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724Y1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724Y1
KR0122724Y1 KR2019950035978U KR19950035978U KR0122724Y1 KR 0122724 Y1 KR0122724 Y1 KR 0122724Y1 KR 2019950035978 U KR2019950035978 U KR 2019950035978U KR 19950035978 U KR19950035978 U KR 19950035978U KR 0122724 Y1 KR0122724 Y1 KR 0122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door unit
main body
cu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5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767U (ko
Inventor
박옥준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35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724Y1/ko
Publication of KR9700247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7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7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선(53)을 실외기의 내부에 연통시킴과 동시에 전기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51)의 일측면에 배설된 전원커버(55)와, 상기 전원커버(55)가 열리면 실외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본체(51)에 배설된 스위치수단(5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원커버를 열면 실외기에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냉매 순환도,
제2도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
제3도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커버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의 작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본체 53, 69:전선
55:전원커버 57:스위치수단
61:스프링 63:요동부재
65:핀 67:단자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커버를 열면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하며, 필요에 따라 난방운전 또는 냉방운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1)와 실외기(3)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에는, 압축기(5)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실내열교환기(7)내에서 냉각되어 응축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되고, 상기 액화된 고압의 냉매는 캐필러리튜브(9)내에 유입된다. 상기 캐필러리튜브(9)내에 유입된 고압의 냉매액은 캐필러리튜브(9)의 단열팽창효과에 의해 저압의 냉매액으로 변환되어 실외열교환기(11)내에 유입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1)내에서 냉매액은 증발되면서 실외공기와 열교환되어 냉매가스로 변환되고, 상기 냉매가스는 압축기(5)내에 유입되어 압축기(5)에 의해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로 변환되어 위에서 설명한 사이클을 반복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시에는 앞에서 설명한 난방운전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냉매가 순환되어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즉, 실내열교환기(7)내에서 냉매액이 증발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되어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3)의 내부에는 저압의 냉매가스를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로 압축하도록 상기 압축기(5)가 배설되고, 상기 압축기(5)의 일측에는 외부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도록 다수의 핀(11a)을 구비한 상기 실외열교환기(11)가 배설되며, 상기 실외열교환기(11)의 일측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1)내에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시키도록 실외공기를 실외기내에 흡입하는 팬(15)이 도시하지 않은 모터와 함께 배설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11)에는 도시하지 않은 상기 캐필러리튜브(9)가 냉매관(17)에 의매 매개되어 접속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열교환기(11)의 후측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1)의 후측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1)를 보호함과 동시에 실외기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후면커버(19)가 상기 실외열교환기(11)에 인접하여 배설되고 있고, 상기 후면커버(19)에는 대기중의 공기가 상기 팬(15)의 작동에 의해 실외기내에 흡입되도록 다수의 흡입구(19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3)의 전면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1)내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팬(15)의 작동에 의해 다시 대기중으로 토출하도록 토출구(1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13a)에는 상기 팬(15)의 회전으로부터 안전을 높임과 동시에 상기 팬(15)을 보호하도록 안전망(2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상기 압축기(5)및 모터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선(23)이 상기 본체(13)의 일측면에 설치된 전원커버(25)을 통하여 본체(13)의 내부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원커버(25)는 실외기의 전기적인 고장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13)에 착탈가능케 배설되어 있다. 즉,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3)에는 상기 전원커버(25)가 결합되도록 관통구멍(13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13a)의 내주면에는 상기 전원커버(25)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걸림턱(13b) 및 걸림홈(13c)이상기 본체(13)의 내 외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전원커버(25)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13c)에 걸리도록 걸림돌기(25a)가 형성되어, 상기 전원판넬(25)이 본체(13)의 관통구멍(13a)에 착탈가능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서, 실외기의 전기적인 고장수리등을 위해서 또는 실수로 상기 전원커버(25)를 열게 되면, 실외기에는 여전히 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므로 안전사고등이 일어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실외기의 고장수리등을 위해서 도시하지 않은 조작판넬의 스위치를 반드시 꺼고 전원커버를 열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전원커버를 열면 실외기에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전원차단장치는 전선을 실외기의 내부에 연통시킴과 동시에 전기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의 일측면에 배설된 전원커버와, 상기 전원커버가 열리면 실외기에 공급디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본체에 배설된 스위치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2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기의 본체(51)의 일측면에는 실외기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선(53)이 전원커버(55)를 통하여 본체(51)의 내부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원커버(55)가 열리면 실외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본체(51)에는 스위치수단(57)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전원커버(55)는 실외기의 전기적인 고장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51)에 착탈가능케 배설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51)에는 상기 전원커버(55)가 결합되도록 관통구멍(5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51a)의 내주면에는 상기 전원커버(55)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걸림턱(51b) 및 걸림홈(51c)이 상기 본체(51)의 내 외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전원터버(55)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51c)에 걸리도록 걸림돌기(55a)가 형성되어, 상기 전원판넬(55)이 상기 본체(51)의 관통구멍(51a)에 착탈가능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51)의 관통구멍(51a)의 일측부에는 상기 스위치수단(57)의 후술하는 스프링을 수용하도록 수용홈(51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원터버(55)의 하측부에는 전선(53)이 관통하도록 관통구멍(55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55b)의 단부에는 상기 전선(53)을 고정하는 너트(59)가 결합되도록 나사돌출부(55c, 55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커버(55)의 걸림돌기(55a)는 상기 걸림홈(51c)에 용이하게 걸리도록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스위치수단(57)은 상기 수용홈(51d)에 스프링(61)이 배설되고, 상기 스프링(61)의 일측단에는 상기 전원커버(55)의 착탈에 따라 요동하는 요동부재(63)가 핀(65)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상기 요동부재(63)의 밀착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는 단자(67)가 전선(69)에 접속되어 상기 요동부재(63)의 일측에 배설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선(69)은 상기 전선(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에서, 실외기의 전기적인 고장수리등을 위해서 또는 실수로 상기 전원커버(55)를 열게 되면, 상기 스위치수단(57)의 스프링(61)이 요동부재(63)를 밀게 되고, 상기 핀(65)을 요동중심으로 하여 상기 요동부재(6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요동부재(63)의 단부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67)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전선(53)과 전선(69)를 통해서 실외기의 내부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스위치를 오프하지 않더라도 안전한 상태에서 전기수리작업을 할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는 전원커버의 일측에 배설된 스위치수단에 의해 전원커버를 열면 실외기에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한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전선(53)을 실외기의 내부에 연통시킴과 동시에 전기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51)의 일측면에 배설된 전원커버(55)와, 상기 전원커버(55)가 열리면 실외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상기 본체(51)에 배설된 스위치수단(5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수단(57)은 상기 본체(51)에 배설된 스프링(61)과, 상기 전원터버(55)의 착탈에 따라 요동하도록 상기 스프링(61)의 일측단에 힌지결합된 요동부재(63)와, 상기 요동부재(63)의 밀착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선(69)에 접속되어 상기 요동부재(63)의 일측에 배설된 단자(6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
KR2019950035978U 1995-11-27 1995-11-27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 KR0122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978U KR0122724Y1 (ko) 1995-11-27 1995-11-27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978U KR0122724Y1 (ko) 1995-11-27 1995-11-27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767U KR970024767U (ko) 1997-06-20
KR0122724Y1 true KR0122724Y1 (ko) 1998-08-17

Family

ID=1943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5978U KR0122724Y1 (ko) 1995-11-27 1995-11-27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7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457B1 (ko) 2019-08-22 2021-09-17 채일수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767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2724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
KR10084518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워코드 고정구조
KR0129536Y1 (ko) 룸 에어콘용 실내기의 배선커버 개폐구조
KR200205123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리액터 장착구조
KR1002349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원장치
KR0120738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0138433B1 (ko) 냉풍겸용 선풍기
KR200150818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146087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리액터 장착구조
KR890005657Y1 (ko) 의류 건조기를 부착한 룸 에어콘
KR0128922Y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지지대
KR200213716Y1 (ko) 에어컨용 컨트롤 키
KR0139248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0118103Y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
KR200148487Y1 (ko)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
JP3882743B2 (ja) 電動機及び送風機
KR100469323B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가열장치
KR100258236B1 (ko) 히트펌프의 실내기
KR200154608Y1 (ko) 공기조화기의 전선 접속장치
JP2846767B2 (ja) 電気温風機
KR0119395Y1 (ko) 야전용 냉난방장치
JPH0674906B2 (ja) 窓用空気調和機
CN116123133A (zh) 一种出风装置及无叶风扇
KR19980010138U (ko) 창문형 에어컨용 일체형케이싱
KR19990041673U (ko) 외기공급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