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457B1 -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457B1
KR102304457B1 KR1020190103139A KR20190103139A KR102304457B1 KR 102304457 B1 KR102304457 B1 KR 102304457B1 KR 1020190103139 A KR1020190103139 A KR 1020190103139A KR 20190103139 A KR20190103139 A KR 20190103139A KR 102304457 B1 KR102304457 B1 KR 102304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wning
rainwater
hybri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218A (ko
Inventor
채일수
Original Assignee
채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일수 filed Critical 채일수
Priority to KR102019010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4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60J11/025Covers wound on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vehicle parts, e.g. for doors,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10)의 도어(11)에 한 단이 부착됨으로써, 차량 탑승자가 차량(10)에 승차 또는 하차하기 위해 도어(11)를 여는 경우, 자동으로 도어(11)가 차량 몸체에 닫힌 상태에서 차량 몸체로부터 이격된 거리만큼 호 형상으로 캔버스단(120)이 롤링단(110)에서 인출되어 확장됨으로써, 차량 탑승자가 웅크리고 차량 몸체로 타는 경우 상부에서 빗물이 차량 탑승자에게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해, 비가 오는 날 차량을 탑승하려는 탑승객이 차량 도어를 열고 우선을 접고 들어가는 경우 빗물이 차량 탑승자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도어에 거는 방식으로나 모터를 이용한 자동 방식으로 어닝을 구성하는 캔버스의 길이를 자동 조절함으로써, 차량 탑승객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각 차량 시트에 대한 탑승객 감지, 그리고 외부의 객체에 대한 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차량 탑승객이 타는 위치의 어닝을 구성하는 캔버스를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Hybrid awning apparatus of vehicles for rain protection, and control system for hybrid awning of vehicles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가 오는 날 차량을 탑승하려는 탑승객이 차량 도어를 열고 우선을 접고 들어가는 경우 빗물이 차량 탑승자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장마철이나 폭우가 내리는 경우와 같이 많은 비가 내리는 경우, 차량에 탑승시 우산을 들고 있는 차량 탑승자가 우산을 접고 차량으로 진입시 빗물이 차내로 유입될 뿐만 아니라, 우산을 접은 상태의 차량 탑승자에게 빗물이 떨어져 옷이 젖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기술인 "차량의 빗물 유입 방지장치"(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출원번호 제20-1997-0024767(1997.08.30)호))에서는 차량의 루프패널과 사이드 도어 사이에 자바라식 차단막을 구비하여 눈 비등이 올 때 차량의 도어를 개폐시켜도 눈 비등이 차실내로 침투되지 않도록 하고, 여름철 도어 개방시 차실내로 침투되는 태양의 직사광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의 편안한 승차감과 차실내의 미관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별도의 수납함을 이용하여 설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자바라식으로 설치됨으로써, 접철 부위의 파손이 자주 발생하고 접철 부위로 인해 차량 도어의 열림 상태에 따라 접혀지는 공간이 발생하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출원번호 제20-1997-0024767(1997.08.30)호 "차량의 빗물 유입 방지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가 오는 날 차량을 탑승하려는 탑승객이 차량 도어를 열고 우선을 접고 들어가는 경우 빗물이 차량 탑승자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도어에 거는 방식으로나 모터를 이용한 자동 방식으로 어닝을 구성하는 캔버스의 길이를 자동 조절함으로써, 차량 탑승객의 편의를 증진시키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차량 시트에 대한 탑승객 감지, 그리고 외부의 객체에 대한 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차량 탑승객이 타는 위치의 어닝을 구성하는 캔버스를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는, 차량(10)의 도어(11)에 한 단이 부착됨으로써, 차량 탑승자가 차량(10)에 승차 또는 하차하기 위해 도어(11)를 여는 경우, 자동으로 도어(11)가 차량 몸체에 닫힌 상태에서 차량 몸체로부터 이격된 거리만큼 호 형상으로 캔버스단(120)이 롤링단(110)에서 인출되어 확장됨으로써, 차량 탑승자가 웅크리고 차량 몸체로 타는 경우 상부에서 빗물이 차량 탑승자에게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때, 롤링단(110)은, 육면체 형상으로 차량 루프에서 차량(10)에서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1)의 상단에 도어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게 설치되기 위해 길이가 도어(1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롤링단(110)은, 네오디늄 자석이 바닥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차량 루프에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가 탈부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롤링단(110)의 내부의 길이 방향 양측 끝단에 회전축을 고정시키고, 회전축의 외주면에 회전봉(111)을 형성한 뒤, 캔버스단(120)을 회전봉(111)을 중심으로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차량 외부에서 차량 루프에 롤링단(110)을 설치하고, 차량 내부에서 차량 도어(11)의 내부 단턱영역에 부착단(130)을 고정한 뒤, 차량 내부에 위치한 부착단(130)의 홀(131)로 차량 외부에 위치한 롤링단(110) 내부에 위치한 캔버스단(120)의 길이 방향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핀(121)을 고정하고 도어(11)를 닫아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은, 비가 오는 날 차량을 탑승하려는 탑승객이 차량 도어를 열고 우선을 접고 들어가는 경우 빗물이 차량 탑승자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도어에 거는 방식으로나 모터를 이용한 자동 방식으로 어닝을 구성하는 캔버스의 길이를 자동 조절함으로써, 차량 탑승객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은, 각 차량 시트에 대한 탑승객 감지, 그리고 외부의 객체에 대한 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차량 탑승객이 타는 위치의 어닝을 구성하는 캔버스를 펼쳐지고 접혀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가 차량(1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1) 구성을 위한 4개의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100b, 100c, 100d)와 차량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가 차량(10)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는 차량(10)의 도어(11)에 한 단이 부착됨으로써, 차량 탑승자가 차량(10)에 승차 또는 하차하기 위해 도어(11)를 여는 경우, 자동으로 도어(11)가 차량 몸체에 닫힌 상태에서 차량 몸체로부터 이격된 거리만큼 호 형상으로 캔버스단(120)이 롤링단(110)에서 인출되어 확장됨으로써, 차량 탑승자가 웅크리고 차량 몸체로 타는 경우 상부에서 빗물이 차량 탑승자에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롤링단(110)은 육면체 형상으로 차량 루프에서 차량(10)에서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1)의 상단에 도어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게 설치되기 위해 길이가 도어(1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네오디늄 자석(113)이 바닥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차량 루프에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가 탈부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a와 같이 롤링단(110)의 내부의 길이 방향 양측 끝단에 회전축을 고정시키고, 회전축의 외주면에 회전봉(111)을 형성한 뒤, 캔버스단(120)을 회전봉(111)을 중심으로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차량 외부에서 차량 루프에 롤링단(110)을 설치하고, 차량 내부에서 차량 도어(11)의 내부 단턱영역에 부착단(130)을 고정한 뒤, 차량 내부에 위치한 부착단(130)의 홀(131)로 차량 외부에 위치한 롤링단(110) 내부에 위치한 캔버스단(120)의 길이 방향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핀(121)을 고정하고 도어(11)를 닫음으로써,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부착단(130)도 네오디늄 자석을 이용하여 장착하거나 별도의 고정 피스 등을 활용하여 도어(11) 내측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가 설치된 차량 탑승자 측의 도어(11)가 열리는 경우, 도어(11)가 차량 몸체와 고정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수행에 따라, 회전 각도에 해당하는 롤링단(110) 내부에 감긴 캔버스(120)의 일측이 도어(11)의 상측 후단에 형성된 단턱에 위치한 부착단(130)과 힌지가 이루는 직선, 그리고 힌지와 롤링단(110)이 이루는 직선 간의 각도만큼에 롤링단(110)이 호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다.
즉, 롤링단(110) 내부의 캔버스(120)는 롤링단(110)의 길이 방향으로 롤링단(110) 내부에 감겨서 형성된 캔버스(120)의 일측에 해당하는 부착단(130)과 고정된 지점을 따라 롤링단(110)의 한 단만이 확장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롤링단(110) 내부에 감겨진 캔버스(120)를 펼치면 도 4b와 같이 "
Figure 112019086459141-pat00001
" 형태로 두 개의 직선 영역의 끝단을 호로 연결한 부분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롤링단(110)의 내부에는 회전스프링(112)이 설치되어 캔버스(120)가 항상 감기는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캔버스(120)가 롤링단(110) 및 부착단(130) 사이에서 회선스프링(112)의 탄성력을 통해 일자로 펴진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1) 구성을 위한 4개의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100b, 100c, 100d)와 차량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1)은 하나의 차량(10)에 형성된 4개의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100b, 100c, 100d), 차량 스마트 디바이스(200), 네트워크(300), 중앙관제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I/O 인터페이스(210), 제어부(220), 센싱부(230), 저장부(240), 터치스크린(250), GPS 수신장치(260) 및 송수신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20)는 센싱 모듈(221), 어닝 온/오프 제어 모듈(222), 길이 제어 모듈(223)을 포함하며, 센싱부(230)는 외부 습도 센서(231), 외부 조도 센서(232), 시트 압력 센서(233), 4방향 카메라(234), 풍향 센서(23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시트 압력 센서(233)는 각 차량 탑승자 시트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220)의 구성을 중심으로, 차량 스마트 디바이스(200) 및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1)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도 1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구성 및 구조의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가 차량(10)의 운전석쪽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 1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조수석쪽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 2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b), 운전석 뒷 탑승자쪽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 3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c), 조수석 뒷 탑승자쪽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 4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d)를 포함하며, 제 1 내지 제 4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내지 100d)에는 부착단(130)이 설치되지 않으며, 각 어닝 장치의 롤링단(110)의 내부의 길이 방향 양측 끝단에 고정된 회전축에 대해서 스텝모터를 통한 회전 제어가 제어부(22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롤링단(110) 내부에 감겨진 캔버스(120)를 펼치면 도 4b와 같은 형태뿐만 아니라, 사각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센싱 모듈(221)은 차량(10) 외부에 형성된 센싱부(230)를 구성하는 외부 습도 센서(231) 및 외부 조도 센서(232) 각각으로부터 외부 습도 측정치, 외부 조도 측정치를 수신한 뒤,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어닝 온/오프 제어 모듈(222)은 외부 습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외부에 비가 오는 것으로 분석하거나, 외부 조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조도 임계치 이상으로 외부의 햇빛이 강한 것으로 분석하는 경우, 각 차량 탑승자 시트에 형성된 시트 압력 센서(233)에 대한 요청을 통해 차량 탑승자의 차량에서의 하차를 감지한 뒤, 하차가 감지시 하차하는 차량 탑승자, 즉 운전자, 조수석 탑승자, 2열 좌측 또는 우측 탑승자쪽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내지 100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스텝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캔버스(120) 단을 확장하도록 어닝 온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에 빗물이 유입되거나 햇빛이 강한 경우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가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닝 온/오프 제어 모듈(222)은 외부 습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외부에 비가 오는 것으로 분석하거나, 외부 조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조도 임계치 이상으로 외부의 햇빛이 강한 것으로 분석하는 경우, 4방향 카메라(234)에 대한 요청을 통해 차량(10)의 외부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어닝 온/오프 제어 모듈(222)은 외부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10)이 정차 또는 주차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한 뒤, 정차 또는 주차 상태에서 승차하는 차량 탑승자, 즉 운전자, 조수석 탑승자, 2열 좌측 또는 우측 탑승자가 4방향 카메라(234)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차량 탑승자 쪽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내지 100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스텝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캔버스(120) 단을 확장하도록 어닝 온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에 빗물이 유입되거나 햇빛이 강한 경우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가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어닝 온/오프 제어 모듈(222)은 외부 습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외부에 비가 오는 것으로 분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부 조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조도 임계치 이상으로 외부의 햇빛이 강한 것으로 분석하지 않은 경우, 제 1 내지 제 4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내지 100d)에 구성된 스텝모터에 대해서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어닝 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길이 제어 모듈(223)은 GPS 수신장치(260)를 통해 차량(10)의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240)에 실시간으로 저장하며, 저장된 GPS 위치 정보에 따라 차량(10)이 진행하는 경로의 방향 정보를 생성한 뒤, GPS 위치 정보 및 경로의 방향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길이 제어 모듈(223)은 중앙관제서버(400)로부터 각 차량 탑승자의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내지 100d) 각각 에 대한 캔버스(120)에 대한 길이제어정보를 수신한 뒤, 수신된 길이제어정보에 따라 상술한 어닝 온/오프 제어 모듈(222)에 의한 어닝 온 상태에 대한 제어시 롤링단(110)에서 확장되는 캔버스(1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각 스텝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관제서버(400)는 GPS 위치 정보 및 경로의 방향 정보에 따라, 현재의 차량(10)의 GPS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경로의 방향 정보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빅데이터 기반으로 수집된 풍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추출한 뒤, 추출된 풍향 정보의 세기에 따른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구분하여 구분된 단계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차량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관제서버(400)는 빅데이터 기반으로 풍향 정보를 수집시, 회원으로 등록된 차량 그룹의 차량 스마트 디바이스(200)를 구성하는 센싱부(230) 중 풍향 센서(235)로부터 수집된 정보, 그리고 GPS 위치 정보와 경로의 방향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풍향 정보는 차량(10)이 정차 또는 주차하는 경우에 대한 정보로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중앙관제서버(400)는 다른 차량(10)의 차량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대한 풍향 정보를 추출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풍향 정보 중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다른 차량(10)으로부터 수신된 GPS 위치 정보와 경로의 방향 정보가 일치하는 풍향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경우 풍향 정보를 추출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다른 차량(10)의 차량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길이 제어 모듈(223)은 중앙관제서버(400)로부터 각 차량 탑승자의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내지 100d) 각각 에 대한 캔버스(120)에 대한 길이제어정보를 수신한 뒤, 수신된 길이제어정보에 따라 상술한 어닝 온/오프 제어 모듈(222)에 의한 어닝 온 상태에 대한 제어시 롤링단(110)에서 확장되는 캔버스(1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각 스텝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100, 100a, 100b, 100c, 100d :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110 : 롤링단
120 : 캔버스단
130 : 부착단
200 : 차량 스마트 디바이스
210 : I/O 인터페이스
220 : 제어부
221 : 센싱 모듈
222 : 어닝 온/오프 제어 모듈
223 : 길이 제어 모듈
230 : 센싱부
231 : 외부 습도 센서
232 : 외부 조도 센서
233 : 시트 압력 센서
234 : 4방향 카메라
235 : 풍향 센서
240 : 저장부
250 : 터치스크린
260 : GPS 수신장치
270 : 송수신부
300 : 네트워크
400 : 중앙관제서버

Claims (5)

  1. 차량(10)의 도어(11)에 한 단이 부착됨으로써, 차량 탑승자가 차량(10)에 승차 또는 하차하기 위해 도어(11)를 여는 경우, 자동으로 도어(11)가 차량 몸체에 닫힌 상태에서 차량 몸체로부터 이격된 거리만큼 호 형상으로 캔버스단(120)이 롤링단(110)에서 인출되어 확장됨으로써, 차량 탑승자가 웅크리고 차량 몸체로 타는 경우 상부에서 빗물이 차량 탑승자에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며, 롤링단(110)은, 육면체 형상으로 차량 루프에서 차량(10)에서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1)의 상단에 도어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게 설치되기 위해 길이가 도어(1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네오디늄 자석(113)이 바닥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차량 루프에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가 탈부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롤링단(110)의 내부의 길이 방향 양측 끝단에 회전축을 고정시키고, 회전축의 외주면에 회전봉(111)을 형성한 뒤, 캔버스단(120)을 회전봉(111)을 중심으로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지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 차량 스마트 디바이스(200); 및 중앙관제서버(400); 를 포함하며,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가 차량(10)의 운전석쪽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 1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조수석쪽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 2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b), 운전석 뒷 탑승자쪽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 3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c), 조수석 뒷 탑승자쪽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 4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d)로 이루어지며 제 1 내지 제 4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내지 100d)에는 각 어닝 장치의 롤링단(110)의 내부의 길이 방향 양측 끝단에 고정된 회전축에 대해서 스텝모터를 통한 회전 제어가 제어부(220)에 의해 이루어지며,
    차량 스마트 디바이스(200)는,
    제어부(220), 센싱부(230), 저장부(240)를 포함하며, 제어부(220)는,
    차량(10) 외부에 형성된 센싱부(230)를 구성하는 외부 습도 센서(231) 및 외부 조도 센서(232) 각각으로부터 외부 습도 측정치, 외부 조도 측정치를 수신한 뒤, 저장부(240)에 저장하는 센싱 모듈(221); 및
    외부 습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외부에 비가 오는 것으로 분석하거나, 외부 조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조도 임계치 이상으로 외부의 햇빛이 강한 것으로 분석하는 경우, 센싱부(230) 중 각 차량 탑승자 시트에 형성된 시트 압력 센서(233)에 대한 요청을 통해 차량 탑승자의 차량에서의 하차를 감지한 뒤, 하차가 감지시 하차하는 차량 탑승자에 해당하는 운전자, 조수석 탑승자, 2열 좌측 또는 우측 탑승자쪽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내지 100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스텝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캔버스(120) 단을 확장하도록 어닝 온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에 빗물이 유입되거나 햇빛이 강한 경우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가 구동하도록 하며,
    외부 습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외부에 비가 오는 것으로 분석하거나, 외부 조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조도 임계치 이상으로 외부의 햇빛이 강한 것으로 분석하는 경우, 센싱부(230)를 구성하는 중 4방향 카메라(234)에 대한 요청을 통해 차량(10)의 외부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하고, 외부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10)이 정차 또는 주차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한 뒤, 정차 또는 주차 상태에서 승차하는 차량 탑승자인 운전자, 조수석 탑승자, 2열 좌측 또는 우측 탑승자가 4방향 카메라(234)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차량 탑승자 쪽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내지 100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스텝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캔버스(120) 단을 확장하도록 어닝 온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에 빗물이 유입되거나 햇빛이 강한 경우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가 구동하도록 하며,
    외부 습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외부에 비가 오는 것으로 분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부 조도 측정치가 미리 설정된 조도 임계치 이상으로 외부의 햇빛이 강한 것으로 분석하지 않은 경우, 제 1 내지 제 4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내지 100d)에 구성된 스텝모터에 대해서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어닝 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어닝 온/오프 제어 모듈(2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220)는,
    GPS 수신장치(260)를 통해 차량(10)의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240)에 실시간으로 저장하며, 저장된 GPS 위치 정보에 따라 차량(10)이 진행하는 경로의 방향 정보를 생성한 뒤, GPS 위치 정보 및 경로의 방향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4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270)를 제어하며,
    중앙관제서버(400)로부터 각 차량 탑승자의 차량 루프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100a 내지 100d) 각각 에 대한 캔버스(120)에 대한 길이제어정보를 수신한 뒤, 수신된 길이제어정보에 따라 어닝 온/오프 제어 모듈(222)에 의한 어닝 온 상태에 대한 제어시 롤링단(110)에서 확장되는 캔버스(1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각 스텝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길이 제어 모듈(22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03139A 2019-08-22 2019-08-22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KR102304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39A KR102304457B1 (ko) 2019-08-22 2019-08-22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139A KR102304457B1 (ko) 2019-08-22 2019-08-22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218A KR20210023218A (ko) 2021-03-04
KR102304457B1 true KR102304457B1 (ko) 2021-09-17

Family

ID=7517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139A KR102304457B1 (ko) 2019-08-22 2019-08-22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4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975Y1 (ko) 2004-09-15 2004-12-23 전재원 차량용 우수 차단장치
KR200423947Y1 (ko) 2006-06-02 2006-08-11 황현종 자동차용 빗물가리개
KR101461330B1 (ko) 2013-07-05 2014-11-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KR102001099B1 (ko) 2018-12-26 2019-07-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비막이 장치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2724Y1 (ko) 1995-11-27 1998-08-17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
KR19990011413U (ko) * 1997-08-30 1999-03-25 정몽규 차량의 빗물 유입 방지장치
KR101125841B1 (ko) * 2009-06-18 2012-03-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KR20130022665A (ko) * 2011-08-26 2013-03-07 이지현 차량의 자동 우산 시스템
KR101534728B1 (ko) * 2013-12-20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KR20180105528A (ko) * 2017-03-15 2018-09-28 김춘택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975Y1 (ko) 2004-09-15 2004-12-23 전재원 차량용 우수 차단장치
KR200423947Y1 (ko) 2006-06-02 2006-08-11 황현종 자동차용 빗물가리개
KR101461330B1 (ko) 2013-07-05 2014-11-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KR102001099B1 (ko) 2018-12-26 2019-07-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비막이 장치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218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252B1 (ko) 버스정류장의 차양막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6374737U (zh) 一种车辆避让辅助系统
US20180057013A1 (en) In-Cabin Air Quality Sensing And Purge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US8908029B2 (en) Classification of the vehicle environment
CN104709215B (zh) 安全系统和用于操作车辆的安全系统的方法
US5476302A (en) Rain cover for car door
CN107757729A (zh) 将特别是车辆的驾驶室和/或存储空间细分为多个子部分的装置和方法
KR101461330B1 (ko)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US20180334013A1 (en) Vehicle hvac system with odor control
KR20170081591A (ko) 자동차 날개형 빗물 차단막
KR102304457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US11660239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n access ramp to vehicle door, vehicle, steer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erefor
KR102528023B1 (ko)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KR20070052480A (ko) 우천시 운전자 보호용 가림 구조
KR20160057701A (ko) 차량용 비막이 장치
KR102304898B1 (ko)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설치용 캐노피구조
CN109025105A (zh) 一种上翻折叠入户楼梯结构
KR102429203B1 (ko) 주차장용 어닝 제어 시스템
CN111186384B (zh) 车用雨伞自动提供方法及装置
KR20140079948A (ko) 차량용 레인 루프장치
KR101357476B1 (ko) 차량용 빗물 차단장치
CN201317253Y (zh) 汽车门遮雨篷
KR20120002095A (ko) 위치기반 차량의 운전환경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CN103434508A (zh) 一种天窗自动控制方法和系统
KR20130022665A (ko) 차량의 자동 우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