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528A -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05528A KR20180105528A KR1020170032707A KR20170032707A KR20180105528A KR 20180105528 A KR20180105528 A KR 20180105528A KR 1020170032707 A KR1020170032707 A KR 1020170032707A KR 20170032707 A KR20170032707 A KR 20170032707A KR 20180105528 A KR20180105528 A KR 201801055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housing
- waterproof
- disposed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는 자동차의 루프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롤러부의 외면에 권취 또는 전개되는 방수포와, 상기 방수포의 타단에 배치되어 자동차의 도어프레임에 체결되는 고정후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는 자동차 도어의 개방시 방수포를 전개시켜 비 또는 눈을 차단하고, 도어의 폐쇄시 하우징 내부로 방수포를 자동으로 권취시킴으로서 비 또는 눈을 차단시키는 공간을 형성하여 보다 편리한 자동차의 이용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과 루프 프레임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시 자동으로 방수포를 전개하고, 도어 폐쇄시 전개된 방수포를 자동으로 권취시키는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2001년 1,291만 대에서 2016년 약 2,000만대로 급증한 자동차는 'DOOR TO DOOR'를 연결하는 수단에서 생활공간으로 문화적 의미가 변화되었다.
이러한 의미의 변화에도, 자동차는 차량 내부의 공간, 기능에서만 변화가 있었으며, 기본적인 'DOOR TO DOOR'라는 기능의 관점에서는 큰 개선을 가져오지 못했다. 즉, 비가 오거나, 눈이 오는 경우 사용자는 차량의 하차시 차량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우산을 피고 이동을 하여야 하며, 승차시 우산을 접고, 차량을 탑승하여야 하므로, 그 사이에 비 또는 눈을 맞아야 하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생활공간으로 그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DOOR'와 "DOOR' 사이의 공간을 충분하게 개선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는 자동차 도어의 개폐시 비 또는 눈을 차단시키는 공간을 형성하여 더욱 편리한 자동차의 이용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는 자동차의 루프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롤러부의 외면에 권취 또는 전개되는 방수포와, 상기 방수포의 타단에 배치되어 자동차의 도어프레임에 체결되는 고정후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상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에 배치된 제2하우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제2하우징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질부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1하우징에 수용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2하우징에 수용되는 제2롤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는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며, 상기 제2롤러의 일단 직경은 상기 제1롤러의 일단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의 단부에는 회전축이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권취된 방수포의 전개과정에서 탄성력을 축적하는 스프링이 배치되어,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가 회전되어 상기 자동차의 도어프레임이 상기 루프프레임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방수포를 권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삽입시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회전구속노브가 관통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상기 방수포의 일단에는 유체를 수용하는 튜브가 상기 롤러부로부터 고정후크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자동차 도어프레임이 루프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상기 방수포의 표면에 묻은 물기를 배출시키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방수포의 표면에 묻은 물기를 흡수하는 실리카겔 삽입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상기 방수포는 제1롤러에 고정되는 제1방수포와 제2롤러에 고정되는 제2방수포로 구성되며, 상기 제2방수포의 일단의 길이는 상기 제1방수포의 일단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방수포의 일단의 길이는 상기 제2방수포의 타단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방수포의 타단은 상기 제1방수포의 일단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개방시 방수포를 전개시켜 비 또는 눈을 차단하고, 도어의 폐쇄시 하우징 내부로 방수포를 자동으로 권취시킴으로서 비 또는 눈을 차단시키는 공간을 형성하여 보다 편리한 자동차의 이용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장착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방수포가 전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11은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장착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방수포가 전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11은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장착시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는 자동차의 루프(R)에 장착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는 롤러부(도면 미도시), 롤러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롤러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롤러부의 외면에 권취 또는 전개되는 방수포(300), 방수포(300)의 타단에 배치되어 자동차의 도어프레임(D)에 체결되는 고정후크(310)로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방수포(300)를 수용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루프(R)에 설치된다. 내부에서 뒤에서 설명할 도 4, 도 5에 도시된 롤러부(200)가 수용되며, 롤러부에는 방수포(300)의 끝이 결합되어 롤러부의 회전시 롤롤부의 외면에 권취된다. 방수포(300)의 끝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후크(310)가 배치되어 도어프레임(D)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어의 개방시 방수포(300)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전개되어 비 또는 눈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후크(3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도어의 웨더 스트림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 11과 같이 방수포(300)에서 연결되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방수포를 포함하여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어의 유리가 이동하는 상부 홈에 삽입될 수 도 있다.
하우징(100)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10), 연질부(130), 제2하우징(120)으로 구성되어, 도 3과 같이 자동차의 루프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제2하우징(120)을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질부(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 형태로 구성되어 보다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인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 중 제1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제1롤러(210)가 배치되며, 제2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제2롤러(220)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1롤러(210) 및 제2롤러(220)는 자동차 루프(R)의 형상에 따라 구부러지는 하우징(100)에 따라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는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한쪽 끝, 즉 제1롤러(210) 방향이 차에 축 결합되어 개방됨에 따라 롤러부(200)에 고정된 방수포(300) 중 제2롤러(220)의 폭이 길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도록 구성되며, 특히 제2롤러(220)의 일단 직경은 제1롤러(210)의 일단 직경보다 큰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의 단부에는 회전축(211, 221)이 배치되며, 회전축(211, 221)에는 권취된 방수포(300)의 전개과정에서 탄성력을 축적하는 스프링(213, 223)이 배치되어,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가 회전되어 자동차의 도어프레임(D)이 자동차의 루프(R)에 근접하는 경우 즉, 도어가 폐쇄되는 경우 방수포(300)를 자동으로 권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프링(213, 223)은 하우징(100) 내부에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태엽 형태의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요부 사시도인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삽입시 회전축(211, 221)에 삽입되는 회전구속노브(215, 225)가 관통배치되어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를 자동차에서 분리한 후 주기적으로 비 또는 눈에 젖은 방수포(300)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회전된 롤러부(2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평단면도인 도 6과, 측단면도인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 내부에는 저면 방향으로 배구수(140)가 형성되어 방수포(300)의 표면 물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앞에서 살펴본 도 4와 측단면도인 도 7과 같이 실리카겔 삽입구(150)를 형성하여 하우징(100) 내부를 건조시키는 실리카겔을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부 저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를 자동차의 루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자성체(1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자동차의 루프(R)에 손상을 주지 않고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자성체(160)는 다양한 형태의 자성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자성체의 자력이 작용되는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하여 도 6과 같이 고무자석 형태의 자성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하우징 내부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펌프(330)가 배치되고, 방수포(300)의 일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330)에서 공급된 공기를 수용하는 튜브(3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튜브(320)의 한쪽 끝은 롤러부(200)방향으로 개방되고, 펌프(300)의 유로는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회전축을 통해 튜브(320)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방수포(300)는 방수처리가 된 천으로 구성되므로 도어의 개방시 하부 방향으로 처질 수 있으며, 특히 자동차가 세단형태인 경우 방수포(300)가 전개된 상태에서 탑승자의 머리 위로 충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3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를 통해 도어의 개방시 펌프(330)를 작동시켜 방수포(300)를 상부 방향으로 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C)는 자동차의 도어 개폐여부를 센싱하는 센서와 신호를 주고받으며, 도어가 개방된 순간에 튜브(320)에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만일 제어부(C)가 자동차의 도어 개폐여부를 센싱하는 센서와 신호를 주고받지 못하는 경우 도어의 개폐를 센싱하는 별도의 접촉방식의 스위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의 방수포가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인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자동차 도어의 반경의 차이에 따라 방수포가 팽팽하게 전개되지 않는 것을 고려하여 방수포(300)는 제1롤러(210)에 고정되는 제1방수포(360)와 제2롤러(220)에 고정되는 제2방수포(37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2방수포(370)의 일단의 폭 방향 길이는 제1방수포(370)의 일단의 폭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제1방수포(360)의 일단의 폭 방향 길이는 상기 제2방수포(370)의 타단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제1방수포(360)과 제2방수포(370) 사이로 눈 또는 비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방수포(370)의 타단은 제1방수포(360)의 일단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 10을 참조하면 제2롤러(220)의 타단은 제1롤러(210)의 일단을 경과하여 제1롤러(210)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의 높이는 동일한 높이로 구성하여야 방수포(300)가 전개된 경우 제1방수포(310)와 제2방수포(320) 상이의 공간이 최소화되어 비 또는 눈이 제1방수포(310)와 제2방수포(3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R : 자동차의 루프 D : 도어프레임
100 : 하우징 110 : 제1하우징
120 : 제2하우징 130 : 연질부
140 : 배수구 150 :실리카겔 삽입구
160 : 자성체 200 : 롤러부
210 : 제1롤러 211 : 회전축
213 : 스프링 215 : 회전구속노브
220 : 제2롤러 221 : 회전축
223 : 스프링 225 : 회전구속노브
300 : 방수포 310 : 고정후크
320 : 튜브 330 : 펌프부
360 : 제1방수포 370 : 제2방수포
100 : 하우징 110 : 제1하우징
120 : 제2하우징 130 : 연질부
140 : 배수구 150 :실리카겔 삽입구
160 : 자성체 200 : 롤러부
210 : 제1롤러 211 : 회전축
213 : 스프링 215 : 회전구속노브
220 : 제2롤러 221 : 회전축
223 : 스프링 225 : 회전구속노브
300 : 방수포 310 : 고정후크
320 : 튜브 330 : 펌프부
360 : 제1방수포 370 : 제2방수포
Claims (8)
- 자동차의 루프(R)에 장착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는 롤러부(200);
상기 롤러부(200)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롤러부(200)의 외면에 권취 또는 전개되는 방수포(300);
상기 방수포(300)의 타단에 배치되어 자동차의 도어프레임(D)에 체결되는 고정후크(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제1하우징(110)과 상기 제1하우징(110)의 일단에 배치된 제2하우징(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120) 사이에는 상기 제2하우징(12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질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200)는 상기 제1하우징(110)에 수용되는 제1롤러(210)와 상기 제2하우징(120)에 수용되는 제2롤러(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는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며, 상기 제2롤러(220)의 일단 직경은 상기 제1롤러(210)의 일단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의 단부에는 회전축(211, 221)이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211, 221)에는 권취된 방수포(300)의 전개과정에서 탄성력을 축적하는 스프링(213, 223)이 배치되어, 상기 제1롤러(210)와 제2롤러(220)가 회전되어 상기 자동차의 도어프레임(D)이 상기 자동차의 루프(R)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방수포(300)를 권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삽입시 상기 회전축(211, 221)에 삽입되는 회전구속노브(215, 225)가 관통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포(300)의 일단에는 유체를 수용하는 튜브(320)가 상기 롤러부(200)로부터 고정후크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상기 자동차 도어프레임(D)이 루프(R)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튜브(320)에 공기를 주입하는 펌프부(33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에는 상기 방수포(300)의 표면에 묻은 물기를 배출시키는 배수구(14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에는 상기 방수포(300)의 표면에 묻은 물기를 흡수하는 실리카겔 삽입구(15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포(300)는 상기 제1롤러(210)에 고정되는 제1방수포(360)와 상기 제2롤러(220)에 고정되는 제2방수포(370)로 구성되며,
상기 제2방수포(370)의 일단의 폭 방향 길이는 상기 제1방수포(370)의 일단의 폭 방향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방수포(360)의 일단의 폭 방향 길이는 상기 제2방수포(370)의 타단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방수포(370)의 타단은 상기 제1방수포(360)의 일단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2707A KR20180105528A (ko) | 2017-03-15 | 2017-03-15 |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2707A KR20180105528A (ko) | 2017-03-15 | 2017-03-15 |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5528A true KR20180105528A (ko) | 2018-09-28 |
Family
ID=6372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2707A KR20180105528A (ko) | 2017-03-15 | 2017-03-15 |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0552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3218A (ko) * | 2019-08-22 | 2021-03-04 | 채일수 |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
-
2017
- 2017-03-15 KR KR1020170032707A patent/KR2018010552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3218A (ko) * | 2019-08-22 | 2021-03-04 | 채일수 |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32581A (en) | Portable automatic carport | |
CN107792193A (zh) | 用于选择性控制风噪声、风扰动、积雪和水分的主动车辆支柱装置 | |
KR101125841B1 (ko) |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 |
US20080308338A1 (en) | Pedestrian protection air bag system | |
US6290253B1 (en) | Restraining device with tensioning element | |
CN103287378B (zh) | 用于气囊的适应性通气及方法 | |
KR20180105528A (ko) | 차량용 방수포 자동전개장치 | |
US20070241586A1 (en) | Weather panel apparatus for vehicles | |
JPH11291856A (ja) | 自動車のエアバッグ拘束装置のカバ― | |
KR101182357B1 (ko) | 차량용 빗물 차단막 | |
JP4781830B2 (ja) | 車外用エアバッグ装置 | |
JP4196756B2 (ja) |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ガイド機構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 |
KR102528023B1 (ko) |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 |
KR101896337B1 (ko) | 차량용 빗물 차단 장치 | |
US6416078B1 (en) | Gas bag module | |
KR20130022665A (ko) | 차량의 자동 우산 시스템 | |
KR20180064308A (ko) | 빗물차단시스템 | |
JP2000142301A (ja) | エアバッグ装置 | |
KR100633659B1 (ko) | 차량용 오염물질 제거장치 | |
KR20130000770A (ko) | 차량의 빗물 차단 장치 | |
CN113022282A (zh) | 一种多功能轿车防护装置的使用方法 | |
JP3750575B2 (ja) | 乗員拘束装置 | |
WO1991019618A1 (en) | Roof structure | |
KR0141044B1 (ko) |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 |
JP2006213238A (ja) | 車両用雨よけ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