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103Y1 -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103Y1
KR0118103Y1 KR2019940021045U KR19940021045U KR0118103Y1 KR 0118103 Y1 KR0118103 Y1 KR 0118103Y1 KR 2019940021045 U KR2019940021045 U KR 2019940021045U KR 19940021045 U KR19940021045 U KR 19940021045U KR 0118103 Y1 KR0118103 Y1 KR 0118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terminal
air
protruding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739U (ko
Inventor
구병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21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103Y1/ko
Priority to US08/515,617 priority patent/US5600963A/en
Priority to IT95RM000567A priority patent/ITRM950567A1/it
Priority to ES009501663A priority patent/ES2133028B1/es
Priority to JP7212253A priority patent/JP2617286B2/ja
Publication of KR960008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739U/ko
Priority to IT1998RM000068U priority patent/IT245595Y1/it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1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냉매의 증발작용에 의해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공기가 냉각되도록 실냉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냉각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팬과, 상기 팬이 회전되도록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팬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가 장착되는 몸체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돌출된 홀더와, 상기 홀더가 돌출된 상기 몸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모터 등의 각종 부품의 단자가 접속된 몸체단자와, 상기 몸체단자가 돌출된 상기 몸체와 조립되어서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며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각종 회로부품이 접속되어 상기 몸체와 조립될 경우 상기 몸체단자와 자동으로 접속되는 박스단자가 돌출된 콘트롤박스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에 종래와 같은 수납실이 형성되지 않아 제작시에 설계비 및 금형제작비를 대폭 다운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몸체에 콘트롤박스를 보다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므로 제조코스트가 다운되고 보수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몸체에 종래와 같은 수납실이 형성되지 않아 제작시에 설계비 및 금형제작비를 대폭 다운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에 콘트롤박스를 보다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코스트를 다운 시키고 보수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11)와 토출구(12)가 구비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배설되어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13)와, 상기 열교환기(13)로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13)에서 냉각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며 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팬(1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고, 실외에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가 설치되어 응축된 냉매가 상기 열교환기(13)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팬(14)이 구동되면서 실내공기가 상기 흡입구(11)를 통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몸체(10)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3)를 통과하여 냉매의 증발작용에 의해 공기의 열교환이 일어나 냉각된 상태로 되어 상기 토출구(12)를 통해서 실내로 배출되므로써 실내를 냉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팬의 구동 및 운전의 강약조절등이 몸체의 일측에 장착된 콘트롤장치에서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콘트롤장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의 일측에 구비된 수납실(2)과, 상기 수납실(2)에 배설되며 내부에 회로부품등이 내장되는 콘트롤박스(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는, 상기 콘트롤박스(3)의 내부에 회로부품 등을 내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콘트롤박스(3)가 상기 몸체(1)에 형성된 상기 수납실(2)에 끼워져 조립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콘트롤박스(3)를 상기 수납실(2)에 배설시킨 후 상기 콘트롤박스(3)에 내장된 회로부품의 연결단자를 상기 몸체(1)에 장착된 각종 부품, 즉 모터(6), 콘트롤버튼, 공기청정기 및 각종 센서등과 회로적으로 연결시켜야 한다.
즉, 상기 콘트롤박스(3)를 상기 수납실(2)에 배설시킨 후 연결단자를 접속시켜야 하므로써 조립이 난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콘트롤박스(3)를 상기 몸체(1)의 내부에 수납시키기 위한 수납실(2)이 구비되어야 하므로써 상기 몸체(1)의 내용적이 축소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몸체(1)의 금형설계시에 상기 수납실(2)을 설계하여야 하므로써 설계가 복잡해지고 금형제작비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몸체에 종래와 같은 수납실이 형성되지 않아 제작시에 설계비 및 금형제작비를 대폭 다운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에 콘트롤박스를 보다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고 보수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는, 냉매의 증발작용에 의해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공기가 냉각되도록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냉각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팬과, 상기 팬이 회전되도록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상기 팬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가 장착되는 몸체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돌출된 홀더와, 상기 홀더가 돌출된 상기 몸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모터 등의 각종 부품의 단자가 접속된 몸체단자와, 상기 몸체단자가 돌출된 상기 몸체와 조립되어서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며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각종 회로부품이 접속되어 상기 몸체와 조립될 경우 상기 몸체단자와 자동으로 접속되는 박스단자가 돌출된 콘트롤박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에 의하면, 몸체에 종래와 같은 수납실이 형성되지 않아 제작시에 설계비 및 금형제작비를 대폭 다운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몸체에 콘트롤박스를 보다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므로 제조코스트가 다운되고 보수정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
제2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콘트롤장치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콘트롤장치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체 13:열교환기
14:팬 15:모터
20:콘트롤박스 21:돌기
22:박스단자 23:홀더
24:몸체단자 25:하단지지부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콘트롤장치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써, 제1도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품은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10)은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몸체로써, 그 내부에는 실내공기를 냉매의 증발작용에 의해 냉각시키는 열교환기(13)가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열교환기(13)에서 공기가 냉각되도록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냉각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팬(14)이 배설되고, 상기 팬(14)은 모터(15)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콘트롤박스의 돌기가 삽입되도록 홀더(23)가 돌출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모터(15) 등의 각종 부품의 연결단자가 접속된 몸체단자(24)가 돌출되어 있다.
또, 상기 몸체(10)의 일측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콘트롤박스가 견고하게 상기 몸체(10)와 조립되도록 상부로 절곡되어 하단지지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20)은 각종 회로부품이 내장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10)와 조립되어서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콘트롤박스로써, 일측에는 상기 몸체(10)의 홀더(23)에 삽입되는 돌기(21)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콘트롤박스(20)에는 상기 몸체(10)에 상기 콘트롤박스(20)가 조립될 경우 상기 콘트롤박스(20)에 내장된 회로부품의 연결단자와 상기 몸체(10)에 장착된 각종 부품의 연결단자가 자동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몸체단자(24)와 접속되는 박스단자(22)가 돌출되어 있다.
즉, 상기 박스단자(22)는 상기 콘트롤박스(20)에 내장되는 각종 회로부품의 연결단자가 접속되어서 상기 콘트롤박스(20)와 상기 몸체(10)를 조립할 경우 상기 박스단자(22)와 상기 몸체단자(24)가 접속되게 되므로써, 상기 콘트롤박스(20)에 내장된 각종 회로부품과 상기 몸체(10)에 장착된 각종 부품이 자동으로 접속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몸체(10)에 종래와 같은 수납실이 형성되지 않으므로써 상기 몸체(10)의 내용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음 물론이고, 상기 몸체(10)를 제작할 경우 금형비 및 설계비가 대폭 절감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0)에 상기 콘트롤박스(20)를 조립할 경우 상기 콘트롤박스(20)의 돌기(21)를 상기 몸체(10)의 홀더(23)에 끼우면 상기 몸체(10)에 상기 콘트롤박스(20)가 용이하게 조립되게 된다.
또, 상기 몸체(10)에 상기 콘트롤박스(20)를 조립시키면 상기 몸체단자(24)와 상기 박스단자(22)가 자동으로 접속되게 되므로써, 상기 몸체(10)에 장착된 각종 부품과 상기 콘트롤박스(20)에 배설된 각종 회로부품이 자동으로 연결되게 되어 종래와 같이 연결단자를 접속시키는 별도의 공정이 생략되어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트롤박스(20)를 상기 몸체(10)로부터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으므로 보수정비를 누구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에 의하면, 몸체에 종래와 같은 수납실이 형성되지 않아 제작시에 설계비 및 금형제작비를 대폭다운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몸체에 콘트롤박스를 보다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므로 제조코스트가 다운되고 보수정비가 용이하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냉매의 증발작용에 의해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13)와, 상기 열교환기(13)에서 공기가 냉각되도록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냉각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팬(14)과, 상기 팬(14)이 회전되도록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5)와, 상기 모터(15)와 상기 팬(14)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3)가 장착되는 몸체(10)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돌출된 홀더(23)와, 상기 홀더(23)가 돌출된 상기 몸체(10)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모터(15) 등의 각종부품의 단자가 접속된 몸체단자(24)와, 상기 몸체단자(24)가 돌출된 상기 몸체(10)와 조립되어서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며 상기 홀더(23)에 삽입되는 돌기(21)가 형성되고 각종 회로부품이 접속되어 상기 몸체(10)와 조립될 경우 상기 몸체단자(24)와 접속되는 박스단자(22)가 돌출된 콘트롤박스(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일측의 단부에는, 상기 콘트롤박스(20)가 견고하게 상기 몸체(10)와 조립되도록 상부로 절곡된 하단지지부(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
KR2019940021045U 1994-08-20 1994-08-20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 KR0118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045U KR0118103Y1 (ko) 1994-08-20 1994-08-20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
US08/515,617 US5600963A (en) 1994-08-20 1995-08-16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system
IT95RM000567A ITRM950567A1 (it) 1994-08-20 1995-08-18 Un'unita' interna di un condizionatore d'aria del tipo ad elementi separati
ES009501663A ES2133028B1 (es) 1994-08-20 1995-08-18 Unidad de interior de un acondicionador de aire tipo separado.
JP7212253A JP2617286B2 (ja) 1994-08-20 1995-08-21 空気調和機の室内機
IT1998RM000068U IT245595Y1 (it) 1994-08-20 1998-03-06 Unita' interna di un condizionatore d'aria del tipo ad elementiseparat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045U KR0118103Y1 (ko) 1994-08-20 1994-08-20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739U KR960008739U (ko) 1996-03-16
KR0118103Y1 true KR0118103Y1 (ko) 1998-07-15

Family

ID=1939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045U KR0118103Y1 (ko) 1994-08-20 1994-08-20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1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393B1 (ko) * 2001-09-19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393B1 (ko) * 2001-09-19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739U (ko) 199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8103Y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장치
KR10042397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44110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구조
KR2003001825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8544787U (zh) 空调器室外机
KR200341560Y1 (ko) 에어컨 냉기 토출구의 블레이드 조립구조
KR1002679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100654732B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조립구조
KR100361190B1 (ko) 공기조화기용 컨트롤박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186559Y1 (ko) 일체형공기조화기
KR200180841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판넬구조
KR0128922Y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지지대
KR200312147Y1 (ko) 룸 에어컨의 구조
KR200168801Y1 (ko) 일체형 에어컨
KR100412415B1 (ko) 에어컨의 흡입구조
KR200201607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밑판
KR0128732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콘트롤박스 취부구조
JPS5938656Y2 (ja) 空気調和機
KR200213716Y1 (ko) 에어컨용 컨트롤 키
KR200165386Y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171916Y1 (ko) 공조기기
KR20040021343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워코드 고정구조
JPS5815781Y2 (ja) 空気調和機
KR940004106B1 (ko) 분리형 룸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 송풍구조
KR19990017297U (ko) 창문형 공조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