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182A - 자동 차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차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182A
KR20110112182A KR1020100104204A KR20100104204A KR20110112182A KR 20110112182 A KR20110112182 A KR 20110112182A KR 1020100104204 A KR1020100104204 A KR 1020100104204A KR 20100104204 A KR20100104204 A KR 20100104204A KR 20110112182 A KR20110112182 A KR 20110112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ght
glare
unit
sun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준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준이앤씨(주) filed Critical 준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00104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2182A/ko
Publication of KR20110112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88Lamellar or like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86Sunglare reduction by temporary translucent screens or foils removably attached to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차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기차와 같은 운송수단 내부에 조사되는 태양광에 의한 상기 운송수단에 탑승한 운전자의 눈부심 정도를 판단하는 눈부심감지부와, 전방유리, 측방유리 및 후방유리에 각각 설치되어 운송수단 내부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광부와, 눈부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통해 차광부를 작동시키는 차광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는 차광판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가 아니라 차량 내부에 입사되는 태양광과 운전자의 동공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므로 운전 중 운전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차광장치 {Automatic shad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차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과 같은 운송수단 내부에 입사되는 태양광과 운전자의 동공의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운송수단 유리를 차광시키는 자동 차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전방 및 후방 유리와, 좌우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측방유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유리들은 태양광을 통과시키기 때문에 차량 내부로 입사된 태양광에 의해 운전자 및 탑승자가 명확한 시야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운전석과 조수석에 선바이저를 부착되어 있다. 상기 선바이저는 상하좌우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있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태양의 위치에 따라 선바이저를 회동시켜 태양광을 차단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선바이저는 운전 중에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번거러우며, 운전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여 운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2935호에서는 '자동차용 선바이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자동차용 선바이저는 전면유리와 인접하게 홈이 형성된 루프패널과, 상기 루프패널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탄성체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롤러와, 상기 롤러에 권취되어 상기 홈을 통해 출입되는 차광막과, 상기 차광막의 단부에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루프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전면유리를 따라 연장된 복수의 가이드바와,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에 물림되어 상기 차광막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자동차용 선바이저는 차광막을 작동시키기 위해선 핸들의 일측에 마련된 별도의 버튼을 눌러야하는 소정의 동작이 요구되므로 번거러우며, 운자 중에 작동시킬 시 운전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여 교통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선바이저는 자동차의 전방유리에만 설치되어 있어, 자동차의 측방 또는 후방에서 자동차의 내부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차단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운송수단 내부에 입사되는 태양광과 운전자의 동공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운송수단의 전방유리, 측방유리 및 후방유리를 차광하는 자동 차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는 차량, 기차와 같은 운송수단 내부에 조사되는 태양광 중 상기 운송수단에 탑승한 탑승자의 시선과 동일한 높이와 각도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감지하는 눈부심감지부와, 상기 전방유리, 측방유리 또는 후방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운송수단 내부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차광 및 통광시키는 차광부와, 상기 눈부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차광부를 작동시키는 차광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눈부심감지부는 상기 운송수단에 탑승한 탑승자의 안면에 대향되는 상기 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운송수단 내부에 조사되는 태양광에 의한 상기 탑승자의 동공의 변화를 감지하는 동공감지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동공감지부는 상기 탑승자의 안면에 대향되는 상기 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자의 동공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탑승자의 동공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탑승자의 눈부심 여부를 판단하는 동공분석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는 차량, 기차와 같은 운송수단 내부에 조사되는 태양광 중 상기 운송수단에 탑승한 탑승자의 시선과 동일한 높이와 각도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감지하는 눈부심감지부와, 상기 전방유리, 측방유리 또는 후방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운송수단 내부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차광 및 통광시키는 차광부와, 상기 눈부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차광부를 작동시키는 차광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눈부심감지부는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운송수단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입사량을 측정하여 상기 운전자의 눈부심을 감지하는 광량감지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광량감지부는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 또는 내부에 태양광에 대해 노출되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운송수단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입사량을 감지하는 제 2광감지센서와, 상기 운전자가 눈부심을 느끼는 상기 태양광의 입사량에 대한 최소 광량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 2광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광량을 상기 최소 광량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2광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광량이 상기 최소광량 정보보다 초과할 경우, 상기 차광제어부에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차광부를 작동시키는 광량분석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는 차광판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가 아니라 운송수단 내부에 입사되는 태양광과 운전자의 동공 변화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므로 운전 중 운전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운전에 도움을 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 차광장치의 작동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자동 차광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의 구동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의 차광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차광부의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 차광장치(10)는 차량과 같은 운송수단(11)의 전방유리(12), 측방유리(13) 및 후방유리(14)에 각각 설치되어 태양광을 감지하는 눈부심감지부(20)와, 운송수단(11)의 전방유리(12), 측방유리(13) 및 후방유리(14)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입사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광 및 투광시키는 차광부(40)와, 차광부(40)를 제어하는 차광제어부(70)를 구비한다.
눈부심감지부(20)는 운송수단(11)의 전방유리(12), 측방유리(13) 및 후방유리(14)에 각각 설치되어 각 유리를 통해 운송수단(11) 내부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감지한다.
눈부심감지부(20)는 운송수단(11)의 전방유리(12), 측방유리(13) 및 후방유리(14)에 설치된 광감지관(21)과, 광감지관(21)의 내부에 설치된 제 1광감지센서(22)를 구비한다.
광감지관(21)은 내부에 인입공간(23)이 마련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운송수단(11)의 각 유리에 지면에 대해 나란하게 설치된다. 운송수단(11)의 각 유리에 접하는 광감지관(21)의 일단부는 인입공간(23)으로 태양광이 입사될 수 있게 개방되게 형성된다.
광감지관(21)은 운전자 및 탑승자의 눈부심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운송수단(11) 내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자의 눈의 위치에 대응되는 운송수단(11)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광감지관(21)이 운송수단(11)의 각 유리에 하나씩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광감지관(21)의 설치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방향으로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운송수단(11)의 각 유리에 다수개의 광감지관(21)이 설치된 경우, 각 광감지관(21)에 설치된 제1광감지센서(22)에 의해 운송수단(11) 내부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입사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 1광감지센서(22)는 광감지관(21)의 일단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인입공간(23) 내에 설치되어 광감지관(21) 내부로 입사되는 태양광 및 입사되는 태양광의 입사각을 감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눈부심감지부(20)는 전방유리(12)에 입사되는 모든 각도의 태양광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시선과 동일한 높이와 각도로 형성된 인입공간(23) 내에 입사된 태양광만을 감지하므로 보다 더 정확하게 운전자의 눈부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한편, 눈부심감지부(20)는 운송수단(11)에 탑승한 운전자의 안면에 대향되는 운송수단(11) 내부에 설치되어, 운송수단(11) 내부에 조사되는 태양광에 의한 운전자의 동공의 변화를 감지하는 동공감지부(30)와, 운송수단(11)의 외부에 설치되어 운송수단(11)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감지하는 광량감지부(35)를 더 구비한다.
동공감지부(30)는 운송수단(11)에 탑승한 운전자의 안면에 대향되는 운송수단(11) 내부에 설치되어, 운송수단(11) 내부로 조사되는 태양광에 의한 운전자의 동공 크기 변화를 감지한다.
동공감지부(30)는 운전자의 동공을 촬영하는 카메라(31)와, 카메라(31)를 통해 촬영된 운전자의 동공을 분석하는 동공분석부(32)를 구비한다.
카메라(31)는 운전자의 안면에 대향되는 위치의 운송수단(11) 계기판 상면에 설치되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운전자의 앉은 키에 따라 촬영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동수단을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카메라(31)는 운송수단(11)의 계기판 내측에 인입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동공분석부(32)는 카메라(31)를 통해 촬영된 운전자의 동공 크기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눈부심 여부를 판단한다. 동공분석부(32)는 운전자의 동공 크기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운전자의 동공 크기 변화율이 눈부심에 해당하는 범위이면, 차광제어부(70)에 운전자의 눈부심 정보를 전송한다.
광량감지부(35)는 운송수단(11)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에 설치되어 운송수단(11)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제 2광감지센서(36)와, 제 2광감지센서(36)로부터 측정된 광량을 분석하는 광량분석부(37)를 구비한다.
여름철과 같이 태양광의 입사량이 많은 계절에는 운전자의 시야범위 내에 입사되는 태양광 뿐만 아니라 운송수단(11)에 다양한 각도로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운전자는 눈부심을 느낀다. 광량감지부(35)는 운송수단(11)에 다양한 각도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입사량을 측정하여 운전자의 눈부심을 감지한다.
광량분석부(37)에는 운전자가 운송수단(11)을 운행하는 데 있어 눈부심이 발생하는 최소 광량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제 2광감지센서(36)를 통해 측정된 광량이 운전자가 눈부심을 느끼는 최소 광량을 초과하면 차광제어부(70)로 차광부(40)의 작동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광량분석부(37)는 밤시간과 같이 어두울 때, 반대편 차선의 차량의 헤드라이트와 같은 광원을 감지한 제 1광감지센서(22)에 의해 차광부(40)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제 2광감지센서(36)에 의해 측정된 광량에 의해 운송수단(11) 주위의 밝기를 분석한다.
운송수단(11)의 주위가 어둡다고 분석되면 광량분석부(37)는 차광부(40)의 작동을 차단하는 차단신호를 차광제어부(70)로 송신한다.
차광부(40)는 운송수단(11)의 전방유리(12), 측방유리(13) 및 후방유리(14)에 설치되어 각 유리를 통해 운송수단(11) 내부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차단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광부(40)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광부(40)는 운송수단(11)의 내측 천장면에 설치된 차광본체(41)와, 차광본체(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차광판(42)과, 차광판(42)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43)와, 탑승자가 선택적으로 차광판(42)를 제어하는 제1스위치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차광본체(41)는 후술되는 차광판(42)이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내부에 설치공간(44)이 마련되며, 운송수단(11)의 각 유리에 대응되는 측면에는 차광판(42)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슬라이딩홈(47)이 형성되어 있다.
차광본체(41)는 운송수단(11) 내측 천장면의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판(42)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차광본체(41)에서 인출되어 운송수단(11)의 유리를 차광할 수 있게 운송수단(11)의 유리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방유리(12)에 차광판(42)이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운송수단(11)의 전방유리(12) 뿐만 아니라, 측방유리(13) 및 후방유리(14)에도 각 유리에 대응되는 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된 차광판(42)이 각 유리에 대응되는 위치의 차광본체(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운송수단(11)의 유리에 부착된 광감지관(21)에 의해 차광판(42)의 슬라이딩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광감지관(21)의 크기에 대응되는 간섭방지홈이 차광판(42)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광판(42)은 불투명한 차광막으로서, 빛이 통과할 수 없는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광판(42)는 불투명한 합성수지소재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운송수단(11) 내부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일부는 투광시키고, 상기 태양광의 일부는 차광할 수 있도록 반투광성 필름이 부착된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반투광성 유리로 형성된 차광판(42)은 태양광의 일부는 운송수단(11) 내부로 투광시키므로 태양광에 의해 운송수단(11) 내부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구동부(43)는 차광제어부(70)에 의해 차광판(42)을 차광본체(41)에서 인출시키며, 차광본체(4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롤러(45), 가이드롤러(49) 및 구동모터(46)를 구비한다.
구동롤러(45)는 슬라이딩홈(47)에 인접된 위치의 설치공간(4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롤러(45)는 외주면이 차광판(42)의 하면에 접할 수 있도록 설치공간(44)에 인입된 차광판(42)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롤러(49)는 구동롤러(45)의 상측에 대응되는 설치공간(4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롤러(49)와 구동롤러(45) 사이에 차광판(42)이 설치된다. 가이드롤러(49)와 구동롤러(45)를 통해 차광판(42)을 가압하여 슬라이딩 시킬 수 있게, 가이드롤러(49)와 구동롤러(45) 사이 간격은 차광판(42)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며, 가이드롤러(49)와 구동롤러(45)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46)는 구동롤러(45)에 연결되어 구동롤러(45)를 회전시킨다. 구동모터(46)는 차광제어부(70)에 의해 회전여부 및 회전방향이 결정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5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구동부(50)는 차광판(42)의 하면에 설치된 렉기어(51)와, 렉기어(51)에 체결된 피니언기어(52)와, 피니언기어(5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3)를 구비한다.
렉기어(51)는 차광판(42)의 하면 일측 가장자리에, 차광판(42)의 슬라이딩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기어(52)는 렉기어(51)에 체결될 수 있게 차광판(42)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모터(53)는 피니언기어(52)에 연결되어 구동롤러(45)를 회전시킨다. 구동모터(53)는 차광제어부(70)에 의해 회전여부 및 회전방향이 결정된다.
제1스위치부재(미도시)는 운송수단(11) 내부에 설치되며, 탑승자가 선택적으로 차광본체(41)에 대한 차광판(42)의 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동부(43)에 연결되어 있다.
탑승자는 제1스위치부재를 작동시켜 차광판(42)의 인출길이를 조절하므로 차광판(42)에 의한 태양광의 차광범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광부(6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광부(60)는 운송수단(11)의 전방유리(12), 측방유리(13) 및 후방유리(14)에 설치되며,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태양광을 차단하는 액정패널(61)과, 액정패널(6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2)와, 차광제어부(70)에 의해 전원공급부(62)로부터 액정패널(61)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액정제어부(63)와, 탑승자가 선택적으로 액정패널(61)의 차광율을 조절할 수 있는 제2스위치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액정패널(61)은 상호 대향하는 투명전극막(64) 사이에, 표면에 유전체층(67)이 형성된 트위스트 네메틱(Twist Nematic) 액정층(65)이 삽입되고, 투명전극막(64) 외측에는 상호 수직으로 편광하는 편광판(66)이 부착되어 있다.
투명전극막(64)의 표면에 러빙(rubbing) 처리하면, 투명전극막(64)의 액정 분자의 방향을 강제적으로 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킬 수가 있다. 상호 대향하는 투명전극막(64)에서 그 배열방향을 상호 직교하게 배열하면 액정 분자의 방향은 90˚ 뒤틀리는 형으로 배열되어 트위스트 네메틱 액정이 형성된다.
또한, 투명전극막(64)의 바깥쪽에는 편광 방향이 상호 직교하는 편광판들(66)을 설치하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패널의 일측에 태양광이 투사되면, 편광판(66)을 통과한 빛은 직선 편광이 되어 액정층(65)에 입사된다.
액정층(65)에 입사된 태양광은 액정층(65)의 비틀어진 배열구조에 따라 편광방향이 90˚ 회전되어 타측 투명전극막(64)에 도달하고, 여기에서 편광판(66)을 통과하기 때문에 밝은 상태가 된다.
투명전극막(64)에 전원을 인가하면 액정층(65)의 분자방향은 뒤틀린 구조가 아닌 평행한 구조로 배열된다. 이때, 투명전극막(64)의 표면에서는 표면의 강제력쪽이 강하기 때문에 액정층(65)은 표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일측 액정층(65)에 입사되는 태양광은 액정층(65) 분자 방향에 따라 타측 투명전극막(64)에 도달하여 타측 편광판(66)을 통과하지 못하여 어두운 상태가 된다.
한편, 투명전극막(6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구획되게 형성된다. 후술되는 액정제어부(63)는 구획된 투명전극막(64)에 각각 전원을 인가하므로 태양광의 입사량에 액정패널(61)의 차광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운송수단(11)의 각 유리에 한장의 액정패널(61)이 부착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운송수단(11)의 각 유리에 복수개의 액정패널(61)이 부착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액정패널(61)은 각각 차광효율이 다른 색으로 작동하도록 하며, 액정제어부(63)은 운송수단(11)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입사량에 따라 각 액정패널(61)을 개별적으로 작동시켜 차광률을 조절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62)는 액정패널(61)에 전원을 인가하며, 운송수단(1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운송수단(11)에 설치된 축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원공급부(62)는 운송수단(11)에 설치된 축전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 액정패널들(61)에 설치된 별도의 축전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액정제어부(63)는 액정패널(61)과 전원공급부(62) 사이에 설치되어, 액정패널(61)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액정제어부(63)는 차광제어부(70)의 명령에 의해 액정패널(61)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한다.
차광제어부(70)는 눈부심감지부(20) 및 동공감지부(30)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토대로 운전자의 눈부심 정도를 결정한다. 눈부심감지부(20)를 통해 운전자의 시야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세기에 대한 데이터가 입수되며, 동공감지부(30)를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에 대한 운전자의 눈부심 정도에 관한 데이터가 입수된다. 차광제어부(70)는 상기 데이터들을 토대로 차광부(40)의 작동 여부 및 작동 범위를 결정하여 차광부(40)를 작동시킨다.
제2스위치부재(미도시)는 운송수단(11) 내부에 설치되며, 탑승자가 선택적으로 액정패널(61)의 투광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62)에 연결되어 있다.
탑승자는 제2스위치부재를 작동시켜, 액정패널들(61) 중 일부에 전력을 공급하므로 액정패널들(61)의 투광율을 조절하여 태양광의 차광율을 탑승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차광장치(10)는 각종 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눈부심을 감지하여 차광부(40)를 작동시키므로 차광부(40)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데서 오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 차광장치(10)는 눈부심감지부(20) 및 동공감지부(30)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를 토대로 차광부(40)를 작동시키므로 보다 더 정확하게 운전자의 눈부심을 감지하여 차광부(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자동 차광장치(10)가 차량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자동 차광장치(10)가 설치되는 운송수단은 차량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차 또는 비행기의 유리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차량용 차광장치 20: 눈부심감지부
21: 광감지관 22: 제 1광감지센서
30: 동공감지부 40: 차광부
70: 차광제어부

Claims (4)

  1. 차량, 기차와 같은 운송수단 내부에 조사되는 태양광 중 상기 운송수단에 탑승한 탑승자의 시선과 동일한 높이와 각도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감지하는 눈부심감지부와;
    상기 전방유리, 측방유리 또는 후방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운송수단 내부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차광 및 통광시키는 차광부와;
    상기 눈부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차광부를 작동시키는 차광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눈부심감지부는
    상기 운송수단에 탑승한 탑승자의 안면에 대향되는 상기 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운송수단 내부에 조사되는 태양광에 의한 상기 탑승자의 동공의 변화를 감지하는 동공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공감지부는
    상기 탑승자의 안면에 대향되는 상기 운송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탑승자의 동공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탑승자의 동공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탑승자의 눈부심 여부를 판단하는 동공분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광장치.
  3. 차량, 기차와 같은 운송수단 내부에 조사되는 태양광 중 상기 운송수단에 탑승한 탑승자의 시선과 동일한 높이와 각도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감지하는 눈부심감지부와;
    상기 전방유리, 측방유리 또는 후방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운송수단 내부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차광 및 통광시키는 차광부와;
    상기 눈부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차광부를 작동시키는 차광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눈부심감지부는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운송수단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입사량을 측정하여 상기 운전자의 눈부심을 감지하는 광량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광창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감지부는
    상기 운송수단의 외부 또는 내부에 태양광에 대해 노출되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운송수단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입사량을 감지하는 제 2광감지센서와;
    상기 운전자가 눈부심을 느끼는 상기 태양광의 입사량에 대한 최소 광량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 2광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광량을 상기 최소 광량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2광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광량이 상기 최소광량 정보보다 초과할 경우, 상기 차광제어부에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차광부를 작동시키는 광량분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차광장치.


KR1020100104204A 2010-10-25 2010-10-25 자동 차광장치 KR20110112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204A KR20110112182A (ko) 2010-10-25 2010-10-25 자동 차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204A KR20110112182A (ko) 2010-10-25 2010-10-25 자동 차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136 Division 2010-04-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182A true KR20110112182A (ko) 2011-10-12

Family

ID=45028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204A KR20110112182A (ko) 2010-10-25 2010-10-25 자동 차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218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669B1 (ko) * 2011-12-07 2013-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입사광 차단조절장치 및 방법
KR101534728B1 (ko) * 2013-12-20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KR20160070527A (ko) * 2014-12-10 201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11124049B2 (en) * 2019-05-23 2021-09-21 Hyundai Motor Company Sun visor stored in and withdrawn from a vehicle roof pane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669B1 (ko) * 2011-12-07 2013-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입사광 차단조절장치 및 방법
US9108492B2 (en) 2011-12-07 2015-08-18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blocking incident rays from entering an interior cabin of vehicle
KR101534728B1 (ko) * 2013-12-20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US11299017B2 (en) 2013-12-20 2022-04-12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curtain of vehicle
KR20160070527A (ko) * 2014-12-10 201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11124049B2 (en) * 2019-05-23 2021-09-21 Hyundai Motor Company Sun visor stored in and withdrawn from a vehicle roof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2332B2 (ja) 移動体用防眩装置
US91084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locking incident rays from entering an interior cabin of vehicle
US6811201B2 (en) Automatic sun visor and solar shade system for vehicles
CN101607520B (zh) 汽车遮光系统及方法
US8589034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n automated sun glare block area and sunshield in a vehicular windshield
CN108162729B (zh) 一种汽车防眩光系统及方法
JP7225531B2 (ja) 車両用調光システム、調光部材の制御方法、調光部材の制御プログラム、車両
JP2017159890A (ja) 車両ウィンドウのためのスマート・サンシェード
JP6105396B2 (ja) 車載用表示装置
WO2009085404A1 (en) Electrochromic windshield with computer vision control
KR20110112182A (ko) 자동 차광장치
JP7173211B2 (ja) 車両用調光システム、調光部材の制御方法、調光部材の制御プログラム、車両
WO2015045691A1 (en) Vehicle automatic anti-glare device
JP2006347275A (ja)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KR20160039997A (ko) 반사율 가변형 미러 디스플레이 및 그 구동방법
RU2369490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глаз от ослепления
JP6911482B2 (ja) バイザー、移動体用調光システム、バイザーの制御方法、バイザーの制御プログラム、移動体
JP2003159942A (ja) 自動用サンバイザ装置(3)
CN111976433A (zh) 一种挡风玻璃的防眩方法、装置及设备
CN107672525B (zh) 一种逆光行车时预见前方路况的日间辅助驾驶装置及其方法
JPH04238724A (ja) 防眩装置
KR102383002B1 (ko) 자동차용 눈부심 방지 장치
JP2019089436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854861B1 (ko)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
US20230158864A1 (en) Vehicle compartment with smart glass controlled by a light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518

Effective date: 2012040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516

Effective date: 2012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