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487Y1 -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 - Google Patents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487Y1
KR200148487Y1 KR2019960068214U KR19960068214U KR200148487Y1 KR 200148487 Y1 KR200148487 Y1 KR 200148487Y1 KR 2019960068214 U KR2019960068214 U KR 2019960068214U KR 19960068214 U KR19960068214 U KR 19960068214U KR 200148487 Y1 KR200148487 Y1 KR 200148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control box
box body
cover
box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82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5015U (ko
Inventor
박인순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600682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487Y1/ko
Publication of KR199800550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0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4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박스본체의 한쪽에 회로기판 및 전선 등의 부품이 내장되는 수납부가 형성되는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로서, 박스본체의 수납부는 커버의 측판에 의해 덮어지고, 수납부의 테두리에 서로 대응되어 결합되게 측판의 테두리에 다수의 클립들이 끼움홈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회로기판 및 전선 등이 내장되는 박스본체의 수납부가 커버에 의해 덮어져 보호됨으로써, 이물질 등의 유입 및 파손이 방지되어 관리 및 취급이 안전하고 편리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
본 고안은 에어컨(air condition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 및 취급이 안전해지도록 한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control box assembly)에 있다.
냉각사이클(cooling cycle)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각시키는 데 사용되는 에어 컨은 압축기(compressor)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를 응축기(condenser)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evaporator)에서 기화 시킴으로써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공기조절장치이다.
이러한 에어컨의 기능은 그 본체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의 버튼(button)을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설정하게 되는 데, 이에 필요한 기구 및 회로기판(circuit board) 등의 부품은 컨트롤 박스에 내장되어 구성되고, 컨트롤 박스는 별도의 제작라인에서 하나의 조립품으로 제작되어 에어컨의 조립라인으로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종래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본체(10)의 한쪽에 회로기판(C) 등의 부품이 내장되는 수납부(11)가 한쪽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부품은 전선(wire: W)에 의해 관련부품,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 패널과 전원공급장치를 회로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그런데, 박스본체(10)의 수납부(11)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회로기판(C) 및 전선(W) 등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박스본체(10)의 관리 및 취급상 번거롭고 불편 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즉, 회로기판(C) 및 전선(W)이 노출되어 박스본체(10)의 수납부(11)에 내장되 므로, 수납부(11)의 내부에 먼지나 습기 및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접속 불량을 야기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박스본체(10)은 별도의 제작라인에서 조립되어 애어컨의 조립라 인으로 공급되는 것인 바, 박스본체(10)의 운반 및 조립라인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박스본체(10)의 회로기판(C) 및 전선(W) 등이 파손될 우려가 높아 불량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관리 및 취급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되도록 한 에어 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박스본체의 한쪽에 회로 기판 및 전선 등의 부품이 내장되는 수납부가 형성되는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로서, 박스본체의 수납부는 커버의 측판에 의해 덮어지고, 수납부의 테두리에 서로 대응되어 결합되게 측판의 테두리에 다수의 클립들이 끼움홈을 갖도록 형성되는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에 있다.
제1도는 종래 에어컨용 컨트롤 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박스본체 21 : (박스본체의) 수납부
22 : (수납부의) 입구 30 : 커버
31 : (커버의) 측판 32 : (측판의) 클립
C : 회로기판 W : 전선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 내지 및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본체(20)의 한쪽에 회로기판(C) 등의 부품이 내장되는 수납부(21)가 형성되고, 수납부(21)는 상부가 개방되어 입구(22)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 부품은 전선(wire: W)에 의해 관련부품,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 패널과 전원공급장치를 회로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본체(20)의 수납부(21)는 커버(cover: 30)의 측판(31)에 의해 덮어지는 것으로, 측판(31)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클립(clip: 32)들이 끼움홈(32a)을 갖도록 벤딩(bending)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30)는 클립(32)들의 끼움홈(32a)이 수납부(21)의 테두리에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되어 수납부(21)의 입구(22)를 덮어주게 된다.
한편, 커버(30)의 형상은 수납부(21)의 입구(22)를 전체적으로 덮어줄 수 있도 록 제작되며, 커버(30)의 형상은 입구(22)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박스본체(20)의 수납부(21)에 회로기판(C) 등의 부품과 전 선(W)을 내장시킨 상태에서, 수납부(21)의 테두리에 클립(32)들의 끼움홈(32a)을 서로 대응되도록 결합시키게 되면, 박스본체(20)의 수납부(21)에 커버(30)가 덮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박스본체(20)의 수납부(21)에 커버(30)가 덮어짐으로써, 수납부(21) 의 내부에 먼지나 습기 및 이물질 등의 유입이 방지되어 관리가 용이하고 편리해진다.
또한, 박스본체(20)가 별도의 제작라인에서 조립되어 에어컨의 조립라인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박스본체(20)의 회로기판(C) 및 전선(W) 등이 커버(30)에 의해 보 호되므로, 이들의 파손이 방지되어 취급이 안전해진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각종 전기전자제품 및 기계 장치의 회로부품을 수납하는 데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에 의하면, 회로기판 및 전선 등이 내장되는 박스본체의 수납부가 커버에 의해 덮어져 보호됨으로써, 이물질 등의 유입 및 파손이 방지되어 관리 및 취급이 안전하고 편리해지는 것이다.

Claims (1)

  1. 박스본체의 한쪽에 회로기판 및 전선 등의 부품이 내장되는 수납부가 형성되는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로서, 상기 박스본체(20)의 수납부(21)는 커버(30)의 측판(31)에 의해 덮어지고, 상기 수납부(21)의 테두리에 서로 대응되어 결합되게 상기 측판(31)의 테두리에 다수의 클립(32)들이 끼움홈(32a)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
KR2019960068214U 1996-12-31 1996-12-31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 KR200148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8214U KR200148487Y1 (ko) 1996-12-31 1996-12-31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8214U KR200148487Y1 (ko) 1996-12-31 1996-12-31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015U KR19980055015U (ko) 1998-10-07
KR200148487Y1 true KR200148487Y1 (ko) 1999-06-15

Family

ID=1948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8214U KR200148487Y1 (ko) 1996-12-31 1996-12-31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4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015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6342A (ko) 냉장고 및 냉각장치
KR200148487Y1 (ko) 에어컨용 컨트롤 박스 조립체
JP2008144982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2106887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DE60004896D1 (de) Eingebautes Gehäuse, insbesondere für Klimaanlagen
KR100315826B1 (ko) 삼면 토출형 공기 조화기의 콘트롤 박스
JPH09112966A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並びに室外機の脚
JP4977354B2 (ja) 電装箱
JPH05299861A (ja) 基板収納シェルフのエアーシール構造
KR20020048701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4367635A (en) Combination control box and service cord strain relief for an air conditioning unit
KR100228965B1 (ko) 에어컨 실외기
KR1002679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0129536Y1 (ko) 룸 에어콘용 실내기의 배선커버 개폐구조
KR0115206Y1 (ko) 공기조화기의 회로기판 설치구조
KR101842672B1 (ko) 분할 구조를 갖는 압축기용 인버터 하우징 조립체
JPH0513357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ツト
KR0134136Y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표시부
JP3071080B2 (ja) 壁掛け型空気調和機
KR200334432Y1 (ko) 에어컨 실내기의 컨트롤 박스
KR0122724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전원차단장치
JP3858661B2 (ja) 電装品箱および空気調和機
KR0118103Y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
JPH0650574A (ja) 熱交換ユニット
KR200213716Y1 (ko) 에어컨용 컨트롤 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