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023B1 -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023B1
KR102528023B1 KR1020230026226A KR20230026226A KR102528023B1 KR 102528023 B1 KR102528023 B1 KR 102528023B1 KR 1020230026226 A KR1020230026226 A KR 1020230026226A KR 20230026226 A KR20230026226 A KR 20230026226A KR 102528023 B1 KR102528023 B1 KR 102528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astic body
rain cover
rai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6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5294A (ko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김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철 filed Critical 김형철
Priority to KR1020230026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023B1/ko
Publication of KR2023003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294A/ko
Priority to KR1020230052322A priority patent/KR20230058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1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foldable; Tensioning mechanisms therefor, e.g.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을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경우, 우산을 접거나 펴고자 하면서 비에 젖게 된다. 또한, 짐을 싣거나 내리고자 할 때에도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몸이 불편한 사람이 승하차할 경우에는 더욱 비에 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아도 빗물가리개가 적절하게 펼쳐지고, 그 펼쳐지는 구동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머리를 숙일 필요가 없다는 편의를 제공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레인센서, 레인센서와 연결되고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구동부와 연결되는 빗물가리개, 구동부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구동속도증가부, 도어 스위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 도어의 개방 각도를 판단하고, 도어 스위치는 복수개의 암스위치 및 수스위치와 반복적으로 접촉되며 신호를 전달받는 검전기가 암스위치, 수스위치와의 접촉 수를 카운팅하여 도어의 열림 정도를 판단하고, 암스위치 및 수스위치는 도어의 전단부에 연결된 회전축과 연결되어, 도어의 회전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암스위치 및 수스위치에서 차량 차체프레임과 연결된 검전기에 신호가 전달되는 것에 의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APPARATUS FOR RAIN-VISOR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빗물 차단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탑승하거나 하차하는 경우, 우산을 접거나 펴고자 하면서 비에 젖게 된다. 또한, 짐을 싣거나 내리고자 할 때에도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몸이 불편한 사람이 승하차할 경우에는 더욱 비에 젖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하는 종래 기술의 빗물 차단 장치는 자동차의 지붕에 고정되는 프레임 박스와 프레임 박스안에서 외부로 인출가능한 차양 부재겸 비차단막을 설치하게 되는데, 어떻게 펼쳐지는지에만 고민이 집중되어져 있다.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접혀지는 것에 대한 문제 해결 방법이 미흡한 상태로서 아직 산업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의 도어를 항상 완전히 개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옆의 차량이나 건물의 외벽에 의해 일부만 열리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 때에도 빗물가리개가 적절하게 펼쳐져야 함에도 이에 대한 문제 해결 방법이 미흡하다.
또한, 탑승할 때나 하차할 때 원래의 행동 습관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산업화의 확률이 높아지는데, 종래의 기술들로는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빗물가리개가 펼쳐지는 동안 잠시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에서 승차한 후, 원래의 행동 습관에 따라 도어를 닫으면서 바로 출발할 수 있도록 빗물가리개가 접혀야 하나, 이 때에도 접혀지는 시간 동안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일반 SUV, 승용차의 경우, 차량의 루프까지의 높이는 일반 성인의 키보다 낮기 때문에 단순히 빗물가리개가 루프 높이에서 펼쳐져도 머리를 숙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 개선해야할 필요가 요구된다.
또한, 빗물가리개는 이미 많은 빗물에 젖어 있는 상태로서 차량의 루프나 하우징에 보관되는 경우, 빗물이 고여 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빗물 차단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빗물 차단 방법 및 장치,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콘트롤러, 차량용 빗물가리개 제조방법, 차량용 빗물가리개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승하차하는 경우의 평상시 사람의 습관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빗물 차단 장치의 구동속도를 증가시키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빗물가리개가 적절하게 접혀지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더라도 적절하게 빗물 차단 장치가 구동되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효과적으로 도어의 개방정도를 판단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루프 이상의 높이에서 빗물을 차단하도록 하여 사람이 머리를 숙이지 않도록 하는 편의성을 높인 빗물 차단 장치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차단 부위, 2차단 부위를 포함하여 승하차 시에 효과적으로 빗물을 차단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는 빗물가리개의 제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빗물 차단 장치를 위한 적절한 모양을 제공하는 빗물가리개의 제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빗물가리개가 젖게 되는데, 적절하게 빗물을 제거하고, 건조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콘트롤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는 레인센서, 레인센서와 연결되고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구동부와 연결되는 빗물가리개, 구동부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구동속도증가부, 도어 스위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 도어의 개방 각도를 판단하고, 도어 스위치는 복수개의 암스위치 및 수스위치와 반복적으로 접촉되며 신호를 전달받는 검전기가 암스위치, 수스위치와의 접촉 수를 카운팅하여 도어의 열림 정도를 판단하고, 암스위치 및 수스위치는 도어의 전단부에 연결된 회전축과 연결되어, 도어의 회전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암스위치 및 수스위치에서 차량 차체프레임과 연결된 검전기에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효과적인 차량용 빗물 차단 방법 및 장치,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콘트롤러, 차량용 빗물가리개 제조방법, 차량용 빗물가리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더라도 적절하게 빗물 차단 장치가 구동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개방정도를 판단하도록 하여 시간측정과 함께 적절하게 펼쳐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와 루프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시간측정과 함께 적절하게 빗물가리개가 펼쳐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양압공간부 및 양압공기개폐스위치를 포함하여 빗물 가리개의 펼침 속도를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음압공간부 및 공기흐름개폐스위치를 포함하여 빗물 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탑승 시의 빗물가리개의 펼침 뿐 아니라, 접힘을 위한 감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적절한 시점에 빗물가리개가 접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1차단 부위, 2차단 부위를 포함하여 승하차 시에 효과적으로 빗물을 차단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는 빗물가리개의 제조 정보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루프 이상의 높이에서 빗물을 차단하도록 하여 사람이 머리를 숙이지 않도록 하는 편의성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1차단 부위, 2차단 부위를 포함하여 승하차 시에 효과적으로 빗물을 차단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는 빗물가리개의 제조 정보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빗물 차단 장치를 위한 적절한 모양을 제공하는 빗물가리개의 제조 정보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빗물가리개가 젖게 되는데, 적절하게 빗물을 제거하고, 건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장점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방정도판단부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방정도판단부의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속도증가부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속도증가부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속도증가부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속도증가부의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 10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속도증가부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1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속도증가부의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3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감지부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감지부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가리개 또는 빗물가리개의 일부 구성의 분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가리개 또는 빗물가리개의 일부 구성의 투시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가리개 또는 빗물가리개의 일부 구성의 말린 형상이다.
도 18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가리개 또는 빗물가리개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가리개 또는 빗물가리개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가리개 또는 빗물가리개의 일부 구성의 분해도이다.
도 2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가리개 또는 빗물가리개의 일부 구성의 말린 형상이다.
도 22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가리개 또는 빗물가리개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3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가리개 또는 빗물가리개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가리개 또는 빗물가리개의 일부 투시도이다.
도 2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가리개 또는 빗물가리개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6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가리개 또는 빗물가리개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27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의 펼친 상태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29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의 접힌 상태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가리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가리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배출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배출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배출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배출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9는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가리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0은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가리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1은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가리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2는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가리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43은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가리개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44는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가리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5는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빗물가리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46은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체의 형상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속도증가부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4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속도증가부의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도 49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속도증가부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50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속도증가부의 일부 구성의 확대도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또는 그 내부의 표면에 접촉되어 연결되는 것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구성 및 작용을 도면의 부호와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는 레인센서, 빗물가리개, 상기 빗물가리개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탑승자의 탑승을 감지하는 탑승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가 구동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탑승감지부는 좌석과 연결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석과 연결되는 센서는 압력센서, 압력스위치, 압전센서 및 테이프 스위치, 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탑승감지부는 차량 내부를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는 제1빗물가리개 내지 제4빗물가리개를 포함하여, 상기 분할된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는 상기 분할된 위치의 탑승감지를 통해 제1빗물가리개 내지 제4빗물가리개 중 매칭되는 어느 하나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탑승감지부는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이미지 센서, 광도전소자, 고체 이미지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컬러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탑승감지부는 동작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작센서는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이미지 센서, 광도전소자, 고체 이미지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컬러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는 제1차단막 및 제2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제1형상을 기억하는 탄성체가 연결되어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 사이의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의 모양에 의해 제2형상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 사이의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이 상기 탄성체의 기억된 형상에 의해 상기 제1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은 고주파로 접합되며 공기를 차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형상은 상기 제1차단막 및 제2차단막의 재단 시 의도된 모양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차단막은 제3차단막 및 제4차단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차단막은 제5차단막 및 제6차단막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차단막의 제1접합부는 상기 제3차단막 및 상기 제4차단막이 펼쳐지는 경우의 상부 방향과 후미 방향의 만나는 일측이며, 상기 제2차단막의 제1접합부는 상기 제5차단막 및 상기 제6차단막이 펼쳐지는 경우의 상부 방향과 후미 방향의 만나는 일측이고,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의 제2접합부는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의 외곽측의 모양을 따라 접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형상을 기억하는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 사이의 공기수용공간과 접하는 면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형상은 봉 형상이고, 복수개이며,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복수개의 봉 형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봉 형상이 상기 빗물가리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의 접합된 모양은 상부 및 후미 방향으로 완만하게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의 제1형상은 롤의 형상을 기억하되, 상기 제2형상의 펼쳐지는 방향은 상부 방향으로서, 상기 제1차단막, 상기 제2차단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탄성체의 기억된 형상은 롤의 형상이며, 펼쳐지는 방향은 상부 방향으로서, 상기 제1차단막, 상기 제2차단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의 도어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1자력부재와 대응하여 상기 빗물가리개에 연결되는 제2자력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2자력부재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되는 지지부재가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과 연결되어 상기 제2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의 접합된 차단막은 제1부위 및 제2부위를 포함하여 상기 접합된 차단막의 제1부위는 상기 지지부재에서부터 상부를 향하여 굽어진 형상이며, 상기 접합된 차단막의 제2부위는 상기 제1부위에서부터 후미를 향하여 굽어진 형상으로서, 상기 지지부재가 차량도어와 차량루프 사이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상기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부위는 상부를 향하고 상기 제2부위는 후미를 향하여 펼쳐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보다 더 강한 탄성력을 가진 제2탄성체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이 제2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탄성체가 제1형상에서 변형된 후 상기 제2탄성체가 변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의 제1형상은 롤의 형상을 기억하되, 상기 제2형상으로 펼쳐지는 경우 차량의 도어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2탄성체의 제1형상은 롤의 형상을 기억하되, 상기 제2형상으로 펼쳐지는 경우 차량의 후미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체보다 더 강한 탄성력을 가진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형상에서 제1형상으로 복원되는 경우, 상기 탄성체보다 상기 제2탄성체가 먼저 복원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의 도어개폐감지부, 및 차량의 도어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1자력부재와 대응하여 상기 빗물가리개에 연결되는 제2자력부재, 제1형상을 유지하는 공기차단막을 포함하여,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시라고 판단하고,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해 도어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와 상기 제2자력부재는 전자기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되는 지지부재가 상기 루프에서부터 연장되어 펼쳐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공기차단막의 공기수용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공기차단막의 재단되고 접합된 모양에 의해 제2형상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2형상은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량보다 높은 위치에서 후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보다 더 강한 탄성력을 가진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공기차단막이 제2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탄성체가 기억된 형상에서부터 변형된 후 상기 제2탄성체가 변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보다 더 강한 탄성력을 가진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형상에서 제1형상으로 복원되는 경우, 상기 탄성체보다 상기 제2탄성체가 먼저 복원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의 일측면 또는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자석, 상기 빗물가리개는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 및 상기 도어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레인센서와 연결되어 우천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자화되는 전자석이되, 상기 빗물가리개는 일측면에 고정되는 탄성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체는 상기 탄성지지체의 탄성력을 능가하는 힘에 의하여 제1형상으로 유지되며, 제2형상을 기억하여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 및 상기 도어의 상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형상으로 펼쳐지며, 상기 제2형상은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 형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 상기 탄성지지체의 사이에 상기 탄성지지체보다 크기가 작고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 형상을 갖는 제2 탄성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에서 상기 도어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지지부재는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힌지가 제2지지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부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의 타측에 제2힌지가 연결되어 상기 제2힌지는 제2빗물가리개와 연결되어 상기 제2빗물가리개는 차량의 후미를 향하고, 상기 빗물가리개, 상기 제2지지부재, 상기 제2빗물가리개는 절첩되어 상기 차량의 루프 또는 상기 루프의 상면에 연결되는 하우징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1고정브라켓, 상기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2빗물가리개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2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 및 상기 제2힌지와 연결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에서 상기 도어 방향으로 신장되는 상기 빗물가리개는 제1부위, 제2부위, 제3부위를 포함하여, 상기 제1부위는 차량 루프의 도어 방향 일측면 및 상기 도어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부위는 상기 제1부위와 연결되어 상부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3부위는 상기 제2부위와 연결되어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펼쳐지며, 상기 빗물가리개는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위 내지 상기 제3부위는 절첩되어 상기 차량의 루프 또는 상기 루프의 상면에 연결되는 하우징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부위 및 상기 제2부위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1탄성체, 상기 제2부위 및 상기 제3부위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체 및 상기 제2탄성체는 일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방향이 전환되고 타단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과 소정의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루프에서 도어 방향으로 향하는 제1공기통로 및 상기 제1공기통로에서 상부방향을 향하는 제2공기통로 및 상기 제2공기통로에서 차량의 후미 방향을 향하는 제3공기통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공기통로 및 상기 제2공기통로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1탄성체, 상기 제2공기통로 및 상기 제3공기통로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체 및 상기 제2탄성체는 일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방향이 전환되고 타단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과 소정의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구동속도증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공기수용공간 및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에어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속도증가부는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공기수용공간 사이에 공기를 저장하는 양압공간부 및 상기 양압공간부에서 상기 공기수용공간으로의 공기 흐름을 개폐하는 양압공기개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개폐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이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에어펌프가 상기 양압공간부에 공기를 전달하여 상기 양압공간부의 공기 압력은 상기 공기수용공간의 공기 압력보다 높고,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해 도어가 열린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양압공기개폐스위치가 열려 상기 양압공간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수용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공기수용공간 및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에어컴프레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속도증가부는 상기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공기수용공간 사이에 음압공간부 및 상기 음압공간부와 상기 공기수용공간의 공기 흐름을 개폐하는 공기흐름개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상기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흐름개폐스위치는 닫히고, 상기 음압공간부의 공기가 상기 에어컴프레셔를 통해 상기 공기수용공간보다 낮은 압력을 유지하며, 상기 탑승감지부에서 탑승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공기흐름개폐스위치가 열려 상기 공기수용공간의 공기가 상기 음압공간부로 이동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탄성체, 걸림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구동속도증가부는 상기 빗물가리개가 펼쳐지거나 접혀지기 전에 상기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고, 반대 방향으로 상기 걸림수단으로 제지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경우, 상기 걸림수단은 해제되어 상기 탄성체가 보유하고 있던 탄성력으로 상기 빗물가리개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개폐감지부,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부재, 스토퍼, 스톱공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펼쳐지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서 도어가 열린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스톱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펼침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개폐감지부,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부재, 제1걸림후크, 제2걸림후크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펼쳐지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서 도어가 열린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제2걸림후크가 상기 제1걸림후크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펼침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개폐감지부,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부재, 걸림후크, 걸림공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펼쳐지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도어개폐감지부에서 도어가 열린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공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펼침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부재, 스토퍼, 스톱공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접히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빗물가리개가 접히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스톱공에 삽입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탑승감지부에서 탑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스톱공에 삽입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부재, 제1걸림후크, 제2걸림후크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접히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상기 빗물가리개가 접히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제2걸림후크가 상기 제1걸림후크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탑승감지부에서 탑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제2걸림후크가 상기 제1걸림후크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부재, 걸림후크, 걸림공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접히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상기 빗물가리개가 접히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공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탑승감지부에서 탑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공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터, 차량의 도어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1자력부재와 대응하여 상기 빗물가리개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2자력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2자력부재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축봉, 상기 빗물가리개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관통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상기 탄성체는 상기 축봉과 연결되고, 상기 빗물가리개는 절첩되어 일측은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축봉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은 상기 빗물가리개의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된 상기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측은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시켜 상기 빗물가리개가 접히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가하고, 상기 걸림수단으로서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제2자력부재가 전자기력으로 접합되며, 상기 빗물가리개를 접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제2자력부재의 전자기력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체에 부가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복원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의 도어의 개방 정도를 판단하는 도어개방정도판단부, 상기 도어개방도판단부와 연결되어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개방정도가 적어도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소정의 기준이며,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도어개방정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상기 빗물가리개를 구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개방정도판단부는 도어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 스위치는 복수개의 암스위치 및 수스위치와 반복적으로 접촉되며 신호를 전달받는 검전기가 상기 암스위치, 상기 수스위치와의 접촉 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도어의 열림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상기 도어의 일측인 후단부의 반대 방향인 타측인 전단부는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암스위치 및 상기 수스위치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암스위치 및 수스위치에서 차량 차체프레임과 연결된 상기 검전기에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개방정도판단부는 상기 도어와 차량의 루프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는 차량 루프의 상부 및 도어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루프의 상판 및 하판의 사이에 삽입되고, 빗물배수로가 상기 상판의 저면, 상기 하판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배수로의 일측은 제1개구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개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개구부, 상기 제2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개폐되는 통풍막을 더 포함하여, 상기 레인센서와 연결되는 상기 제어부는 우천시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풍막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개구부는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개구부는 차량의 전방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배수로의 일측은 차량의 후미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개구부, 타측은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돌출된 빗물제거턱을 더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사이에 삽입되면서 상기 빗물가리개의 빗물이 상기 빗물제거턱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는 차량 루프의 상면에 연결되는 하우징 및 도어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삽입되고, 빗물배수로가 상기 하우징의 상판의 저면, 하판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배수로의 일측은 제1개구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개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개구부, 상기 제2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개폐되는 통풍막을 더 포함하여, 상기 레인센서와 연결되는 상기 제어부는 우천시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풍막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의 일측면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돌출된 빗물제거턱을 더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빗물가리개의 빗물이 상기 빗물제거턱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는 차량 루프의 상면에 연결되는 하우징 및 도어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삽입되고, 빗물배수로가 상기 하우징의 상판의 저면, 하판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는 차량 루프의 상부 및 도어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루프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사이에 삽입되고, 빗물배수로가 상기 상판의 저면, 상기 하판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는 차량 루프의 상면에 연결되는 하우징 및 도어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삽입되고, 빗물배수로가 상기 하우징의 상판의 저면, 하판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빗물가리개는 차량 루프의 상부 및 도어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루프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사이에 삽입되고, 빗물배수로가 상기 상판의 저면, 상기 하판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루프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 중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돌출된 빗물제거턱을 더 포함하여, 상기 탄성지지체가 상기 제2형상에서 상기 제1형상으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빗물가리개는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사이에 삽입되면서, 상기 빗물제거턱과 접촉되고자 하는 상기 탄성지지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빗물가리개의 빗물이 제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및 방법은 빗물가리개, 상기 빗물가리개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차량의 도어의 개방 정도를 판단하는 도어개방정도판단부, 상기 도어개방도판단부와 연결되어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구성도인 도 1 및 확대도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3)와 연결되어 개방 정도를 판단하는 도어개방정도판단부(175), 상기 도어개방도판단부(175)와 연결되어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부(115)를 포함하고, 제어부(105), 레인센서(14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인센서는 차량의 전면 유리 외측에 부착되어 차량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비의 유, 무를 감지할 수 있는 압전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프런트 글라스 전방에 구비되고, 빗물이 고이는 것을 감지하는 빗물 감지수단으로 상기 프런트 글라스 전방에 구비되는 카울탑이나 본네트에 형성되는 빗물 고임홈부와 상기 빗물 고임홈부의 내측 공간에 고이는 빗물에 접촉되어 상기 차단부 제어기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빗물 접촉부와 상기 빗물 고임홈부의 측면과 차체를 연결하는 접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글래스에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생하여 상기 글래스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받으며, 상기 전기신호를 통해서 상기 발광부 각각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수광부에 수신되는 광량의 차이 변화를 산출하되, 상기 광량의 차이에 대한 순간 절대 변화량과 시간에 따른 누적 변화량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량의 차이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글래스 표면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경로 광 수신차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의 윈드실드에 상호 이격 배치되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재,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과 d1 간격만큼 이격된 제 2-1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d2 간격만큼 이격된 제 2-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d3 간격만큼 이격된 제 2-3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d1 간격은 상기 d2 간격보다 작고, 상기 d2 간격은 상기 d3 간격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빗물가리개는 비막이부재 또는 다수의 보강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빗물가리개의 신장되거나 전개되는 루트상에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에서, 전원공급부, 온/오프 스위치, 차량 정지 상태 확인을 위한 센서나 제어모듈, 엔진을 포함하는 동력발생장치, 휀다, 본닛, 범버, 핸들, 동력전달장치, 서스펜션, 타이어, 스티어링, 브레이크, 차체, 변속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후술될 탄성체는 고무줄, 탄성회복률을 가지는 복합섬유, 용수철, 스프링을 포함한다.
빗물 차단 장치는 후술될 자동 장치 뿐 아니라, 무선리모콘으로 펼쳐지거나 접히고, 또한, 차량 내부의 버튼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등의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후술될 차량의 후미는 그 방향이 차량의 후방을 포함하고, 또한, (방사각으로) 도어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도어와 루프의 면 사이 각으로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미를 포함한다.
도어개폐감지부, 레인센서, 탑승감지부, 모터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호간에 신호를 주고 받는다. 상기 모터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개방정도가 적어도 상기 제어부(105)에 설정된 소정의 기준이며, 상기 제어부(105)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도어개방정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상기 빗물가리개를 구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개방정도판단부(175)는 도어 스위치의 위치 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스위치는 복수개의 암스위치(495) 및 수스위치(500)와 반복적으로 접촉되며 신호를 전달받는 검전기(505)가 상기 암스위치(495), 상기 수스위치와(500)의 접촉 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도어의 열림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상기 도어의 일측인 후단부의 반대 방향인 타측인 전단부는 상기 도어의 도어회전축(513)과 연결되고, 상기 암스위치(495) 및 상기 수스위치(500)는 상기 도어회전축(513)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3)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암스위치(495) 및 수스위치(500)에서 차량 차체프레임과 연결된 상기 검전기(505)에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스위치(495) 및 수스위치(500)는 도어회전축(513)과 연결되고, 도어회전축(513)은 도어(3)의 회전각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하며 암스위치(495) 및 수스위치(500)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암스위치(495) 및 수스위치(500)에서 회전에 따라 전달하는 전기 신호를 검전기(505)는 수신하여 상기 도어(3)의 개방정도를 판단하게 된다. 이 때 레인센서(145)가 관여되어 레인센서(145)에서 제어부(105)에 전달하는 신호에 따라, 우천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의 레인센서(145), 도어개방정도판단부(175)의 신호를 제어부(105)에서 수신하고, 구동부에 명령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개방정도판단부는 상기 도어와 차량의 루프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개방정도판단부는 상기 도어(3)와 차량의 루프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적외선센서(180)을 포함하여, 개방 정도를 거리로 판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시간측정부(115)는 시간측정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러는 차량의 빗물가리개, 및 상기 빗물가리개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연결되되,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방정도를 판단하는 도어개방정도판단부(175) 및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기(115)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는 도어 스위치의 위치 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도어와 차량의 루프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보내는 신호로 상기 도어의 개방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빗물 차단 방법은 차량의 도어개방정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어개방정도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구동부와 연결되는 빗물가리개가 구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개방정도가 적어도 제어부(105)에 설정된 소정의 기준이며, 상기 제어부(105)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도어개방정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상기 빗물가리개를 구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개방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도어 스위치의 위치 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개방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와 차량의 루프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가리개, 상기 빗물가리개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구동속도증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인센서, 도어개폐감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 시 라고 판단하는 경우 구동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어개폐감지부는 차량의 손잡이 센서, 도어개방정도판단부를 포함한다. 차량 승하차하는 경우의 평상시 사람의 습관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대기하지 않고 빗물 차단 장치의 구동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구성의 사시도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3)와 연결되는 도어개폐감지부(235)에 의해 도어가 열리는 것을 판단하는 경우, 빗물가리개(5)가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인센서의 신호가 제어부(105)에 전달되록 하여 함께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구성의 사시도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는 루프상판(415) 및 루프하판(420)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상판(415)와 루프하판(420) 사이에 도어(3) 방향을 향하는 개구부(26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와 도어(3)를 연결하는 지지부재(350)을 포함하여 빗물가리개(5)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가리개(5)의 일측면은 제2자력부재(290)와 연결되고, 도어(3)의 상부에는 제1자력부재(285)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제1자력부재(285) 및 제2자력부재(290)은 전자석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레인센서(145) 및 도어개폐감지부(235), 차량정지판단부(미도시)는 제어부(105)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인센서(145)에서 우천 시라고 판단하고, 도어개폐감지부(235)에서 도어(3)가 열린다고 판단하고, 차량정지판단부(미도시)에서 차량이 정지상태라고 판단하는 조건들이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05)는 구동부에 명령을 전달하여 빗물가리개(5)를 펼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고 루프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1자력부재, 상기 제1자력부재와 대응되어 도어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제2자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2자력부재의 접합되는 힘, 상기 공기수용공간의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힘은 상기 빗물가리개의 복원력보다 크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구성의 확대도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빗물가리개(5)는 제2자력부재(290)와 연결되고, 도어(3)의 상부에 제1자력부재(285)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5)에서 상기 제1자력부재(285) 및 제2자력부재(290)을 전자석 자력으로 연결하여, 제2자력부재(290)와 연결된 빗물가리개(5)가 함께 신장되어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공기수용공간 및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에어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속도증가부는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공기수용공간 사이에 공기를 저장하는 양압공간부 및 상기 양압공간부에서 상기 공기수용공간으로의 공기 흐름을 개폐하는 양압공기개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를 저장하는 양압공간부는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압축공기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구성의 사시도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루프(1)의 도어(3) 방향을 향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종지지봉(40)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을 포함하여, 에어펌프(190)에 의해 공기를 수용하고, 상기 종지지봉(40) 및 그 연장부위에 의해 지지되는 빗물가리개(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압공간부(195) 및 양압공기개폐스위치(200)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105)에 양압공기개폐스위치(200), 에어펌프(190)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05)에서 구동부의 구동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압공간부(195)는 양압상태를 유지하는 탱크, 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종지지봉(40)은 후술할 내용을 통해서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빗물가리개의 역할로서도 가능하다. 종지지봉(40)의 내부의 표면과 공기수용공간은 접촉된다.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도록 내측에 공기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피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봉 형상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외부로 끼워져 에어 주입 시 팽창되는 튜브의 외피를 탄력적으로 압박하도록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결속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인센서, 도어개폐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이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에어펌프(190)가 상기 양압공간부(195)에 공기를 전달하여 상기 양압공간부(195)의 공기 압력은 상기 공기수용공간의 공기 압력보다 높고,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해 도어(3)가 열린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양압공기개폐스위치(200)가 열려 상기 양압공간부(195)의 공기가 상기 빗물가리개(5)와 연결되는 공기수용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수용공간은 종지지봉(40)의 내부일 수 있으며, 상기 빗물가리개(5)의 내부일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도어가 열리기 전에 양압공간부(195)의 공기 압력이 높아 양압공기개폐스위치(200)가 열리는 경우, 빠르게 공기수용공간으로 이동되며, 펼쳐지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빗물가리개(5)와 연결되는 공기수용공간 및 상기 빗물가리개(5)와 연결되는 에어컴프레셔(21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속도증가부는 상기 에어컴프레셔(210)와 상기 공기수용공간 사이에 음압공간부(215) 및 상기 음압공간부(215)와 상기 공기수용공간의 공기 흐름을 개폐하는 공기흐름개폐스위치(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승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가리개(5)와 연결되는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흐름개폐스위치(220)는 닫히고, 상기 음압공간부(215)의 공기가 상기 에어컴프레셔(210)를 통해 상기 공기수용공간보다 낮은 압력을 유지하며, 상기 탑승감지부에서 탑승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공기흐름개폐스위치(220)가 열려 상기 공기수용공간의 공기가 상기 음압공간부(215)로 이동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가리개(5)가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탑승을 감지하기 전까지 음압공간부(215)의 압력은 낮아지고, 탑승을 감지하거나 소정의 시간 후, 공기흐름개폐스위치(220)가 열리면서 공기수용공간의 공기가 빠르게 음압공간부(215)로 이동되며, 빗물가리개(5)가 빠르게 접히게 된다. 음압공간부는 음압상태를 유지하는 탱크, 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탄성체,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속도증가부는 상기 빗물가리개가 펼쳐지거나 접혀지기 전에 상기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고, 반대 방향으로 상기 걸림수단으로 제지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경우, 상기 걸림수단은 해제되어 상기 탄성체가 보유하고 있던 탄성력으로 상기 빗물가리개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속도증가부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인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루프(1)는 루프상판(415) 및 루프하판(420)을 포함하고, 루프상판(415) 및 루프하판(420)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봉탄성체(229)는 루프(1) 또는 차체의 일면에 고정되고, 걸림봉(227)이 빗물가리개(5)와 연결되며, 빗물가리개(5)는 권취롤(240) 및 축봉(300)과 연결된다. 축봉(300)의 일단은 모터(245)와 연결되고, 스토퍼(255)는 루프상판(415)에 연결된다.
레인센서, 도어개폐감지부,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의 회전축 및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 시 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시키고,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탄성력을 제지하고,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서 도어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걸림수단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력이 펼침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인센서, 도어개폐감지부,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부재, 스토퍼, 스톱공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펼쳐지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도어개폐감지부에서 도어가 열린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스톱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펼침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걸림부재는 걸림봉(227)을 포함한다. 탄성체는 걸림봉탄성체(229)를 포함한다. 레인센서, 도어개폐감지부, 모터(245)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봉(227), 스토퍼(255), 스톱공(270)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봉(227)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연결되고,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245)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연결되는 상기 걸림봉(227)는 펼쳐지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도어개폐감지부에서 도어(3)가 열린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걸림봉(227)를 제지하는 상기 스토퍼(255)가 상기 스톱공(270)으로 삽입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펼침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245)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벨트(미도시) 및 풀리(미도시)로 연결되어 탄성력을 부가하고, 걸림봉(227)은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을 갖게 되나, 스토퍼(227)로 인하여 펼쳐지지 않게 된다. 도어개폐감지부의 신호는 제어부에 전달되고, 제어부를 통한 신호에 의해 스토퍼(255)는 스톱공(270)에 삽입되어 걸림봉탄성체(229)가 보유하고 있던 탄성력으로 빠르게 빗물가리개(5)가 구동되게 된다.
레인센서, 도어개폐감지부, 상기 빗물가리개(5)와 연결되는 권취롤(240), 상기 권취롤(240)의 회전축 및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연결되는 모터(245)를 포함하여,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 시 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245)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에 탄성력을 부가시키고, 상기 스토퍼(255)이 상기 탄성력을 제지하고,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서 도어(3)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255)가 스톱공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력이 펼침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수단은 스토퍼, 스톱공, 걸림후크, 스톱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속도증가부는 상기 도어의 회전축에 소정의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모터는 벨트와 풀리를 이용하여 탄성체에 탄성력 부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승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이 부가되고,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탄성력을 제지하고, 상기 탑승감지부에 의해 탑승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걸림수단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력이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승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가리개(5)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에 탄성력이 부가되고,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탄성력을 제지하고, 상기 탑승감지부에 의해 탑승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걸림수단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력이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제2스토퍼(미도시)를 포함하여, 상기 제2스토퍼(미도시)는 상기 빗물가리개(5)가 펼쳐진 상태에저 제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봉(미도시)이 상기 걸림봉(227)과 상기 축봉(3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빗물가리개(5)는 상기 제2스토퍼(미도시)에 의해 펼쳐진 상태에서 제지되고,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에 모터(245)의 역회전으로 탄성력이 부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스토퍼가 상기 걸림봉(227)과 이격되어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의 힘에 의해 빠르게 접히게 된다.
도어개폐감지부,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의 회전축 및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해 도어가 닫힌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시키고,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탄성력을 제지하고, 상기 걸림수단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력이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개폐감지부, 상기 빗물가리개(5)와 연결되는 권취롤(240), 상기 권취롤(240)의 회전축 및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연결되는 모터(245)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해 도어(3)가 닫힌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245)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에 탄성력을 부가시키고, 상기 걸림봉(227)이 상기 탄성력을 제지하고, 상기 걸림봉(227)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력이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245)는 상기 권취롤(24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권취롤(240)의 회전에 관여하며, 상기 모터(245)는 상기 회전축과 풀리(미도시) 및 벨트(미도시)로 연결되고, 상기 걸림봉탄성체(229)는 걸림봉(227)와 연결되고, 상기 걸림봉(227)은 상기 빗물가리개(5)의 신장부(도어방향의)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개폐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걸림수단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스토퍼 또는 걸림후크인 것을 포함하여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제지하되,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한 신호로 상기 체결수단과의 거리를 이격시켜 해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의 루프 상부에 상기 도어 방향을 향하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상기 체결수단인 스톱공을 포함하여,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톱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을 제지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받는 신호로 상기 스톱공에 삽입되며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의 루프(1) 상부에 상기 도어(3) 방향을 향하는 개구부(265)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265)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상기 체결수단인 스톱공(270)을 포함하여, 상기 스토퍼(255)는 상기 스톱공(27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의 탄성력을 제지하며, 상기 제어부(105)에서 전달받는 신호로 상기 스톱공(270)의 삽입된 부위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의 탄성력이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봉(227)은 빗물가리개(5)의 신장되는 일측면과 연결되어, 구동속도의 펼침속도 또는 접힘속도를 빠르게 할 때 관여된다.
차량의 루프 상부에 상기 도어 방향을 향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수단인 제1걸림후크는 상기 개구부의 하나의 면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수단인 제2걸림후크는 상기 제1걸림후크에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걸림후크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을 제지하되, 상기 제어부의 신호로 상기 제2걸림후크가 상기 제1걸림후크와 이격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속도증가부의 일부 구성도인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1) 상부에 상기 도어(3) 방향을 향하는 개구부(265)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수단인 제1걸림후크(275)는 상기 루프(1)의 하나의 면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수단인 제2걸림후크(280)는 상기 제1걸림후크(275)에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어부(105)와 연결되어, 상기 제1(275) 및 제2걸림후크(280)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의 탄성력을 제지하되, 상기 제어부(105)의 신호로 상기 제2걸림후크(280)가 상기 제1걸림후크(275)와 이격되어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의 탄성력이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걸림후크(280)는 제어부(105)의 신호에 따라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제1걸림후크(275)와 이격되어 보유하고 있던 걸림봉탄성체(229)의 탄성력으로 구동속도가 증가된다.
또한, 빗물가리개(5)가 펼쳐진 상태의 걸림봉(227)의 회전된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루프(1)의 상부면에 제3걸림후크(미도시), 및 상기 제3걸림후크에 대응되어 상기 걸림봉(227)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4걸림후크(미도시)에 의해 상기 모터(245)의 역회전 및 상기 제어부(105)의 신호로 상기 제4걸림후크(미도시)의 위치를 이격시킴으로 접힘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레인센서, 도어개폐감지부,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부재, 제1걸림후크, 제2걸림후크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펼쳐지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도어개폐감지부에서 도어가 열린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제2걸림후크가 상기 제1걸림후크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펼침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걸림부재는 걸림봉(227)을 포함한다. 탄성체는 걸림봉탄성체(229)를 포함한다. 레인센서, 도어개폐감지부, 모터(245)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봉(227), 제1걸림후크(275), 제2걸림후크(280)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봉(227)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연결되고,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245)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연결되는 상기 걸림봉(227)는 펼쳐지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도어개폐감지부에서 도어(3)가 열린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걸림봉(227)를 제지하는 상기 제2걸림후크(280)가 상기 제1걸림후크(275)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펼침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245)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벨트(미도시) 및 풀리(미도시)로 연결되어 탄성력을 부가하고, 걸림봉(227)은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을 갖게 되나, 제2걸림후크(280)로 인하여 펼쳐지지 않게 된다. 도어개폐감지부의 신호는 제어부에 전달되고, 제어부를 통한 신호에 의해 제2걸림후크(280)는 제1걸림후크(275)과 이격되어 걸림봉탄성체(229)가 보유하고 있던 탄성력으로 빠르게 빗물가리개(5)가 구동되게 된다.
레인센서, 도어개폐감지부,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부재, 걸림후크, 걸림공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펼쳐지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도어개폐감지부에서 도어가 열린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공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펼침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걸림부재는 걸림봉(227)을 포함한다. 탄성체는 걸림봉탄성체(229)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후크(미도시)는 제2걸림후크(280)를 포함한다. 레인센서, 도어개폐감지부, 모터(245)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봉(227), 제2걸림후크(280), 걸림공(미도시)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봉(227)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연결되고,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245)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연결되는 상기 걸림봉(227)는 펼쳐지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도어개폐감지부에서 도어가 열린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걸림봉(227)를 제지하는 상기 제2걸림후크(280)가 상기 걸림공(미도시)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펼침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걸림공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걸림후크(275)의 자리에 걸림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하나의 실시 예일 수 있다.
도어의 상부에 상기 루프 방향을 향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상기 체결수단인 스톱공을 포함하여,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톱공에 선택적으로 빠지며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을 제지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받는 신호로 상기 스톱공의 삽입된 부위에서 삽입되며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의 상부에 상기 루프 방향을 향하는 하나의 면에 상기 체결수단인 제1걸림후크가 고정되고, 상기 걸림수단인 제2걸림후크는 상기 제1걸림후크에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걸림후크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을 제지하되, 상기 제어부의 신호로 상기 제2걸림후크가 상기 제1걸림후크와 이격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 차량의 도어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1자력부재와 대응하여 상기 빗물가리개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2자력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2자력부재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축봉, 상기 빗물가리개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관통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탄성체는 상기 축봉과 연결되고, 상기 빗물가리개는 절첩되어 일측은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축봉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은 상기 빗물가리개의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된 상기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측은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시켜 상기 빗물가리개가 접히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가하고, 상기 걸림수단으로서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제2자력부재가 전자기력으로 접합되며, 상기 빗물가리개를 접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제2자력부재의 전자기력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체에 부가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이 복원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245), 차량의 도어(3)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1자력부재와 대응하여 상기 빗물가리개(5)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2자력부재(290)를 포함하여,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2자력부재(290)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빗물가리개(5)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축봉(300), 상기 빗물가리개(5)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관통하는 케이블(305)을 포함하여, 상기 복귀스프링(360)은 상기 축봉(300)과 연결되고, 상기 빗물가리개(5)는 절첩되어 일측은 상기 제2자력부재(29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축봉(300)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305)의 일측은 상기 빗물가리개(5)의 상기 제2자력부재(290)와 연결된 상기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305)의 타측은 상기 축봉(300)에 연결되고, 축봉(300)은 상기 복귀스프링(360)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245)는 상기 복귀스프링(360)에 탄성력을 부가시켜 상기 빗물가리개(5)가 접히는 방향으로 상기 복귀스프링(360)에 탄성력을 가하고, 상기 걸림수단으로서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제2자력부재(290)가 전자기력으로 접합되며, 상기 빗물가리개(5)를 접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제2자력부재(290)의 전자기력이 해제되어 상기 복귀스프링(360)에 부가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305)이 복원되어 상기 빗물가리개(5)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245)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복귀스프링(360)에 탄성력이 부가되고, 전자기력이 해제되면서 복귀스프링(360)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블(305)이 복원되면서 케이블(305)에 연결된 빗물가리개(5)의 제2자력부재(290)가 있는 측을 복원시켜 접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3)의 회전축에 소정의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모터(245)는 벨트와 풀리를 이용하여 복귀스프링(360)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러는 차량의 빗물가리개(5), 및 상기 빗물가리개(5)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연결되되, 상기 구동부의 구동속도를 증가시키는 구동속도증가부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부재, 스토퍼, 스톱공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접히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빗물가리개가 접히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스톱공에 삽입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탑승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탑승감지부에서 탑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스톱공에 삽입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걸림수단은 걸림부재, 스토퍼(255), 스톱공(270)을 포함하며, 걸림부재는 걸림봉(227) 및 제2걸림봉(228)을 포함한다. 도 47 및 도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245)를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봉(228)은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245)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연결되는 상기 제2걸림봉(228)은 접히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빗물가리개(5)가 접히는 경우, 상기 제2걸림봉(228)을 제지하는 상기 스토퍼(255)가 상기 스톱공(270)에 삽입되어 상기 빗물가리개(5)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탑승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가리개(5)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모터(245)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에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탑승감지부에서 탑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걸림봉(228) 제지하는 상기 스토퍼(255)가 상기 스톱공(270)에 삽입되어 상기 빗물가리개(5)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부재, 제1걸림후크, 제2걸림후크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접히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상기 빗물가리개가 접히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제2걸림후크가 상기 제1걸림후크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탑승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탑승감지부에서 탑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제2걸림후크가 상기 제1걸림후크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도 49 및 도 5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245)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부재, 제1걸림후크(275), 제2걸림후크(280)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걸림봉(227) 및 제2걸림봉(228)을 포함한다. 상기 제2걸림봉(228)은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245)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연결되는 상기 제2걸림봉(228)은 접히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상기 빗물가리개(5)가 접히는 경우, 상기 제2걸림봉(228)을 제지하는 상기 제2걸림후크(280)가 상기 제1걸림후크(275)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5)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탑승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가리개(5)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모터(245)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에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탑승감지부에서 탑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걸림봉(228)을 제지하는 상기 제2걸림후크(280)가 상기 제1걸림후크(275)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5)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부재, 걸림후크, 걸림공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접히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상기 빗물가리개가 접히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공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탑승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탑승감지부에서 탑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를 제지하는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걸림공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모터(245)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걸림부재, 제2걸림후크(280), 걸림공(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걸림봉(227) 및 제2걸림봉(228)을 포함한다. 상기 제2걸림후크(280)는 제2걸림봉(228)과 연결되고, 제2걸림봉(228)은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245)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와 연결되는 상기 제2걸림봉(228)은 접히는 방향의 힘을 갖게 되며, 상기 빗물가리개(5)가 접히는 경우, 상기 제2걸림봉(228)를 제지하는 상기 제2걸림후크(280)가 상기 걸림공(미도시)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5)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탑승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가리개(5)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모터(245)는 상기 걸림봉탄성체(229)에 탄성력을 부가하고, 상기 탑승감지부에서 탑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걸림봉(228)를 제지하는 상기 제2걸림후크(280)가 상기 걸림공(미도시)에서 이격되어 상기 빗물가리개(5)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도 49 및 도 50에서 보는 제1걸림후크(275)의 위치에 걸림공을 설치하는 예가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는 상기 권취롤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권취롤의 회전에 관여하며,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축과 풀리 및 벨트로 연결되고, 상기 탄성체는 걸림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빗물가리개의 신장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의 회전축에 소정의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모터는 벨트와 풀리를 이용하여 탄성체에 탄성력 부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빗물가리개가 접혀 있는 단계, 상기 빗물가리개가 구동부에 의해 구동하되, 구동속도증가부가 관여하여 구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공기수용공간 및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에어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속도증가부는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공기수용공간 사이에 양압공기(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양압공간부 및 상기 양압공간부에서 상기 공기수용공간으로의 공기 흐름을 개폐하는 양압공기개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공기수용공간 및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에어컴프레셔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속도증가부는 상기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공기수용공간 사이에 음압공간부 및 상기 음압공간부와 상기 공기수용공간의 공기 흐름을 개폐하는 공기흐름개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탄성체,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구동속도증가부는 상기 빗물가리개가 펼쳐지거나 접혀지기 전에 상기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고, 반대 방향으로 상기 걸림수단으로 제지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경우, 상기 걸림수단은 해제되어 상기 탄성체가 보유하고 있던 탄성력으로 상기 빗물가리개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인센서, 도어개폐감지부,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의 회전축 및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레인센서에서 우천 시 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시키고,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탄성력을 제지하고,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서 도어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걸림수단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력이 펼침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승감지부, 도어개폐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감지부에 의해 탑승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이 부가되고,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탄성력을 제지하고,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걸림수단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력이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개폐감지부,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의 회전축 및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해 도어가 닫힌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시키고,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탄성력을 제지하고, 상기 걸림수단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력이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개폐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걸림수단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스토퍼 또는 걸림후크인 것을 포함하여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제지하되,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한 신호로 상기 체결수단과의 거리를 이격시켜 해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의 루프 상부에 상기 도어 방향을 향하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상기 체결수단인 스톱공을 포함하여,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톱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또는 빠져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을 제지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받는 신호로 상기 스톱공의 삽입된 부위에서 빠지며(또는 삽입되며)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의 루프 상부에 상기 도어 방향을 향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수단인 제1걸림후크는 상기 개구부의 하나의 면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수단인 제2걸림후크는 상기 제1걸림후크에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걸림후크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을 제지하되, 상기 제어부의 신호로 상기 제2걸림후크가 상기 제1걸림후크와 이격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의 상부에 상기 루프 방향을 향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상기 체결수단인 스톱공을 포함하여,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톱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또는 돌출되어 빠져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을 제지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받는 신호로 상기 스톱공의 삽입된 부위에서 빠지며(또는 삽입되며)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의 상부에 상기 루프 방향을 향하는 하나의 면에 상기 체결수단인 제1걸림후크가 고정되고, 상기 걸림수단인 제2걸림후크는 상기 제1걸림후크에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걸림후크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을 제지하되, 상기 제어부의 신호로 상기 제2걸림후크가 상기 제1걸림후크와 이격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가리개, 상기 빗물가리개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접힘속도증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공기수용공간 및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에어컴프레셔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속도증가부는 상기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공기수용공간 사이에 음압공간부 및 상기 음압공간부와 상기 공기수용공간의 공기 흐름을 개폐하는 공기흐름개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탄성체,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접힘속도증가부는 상기 빗물가리개가 접혀지기 전에 상기 접혀지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하고, 반대 방향으로 상기 걸림수단으로 제지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접혀지는 경우, 상기 걸림수단은 해제되어 상기 탄성체가 보유하고 있던 탄성력으로 상기 빗물가리개의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승감지부, 도어개폐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감지부에 의해 탑승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이 부가되고,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탄성력을 제지하고,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걸림수단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력이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개폐감지부,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의 회전축 및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해 도어가 닫힌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모터는 상기 탄성체에 탄성력을 부가시키고,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탄성력을 제지하고, 상기 걸림수단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력이 접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는 상기 권취롤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권취롤의 신장에 관여하며,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축과 풀리 및 벨트로 연결되고, 상기 탄성체는 걸림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빗물가리개의 신장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개폐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걸림수단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수단은 스토퍼 또는 걸림후크인 것을 포함하여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제지하되,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한 신호로 상기 체결수단과의 거리를 이격시켜 해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의 상부에 상기 루프 방향을 향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상기 체결수단인 스톱공을 포함하여,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톱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을 제지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받는 신호로 상기 스톱공의 삽입된 부위에서 빠지며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의 상부에 상기 루프 방향을 향하는 하나의 면에 상기 체결수단인 제1걸림후크가 고정되고, 상기 걸림수단인 제2걸림후크는 상기 제1걸림후크에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걸림후크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을 제지하되, 상기 제어부의 신호로 상기 제2걸림후크가 상기 제1걸림후크와 이격되어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이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빗물 차단 장치 해제 단계는 빗물가리개가 펼쳐지는 단계, 상기 펼쳐진 빗물가리개가 구동부에 의해 동작하되, 접힘속도증가부가 관여하여 상기 빗물가리개가 접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인센서, 빗물가리개, 상기 빗물가리개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탑승자의 탑승을 감지하는 탑승감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감지부의 일부 구성도인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인센서(145), 빗물가리개(5), 상기 빗물가리개(5)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05)를 포함하되, 탑승자의 탑승을 감지하는 탑승감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승감지부는 좌석과 연결되는 센서(310)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석과 연결되는 센서는 압력센서, 압력스위치, 압전센서 및 테이프 스위치, 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탑승감지부는 차량 내부를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가리개는 제1빗물가리개 내지 제4빗물가리개를 포함하여, 상기 분할된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는 상기 분할된 위치의 탑승감지를 통해 제1빗물가리개 내지 제4빗물가리개 중 매칭되는 어느 하나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감지선(320)에 의해 어느 좌석의 탑승자가 탑승하였는지를 판단하고, 도어와 연결되는 제1빗물가리개(45), 제2빗물가리개(46), 제3빗물가리개(47), 제4빗물가리개(48) 중 매칭되는 위치의 빗물가리개를 접게 된다.
상기 탑승감지부는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이미지 센서, 광도전소자, 고체 이미지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컬러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승감지부는 동작 센서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감지선(320)에 의해 어느 좌석의 탑승자가 탑승하였는지를 판단하고, 도어와 연결되는 제1빗물가리개(45), 제2빗물가리개(46), 제3빗물가리개(47), 제4빗물가리개(48) 중 매칭되는 위치의 빗물가리개를 접게 된다.
상기 동작센서는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이미지 센서, 광도전소자, 고체 이미지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컬러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 차단 해제 장치는 레인센서(145), 빗물가리개(5), 상기 빗물가리개(5)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05)를 포함하되, 탑승자의 탑승을 감지하는 탑승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승감지센서는 좌석과 연결되며, 압력센서, 압력스위치, 압전센서 및 테이프 스위치, 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석센서(310)이 연결된다. 압력스위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탑승감지센서는 차량 내부를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가리개는 제1빗물가리개(45) 내지 제4빗물가리개(48)를 포함하여, 상기 탑승감지센서를 통해 제1빗물가리개(45) 내지 제4빗물가리개(48) 중 매칭되는 어느 하나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승감지센서는 동작 센서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승감지센서 또는 동작센서는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이미지 센서, 광도전소자, 고체 이미지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컬러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는 차량의 빗물가리개, 및 상기 빗물가리개를 구동하는 구동부, 및 레인센서와 연결되되, 차량 내부에 탑승을 감지하는 센서와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가리개가 펼쳐지는 단계, 상기 펼쳐진 빗물가리개가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해제되는 단계는 탑승자의 탑승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가 해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승을 감지하는 단계는 좌석과 연결되는 압력센서, 압력스위치, 압전센서 및 테이프 스위치, 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승을 감지하는 단계는 차량 내부를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가리개(5)가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탑승을 감지하면 빗물가리개(5)를 접게 된다. 상기 탑승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 분할감지선(320)을 통하여 내부를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위치를 감지하여 제1빗물가리개(45) 내지 제4빗물가리개(48) 중 매칭되는 것을 접게 된다.
상기 빗물가리개는 제1빗물가리개 내지 제4빗물가리개를 포함하여, 상기 분할된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빗물가리개 내지 제4빗물가리개 중 매칭되는 어느 하나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승을 감지하는 단계는 동작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탑승을 감지하는 단계는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이미지 센서, 광도전소자, 고체 이미지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컬러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차단막 및 제2차단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제1형상을 기억하는 탄성체가 연결되어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 사이의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의 모양에 의해 제2형상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 사이의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이 상기 탄성체의 기억된 형상에 의해 상기 제1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가리개 또는 빗물가리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제1형상을 기억하는 탄성체(35)가 연결되어 상기 제1차단막(20) 및 상기 제2차단막(25) 사이의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차단막(20) 및 상기 제2차단막(25)의 모양에 의해 제2형상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1차단막(20) 및 상기 제2차단막(25) 사이의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1차단막(20) 및 상기 제2차단막(25)이 상기 탄성체(35)의 기억된 형상에 의해 상기 제1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차단막(20) 및 상기 제2차단막(25)은 고주파로 접합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주파융착법을 사용하고, 상기 제1및 제2차단막(20,25)는 공기를 차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의 내부에 제1형상의 탄성력을 가진 탄성체(35)가 원형의 절첩형태로 쌓여 만들어지고, 탄성체(35)를 둘러싸는 제1 및 제2 차단막(20,25)가 상기 탄성체(35)와 함께 말리면서 제1형상을 갖게 된다. 내부에 상기 탄성체(35)의 탄성력보다 강한 공기압력이 채워지는 경우,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의 재단시 의도했던 모양대로 펼쳐지게 된다. 내부에 공기가 제거되는 경우, 공기압력이 탄성력보다 낮아지게 되어 기억된 형상의 제1형상으로 복원된다.
상기 탄성체의 제1형상은 롤의 형상을 기억하되, 상기 제2형상으로 펼쳐지는 경우 롤의 중심에서부터 펼쳐지는 방향은 상부 방향으로서, 상기 제1차단막, 상기 제2차단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 및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35)의 제1형상은 롤의 형상을 기억하되, 상기 제2형상으로 펼쳐지는 경우 롤의 중심에서부터 펼쳐지는 방향은 상부 방향으로서, 상기 제1차단막(20), 상기 제2차단막(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체(35)가 밀어올리면서 지지하고, 공기의 압력과 함께 빗물의 무게를 감당해내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형상은 상기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의 재단 시 의도된 모양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막(20)은 제3차단막(26) 및 제4차단막(27)을 포함하고, 상기 제2차단막(25)은 제5차단막(28) 및 제6차단막(29)을 포함하여, 상기 제1차단막(20)의 제1접합부(21)는 상기 제3차단막(26) 및 상기 제4차단막(27)이 상기 차단막이 차량에 펼쳐지는 경우의 상부 방향과 후미 방향의 만나는 일측이며, 상기 제2차단막(25)의 제1접합부(21)는 상기 제5차단막(28) 및 상기 제6차단막(29)이 상기 차단막이 차량에 펼쳐지는 경우의 상부 방향과 후미 방향의 만나는 일측이고, 상기 제1차단막(20) 및 상기 제2차단막(20)의 제2접합부(22)는 상기 제1차단막(20) 및 상기 제2차단막(25)의 외곽측의 재단모양을 따라 접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차단막(26) 및 제4차단막(27), 제5차단막(28) 및 제6차단막(29)의 모양에 의해 제2형상을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차단막(26) 내지 제6차단막(29)의 접합 각도에 의해서도 제2형상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복수개의 차단막을 사전에 의도하여, 의도한대로 재단하여 접합한다. 효과적인 빗물가리개의 상기 제2형상을 위한 각도로 만들기 용이하다. 공기가 제거되면 탄성체(35)의 제1형상대로 복원되고, 공기가 주입될 경우, 재단 시 의도한 제2형상으로 펼쳐지도록 하면, 좁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에 젖지 않을 수 있는 최적의 각도와 모양을 쉽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형상을 기억하도록 하는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 사이의 공기수용공간과 접하는 면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35)는 상기 제1차단막(20), 제2차단막(25) 중 하나의 면 어디든 고정될 수 있으나, 내부 공기수용공간과 접하는 면 중 제1차단막(20)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2형상은 봉 형상이고, 복수개이며,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복수개의 봉 형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봉 형상이 상기 빗물가리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의 접합된 모양은 상부 및 후미 방향의 타원형으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펼쳐지게 되는 제2형상은 봉 형상이고, 복수개이며, 상기 빗물가리개(5)가 상기 복수개의 봉 형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봉 형상이 상기 빗물가리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 형상은 상부를 향하는 종지지체(40), 후미를 향하는 후방지지봉(42)을 포함하고, 빗물가리개(5)가 봉 형상에 의해 지지된다. 공기수용공간에 공기로 인한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의도한대로 펼쳐져 도19와 같은 모양을 갖고, 공기가 제거되어 압력이 낮아지는 경우, 탄성체(35)의 복원력(탄성력)으로 인하여 제1형상으로 말려지게 된다.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기에 자명한 것으로서, 상기의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가 접합된 것은 빗물가리개(5)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종지지체(40)나 후방지지봉(42), 횡지지체(41-후술)의 역할도 할 수 있고, 응용 실시가 가능하다. 빗물가리개(5)가 상부 후방으로 펼쳐지면서 탑승자의 승하차 시에 머리에 닿지 않게 되며, 숙일 필요가 없게 된다. 상부 방향 또는 후미 방향의 길이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량의 도어(3)를 여는 경우, 빗물가리개(5)가 펼쳐지는 시작 위치가 도어(3) 및 루프(1)의 주변으로서 사람의 얼굴에 닿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빗물가리개(5)가 봉 형상이 아닌, 판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제1형상을 기억하는 탄성체(35)가 연결되어 상기 제1차단막(20) 및 상기 제2차단막(25) 사이의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차단막(20) 및 상기 제2차단막(25)의 모양에 의해 제2형상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1차단막(20) 및 상기 제2차단막(25) 사이의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1차단막(20) 및 상기 제2차단막(25)이 상기 탄성체(35)의 기억된 형상에 의해 상기 제1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의 봉 형상으로 말리는 것 뿐 아니라.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빗물가리개(5)가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을 포함하고, 탄성체(35)와 연결되어 제1형상의 타원형의 말린 형태로 복원될 수 있으며, 또한, 차단막의 가로 길이를 길게하여 제2형상은 판재형상이고, 그것이 말린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22 내지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을 갖는 빗물가리개(5)가 복수개의 봉형상 없이 공기 압력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의 접합된 모양은 상부 및 후미 방향의 타원형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차단막(20) 및 상기 제2차단막(25)의 접합된 모양은 상부 및 후미 방향의 타원형으로 완만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후비를 향하도록 하는 경우, 머리에 닿지 않도록 하여, 탑승자가 머리를 숙이지 않고도 편하게 승하차를 할 수 있게 된다.
제2탄성체(미도시)를 포함하여 상기 제2탄성체(미도시)의 기억된 형상은 롤의 형상이며, 롤의 중심에서부터 펼쳐지는 방향은 상부 방향으로서, 상기 제1차단막(20), 상기 제2차단막(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보다 더 강한 탄성력을 가진 제2탄성체을 포함하여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이 제2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탄성체가 제1형상에서 변형된 후 상기 제2탄성체가 변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4 및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35)보다 더 강한 탄성력을 가진 제2탄성체(미도시)을 포함하여 상기 제1차단막(20) 및 상기 제2차단막(25)이 제2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탄성체(35)가 제1형상에서 변형된 후 상기 제2탄성체(미도시)가 변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지지봉(41)과 연결되어 횡지지봉(41)은 차량의 루프의 도어 방향을 향하는 개구부 또는 차량의 루프 상판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도어 방향을 향하는 하우징(후술)의 개구부에 삽입 또는 펼쳐지도록 하며, 탄성체(35)는 횡지지봉(41)과 연결되어 횡지지봉(41)의 제1형상을 주도하게 된다. 횡지지봉(41)과 연결되어 상부를 향하는 종지지봉(40)의 내부에는 제2탄성체(미도시)가 연결되어, 상기 종지지봉(40)의 제1형상을 주도하게 된다. 상기 탄성체(35)는 상기 제2탄성체(미도시)보다 적은 탄성력을 보유하게 되어, 횡지지봉(41) 및 종지지봉(40)에 동시에 공기 압력이 유입되는 경우, 제2탄성체(미도시)보다 먼저 펼쳐지게 되며, 공기 압력이 제거되는 경우에는 제2탄성체보다 늦게 복원되게 된다. 또한, 도 31에서와 같이, 후미를 향하는 후방지지봉(42)를 포함하여, 더 효과적인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지지부재가 없이도, 상부 후미 방향을 향하는 빗물가리개(5)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고,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순서가 적합하여, 루프나 하우징에 보관시에도 저장에 용이하도록 접힌다는 효과가 있다.
차량의 도어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1자력부재와 대응하여 상기 빗물가리개에 연결되는 제2자력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2자력부재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되는 지지부재가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과 연결되어 상기 제2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3)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자력부재(285) 및 상기 제1자력부재(285)와 대응하여 상기 빗물가리개(5)에 연결되는 제2자력부재(290)를 포함하여, 상기 제1자력부재(285) 및 상기 제2자력부재(290)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자력부재(290)와 연결되는 지지부재(350)가 상기 제1차단막(20) 및 상기 제2차단막(25)과 연결되어 상기 제2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루프는 상판(415)와 하판(420)을 포함하고, 도어(3) 방향의 개구부를 형성한다. 개구부와 도어(3)를 연결하는 슬라이더(17)를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더(17)는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을 포함하고, 튜브관(73)과 연결된다. 상기 튜브관(73)은 종지지봉(40)과 연결되고, 상기 종지지봉(40)은 빗물가리개(5)를 지지한다. 상기 종지지봉(40)의 내부에는 탄성체(35)를 포함하여 공기가 제거되는 경우, 복원되어 루프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는 에어펌프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7)의 공기수용공간을 거쳐, 종지지봉(40)의 공기수용공간으로 이동된다. 탄성체(35)의 탄성력을 능가하는 공기유압으로 인해 펼쳐지게 된다.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의 접합된 차단막은 제1부위 및 제2부위를 포함하여 상기 접합된 차단막의 제1부위는 상기 지지부재에서부터 상부를 향하여 굽어진 형상이며, 상기 접합된 차단막의 제2부위는 상기 제1부위에서부터 후미를 향하여 굽어진 형상으로서, 상기 지지부재가 차량도어와 차량루프 사이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상기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부위는 상부를 향하고 상기 제2부위는 후미를 향하여 펼쳐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빗물가리개(5)는 차단막제1부위(55), 차단막제2부위(60)를 포함하고,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을 포함한다. 상기 제1차단막(20) 및 상기 제2차단막(25)의 접합된 차단막은 차단막제1부위(55) 및 차단막제2부위(60)를 포함하여 상기 접합된 차단막의 차단막제1부위(55)는 상기 지지부재(350)에서부터 상부를 향하여 굽어진 형상이며, 상기 접합된 차단막의 차단막제2부위(60)는 상기 차단막제1부위(55)에서부터 후미를 향하여 굽어진 형상으로서, 상기 지지부재(350)가 차량도어와 차량루프 사이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35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상기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삽입되어 상기 차단막제1부위(55)는 상부를 향하고 상기 차단막제2부위(60)는 후미를 향하여 펼쳐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천 여부를 판단하는 레인 센서,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 상기 레인센서 및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는 제어부, 차량도어와 차량루프 사이를 상기 레인센서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는 튜브의 제1부위 및 제2부위를 포함하여 상기 튜브의 제1부위는 상기 지지부재에서부터 연결되어 상부를 향하여 굽어진 형상이며, 상기 튜브의 제2부위는 상기 제1부위에서부터 후미를 향하여 굽어진 형상으로서, 상기 지지부재가 차량도어와 차량루프 사이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상기 튜브에 상기 에어펌프에서 주입된 공기에 의해 상기 제1부위는 상부를 향하고 상기 제2부위는 후미를 향하여 펼쳐지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도어개폐감지부, 차량의 도어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1자력부재와 대응하여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제2자력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2자력부재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통과할 수 있도록 루프의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루프 상판 및 하판 사이에 구비된 축봉, 상기 축봉과 연결된 복귀스프링, 상기 빗물가리개의 적어도 일면을 관통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는 절첩되어 일측은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축봉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은 상기 빗물가리개의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된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측은 상기 복귀스프링과 연결되어, 상기 레인센서에 의해 우천 시이며, 도어개폐감지부로 도어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2자력부재는 자기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된 상기 빗물가리개의 일측이 도어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빗물가리개의 일면을 관통하는 상기 케이블의 일측이 함께 도어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케이블의 타측과 연결된 복귀스프링은 탄성력이 부가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접히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2자력부재의 자기력이 해제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축봉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빗물가리개가 절첩되어 접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도 4,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도어개폐감지부(235), 차량의 도어(3)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자력부재(285) 및 상기 제1자력부재(285)와 대응하여 상기 빗물가리개(5)와 연결되는 제2자력부재(290)를 포함하여, 상기 제1자력부재(285) 및 상기 제2자력부재(290)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빗물가리개(5)가 통과할 수 있도록 루프(1)의 일측면에 개구부(265)가 형성되고, 상기 루프 상판(415) 및 하판(420) 사이에 구비된 축봉(300), 상기 축봉(300)과 연결된 복귀스프링(360), 상기 빗물가리개(5)의 적어도 일면을 관통하는 케이블(305)을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5)는 절첩되어 일측은 상기 제2자력부재(29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축봉(300)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305)의 일측은 상기 빗물가리개(5)의 상기 제2자력부재(290)와 연결된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305)의 타측은 상기 복귀스프링(360)과 연결되어, 상기 레인센서(145)에 의해 우천 시이며, 도어개폐감지부(235)로 도어(3)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285) 및 상기 제2자력부재(290)는 자기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자력부재(290)와 연결된 상기 빗물가리개(5)의 일측이 도어(3)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빗물가리개(5)의 일면을 관통하는 상기 케이블(305)의 일측이 함께 도어(3)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케이블(305)의 타측과 연결된 복귀스프링(360)은 탄성력이 부가되고, 상기 빗물가리개(5)가 접히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285) 및 상기 제2자력부재(290)의 자기력이 해제되어 상기 복귀스프링(36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기 케이블(305)이 상기 축봉(300)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빗물가리개(5)가 절첩되어 접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가리개(5)는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을 포함하여,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의 하나의 면은 탄성체(35)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7 내지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루프하판(420)과 상판(415)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루프와 도어(3)를 연결하는 슬라이더(17), 상기 슬라이더(17)와 연결되는 슬라이더봉(19), 상기 슬라이더봉(19)의 일단과 연결되는 슬라이더스프링(18)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은 제2자력부재(290)과 연결되고, 타측은 슬라이더봉(19)과 연결된다. 상기 제1자력부재(285) 및 제2자력부재(290)가 자기력으로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17)가 제2자력부재(290)와 함께 도어(3) 방향으로 나오면서 빗물가리개(5)가 펼쳐진다.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봉(19)이 회전된 경우, 슬라이더스프링(18)은 탄성력이 부가되어, 상기 자기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스프링(18)의 탄성력(복원력)으로 상기 슬라이더봉(19), 슬라이더(17), 빗물가리개(5)를 원래의 접힘 상태로 복원시킨다. 상기 슬라이더(17)에 빗물가리개(5)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라이더(17)가 빗물가리개의 역할을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30 내지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루프(1) 상부면에 하우징(295)를 포함하여, 도어(3) 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삽입 및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빗물가리개(5)가 접히는 경우, 후방지지봉(42) 및 종지지봉(40)가 먼저 접히고, 그 상태에서 횡지지봉(41)이 접히게 되어 상기 하우징(295)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른 예의 슬라이더(17)의 경우, 루프(1)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있을 도어(3)의 상부를 감안하여 도어(3) 방향으로 비스듬히 낮게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루프의 상판(415), 하판(420)의 사이에도 하우징(295)의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루프의 상판(415), 하판(420)의 사이의 6면 중 적어도 3면이 막힌 면이라면 하우징으로 볼 수 있으며, 6면 중 적어도 1면의 개구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도 3, 도 4, 도 12, 도 30 내지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도어개폐감지부(235), 차량의 도어(3)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자력부재(285) 및 상기 제1자력부재(285)와 대응하여 상기 빗물가리개(5)에 연결되는 제2자력부재(290)를 포함하여, 상기 제1자력부재(285) 및 상기 제2자력부재(290)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빗물가리개(5)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295), 상기 하우징(295) 내부에 구비된 축봉(300), 상기 축봉(300)과 연결된 복귀스프링(360), 상기 빗물가리개(5)의 적어도 일면을 관통하는 케이블(305)을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5)는 절첩되어 일측은 상기 제2자력부재(29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295) 내부의 축봉(300)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305)의 일측은 상기 빗물가리개(5)의 상기 제2자력부재(290)와 연결된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305)의 타측은 상기 복귀스프링(360)과 연결되어, 상기 레인센서(145)에 의해 우천 시이며, 도어개폐감지부(235)로 도어(3)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285) 및 상기 제2자력부재(290)는 자기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자력부재(290)와 연결된 상기 빗물가리개(5)의 일측이 도어(3)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빗물가리개(5)의 일면을 관통하는 케이블(305)의 일측이 함께 도어(3)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케이블(305)의 타측과 연결된 복귀스프링(360)은 탄성력이 부가되고, 상기 빗물가리개(5)가 접히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285) 및 상기 제2자력부재(290)의 자기력이 해제되어 상기 복귀스프링(36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기 케이블(305)이 상기 축봉(300)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빗물가리개(5)가 절첩되어 접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의 제1형상은 롤의 형상을 기억하되, 상기 제2형상으로 펼쳐지는 경우 차량의 도어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2탄성체의 제1형상은 롤의 형상을 기억하되, 상기 제2형상으로 펼쳐지는 경우 차량의 후미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보다 더 강한 탄성력을 가진 제2탄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2형상에서 제1형상으로 복원되는 경우, 상기 탄성체보다 상기 제2탄성체가 먼저 복원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차단막 및 제2차단막 사이의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삽입되는 단계,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의 모양에 의해 제2형상으로 펼쳐지는 단계,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 사이의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제거되는 단계,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이 탄성체의 기억된 형상에 의해 상기 제1형상으로 복원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빗물 차단 방법
상기 제1형상을 기억하도록 하는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 사이의 공기수용공간과 접하는 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형상은 봉 형상이고, 복수개이며,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복수개의 봉 형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봉 형상이 상기 빗물가리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의 제1형상은 롤의 형상을 기억하되, 상기 제2형상으로 펼쳐지는 경우 롤의 중심에서부터 펼쳐지는 방향은 상부 방향으로서, 상기 제1차단막, 상기 제2차단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탄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2탄성체의 기억된 형상은 롤의 형상이며, 롤의 중심에서부터 펼쳐지는 방향은 상부 방향으로서, 상기 제1차단막, 상기 제2차단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의 도어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1자력부재와 대응하여 상기 빗물가리개에 연결되는 제2자력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2자력부재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되는 지지부재가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과 연결되어 상기 제2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의 접합된 차단막은 제1부위 및 제2부위를 포함하여 상기 접합된 차단막의 제1부위는 상기 지지부재에서부터 상부를 향하여 굽어진 형상이며, 상기 접합된 차단막의 제2부위는 상기 제1부위에서부터 후미를 향하여 굽어진 형상으로서, 상기 지지부재가 차량도어와 차량루프 사이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상기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부위는 상부를 향하고 상기 제2부위는 후미를 향하여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인센서, 차량도어개폐감지부, 차량의 도어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1자력부재와 대응하여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는 제2자력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2자력부재는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통과할 수 있도록 루프의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루프 상판 및 하판 사이에 구비된 축봉, 상기 축봉과 연결된 복귀스프링, 상기 빗물가리개의 적어도 일면을 관통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는 절첩되어 일측은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축봉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은 상기 빗물가리개의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된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측은 상기 복귀스프링과 연결되어, 상기 레인센서에 의해 우천 시이며, 도어개폐감지부로 도어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2자력부재는 자기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된 상기 빗물가리개의 일측이 도어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빗물가리개의 일면을 관통하는 상기 케이블의 일측이 함께 도어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케이블의 타측과 연결된 복귀스프링은 탄성력이 부가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접히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2자력부재의 자기력이 해제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축봉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빗물가리개가 절첩되어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보다 더 강한 탄성력을 가진 제2탄성체을 포함하여 상기 제1차단막 및 상기 제2차단막이 제2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탄성체가 제1형상에서 변형된 후 상기 제2탄성체가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의 제1형상은 롤의 형상을 기억하되, 상기 제2형상으로 펼쳐지는 경우 차량의 도어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2탄성체의 제1형상은 롤의 형상을 기억하되, 상기 제2형상으로 펼쳐지는 경우 차량의 후미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보다 더 강한 탄성력을 가진 제2탄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2형상에서 제1형상으로 복원되는 경우, 상기 탄성체보다 상기 제2탄성체가 먼저 복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천 여부를 판단하는 레인센서, 차량의 도어개폐감지부, 및 차량의 도어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1자력부재와 대응하여 빗물가리개에 연결되는 제2자력부재, 제1형상을 유지하는 공기차단막을 포함하여, 상기 레인 센서에서 우천시라고 판단하고,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에 의해 도어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와 상기 제2자력부재는 전자기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되는 지지부재가 상기 루프에서부터 연장되어 펼쳐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공기차단막의 공기수용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공기차단막의 재단되고 접합된 모양에 의해 제2형상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2형상은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량보다 높은 위치에서 후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도 24, 도25, 도 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천 여부를 판단하는 레인센서(145), 차량의 도어개폐감지부(235), 및 차량의 도어(3)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자력부재(285) 및 상기 제1자력부재(285)와 대응하여 빗물가리개(5)에 연결되는 제2자력부재(290), 제1형상을 유지하는 횡지지봉(41)을 포함하여, 상기 레인 센서(145)에서 우천시라고 판단하고, 상기 도어개폐감지부(235)에 의해 도어(3)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285)와 상기 제2자력부재(290)는 전자기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자력부재(290)와 연결되는 지지부재(350)가 상기 루프(1)에서부터 연장되어 펼쳐지고, 상기 지지부재(350)는 상기 횡지지봉(41)의 공기수용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횡지지봉(41)의 재단되고 접합된 모양에 의해 제2형상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2형상은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량보다 높은 위치에서 후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막은 공기수용공간 및 빗물가리개를 포함하여, 상기 제2형상은 복수개의 봉 형상이고, 상기 복수개의 봉 형상이 상기 빗물가리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형상은 상기 차단막과 연결되는 탄성체의 기억된 롤의 형상을 따라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형상으로 펼쳐지는 경우 상기 탄성체는 중심에서부터 펼쳐지는 방향은 상부 방향으로서, 상기 차단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탄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2탄성체의 기억된 형상은 롤의 형상이며, 롤의 중심에서부터 펼쳐지는 방향은 상부 방향으로서, 상기 차단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상부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체(35) 및 상기 탄성체(35)보다 더 강한 탄성력을 가진 제2탄성체(미도시)를 포함하여 상기 차단막이 제2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탄성체(35)가 기억된 형상에서부터 변형된 후 상기 제2탄성체가 변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탄성체는 종지지봉(40)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체(35)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는다.
탄성체(35) 및 상기 탄성체(35)보다 더 강한 탄성력을 가진 제2탄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2형상에서 제1형상으로 복원되는 경우, 상기 탄성체(35)보다 상기 제2탄성체가 먼저 복원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탄성체는 종지지봉(40)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체(35)보다 강한 탄성력을 갖는다.
상기 차단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차단막을 감고 풀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막권취롤, 상기 차단막권취롤은 고정된 축봉에 연결되어, 상기 축봉의 외주에 복귀스프링이 연결되어, 상기 우천 및 도어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차단막권취롤은 신장되고, 상기 차단막이 접히는 경우,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차단막권취롤 및 상기 차단막이 접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가리개가 통과할 수 있도록 루프의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루프의 상판 및 하판의 사이에 구비된 축봉, 상기 축봉과 연결된 복귀스프링, 상기 빗물가리개의 적어도 일면을 관통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는 절첩되어 일측은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축봉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은 상기 빗물가리개의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된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측은 상기 복귀스프링과 연결되어, 상기 레인센서에 의해 우천 시이며, 도어개폐감지부로 도어가 열리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2자력부재는 자기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자력부재와 연결된 상기 빗물가리개의 일측이 도어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빗물가리개의 일면을 관통하는 상기 케이블의 일측이 함께 도어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케이블의 타측과 연결된 상기 복귀스프링은 탄성력이 부가되고, 상기 빗물가리개가 접히는 경우, 상기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제2자력부재의 자기력이 해제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축봉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빗물가리개가 절첩되어 접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가리개 제조방법은 제1차단막 및 제2차단막을 재단하는 단계, 상기 제1차단막 및 제2차단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형상을 기억하는 탄성체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차단막 및 제2차단막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 및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을 재단하는 단계, 상기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형상을 기억하는 탄성체(35)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기억된 형상과는 다른 형상으로 펼쳐져 상기 제1차단막 및 제2차단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접촉되어, 상기 탄성체가 상기 다른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35)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기억된 형상과는 다른 형상으로 펼쳐져 상기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접촉되어, 상기 탄성체(35)가 상기 다른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35)는 제1형상을 기억하여, 상기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과 연결되는 것과 관계 없이, 지속적으로 제1형상으로 복원되고자 하는 탄성력을 갖게 되므로, 빗물가리개(5)가 펼쳐질 경우 원하는 모양인 제2형상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제1형상과는 다른 형태로 평평하게 펼쳐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형으로만 도시되었으나, 탄성체(35)는 판재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을 접합하는 단계는 고주파융착법인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을 재단하는 단계, 상기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의 모양은 ㄱ 자 형상으로 접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 도 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의 모양은 ㄱ 자 형상으로 접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형상을 기억하는 탄성체(35)를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35)를 연결하는 것은 상기 기억된 형상과는 다른 형상으로 펼쳐져 상기 제1차단막(20) 및 제2차단막(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접촉되어, 상기 탄성체(35)가 상기 다른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인센서, 차량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 또는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자석, 상기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 및 상기 도어의 상부를 연결하는 빗물가리개, 상기 빗물가리개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레인센서와 연결되어 우천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자화되는 전자석이되, 상기 빗물가리개는 일측면에 고정되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체는 상기 탄성지지체의 탄성력을 능가하는 힘에 의하여 제1형상으로 유지되며, 제2형상을 기억하여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 및 상기 도어의 상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형상으로 펼쳐지며, 상기 제2형상은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 형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3 내지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인센서, 차량 루프(1)의 도어(3) 방향의 일측면 또는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자석, 상기 루프의 도어(3) 방향의 일측면 및 상기 도어의 상부를 연결하는 빗물가리개(5), 상기 빗물가리개(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레인센서와 연결되어 우천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자화되는 전자석이되, 상기 빗물가리개(5)는 일측면에 고정되는 탄성지지체(395)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체(395)는 상기 탄성지지체(395)의 탄성력을 능가하는 힘에 의하여 제1형상으로 유지되며, 제2형상을 기억하여 상기 빗물가리개(5)가 상기 루프(1)의 도어(3) 방향의 일측면 및 상기 도어의 상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형상으로 펼쳐지며, 상기 제2형상은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 형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석은 제1자력부재(285), 제2자력부재(29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 상기 탄성지지체의 사이에 상기 탄성지지체보다 크기가 작고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 형상을 갖는 제2 탄성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의 회전축과 상기 탄성지지체(395)의 사이에 상기 탄성지지체(395)보다 크기가 작고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 형상을 갖는 제2 탄성지지체(4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지지체(395)는 일측면이 상기 루프(1)의 도어 개폐 부분과 연결되고, 타측면은 상기 도어(3)의 프레임 상부 일측면과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루프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 중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돌출된 빗물제거턱을 포함하여, 상기 탄성지지체가 상기 제2형상에서 상기 제1형상으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빗물가리개는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사이에 삽입되면서, 상기 빗물제거턱과 접촉되고자 하는 상기 탄성지지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빗물가리개의 빗물이 제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루프(1)는 상판(415)과 하판(420)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루프(1)의 도어(3) 방향의 일측면 중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돌출된 빗물제거턱(405)을 포함하여, 상기 탄성지지체(395)가 상기 제2형상에서 상기 제1형상으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빗물가리개(5)는 상기 상판(415) 및 상기 하판(420)의 사이에 삽입되면서, 상기 빗물제거턱(405)과 접촉되고자 하는 상기 탄성지지체(395)의 탄성력으로 상기 빗물가리개(5)의 빗물이 제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루프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사이에 삽입되고, 빗물배수로가 상기 상판의 저면, 상기 하판의 상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3 내지 도 3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루프(1)는 상판(415)과 하판(420)을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5)가 상기 상판(415) 및 상기 하판(420)의 사이에 삽입되고, 빗물배수로(410)가 상기 상판(415)의 저면, 상기 하판(420)의 상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배수로(410)가 루프의 사이에 형성되어, 빗물가리개(5)의 빗물이 손쉽게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빗물배수로의 일측은 제1개구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개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개구부, 상기 제2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개폐되는 통풍막을 포함하여, 상기 레인센서와 연결되는 상기 콘트롤러는 우천시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풍막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배수로(410)의 일측은 제1개구부(43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개구부(435)와 연결되어 상기 제1개구부(430), 상기 제2개구부(4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개폐되는 통풍막(425)을 포함하여, 상기 레인센서와 연결되는 상기 콘트롤러(제어부)는 우천시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풍막(425)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풍을 통해서 건조시킬 수도 있도록 한다.
상기 빗물배수로의 일측은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개구부, 타측은 차량의 전방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개구부는 차량의 후미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개구부는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배수로(410)의 개구부는 전방 방향, 후미 방향, 전방 하부 방향, 후미 하부 방향 중 적어도 2개의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개구부의 차량의 전방 방향에서 제1개구부의 차량의 후미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는 경우, 차량 주행 시 제2개구부에서 제1개구부로 공기가 흐름에 따라 건조되는 효과가 있으며, 제1개구부로 빗물이 더욱 원활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연비의 효율 면에서 볼 때, 소정의 시간으로 제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개구부, 차량의 전방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는 경우, 차량이 제동 시 와류에 의해 제1개구부로 진입된 공기에 의해 건조되며, 제2개구부로 빗물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후미 방향으로 개구부를 형성하여, 우천시에 차량 전진에도 빗물이 들이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우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의 도어가 열리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 또는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자석이 자화되는 단계, 상기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 및 상기 도어의 상부를 연결하는 빗물가리개가 펼쳐지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빗물가리개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지지체는 상기 탄성지지체의 탄성력을 능가하는 힘에 의하여 제1형상으로 유지되며, 상기 빗물가리개가 펼쳐지는 단계에서 상기 탄성지지체는 제2형상을 기억하여 상기 제2형상인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 형상으로 펼쳐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의 도어(3)가 열리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 루프(1)의 도어(3) 방향의 일측면 또는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자석이 자화되는 단계, 상기 루프(1)의 도어(3) 방향의 일측면 및 상기 도어(3)의 상부를 연결하는 빗물가리개(5)가 펼쳐지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빗물가리개(5)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탄성지지체(395)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지지체(395)는 상기 탄성지지체(395)의 탄성력을 능가하는 힘에 의하여 제1형상으로 유지되며, 상기 빗물가리개(5)가 펼쳐지는 단계에서 상기 탄성지지체(395)는 제2형상을 기억하여 상기 제2형상인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 형상으로 펼쳐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3)의 회전축과 상기 탄성지지체(395)의 사이에 상기 탄성지지체(395)보다 크기가 작고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 형상을 갖는 제2 탄성지지체(4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루프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 중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돌출된 빗물제거턱을 포함하여, 상기 탄성지지체가 상기 제2형상에서 상기 제1형상으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빗물가리개는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사이에 삽입되면서, 상기 빗물제거턱과 접촉되고자 하는 상기 탄성지지체의 탄성력으로 상기 빗물가리개의 빗물이 제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루프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사이에 삽입되고, 빗물배수로가 상기 상판의 저면, 상기 하판의 상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배수로의 일측은 제1개구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개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개구부, 상기 제2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개폐되는 통풍막을 포함하여, 상기 레인센서와 연결되는 상기 콘트롤러는 우천시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풍막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개구부는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개구부는 차량의 전방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배수로의 일측은 차량의 후미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개구부, 타측은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인센서, 차량 루프의 일측면 및 도어의 상부와 연결되는 빗물가리개, 상기 빗물가리개의 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루프는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사이에 삽입되고, 빗물배수로가 상기 상판의 저면, 상기 하판의 상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5 내지 도 3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인센서, 차량 루프(1)의 일측면 및 도어(3)의 상부와 연결되는 빗물가리개(5), 상기 빗물가리개(5)의 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루프(1)는 상판(415)과 하판(420)을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5)가 상기 상판(415) 및 상기 하판(420)의 사이에 삽입되고, 빗물배수로(410)가 상기 상판(415)의 저면, 상기 하판(420)의 상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가리개(5)가 접혀 상기 루프의 상판(415) 및 하판(420)의 사이로 삽입되는 경우, 빗물가리개(5)에 접촉되어 있는 빗물이 배출될 수 있는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빗물배수로(410)는 복수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배수로의 일측은 제1개구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개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개구부, 상기 제2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개폐되는 통풍막을 포함하여, 상기 레인센서와 연결되는 상기 제어부는 우천시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풍막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배수로(410)의 일측은 제1개구부(43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개구부(435)와 연결되어 상기 제1개구부(430), 상기 제2개구부(4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개폐되는 통풍막(425)을 포함하여, 상기 레인센서와 연결되는 상기 제어부는 우천시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풍막(425)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개구부(430) 및 제2개구부(435)가 통풍구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으나, 빗물배수로(410)의 크기 이상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빗물배수로(410)의 직경 혹은 가로세로 길이보다 넓은 크기의 통풍구를 만들고, 통풍막(425)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우천 시 통풍막(425)이 열려 있는 경우 의도치 않게 외부의 빗물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우천시에는 통풍막(425)을 닫고 개구부를 통해서 빗물을 배출하며, 맑은 후 시동이 걸리면, 통풍막(425)를 개방하여 빗물가리개(5)의 주변을 건조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개구부는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개구부는 차량의 전방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배수로의 일측은 차량의 후미 하부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개구부, 타측은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배수로(410)의 개구부는 전방 방향, 후미 방향, 전방 하부 방향, 후미 하부 방향 중 적어도 2개의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돌출된 빗물제거턱을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사이에 삽입되면서 상기 빗물가리개의 빗물이 상기 빗물제거턱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 또는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자석, 및 상기 빗물가리개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레인센서와 연결되어 우천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자화되는 전자석이며, 상기 탄성지지체는 상기 탄성지지체의 탄성력을 능가하는 힘에 의하여 제1형상으로 유지되며,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 및 상기 도어의 상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탄성지지체는 제2형상을 기억하여 상기 제2형상으로 펼쳐지며, 상기 제2형상은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 형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인센서, 차량 루프의 상면에 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및 도어의 상부와 연결되는 빗물가리개, 상기 빗물가리개의 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삽입되고, 빗물배수로가 상기 하우징의 상판의 저면, 하판의 상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0 내지 도 32 및 도 35 내지 도 3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인센서, 차량 루프(1)의 상면에 연결되는 하우징(295), 상기 하우징(295) 및 도어(3)의 상부와 연결되는 빗물가리개(5), 상기 빗물가리개(5)의 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빗물가리개(5)가 상기 하우징(295)의 개구부에 삽입되고, 빗물배수로(미도시)가 상기 하우징(295)의 상판의 저면, 하판의 상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배수로의 일측은 제1개구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2개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개구부, 상기 제2개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개폐되는 통풍막을 포함하여, 상기 레인센서와 연결되는 상기 제어부는 우천시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풍막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의 일측면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돌출된 빗물제거턱을 포함하여,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빗물가리개의 빗물이 상기 빗물제거턱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또는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자석, 및 상기 빗물가리개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레인센서와 연결되어 우천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자화되는 전자석이며, 상기 탄성지지체는 상기 탄성지지체의 탄성력을 능가하는 힘에 의하여 제1형상으로 유지되며, 상기 빗물가리개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및 상기 도어의 상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탄성지지체는 제2형상을 기억하여 상기 제2형상으로 펼쳐지며, 상기 제2형상은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 형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95) 내부에 빗물배수로, 제1개구부, 제2개구부, 통풍막, 빗물제거턱, 전자석, 탄성지지체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루프(1)와 도어(3)와 연결되는 상기 내용을 통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것은 자명하다.
레인센서, 빗물가리개, 상기 빗물가리개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차량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에서 상기 도어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지지부재는 상기 빗물가리개와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힌지가 제2지지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부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의 타측에 제2힌지가 연결되어 상기 제2힌지는 제2빗물가리개와 연결되어 상기 제2빗물가리개는 차량의 후미를 향하고, 상기 빗물가리개, 상기 제2지지부재, 상기 제2빗물가리개는 절첩되어 상기 차량의 루프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1고정브라켓, 상기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2빗물가리개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2고정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 및 상기 제2힌지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9 내지 도 4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인센서, 빗물가리개(5), 상기 빗물가리개(5)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차량 루프(1)의 도어(3) 방향의 일측면에서 상기 도어(3)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지지부재(455)는 상기 빗물가리개(5)와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455)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힌지(460)가 제2지지부재(465)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지지부재(465)는 상부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465)의 타측에 제2힌지(470)가 연결되어 상기 제2힌지(470)는 제2빗물가리개(70)와 연결되어 상기 제2빗물가리개(70)는 차량의 후미를 향하고, 상기 빗물가리개(5), 상기 제2지지부재(465), 상기 제2빗물가리개(70)는 절첩되어 상기 차량의 루프(1)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지부재(455) 및 상기 제2지지부재(465)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1고정브라켓(475), 상기 제2지지부재(465) 및 상기 제2빗물가리개(70)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2고정브라켓(480)을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460) 및 상기 제2힌지(470)와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1)와 도어(3)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지지부재(455)가 빗물가리개(5)와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455)는 상부를 향하는 제2지지부재(465)와 연결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455) 및 상기 제2지지부재(465)를 제1힌지(460)가 연결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455) 및 상기 제2지지부재(465), 제1힌지(460)를 지지하는 제1고정브라켓(475)가 연결된다. 또한, 제2빗물가리개(70)는 (차량의) 후미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2빗물가리개(70)는 상기 제2지지부재(465)와 연결되며, 상기 제2빗물가리개(70) 및 상기 제2지지부재(465)를 연결하는 제3지지부재(46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빗물가리개(70) 및 제2지지부재(465)를 제2힌지(470)가 연결하고, 제2빗물가리개(70), 제2지지부재(465), 제2힌지(470)가 제2고정브라켓(480)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힌지(460) 및 제2힌지(470)이 모터(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빗물가리개(5)가 해제되는 경우, 모터의 구동으로 상기 빗물가리개(5), 상기 제2지지부재(465), 상기 제2빗물가리개(70)는 절첩되어, 루프(1) 또는 하우징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가리개(5)가 펼쳐지는 경우에는 모터의 반대방향 구동을 통하여, 상기 빗물가리개(5), 상기 제2지지부재(465), 상기 제2빗물가리개(70)가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의 힌지는 ㄴ자 형 힌지를 도시하였으나, 빗물가리개(5)의 두께에 따라서 ㄷ자 형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레인센서, 빗물가리개, 상기 빗물가리개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차량 루프의 도어 방향의 일측면에서 상기 도어 방향으로 신장되는 상기 빗물가리개는 제1부위, 제2부위, 제3부위를 포함하여, 상기 제1부위는 차량 루프의 도어 방향 일측면 및 상기 도어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부위는 상기 제1부위와 연결되어 상부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3부위는 상기 제2부위와 연결되어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펼쳐지며, 상기 빗물가리개는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위 내지 상기 제3부위는 절첩되어 상기 차량의 루프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4 내지 도 4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 루프(1)의 도어(3) 방향의 일측면에서 상기 도어(3) 방향으로 신장되는 상기 빗물가리개(5)는 제1부위(56), 제2부위(57), 제3부위(58)를 포함하여, 상기 제1부위(56)는 차량 루프(1)의 도어(3) 방향 일측면 및 상기 도어(3)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부위(57)는 상기 제1부위(56)와 연결되어 상부 방향으로 펼쳐지고, 상기 제3부위(58)는 상기 제2부위(57)와 연결되어 차량의 후미 방향으로 펼쳐지며, 상기 빗물가리개(5)는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위(56) 내지 상기 제3부위(58)는 절첩되어 상기 차량의 루프(1)에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부위 및 상기 제2부위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1탄성체, 상기 제2부위 및 상기 제3부위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체 및 상기 제2탄성체는 일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방향이 전환되고 타단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과 소정의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부위(56) 및 상기 제2부위(57)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1탄성체(485), 상기 제2부위(57) 및 상기 제3부위(58)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2탄성체(49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체(485) 및 상기 제2탄성체(490)는 도 4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방향이 전환되고 타단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과 소정의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가리개(5)가 펼쳐진 상태의 (a)에서, 접혀진 상태의 (b) 또는 (c) 의 형상을 포함한다. 에어펌프에 의하여 내부 공기수용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면서 (a)형상으로 변환되고, 복원되는 경우, 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절첩되게 된다. 복원되는 경우, 실시 예인 소정의 각도 (b) 혹은 (c) 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레인센서, 빗물가리개, 상기 빗물가리개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루프에서 도어 방향으로 향하는 제1공기통로 및 상기 제1공기통로에서 상부방향을 향하는 제2공기통로 및 상기 제2공기통로에서 차량의 후미 방향을 향하는 제3공기통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1)에서 도어(3) 방향으로 향하는 제1공기통로 및 상기 제1공기통로에서 상부방향을 향하는 제2공기통로 및 상기 제2공기통로에서 차량의 후미 방향을 향하는 제3공기통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부위(56)의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제1공기통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부위(57)의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제2공기통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부위(58)의 내부에 공기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제3공기통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공기통로 및 상기 제2공기통로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1탄성체, 상기 제2공기통로 및 상기 제3공기통로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체 및 상기 제2탄성체는 일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방향이 전환되고 타단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과 소정의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공기통로 및 상기 제2공기통로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1탄성체(485), 상기 제2공기통로 및 상기 제3공기통로의 연결부위에 연결되는 제2탄성체(49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체(485) 및 상기 제2탄성체(490)는 일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방향이 전환되고 타단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과 소정의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가리개는 비가림막, 비차단막, 빗물가림막, 빗물차단막, 빗물차단부, 차우막, 차단막을 포함한다. 빗물차단장치는 빗물가림장치, 비 가림장치, 비 차단장치, 차우막장치를 포함한다. 레인센서는 비센서, 비 감지 수단, 빗물 감지 수단, 빗물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어모듈,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시간측정부는 시간측정기, 시계를 포함한다. 개방정도는 열림정도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구동체를 포함한다.
3 도어 320 분할감지선
180 적외선센서 47 제3빗물가리개
505 검전기 48 제4빗물가리개
115 시간측정부 35 탄성체
500 수스위치 40 종지지봉
495 암스위치 42 후방지지봉
175 도어개방정도판단부 41 횡지지봉
513 도어회전축 295 하우징
285 제1자력부재 21 제1접합부
290 제2자력부재 22 제2접합부
235 도어개폐감지부 26 제3차단막
105 제어부 27 제4차단막
265 개구부 20 제1차단막
1 루프 28 제5차단막
215 음압공간부 29 제6차단막
210 에어컴프레셔 25 제2차단막
220 공기흐름개폐스위치 60 차단막제2부위
200 양압공기개폐스위치 55 차단막제1부위
195 양압공간부 350 지지부재
190 에어펌프 395 탄성지지체
240 권취롤 400 제2탄성지지체
300 축봉 405 빗물제거턱
255 스토퍼 410 빗물배수로
229 걸림봉탄성체 425 통풍막
245 모터 430 제1개구부
270 스톱공 435 제2개구부
280 제2걸림후크 455 제1지지부재
275 제1걸림후크 475 제1고정브라켓
227 걸림봉 465 제2지지부재
305 케이블 467 제3지지부재
360 복귀스프링 70 제2빗물가리개
73 튜브관 460 제1힌지
415 루프상판 480 제2고정브라켓
420 루프하판 56 제1부위
17 슬라이더 57 제2부위
18 슬라이더스프링 58 제3부위
19 슬라이더봉 485 제1탄성체
145 레인센서 490 제2탄성체
310 좌석센서 470 제2힌지
45 제1빗물가리개 228 제2걸림봉
46 제2빗물가리개










Claims (1)

  1. 레인센서;
    상기 레인센서와 연결되고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빗물가리개;
    상기 구동부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구동속도증가부;
    도어 스위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 도어의 개방 각도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 스위치는 복수개의 암스위치 및 수스위치와 반복적으로 접촉되며 신호를 전달받는 검전기가 상기 암스위치, 상기 수스위치와의 접촉 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도어의 열림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암스위치 및 상기 수스위치는 상기 도어의 전단부에 연결된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암스위치 및 수스위치에서 차량 차체프레임과 연결된 상기 검전기에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KR1020230026226A 2016-10-28 2023-02-27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KR102528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226A KR102528023B1 (ko) 2016-10-28 2023-02-27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KR1020230052322A KR20230058358A (ko) 2016-10-28 2023-04-20 센싱 기술을 활용한 차량용 차우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034A KR20180046633A (ko) 2016-10-28 2016-10-28 차량용 빗물 차단 방법 및 장치,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콘트롤러, 차량용 빗물가리개 제조방법, 차량용 빗물가리개
KR1020230026226A KR102528023B1 (ko) 2016-10-28 2023-02-27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034A Division KR20180046633A (ko) 2016-10-28 2016-10-28 차량용 빗물 차단 방법 및 장치,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콘트롤러, 차량용 빗물가리개 제조방법, 차량용 빗물가리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322A Division KR20230058358A (ko) 2016-10-28 2023-04-20 센싱 기술을 활용한 차량용 차우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294A KR20230035294A (ko) 2023-03-13
KR102528023B1 true KR102528023B1 (ko) 2023-05-02

Family

ID=6220086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034A KR20180046633A (ko) 2016-10-28 2016-10-28 차량용 빗물 차단 방법 및 장치,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콘트롤러, 차량용 빗물가리개 제조방법, 차량용 빗물가리개
KR1020230026226A KR102528023B1 (ko) 2016-10-28 2023-02-27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KR1020230052322A KR20230058358A (ko) 2016-10-28 2023-04-20 센싱 기술을 활용한 차량용 차우막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034A KR20180046633A (ko) 2016-10-28 2016-10-28 차량용 빗물 차단 방법 및 장치,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콘트롤러, 차량용 빗물가리개 제조방법, 차량용 빗물가리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322A KR20230058358A (ko) 2016-10-28 2023-04-20 센싱 기술을 활용한 차량용 차우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800466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704B1 (ko) * 2019-06-28 2021-06-01 주식회사대성엘텍 레인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238A (ja) * 2005-02-04 2006-08-17 Asmo Co Ltd 車両用雨よ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718A (ko) * 1996-12-27 1998-09-25 임경춘 에어 백의 전개에 대비한 최적 착석위치 자동 제어장치
KR100610342B1 (ko) * 2004-07-30 2006-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를 통한 빗물 유입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238A (ja) * 2005-02-04 2006-08-17 Asmo Co Ltd 車両用雨よ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633A (ko) 2018-05-09
KR20230035294A (ko) 2023-03-13
KR20230058358A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8023B1 (ko)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US9217864B2 (en) Automatic camera lens cleaning system
KR101974121B1 (ko) 차량용 트렁크 덮개의 개방방법
KR101206252B1 (ko)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519211A (ja) 保持構成体および保護カバー
JP2021126957A (ja) 車両用スロープシステム
KR101347246B1 (ko) 자동차 빗물 차단 장치
KR101558105B1 (ko) 차량 내장형 비상 삼각대
KR20220100671A (ko) 차량용 통합 토노 커버
WO2007058452A1 (en) A rainwater control 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flowing into vehicle
KR20130022665A (ko) 차량의 자동 우산 시스템
KR20140079948A (ko) 차량용 레인 루프장치
CN104827874B (zh) 一种车用智能遮雨装置
KR102304457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EP3630516A1 (fr) Véhicule automobile pourvu d'un système de bâche de protection
JP3169615U (ja) 傘収納箱
JP2019093786A (ja) 車両の換気装置
KR20180064308A (ko) 빗물차단시스템
KR102087730B1 (ko) 자동차용 우산
KR20130000770A (ko) 차량의 빗물 차단 장치
JP2007070830A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JP4897401B2 (ja) 車両用雨避け装置
JP3145690U (ja) 自動車用雨避け装置
KR20230014141A (ko) 차량용 어닝을 이용한 자동 빗물 가림 방법 및 장치
KR102659087B1 (ko)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