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728B1 -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728B1
KR101534728B1 KR1020130160442A KR20130160442A KR101534728B1 KR 101534728 B1 KR101534728 B1 KR 101534728B1 KR 1020130160442 A KR1020130160442 A KR 1020130160442A KR 20130160442 A KR20130160442 A KR 20130160442A KR 101534728 B1 KR101534728 B1 KR 101534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vehicle
illuminance
driving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841A (ko
Inventor
최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0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728B1/ko
Priority to US14/472,135 priority patent/US11299017B2/en
Publication of KR20150072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04Curtain rails
    • A47H1/08Curtain rails exte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6Control means for actuating the roller blind, e.g. using electronic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69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of multiple blinds, e.g. more than one blind per window or per actuation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8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rea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광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탑승자의 탑승을 감지하는 승객 감지 센서, 및 차량용 커튼을 자동으로 구동하는 자동 모드 시 탑승자의 탑승 여부 및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에 따라 차량용 커튼의 구동을 제어하고, 차량용 커튼을 수동으로 구동하는 수동 모드 시 후석 모니터의 온 상태 및 기준 조도에 따라 차량용 커튼의 구동을 제어하는 커튼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CURTAIN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으로 차량용 커튼을 구동하는 커튼 제어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커튼은 차량의 후석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되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한다. 차량용 커튼은 차량의 후면 유리에 설치된 리어(rear) 커튼 및 차량 후석의 좌/우 측면 유리에 설치된 리어 사이드(rear side) 커튼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용 커튼은 탑승자가 수동으로 구동하거나, 구동 모터 및 작동 스위치를 이용하여 반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의 후면 및 좌/우 측면 유리에 외부 광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장착하고, 광량에 따라 자동으로 차량용 커튼을 구동하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 차량용 커튼을 자동으로 구동하는 방식은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구동되고, 조도 센서 장착을 위한 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탑승하거나 후석 모니터가 온 되면 자동으로 차량용 커튼을 제어하는 커튼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후석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후석 모니터, 상기 후석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외부 광을 차단하는 차량용 커튼을 포함하는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는 상기 외부 광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상기 탑승자의 탑승을 감지하는 승객 감지 센서; 및 상기 차량용 커튼을 자동으로 구동하는 자동 모드 시 상기 탑승자의 탑승 여부 및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에 따라 상기 차량용 커튼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차량용 커튼을 수동으로 구동하는 수동 모드 시 상기 후석 모니터의 온 상태 및 상기 기준 조도에 따라 상기 차량용 커튼의 구동을 제어하는 커튼 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튼 구동부는 상기 자동 모드 시 상기 조도 센서를 온 시키고, 상기 탑승자가 상기 후석에 탑승한 경우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외부 광의 조도와 상기 기준 조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용 커튼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커튼 구동부는 상기 외부 광의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용 커튼을 구동하고, 상기 외부 광의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 상기 자동 모드를 상기 수동 모드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커튼 구동부는 상기 후석 모니터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조도 센서를 온 시키고,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외부 광의 조도와 상기 기준 조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용 커튼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커튼 구동부는 상기 외부 광의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용 커튼을 구동하고, 상기 외부 광의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 상기 자동 모드를 상기 수동 모드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조도 센서는 상기 차량의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된다. 또한, 서로 다른 값을 갖는 복수의 조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기준 조도를 설정하는 조도 선택 버튼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누름 상태에 따라 상기 자동 모드 및 상기 수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제1 버튼을 포함하는 모드 설정 버튼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커튼은 상기 후석의 후면에 설치된 리어 커튼; 및 상기 후석의 좌우측 측면에 설치된 리어 사이드 커튼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드 설정 버튼부는 상기 리어 커튼은 상기 수동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리어 사이드 커튼은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2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동 모드 설정 시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불필요하게 차량용 커튼이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자동 모드가 설정되지 않더라도 후석 모니터가 온 되면 차량용 커튼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후석 모니터의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드 설정 버튼부(40)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준 조도 설정 버튼부(50)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드 설정 버튼부(4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준 조도 설정 버튼부(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제어 시스템(1)은 조도 센서(10), 승객 감지 센서(20), 후석 모니터(30), 모드 설정 버튼부(40), 기준 조도 설정 버튼부(50), 커튼 구동부(60) 및 차량용 커튼(70)을 포함한다.
조도 센서(10)는 커튼 구동부(60)에 의해 온/오프 되어 외부 광의 조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조도 센서(10)는 차량의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도 센서(10)는 차량의 미등 또는 전조등을 외부 광의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시키는 오토 라이트 시스템에 적용되는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토 라이트 시스템은 운전자가 점등 조작 버튼(미도시)을 오토 모드로 조작한 경우에만 조도 센서(10)를 온 상태로 동작시키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도 센서(10)는 점등 조작 버튼뿐만 아니라 커튼 구동부(6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유리에 복수의 조도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대시 보드 상에 설치된 1개의 조도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조도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승객 감지 센서(20)는 커튼 구동부(60)에 의해 온/오프 되어 차량의 후석에 탑승한 탑승자를 감지한다. 여기서, 승객 감지 센서(20)는 차량의 후석에 배치되며, 차량이 외부 물체와 충돌 시 차량의 후석에 배치된 에어백을 구동시키기 위한 PODS(Passenger Occupation Detect System) 시스템에 적용되는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후석 모니터(30)는 차량의 후석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후석 모니터(30)는 운전석 또는 운전석 옆의 보조석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드 설정 버튼부(4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차량용 커튼(70)의 구동 모드를 차량용 커튼(70)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 모드 및 차량용 커튼(70)을 수동으로 개폐하는 수동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한다.
여기서, 자동 모드는 리어 커튼(72) 및 리어 사이드 커튼(74)을 모두 자동으로 구동하는 제1 자동 모드 및 리어 사이드 커튼(74)만 자동으로 구동하는 제2 자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자동 모드 설정 시 차량의 주행 중 리어 커튼(72)이 닫힌 상태로 전환되어 운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설정 버튼부(40)는 제1 및 제2 버튼(B1, B2)을 포함한다. 제1 버튼(B1)이 눌러지면 제1 자동 모드가 선택되고, 제1 버튼(B1)의 누름이 해제되면 수동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버튼(B1)이 눌러진 상태에서 제2 버튼(B2)이 눌러지면 제2 자동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드 설정 버튼부(40)가 차량의 좌우 측면 유리에 설치된 리어 사이드 커튼(74)을 각각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버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조도 설정 버튼부(5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서로 다른 값을 갖는 복수의 조도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조도로 설정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조도 설정 버튼부(50)는 누름 횟수에 따라 60lux, 80lux 및 100lux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3 버튼(B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버튼(B3)은 누름 횟수에 대응하는 조도 단계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커튼 구동부(60)는 자동 모드 설정 시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탑승했는지 여부 및 기준 조도에 따라 차량용 커튼(70)의 개폐를 제어한다. 그리고, 커튼 구동부(60)는 수동 모드 설정 시 후석 모니터(30)의 온 상태 및 기준 조도에 따라 차량용 커튼(70)의 개폐를 제어한다.
차량용 커튼(70)은 커튼 구동부(6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광을 차단한다. 여기서, 차량용 커튼(70)은 차량의 후면 유리에 설치된 리어 커튼(72) 및 차량 후석의 좌우 측면 유리에 설치된 리어 사이드 커튼(74)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커튼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커튼 구동부(60)는 모드 설정 버튼부(40)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구동 모드가 자동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 단계). 판단 결과, 현재 구동 모드가 자동 모드로 설정된 경우 조도 센서(10)를 온(on) 시킨다(S2 단계). 그러면, 조도 센서(10)는 외부 광의 조도를 감지한다.
그 다음, 커튼 구동부(60)는 승객 감지 센서(20)를 온(on) 시키고, 승객 감지 센서(20)는 차량의 후석에 탑승한 탑승자를 감지한다. 커튼 구동부(60)는 승객 감지 센서(20)를 통해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탑승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3 단계).
S3 단계의 판단 결과,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탑승한 경우 커튼 구동부(60)는 조도 센서(10)를 통해 감지된 외부 광의 조도가 기준 조도 설정 버튼(50)에 의해 설정된 기준 조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 단계).
반면, S3 단계의 판단 결과,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경우 커튼 구동부(60)는 구동 모드를 수동 모드로 전환한다(S5 단계). 이때, 모드 설정 버튼부(40)의 조작에 따라 리어 커튼(72) 및 리어 사이드 커튼(7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동으로 조작하는 모드가 설정된 경우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았더라도 해당 커튼을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 다음, S4 단계의 판단 결과, 외부 광의 조도가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커튼 구동부(60)는 차량용 커튼(70)을 구동한다(S6 단계). 반면, S4 단계 각각의 판단 결과 외부 광의 조도가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 커튼 구동부(60)는 S5 단계를 진행한다.
한편, S1 단계의 판단 결과, 모드 설정 버튼부(40)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구동 모드가 자동 모드가 아닌 경우 커튼 구동부(60)는 후석 모니터(30)가 온(on)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 단계).
S7 단계의 판단 결과, 후석 모니터(30)가 온(on) 상태인 경우 커튼 구동부(60)는 조도 센서(10)를 온(on) 시킨다(S8 단계). 그 다음, 커튼 구동부(60)는 S4 단계를 진행한다. 반면, S7 단계의 판단 결과, 후석 모니터(30)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커튼 구동부(60)는 S5 단계를 진행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튼 구동부(60)는 자동 모드 설정 시 차량의 후석에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일 때에만 차량용 커튼(70)을 자동으로 구동한다. 따라서,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필요하게 차량용 커튼(70)이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튼 구동부(60)는 자동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더라도 후석 모니터(30)가 온(on) 상태이면 차량용 커튼(70)을 자동으로 구동하여 후석 모니터(30)의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조도 센서
20: 승객 감지 센서
30: 후석 모니터
40: 모드 설정 버튼부
50: 기준 조도 설정 버튼부
60: 커튼 구동부
70: 차량용 커튼

Claims (10)

  1. 차량의 후석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후석 모니터, 상기 후석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외부 광을 차단하는 차량용 커튼을 포함하는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광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상기 탑승자의 탑승을 감지하는 승객 감지 센서; 및
    상기 차량용 커튼을 자동으로 구동하는 자동 모드 시 상기 탑승자의 탑승 여부 및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에 따라 상기 차량용 커튼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차량용 커튼을 수동으로 구동하는 수동 모드 시 상기 후석 모니터의 온 상태 및 상기 기준 조도에 따라 상기 차량용 커튼의 구동을 제어하는 커튼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튼 구동부는 상기 외부 광의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상기 차량용 커튼을 구동하고, 상기 외부 광의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 상기 자동 모드를 상기 수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구동부는
    상기 자동 모드 시 상기 조도 센서를 온 시키고, 상기 탑승자가 상기 후석에 탑승한 경우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외부 광의 조도와 상기 기준 조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용 커튼의 구동을 제어하는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 구동부는
    상기 후석 모니터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조도 센서를 온 시키고,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외부 광의 조도와 상기 기준 조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용 커튼의 구동을 제어하는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센서는 상기 차량의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된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값을 갖는 복수의 조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기준 조도를 설정하는 조도 선택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누름 상태에 따라 상기 자동 모드 및 상기 수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제1 버튼을 포함하는 모드 설정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커튼은
    상기 후석의 후면에 설치된 리어 커튼; 및
    상기 후석의 좌우측 측면에 설치된 리어 사이드 커튼
    을 포함하는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 버튼부는
    상기 리어 커튼은 상기 수동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리어 사이드 커튼은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2 버튼을 포함하는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KR1020130160442A 2013-12-20 2013-12-20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KR101534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42A KR101534728B1 (ko) 2013-12-20 2013-12-20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US14/472,135 US11299017B2 (en) 2013-12-20 2014-08-28 Apparatus for controlling curtain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42A KR101534728B1 (ko) 2013-12-20 2013-12-20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841A KR20150072841A (ko) 2015-06-30
KR101534728B1 true KR101534728B1 (ko) 2015-07-07

Family

ID=5339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442A KR101534728B1 (ko) 2013-12-20 2013-12-20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99017B2 (ko)
KR (1) KR101534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16363B (zh) * 2016-06-27 2018-03-01 Liu Jun Nan Vehicle defense personnel
CN106627064A (zh) * 2016-12-13 2017-05-10 大陆汽车电子(长春)有限公司 用于控制车辆的天窗的装置及其方法
KR102304457B1 (ko) * 2019-08-22 2021-09-17 채일수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장치, 그리고 차량용 하이브리드 빗물 어닝 제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147A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용 자동 차광장치
JP2005022507A (ja) * 2003-07-01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遮光装置および車載表示システム
KR20110112182A (ko) * 2010-10-25 2011-10-12 준이앤씨(주) 자동 차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7266A (en) * 1991-09-03 1995-11-14 Lutron Electronics Co., Inc. Motor-operated window cover
DE10041709A1 (de) 2000-08-25 2002-05-16 Bos Gmbh Rollosteuerung für Rollos in Kraftfahrzeugen
US6759643B2 (en) 2001-09-04 2004-07-06 Exon Science, Inc. Automatic sunshade curtain with sustained state at transition
US20040065101A1 (en) * 2002-10-08 2004-04-08 Lear Corporation Vehicle climate control system
US7111952B2 (en) * 2003-03-24 2006-09-26 Lutron Electronics Co., Inc. System to control daylight and artificial illumination and sun glare in a space
KR100980951B1 (ko) 2004-12-07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커튼의 자동 제어 방법
KR20060078416A (ko) 2004-12-31 2006-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커튼 자동 제어 시스템
JP2008137494A (ja) 2006-12-01 2008-06-19 Denso Corp 車両用視界支援装置
US20080185886A1 (en) * 2007-02-06 2008-08-07 Hamg Shing Technology Corp. Displayer mounting device for vehicle
US8030872B2 (en) * 2009-08-12 2011-10-04 Macauto Industrial Co., Ltd. Motor controller for a sunshade assembly
US20120261079A1 (en) * 2011-03-11 2012-10-18 Chambers Samuel F Method of controlling a motorized window treatment to save energ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147A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용 자동 차광장치
JP2005022507A (ja) * 2003-07-01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遮光装置および車載表示システム
KR20110112182A (ko) * 2010-10-25 2011-10-12 준이앤씨(주) 자동 차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99017B2 (en) 2022-04-12
US20150174990A1 (en) 2015-06-25
KR20150072841A (ko)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2938B2 (ja) 車両の車室照明装置
US10427642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dentifica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6330244B2 (ja) 明るい都市条件を検出するための画像化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759643B2 (en) Automatic sunshade curtain with sustained state at transition
KR101534728B1 (ko)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US20090213600A1 (en) Ligh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WO2009066150A1 (en) Vehicle surroundings monitoring system and vehicle foot illuminating system
KR101759138B1 (ko) 차량의 후방 카메라를 이용한 테일 게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2088110A (zh) 用于照明车辆内的座位的方法
KR102044288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JP6451390B2 (ja) 動き検出システム
KR102010526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000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278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284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280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3998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279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3997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281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283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3993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JPS6223626Y2 (ko)
KR100877973B1 (ko) 아이엠에스를 이용한 오토라이트 점등시간 제어시스템 및방법
JPS62175215A (ja) 車両用自動サンバイザ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