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364B1 - 이형 필름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형 필름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364B1
KR102528364B1 KR1020207017871A KR20207017871A KR102528364B1 KR 102528364 B1 KR102528364 B1 KR 102528364B1 KR 1020207017871 A KR1020207017871 A KR 1020207017871A KR 20207017871 A KR20207017871 A KR 20207017871A KR 102528364 B1 KR102528364 B1 KR 102528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vex
release film
concavo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0848A (ko
Inventor
노부아키 사사키
요시히데 사토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90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f the release l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8Release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ulphones; polysulf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ke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28Vinyl resin particles, e.g. polyvinyl acetate, polyvinyl alcohol polymers or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 B32B2264/0235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5Acrylic resin particles, e.g. polymethyl methacrylate or ethylene-acrylat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92Polyurethan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5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release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점착 필름 표면에 요철 구조를 전사할 수 있는 이형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요철 구조를 전사한 점착 필름을 첩착할 때의 공기의 빠짐이 양호하고, 그러면서도, 당해 점착 필름을 점착한 후에 당해 요철 구조를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이형 필름으로서, 상기 요철 구조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당해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불규칙한 형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요철 구조의 표면에 차지하는 볼록부의 면적 비율이 10~90%이며, 또한, 상기 요철 구조의 최대 고저차가 0.5㎛ 이상이고, 상기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볼록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연속하고 있는 이형 필름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이형 필름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표면에 요철 구조를 구비한 이형 필름으로서, 당해 이형 필름에 적층하는 필름의 표면에 상기 요철 구조를 전사할 수 있는 이형 필름,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및 당해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벽이나 창문, 자동차 장식이나 창문, 휴대전화나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 표시부 등에, 예를 들면 장식 필름, 자외선 차단 필름, 블루 라이트 차단 필름, 내찰상 필름, 내열 필름, 비산 방지 필름, 지문이나 피지 부착 방지 필름 등, 각종 기능을 구비한 점착 필름(「기능성 점착 필름」이라고 칭함)을 첩부(貼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 점착 필름을, 피착면에 첩합(貼合)할 때, 공기를 끌어들여, 피착체 표면과 기능성 점착 필름의 사이에 기포(공기 고임)가 생겨버리는 경우가 있다. 기능성 점착 필름과 피착체와의 사이에 기포가 잔류하면, 미관을 손상시킬 뿐 아니라, 기능성 점착 필름이 구비하는 기능을 저하시키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기능성 점착 필름을 첩합할 때, 이와 같은 공기의 끌어들임을 방지하기 위해, 기능성 점착 필름의 표면에 요철을 마련하여, 기능성 점착 필름과 피착면과의 사이에 끌어들여진 공기를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는 궁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서로 연결한 복수의 선 형상 융기부에 의해 구성되는 엠보스 패턴을 가지는 박리 라이너 및 상기 박리 라이너를 사용한 접착 시트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요철 형상을 가지는 점착 필름은, 피착체에 첩부할 때에 끌어들여진 공기가 당해 요철 형상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기 쉽기 때문에, 피착체와 점착 필름의 사이에 공기의 정체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특허 문헌 2에는, 시트 기재 상에 점착제층이 마련되어 있는 점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으로서, 점착제층이, 혼합 용제로부터 점착제를 상분리시켜 형성한 점 형상물임과 함께, 제조할 때에는, 점착제와, 이 점착제의 양용매 및 빈용매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시트 기재 상에 도포하는 공정과, 혼합 용제를 증발시킴과 함께, 점착제를 상분리시켜, 점 형상물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기재 상에 점착성을 가지는 수지층을 마련한 점착 필름이며, 수지층에 미립자를 함유함으로써 부정형(不定形)의 오목부가 자기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는, 기재에 특정의 알킬화 멜라민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화성 재료를 도포하여 경화함으로써, 그 경화막 표면에, 조면화(粗面化) 효과가 높고, 또한 랜덤인 패턴의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기재와, 기재의 위에 마련된 수지층과, 수지층의 기재와 반대측의 면에 마련된 박리제층을 구비하는 이형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지층이, 탄소수 4~18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화 멜라민 수지 (A)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경화성 재료를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박리제층의 표면에는, 평균 마루(mountain) 높이가 0.5㎛ 이상이 되는 능선이 존재하도록 요철이 마련된 이형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6-70273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04-277534호 공보 WO2015/152352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6-188344호 공보
표면에 요철 구조를 구비한 기능성 점착 필름에 관해서는, 당해 요철 구조의 요철 깊이가 크면, 공기를 빠져나가게 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는 반면, 점착 필름을 첩착한 후에, 당해 요철의 모양이 보이게 되어버려 외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점착 필름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전사할 수 있는 이형 필름에 관한 것이며, 요철 구조를 전사한 점착 필름을 첩착할 때의 공기의 빠짐이 양호하고, 그러면서도, 당해 점착 필름을 점착한 후에 당해 요철 구조를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이형 필름을 제안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표면에 요철 구조를 구비한 점착 시트를 구비한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와 같은 점착 시트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또한, 당해 점착 시트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요철 구조를 전사한 점착 시트를 첩착할 때의 공기의 빠짐이 양호하며, 그러면서도, 당해 점착 시트를 점착한 후에 당해 요철 구조를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새로운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측에,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가지는 요철층을 구비한 이형 필름으로서, 상기 요철 구조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당해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불규칙한 형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요철 구조의 표면에 차지하는 볼록부의 면적 비율이 10~90%이며, 또한, 상기 요철 구조의 최대 고저차가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또한, 지지체와,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와, 이형 필름이 순차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롤 형상의 적층체로서,
상기 이형 필름은,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측에,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가지는 요철층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당해 요철 구조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당해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불규칙하고 또한 연속된 형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것이며,
상기 요철층의 표면에 점착층을 적층시킴으로써, 당해 이형 필름과 적층하는 점착층의 일방의 표면에 상기 요철 구조가 전사됨과 함께, 당해 점착 시트의 타방의 표면에 지지체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롤 형상의 적층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또한, 지지체와,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와, 이형 필름이 순차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이형 필름은,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측에,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가지는 요철층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당해 요철 구조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당해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불규칙 또한 연속된 형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것이며,
이형 필름의 상기 요철층의 표면(「요철층 표면」이라고 칭함)에 점착층을 적층시킴으로써, 당해 이형 필름과 적층하는 점착층의 일방의 표면에 상기 요철 구조를 전사함과 함께, 당해 점착 시트의 타방의 표면에 지지체를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이형 필름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요철 구조의 표면에 차지하는 볼록부의 면적 비율이 10~90%이고, 또한, 상기 요철 구조의 최대 고저차가 0.5㎛ 이상이기 때문에, 당해 요철 구조를 전사한 점착 필름에 있어서, 당해 점착 필름을 첩착할 때의 공기의 빠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형 필름에 있어서의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불규칙한 형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당해 점착 필름에 전사되는 요철 구조에 있어서도 불규칙한 형상이 형성되고, 점착 후에 당해 요철 구조를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표면에 요철 구조를 구비한 이형 필름에 점착층을 적층시킴으로써, 당해 이형 필름의 요철 구조를 점착층에 전사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에 요철 구조를 구비한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게다가, 제조한 상태에서 이형 필름을 벗기지 않고 적층체를 보존해 두면, 점착층에 전사된 요철 구조가 변형되지 않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형 필름을 박리하면, 당해 점착 시트를 그대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층에 전사되는 요철 구조는,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불규칙하고 또한 연속된 형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당해 점착 시트를 첩착할 때의 공기의 빠짐을 양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착 후에 당해 요철 구조를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작한 이형 필름(샘플)의 요철층 표면을 Vert Scan(등록 상표)으로 검출한 확대 화상(스케일: 703.12㎛×937.42㎛)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서 제작한 이형 필름(샘플)의 요철층 표면을 VertScan(등록 상표)으로 검출한 확대 화상(스케일: 703.12㎛×937.42㎛)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서 제작한 이형 필름(샘플)의 요철층 표면을 VertScan(등록 상표)으로 검출한 확대 화상(스케일: 703.12㎛×937.42㎛)이다.
도 4는 실시예 4에서 제작한 이형 필름(샘플)의 요철층 표면을 VertScan(등록 상표)으로 검출한 확대 화상(스케일: 703.12㎛×937.42㎛)이다.
도 5는 실시예 5에서 제작한 이형 필름(샘플)의 요철층 표면을 VertScan(등록 상표)으로 검출한 확대 화상(스케일: 703.12㎛×937.42㎛)이다.
도 6은 실시예 6에서 제작한 이형 필름(샘플)의 요철층 표면을 VertScan(등록 상표)으로 검출한 확대 화상(스케일: 703.12㎛×937.42㎛)이다.
도 7은 실시예 7에서 제작한 이형 필름(샘플)의 요철층 표면을 VertScan(등록 상표)으로 검출한 확대 화상(스케일: 703.12㎛×937.42㎛)이다.
도 8은 실시예 8에서 제작한 이형 필름(샘플)의 요철층 표면을 VertScan(등록 상표)으로 검출한 확대 화상(스케일: 703.12㎛×937.42㎛)이다.
도 9는 실시예 9에서 제작한 이형 필름(샘플)의 요철층 표면을 VertScan(등록 상표)으로 검출한 확대 화상(스케일: 703.12㎛×937.42㎛)이다.
도 10은 상기 도 1~9에 있어서의 확대 화상 스케일 도이며, 오른쪽의 세로 띠에 있어서, 흰 부분이 볼록부, 검은 부분이 오목부에 상당한다.
이어서, 실시 형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이어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이형 필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와 관련된 이형 필름(「본 이형 필름」이라고 칭함)은,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측에,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가지는 요철층을 구비한 이형 필름이다.
본 이형 필름은, 당해 이형 필름에 적층하는 점착 필름 등의 표면에 상기 요철 구조를 전사할 수 있는 점에서, 요철 구조 전사 필름이라고 할 수도 있다.
본 이형 필름은,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측에 요철층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기재와 요철층과의 사이에 「기능층」 등의 다른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또한, 기재의 요철층과는 반대측에 상기 요철층과 마찬가지의 층 등의 다른 층을 구비해도 되고, 또한, 요철층의 외측에 「박리층」 등의 다른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이형 필름은 또한,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기재 또는 요철층 또는 이들 양 층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및/또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및/또는, 그 밖의 층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해도 된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기능층, 박리층 등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해도 된다.
이형 필름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함으로써, 이형 필름의 표면 저항값을 낮출 수 있고, 당해 이형 필름을 대전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이면 「대전 방지층」이라고 칭한다. 즉, 예를 들면, 기재, 요철층, 기능층, 박리층 등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기재, 요철층, 기능층, 박리층 등이 대전 방지층을 겸하는 것이 된다.
대전 방지층을 마련할 때, 그 위치는,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마련해도 되고, 또한, 요철층의 외측에 마련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이형 필름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으면, 본 이형 필름의 표면 저항값을 낮출 수 있어, 본 이형 필름을 대전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공하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먼지 등의 부착을 방지할 수도 있다.
기재에 대하여 요철층을 가지는 측에 대전 방지층을 마련하면, 요철 형상이 전사된 점착 필름 등으로부터 본 이형 필름을 박리할 때의 대전을 억지할 수 있다. 또한, 기재에 대하여 요철층과는 반대측에 대전 방지층을 마련하면, 본 이형 필름과 점착 필름이 적층된 상태로 보관할 때 등에, 마찰 등에 의해 발생하는 대전을 억지할 수 있다.
<기재>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종이, 각종 수지 필름, 종이 기재를 수지로 라미네이트한 기재, 유리, 금속박, 금속박을 수지로 라미네이트한 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종이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박엽지, 중질지, 상질지, 함침지, 코팅지, 아트지, 황산지, 글라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환상(環狀) 폴리올레핀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불소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아크릴 수지 등의 각종 수지를 주성분 수지로 하는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은, 무연신 필름(시트)이어도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2축 연신 필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이형 필름의 요철 형상을 전사하는 점착 필름은, 일반적으로 유연한 재질이기 때문에, 기재가 2축 연신 필름이면 본 이형 필름의 강성은 높아지므로, 점착 필름 등으로부터의 박리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종이 기재를 수지로 라미네이트한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종이 기재를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라미네이트한 라미네이트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박으로서는, 알루미늄 호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이형 필름의 절단(재단) 시에 종이 가루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요철 구조를 전사하는 점착 필름 등에도 종이 가루의 부착이 발생하지 않는 점에서, 상기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고, 가공의 용이성, 내구성, 내열성, 비용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 수지로 하는 수지 필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 수지로 하는 수지 필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주성분 수지」란,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중에서도 가장 함유량이 많은 수지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50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70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80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90질량% 이상(100질량%를 포함함)을 차지하는 수지를 말한다.
기재는, 단층 구성의 것이어도 되고, 동종(同種) 또는 이종(異種)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성의 것이어도 된다.
기재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5㎛~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 이상 혹은 300㎛ 이하, 그 중에서도 15㎛ 이상 혹은 2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기재로서 수지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이활성(易滑性)의 부여를 주된 목적으로 하여,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기재에 함유시키는 입자의 종류는, 이활성 부여 가능한 입자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실리카,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탄산 바륨, 황산 칼슘, 인산 칼슘, 인산 마그네슘, 카올린, 산화 알루미늄, 산화 티탄 등의 무기 입자 외에, 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등의 유기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입자의 형상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구상(球狀), 괴상(塊狀), 막대 형상, 편평 형상 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당해 입자의 경도, 비중, 색 등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다. 이들 일련의 입자는,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1㎛ 이상 혹은 3㎛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의 평균 입경이 당해 범위이면, 기재에 적당한 표면 조도를 부여할 수 있어, 양호한 슬라이딩성과 평활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의 입자 및 대전 방지제 이외에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의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윤활제, 자외선 흡수제, 연화제, 결정핵제, 염료, 안료 등을 함유해도 된다.
<기능층>
필요에 따라 각종 기능을 구비한 층(「기능층」이라고 칭함)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 상기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기능층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재와 상기 요철층의 사이에 기능층을 마련할 수 있다. 혹은, 상기 기재에 대하여, 상기 요철층의 반대면에 기능층을 마련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상기 요철층의 표면에 기능층을 마련할 수도 있다.
요철층의 표면에 기능층을 마련할 때에는, 요철층에 의해 형성되는 요철 구조(후술)가 손상되지 않도록 재질, 두께 등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요철층의 표면에 기능층을 마련할 때의 두께는, 통상 1㎚~5㎛, 바람직하게는 1㎚~1㎛ 정도이다.
당해 기능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접착층, 대전 방지층, 이활층, 수증기 등의 기체 배리어층, 기재 함유물의 석출 방지층, 자외선 흡수층, 스크래치 방지층, 방오층, 항균층, 반사 방지층, 광택층, 매트층, 잉크 수용층, 착색층, 인쇄층 등의 각종 기능을 구비한 층을 들 수 있다.
(대전 방지층)
상기의 대전 방지층은,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이면 된다.
당해 대전 방지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대전 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4 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제 1~3급 아미노기 등의 카티온성기를 가지는 각종의 카티온성 대전 방지제, 술폰산염기, 황산 에스테르염기, 인산 에스테르염기, 포스폰산염기 등의 아니온성 기를 가지는 아니온계 대전 방지제, 아미노산계, 아미노 황산 에스테르계 등의 양성 대전 방지제, 아미노알콜계, 글리세린계, 폴리에틸렌글리콜계 등의 논이온성의 대전 방지제 등의 각종 계면활성제형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대전 방지층으로부터의 블리드 아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암모늄기 함유 화합물, 폴리에테르 화합물, 술폰산 화합물, 베타인 화합물 등의 이온 도전성의 고분자 화합물, 또는, 폴리아세틸렌, 폴리페닐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이소티아나프텐, 폴리티오펜 등의 π전자 공액계의 고분자 화합물 등의 고분자 화합물인 대전 방지제를 들 수 있다.
도포액화의 관점 및 대전 방지층으로부터의 블리드 아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대전 방지제로서는, 카티온성의 고분자 화합물, 특히 암모늄기 함유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층이 기재나 요철층과는 상이한 독립된 층으로서 존재하는 경우(상기 서술한 기능층인 경우를 포함함), 당해 대전 방지층은, 대전 방지제와 함께, 바인더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인더 폴리머로서는, 대전 방지제와 상용 또는 혼합 분산 가능하면, 경화성 수지여도, 열가소성 수지여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폴리이미드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11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폴리불화비닐리덴, 또는,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비닐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성 수지로서는, 후술하는 요철층을 형성할 때에 이용하는 재료와 마찬가지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전 방지제가 고분자 화합물인 경우에는, 바인더 폴리머를 이용하지 않고 대전 방지제만으로 대전 방지층을 구성해도 된다.
독립된 층으로서 존재하는 경우의 대전 방지층의 두께는, 대전(박리 대전이나 마찰 대전)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통상 1㎚~5㎛, 바람직하게는 1㎚~1㎛ 정도이다.
대전 방지층 중의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은, 대전 방지층 전체에 대하여, 1질량% 이상, 9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 8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0질량% 이상, 6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면, 본 이형 필름에 대하여 적당한 대전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요철층>
상기 요철층은, 볼록부와 당해 볼록부 이외의 부분(「오목부」라고 칭함)을 가지는 요철 구조를, 그 표면에 구비한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 구조는, 그 표면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볼록부가 불규칙한 형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는, 흰 부분이 볼록부에 상당한다.
여기서, 「불규칙한 형상」이란, 일정한 규칙성 및 주기성을 갖지 않는 형상을 의미한다. 바꿔 말하면, 직선만으로 형성되는 형상, 동일 패턴의 곡선으로 형성되는 형상, 엠보스 롤에 의해 전사되는 형상, 및, 이들을 조합시킨 형상과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동일 형상(모양)이 반복되는 형상을 제외한 형상이 「불규칙한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불규칙성은, 모양 자체의 불규칙성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형상을 구성하는 요소의 크기의 불규칙성(예를 들면, 물방울 모양에 있어서의 물방울의 크기의 불규칙성)이나, 형상을 구성하는 요소의 배치의 불규칙성(예를 들면, 물방울 모양에 있어서의 물방울의 배치의 불규칙성) 등을 포함한다.
불규칙한 형상으로서는, 전형적으로는, 도 1~9로 나타나는 것 같은, 비상용(非相溶)인 폴리머 등을 혼합하였을 때에 자연히 형성되는 해도(海島) 구조에 의한 형상, 볼록부가 불규칙한 망목(網目) 형상, 불균일한 형상의 볼록부가 불규칙하게 존재하는 형상을 들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기 볼록부가 불규칙한 형상을 본 이형 필름의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점착 필름에 전사되는 요철 구조에 있어서도 불규칙한 형상이 형성되고, 점착 후에 당해 요철 구조를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요철 구조는, 그 표면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볼록부에 의해, 불규칙한 형상이 주위 방향, 예를 들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여 불규칙한 모양, 예를 들면 망목 모양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불규칙한 형상이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는 경우에는, 불규칙한 형상의 크기나 형상이 일정하지 않으며, 형상의 반복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불규칙한 형상의 배치도 불규칙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볼록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적절히 면적을 가지는 괴(塊)로서 산재해도, 단속적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연속해서 이어져 있어도 된다.
이 때, 개개의 볼록부의 X 좌표의 중심과 Y 좌표의 중심을 지나는 직경 중 최대값의 직경을 「최장 직경」이라고 하고, 당해 최장 직경 중, 측정 영역 중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는 직경을 「최대 최장 직경」이라고 한다.
볼록부의 최대 최장 직경은, 요철 형상을 전사한 점착 필름을 첩착할 때에 공기의 빠짐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점착 후에 당해 요철 구조를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에서, 1㎛~1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 이상 혹은 1200㎛ 이하, 그 중에서도 100㎛ 이상 혹은 1000㎛ 이하, 그 중에서도 300㎛ 이상 혹은 8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볼록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연속하고 있어도 되고, 그 중에서도 적절한 길이가 연속된 선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도 된다.
요철 구조를 전사한 점착 필름을 첩착할 때의 공기 빠짐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보면, 그 중에서도, 필름 둘레 가장자리부까지 연속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형 필름 표면의 요철 구조의 표면을 광 간섭법으로 측정한 화상에 있어서, 당해 이형 필름 표면의 703.13㎛×937.42㎛의 화상 영역(5배의 대물 렌즈 상당)에 있어서, 볼록부가 당해 화상 영역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대응하는 가장자리부까지, 예를 들면 상변부로부터 하변부 또는 좌변부로부터 우변부까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가로세로 5㎜×5㎜,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로세로 30㎜×30㎜, 가장 바람직하게는 가로세로 100㎜×100㎜에 있어서, 볼록부가 가장자리부로부터 대응하는 가장자리부까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볼록부는, 본 이형 필름에 의해 요철 구조를 전사된 점착 필름 등에 있어서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본 이형 필름의 볼록부가 상기와 같이 연속하고 있으면, 점착 필름 등에 있어서 공기가 빠지는 길도 연속하는 것이 된다. 단, 이 경우, 볼록부의 일부에 불연속인 개소가 있어도 된다.
일례로서, 필름 둘레 가장자리부까지 연속하는 볼록부에 의해, 불규칙한 형상이 연속하여 망목 모양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를 일례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선행 특허 문헌 4(일본공개특허 특개2016-188344호 공보)에 개시된 요철 구조의 볼록부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연속으로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볼록부가 연속이 되어 있으면 공기의 빠짐을 보다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서술한 선행 특허 문헌 2(일본공개특허 특개2004-277534호 공보)는, 점착 필름의 점착층이 요철을 가지는 양태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 양태에서는, 가령 연속된 볼록부 내지 요철 구조를 형성했다고 해도, 점착 필름을 겹치거나, 롤체로 하거나 한 경우, 요철이 찌부러지거나, 블로킹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점착제는 상당히 한정되는 것이 되어, 현실적이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조에 존재하는 볼록부의 개수는, 요철 형상을 전사한 점착 필름을 첩착할 때에 공기의 빠짐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점착 후에 당해 요철 구조를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에서 보면, 703.12㎛×937.42㎛의 영역당 1개~1000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500개 이하, 그 중에서도 100개 이하, 그 중에서도 1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 구조에 존재하는 볼록부의 상기 개수는, 예를 들면 화상 해석 소프트를 이용하여, 단위 면적에 있어서의 이형 필름 표면에 나타나는 볼록부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조는, 그 표면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표면에 차지하는 볼록부의 면적 비율의 하한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10% 이상이면, 공기 빠짐성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볼록부의 면적 비율의 하한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한편, 본 이형 필름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면적 비율의 상한은,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부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90% 이하이면, 점착 필름을 형성하였을 때에 점착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볼록부의 면적 비율의 상한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다.
그 중에서도, 볼록부의 면적 비율이 10~50%의 범위이면, 점착 필름을 첩착하였을 때에 이형 필름의 요철 구조가 보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양호한 외관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볼록부의 면적 비율이 50~90%의 범위이면, 점착 필름을 첩착할 때의 공기의 빠짐을 양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 구조에 차지하는 볼록부의 면적 비율은, 상기 요철 구조의 표면을 화상 분석에 의해, 오목부와 볼록부의 2개의 영역으로 2치화함으로써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 구조의 표면을, 이와 같이 화상 분석에 의해, 오목부와 볼록부의 2개의 영역으로 2치화할 때, 요철 구조의 표면 전체를 2치화해도 되고, 요철 구조의 표면을 복수 개소로 나누어, 각 개소에서 2치화하여, 그 평균을 구해도 된다. 그 때, 적어도 임의의 3개소, 그 중에서도 5개소, 그 중에서도 10개소의 평균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 구조에 있어서, 볼록부의 면적을 크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후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볼록부의 주성분을 이루는 성분 B의 배합량을 많게 하거나, 당해 성분 B의 분자량을 크게 하거나 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요철의 최대 고저차의 하한은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철의 최대 고저차가 0.5㎛ 이상이면, 상기 요철 구조를 전사한 점착 필름을 첩착할 때에 공기의 빠짐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상기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요철의 최대 고저차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한편, 상기 요철 구조의 요철의 최대 고저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철의 최대 고저차는, 통상은 40㎛ 이하이다. 요철의 최대 고저차가 40㎛ 이하이면, 점착 필름과 첩착 후에 당해 요철 구조를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와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상기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요철의 최대 고저차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그 중에서도, 상기 요철 구조의 요철의 최대 고저차가 0.5~15㎛이면, 충분한 공기 빠짐성이 얻어질 뿐만 아니라, 기재가 투명한 점착 필름을 이용할 때, 첩착 후에 요철 구조를 특히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 구조의 요철의 최대 고저차가 15~40㎛이면, 우수한 공기 빠짐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기재가 매트조(調) 혹은 불투명한 점착 필름을 이용할 때, 첩착 후에 요철 구조를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요철의 최대 고저차는, 예를 들면 요철층을 형성할 때의 도포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요철의 최대 고저차는, 오목부의 극소값과 당해 오목부 주변의 극대값의 차, 또는, 볼록부의 극대값과 당해 볼록부 주변의 극소값의 차 중에서의 최대값으로서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철의 최대 고저차를 형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요철층을 형성하는 재료>
본 이형 필름에 있어서의 요철층은, 형성하는 재료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요철층은, 2종류 이상의 폴리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이들을 일괄하여 「폴리머 등」이라고 칭함)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종류 이상의 폴리머 등을 함유하는 코트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후술과 같이, 상이한 폴리머 등간의 상분리성을 이용하여 요철층을 형성하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즉, 요철층은, 2종류 이상의 폴리머 등이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머란,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또한, 모노머는, 중합이나 가교 반응의 원료 혹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원료로서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상기 요철 구조에 있어서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조성과, 볼록부를 형성하는 조성이 서로 상이한 예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목부를 형성하는 성분 중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성분이 성분 A이며, 볼록부를 형성하는 성분 중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성분이 성분 B인 경우에, 성분 A와 성분 B가 상이한 예를 들 수 있다.
(성분 A)
오목부를 형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을 차지하는 성분 A는, 성분 B와 비상용이며, 도공 후에 주로 요철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용해성 파라미터(SP(A))가 8~21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 이상 혹은 20 이하, 그 중에서도 12 이상 혹은 19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도포액의 도공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한 점도로 하는 관점에서, 성분 A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이 300~300,000의 폴리머 등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000 이상 혹은 200,000 이하, 그 중에서도 5,000 이상 혹은 100,0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A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류, 폴리에스테르류, 폴리우레탄류, 폴리올레핀류, 폴리에테르류, 폴리스티렌류, 폴리카보네이트류, 폴리아크릴로니트릴류, 폴리아미드류, 폴리이미드류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분자량이나 SP값을 조정하기 쉽고, 요철 형상을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 A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성분 A가 아크릴계 폴리머 등인 경우, 그 SP값을 보다 높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폴리머의 수지의 측쇄에 극성이 높은 관능기를 많이 포함하도록 설계하면 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실기를 가지는 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글리시딜기를 가지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성분 B)
한편, 볼록부를 형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을 차지하는 성분 B는, 성분 A와 비상용이며, 도공 후에 주로 요철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성분 B의 용해성 파라미터(SP(B))는, 7~2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8 이상 혹은 18 이하, 그 중에서도 9 이상 혹은 17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성분 B의 용해성 파라미터(SP(B))는, 성분 A의 용해성 파라미터(SP(A))보다 0.01~10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05 이상 낮은 혹은 7 이하의 범위로 낮고, 그 중에서도 0.1 이상 낮은 혹은 4 이하의 범위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이형 필름은, 상이한 폴리머 등간의 상분리성을 이용하여 요철 구조를 형성시키는 경우, 성분 B의 용해성 파라미터(SP(B))가, 성분 A의 용해성 파라미터(SP(A))보다 0.01~10 높아도 된다.
요철층이 3종류 이상의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고, 성분 A, 성분 B 중 적어도 어느 것이 2종 이상의 폴리머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중 어느 조합에 있어서 상기의 관계성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이어서 서술하는 질량 평균 분자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포액의 도공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한 점도로 하는 관점에서, 성분 B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500~4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000 이상 혹은 300,000 이하, 그 중에서도 10,000 이상 혹은 250,0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성분 B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상기 성분 A의 질량 평균 분자량(Mw)보다 1000 이상 큰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볼록부를 주로 형성하는 성분 B는, 요철 구조를 형성할 때의 건조 온도를 충분히 견디어낼 수 있고, 형상을 보지(保持)하는 관점에서, 성분 B의 유리 전이 온도는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50℃ 이상, 그 중에서도 6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성분 B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류, 폴리에스테르류, 폴리우레탄류, 폴리올레핀류, 폴리에테르류, 폴리스티렌류, 폴리카보네이트류, 폴리아크릴로니트릴류, 폴리아미드류, 폴리이미드류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분자량이나 SP값을 조정하기 쉽고, 요철 형상을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 B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성분 B가 아크릴계 폴리머 등인 경우, 그 SP값을 보다 낮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 1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로서 SP값이 낮은 것을 선택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시클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가지는 페닐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구조 단위를 함유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용해성 파라미터(SP값)는, Solubility Parameter이며, 용해성의 척도가 되는 것이다. 용해성 파라미터는, 그 값이 클수록 극성이 높고, 반대로 수치가 작을수록 극성이 낮은 것을 나타낸다.
SP값은, 탁도법, Fedors의 추산법 등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요철층에 있어서, 오목부 및 볼록부 모두, 그 중에서도 특히 볼록부는,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가교하고 있는 것, 즉 가교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하고 있는지 여부는, 각 부위의 겔분율을 측정하고, 당해 값이 0%보다 크고, 특히 5% 이상, 그 중에서도 10% 이상인 것을 확인함으로써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2종류 이상의 폴리머 등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이, 가교성 구조를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또는, 가교성 구조를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요철층을 가교 내지 경화함으로써, 상기 요철층은, 경화물을 함유하는 것이 되어,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화물이란, 가교성 구조를 가지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또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경화된 것의 의미이다.
또한, 가교성 구조란, 가교하는 성질을 가지는 구조를 말하고, 가교 구조란, 가교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를 말한다.
열가소성 수지에 가교성 구조를 도입하는 방법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성분 A, 성분 B, 혹은 그 밖의 열가소성 수지에 가교성 구조를 도입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때, 가교성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탄소-탄소 이중 결합과 같은 가교성 불포화 결합이나, 화학 결합이 가능한 관능기, 예를 들면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이소시아네이트기, 글리시딜기, 옥사졸린기, 산무수물기, 알데히드기, 메르캅토기, 에폭시기, 카르보디이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에 예시되는 가교성 구조는, 성분 A, 성분 B, 혹은 그 밖의 열가소성 수지에 공중합이나 고분자 반응에 의해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가교 구조란, 공유 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온 결합이나 배위 결합, 수소 결합과 같은 유사 가교도 포함한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2액성 경화 수지 조성물, 상온 경화 수지 조성물, 광경화 수지 조성물 또는 열경화 수지 조성물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광 에너지 또는 열 에너지를 부여함으로써 조성물이 반응하여 경화(가교)되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 또는 열경화 수지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이, 성분 A 혹은 성분 B 자체를 구성해도 되고, 요철층을 형성하는 성분 A, 성분 B 이외의 다른 성분으로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성분 A 혹은 성분 B 자체가 경화성 수지 조성물인 경우에는, 이러한 성분을 구성하는 모노머를 요철층의 원료로서 사용하고, 경화 반응에 의해 성분 A 혹은 성분 B로 함으로써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광 또는 열경화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면 광가교성 화합물, 광가교 개시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광경화성 조성물이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광가교성 화합물로서는, 가교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광가교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 조사를 응용하는 경우, 벤조인계, 아세토페논계, 티오크산톤계, 포스핀옥사이드계 및 퍼옥사이드계 등의 광가교성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및 아크릴 수지나, 투명 폴리이미드 전구체 바니시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을 총괄하면, 2종류 이상의 폴리머가 기여하는 요철층을 형성하는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형성예로 분류된다. 단, 이들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기재는 성분 A, 성분 B 이외의 부가적인 임의 성분의 함유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a) 2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머에 의해 요철층을 형성.
(b) 2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머와 가교제를 원료로 하고, 가교제를 경화시킴으로써 요철층을 형성.
(c) 2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머 중,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머에 가교성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당해 가교성 구조를 가교시킴으로써 요철층을 형성.
(d) 2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머 중,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머에 가교성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추가로 가교제를 함유하는 원료에 대하여, 당해 가교성 구조와 가교제와의 사이에서 가교 및 경화시킴으로써 요철층을 형성.
(e) 1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머와, 중합성 모노머와 가교제를 원료로 하고, 중합성 모노머와 가교제를 중합·경화시킴으로써 요철층을 형성.
(f) 적어도 1종 이상의 폴리머에 가교성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추가로 중합성 모노머와 가교제를 함유하는 원료에 대하여, 당해 가교성 구조와 중합성 모노머와 가교제와의 사이에서 중합·가교 및 경화시킴으로써 요철층을 형성.
(g) 상기 (a)~(f) 중 적어도 2종 이상을 병용한다.
(박리 성분)
상기 요철층은, 박리성을 가지는 박리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폴리머 등이 박리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당해 폴리머 등이 박리 성분이 된다. 또한 첨가제로서 박리성을 가지는 성분을 첨가하고 있던 경우에는, 당해 첨가제가 박리 성분이 된다.
박리성을 가지는 성분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화합물 외에, 불소 화합물, 올레핀 화합물, 장쇄 알킬기 함유 화합물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폴리머 등이어도 저분자량 화합물이어도 되고, 이들 중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함유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층에 있어서의 박리 성분의 함유량은, 0.5질량%~9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질량% 이상 혹은 85질량% 이하, 그 중에서도 2.0질량% 이상 혹은 8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성분)
요철층은, 상기 서술한 성분 A, B 및 이형 성분 이외의 성분을 필요에 따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대전 방지제, 소포제, 도포성 개량제, 증점제, 유기계 윤활제, 유기 입자, 무기 입자,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광선 차단제, 발포제,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박리층>
상기 요철층의 표면에 박리층을 추가로 적층시켜, 박리성을 높일 수 있다. 당해 박리층은, 상기한 기능층의 일 양태로 위치 부여할 수 있다.
단, 반드시, 요철층의 외측 표면에 박리층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요철층이 상기 박리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등, 박리성이 충분하면, 추가로 당해 박리층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한편, 상기 요철층이 상기 박리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박리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당해 요철층의 표면에 박리층을 추가로 적층해도 된다.
또한, 박리층 중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함으로써, 대전 방지층을 겸할 수 있다.
박리층은,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계 박리제 외에, 알키드 수지계, 올레핀 수지계, 아크릴계, 장쇄 알킬기 함유 화합물계, 고무계 등의 비실리콘 수지계 등의 박리제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박리제는, 추가로 경화제, 촉매 등의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박리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25㎚~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40㎚ 이상 혹은 500㎚ 이하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박리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박리면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고, 또한 요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수지계 박리제로서는, 용제형 및 무용제형의 것이 있다. 용제형 실리콘 수지는, 용제 희석하여 도공액으로 하기 때문에, 고분자량(즉, 고점도)의 폴리머로부터 저점도의 저분자량 폴리머(올리고머)까지,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무용제형과 비교하여, 박리성의 제어가 용이하고, 요구되는 성능(품질)에 맞춘 설계가 하기 쉽다.
또한, 실리콘 수지계 박리제로서는, 부가 반응형, 축합 반응형, 자외선 경화형, 전자선 경화형 등의 것이 있다.
이 중의 부가 반응형 실리콘 수지는, 반응성이 높고 생산성이 우수하며, 축합 반응형과 비교하면, 제조 후의 박리력의 변화가 작고, 경화 수축이 없는 등의 메리트가 있기 때문에, 박리층을 형성하는 박리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가 반응형 실리콘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열경화 부가 반응형 실리콘 수지 박리제로서 관용되고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부가 반응형 실리콘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분자 중에 관능기로서, 비닐기 등의 알케닐기, 히드로실릴기 등의 구(求)전자성기를 가지는 것이, 열경화가 용이한 부가 반응형 실리콘 수지로서 들 수 있고, 이와 같은 관능기를 가지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이나, 폴리디메틸실록산의 메틸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페닐기 등의 방향족 관능기로 치환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리콘 수지계 박리제에는, 필요에 따라, 실리카, 실리콘 레진, 대전 방지제, 염료, 안료 그 밖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상기 올레핀 수지계 박리제로서는, 결정성 올레핀계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결정성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으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이소택틱 구조 또는 신디오택틱 구조를 가지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나,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결정성 올레핀계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아크릴계 박리제로서는, 일반적으로 가교 구조를 가지는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장쇄 알킬 변성 아크릴 수지, 실리콘 변성 아크릴 수지 등의 변성물이어도 된다.
상기 장쇄 알킬기 함유 화합물계 박리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중합체에 탄소수 8~30의 장쇄 알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진 폴리비닐 카바메이트나, 폴리에틸렌이민에 탄소수 8~30의 장쇄 알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진 알킬 요소 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계 박리제로서는, 예를 들면, 천연 고무계 수지, 및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등의 합성 고무계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이형 필름의 적층 구성>
본 이형 필름의 적층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기재/요철층, 기재/요철층/박리층, 기능층/기재/요철층, 기재/기능층/요철층, 기능층/기재/기능층/요철층, 기능층/기재/요철층/박리층, 기재/기능층/요철층/박리층, 기능층/기재/기능층/요철층/박리층 등의 적층 구성을 들 수 있다. 단, 이러한 적층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층을 적절히 추가하여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적층 구성에 있어서, 기재, 요철층, 기능층 및 박리층 중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층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적층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적층 구성에 있어서, 기재, 요철층, 기능층 및 박리층과는 별도로,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대전 방지층을 추가로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이러한 적층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층을 적절하게 추가하여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이형 필름의 요철 구조나 박리성을 확보하면서,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는, 기재 표면에 마련된 기능층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시킨 적층 구성, 혹은 기재 표면에 대전 방지층을 마련한 적층 구성이 바람직하다.
<본 이형 필름의 제작 방법>
본 이형 필름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제작할 수 있다. 단, 다음의 제작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이형 필름은, 기재에 요철층을 마련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요철층을 마련하는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물리적인 절삭 가공, 레이저 조사 등에 의한 절삭, 형틀에 의한 전사 등의 방법, 레지스트 재료 등에 이용하는 포토 마스킹, 인쇄, 상이한 폴리머 등간의 상분리성을 이용하여 요철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의 양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이한 폴리머 등간의 상분리성을 이용하여 요철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이한 폴리머 등간의 상분리성을 이용하면, 수㎛~수㎜ 오더의 상분리 구조에 의거한 요철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요철 구조가 전사된 점착 필름은, 양호한 점착성을 가지면서, 첩착 후에 요철 구조를 시인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이한 폴리머 등간의 상분리성을 이용하면, 사용하는 폴리머 등의 선택이나 배합 비율의 최적화 등에 의해, 요철 구조의 볼록부 형상의 불규칙성이나 연속성, 볼록부의 면적 비율, 요철 구조의 최대 고저차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의 하나로서 바람직하다.
상이한 폴리머 등간의 상분리성을 이용하여 요철층을 형성하는 경우, 2종류 이상의 폴리머 등을 이용하는 한, 그 구체적인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1)~(5) 등의 양태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복수 조합해도 된다.
(1)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폴리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제를 가해, 용매에 용해한 상태로부터 용매를 증류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분리하거나, 혹은 용융 상태로부터의 냉각 고화 과정에서 상분리함으로써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2) 열가소성 수지와 경화성 수지 조성물과,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제를 배합해 두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 과정에서, 열가소성 폴리머를 배제함으로써 상분리시켜,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3)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제를 가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배합해 두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 과정에서, 고분자량체가 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미반응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밀려나오는 형태로 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4) 상기 (1)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가교 가능한 구조로 해 두고, 상분리에 의한 요철 구조를 형성 후에 가교 반응을 행하여, 요철 구조를 고정화하는 방법.
(5) 상기 (1)에 있어서,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와 함께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혼합해 두고, 열가소성 수지의 상분리에 의해 요철 구조를 형성한 후,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요철 구조를 고정화하는 방법.
또한, 용매에 용해한 상태로부터 용매를 증류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분리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후술과 같이, 2종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이용함과 함께, 폴리머 등의 용해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요철 구조를 형성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을 채용하면, 특정의 폴리머 등과 특정의 용매를 선택 하는 것만으로, 목적으로 하는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절삭 가공 장치나, 형틀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서술한 다양한 양태 중, (5)의 양태를 예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성분 A와, 상기 성분 B와, 필요에 따라 가교 개시제 C와의 혼합 수지를, 소정의 혼합 용제 Z, 예를 들면, 성분 A, 성분 B 및 가교 개시제 C에 대하여 양용매인 용제 X와, 성분 A 및 가교 개시제 C에 대하여 양용매(즉 이들에 대하여 공용매)이며, 성분 B에 대해서는 빈용매이고, 또한 비점(沸點)이 용제 X보다 높은 용제 Y와의 혼합 용제 Z에 가해 녹여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기재의 표면에 도포한다. 혼합 용제 Z를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용제 X가 빨리 휘발되어, 용제 Y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용제 Y에 용해되기 어려운 성분 B를 석출시켜 볼록부를 형성한다. 추가로 건조시킴으로써 성분 A에 의해 오목부가 형성되어 요철 구조를 형성한다. 혹은 추가로, 예를 들면 광조사하는 등 하여 가교 개시제 C를 여기시키고 경화시켜 상기 요철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은 제작 방법에 의하면, 불규칙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를 구비한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게다가, 성분 A, 성분 B, 가교 개시제 C, 용제 X 및 Y의 재료의 선택이나 배합량의 조정에 의해, 요철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교 개시제 C는, 반드시 배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혼합 용제 Z는 용제 X 및 용제 Y가 혼화(混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반드시 균일하게 혼합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현탁액이어도 된다.
상기 제작 방법에 있어서, 요철층이 형성되는 원리로서는, 상기 경화성 코트 조성물은, 도포 후에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혼합 용제 Z가 감소함에 따라 용제 중의 환경이 변화되어 나가, 상용성이 나쁜 성분 A와 성분 B가 상분리되고, 양방의 용제에 녹을 수 있는 성분은 보다 건조가 진행될때 까지 용제 중에 용해하기 때문에, 한 쪽의 용제 Y에 녹기 어려운 성분 B가 석출되어 주로 볼록부를 형성하고, 양방의 용제에 녹을 수 있는 성분 A가 주로 오목부를 형성하여, 자발적으로 요철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성분 A와 성분 B는 비상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록부의 주요 성분이 되는 성분 B의 SP값 쪽이, 성분 A의 SP값보다 0.01~10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05 이상 낮은 혹은 7 이하의 범위로 낮고, 그 중에서도 0.1 이상 낮은 혹은 4 이하의 범위로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 B)
오목부를 형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을 차지하는 성분 A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질량 평균 분자량(Mw), 소정의 SP값을 가지는 폴리머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볼록부를 형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을 차지하는 성분 B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질량 평균 분자량(Mw), 소정의 SP값을 가지는 폴리머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볼록부의 주성분을 이루는 성분 B의 배합량을 많게 하거나, 성분 B의 분자량을 크게 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면적을 크게 하거나, 볼록부의 형상을 바꾸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성분 B의 결정성을 제어함으로써, 볼록부의 극대값, 즉 요철의 최대 고저차를 조정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성분 A와 성분 B의 배합 질량 비율은, 1:99~99: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5:95~95:5, 그 중에서도 90:10~1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분 A 또는 성분 B가, 2종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각 2종 이상의 성분을 합계한 질량 비율로 한다.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면적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한 제어 인자에 하나로서는, 성분 A와 성분 B의 배합 질량 비율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볼록부, 오목부는 각각 성분 B, 성분 A만으로 구성된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의 배합 질량 비율과 볼록부의 면적 비율은 동일한 의미는 아니다.
(가교 개시제 C)
가교 개시제 C로서는, 광가교 개시제, 열가교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건조 공정에서 형성한 요철 형상의 보지(保持)의 관점에서, 속(速)경화성을 가지는 경화계가 바람직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광가교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광가교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교 개시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자외선 경화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가교 개시제의 배합량은, 성분 A 및 B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20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1질량부 이상 혹은 10질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1질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제 X)
상기 용제 X는, 성분 A, 성분 B 및 가교 개시제 C에 대하여 양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성분 A, 성분 B 및 가교 개시제 C를 모두 용해할 수 있는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 X의 비점은 50℃~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60℃ 이상 혹은 140℃ 이하, 그 중에서도 70℃ 이상 혹은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 X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케톤계 용매; 펜탄올, 헥산올, 헵탄올, 옥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아세트산 메톡시부틸, 아세트산 아밀, 아세트산 프로필, 젖산 에틸, 젖산 메틸, 젖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 나프타, 헥산, 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헵탄, 옥탄, 데칸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등의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용매는 1종만을 이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용제 Y)
타방의 용제 Y는, 성분 A 및 가교 개시제 C에 대해서는 양용매이며, 성분 B에 대해서는 빈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성분 A 및 가교 개시제 C는 용해할 수 있지만, 성분 B에 대한 용해성이 낮은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성분 B의 용해성이 낮다는 것은, 성분 B에 대하여 불용성(insoluble) 또는 팽윤(swelling)으로 분류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용제 Y의 비점은, 51℃~201℃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61℃ 이상 혹은 141℃ 이하, 그 중에서도 71℃ 이상 혹은 12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용제 Y의 비점은, 용제 X를 용제 Y보다 먼저 휘발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용제 X의 비점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80℃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2℃ 이상, 그 중에서도 5℃ 이상 높은 것이 더 바람직하다.
용제 Y가 용제 X보다 비점이 높은 용제를 이용함으로써, 용제 X가 용제 Y보다 먼저 휘발되어, 용제 Y에 녹기 어려운 성분 B가 석출되어 주로 볼록부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또한, 비점의 차에 의해, 이용하는 상기 용제 X 및 용제 Y를 선택할 수 있다. 단, 다른 특성의 차이에 의해 선택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특성으로서는, 상대 증발 속도, 소정 온도 및 압력하에서의 증기압, 성분 A 또는 성분 B의 친화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찬가지의 관점, 즉 용제 X를 용제 Y보다 먼저 휘발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용제 X의 상대 증발 속도는, 용제 Y의 상대 증발 속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용제 X의 상대 증발 속도는 1 이상이거나, 혹은, 아세트산 부틸의 상대 증발 속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용제 Y의 상대 증발 속도는 1 미만이거나, 혹은, 아세트산 부틸의 상대 증발 속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대 증발 속도」는, 25℃, 대기압하에 있어서의 아세트산 부틸의 증발 속도를 1로 정한 경우의 비(比)증발 속도라고 정의된다. 예를 들면, 각종 용제의 상대 증발 속도로서는, 아세트산 부틸: 1, MEK: 4.52, 시클로헥산: 2.9, 톨루엔: 2.66, 메톡시프로판올: 0.71, n부탄올: 0.39이다.
용제 Y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프로필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케톤계 용매; 노말 프로필알코올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아세트산 메톡시부틸, 아세트산 아밀, 아세트산 프로필, 젖산 에틸, 젖산 메틸, 젖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 나프타, 헥산, 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헵탄, 옥탄, 데칸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나 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용매는 1종만을 이용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혼합 용제 Z)
혼합 용제 Z는, 용제 X와 용제 Y를 0.1:99.9~99.9:0.1의 질량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99~99:1, 그 중에서도 10:90~90:10, 그 중에서도 15:85~85:15, 그 중에서도 80:20~20:80의 질량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용제 X 또는 용제 Y가, 2종 이상의 용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각 2종 이상의 용제의 합계한 질량 비율로 한다.
요철층을 형성할 때에 이용하는 대전 방지제는, 상기 서술한 대전 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화성 코트 조성물의 도포)
상기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키스 롤 코터, 비드 코터, 로드 코터, 메이어 바 코터, 다이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 공지 관용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건조)
도포한 후의 건조 온도는, 도포한 후, 용제 X를 용제 Y보다 우선시켜 휘발시키기 위해, 용제 X, Y의 비점과의 관계로부터, 10℃~15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0℃ 이상 혹은 14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40℃ 이상 혹은 125℃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온에서 건조시켜도 된다.
가열(건조) 온도를 조정함으로써, 요철의 최대 고저차를 조정할 수 있고, 건조 온도가 낮을수록, 요철의 최대 고저차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용제는 비점 이하의 온도에서 휘발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비점뿐만 아니라 증기압 특성이나 폴리머 등과의 친화성 등에 의해서도 휘발 특성은 변화된다. 이 때문에, 요철층에 사용하는 폴리머 등의 종류나 배합 질량 비율, 목적으로 하는 요철 구조의 형상 등에 따라, 건조 온도를 설정하면 된다.
<본 이형 필름의 형태>
본 이형 필름의 형태로서는, 현재 알려져 있는 형태를 임의로 채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이형 필름의 특징, 예를 들면, 점착 필름을 첩착할 때의 공기의 빠짐이 양호하고, 또한, 점착 후에 당해 요철 구조가 보이기 어려운 것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고려하면, 큰 면적을 가지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에서, 필름 또는 롤체의 예를 들면 길이 0.1m 이상, 그 중에서도 1m 이상, 그 중에서도 10m 이상의 롤체, 또는, 폭 0.1m 이상, 그 중에서도 0.2m 이상, 그 중에서도 0.3m 이상의 롤체, 또는, 면적 0.01m2 이상, 그 중에서도 0.1m2 이상, 그 중에서도 1m2 이상의 필름인 것이 바람직한 일례가 된다.
<본 이형 필름의 표면 저항값>
본 이형 필름은, 대전 방지제를 함유함으로써, 필름 표면의 저항값을 5.0×1012Ω 이하, 그 중에서도 1.0×104Ω 이상 혹은 1.0×1012Ω 이하, 그 중에서도 1.0×104Ω 이상 혹은 1.0×1011Ω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이형 필름의 용도>
본 이형 필름은, 상기 요철 구조를 구비한 요철층 상에, 예를 들면 점착 필름을 박리 가능하게 적층함으로써, 당해 점착 필름에 상기 요철 구조를 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요철 구조를 전사한 점착 필름은, 피착체에 부착할 때, 공기의 빠짐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점착 후에 당해 요철 구조를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이형 필름은, 점착 필름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적층체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적층체는, 상기 점착 필름의 표면에 본 이형 필름의 상기 요철 구조가 전사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층체로 함으로써, 요철 구조를 가지는 점착 필름을 사용할 때까지의 동안에는, 본 이형 필름이 점착 필름을 보호하는 역할을 가질 수 있다.
본 이형 필름은, 투명해도 불투명(착색을 포함함)해도 된다. 점착 필름이 투명한 적층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형 필름이 불투명한 것도 바람직하다. 점착 필름이 투명하고, 이형 필름이 불투명하면, 양 필름의 차이를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필름은,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으면, 그 구성은 임의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 필름으로서, 시트 기재에 점착재층을 구비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때,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단,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착 필름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의 두께의 하한은, 본 이형 필름의 요철 구조의 최대 고저차를 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필름의 두께의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한편, 점착 필름의 두께의 상한도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이다.
상기 점착 필름을 구성하는 시트 기재는, 투명해도, 매트조여도, 불투명해도 된다. 또한, 시트 기재가 투명한 것이면, 점착 필름의 외관이 보다 눈에 띄게 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요철 구조를 보이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요철의 최대 고저차를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기재가 매트조나 불투명한 것인 경우에는, 투명한 시트 기재에 비해 요철 구조에 기인하는 외관 불량은 발생하기 어렵다.
<본 적층체>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와 관련된 적층체(「본 적층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적층체는, 지지체(「본 지지체」라고 칭함)와, 점착층(「본 점착층」이라고 칭함)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본 점착 시트」라고 칭함)와, 이형 필름이 순차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적층체이다.
상기 이형 필름은,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측에,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가지는 요철층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당해 요철 구조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당해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불규칙하고 또한 연속된 형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상기 서술한 본 이형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적층체는, 당해 이형 필름의 상기 요철층의 표면(「요철층 표면」이라고 칭함)에 본 점착층을 적층시킴으로써, 당해 이형 필름과 적층하는 본 점착 시트의 일방의 표면에 상기 요철 구조를 전사함과 함께, 본 점착 시트의 타방의 표면에 본 지지체를 적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이 제조 방법을 「본 적층체 제조 방법」이라고 칭함). 단, 본 적층체의 제조 방법이, 본 적층체 제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지지체)
본 지지체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이 적용 가능한 한, 박편 형상의 것이나, 유연한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출 성형체나 구조재 등 입체적인 형상이어도 되고, 강성이 높은 재료여도 된다. 본 적층체에 있어서는, 지지체로서 강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 경우라도, 상기 이형 필름을 박리한 점착 시트면의 공기 빠짐성이 매우 양호하므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지지체는, 점착 시트를 최저한 피복할 수 있는 극히 얇은 층, 예를 들면, 증착이나 도포에 의해 형성된 박층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본 지지체로서는, 박판 형상, 필름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고, 종이, 각종 수지 필름, 종이 기재를 수지로 라미네이트한 지지체, 유리판, 금속박, 금속박을 수지로 라미네이트한 지지체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지지체로서 이형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점착 시트의 양면에 이형 필름을 가지는 양면 점착 시트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일방의 이형 필름이 상기 서술한 본 이형 필름이면, 타방의 이형 필름은 임의이다.
본 지지체로서는, 점착 시트를 형성하기 쉽게 하거나, 취급하기 쉽게 하거나 하기 위한 부재이면 되기 때문에, 재료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종이, 각종 수지 필름이나 수지판, 수지 성형체(사출 성형품), 종이 기재를 수지로 라미네이트한 지지체, 유리, 금속박이나 금속판, 금속박을 수지로 라미네이트한 지지체, 세라믹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복합체나 적층체도 포함된다. 단,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종이 지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박엽지, 중질지, 상질지, 함침지, 코팅지, 아트지, 황산지, 글라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불소 수지, 폴리염화 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아크릴 수지 등의 각종 수지를 주성분 수지로 하는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은, 무연신 필름(시트)이어도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2축 연신 필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종이 지지체를 수지로 라미네이트한 지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종이 지지체를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라미네이트한 라미네이트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로서는, 알루미늄 호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절단 시에 종이 가루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요철 구조를 전사하는 점착 시트 등에도 종이 가루의 부착이 발생하지 않는 점에서, 상기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고, 가공의 용이성, 내구성, 내열성, 비용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 수지로 하는 수지 필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 수지로 하는 수지 필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주성분 수지」란, 지지체를 구성하는 수지 중에서도 가장 함유량이 많은 수지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50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70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80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90질량% 이상(100질량%을 포함함)을 차지하는 수지를 말한다.
본 지지체가 필름 형상인 경우, 단층 구성의 것이어도 되고, 동종 또는 이종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성의 것이어도 된다.
본 지지체의 두께는 임의이다. 일반적으로는 5㎛~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 이상 혹은 300㎛ 이하, 그 중에서도 15㎛ 이상 혹은 2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지지체로서 수지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이활성의 부여를 주된 목적으로 하여,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지지체에 함유시키는 입자의 종류는, 이활성 부여 가능한 입자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실리카,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탄산 바륨, 황산 칼슘, 인산 칼슘, 인산 마그네슘, 카올린, 산화 알루미늄, 산화 티탄 등의 무기 입자 외에, 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등의 유기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입자의 형상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구상, 괴상, 막대 형상, 편평 형상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당해 입자의 경도, 비중, 색 등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다. 이들 일련의 입자는,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0.1㎛ 이상 혹은 3㎛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의 평균 입경이 당해 범위이면, 본 지지체에 적당한 표면 조도를 부여할 수 있어, 양호한 슬라이딩성과 평활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지지체는, 상기 서술의 입자 이외에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의 산화 방지제, 열안정제, 윤활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연화제, 결정핵제, 염료, 안료 등을 함유해도 된다.
(본 점착 시트 또는 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점착 시트 또는 본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1) 상기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본 지지체를 첩합하도록 하여, 상기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에, 본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본 점착 시트를 적층시키는 방법(「이형 필름에 도포하는 방법」이라고 칭함),
(2) 본 지지체의 표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의 도포면에 상기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이 접하도록 상기 이형 필름을 첩합하여 적층하는 방법(「지지체에 도포하는 방법」이라고 칭함),
(3) 본 지지체와 상기 이형 필름과의 사이에, 상기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과 본 점착 시트가 접하도록 본 점착 시트를 라미네이트하는 방법(라미네이트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단,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적층체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고, 이것을 롤 형상으로 권회함으로써, 롤 형상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권회체(「본 권회체」라고 칭함)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권회체는, 본 지지체와,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본 점착 시트와, 상기 이형 필름이 순차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롤 형상의 적층체로서,
상기 이형 필름은, 기재 중 적어도 일방의 표면측에,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가지는 요철층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당해 요철 구조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당해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불규칙하고 또한 연속된 형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것이며,
상기 요철층의 표면에 점착층을 적층시킴으로써, 당해 이형 필름과 적층되는 점착층의 일방의 표면에 상기 요철 구조가 전사됨과 함께, 당해 점착 시트의 타방의 표면에 지지체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롤 형상의 적층체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이형 필름에 요철 구조를 마련해 두고, 이 요철 구조를 점착 시트에 전사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어느 방법에 의해 적층체를 형성한 경우라도, 점착 시트에 확실하게 요철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점착층에 전사된 요철 구조는, 적층체의 상태로 장기간 보관되어 있었다고 해고, 변형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1) 이형 필름에 도포하는 방법
우선, 상기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본 지지체를 첩합하도록 하여, 상기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에 본 점착 시트를 적층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등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단,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광가교 가능한 점착제 조성물이어도 된다. 대표예로서, 다음의 (a)~(d)를 예시할 수 있다. 단,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중합체(공중합체를 포함함)를 베이스 수지로서 이용하고, 이것에 가교 모노머, 필요에 따라 가교 개시제나 반응 촉매 등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
(b)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계 공중합체를 베이스 수지로서 이용하고, 이것에 가교 모노머, 필요에 따라 가교 개시제나 반응 촉매 등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
(c) 실리콘계 중합체를 베이스 수지로 이용하고, 이것에 가교 모노머, 필요에 따라 가교 개시제나 반응 촉매 등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
(d) 폴리우레탄계 중합체를 베이스 수지로서 이용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조성물.
상기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키스 롤 코터, 비드 코터, 로드 코터, 메이어 바 코터, 다이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 공지의 기구를 사용한 관용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점착제 조성물을 시트 형상으로 도포하여 본 지지체를 첩합한 후,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함으로써, 상기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에, 본 점착층 및 본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본 점착 시트를 적층시킬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에 맞춰 경화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건조시키거나, 가열 가교시키거나, 광가교시키거나 하면 된다. 즉,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가열 가교성을 가지고 있으면, 그 가열 가교성을 여기하는 온도까지 가열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광가교 개시제를 함유하는 경우, 당해 광가교 개시제가 여기하는 파장의 광을 조사하면 된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을 시트 형상으로 형성한 후, 압력을 가하여, 상기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에 본 점착 시트를 가압해도 된다.
본 점착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본 점착 시트의 두께의 하한은, 상기 이형 필름의 요철 구조의 최대 고저차를 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점착 시트의 두께의 하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한편, 점착 시트의 두께의 상한도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이다.
(2) 지지체에 도포하는 방법
이어서, 본 지지체의 표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면에, 상기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이 접하도록 상기 이형 필름을 첩합하여 적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지체에 도포할 때에도, 이형 필름에 도포하는 상기 방법 (1)과 마찬가지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에 도포하는 방법, 경화 방법, 압력을 가하는 점 등, 상기 이형 필름에 도포하는 상기 방법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점착 시트의 두께는 상기 방법 (1)과 마찬가지이며,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3) 라미네이트 방법
이어서, 본 지지체와 상기 이형 필름과의 사이에, 당해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과 본 점착 시트가 접하도록 본 점착 시트를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으면, 그 구성은 임의이다. 단층 구성의 것이어도, 2층 이상의 복층 구성의 것이어도 된다.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이형 필름에 도포하는 상기 방법 (1)과 마찬가지의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점착 시트의 두께는 상기 방법 (1)과 마찬가지이며,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점착 시트를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드라이 라미네이트, 열 라미네이트, 열압착법, 압출 라미네이트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형 필름과 시트 형상의 본 지지체와의 사이에 본 점착 시트를 사이에 끼우도록 적층시켜, 진공 흡인 등에 의해 일체화하여 가열 압착한 후, 필요에 따라 권취하는 등 하여, 각 층을 일체의 성형체로서 가열 압착 성형하여 본 적층체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라미네이트하기 전에,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점착 시트 또는 본 지지체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나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행해도 된다.
(본 적층체의 사용 방법)
본 적층체 제조 방법에 의해 본 적층체를 제조하면, 제조한 시점에서, 상기 이형 필름의 요철 구조를 본 점착 시트의 일방의 표면에 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형 필름을 박리하면, 본 점착 시트는, 표면에 요철 구조를 구비한 점착 시트로서 그대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철 구조를 전사한 본 점착 시트는, 피착체에 부착할 때, 공기의 빠짐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점착 후에 당해 요철 구조를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적층체를 롤 형상으로 권회하여 장기 보관한 경우에 있어서도, 점착층에 전사된 요철 구조는 변형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사용하기 직전까지, 그 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의 효과를 양호하게 나타낼 수 있다.
본 적층체의 용도는 한정되지 않고, 본 적층체로부터 이형 필름을 박리한 점착 시트(점착 필름)는 다양한 피착체에 첩착할 수 있다.
피착체의 예로서는, 외장, 내장, 창문 등의 건재(建材); 자동차, 전차, 항공기 등의 차량; 텔레비전,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형 단말, 스마트 폰, 휴대전화 등의 전기 제품; 옥외 간판, 행선지 표시판, 게시판, 안내판 등의 표시 부재; 문구류; 가구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최종 제품뿐만 아니라, 제품을 조립할 때의 중간 제품도 피착체로 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자동차 창문, 외장부, 대시 패널 등의 표시부; 휴대전화나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 표시부; 대형 텔레비전 등의 화면 등의 피착체에 대하여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적층체로부터 이형 필름을 박리한 점착 시트(점착 필름)의 기능이나 목적도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장식 필름(가식(加飾) 필름), 자외선 차단 필름, 블루 라이트 차단 필름, 내찰상 필름, 균열 방지 필름, 내열 필름, 비산 방지 필름, 지문이나 피지 부착 방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어구의 설명>
본 명세서에 있어서 「X~Y」(X, Y는 임의의 숫자)라고 표현하는 경우,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X 이상 Y 이하」의 뜻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큰」 혹은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은」의 뜻도 포함한다.
또한, 「X 이상」(X는 임의의 숫자) 혹은 「Y 이하」(Y는 임의의 숫자)라고 표현한 경우, 「X보다 큰 것이 바람직한」 혹은 「Y 미만인 것이 바람직한」 취지의 의도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시트」란, JIS에 있어서의 정의상, 얇고, 그 두께가 길이와 폭에 비해서는 작고 평평한 제품을 말하고, 일반적으로 「필름」이란, 길이 및 폭에 비해 두께가 매우 작고, 최대 두께가 임의로 한정되어 있는 얇은 평평한 제품으로, 통상, 롤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말한다(일본 공업 규격 JISK6900). 그러나, 시트와 필름의 경계는 확실하지 않아, 본 발명에 있어서 문언상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측정, 평가 방법]
<질량 평균 분자량(Mw)>
각 성분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GPC법에 의해 다음의 조건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기기: 토소주식회사제(製) 「HLC-8120GPC」
칼럼: 토소주식회사제 「TSKgel Super H3000+H4000+H6000」
검출기: 시차 굴절률 검출기(RI 검출기/내장)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온도: 40℃
유속: 0.5ml/분
주입량: 10μL
농도: 0.2질량%
교정 시료: 단분산 폴리스티렌
교정법: 폴리스티렌 환산
<SP값>
성분 A, 성분 B 및 광가교 개시제 C의 용해성 파라미터(SP값)는, Fedors 등이 제안한 방법에 의해 산출했다. 구체적으로는, 「SP값의 기초·응용과 계산 방법」(야마모토 히데키 저, 주식회사정보기구)에 의거하여, 고분자의 용해도 파라미터의 추산 방법 중, Fedors의 추산법을 참고로 각 폴리머 성분에 포함되는 각 치환기의 응집 에너지 밀도: E(J/mol)와 몰 분자용(分子容): V(cm3/mol)로부터 하기 식에 의거하여 계산을 행하여, SP값(σ(cal/cm3)1/2)을 구했다.
σ((J/cm3)1/2)=(ΣEcoh/ΣV)1/2
σ (cal/cm3)1/2=σ(J/cm3)1/2/2.0455
<요철의 최대 고저차, 볼록부의 면적 비율, 볼록부의 개수, 및 요철 형상의 최대 최장 직경>
표면 형상 계측 시스템(주식회사히타치하이테크사이언스의 「VertScan」(등록 상표) R5500)을 이용하여, 이형 필름(샘플) 표면에 있어서, 703.12㎛×937.42㎛의 영역에 있어서의 표면의 요철 형상을 광간섭법으로 측정하고, 이하의 조건으로 보완 및 베이스라인 보정을 행하여, 데이터를 판독했다. 또한, 측정 시에 있어서의 대물 렌즈의 배율은 5배로 설정했다.
(보정 조건)
·보완 보정: 완전
·베이스라인 보정: 면 보정(다항식 근사 4차)
요철의 최대 고저차는, 상기 측정 데이터로부터, 오목부의 극소값과 당해 오목부 주변의 볼록부의 극대값의 차, 또는, 볼록부의 극대값과 당해 볼록부 주변의 오목부의 극소값의 차를, 요철의 고저차로서 구했다. 그리고, 이 요철의 고저차를, 상기 영역 중의 임의의 10점에서 측정하고, 그 중의 최대값을 요철의 최대 고저차라고 했다. 또한, 상기 측정 데이터 중의 최대값과 최소값과의 차를, 요철의 최대 고저차라고 하는 것은 아니다.
볼록부의 면적 비율은, 베어링 기능을 사용하여, 마루측 높이 임계값 및 골(valley)측 높이 임계값을 모두 0.0㎛로 설정하여 2치화를 행하여, 볼록부의 면적 비율을 구했다.
볼록부의 개수, 및 요철 형상의 최대 최장 직경은, 입자 해석 기능에 의해 이하의 측정 조건으로 산출했다. 검출한 최장 직경 중, 가장 값이 큰 것을 최대 최장 직경이라고 했다.
(입자 해석)
·곡면 보정: 하지 않음
·해석: 돌(突) 해석
·2치화 임계값: 100㎚
·입자 성형: 하지 않음
·대상 판정
높이 베이스: 곡면
높이: 상한 100000㎚, 하한 0㎚
최장 직경: 상한 10000㎛, 하한 0㎛
체적: 하한 0.0㎛3
애스펙트비: 하한 0.0
<볼록부 규칙성 및 볼록부 연속성>
이형 필름(샘플)의 표면을 상기의 표면 형상 계측 시스템에 의해 관찰하고, 볼록부의 형상에 일정한 규칙성 또는 주기성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규칙성도 주기성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볼록부 규칙성을 「불규칙」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이형 필름(샘플)의 표면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관찰하고, 볼록부(백색 부분)가 확대 화상의 하나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마주보는 측이 되는 가장자리부까지(상변으로부터 하변까지, 혹은 우변으로부터 좌변까지) 연속하여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평가했다.
볼록부가 연속하여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볼록부 연속성을 「있음」, 볼록부가 산재하거나, 단속적으로 존재하거나 하여, 볼록부가 연속하여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볼록부 연속성을 「없음」이라고 평가했다.
<공기 빠짐 지수>
얻어진 이형 필름(샘플)의 이형면 즉 요철층 표면에,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를 60질량부, 1,9-노난디올아크릴레이트를 40질량부, 광가교 개시제로서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을 3질량부 혼합하여 얻어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추가로 그 위에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세하게는 투명 폴리에스테르 2축 연신 필름(두께 50㎛, 미쓰비시케미컬사제)을 겹쳐, 롤러에 의해 당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균일하게 늘려, 자외선 조사 장치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고, 당해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점착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이형 필름(샘플)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부터 벗겨, 상기 점착층에 요철 구조를 전사한 레플리카 필름을 얻었다.
상기 레플리카 필름을 가로세로 70㎜의 사이즈로 재단하고, 당해 레플리카 필름과, 중앙에 직경 5㎜의 구멍을 뚫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레플리카 필름의 요철 구조면이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접하도록 적층하여, 공기 빠짐 지수를 측정했다.
공기 빠짐 지수의 측정은, 디지벡(DIGI-BEKK) 평활도 시험기(DB-2, 도요세이키사제)를 이용하여, 온도 23℃, 습도 50% RH의 분위기하에서 측정했다. 이 때, 가압 장치의 압력은 100kPa, 진공 용기는 용적 38ml의 소진공 용기를 사용하고, 1mL의 공기가 흐르는 시간, 즉 용기 내의 압력이 50.7kPa로부터 48.0kPa로 변화될 때 까지의 시간(초)을 계측하여, 얻어진 초수의 10배를 공기 빠짐 지수라고 했다.
이 공기 빠짐 지수의 값이 작을수록, 간극으로부터 빠르게 공기가 빠지고 있으며, 공기가 잘 빠지는 형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외관>
이형 필름(샘플)의 기재의 반대면에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을 도공한 후, 100℃, 5분간 가열 처리하여, 두께(건조 후)가 50㎛의 점착층을 얻었다.
이 때, 상기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로서, BPS5762K(도요켐사제, 고형분 45.5질량%)을 98.6질량부, BXX5627(도요켐사제, 50질량%)을 1.4질량부 혼합한 조성물을 이용했다.
그 후, 상기 점착층의 위에, 기재 필름을 추가로 겹치고, 롤러에 의해 첩부하여, 점착 필름을 얻었다. 이 때에 이용하는 기재 필름으로서, 투명 기재의 경우에는,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두께 50㎛, 미쓰비시케미컬사제)을, 불투명 기재의 경우에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두께 50㎛, 미쓰비시케미컬사제)을 이용했다.
이어서, 얻어진 점착 필름으로부터 이형 필름을 벗겨 아크릴판에 2kg 고무 롤러에 의해, 1왕복하여 첩부하고, 점착 필름의 기재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했다.
그리고, 관찰하였을 때, 기재 표면에 점착제층의 요철을 인식할 수 없었던 경우를 「○(good)」라고 평가하고, 기재 표면에 점착제층의 요철을 인식할 수 있지만, 요철이 패턴으로서 인식할 수 없어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실용상 문제 없는 경우를 「△(usual)」라고 평가하고, 기재 표면에 점착제층의 요철을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요철이 패턴이라고 인식할 수 있어, 눈에 띄어버리기 때문에, 실용상 문제가 있는 경우를 「× (poor)」라고 평가했다.
<표면 저항값>
미쓰비시케미컬 애널리테크주식회사제 고저항 측정기: UX MCP-HT800을 사용하고, 23℃, 50% RH의 측정 분위기에서 샘플을 30분간 조습 후, 박리층 표면의 표면 저항값을 측정했다.
[실시예 1]
<기재의 원료>
폴리에스테르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호모폴리머의 칩(고유 점도: 0.66dl/g)
폴리에스테르 B: 평균 입경 2㎛의 비정질 실리카를 1000ppm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호모폴리머의 칩(고유 점도: 0.62dl/g)
<기능층용 도포액의 원료>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수분산형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Tg: 35℃)를 60질량부, 옥사졸린기가 아크릴계 수지에 브랜치된 폴리머형 가교제를 30질량부, 실리카졸 수분산체(평균 입경: 0.07㎛)를 6질량부 혼합하여 기능층용 도포액으로 했다.
<경화성 코트 조성물의 원료>
아크릴계 폴리머 A1: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아크릴레이트를 98:1:1의 몰 비율로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산 변성물(질량 평균 분자량(Mw): 20,000, SP값: 12.6, Tg: 32℃)
아크릴계 폴리머 B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아크릴레이트를 99:1의 몰 비율로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질량 평균 분자량(Mw): 95,000, SP값: 9.9, Tg: 105℃)
광중합성 화합물: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질량 평균 분자량: 578, SP값: 10.4)
광가교 개시제 C1: IGM 레진사제, Omnirad127
용제 X: 메틸에틸케톤(아크릴계 폴리머 A1 및 B1을 용해할 수 있는 용제이며, 비점은 80℃)
용제 Y: 메톡시프로판올(아크릴계 폴리머 A1을 용해하고, B1은 용해하지 않는 용제이며, 비점은 120℃)
(기재의 제작)
상기 폴리에스테르 A를 중간층용의 원료로 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B를 표층용의 원료로 하며, 각 원료를 각각 별개의 용융 압출기에 의해 용융 압출하여, 표층/중간층/표층의 2종 3층 적층의 무정형 시트를 냉각한 캐스팅 드럼 상에, 냉각 고화시켜 무배향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기계 방향(종 방향)으로 90℃에서 3.5배로 연신했다. 그 후, 상기 기능층용 도포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0.05㎛가 되도록 도포한 후에 텐터로 유도하고, 또한 텐터 내에서 예열 공정을 거쳐 120℃에서 횡 방향으로 4.3배로 연신을 행하며, 230℃에서 2초간의 열처리를 행하여, 기능층/표층/중간층/표층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층을 가지는 기재로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50㎛이며, 기능층/표층/중간층/표층의 두께 구성은 0.05㎛/5㎛/40㎛/5㎛였다.
(요철층의 형성)
요철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도포액으로서, 성분 A로서의 아크릴계 폴리머 A1을 45질량부와, 성분 B로서의 아크릴계 폴리머 B1을 27.5질량부와, 광중합성 화합물로서의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27.5질량부와, 광가교 개시제 C1을 5질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 혼합물을, 용제 X로서의 메틸에틸케톤과, 용제 Y로서의 메톡시프로판올을 72:28의 질량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혼합 용매 Z에 용해시켜, 아크릴계 폴리머 혼합물 농도가 30질량%인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조제했다.
상기 기재로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기능층 표면에, 상기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메이어 바에 의해 도포하고, 70℃에서 용제 X 및 용제 Y를 휘발시킨 후, 자외선 조사 장치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경화시켜, 기재의 일방의 표면측에,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가지는 요철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요철층을 가지는 필름을 제작했다.
(박리층의 형성)
박리층에 이용하는 도포액으로서, 경화형 실리콘 수지(신에츠화학사제, KS-847H) 100질량부 및 경화제(신에츠화학사제, PL-50T) 1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톨루엔 혼합 용매(혼합 비율은 1:1)로 희석하여, 실리콘 수지 농도가 4질량%인 박리층용 도포액을 제작했다.
상기 요철층을 가지는 필름의 요철층의 표면에, 상기 박리층용 도포액을 메이어 바에 의해 도포하고, 120℃로 가열하여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박리층을 마련하여, 박리층/요철층/기능층/기재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 1(샘플)을 제작했다.
[실시예 2]
메이어 바의 선(線) 수를 변경하여 요철층의 두께를 변화시켜 볼록부의 최대 고저차를 8㎛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이형 필름 2(샘플)를 제작했다.
[실시예 3]
박리층을 마련하는 대신에, 경화성 코트 조성물에 실리콘 변성 아크릴 폴리머(교에이샤화학사제, GL04R) 3질량%을 추가로 가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이형 필름 3(샘플)을 제작했다.
[실시예 4]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제작할 때,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1과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B1과 광중합성 화합물로서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질량 평균 분자량(Mw): 578, SP값: 10.4)와의 혼합비를 질량부가 60:20:20으로 혼합시킨 아크릴계 폴리머 혼합물을, 용제 X로서의 메틸에틸케톤과, 용제 Y로서의 메톡시프로판올을 63:37의 질량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혼합 용매 Z에 용해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이형 필름 4(샘플)를 제작했다.
[실시예 5]
다음과 같이 조제한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요철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 5(샘플)를 제작했다.
즉, 요철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도포액으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을 가지(枝) 폴리머로 하고, 아크릴계 모노머를 줄기 폴리머로 하는 성분 B로서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B2(질량 평균 분자량(Mw): 16,000, SP값: 10.9) 65질량부와, 성분 A로서의 아크릴계 폴리머 A1(질량 평균 분자량(Mw): 20,000, SP값: 12.6) 35질량부와, 광가교 개시제 C1(IGM resin사제, Ominirad127) 5질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모노머 혼합물을, 용제 X로서의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및 용제 Y로서의 메톡시프로판올을, 28:26:46의 질량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혼합 용매 Z에 용해시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혼합물 농도가 16질량%인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조제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를 줄기 폴리머로 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B2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와, 분자량 5000의 말단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실리콘 매크로머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10:10:20:60의 몰 비율로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산 변성물이었다.
용제 X로서의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메틸에틸케톤은, 그래프트 공중합체 B2 및 아크릴계 폴리머 A1을 용해할 수 있는 용제이며, 그 비점은 메틸이소부틸케톤이 116℃, 메틸에틸케톤이 80℃였다.
한편, 용제 Y로서의 메톡시프로판올은, 그래프트 공중합체 B2 및 아크릴계 폴리머 A1 중 A1만을 용해할 수 있는 용제이며, 그 비점은 120℃였다.
[실시예 6]
메이어 바를 조정하여 요철층의 두께를 변화시켜 최대 고저차를 1㎛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이형 필름 6(샘플)을 제작했다.
[실시예 7]
다음과 같이 조제한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이용함과 함께, 50℃로 가열 건조시켜 요철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 7(샘플)을 제작했다.
즉, 요철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도포액으로서, 성분 A로서의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질량 평균 분자량(Mw): 578, SP값: 10.4) 50질량부, 성분 B로서의 폴리프로필렌(이데미츠흥산사제 「S400」, 질량 평균 분자량(Mw): 45,000(카탈로그값), SP값: 8.2, Tg: 50℃) 50질량부 및 광가교 개시제(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3질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제 X로서의 시클로헥산, 톨루엔과 용제 Y로서의 n-부탄올을 49:49:2의 질량 비율로 배합하여 얻은 혼합 용매(혼합 용제 Z)에 용해시켜, 상기 혼합물 농도가 15질량%인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조제했다.
용제 X로서의 시클로헥산, 톨루엔은, 성분 A 및 B를 용해할 수 있는 용제이며, 그 비점은 각각 81℃, 111℃였다.
한편, 용제 Y로서의 메톡시프로판올은, 성분 A 및 B 중 성분 A만을 용해할 수 있는 용제이며, 그 비점은 118℃였다.
[실시예 8]
다음과 같이 조제한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이용함과 함께, 50℃에서 가열 건조시켜 요철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 8(샘플)을 제작했다.
즉, 요철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도포액으로서, 성분 A로서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화학공업사제 「상품명: U-15HA」, 질량 평균 분자량(Mw): 2205, SP값: 11.2) 50질량부, 성분 B로서의 폴리프로필렌(이데미츠흥산사제 「S400」, 수평균 분자량(Mn): 45,000(카탈로그값), SP값: 8.2, Tg: 50℃) 50질량부 및 광가교 개시제(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3질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제 X로서의 시클로헥산, 톨루엔과 용제 Y로서의 메톡시프로판올을 49:49:2의 질량 비율로 배합하여 얻은 혼합 용매(혼합 용제 Z)에 용해시켜, 상기 혼합물 농도가 15질량%인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9]
다음과 같이 조제한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이용함과 함께, 50℃에서 가열 건조시켜 요철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 9(샘플)를 제작했다.
즉, 요철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도포액으로서, 성분 A로서의 아크릴계 폴리머 A1(질량 평균 분자량(Mw): 20,000, SP값: 12.6, Tg: 32℃) 50질량부, 성분 B로서의 수소화 말단 아크릴레이트폴리부타디엔(니폰소다사제 「TEAI-1000」, 질량 평균 분자량(Mw): 2,000(카탈로그값), SP값: 9.9, Tg: -14℃(카탈로그값)) 25질량부,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질량 평균 분자량(Mw): 578, SP값: 10.4) 25질량부 및 광가교 개시제(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5질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제 X로서의 시클로헥산과 톨루엔과 메틸에틸케톤, 용제 Y로서의 메톡시프로판올과 n-부탄올을 6:25:32:31:6의 질량 비율로 배합하여 얻은 혼합 용매에 용해시켜, 상기 혼합물 농도가 15질량%인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10]
다음과 같이 조제한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이용함과 함께, 메이어 바의 선 수를 변경하여 요철층의 두께를 변경시켜 볼록부의 최대 고저차를 10.6㎛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이형 필름 10(샘플)을 제작했다.
요철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도포액으로서, 성분 A로서의 아크릴계 폴리머 A1을 70질량부와, 성분 B로서의 아크릴계 폴리머 B1을 15질량부와, 광중합성 화합물로서의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5질량부와, 광가교 개시제 C1을 5질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 혼합물을, 용제 X로서의 메틸에틸케톤과, 용제 Y로서의 메톡시프로판올을 57:43의 질량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혼합 용매 Z에 용해시켜, 아크릴계 폴리머 혼합물 농도가 30질량%인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11]
다음과 같이 조제한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이용함과 함께, 50℃에서 가열 건조시켜 요철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 11(샘플)을 제작했다.
즉, 요철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도포액으로서, 성분 A로서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화학공업사제 「상품명: U-15HA」, 질량 평균 분자량(Mw): 2205, SP값: 11.2) 50질량부, 성분 B로서의 폴리프로필렌(이데미츠흥산사제 「S400」, 수평균 분자량(Mn): 45,000(카탈로그값), SP값: 8.2, Tg: 50℃) 50질량부 및 광가교 개시제(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3질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제 X로서의 헵탄, 톨루엔과 용제 Y로서의 아세트산 부틸을 56:24:20의 질량 비율로 배합하여 얻은 혼합 용매(혼합 용제 Z)에 용해시켜, 상기 혼합물 농도가 32질량%인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조제했다.
[실시예 12]
다음과 같이 조제한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이용함과 함께, 50℃에서 가열 건조시켜 요철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 12(샘플)를 제작했다.
즉, 요철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도포액으로서, 성분 A로서의 덴드리머 아크릴레이트(오사카유기화학공업사제 「상품명: V#1000」, 질량 평균 분자량(Mw): 1900, SP값: 14.3(탁도법)) 50질량부, 성분 B로서의 폴리프로필렌(이데미츠흥산사제 「S400」, 수평균 분자량(Mn): 45,000(카탈로그값), SP값: 8.2, Tg: 50℃) 50질량부 및 광가교 개시제(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3질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용제 X로서의 헵탄, 톨루엔과 용제 Y로서의 아세트산 부틸을 56:24:20의 질량 비율로 배합하여 얻은 혼합 용매(혼합 용제 Z)에 용해시켜, 상기 혼합물 농도가 32질량%인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조제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이용한 상기 기재로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요철층을 형성하지 않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박리층을 마련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 13(샘플)을 제작했다.
[비교예 2]
종이 표면에 폴리에틸렌이 라미네이트되어, 당해 폴리에틸렌층 표면에 실리콘 박리층이 마련되어 있는 이형지로서, 당해 실리콘 박리층측 표면에, 최대 고저차가 8.2㎛, 볼록부 폭이 40㎛, 피치가 310㎛ 주기의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격자 형상의 볼록부를 가지는 이형지를, 이형 필름 14(샘플)라고 했다.
[비교예 3]
종이 표면에 폴리에틸렌이 라미네이트되어, 당해 폴리에틸렌층 표면에 실리콘 박리층이 마련되어 있는 이형지로서, 당해 실리콘 박리층측 표면에, 최대 고저차가 30.2㎛, 볼록부 폭이 60㎛, 피치가 335㎛ 주기의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격자 형상의 볼록부를 가지는 이형지를, 이형 필름 15(샘플)라고 했다.
[비교예 4]
요철층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경화성 코트 조성물에 실리콘 변성 아크릴 폴리머(교에이샤화학사제, GL04R) 5질량부를 추가로 가해, 아크릴계 폴리머 혼합물 농도가 15질량%인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조제하여, 메이어 바의 선 수를 변경하여 요철층의 두께를 변화시켜 볼록부의 최대 고저차를 0.4㎛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이형 필름 16(샘플)을 제작했다.
[비교예 5]
파라톨루엔설폰산(산 촉매) 55질량부에, 트리에틸렌디아민 15질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코올 30질량부를 혼합한 것을, 산 촉매의 배합량이 0.9질량부가 되도록, 부틸화 멜라민 수지 100질량부(불휘발 성분 기준)에 혼합하고, 추가로, 톨루엔/메틸에틸케톤=6/4(질량비)의 혼합 용매로 희석하여, 불휘발 성분 농도 30질량%의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조제했다. 조제한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메이어 바로, 건조 후의 막 두께가 7㎛가 되도록, 실시예 1에서 제작한 기재로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방의 면 상에 도공하고, 150℃에서 5분간 건조하여, 수지층을 형성했다. 얻어진 수지층의 표면은 조면화되지 않아, 요철이 형성되지 않았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박리층을 마련하여, 박리층/수지층/기재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 17(샘플)을 제작했다.
Figure 112020063395002-pct00001
(고찰)
상기 실시예·비교예의 결과 및 본 발명자가 지금까지 행한 시험 결과 등으로부터,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측에,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가지는 요철층을 구비한 이형 필름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요철 구조의 표면에 차지하는 볼록부의 면적 비율이 10~90%이며, 또한, 상기 요철 구조의 최대 고저차가 0.5㎛ 이상이면, 당해 요철 구조를 전사한 점착 필름에 있어서, 당해 점착 필름을 첩착할 때의 공기의 빠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요철 구조의 볼록부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불규칙한 형상으로 형성하면, 당해 요철 구조를 전사한 점착 필름을 점착한 후, 당해 요철 구조가 보이기 어렵다고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1, 12는, 높은 공기 빠짐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양호한 실시예이지만, 양호한 외관이 요구되는 용도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예에 비해 뒤떨어지고 있었다. 또한, 당해 외관 평가는,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로 한 점착 필름을 이용하였을 때의 외관 평가에 상당하지만, 불투명한 필름을 기재로 한 첩착 시트를 이용하였을 때의 외관 평가에서는, 실시예 11, 12도 양호한 레벨이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형 필름의 일방의 표면에 점착 시트를 적층시키는 방법으로서,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당해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에,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적층시키는 방법을 채용하여 본 적층체를 제작했다.
본 출원 시의 기술 상식으로부터 보면, 지지체의 표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당해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이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의 도포면에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이 접하도록 이형 필름을 첩합하여 적층하도록 해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본 적층체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본 출원 시의 기술 상식으로부터 보면, 지지체와 이형 필름과의 사이에,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과 점착 시트가 접하도록 점착 시트를 라미네이트하도록 해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본 적층체를 제작할 수 있다.
[실시예 13]
<기재의 원료>
폴리에스테르 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호모폴리머의 칩(고유 점도: 0.66dl/g)
폴리에스테르 B: 평균 입경 2㎛의 비정질 실리카를 1000ppm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호모폴리머의 칩(고유 점도: 0.62dl/g)
<대전 방지층용 도포액의 원료>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수분산형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Tg: 35℃)를 60질량부, 옥사졸린기가 아크릴계 수지에 브랜치된 폴리머형 가교제를 30질량부, 대전 방지제로서 4급 암모늄염을 64질량부, 및, 실리카졸 수분산체(평균 입경: 0.07㎛)를 6질량부 혼합하여 대전 방지층용 도포액으로 했다.
<경화성 코트 조성물의 원료>
아크릴계 폴리머 A1: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아크릴레이트를 98:1:1의 몰 비율로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산 변성물(질량 평균 분자량(Mw): 20,000, SP값: 12.6, Tg: 32℃)
아크릴계 폴리머 B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아크릴레이트를 99:1의 몰 비율로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질량 평균 분자량(Mw): 95,000, SP값: 9.9, Tg: 105℃)
광중합성 화합물: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질량 평균 분자량: 578, SP값: 10.4)
광가교 개시제 C1: IGM 레진사제, Omnirad127
용제 X: 메틸에틸케톤(아크릴계 폴리머 A1 및 B1을 용해할 수 있는 용제이며, 비점은 80℃)
용제 Y: 메톡시프로판올(아크릴계 폴리머 A1을 용해하고, B1은 용해하지 않는 용제이며, 비점은 120℃)
(기재의 제작)
상기 폴리에스테르 A를 중간층용의 원료로 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B를 표층용의 원료로 하며, 각 원료를 각각 별개의 용융 압출기에 의해 용융 압출하여, 표층/중간층/표층의 2종 3층 적층의 무정형 시트를 냉각한 캐스팅 드럼 상에, 냉각 고화시켜 무배향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기계 방향(종 방향)으로 90℃에서 3.5배로 연신했다. 그 후, 시트의 일면에, 상기 대전 방지층용 도포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0.05㎛가 되도록 도포한 후, 텐터로 유도하고, 추가로 텐터 내에서 예열 공정을 거쳐 120℃에서 횡 방향으로 4.3배로 연신을 행하고, 230℃에서 2초간의 열처리를 행하여, 대전 방지층을 가지는 기재로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기재로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50㎛이며, 대전 방지층/표층/중간층/표층의 두께 구성은, 0.05㎛/5㎛/40㎛/5㎛였다.
(요철층의 형성)
요철층의 형성에 이용하는 도포액으로서, 성분 A로서의 아크릴계 폴리머 A1을 45질량부와, 성분 B로서의 아크릴계 폴리머 B1을 27.5질량부와, 광중합성 화합물로서의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27.5질량부와, 광가교 개시제 C1을 5질량부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 혼합물을, 용제 X로서의 메틸에틸케톤과, 용제 Y로서의 메톡시프로판올을 72:28의 질량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혼합 용매 Z에 용해시켜, 아크릴계 폴리머 혼합물 농도가 30질량%인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조제했다.
상기 기재로서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대전 방지층 표면에, 상기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메이어 바에 의해 도포하고, 70℃에서 용제 X 및 용제 Y를 휘발시킨 후, 자외선 조사 장치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경화시켜, 기재의 일방의 표면측에,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가지는 요철층을 형성하고, 요철층/대전 방지층/기재로 이루어지는 요철층을 가지는 필름을 제작했다.
(박리층의 형성)
박리층에 이용하는 도포액으로서, 경화형 실리콘 수지(신에츠화학사제, KS-847H) 100질량부 및 경화제(신에츠화학사제, PL-50T) 1질량부를, 메틸에틸케톤/톨루엔 혼합 용매(혼합비율은 1:1)로 희석하여, 실리콘 수지 농도가 4질량%인 박리층용 도포액을 제작했다.
상기 요철층을 가지는 필름의 요철층의 표면에, 상기 박리층용 도포액을 메이어 바에 의해 도포하고, 120℃로 가열하여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박리층을 마련하여, 박리층/요철층/대전 방지층/기재로 이루어지는 이형 필름 18(샘플)을 제작했다.
[실시예 14]
기재를 하기와 같이 제작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기능층 표면에, 상기 경화성 코트 조성물을 메이어 바에 의해 도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요철층을 형성하여, 요철층/기능층/기재/대전 방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요철층을 가지는 필름을 제작했다.
그리고,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상기 요철층을 가지는 필름의 요철층의 표면에 박리층을 마련하여, 이형 필름 19(샘플)를 제작했다.
(기능층용 도포액의 작성)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수분산형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Tg: 35℃)를 60질량부, 옥사졸린기가 아크릴계 수지에 브랜치된 폴리머형 가교제를 30질량부, 실리카졸 수분산체(평균 입경: 0.07㎛)를 6질량부 혼합하여 기능층용 도포액으로 했다.
(기재의 제작)
상기 폴리에스테르 A를 중간층용의 원료로 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B를 표층용의 원료로 하며, 각 원료를 각각 별개의 용융 압출기에 의해 용융 압출하여, 표층/중간층/표층의 2종 3층 적층의 무정형 시트를 냉각한 캐스팅 드럼 상에, 냉각 고화시켜 무배향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기계 방향(종 방향)으로 90℃에서 3.5배로 연신했다. 그 후, 시트의 일면에, 상기 대전 방지층용 도포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0.05㎛가 되도록 도포하는 한편, 시트의 다른 면에, 상기 기능층용 도포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0.05㎛가 되도록 도포한 후, 텐터로 유도하고, 추가로 텐터 내에서 예열 공정을 거쳐 120℃에서 횡 방향으로 4.3배로 연신을 행하고, 230℃에서 2초간의 열처리를 행하여, 기재로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기재로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50㎛이며, 대전 방지층/표층/중간층/표층/기능층의 두께 구성은, 0.05㎛/5㎛/40㎛/5㎛/0.05㎛였다.
Figure 112020063395002-pct00002
표 2를 보면, 실시예 13, 14의 공기 빠짐성, 투명 기재 외관 및 불투명 기재 외관의 평가, 및 최대 고저차, 볼록부 개수 및 볼록부 면적에 대한 측정이 행해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실시예 1은, 실시예 13과 비교하여, 실시예 13의 대전 방지층용 도포액에 대전 방지제를 배합하였는지 여부만의 차이이며, 실시예 1은, 실시예 14와 비교하여, 실시예 14의 대전 방지층용 도포액을 이용하여 기재의 비요철층측 표면에 대전 방지층을 마련하였는지 여부만의 차이이다. 따라서, 실시예 13및 14의 공기 빠짐성, 투명 기재 외관 및 불투명 기재 외관의 평가, 나아가서는, 최대 고저차, 볼록부 개수 및 볼록부 면적의 수치는, 각각 실시예 1의 평가 및 측정값과 마찬가지인 것은, 실측할 것까지도 없이, 이해할 수 있다.
(고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 및 본 발명자가 지금까지 행한 시험 결과 등으로부터, 이형 필름이 대전 방지층을 함유하고 있으면, 필름 표면의 표면 저항값을 유효하게 낮출 수 있어, 이형 필름을 대전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재의 어느 일면에 대전 방지층을 마련함으로써, 필름 표면의 표면 저항값이 유효하게 내려가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기재 또는 요철층 또는 이들 양방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시키도록,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필름 표면의 표면 저항값을 낮출 수 있고, 그에 따라 이형 필름을 대전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고 추찰할 수 있다.

Claims (22)

  1.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측에, 2종류 이상의 폴리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된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가지는 요철층을 구비한 이형 필름으로서,
    상기 요철 구조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당해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불규칙한 형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상기 요철 구조의 표면에 차지하는 볼록부의 면적 비율이 10~90%이며, 또한, 상기 요철 구조의 최대 고저차가 0.5㎛ 이상이고,
    상기 요철 구조에 있어서의 볼록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연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은, 2종류 이상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이형 필름.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종류 이상의 폴리머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이, 가교성 구조를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및/또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인 이형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조성과, 볼록부를 형성하는 조성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에 있어서, 오목부를 형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을 차지하는 성분 A의 SP값(A)는 8~21이며, 볼록부를 형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을 차지하는 성분 B의 SP값(B)는 7~20이고, 또한, 상기 SP값(A)-상기 SP값(B)=0.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에 있어서, 오목부를 형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을 차지하는 성분 A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300~300,000이며, 볼록부를 형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을 차지하는 성분 B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500~4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은, 2종류 이상의 폴리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코트 조성물로 형성되고, 당해 코트 조성물은, 오목부를 형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을 차지하는 성분 A의 SP값(A)는 8~21이며, 볼록부를 형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을 차지하는 성분 B의 SP값(B)는 7~20이고, 또한, 상기 SP값(A)-상기 SP값(B)=0.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은, 2종류 이상의 폴리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코트 조성물로 형성되고, 당해 코트 조성물은, 오목부를 형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을 차지하는 성분 A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300~300,000이며, 볼록부를 형성하는 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을 차지하는 성분 B의 질량 평균 분자량(Mw)은 500~4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은, 박리성을 가지는 박리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의 표면측에 박리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요철층과의 사이에 기능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또는 상기 요철층 또는 이들 양방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는, 및/또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층을 구비하고 있는 이형 필름.
  15.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형 필름과 점착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적층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의 표면에, 상기 이형 필름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 구조가 전사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
  17. 지지체와,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와, 이형 필름이 순차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롤 형상의 적층체로서,
    상기 이형 필름은,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측에, 2종류 이상의 폴리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된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가지는 요철층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당해 요철 구조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당해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불규칙하고 또한 연속된 형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것이며,
    상기 요철층의 표면에 점착층을 적층시킴으로써, 당해 이형 필름과 적층하는 점착층의 일방의 표면에 상기 요철 구조가 전사됨과 함께, 당해 점착 시트의 타방의 표면에 지지체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롤 형상의 적층체.
  18. 지지체와,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와, 이형 필름이 순차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적층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이형 필름은,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측에, 2종류 이상의 폴리머, 올리고머 또는 모노머의 상분리에 의해 형성된 요철 구조를 표면에 가지는 요철층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당해 요철 구조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당해 요철 구조의 볼록부가 불규칙하고 또한 연속된 형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것이며,
    이형 필름의 상기 요철층의 표면(「요철층 표면」이라고 칭함)에 점착층을 적층시킴으로써, 당해 이형 필름과 적층하는 점착층의 일방의 표면에 상기 요철 구조를 전사함과 함께, 당해 점착 시트의 타방의 표면에 지지체를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 표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상기 지지체를 첩합함으로써, 당해 요철층 표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가지는 점착 시트를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면에, 상기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이 접하도록 이형 필름을 첩합하여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이형 필름과의 사이에, 상기 이형 필름의 요철층 표면과 점착 시트가 접하도록, 점착 시트를 라미네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필름의 상기 요철 구조는, 표면에 차지하는 볼록부의 면적 비율이 10~90%이고, 또한, 최대 고저차가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207017871A 2017-11-30 2018-11-30 이형 필름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528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30400 2017-11-30
JP2017230400 2017-11-30
JPJP-P-2018-069614 2018-03-30
JP2018069614 2018-03-30
PCT/JP2018/044186 WO2019107544A1 (ja) 2017-11-30 2018-11-30 離型フィルム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848A KR20200090848A (ko) 2020-07-29
KR102528364B1 true KR102528364B1 (ko) 2023-05-03

Family

ID=6666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871A KR102528364B1 (ko) 2017-11-30 2018-11-30 이형 필름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673295B2 (ko)
EP (1) EP3718762A4 (ko)
KR (1) KR102528364B1 (ko)
CN (1) CN111372766A (ko)
TW (1) TWI798300B (ko)
WO (1) WO2019107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24177A (ja) * 2019-08-02 2021-02-22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体
TWI724765B (zh) * 2020-01-21 2021-04-11 達興材料股份有限公司 可雷射離型的組成物、其積層體和雷射離型方法
JP2022025625A (ja) * 2020-07-29 2022-02-1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硬化膜及び積層体、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KR20230116054A (ko) * 2021-01-26 2023-08-03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및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WO2024023945A1 (ja) * 2022-07-26 2024-02-01 株式会社レゾナック 離型フィルム及び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CN116273802A (zh) * 2023-03-13 2023-06-23 深圳市长松科技有限公司 压花膜的制作方法、压花膜和压花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9189A (ja) * 2009-03-09 2010-09-24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JP2013179120A (ja) 2012-02-28 2013-09-09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用フィルムおよび粘着テープ
JP2016188344A (ja) 2015-03-30 2016-11-0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フィルム、粘着シート、及び剥離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0880B2 (en) * 1993-10-29 2002-08-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s having microstructured surfaces
US6197397B1 (en) 1996-12-31 2001-03-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s having a microreplicated topography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4401091B2 (ja) 2003-03-14 2010-01-2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156530B2 (ja) 2004-01-06 2008-09-24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粘着剤付き化粧シート
KR20100016163A (ko) * 2007-04-13 2010-02-1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정전기 방지성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감압 접착제
KR20090014253A (ko) * 2007-08-04 2009-02-09 김국희 반복사용이 가능한 온도감응형 점착성 매트릭스 화장료
DE102009049414A1 (de) * 2009-10-14 2011-04-21 Huhtamaki Forchheim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Geprägte Trennfolie mit verbesserter Trennwirkung
JP2011162751A (ja) * 2010-02-15 2011-08-25 Nitto Denko Corp 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セパレータ及びセパレータ付き粘着テープ
KR101648280B1 (ko) 2011-12-02 2016-08-12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JP5610642B2 (ja) * 2012-02-28 2014-10-2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用フィルムおよび粘着テープ
EP2944463B1 (en) * 2013-01-11 2017-07-05 Unitika, Ltd. Mold release film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KR20160068773A (ko) 2013-10-11 2016-06-15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공정 시트
WO2015152351A1 (ja) 2014-04-02 2015-10-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WO2015152347A1 (ja) 2014-04-02 2015-10-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TWI661935B (zh) * 2014-06-13 2019-06-11 日商富士軟片股份有限公司 暫時接著用積層體、暫時接著用積層體的製造方法以及帶有元件晶圓的積層體
WO2017018135A1 (ja) * 2015-07-24 2017-02-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剥離フィルムおよび粘着剤積層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9189A (ja) * 2009-03-09 2010-09-24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JP2013179120A (ja) 2012-02-28 2013-09-09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用フィルムおよび粘着テープ
JP2016188344A (ja) 2015-03-30 2016-11-0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剥離フィルム、粘着シート、及び剥離フィ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73295B2 (en) 2023-06-13
KR20200090848A (ko) 2020-07-29
EP3718762A1 (en) 2020-10-07
TW201930520A (zh) 2019-08-01
WO2019107544A1 (ja) 2019-06-06
TWI798300B (zh) 2023-04-11
CN111372766A (zh) 2020-07-03
EP3718762A4 (en) 2020-12-30
US20200282605A1 (en) 2020-09-10
US20220242012A1 (en) 2022-08-04
US11724423B2 (en) 202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8364B1 (ko) 이형 필름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1276992B1 (ko) 폴리에스테르 적층 필름 및 전사박
KR20130140648A (ko) 장식 시트 및 장식 성형품
KR20070086122A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
KR20100091118A (ko) 터치 패널용 적층 압출 수지판 및 터치 패널용 표면 도포판
JP4085193B2 (ja) 艶消し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
JP7188029B2 (ja) 離型フィルム
TWI761369B (zh) 黏著片材積層體、賦形黏著片材積層體及其製造方法
KR101791232B1 (ko) 플라스틱 필름 적층체
JP7200475B2 (ja) 3次元構造形成用組成物及び3次元構造形成方法
JP2022186741A (ja) 離型フィルム
JP2010234610A (ja) 防眩性を有する帯電防止インモールド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品
JP7255151B2 (ja) 離型フィルム
JP7363546B2 (ja) 積層体及びエポキシ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JP5927902B2 (ja) 微細凹凸構造を表面に有する物品、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き物品
JP7230466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ロール状の積層体
JP2021155624A (ja) 離型フィルム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5838668B2 (ja) 微細凹凸構造を表面に有する物品、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き物品
KR20200006486A (ko) 세라믹 그린 시트 제조 공정용 박리 필름
KR20200006487A (ko) 세라믹 그린 시트 제조 공정용 박리 필름
JP2018144381A (ja) 塗布フィルムおよび粘着シート積層体
JP7516811B2 (ja) 加飾フィルム及び加飾成形体
JP7467962B2 (ja) 加飾フィルム及び加飾成形体
JP7027851B2 (ja) 樹脂硬化層付き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232435A (ja) ディスプレイ保護用樹脂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