률 MD2MAX 및 하기의 열 수축률 MD3MAX의 전부가, 18%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 내측 부분: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X로 했을 때,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0.05X의 거리 부분인 5㎝ 정사각형의 부분을 나타냄
제2 내측 부분: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X로 했을 때, 중간막의 TD 방향의 타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 0.05X의 거리 부분인 5㎝ 정사각형의 부분을 나타냄
중앙 부분: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X로 했을 때, 중간막의 TD 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각각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0.5X의 거리 부분인 5㎝ 정사각형의 부분을 나타냄
열 수축률 MD1MAX 및 열 수축률 MD1MIN: 제1 내측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상이한 경우에는, 열 수축률이 높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1MAX, 열 수축률이 낮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1MIN으로 하고, 제1 내측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동일한 경우에는, 한쪽의 열 수축률을 MD1MAX로 하고, 다른 쪽의 열 수축률을 MD1MIN으로 함
열 수축률 MD2MAX 및 열 수축률 MD2MIN: 제2 내측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상이한 경우에는, 열 수축률이 높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2MAX, 열 수축률이 낮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2MIN으로 하고, 제2 내측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동일한 경우에는, 한쪽의 열 수축률을 MD2MAX로 하고, 다른 쪽의 열 수축률을 MD2MIN으로 함
열 수축률 MD3MAX 및 열 수축률 MD3MIN: 중앙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상이한 경우에는, 열 수축률이 높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3MAX, 열 수축률이 낮은 변의 열 수축률을 MD3MIN으로 하고, 중앙 부분의 MD 방향과 평행한 2변의 열 수축률이 동일한 경우에는, 한쪽의 열 수축률을 MD3MAX로 하고, 다른 쪽의 열 수축률을 MD3MIN으로 함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연화점이 61.5℃ 이상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1층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2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9.5몰% 이상 많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이 필러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4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3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측의 제2 표면측에, 상기 제3층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33몰% 이상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이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제1층 중의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25중량부 이상, 35중량부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축률 MD1MAX, 상기 열 수축률 MD2MAX 및 상기 열 수축률 MD3MAX의 전부가, 16%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축률 MD1MIN, 상기 열 수축률 MD2MIN 및 상기 열 수축률 MD3MIN의 전부가, 4% 이상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사이에,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
KR1020177021672A 2015-02-05 2016-02-05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560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21628 2015-02-05
JP2015021627 2015-02-05
JP2015021628 2015-02-05
JPJP-P-2015-021627 2015-02-05
JP2015021626 2015-02-05
JPJP-P-2015-021626 2015-02-05
JPJP-P-2015-021629 2015-02-05
JP2015021629 2015-02-05
PCT/JP2016/053521 WO2016125896A1 (ja) 2015-02-05 2016-02-05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050A KR20170115050A (ko) 2017-10-16
KR102560888B1 true KR102560888B1 (ko) 2023-07-31

Family

ID=5656423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675A KR102591279B1 (ko) 2015-02-05 2016-02-05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0177021672A KR102560888B1 (ko) 2015-02-05 2016-02-05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0177021671A KR102560885B1 (ko) 2015-02-05 2016-02-05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0177021670A KR102579234B1 (ko) 2015-02-05 2016-02-05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675A KR102591279B1 (ko) 2015-02-05 2016-02-05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671A KR102560885B1 (ko) 2015-02-05 2016-02-05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0177021670A KR102579234B1 (ko) 2015-02-05 2016-02-05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6) US10569510B2 (ko)
EP (4) EP3255020A4 (ko)
JP (5) JP6683599B2 (ko)
KR (4) KR102591279B1 (ko)
CN (4) CN107207341B (ko)
AU (4) AU2016216329A1 (ko)
BR (4) BR112017016622A2 (ko)
CA (4) CA2975586A1 (ko)
MX (5) MX2017010135A (ko)
RU (4) RU2706843C2 (ko)
TW (4) TWI725955B (ko)
WO (4) WO2016125894A1 (ko)
ZA (3) ZA2017055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06843C2 (ru) * 2015-02-05 2019-11-21 Секисуй Кемикал Ко., Лтд. Промежуточная пленка дл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стекла и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WO2018225797A1 (ja) * 2017-06-07 2018-12-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8225795A1 (ja) 2017-06-07 2018-12-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101894921B1 (ko) * 2018-01-19 2018-09-0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라스틱 광학 렌즈용 폴리티올 조성물
KR20200138191A (ko) * 2018-03-29 2020-12-09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
DE112019003669T5 (de) * 2018-07-20 2021-04-08 AGC Inc. Laminiertes glas
WO2023127677A1 (ja) * 2021-12-28 2023-07-06 Agc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および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6613A (ja) * 2003-12-05 2005-07-14 Toray Ind Inc 二軸延伸積層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用フィルムおよび合わせ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2781A (en) * 1950-09-27 1954-10-26 Singer Mfg Co Connector device for vacuum cleaner dust bags
JP2742450B2 (ja) * 1989-07-20 1998-04-22 株式会社フジクラ 紫外線硬化型樹脂の硬化度測定方法
DE4015571A1 (de) 1990-05-15 1991-11-21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olie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folie, hergestellt nach dem verfahren, und verbundsicherheitsglas, hergestellt unter verwendung der folie
JPH05294680A (ja) * 1992-04-16 1993-11-09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2863984B2 (ja) * 1994-05-23 1999-03-03 旭化成工業株式会社 高剛性長尺フィルム
JP3290573B2 (ja) * 1994-11-07 2002-06-1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CA2162243A1 (en) 1994-11-07 1996-05-08 Jiro Miyai Interlayer film and laminated glass using the same
DE19534420C2 (de) 1995-09-16 1999-05-12 Flachglas Automotiv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on verwerfungsbedingten optischen Störungen freien Verbundsicherheitsglasscheibe, Verwendung einer Trägerfolie und Trägerfolie
JP3296984B2 (ja) * 1996-12-09 2002-07-02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自動車用遮音シート
IL155054A0 (en) 2000-09-28 2003-10-31 Solutia Inc Intrusion resistant glass laminate
FR2838517B1 (fr) * 2002-04-15 2004-09-10 Saint Gobain Procede pour evaluer la resistance mecanique d'un intercalaire
US20050084687A1 (en) 2002-10-22 2005-04-21 Opaci Lam Pty Ltd. Laminated glass
US7625634B2 (en) * 2004-07-06 2009-12-01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US7510771B2 (en) 2005-03-17 2009-03-31 Solutia Incorporated Sound reducing polymer interlayers
US20070009714A1 (en) 2005-05-11 2007-01-11 Lee David J Polymeric interlayers having a wedge profile
CN101171541A (zh) 2005-05-11 2008-04-30 纳幕尔杜邦公司 具有楔形轮廓的聚合物夹层
JP2007070200A (ja) 2005-09-09 2007-03-22 Asahi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US7348062B2 (en) 2006-06-10 2008-03-25 Solutia Incorporated Interlayers comprising modified fumed silica
JP2009543065A (ja) 2006-06-29 2009-12-03 ザ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レランド スタンフォード ジュニア ユニバーシティ ブラッグファイバーを用いた光ファイバーセンサ
EP1977885A1 (en) * 2007-04-05 2008-10-08 Kuraray Europe GmbH Interlayer films for laminated glazing containing silica with specific refractive index
BRPI0813283B1 (pt) 2007-06-27 2018-12-18 Sekisui Chemical Co Ltd aparelho e método para fabricar camada intermediária múltipla para vidro de segurança
BRPI0907441B1 (pt) 2008-01-23 2020-02-04 Agc Inc película de intercamada para vidro laminado e vidro laminado
DE102008001655A1 (de) * 2008-05-08 2009-11-12 Kuraray Europe Gmbh Weichmacherhaltige Folien aus Polyvinylacetal mit Cyclohexan-1,2-dicarbon-säureestern als Weichmacher
CN102066281B (zh) 2008-06-16 2014-10-01 中央硝子株式会社 插塑料薄膜夹层玻璃的制造方法和插塑料薄膜夹层玻璃
US7901780B2 (en) * 2008-06-25 2011-03-08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comprising blends of plasticized poly(vinyl butyral) and poly(cyclohexanedimethylene terephthalate-co-ethylene terephthalate) copolyester
JP5707669B2 (ja) 2009-02-05 2015-04-30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挿入合わせガラス
JP2010232588A (ja) * 2009-03-30 2010-10-14 Lintec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WO2011078137A1 (ja) 2009-12-24 2013-05-09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とその製造方法
KR20170086695A (ko) * 2009-12-28 2017-07-26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KR20170045362A (ko) 2009-12-28 2017-04-26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JP5599639B2 (ja) * 2010-04-06 2014-10-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転写用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196659B (zh) * 2010-07-16 2018-12-21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US20130149503A1 (en) 2010-09-01 2013-06-13 Satoru Yamamoto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CN106079752B (zh) * 2010-09-30 2018-01-02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WO2012043817A1 (ja) * 2010-09-30 2012-04-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2043818A1 (ja) * 2010-09-30 2012-04-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S2559806T3 (es) 2010-10-11 2016-02-16 Novopolymers N.V. Un proceso para recocer película de polímero de encapsulación fotovoltaica
JP5650515B2 (ja) * 2010-12-20 2015-01-0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EP2660215B1 (en) * 2010-12-28 2020-12-16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MX2013011187A (es) * 2011-03-29 2013-12-16 Kuraray Co Pelicula de resina de polivinil acetal y articulos con estructura en multicapas que usan la misma.
JP2013001611A (ja) 2011-06-17 2013-01-07 Kureha Corp 合わせガラスの加熱方法およびデフロスタ装置
JP2013001613A (ja) * 2011-06-17 2013-01-07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3006727A (ja) * 2011-06-23 2013-01-10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3006728A (ja) * 2011-06-23 2013-01-10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2548729A1 (de) * 2011-07-22 2013-01-23 Kuraray Europe GmbH Folien aus weichmacherhaltigem Polyvinyl(iso)acetal
WO2013051454A1 (ja) * 2011-10-04 2013-04-11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フィルム
US10173396B2 (en) 2012-03-09 2019-01-08 Solutia Inc. High rigidity interlayers and light weight laminated multiple layer panels
WO2013137288A1 (ja) 2012-03-16 2013-09-19 東レ株式会社 多層積層フィルム
JP3187697U (ja) * 2013-09-12 2013-12-12 中和製漆廠股▲分▼有限公司 安全合わせガラス構造
BR112017004154B1 (pt) * 2014-09-12 2022-05-17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camada para vidro laminado, e vidro laminado
RU2706843C2 (ru) * 2015-02-05 2019-11-21 Секисуй Кемикал Ко., Лтд. Промежуточная пленка дл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стекла и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US10683694B2 (en) * 2015-09-11 2020-06-16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6613A (ja) * 2003-12-05 2005-07-14 Toray Ind Inc 二軸延伸積層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用フィルムおよび合わせ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22068A1 (en) 2018-01-25
CA2975586A1 (en) 2016-08-11
MX2023010251A (es) 2023-09-12
EP3255017A4 (en) 2018-10-10
RU2017131065A3 (ko) 2019-06-14
US20180022066A1 (en) 2018-01-25
US20200079058A1 (en) 2020-03-12
US20180029336A1 (en) 2018-02-01
KR20170115533A (ko) 2017-10-17
ZA201705567B (en) 2018-12-19
RU2017131063A3 (ko) 2019-06-10
CN107207340A (zh) 2017-09-26
KR102560885B1 (ko) 2023-07-31
EP3255017A1 (en) 2017-12-13
JPWO2016125897A1 (ja) 2017-11-16
EP3255018A1 (en) 2017-12-13
BR112017016622A2 (pt) 2018-04-03
AU2016216329A1 (en) 2017-08-17
BR112017016616A2 (pt) 2018-04-03
RU2706843C2 (ru) 2019-11-21
CA2975582A1 (en) 2016-08-11
JP7010587B2 (ja) 2022-02-10
RU2707229C2 (ru) 2019-11-25
WO2016125897A1 (ja) 2016-08-11
KR102591279B1 (ko) 2023-10-20
RU2017131063A (ru) 2019-03-05
US10913245B2 (en) 2021-02-09
BR112017016612A2 (pt) 2018-04-03
EP3255018A4 (en) 2018-10-03
RU2017131062A3 (ko) 2019-06-14
CN107207339A (zh) 2017-09-26
JP6683599B2 (ja) 2020-04-22
JP7010588B2 (ja) 2022-01-26
CA2975587A1 (en) 2016-08-11
ZA201705568B (en) 2018-12-19
JPWO2016125894A1 (ja) 2017-11-30
CA2975580A1 (en) 2016-08-11
AU2016216389A1 (en) 2017-08-17
ZA201705569B (en) 2018-12-19
AU2016216327A1 (en) 2017-08-17
CN107406311B (zh) 2020-10-02
US20180022071A1 (en) 2018-01-25
US10611127B2 (en) 2020-04-07
JP7010586B2 (ja) 2022-01-26
TWI685530B (zh) 2020-02-21
TWI725955B (zh) 2021-05-01
TW201630848A (zh) 2016-09-01
US10576714B2 (en) 2020-03-03
EP3255020A4 (en) 2018-11-21
BR112017016640A2 (pt) 2018-04-03
KR20170113563A (ko) 2017-10-12
TWI691540B (zh) 2020-04-21
US20200061977A1 (en) 2020-02-27
US10913246B2 (en) 2021-02-09
CN107207340B (zh) 2020-11-24
RU2696736C2 (ru) 2019-08-05
TW201634559A (zh) 2016-10-01
EP3255020A1 (en) 2017-12-13
MX2017010133A (es) 2017-11-01
RU2696734C2 (ru) 2019-08-05
TW201634558A (zh) 2016-10-01
CN107207339B (zh) 2021-02-19
EP3255019A1 (en) 2017-12-13
WO2016125894A1 (ja) 2016-08-11
JP2020109054A (ja) 2020-07-16
MX2017010135A (es) 2017-11-01
KR20170113562A (ko) 2017-10-12
KR20170115050A (ko) 2017-10-16
CN107406311A (zh) 2017-11-28
WO2016125895A1 (ja) 2016-08-11
US10569510B2 (en) 2020-02-25
RU2017131062A (ru) 2019-03-05
TW201634557A (zh) 2016-10-01
BR112017016616B1 (pt) 2022-05-24
TWI711593B (zh) 2020-12-01
CN107207341B (zh) 2020-08-18
JPWO2016125895A1 (ja) 2017-11-09
RU2017131066A (ru) 2019-03-05
MX2017010138A (es) 2017-11-01
MX2017010136A (es) 2017-11-01
EP3255019A4 (en) 2018-10-10
KR102579234B1 (ko) 2023-09-18
WO2016125896A1 (ja) 2016-08-11
JPWO2016125896A1 (ja) 2017-11-09
CN107207341A (zh) 2017-09-26
RU2017131065A (ru) 2019-03-05
AU2016216328A1 (en) 2017-08-17
RU2017131066A3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0888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EP3192784A1 (en)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KR102338547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5855796B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KR20220057668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20159343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6240018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7222572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