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191A -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191A
KR20200138191A KR1020207025565A KR20207025565A KR20200138191A KR 20200138191 A KR20200138191 A KR 20200138191A KR 1020207025565 A KR1020207025565 A KR 1020207025565A KR 20207025565 A KR20207025565 A KR 20207025565A KR 20200138191 A KR20200138191 A KR 20200138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glass
resin layer
resin
display
inter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노하라
유우스케 오오타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8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67Variable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68Shape of the cross-section vary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1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particles for purposes other than dyeing
    • B32B17/10633Infrared radiation absorbing or reflec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5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colorants, e.g. dye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5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colorants, e.g. dyes or pigments
    • B32B17/106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colorants, e.g. dyes or pigments imparting a tint in certain regions only, i.e. shade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5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2Mixture of at least two particl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4Di-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6PVB, i.e. polyinylbuty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K2370/152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a head-up 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차열성을 높이고, 또한 다중상을 억제하여 화상 표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에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대응한 표시 대응 영역을 갖고, 적외선 반사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을 갖고,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1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상기 제2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고,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 착색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적외선 반사층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외선 반사층을 갖는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외선 반사층을 갖는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를 사용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합 유리는 일반적으로 외부 충격을 받아서 파손되어도 유리 파편의 비산량이 적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한 쌍의 유리판 사이에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및 건축물의 개구부에 사용되는 접합 유리에는 높은 차열성이 요구된다.
차열성을 높이기 위해서, 적외선 반사층을 구비하는 중간막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적외선 반사층을 구비하는 중간막은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자동차에 사용되는 접합 유리로서 헤드업 디스플레이(HUD)가 알려져 있다. HUD에서는 자동차의 전면 유리에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인 속도 등의 계측 정보 등을 표시시킬 수 있고, 운전자는 전면 유리의 전방에 표시가 비추어져 있는 것처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HUD에서는 계측 정보 등이 이중으로 보인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중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쐐기상의 중간막이 사용되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한 쌍의 유리판 사이에 소정의 쐐기각을 갖는 쐐기상의 중간막이 끼워 넣어진 접합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접합 유리에서는, 중간막의 쐐기각의 조정에 의해 1개의 유리판에서 반사되는 계측 정보의 표시와, 별도의 유리판에서 반사되는 계측 정보의 표시를 운전자의 시야에서 한 점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계측 정보의 표시가 이중으로 보이기 어렵고,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하기 어렵다.
일본특허공개 제2017-81775호 공보 일본특허공표 평4-502525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적외선 반사층을 구비하는 중간막은 쐐기상이 아니다. 또한, 해당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도 쐐기상이 아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중간막은 쐐기상이다. 특허문헌 2에서는, 1개의 유리판에서 반사되는 계측 정보의 표시와, 별도의 유리판에서 반사되는 계측 정보의 표시를 운전자의 시야에서 한 점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이중상을 억제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을 구비하지 않은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서는, 중간막의 쐐기각의 조정에 의해 다중상을 비교적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반면에, 적외선 반사층을 구비하는 중간막을 쐐기상으로 하고, 쐐기상의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를 제작하면, 해당 접합 유리에 있어서 계측 정보의 표시는 적외선 반사층에서의 반사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 때문에, 중간막의 쐐기각의 조정에만 따라서는 다중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열성을 높이고, 또한 다중상을 억제하여 화상 표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접합 유리를 사용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따르면,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에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대응한 표시 대응 영역을 갖고, 적외선 반사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을 갖고,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1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상기 제2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고,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 착색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하, 중간막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의 양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의 한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고, 다른 쪽이 0.1mrad 미만의 쐐기각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0.1mrad 미만의 쐐기각을 갖는 수지층이 상기 착색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착색제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또는 안트라시아닌 화합물이다.
상기 제1 수지층 중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수지층 중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지층이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수지층이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따르면,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술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지층의 외측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지층의 외측에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따르면, 헤드업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갖고,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은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한 표시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중간막은 적외선 반사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을 갖고,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1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상기 제2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지층의 외측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지층의 외측에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수지층과의 제1 적층체 및 상기 제2 수지층과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와의 제2 적층체 중 적어도 한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고,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 착색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이 접합 유리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는 차량에 있어서, 외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으로부터 열선이 입사되는 내부 공간과의 사이의 개구부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외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내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접합 유리이고, 상기 제1 수지층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는 차량에 있어서, 외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으로부터 열선이 입사되는 내부 공간과의 사이의 개구부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외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내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접합 유리이고, 상기 제2 수지층이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 착색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따르면, 외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으로부터 열선이 입사되는 내부 공간과의 사이의 개구부와, 화상 표시용 광을 상기 접합 유리에 조사하기 위한 광원 장치를 갖는 건축물 또는 차량에서,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외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내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상술한 접합 유리를 상기 개구부에 설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대응한 표시 대응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적외선 반사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1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상기 제2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 착색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열성을 높이고, 또한 다중상을 억제하여 화상 표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 상기 중간막은 적외선 반사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1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상기 제2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수지층의 외측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지층의 외측에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수지층과의 제1 적층체 및 상기 제2 수지층과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와의 제2 적층체 중 적어도 한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 착색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열성을 높이고, 또한 다중상을 억제하여 화상 표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하, 중간막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에 사용할 수 있는 중간막이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은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대응한 표시 대응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은 적외선 반사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에서는,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1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상기 제2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에서는,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착색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열성을 높이고, 또한 다중상을 억제하여 화상 표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차열성의 향상과 다중상의 억제의 양쪽을 달성하기 위해서 검토한 결과, 적외선 반사층을 구비하는 중간막에 있어서, 수지층의 쐐기각을 조정하고, 또한 수지층에 착색제를 포함시키면 되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적외선 반사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1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상기 제2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수지층의 외측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지층의 외측에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수지층과의 제1 적층체 및 상기 제2 수지층과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와의 제2 적층체 중 적어도 한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 착색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열성을 높이고, 또한 다중상을 억제하여 화상 표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차열성의 향상과 다중상의 억제의 양쪽을 달성하기 위해서 검토한 결과, 적외선 반사층을 구비하는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 접합 유리 부재와 수지층과의 적층체의 쐐기각을 조정하고, 또한 수지층에 착색제를 포함시키면 되는 것을 발견했다.
상기 적외선 반사층은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인다. 적외선 반사층을 갖는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서 계측 정보의 표시는 적외선 반사층에서의 반사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적외선 반사층을 사용하면, 수지층의 구성에 따라서는 다중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고,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착색제를 포함하므로 다중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적층체 및 상기 제2 적층체 중 적어도 한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고,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착색제를 포함함으로써도 다중상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은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지층이 쐐기상인 경우에, 제2 수지층은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제2 수지층이 쐐기상인 경우에, 제1 수지층은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제1 수지층의 쐐기각은 0mrad여도 되고, 0mrad를 초과하고 있어도 되고, 0.1mrad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0mrad일 때, 제1 수지층은 쐐기상이 아니다. 제2 수지층의 쐐기각은 0mrad여도 되고, 0mrad를 초과하고 있어도 되고, 0.1mrad 미만이어도 되고, 0.1mrad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0mrad일 때, 제2 수지층은 쐐기상이 아니다.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1 수지층이 적층된 2층을 제1 적층체로 한다. 제2 수지층과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적층된 2층을 제2 적층체로 한다. 제1 적층체 및 제2 적층체 중 적어도 한쪽은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적층체가 쐐기상인 경우에, 제2 적층체는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제2 적층체가 쐐기상인 경우에, 제1 적층체는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제1 적층체가 쐐기상인 경우에, 제1 수지층이 쐐기상이어도 되고,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쐐기상이어도 되고, 제1 수지층과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쐐기상이어도 된다. 제2 적층체가 쐐기상인 경우에, 제2 수지층이 쐐기상이어도 되고,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쐐기상이어도 되고, 제2 수지층과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쐐기상이어도 된다. 제1 적층체의 쐐기각은 0mrad여도 되고, 0mrad를 초과하고 있어도 되고, 0.1mrad 미만이어도 되고, 0.1mrad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0mrad일 때, 제1 적층체는 쐐기상이 아니다. 제2 적층체의 쐐기각은 0mrad여도 되고, 0mrad를 초과하고 있어도 되고, 0.1mrad 미만이어도 되고, 0.1mrad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0mrad일 때, 제2 적층체는 쐐기상이 아니다.
중간막의 쐐기각은 0.1mrad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쐐기각은 0.1mrad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의 양쪽이 쐐기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의 어느 한쪽만이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면 내의 투과율 및 색조의 불균일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층이 0.1mrad 미만의 쐐기각을 갖고,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수지층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의 양쪽이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지층과 상기 제2 수지층의 차열성 물질의 함유량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면 내의 투과율 및 색조의 불균일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차열성 물질의 함유량이 많은 쪽의 수지층이 0.1mrad 미만의 쐐기각을 갖고, 차열성 물질의 함유량이 적은 쪽의 수지층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0.1mrad 미만의 쐐기각을 갖는 수지층의 쐐기각은 0mrad여도 되고, 0mrad를 초과하고 있어도 된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제1 수지층, 제2 수지층, 제1 적층체, 제2 적층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쐐기각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0.2mrad(0.0115도) 이상이다. 상기 쐐기각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트럭이나 버스 등 전면 유리의 설치 각도가 큰 차에 적합한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제1 수지층, 제2 수지층, 제1 적층체, 제2 적층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쐐기각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2mrad(0.1146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mrad(0.0401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mrad(0.0288도)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47mrad(0.027도) 이하이다. 상기 쐐기각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다중상이 보다 한층 억제된다. 상기 쐐기각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스포츠카 등 전면 유리의 설치 각도가 작은 차에 적합한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도 1의 θ)은, 중간막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 부분과 최소 두께 부분의 중간막의 제1 표면(한쪽의 표면) 부분을 연결한 직선과, 중간막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 부분과 최소 두께 부분의 중간막의 제2 표면(다른 쪽의 표면) 부분을 연결한 직선과의 교점에 있어서의 내각이다. 또한, 최대 두께 부분이 복수 있거나, 최소 두께 부분이 복수 있거나, 최대 두께 부분이 일정한 영역에 있거나, 또는 최소 두께 부분이 일정한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쐐기각을 구하기 위한 최대 두께 부분 및 최소 두께 부분은 구해지는 쐐기각이 가장 커지도록 선택된다.
제1 수지층, 제2 수지층, 제1 적층체, 제2 적층체 및 접합 유리의 쐐기각은 중간막의 쐐기각과 마찬가지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은 롤상으로 감겨서, 중간막의 롤체로 되어도 된다. 롤체는 권취 코어와 중간막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중간막은 권취 코어의 외주에 감겨도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의 (a)는, 도 1의 (b) 중 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의 (a), 도 1의 (b) 및 후술하는 도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두께, 그리고 쐐기각(θ)은 실제의 두께 및 쐐기각과는 상이하게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a), 도 1의 (b) 및 후술하는 도면에 있어서, 상이한 개소는 서로 치환 가능하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는 접합 유리(1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a)에서는, 접합 유리(11)의 두께 방향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접합 유리(11)는 일단부(11a)와, 일단부(11a)의 반대측에 타단부(11b)를 갖는다. 일단부(11a)와 타단부(11b)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접합 유리(11)의 타단부(11b)의 두께는 일단부(11a)의 두께보다 크다. 따라서, 접합 유리(11)는 두께가 얇은 영역과,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갖는다. 또한, 일단부(11a)는 접합 유리의 하단, 타단부(11b)는 접합 유리의 상단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접합 유리(11)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이다. 접합 유리(11)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R1)을 갖는다.
접합 유리(11)는 표시 영역(R1) 옆에 주위 영역(R2)을 갖는다.
접합 유리(11)는 표시 영역(R1)과 이격되어, 셰이드 영역(R3)을 갖는다. 셰이드 영역(R3)은 접합 유리(11)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11)는 제1 접합 유리 부재(1)와, 제1 수지층(2)과, 적외선 반사층(3)과, 제2 수지층(4)과, 제2 접합 유리 부재(5)를 구비한다. 제1 접합 유리 부재(1)와, 제1 수지층(2)과, 적외선 반사층(3)과, 제2 수지층(4)과, 제2 접합 유리 부재(5)는 이 순으로 배열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1 수지층(2)과 적외선 반사층(3)과 제2 수지층(4)과의 적층체는 중간막(10)(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0)이 제1 접합 유리 부재(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막(10)은 표시 영역(R1)에 대응한 표시 대응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0)은 일단부(10a)와, 일단부(10a)의 반대측에 타단부(10b)를 갖는다. 일단부(10a)와 타단부(10b)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중간막(10)의 타단부(10b)의 두께는 일단부(10a)의 두께보다 크다. 따라서, 중간막(10)은 두께가 얇은 영역과,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갖는다.
제1 수지층(2)과 제2 수지층(4)은 쐐기상이다. 제1 접합 유리 부재(1)와, 적외선 반사층(3)과, 제2 접합 유리 부재(5)는 직사각형이다. 쐐기상의 각 부재에서는, 각 부재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이다. 직사각형의 각 부재에서는, 각 부재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다. 제1 접합 유리 부재(1)와 제1 수지층(2)과의 제1 적층체는 쐐기상이다. 제2 수지층(4)과 제2 접합 유리 부재(5)와의 제2 적층체는 쐐기상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수지층(2)의 쐐기각은 0.1mrad 이상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수지층(4)의 쐐기각은 0.1mrad 이상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2의 (b) 중 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의 (a) 및 도 2의 (b)에는, 접합 유리(11A)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에서는, 접합 유리(11A)의 두께 방향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접합 유리(11A)는 일단부(11a)와, 일단부(11a)의 반대측에 타단부(11b)를 갖는다. 접합 유리(11A)의 타단부(11b)의 두께는 일단부(11a)의 두께보다 크다. 따라서, 접합 유리(11A)는 두께가 얇은 영역과,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갖는다.
접합 유리(11A)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이다. 접합 유리(11A)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R1)을 갖는다.
접합 유리(11A)는 표시 영역(R1) 옆에 주위 영역(R2)을 갖는다.
접합 유리(11A)는 표시 영역(R1)과 이격되어 셰이드 영역(R3)을 갖는다. 셰이드 영역(R3)은 접합 유리(11A)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고 있다.
접합 유리(11A)는 제1 접합 유리 부재(1A)와, 제1 수지층(2A)과, 적외선 반사층(3A)과, 제2 수지층(4A)과, 제2 접합 유리 부재(5A)를 구비한다. 제1 접합 유리 부재(1A)와, 제1 수지층(2A)과, 적외선 반사층(3A)과, 제2 수지층(4A)과, 제2 접합 유리 부재(5A)는 이 순으로 배열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1 수지층(2A)과 적외선 반사층(3A)과 제2 수지층(4A)과의 적층체는 중간막(10A)(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0A)이 제1 접합 유리 부재(1A)와 제2 접합 유리 부재(5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중간막(10A)은 표시 영역(R1)에 대응한 표시 대응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0A)은 일단부(10a)와, 일단부(10a)의 반대측에 타단부(10b)를 갖는다. 일단부(10a)와 타단부(10b)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중간막(10A)의 타단부(10b)의 두께는 일단부(10a)의 두께보다 크다. 따라서, 중간막(10A)은 두께가 얇은 영역과,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갖는다.
제1 수지층(2A)은 쐐기상이다. 제1 접합 유리 부재(1A)와, 적외선 반사층(3A)과, 제2 수지층(4A)과, 제2 접합 유리 부재(5A)는 직사각형이다. 제1 접합 유리 부재(1A)와 제1 수지층(2A)과의 제1 적층체는 쐐기상이다. 제2 수지층(4A)과 제2 접합 유리 부재(5A)와의 제2 적층체는 직사각형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수지층(2A)의 쐐기각은 0.1mrad 이상이다.
접합 유리(11, 11A)는 타단부(11b)에 최대 두께를 갖고, 일단부(11a)에 최소 두께를 갖는다. 중간막(10, 10A)은 타단부(10b)에 최대 두께를 갖고, 일단부(10a)에 최소 두께를 갖는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는다.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는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최대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6㎝의 위치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서 63.8㎝의 위치까지의 영역 내에,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일단부(11a)는 접합 유리의 하단, 타단부(11b)는 접합 유리의 상단이라고도 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측을 향해서 6㎝의 위치부터,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해서 63.8㎝의 위치까지의 영역 내에,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도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6㎝의 위치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서 63.8㎝의 위치까지의 영역 내의 일부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전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대응 영역 및 표시 영역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6㎝의 위치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63.8㎝의 위치까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은,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서 63.8㎝의 위치까지의 영역 내의 일부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전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셰이드 영역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셰이드 영역은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다중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셰이드 영역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혹은 셰이드 영역을 갖는 경우에, 상기 셰이드 영역은,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셰이드 영역은, 예를 들어 태양광선 또는 옥외 조명 등에 의해, 운전 중 운전자가 눈부심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해서 마련된다. 상기 셰이드 영역은 차열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마련되는 경우에도 있다. 상기 셰이드 영역은,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셰이드 영역은 띠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는 색 및 가시광선 투과율을 변경하거나 하기 위해서, 착색제 또는 충전제를 사용해도 된다. 착색제 또는 충전제는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의 두께 방향의 일부 영역에만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의 두께 방향의 전체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다중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셰이드 영역과는 상이한 영역에서 상기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를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하고, 시야를 보다 한층 확장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74%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7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상기 셰이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상기 셰이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보다 낮아도 된다. 상기 표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상기 셰이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높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높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표시 대응 영역,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변화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중심 위치 및 상기 셰이드 영역의 중심 위치에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측정된다.
분광 광도계(히타치 하이테크사제 「U-4100」)를 사용하여, JIS R3211:1998에 준거하여, 접합 유리의 파장 380㎚ 내지 780㎚에 있어서의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유리판으로서 두께 2㎜의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범용성이 우수하므로,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폭 방향이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은 띠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은 각각 MD 방향과 TD 방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은 예를 들어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MD 방향은,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의 제조 시의 수지층의 흐름 방향이다. TD 방향은,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의 제조 시의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또한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가 TD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X라 한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일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0X 내지 0.2X의 거리의 영역에 최소 두께를 갖고, 타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0X 내지 0.2X의 거리의 영역에 최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일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0X 내지 0.1X의 거리의 영역에 최소 두께를 갖고, 타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0X 내지 0.1X의 거리의 영역에 최대 두께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일단부에 최소 두께를 갖고,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타단부에 최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두께 균일 부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두께 균일 부위란,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10㎝의 거리 범위당, 두께가 10㎛를 초과해서 변화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두께 균일 부위는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10㎝의 거리 범위당, 두께가 10㎛를 초과해서 변화하지 않는 부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두께 균일 부위는,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서 두께가 전혀 변화하지 않고 있거나, 또는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10㎝의 거리 범위당, 두께가 10㎛ 이하로 변화하고 있는 부위를 말한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거리 X는 바람직하게는 3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m 이상이다.
상기 접합 유리는 차량에 있어서, 외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으로부터 열선이 입사되는 내부 공간과의 사이의 개구부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외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내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다른 상세를 설명한다.
(적외선 반사층)
상기 적외선 반사층은 적외선을 반사한다. 상기 적외선 반사층은 적외선을 반사하는 성능을 갖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적외선 반사층으로서는, 금속박을 갖는 수지 필름, 수지층 상에 금속층 및 유전층이 형성된 다층 적층 필름, 그래파이트를 포함하는 필름, 다층 수지 필름 및 액정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필름은 적외선을 반사하는 성능을 갖는다.
상기 적외선 반사층은 금속박을 갖는 수지 필름, 그래파이트를 포함하는 필름, 다층 수지 필름 또는 액정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필름은 적외선의 반사 성능이 상당히 우수하다. 따라서, 이들 필름의 사용에 의해 차열성이 보다 한층 높고,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보다 한층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접합 유리가 얻어진다.
상기 금속박을 갖는 수지 필름은 수지 필름과, 해당 수지 필름의 외표면에 적층된 금속박을 구비한다. 상기 수지 필름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박의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구리, 은, 금, 팔라듐, 및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층 상에 금속층 및 유전층이 형성된 다층 적층 필름은 수지층(수지 필름)에, 금속층 및 유전층이 교대로 임의의 층수로 적층된 다층 적층 필름이다. 또한, 상기 수지층 상에 금속층 및 유전층이 형성된 다층 적층 필름에서는, 금속층 및 유전층 모두가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금속층/유전층/금속층/유전층/금속층/금속층/유전층/금속층과 같이 일부가 교대로 적층되어 있지 않은 구조 부분이 있어도 된다.
상기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층(수지 필름)의 재료로서는, 상기 금속박을 갖는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의 재료와 마찬가지의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층(수지 필름)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락트산, 폴리(4-메틸펜텐-1), 폴리불화비닐리덴, 환상 폴리올레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알코올, 나일론6, 11, 12, 66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및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층의 재료로서는, 상기 금속박을 갖는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박의 재료와 마찬가지의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의 양면 혹은 편면에, 금속 혹은 금속의 혼합 산화물의 코팅층을 부여 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재료로서는, ZnO, Al2O3, Ga2O3, InO3, MgO, Ti, NiCr 및 Cu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유전층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인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층 수지 필름은 복수의 수지 필름이 적층된 적층 필름이다. 상기 다층 수지 필름의 재료로서는, 상기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층(수지 필름)의 재료와 마찬가지의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다층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의 적층수는 2 이상이고, 3 이상이어도 되고, 5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다층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의 적층수는 1000 이하여도 되고, 100 이하여도 되고, 50 이하여도 된다.
상기 다층 수지 필름은 상이한 광학적 성질(굴절률)을 갖는 2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층이 교대로 또는 랜덤하게 임의의 층수로 적층된 다층 수지 필름이어도 된다. 이러한 다층 수지 필름은 원하는 적외선 반사 성능이 얻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정 필름으로서는, 임의의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임의의 층수로 적층한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액정 필름은 원하는 적외선 반사 성능이 얻어지도록 구성된다.
적외선을 반사하는 성능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적외선 반사층이 800㎚ 내지 2000㎚의 범위 내의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 있어서, 적외선 투과율이 40% 이하인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한 적외선 반사층의 적외선 투과율은 상기의 바람직한 조건을 충족한다. 800㎚ 내지 2000㎚의 범위 내의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 있어서, 적외선 투과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파장 800㎚ 내지 2000㎚의 범위에 있어서의 각 파장의 투과율은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해서 측정된다. 단독의 적외선 반사층을 준비한다. 분광 광도계(히타치 하이테크사제 「U-4100」)를 사용하여, JIS R3106:1998 또는 JIS R3107:2013에 준거하여, 적외선 반사층의 파장 800㎚ 내지 2000㎚에 있어서의 각 파장의 분광 투과율을 얻는다. JIS R3107:2013에 준거하여, 적외선 반사층의 파장 800㎚ 내지 2000㎚에 있어서의 각 파장의 분광 투과율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
열가소성 수지:
제1 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한다. 제1 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 (1)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한다. 제2 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 (2)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1)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 (2)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1)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2)는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는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및 아이오노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병용에 의해, 접합 유리 부재 및 적외선 반사층 등의 다른 층에 대한 수지층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아세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 내지 99.9몰%의 범위 내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70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층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포함되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또는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이상이면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또는 이소부틸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8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4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2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수지층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층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수지층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서 구한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해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몰%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아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서 구한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해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3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이하와 같이 해서 구한다. 우선,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과 아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차감한 값을 구한다. 얻어진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서 몰 분율을 구한다. 이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 아세탈화도이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STM D1396-92에 의한 측정을 사용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는,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상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상기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가소제:
수지층의 접착력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수지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의 접착력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2 수지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에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에, 수지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로서, 종래 공지의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그리고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유기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글리콜과 일염기성 유기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 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및 데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및 아젤라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헵틸과 아디프산 노닐의 혼합물,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디이소데실, 아디프산헵틸노닐, 세바스산디부틸, 유변성 세바스산알키드, 및 인산에스테르와 아디프산에스테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아디프산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아디프산에스테르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5 내지 1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p는 3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6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가소제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75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투명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착색제:
상기 제1 수지층은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 착색제(이하, 착색제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수지층은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 착색제(이하, 착색제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지층과 상기 제2 수지층 중 상기 제1 수지층이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 착색제 (1)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수지층이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 착색제 (1)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 수지층이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 착색제 (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접합 유리 전체에서 다중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0.1mrad 미만의 쐐기각을 갖는 수지층이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착색제의 극대 흡수 파장은 바람직하게는 3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바람직하게는 780㎚ 이하이다.
상기 극대 흡수 파장이란, 착색제의 흡광도가 최대가 되는 파장을 의미한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안료 및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안료와 염료란, 이하와 같이 판별된다.
폴리비닐부티랄 수지(n-부틸알데히드를 사용,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몰%, 아세틸화도 1몰%, 부티랄화도 69몰%) 100중량부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40중량부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와 3GO와 착색제의 합계량 100중량%에 대하여 0.015중량부가 되는 양의 착색제를 혼련하여 혼련물을 얻는다. 이 혼련물을 압출하여, 두께 760㎛의 수지막을 얻는다. 이 수지막을 JIS R3106:1998에 준거해서 측정된 가시광선 투과율이 90%인 2매의 클리어 유리(두께 2.5㎜) 사이에 배치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한다. 얻어지는 접합 유리의 헤이즈값이 0.35% 이상으로 되는 착색제를 안료라 정의한다. 헤이즈값이 0.35% 미만이 되는 착색제는 염료라 정의한다.
상기 안료는 유기 안료여도 되고, 무기 안료여도 된다. 상기 유기 안료는 금속 원자를 갖는 유기 안료여도 되고, 금속 원자를 갖지 않는 유기 안료여도 된다. 상기 안료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유기 안료로서는,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퀴나크리돈 화합물, 아조 화합물, 펜타펜 화합물, 디옥사진 화합물, 페릴렌 화합물, 인돌 화합물 및 디옥사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안료로서는, 카본 블랙, 및 산화철,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퀴나크리돈 화합물, 아조 화합물, 펜타펜 화합물, 디옥사진 화합물, 페릴렌 화합물, 인돌 화합물 또는 카본 블랙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는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X로서, 종래 공지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X로서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안트라시아닌 및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나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안트라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고,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또는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탈로시아닌 또는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고,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 가시광선 투과율을 보다 한층 높은 레벨로 유지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 및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다중상을 더욱 한층 억제하고, 차열성을 더욱 한층 높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에 산소 원자가 결합한 구조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착색제의 함유량 및 성분 X의 함유량은 이하의 바람직한 범위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 100중량% 중, 상기 착색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상이다. 상기 착색제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 100중량% 중, 상기 착색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중량% 이하이다. 상기 착색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다중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상기 착색제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의 표시 대응 영역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영역 100중량% 중, 상기 착색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상이다. 상기 착색제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의 표시 대응 영역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영역 100중량% 중, 상기 착색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중량% 이하이다. 상기 착색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다중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상이다.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중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다중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의 표시 대응 영역의 성분 X를 포함하는 영역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상이다.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의 표시 대응 영역의 성분 X를 포함하는 영역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중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다중상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차열성 물질:
상기 제1 수지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지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차열성 물질의 함유량은 상기 제2 수지층에 있어서의 차열성 물질의 함유량보다 적어도 된다. 상기 제2 수지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성 물질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차열성 물질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거나 또는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성분 X와 상기 차열 입자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1 수지층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지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상기 제2 수지층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 X의 함유량보다 적어도 된다. 상기 제2 수지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성분 X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X로서, 종래 공지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X로서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안트라시아닌 및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나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안트라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또는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탈로시아닌 또는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 가시광선 투과율을 보다 한층 높은 레벨로 유지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 및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더욱 한층 높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에 산소 원자가 결합한 구조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차열성 물질에도 상당한다.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제1 수지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지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상기 제2 수지층에 있어서의 상기 성분 X의 함유량보다 적어도 된다.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제2 수지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이하의 바람직한 범위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상이다.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중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수지층은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수지층은 차열 입자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제1 수지층에 있어서의 차열 입자의 함유량은 상기 제2 수지층에 있어서의 차열 입자의 함유량보다 적어도 된다. 상기 제2 수지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차열성 물질이다.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의 산화물에 의해 형성된 입자(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보다 긴 파장 780㎚ 이상의 적외선은, 자외선과 비교하여 에너지양이 작다. 그러나, 적외선은 열적 작용이 크고, 적외선이 물질에 흡수되면 열로서 방출된다. 이 때문에,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열선이라고 부르고 있다. 상기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열 입자란, 적외선을 흡수 가능한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차열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도핑 산화주석 입자, 인듐 도핑 산화주석 입자, 안티몬 도핑 산화주석 입자(ATO 입자), 갈륨 도핑 산화아연 입자(GZO 입자), 인듐 도핑 산화아연 입자(IZO 입자), 알루미늄 도핑 산화아연 입자(AZO 입자), 니오븀 도핑 산화티타늄 입자, 나트륨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루비듐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주석 도핑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 주석 도핑 산화아연 입자, 규소 도핑 산화아연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나, 6붕화란탄(LaB6)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차열 입자를 사용해도 된다.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기 때문에 금속 산화물 입자가 바람직하고, ATO 입자, GZO 입자, IZO 입자,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고,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고, 또한 입수가 용이하므로, 주석 도핑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가 바람직하고, 산화텅스텐 입자도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산화텅스텐 입자는 금속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텅스텐 입자」에는 금속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가 포함된다. 상기 금속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나트륨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및 루비듐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세슘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더욱 한층 높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해당 세슘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는, 식: Cs0.33WO3으로 표현되는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평균 입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열선의 차폐성이 충분히 높아진다. 평균 입경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 입자의 분산성이 높아진다.
상기 「평균 입경」은 체적 평균 입경을 나타낸다. 평균 입경은 입도 분포 측정 장치(닛키소사제 「UPA-EX150」)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 100중량% 중,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이다.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 100중량% 중,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6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이다.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금속염:
상기 제1 수지층은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 또는 마그네슘염인 금속염(이하, 금속염 M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수지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 M의 사용에 의해, 수지층과 적외선 반사층 및 접합 유리 부재와의 접착성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금속염 M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금속염 M은 Li, Na, K, Rb, Cs, Mg, Ca, Sr 또는 Ba인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염은 K 또는 Mg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염 M은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마그네슘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및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으로서는,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칼륨, 프로피온산마그네슘, 프로피온산칼륨,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 2-에틸부탄산칼륨, 2-에틸헥산산마그네슘 및 2-에틸헥산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에 있어서의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5p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ppm 이하이다.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수지층과 적외선 반사층 및 접합 유리 부재와의 접착성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
상기 제1 수지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수지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차폐제의 사용에 의해, 접합 유리가 장기간 사용되어도 가시광선 투과율이 보다 한층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에는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자외선 흡수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트리아진 화합물),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말론산에스테르 화합물),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옥살산아닐리드 화합물) 및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에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백금 입자, 백금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팔라듐 입자 및 팔라듐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는 차열 입자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및 산화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에 관해서, 표면이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의 표면의 피복 재료로서는, 절연성 금속 산화물, 가수분해성 유기 규소 화합물 및 실리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5.0eV 이상의 밴드 갭 에너지를 갖는다.
상기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 P」),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 320」),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 326」) 및 2-(2'-히드록시-3',5'-디-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 328」)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을 차폐하는 성능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염소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옥타벤존(BASF사제 「Chimassorb 8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ADEKA사제 「LA-F70」 및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BASF사제 「Tinuvin 1577FF」)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2-(p-메톡시벤질리덴)말론산디메틸, 테트라에틸-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2-(p-메톡시벤질리덴)-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말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의 시판품으로서는, Hostavin B-CAP, Hostavin PR-25, Hostavin PR-31(모두 클라리언트사제)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N-(2-에틸페닐)-N'-(2-에톡시-5-t-부틸페닐)옥살산디아미드, N-(2-에틸페닐)-N'-(2-에톡시-페닐)옥살산디아미드, 2-에틸-2'-에톡시-옥살아닐리드(클라리언트사제 「Sanduvor VSU」) 등의 질소 원자 상에 치환된 아릴기 등을 갖는 옥살산디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BASF사제 「Tinuvin 12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이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중량% 이하이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가 보다 한층 억제된다. 특히,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이 0.2중량% 이상인 것에 의해, 접합 유리의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
상기 제1 수지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수지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및 인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페놀 골격을 갖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황계 산화 방지제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는 인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또는 인계 산화 방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2,6-디-t-부틸-p-크레졸(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비스(3,3'-t-부틸페놀)부티릭애시드글리콜에스테르 및 비스(3-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젠 프로판산)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노닐페닐포스파이트, 비스(트리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에틸에스테르아인산 및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1-페닐옥시)(2-에틸헥실옥시)포스포러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BASF사제 「IRGANOX 245」, BASF사제 「IRGAFOS 168」, BASF사제 「IRGAFOS 38」,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사제 「스밀라이저 BHT」, 사까이 가가꾸 고교사제 「H-BHT」, 그리고 BASF사제 「IRGANOX 1010」 등을 들 수 있다.
접합 유리의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제1 수지층 또는 제2 수지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0.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2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성분: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은 각각 필요에 따라, 커플링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금속염 이외의 접착력 조정제, 내습제, 형광 증백제 및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로서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에는 2매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층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뿐만 아니라, 유리판과 PET 필름 등과의 사이에 중간층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도 포함된다. 접합 유리는 유리판을 구비한 적층체이며,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각각 유리판 또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며, 또한 상기 접합 유리가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로서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양쪽이 유리판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및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유리로서는, 플로트 판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열선 반사 판유리, 연마 판유리, 형판 유리, 망입 판유리, 선입 판유리 및 그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유리는 무기 유리를 대신하는 합성 수지 유리이다. 상기 유기 유리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및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으로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는 각각 클리어 유리 또는 열선 흡수 판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투과율이 높고, 접합 유리의 차열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는 점에서,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는 클리어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투과율이 낮고, 접합 유리의 차열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는 점에서,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는 열선 흡수 판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선 흡수 판유리는 그린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클리어 유리이며, 또한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열선 흡수 판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선 흡수 판유리는 JIS R3208에 준거한 열선 흡수 판유리이다.
(접합 유리의 사용 방법,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
상기 접합 유리의 사용 시에는, 상기 건축물 또는 상기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외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내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상술한 접합 유리를 상기 개구부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외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내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접합 유리를 개구부에 설치한다. 즉, 외부 공간/제1 접합 유리 부재/제1 수지층/적외선 반사층/(제2 수지층/)제2 접합 유리 부재/내부 공간의 순으로 배치되도록, 접합 유리를 설치한다. 상기의 배치 형태에는, 외부 공간과 제1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포함되고, 내부 공간과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포함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접합 유리와, 화상 표시용 광을 상기 접합 유리에 조사하기 위한 광원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광원 장치는, 예를 들어 건축물 또는 차량에 있어서 대시보드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 상기 접합 유리의 상기 표시 영역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상기 건축물 또는 상기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외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내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상술한 접합 유리를 상기 개구부에 설치하는 공정을 행함으로써,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 접합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 유리는 차의 전면 유리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접합 유리는 차의 전면 유리에 사용할 수 있는 접합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재료를 준비했다.
(열가소성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PVB, 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5몰%, 아세틸화도 1몰%, 아세탈화도 68.5몰%)
사용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서는, 아세탈화에 탄소수 4의 n-부틸알데히드가 사용되고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관해서는,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아세틸화도 및 수산기의 함유율은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ASTM D1396-92에 의해 측정한 경우에도,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과 마찬가지의 수치를 나타냈다.
(가소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자외선 차폐제)
Tinuvin 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 326」) 0.2중량부
(산화 방지제)
BHT(2,6-디-t-부틸-p-크레졸)
(착색제)
NIR-43V(성분 X,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중심 금속으로서 바나듐을 함유한다, 극대 흡수 파장 755㎚, 야마다 가가꾸사제 「NIR-43V」)
FF IRSORB 203(성분 X,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극대 흡수 파장 850㎚, 후지필름사제 「FF IRSORB 203」)
IR-906(성분 X,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중심 금속으로서 바나듐을 함유한다, 극대 흡수 파장 930㎚, 닛폰 쇼쿠바이사제 「이엑스 칼라 906」)
IR-915(성분 X,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중심 금속으로서 바나듐을 함유한다, 극대 흡수 파장 980㎚, 닛폰 쇼쿠바이사제 「이엑스 칼라 915」)
이하의 적외선 반사층을 준비했다.
(적외선 반사층)
Nano90S(3M, 다층 수지 필름, 스미또모 쓰리엠사제 「멀티레이어 Nano 90S」)
이하의 접합 유리 부재를 준비했다.
(접합 유리 부재)
클리어 유리(두께 2.5㎜)
그린 유리(열선 흡수 판유리, 두께 2㎜)
(실시예 1)
제1 수지층의 제작: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제1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PVB, 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5몰%, 아세틸화도 1몰%, 아세탈화도 68.5몰%) 100중량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40중량부
얻어지는 수지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Tinuvin 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 326」)
얻어지는 수지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BHT(2,6-디-t-부틸-p-크레졸)
얻어진 제1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압출기에 의해 압출하여,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두께 및 쐐기각을 갖는 제1 수지층을 얻었다.
제2 수지층의 제작: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제2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PVB, 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5몰%, 아세틸화도 1몰%, 아세탈화도 68.5몰%) 100중량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40중량부
얻어지는 수지층 중에서 0.009중량%가 되는 양의 NIR-43V(성분 X,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중심 금속으로서 바나듐을 함유하는, 야마다 가가꾸사제 「NIR-43V」)
얻어지는 수지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Tinuvin 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 326」)
얻어지는 수지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BHT(2,6-디-t-부틸-p-크레졸)
얻어진 제2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압출기에 의해 압출하여, 제2 수지층을 얻었다. 제2 수지층은 직사각형이며, 제2 수지층의 두께는 380㎛였다. 또한, 얻어진 제2 수지층의 전체면에 착색제인 NIR-43V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었다.
적외선 반사층,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준비:
적외선 반사층으로서, Nano90S(3M, 다층 수지 필름, 스미또모 쓰리엠사제 「멀티레이어 Nano 90S」)
를 준비했다.
제1 접합 유리 부재로서, 클리어 유리(두께 2.5㎜, 크기 세로 1.0m×가로 1.0m)를 준비했다.
제2 접합 유리 부재로서, 그린 유리(열선 흡수 판유리, 두께 2㎜, 크기 세로 1.0m×가로 1.0m)를 준비했다.
접합 유리의 제작: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1 수지층과, 적외선 반사층과, 제2 수지층과, 제2 접합 유리 부재를 이 순으로 적층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1 수지층과의 제1 적층체의 쐐기각은 제1 수지층의 쐐기각과 동일했다. 또한, 제2 수지층의 전체면에 착색제인 NIR-43V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수지층, 적외선 반사층 및 제2 수지층으로 구성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얻어진 접합 유리는 전체면에 걸쳐서 착색제를 갖고 있으며, 두께가 얇은 일단부로부터 40㎜ 내지 160㎜의 범위를 표시 대응 영역으로 했다. 따라서, 얻어진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는 표시 대응 영역에 착색제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2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3)
중간막의 구성을 하기의 표 1 내지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비교예 1, 2에서는 착색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비교예 1에서는, 중간막을 쐐기상으로 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제1, 제2 수지층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자외선 차폐제 및 산화 방지제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지층 중에서의 배합량으로 배합했다. 착색제는 얻어지는 수지층 100중량%에서, 하기의 표 1 내지 3에 나타내는 배합량으로 배합했다.
(평가)
(1) 다중상
중간막의 일단부가 아래가 되도록 얻어진 접합 유리를 전면 유리의 위치에 설치했다. 접합 유리의 하방에 설치한 표시 유닛으로부터 표시 정보를 접합 유리에 반사시키고, 소정의 위치에서 다중상의 유무를 눈으로 보아 확인했다. 또한 표시 정보에는, 다중상의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굵은 선 부분과 가는 선 부분이 포함되도록 했다. 다중상을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다중상의 판정 기준]
○○: 다중상이 완전히 확인되지 않고, 또한 굵은 선 부분의 상 및 가는 선 부분의 상 양쪽이 선명하게 표시된다
○: 다중상이 확인되지 않고, 또한 굵은 선 부분의 상은 선명하게 표시되지만, 가는 선의 상 선명성이 조금 떨어졌다(실사용 가능)
×: 다중상이 확인된다
상세 및 결과를 하기의 표 1 내지 3에 나타낸다. 또한, 표 중 자외선 차폐제 및 산화 방지제의 기재는 생략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1, 1A : 제1 접합 유리 부재
2, 2A : 제1 수지층
3, 3A : 적외선 반사층
4, 4A : 제2 수지층
5, 5A : 제2 접합 유리 부재
10, 10A : 중간막
10a : 일단부
10b : 타단부
11, 11A : 접합 유리
11a : 일단부
11b : 타단부
R1 : 표시 영역
R2 : 주위 영역
R3 : 셰이드 영역

Claims (13)

  1.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에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대응한 표시 대응 영역을 갖고,
    적외선 반사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을 갖고,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1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상기 제2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고,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 착색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의 양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의 한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고, 다른 쪽이 0.1mrad 미만의 쐐기각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4. 제3항에 있어서, 0.1mrad 미만의 쐐기각을 갖는 수지층이 상기 착색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또는 안트라시아닌 화합물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 중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며,
    상기 제2 수지층 중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이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지층이 가소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8.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지층의 외측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지층의 외측에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
  9. 헤드업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갖고,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은,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한 표시 대응 영역을 갖고,
    상기 중간막은, 적외선 반사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을 갖고,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1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상기 제2 수지층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지층의 외측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수지층의 외측에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수지층과의 제1 적층체 및 상기 제2 수지층과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와의 적층체 중 적어도 한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고,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 착색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층 및 상기 제2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 접합 유리.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에 있어서, 외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으로부터 열선이 입사되는 내부 공간과의 사이의 개구부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외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내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접합 유리이고,
    상기 제1 수지층이 0.1mrad 이상의 쐐기각을 갖는, 접합 유리.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에 있어서, 외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으로부터 열선이 입사되는 내부 공간과의 사이의 개구부에,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외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내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접합 유리이고,
    상기 제2 수지층이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 착색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
  13. 외부 공간과 상기 외부 공간으로부터 열선이 입사되는 내부 공간과의 사이의 개구부와, 화상 표시용 광을 상기 접합 유리에 조사하기 위한 광원 장치를 갖는 건축물 또는 차량에서,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외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상기 내부 공간측에 위치하도록,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를 상기 개구부에 설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
KR1020207025565A 2018-03-29 2019-03-29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 KR202001381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5771 2018-03-29
JPJP-P-2018-065771 2018-03-29
PCT/JP2019/013952 WO2019189741A1 (ja) 2018-03-29 2019-03-29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191A true KR20200138191A (ko) 2020-12-09

Family

ID=6806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565A KR20200138191A (ko) 2018-03-29 2019-03-29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958270B2 (ko)
EP (1) EP3778517A4 (ko)
JP (1) JPWO2019189741A1 (ko)
KR (1) KR20200138191A (ko)
CN (1) CN111918850B (ko)
MX (1) MX2020010146A (ko)
TW (1) TWI829682B (ko)
WO (1) WO2019189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11443A (zh) * 2020-04-07 2021-12-17 法国圣戈班玻璃厂 具有楔形截面的多层的着色中间层
US11780211B2 (en) 2020-04-07 2023-10-10 Saint-Gobain Glass France Colored thermoplastic intermediate layer with wedge-shaped cross-section
WO2022271905A1 (en) * 2021-06-25 2022-12-29 Solutia Inc. Ir-reflective compound interlayers
CN113878953A (zh) * 2021-10-08 2022-01-04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夹层玻璃及抬头显示系统
WO2023110261A1 (en) * 2021-12-15 2023-06-22 Agc Glass Europe Glazing unit for head up display
TW202402521A (zh) * 2022-04-15 2024-01-16 日商積水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層合玻璃用中間膜及其製造方法、以及層合玻璃及其製造方法
WO2024035596A1 (en) * 2022-08-08 2024-02-15 Pittsburgh Glass Works Llc Reflective glass displays and associated methods for manufacturing reflective glass displays
WO2024034436A1 (ja) * 2022-08-10 2024-02-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2525A (ja) 1989-10-16 1992-05-07 リビー―オーウェンズ―フォード・カンパニー 車輌のウィンドシールド用表示パネル
JP2017081775A (ja) 2015-10-26 2017-05-1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1011A (ko) * 2005-05-11 2008-03-06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쐐기 프로파일을 갖는 중합체 중간층
BRPI0711462B1 (pt) * 2006-05-12 2022-05-17 Sekisui Chemical Co., Ltd Filme para camada intermediária de um vidro laminado e vidro laminado
EP2454398A2 (en) * 2009-07-16 2012-05-23 MEMC Singapore Pte. Ltd. Coated crucibles and methods for preparing and use thereof
IN2012DN01228A (ko) 2009-08-12 2015-04-10 Asahi Glass Co Ltd
JP2013006730A (ja) * 2011-06-23 2013-01-10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10654250B2 (en) * 2012-07-31 2020-05-19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laminated glass, and method of mounting laminated glass
EP2878442A1 (de) * 2013-11-29 2015-06-03 Kuraray Europe GmbH Verbundglaslaminate mit Wärmestrahlung abschirmenden Eigenschaften
KR102304690B1 (ko) 2014-09-29 2021-09-27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BR112017016616B1 (pt) 2015-02-05 2022-05-24 Sekisui Chemical Co., Ltd Película de intercamada para vidro laminado, e vidro laminado
MX2018006264A (es) 2015-12-18 2018-09-07 Sekisui Chemical Co Ltd Capa intermedia para vidrio laminado, cuerpo de rollo y vidrio laminado.
WO2018041472A1 (de) * 2016-09-01 2018-03-08 Saint-Gobain Glass France Verbundscheibe für ein head-up-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2525A (ja) 1989-10-16 1992-05-07 リビー―オーウェンズ―フォード・カンパニー 車輌のウィンドシールド用表示パネル
JP2017081775A (ja) 2015-10-26 2017-05-1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58270B2 (en) 2024-04-16
TW201941948A (zh) 2019-11-01
WO2019189741A1 (ja) 2019-10-03
US20210078303A1 (en) 2021-03-18
EP3778517A1 (en) 2021-02-17
TWI829682B (zh) 2024-01-21
CN111918850A (zh) 2020-11-10
EP3778517A4 (en) 2021-12-22
CN111918850B (zh) 2023-08-18
JPWO2019189741A1 (ja) 2021-04-15
MX2020010146A (es)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8191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
KR102609898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00138721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
KR102049495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WO2017170728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102350188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00138722A (ko) 접합 유리,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조 방법
CN109311748B (zh) 夹层玻璃用中间膜、卷体及夹层玻璃
JP7477974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200138190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00099961A (ko) 접합 유리
KR20200103622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00138188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설치 방법
KR20200099962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00138189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