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253A - 반복사용이 가능한 온도감응형 점착성 매트릭스 화장료 - Google Patents

반복사용이 가능한 온도감응형 점착성 매트릭스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253A
KR20090014253A KR1020070078328A KR20070078328A KR20090014253A KR 20090014253 A KR20090014253 A KR 20090014253A KR 1020070078328 A KR1020070078328 A KR 1020070078328A KR 20070078328 A KR20070078328 A KR 20070078328A KR 20090014253 A KR20090014253 A KR 20090014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olymer
skin
sensitive adhesiv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희
Original Assignee
김국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희 filed Critical 김국희
Priority to KR102007007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4253A/ko
Publication of KR20090014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61K9/0004Osmotic delivery systems; Sustained release driven by osmosis, thermal energy or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사용하는 점착시트형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건조상태에서 점착성을 나타내는 매트릭스와 유효성분의 건조, 누출 혹은 휘발을 막아주는 보호필름으로 구성되고, 상기 매트릭스 층은 피부에 대한 유효한 점착력을 제공하고, 온도감응성 고분자 및 수용성 고분자 분리상과 미용성분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부착 시 온도 상승에 의해 미용성분이 방출되고 반복, 지속적으로 피부를 통해 흡수될 수 있도록 하여 미용효과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부, 점착시트, 화장료, 온도감응, 수용성 고분자

Description

반복사용이 가능한 온도감응형 점착성 매트릭스 화장료 {A cosmetic sheet for repetition usable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rmal sensitive adhesive matrix}
본 발명은 피부에 유효한 미용성분이 반복,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피부를 통해 미용성분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하여 미용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점착시트형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는 보호 필름과 점착매트릭스 층, 이형필름으로 구성되며, 이 매트릭스 층에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및 수용성 고분자와 미용성분의 분리상을 포함하며, 피부에 부착 시 미용성분의 방출이 이루어지며, 반복하여 사용 가능한 점착시트형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피부에 대한 여러 가지 미용효과, 즉 미백, 보습, 주름개선, 유연성 등을 부여하기 위하여 각종 크림류, 화장수류, 에센스류, 폼류, 파우더류 등에 미용성분을 포함시킨 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형의 경우 피부에 도포 시, 너무 빨리 과량이 흡수되거나 공기와 접함으로써 변성이 발생 한다던가, 외부 접촉에 의해 도포된 미용성분이 원치 않게 묻어나게 된다던가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불안정한 성분의 경우 고농도로 첨가할 수 없었다. 한편 피부에 자극적인 성분들은 과량 사용될 경우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부작용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 들어 시트형 화장료가 개발되었으나, 부직포에 미용성분을 적셔서 사용하는 경우, 공기에 대한 노출을 피할 수 없으며 따라서 미용성분의 변성을 막을 수 없고, 피부에 대한 부착력이 없으며, 과량의 성분이 피부와 접촉하게 되어 피부자극의 우려가 있는 등, 앞서 제기된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이드로젤 매트릭스 형태의 점착시트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하여 변성감소, 증발방지, 점착성 향상 등 일부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이 경우에서도 부착력이 여전히 약하다는 점, 반복사용이 어렵다는 점 등 앞서 제기된 문제를 완벽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더욱이 굴곡이 심한 부위에 적용하여 부착되어 있기에는 어려운 단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즉 일본 특개소 58-167510호에는 피부부착성이 우수한 제제로서 무수말레인산을 이용한 제형이 제시되어 있으나, 사용감이 너무 건조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의 특개소 61-236600호에는 보형력이 우수하고 사용감이 좋은 하이드로젤 매트릭스 점착시트 제제로서 젤라틴을 이용해 만든 제형이 제시되어 있으나, 열에 대한 안정도가 낮으며, 점착력이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개소 63-78199호에는 아크릴폴리머를 금속염으로 가교하여 만든 제제가 제시되어 있으나, 점착층이 너무 단단하고, 수분이 쉽게 증발하여 피부 부착력이 낮은 단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535261호에는 노출부위 보호층, 부착부위 보호층, 하이드로젤 매트릭스층의 다층으로 구성된 점착시트형 화장료에 대해 제시하고 있으며, 수용성 점착제를 매트릭스로 사용하여 부드럽긴 하나, 점착력이 약하고, 재사용 시 부착력이 현격히 저하되어 반복사용이 어려우며, 굴곡이 심한 부위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00192에는 건조상태에서 접착성을 나타내며, 하나 이상의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층이 있고 다공성 백킹이 한 면에 부착되어 구성된 패취에 대해 제시하고 있으나, 소수성 폴리머를 매트릭스로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미용성분을 함유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미용성분의 방출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90169에는 단층 구조의 다량의 유성 성분을 포 함하는 피부적용 유성 소프트 젤시트에 대해 제시하고 있으나, 유성 성분으로 가소제를 포함하여 피부에 대한 자극성을 피할 수 없으며, 피부에 대한 점착력도 약하고, 미용성분의 방출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약물전달계에 있어서 상온에서는 솔 상태를 유지하다 체온에서 젤 상태로 전이되는 온도감응성 고분자들을 이용하여 약물전달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대표적인 온도감응성 고분자로서 PEO-PPO계 블럭공중합체,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및 이의 공중합체, PEO-PLGA계 공중합체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들도 온도감응성을 나타내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헤이만 (E, Heymann, Studies on sol-gel transformations, I. The inverse sol-gel transformation of methylcellulose in water, Trans. Faraday Soc. 31 (1935) 846-864)과 사카 (N. Sarkar, Thermal gelation properties of methyl and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J. Appl. Polym. Sci. 24 (1979) 1073-1087)에 의하면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이나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경우 염화나트륨을 사용하거나 하이드록시프로필의 몰 치환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체온 근처에서 솔-젤 전이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칼슨 등(A. Carlsson, G. Karlstrom, B. Lindman, Thermal gelation of nonionic cellulose ethers an ionic surfactants in water, Colloids Surf. 47 (1990) 147-165)은 또한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의 경우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나 세틸 트리암모늄 브로마이드 같은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솔-젤 전이 효과를 나타냄을 보고하였다. 또한 자일로글루칸 역시 이와 비슷한 솔-젤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보고되었다(M. Shirakawa, K. Yamatoya, K. Nishinari, Tailoring xyloglucan properties using an enzyme, Food Hydrocolloids 12 (1998) 25-28). 한편 체니트 등에 의하면 키토산에 베타-글리세로포스페이트 같은 폴리올 염을 첨가하여 온도감응성 젤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발명은 피부에 유효한 미용성분이 반복,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피부를 통해 미용성분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하여 미용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점착시트형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피부에 적용하기 전까지 점착성 매트릭스층을 보호하고 오염 및 미용성분의 증발, 혹은 누출을 막아주는 이형필름을 포함하며, 보호필름을 사용하여 수분이나 미용성분의 증발 혹은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피부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하고 유연한 점착매트릭스 층을 사용하여 굴곡이 심하거나 운동성 있는 부위에서도 쉽게 떨어지지 않고 반복 사용할 수 있으며, 온도증가에 의해 젤화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용성 고분자와 미용성분을 분리상에 포함시킴으로써, 피부에 부착 시 온도 상승에 의해 고분자가 젤화됨으로써 미용성분의 방출이 조절되어, 피부자극을 최소화 하면서 피부 미용성분을 반복, 지속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며, 미용효과 또한 상승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용성분의 안정도를 높일 수 있고, 피부에 부착력이 우수하여 굴곡이 심하거나 운동시 많이 굽어지는 굴곡부위에도 적용 가능하고, 반복사용이 가능하고 지속적으로 피부에 흡수시킴으로써, 경제적이며 미용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점착시트형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점착시트형 화장료는 보호 필름과 점착매트릭스 층, 이형필름으로 구성되며, 이 매트릭스 층에는 온도증가에 의해 젤화되는 고분자와 미용성분의 분리상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매트릭스 층은 점착매트릭스 층 총 중량에 대하여 0.5 ~ 50.0 중량%의 미용성분을 포함하는 분리상, 50 ~ 99.5 중량%의 고분자 점착제로 구성되며, 분리상에는 분리상 총 중량에 대하여 10 ~ 80 중량%의 미용성분(유화제, 안정화제 포함), 10 ~ 45 중량%의 온도감응성 고분자, 10 ~ 45 중량%의 수용성 고분자와 증류수를 포함하고, 고분자 점착제상에는 고분자 점착제상 총 중량에 대하여 84 ~ 99.99 중량%의 점착성 고분자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에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가교제, 촉매 및 반응지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명백히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시트형 화장료는 온도감응성 고분자를 포함함으로써 미용성분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피부에 유용한 효과를 부여하는데 최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미용성분의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미용성분을 지속적으로 피부에 흡수시킬 수 있으며, 또한 경제적인 점착시트형 화장료를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호필름은 올레핀계 폴리머, 우레탄계 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메타크릴계 폴리머, 폴리비닐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폴리에테르계 폴리머 중 선택된 하나 혹은 2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 보호필름의 두께는 5 ~ 100 ㎛의 두께를 가진다. 또한 이 보호 필름은 다공성 구조를 지닐 수 있으며, 이러한 다공성을 주기 위하여 부직포 혹은 직물로 만들어진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점착매트릭스 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하나인 고분자 점착제상에 있어서 점착성 고분자에는 아크릴계 점착제, 올레핀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폴리비닐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에테르계 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혹은 2 이상의 성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점착성 고분자는 고분자 점착제상의 총 중량에 대하여 84 ~ 99.99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점착매트릭스 층의 두께는 100 ~ 3000 ㎛이다.
본 발명의 점착매트릭스 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하나인 고분자 점착제 층에 있어서 가교제는 2개 이상의 알케닐기를 갖는 폴리머오르가노실리콘 화합물로 트리메틸실론산과 5-헥세닐 메틸실록산 단위의 코폴리머, 트리메틸 실록산과 알릴메틸실록산 단위의 코폴리머, 5-헥세닐 디메틸실록산과 5-헥세닐 메틸실록산단위의 코폴리머, 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및 1,2,4-트리비닐시클로헥산 및/또는 1,3,5-트리비닐시클로헥산으로부터 히드로시릴화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이다. 본 발명의 가교제는 고분자 점착제상의 총 중량에 0.005 ~ 7.0 중량%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매트릭스 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하나인 고분자 점착제 층에 있어서 촉매는 트리메틸레니피리딘 플라티늄, 디클로라이드, 시클로옥타디엔-플라티늄디클로라이드,시클로펜타이엔-플라티늄 디클로라이드 백금-비닐실록산착제, 백금-올레핀착제, 백금-알코올레이트 착제, 백금-에테르 착제, 백금-케톤 착제, 백금-알데히드착제 등 백금의 화합물 또는 착제가 있다. 본 발명의 촉매는 고분자 점착제상의 총 중량에 0.005 ~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매트릭스 층을 구성하는 성분의 하나인 고분자 점착제 층에 있어서 반응지연제는 디알킬포름아미드, 알킬티오우레아, 메틸에틸케톡실 등 최소한 하나의 지방족 3중결합을 가진 유기 또는 오르가노실리콘화합물, 디알킬말리에이트, 리알킬아세티렌 디카르복실레이트 및 푸마레이트 등이다. 본 발명의 반응지연제는 고분자 점착제상의 총 중량에 0.001 ~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매트릭스 층을 구성하는 또 하나의 구성물인 분리상에 있어서 미용성분은 피부주름을 억제할 수 있는 레티놀 및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아세테이트, 레티너인산 등의 레티놀 유도체; 피부보습력을 증진시켜주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히아론산, 콘드로이틴설페이트, 각종 다당류, 천연아미노산, 천연세라마이드, 유사세라마이드 등의 보습성분; 피부혈행을 촉진시켜주는 카페인, 캡사이신, 하마멜리스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등의 천연 식물 추출성분; 피부탄력을 증진시키는 당근추출물, 소나 돼지 등의 동물성 콜라겐, 해양성 콜라겐, 식물성 콜라겐 등의 성분; 피부유연 효과를 나타내는 스쿠알렌, 메도폼오일, 마카데미아오일, 올리브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과 광유, 실리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등 합성오일;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한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빈산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빈산포스페이트 마그네슘염, 코지산 및 그 유도체, 그리고 하드로퀴논 및 그 유도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미용성분은 분리상 총 중량에 대하여 10 ~ 80 중량% 포함하며, 여기에는 미용성분 이외에 증류수와 함께 이를 에멀젼화 시키거나 안정화 시키기 위한 유화제와 안정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매트릭스 층을 구성하는 또 하나의 구성물인 분리상에 있어서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에틸 하이트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자일로글루칸, 키토산,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및 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그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및 그의 공중합체, 폴리포스파젠 및 그의 공중합체 중에 선택된 하나 혹은 2 이상의 폴리머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분리상 총 중량에 대하여 5 ~ 45 중량%이다.
본 발명의 점착 매트릭스 층을 구성하는 또 하나의 구성물인 분리상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소듐알지네이트, 소듐히아루로네이 트, 콘드로이틴설페이트,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엘라스틴, 케라탄설페이트, 더마탄설페이트, 젤라틴 중 선택된 하나 혹은 2 이상의 폴리머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용성 고분자는 분리상 총 중량에 대하여 5 ~ 45 중량%이다. 한편 분리상에는 미용성분, 유화제 및 안정화제, 온도감응성 고분자, 수용성 고분자를 제외한 나머지 조성으로 이온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온수는 또한 피부에 적용하기 직전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로써 실시 예 및 실험 예를 아래에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3>
먼저, 온도감응성 고분자 및 수용성 고분자를 이온수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미용성분과 유화제 혹은 안정화제를 넣어 분산시킨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혼합물은 고분자용액 혹은 고분자를 이루기 위한 모노머 혹은 올리고머와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 혼합용액을 50㎛ 두께의 실리콘 필름 위에 두께 2 ㎜로 캐스팅하고, 80 ℃에서 경화시킨다.
성분 실시 예 1 실시 예 2 실시 예 3
폴리비닐아세테이트 98
폴리우레탄 97
폴리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99
이온수 72 71 71
메틸셀룰로오스 15 - 15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 15 -
폴록사머 - - -
레티닐팔미테이트 1.0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4.0 3.0
콘드로이틴설페이트 5 3
소듐알지네이트 - 5 -
카페인 - - -
세라마이드 1.0 1.0 1.0
마카데미아오일코지산 1.0 1.0 1.0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스테아레이트 1.0 1.0 1.0
소듐도데실설페이트 - 1.0 -
염화나트륨 1.0 - 1.0
<실시 예 4~6>
실시 예 4 실시 예 5 실시 예 6
실리콘 97
프로필셀룰로오스 98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99
이온수 62 71 76
메틸셀룰로오스 - 15 -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 - 10
폴록사머 25 - -
레티닐팔미테이트 1.0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4.0 3.0
콘드로이틴설페이트 5 - 3
소듐알지네이트 - 5 -
카페인 - 0.5 0.5
세라마이드 1.0 1.0 1.0
마카데미아오일코지산 1.0 0.5 1.0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스테아레이트 1.0 1.0 0.5
소듐도데실설페이트 1.0 - 1.0
염화나트륨 - 1.0 -
<시험 예 1>
위의 실시 예에 의해 만들어진 시료에 대하여 남녀 실험자 16명의 팔 상박부에 반복 피부 부착성을 평가하였다. 이는 직접 피부에 부착하여 12일간 반복 시험하였으며 매일 0.5 ~ 1시간 부착하였고, 재 부착시에는 물에 적신 후 다시 부착하였다. 평가에 대한 설문은 1, 2, 3, 5, 7, 9, 12일째에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은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평가점수 평가기준
0 피부에 대한 점착성 없음
1 피부에 대한 점착성 약함
2 피부에 대한 점착성 약간 강함
3 피부에 대한 점착성 강함
<시험 예 2>
한편 피부에 대한 자극이 있는지를 함께 평가하였으며, 아래 표 2의 기준에 따라 사용 전 후의 변화를 설문을 통해 평가하였다.
[표 2]
평가점수 평가기준
0 자극 없음
1 최소한의 자극
2 약간의 자극 있음
3 심한 자극이 있음
<시험 예 3>
한편 피부에 대한 개선효과가 지속되는지를 함께 평가하였으며, 아래 표 3의 기준에 따라 사용 전 후의 변화를 설문을 통해 평가하였다.
[표 3]
평가점수 평가기준
0 사용 전보다 개선효과 없음
1 사용 전보다 개선효과 약간 있음
2 사용 전보다 개선효과 중간 정도 있음
3 사용 전보다 개선효과 현저하게 있음
위의 시험 예에 따라 시험 한 결과를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1일 2일 3일 5일 7일 9일 12일
점착성 3 3 2.8 2.7 2.7 2.6 2.5
피부자극 0.7 0.6 0.7 0.5 0.5 0.4 0.4
피부개선 2.7 2.7 2.6 2.5 2.4 2.4 2.4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12일간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자극은 최소한 이하로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개선효과가 꾸준히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1은 본 발명의 내용을 구성하는 점착시트형 화장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편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보호필림 2.분리상(미용성분 포함) 3. 점착매트리스 층 4. 이형필림
5. 고분자 점착제 상

Claims (7)

  1. 보호 필름과 점착매트릭스 층, 이형필름으로 구성되며, 이 매트릭스 층에는 온도감응성 고분자 및 수용성 고분자와 미용성분의 분리상 및 고분자 점착제상을 포함하며, 피부에 부착 시 온도감응성 고분자에 의해 미용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하여 사용 가능한 점착시트
  2. 상기 1항에 있어서, 점착매트릭스 층은 30 ~ 80 %의 분리상과 20 ~ 70%의 고분자 점착제상으로 이루어지며, 피부에 부착 시 온도감응성 고분자에 의해 미용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하여 사용 가능한 점착시트
  3. 상기 1항에 있어서, 점착매트릭스 층은 점착매트릭스 층 총 중량에 대하여 0.5 ~ 50.0 중량%의 미용성분을 포함하는 분리상, 50 ~ 99.5 중량%의 고분자 점착제상으로 구성되며, 분리상에는 분리상 총 중량에 대하여 1 ~ 90 중량%의 미용성분(유화제, 안정화제 포함), 5 ~ 99.5 중량%의 온도감응성 고분자, 5 ~ 99.5 중량%의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고분자 점착제 층에는 고분자 점착제 층 총 중량에 대하여 84 ~ 99.99 중량%의 점착성 고분자, 0.005 ~ 7.0 중량%의 가교제, 0.005 ~ 2.0 중량%의 촉매 및 0.001 ~ 5.0 중량%의 반응지연제를 포함하고 미용성분의 방출이 조 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복하여 사용 가능한 점착시트
  4. 상기 3항에 있어서, 분리상은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에틸 하이트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자일로글루칸, 키토산,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및 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그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 및 그의 공중합체, 폴리포스파젠 및 그의 공중합체 중에 선택된 하나 혹은 2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하며,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분리상 총 중량에 대하여 5 ~ 99.5 중량%인 점착시트.
  5. 상기 3항에 있어서 점착성 고분자는 아크릴계 점착제, 올레핀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폴리비닐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에테르계 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혹은 2 이상의 성분으로 구성되며, 점착성 고분자는 고분자 점착제상의 총 중량에 대하여 84 ~ 99.99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점착매트릭스 층의 두께는 100 ~ 3000 ㎛인 점착시트.
  6. 상기 3항에 있어서 분리상의 미용성분은 피부주름을 억제할 수 있는 레티놀 및 레 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아세테이트, 레티너인산 등의 레티놀 유도체; 피부보습력을 증진시켜주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히아론산, 콘드로이틴설페이트, 각종 다당류, 천연아미노산, 천연세라마이드, 유사세라마이드 등의 보습성분; 피부혈행을 촉진시켜주는 카페인, 캡사이신, 하마멜리스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등의 천연 식물 추출성분; 피부탄력을 증진시키는 당근추출물, 소나 돼지 등의 동물성 콜라겐, 해양성 콜라겐, 식물성 콜라겐 등의 성분; 피부유연 효과를 나타내는 스쿠알렌, 메도폼오일, 마카데미아오일, 올리브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과 광유, 실리콘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등 합성오일;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한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빈산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빈산포스페이트 마그네슘염, 코지산 및 그 유도체, 그리고 하드로퀴논 및 그 유도체 중 선택된 하나 혹은 2 이상을 포함하며, 미용성분은 분리상 총 중량에 대하여 1 ~ 90 중량%인 점착시트.
  7. 상기 3항에 있어서, 분리상은 온도감응성 고분자 이외에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소듐알지네이트, 소듐히아루로네이트, 콘드로이틴설페이트,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엘라스틴, 케라탄설페이트, 더마탄설페이트, 젤라틴 중 선택된 하나 혹은 2 이상의 폴리머로 구성되며, 수용성 고분자는 분리상 총 중량에 대하여 5 ~ 99.5 중량%인 점착시트.
KR1020070078328A 2007-08-04 2007-08-04 반복사용이 가능한 온도감응형 점착성 매트릭스 화장료 KR20090014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328A KR20090014253A (ko) 2007-08-04 2007-08-04 반복사용이 가능한 온도감응형 점착성 매트릭스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328A KR20090014253A (ko) 2007-08-04 2007-08-04 반복사용이 가능한 온도감응형 점착성 매트릭스 화장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253A true KR20090014253A (ko) 2009-02-09

Family

ID=4068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328A KR20090014253A (ko) 2007-08-04 2007-08-04 반복사용이 가능한 온도감응형 점착성 매트릭스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42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114A (ko) 2018-08-16 2020-02-26 고세윤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CN111372766A (zh) * 2017-11-30 2020-07-03 三菱化学株式会社 脱模膜和层叠体的制造方法
KR20230039982A (ko) * 2021-09-15 2023-03-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착형 온도 감응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2766A (zh) * 2017-11-30 2020-07-03 三菱化学株式会社 脱模膜和层叠体的制造方法
US11673295B2 (en) 2017-11-30 2023-06-13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old releas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US11724423B2 (en) 2017-11-30 2023-08-15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Mold releas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KR20200020114A (ko) 2018-08-16 2020-02-26 고세윤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KR20230039982A (ko) * 2021-09-15 2023-03-2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착형 온도 감응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023B1 (ko) 수용성 히알루론산 겔 및 그의 제조 방법
EP2638921A1 (en) Gel sheet comprising lipidic peptide type gelling agent and polymeric compound
ES2278603T3 (es) Dispositivos en forma de lamina formados previamente adecuados para aplicacion topica.
CN106176286A (zh) 透明质酸皮肤护理膜及制备方法和应用
KR101905518B1 (ko) 세포외기질-실록산 중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0167391B (zh) 具有可溶性膜的阻隔贴片
JP2009108007A (ja) ゲ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JP2006342164A (ja) 皮膚の水分含有量を調節および改善するための局所化粧料配合物
JP2011178693A (ja) 美容方法
KR102143829B1 (ko) 가교결합된 히알루론산 및 루페올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4833936B2 (ja) 薄葉紙
JP2007230996A (ja) 窒化ホウ素を含む抗擦過組成物
EP2692336B1 (en) Externally used drug kit
KR20090014253A (ko) 반복사용이 가능한 온도감응형 점착성 매트릭스 화장료
JP5653573B2 (ja) ゲ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KR101178435B1 (ko) 접착성 함수 겔시트
CN112236122B (zh) 包含使皮脂改性的材料的洗去型清洁组合物
JP2000143484A (ja) 化粧用ゲルシート
JP2000072619A (ja) シート状含水パック剤
JP5430146B2 (ja) 身体貼付用シート剤
JP2009108006A (ja) ゲルシートの製造方法、ゲルシート、およびシート状化粧料
JP2016166133A (ja) パック化粧料
JP2003183147A (ja) シート状含水ゲル
JP2000212074A (ja) 多層ゲル構造生体用粘着シ―ト、これを用いた化粧品および医薬部外品
JP2009108008A (ja) ゲル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