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861B1 -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861B1
KR101854861B1 KR1020170040575A KR20170040575A KR101854861B1 KR 101854861 B1 KR101854861 B1 KR 101854861B1 KR 1020170040575 A KR1020170040575 A KR 1020170040575A KR 20170040575 A KR20170040575 A KR 20170040575A KR 101854861 B1 KR101854861 B1 KR 101854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lc film
pdlc
sensor
inciden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두
Original Assignee
대연화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연화학(주) filed Critical 대연화학(주)
Priority to KR1020170040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86Sunglare reduction by temporary translucent screens or foils removably attached to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e.g. microencapsulated liquid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Abstract

본 발명은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PDLC 필름을 이용하여 태양광선의 각도와 방향에 따라 온/오프가 자동으로 제어되어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자가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음에 따른 선바이저 조작에 대한 편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주행 또는 운항이 가능한 이동수단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유리창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창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영역을 구비하는 PDLC 필름부; 상기 이동수단의 탑승자 눈높이 위치인 제1 위치와 눈높이 위치보다 일정 거리 아래의 제2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직사광선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PDLC 필름부의 구동영역으로 각각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PDLC 필름부를 통해 형성되는 차광 영역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식 선바이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VARIABLE TYPE SUN VISOR USING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FILM}
본 발명의 실시예는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등의 주행 시 운전자의 눈을 태양의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햇빛 방지용 장치로 차량에는 선 바이저(sun visor)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선 바이저는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직사광선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통 앞창 위에 접어 두었다가 햇빛이 들어오면 펴서 가릴 수 있으며, 운전자의 측면에서 쬐는 태양을 막을 수 있도록 2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 바이저는 일반적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두꺼운 재질의 판재를 사용한다.
그러나, 선 바이저의 이용 시 운전자의 시야를 가릴 뿐만 아니라 햇빛이 들어오는 각도와 방향이 바뀔 때 마다 수시로 움직여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선 바이저의 각도와 방향을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는 과정에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4066호(공개일자: 2015년07월01일) 등록특허공보 제10-0182917호(등록일자: 1998년12월14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PDLC 필름을 이용하여 태양광선의 각도와 방향에 따라 온/오프가 자동으로 제어되어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자가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는 가변식 선바이저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선바이저는, 주행 또는 운항이 가능한 이동수단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유리창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창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영역을 구비하는 PDLC 필름부; 상기 이동수단의 탑승자 눈높이 위치인 제1 위치와 눈높이 위치보다 일정 거리 아래의 제2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직사광선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PDLC 필름부의 구동영역으로 각각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PDLC 필름부를 통해 형성되는 차광 영역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PDLC 필름부는, 상기 이동수단의 전면 유리창에 설치된 제1 PDLC 필름부; 및 상기 이동수단의 운전석 측면 유리창에 설치된 제2 PDLC 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DLC 필름부는, 상기 전면 유리창의 상단라인에 설치되거나, 상기 전면 유리창의 상단라인에 프론트 바이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프론트 바이저 필름의 하부라인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DLC 필름부는, 상기 PDLC 필름부의 상부구동라인을 이루는 제1 구동영역; 상기 PDLC 필름부의 중부구동라인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동영역; 상기 PDLC 필름부의 하부구동라인을 이루는 제3 구동영역; 상기 제1 구동영역의 전류공급을 위한 제1 전류공급라인; 상기 제2 구동영역의 전류공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전류공급라인; 및 상기 제3 구동영역의 전류공급을 위한 제3 전류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수단의 운전석 헤드레스트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창을 통해 입사되는 직사광선 중 제1 위치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하기 위한 상부 광 센서; 및 상기 상부 광 센서와 일정 거리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창을 통해 입사되는 직사광선 중 제2 위치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하기 위한 하부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수단의 시동이 걸리거나 운전석에 사용자 탑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하부 광 센서를 통한 직사광선의 입사 감지 여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되, 상기 하부 광 센서를 통해 직사광선이 입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때마다 상기 제3 구동영역에서 상기 제1 구동영역 순으로 전류가 단계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하부 광 센서를 통한 직사광선이 입사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상부 광 센서를 통한 직사광선의 입사 감지 여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되, 상기 상부 광 센서를 통해 직사광선이 입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하부 광 센서를 통한 직사광선의 입사 감지 여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상부 광 센서를 통해 직사광선이 입사되는 것으로 확인될 때마다 상기 제1 구동영역에서 상기 제3 구동영역 순으로 전류가 단계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수단의 시동이 꺼지거나 운전석에 사용자 탑승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PDLC 필름부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모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1 위치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제1 레벨 센서; 상기 제2 위치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제2 레벨 센서; 상기 제1 레벨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1 위치로 상기 상부 광 센서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위치 이동부; 및 상기 제2 레벨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하부 광 센서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위치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레벨 센서 및 상기 제2 레벨 센서는 초음파 센서 및 반사식 포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벨 센서는 상기 이동수단 탑승자의 귀의 최상단 부분을 상기 제1 위치로 감지하고, 상기 제2 레벨 센서는 상기 이동수단 탑승자의 귀의 최하단 부분을 상기 제2 위치로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PDLC 필름을 이용하여 태양광선의 각도와 방향에 따라 온/오프가 자동으로 제어되어 운전자나 조수석 탑승자가 직접 조작할 필요가 없는 가변식 선바이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LC 필름부가 설치된 차량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LC 필름부가 설치된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PDLC 필름부의 구성과 제1 PDLC 필름부의 제어를 위한 제1 센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PDLC 필름부의 구성과 제2 PDLC 필름부의 제어를 위한 제2 센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센서부를 이용하여 PDLC 필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어 방법에 따른 PDLC 필름부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추가 구성 중 제1 및 제2 레벨 센서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LC 필름부가 설치된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LC 필름부가 설치된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PDLC 필름부의 구성과 제1 PDLC 필름부의 제어를 위한 제1 센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PDLC 필름부의 구성과 제2 PDLC 필름부의 제어를 위한 제2 센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센서부를 이용하여 PDLC 필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어 방법에 따른 PDLC 필름부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선바이저(1000)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필름부(1100), 센서부(1200) 및 제어부(1300)를 포함한다. 더불어, 가변식 선바이저(1000)는 전원부(1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PDLC 필름부(1100)는 주행 또는 운항이 가능한 이동수단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유리창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창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수단은 차량, 기차, 선박,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수단에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선바이저(1000)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차량에 설치된 가변식 선바이저(1000)를 일례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의 서로 다른 방향의 유리창은 차량의 경우 전면 유리창(100)과 측면 유리창(200)을 의미하며, 여기서 측면 유리창(200)은 운전석 측면 유리창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DLC 필름부(1100)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100)과 측면 유리창(2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유리창(200)이 운전석 옆의 유리창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문의 유리창과 뒷 유리창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운전석 옆의 유리창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면 유리창(100)과 측면 유리창(200)에 모두 설치된 구성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PDLC 필름부(1100)는 전면 유리창(100)에 설치된 제1 PDLC 필름부(1110)와 측면 유리창(200)에 설치된 제2 PDLC 필름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PDLC 필름부(1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면 유리창(100)의 상단라인에 띠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제1 PDLC 필름부(1110)는 차량의 전면 유리창(100)의 상단라인에 프론트 바이저(front visor)(300)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해당 프론트 바이저(300)의 바로 아래 라인에 가로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PDLC 필름부(1110)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를 이용한 필름으로, 여기서 PDLC는, 두 장의 ITO필름(Indium Tin Oxide Film) 사이에 고분자액정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양극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상태가 되고 전류가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고분자액정 분자가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빛을 통과시킴으로써 투명한 상태로 바뀌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제1 PDLC 필름부(111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영역(1111), 제2 구동영역(1112), 제3 구동영역(1113), 제1 전류공급라인(1114), 제2 전류공급라인(1115) 및 제3 전류공급라인(11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류공급라인(1114), 제2 전류공급라인(1115) 및 제3 전류공급라인(1116)는 제1 제어부(131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영역(1111)은 차량의 전면 유리창(100)에 부착되는 PDLC 필름 중 상부구동라인에 해당되는 영역이고, 제2 구동영역(1112)은 제1 구동영역(1111)과 제3 구동영역(1113) 사이의 영역으로 PDLC 필름의 중부구동라인에 해당되는 영역이며, 제3 구동영역(1113)은 PDLC 필름의 가장 아랫부분인 하부구동라인에 해당되는 영역이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3 구동영역(1111, 1112, 1113)으로 구분되는 PDLC 필름들은 전면 유리창(100)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 구동영역(1112)은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 개의 구동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구동영역(1112)는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영역(1111, 1112, 1113)은 서로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구동영역에 대한 폭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3 구동영역(1111, 1112, 1113) 순으로 폭이 점차 커지거나 또는 작아지도록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영역(1111, 1112, 1113)은 각기 다른 전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전류공급라인(1114)은 제1 구동영역(1111)과 연결되어 전원부(1400)로부터 제1 구동영역(1111)에 전류를 공급하고, 제2 전류공급라인(1115)은 제2 구동영역(1112)과 연결되어 전원부(1400)로부터 제2 구동영역(1112)에 전류를 공급하며, 제3 전류공급라인(1116)은 제3 구동영역(1113)과 연결되어 전원부(1400)로부터 제3 구동영역(1113)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동영역(1111)은 제1 전류공급라인(1114)을 통한 전류공급에 따라 구동되고, 제2 구동영역(1112)은 제2 전류공급라인(1115)을 통한 전류공급에 따라 구동되며, 제3 구동영역(1113)은 제3 전류공급라인(1116)을 통한 전류공급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PDLC 필름부(1110)는 차량 유리 사이에 필름 형태로 삽입되어 압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설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부착 방식 또는 블라인드나 커튼 방식 등으로 차량의 각 유리창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PDLC 필름부(1120)는, 차량의 운전석 및 보조석 측면 유리창(200)을 제외한 측면 유리창의 경우(예를 들어 뒷좌석 양 측면 유리창), 전체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비행기의 좌석 측면 유리창의 경우 전체면에 PDLC 필름을 설치하고 구동영역을 상, 중, 하로 나누어지도록 설치함으로써 비행기 창가 측 좌석 유리창에 설치되는 햇빛가리개와 같은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PDLC 필름부(1120)는 PDLC(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를 이용한 필름으로, 여기서 PDLC는, 두 장의 ITO필름(Indium Tin Oxide Film) 사이에 고분자액정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양극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상태가 되고 전류가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고분자액정 분자가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빛을 통과시킴으로써 투명한 상태로 바뀌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제2 PDLC 필름부(112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영역(1121), 제2 구동영역(1122), 제3 구동영역(1123), 제1 전류공급라인(1124), 제2 전류공급라인(1125) 및 제3 전류공급라인(112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류공급라인(1124), 제2 전류공급라인(1125) 및 제3 전류공급라인(1126)은 제2 제어부(13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영역(1121)은 차량의 측면 유리창(200)에 부착되는 PDLC 필름 중 상부구동라인에 해당되는 영역이고, 제2 구동영역(1122)은 제1 구동영역(1121)과 제3 구동영역(1123) 사이의 영역으로 PDLC 필름의 중부구동라인에 해당되는 영역이며, 제3 구동영역(1123)은 PDLC 필름의 가장 아랫부분인 하부구동라인에 해당되는 영역이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3 구동영역(1121, 1122, 1123)으로 구분되는 PDLC 필름들은 측면 유리창(200)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 구동영역(1122)은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 개의 구동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구동영역(1122)는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영역(1121, 1122, 1123)은 서로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구동영역에 대한 폭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3 구동영역(1121, 1122, 1123) 순으로 폭이 점차 커지거나 또는 작아지도록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영역(1121, 1122, 1123)은 각기 다른 전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전류공급라인(1124)은 제1 구동영역(1121)과 연결되어 전원부(1400)로부터 제1 구동영역(1121)에 전류를 공급하고, 제2 전류공급라인(1125)은 제2 구동영역(1122)과 연결되어 전원부(1400)로부터 제2 구동영역(1122)에 전류를 공급하며, 제3 전류공급라인(1126)은 제3 구동영역(1123)과 연결되어 전원부(1400)로부터 제3 구동영역(1123)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구동영역(1121)은 제1 전류공급라인(1124)을 통한 전류공급에 따라 구동되고, 제2 구동영역(1122)은 제2 전류공급라인(1125)을 통한 전류공급에 따라 구동되며, 제3 구동영역(1123)은 제3 전류공급라인(1126)을 통한 전류공급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PDLC 필름부(1120)는 차량 유리 사이에 필름 형태로 삽입되어 압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설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부착 방식 또는 블라인드나 커튼 방식 등으로 차량의 각 유리창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0)는 차량의 탑승자 눈높이 위치인 제1 위치(H1)와 눈높이 위치보다 일정 거리 아래의 제2 위치(H2)에 각각 설치되고, 제1 위치(H1)와 제2 위치(H2)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120)는 제1 센서부(1210)와 제2 센서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1210)는 차량 운전석 헤드레스트(400)의 우측부(운전자 기준)에 설치되어 전면 유리창(100)을 통해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1210)는 전면 유리창(100)을 통해 입사되는 직사광선 중 제1 위치(H1)와 제2 위치(H2)에 설치되어 해당 위치로 각각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센서부(1210)는 상부 광 센서(1211)와 하부 광 센서(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광 센서(1211)는 제1 위치(H1)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하이며, 하부 광 센서(1212)는 제2 위치(H2)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위치(H1)는 운전자의 눈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이고, 제2 위치(H2)는 제1 위치(H1)보다 일정 거리 아래의 위치를 의미하며, 제1 및 제2 위치(H1, H2)는 운전자의 눈으로 직사광선이 직접 입사되는지 여부에 따른 차이점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직사광선이 제1 위치(H1)로 입사되는 경우 운전자의 눈으로 직사광선이 직접 입사되어 그에 따른 눈부심을 느낄 수 있고, 직사광선이 제2 위치(H2)로 입사되는 경우 운전자의 눈으로 직사광선이 직접 입사되지 않음에 따라 운전자의 눈은 직사광선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즉, 제1 위치(H1)는 운전자의 눈높이와 대략 같기 때문에 제1 위치(H1)로 들어오는 직사광선은 운전자의 눈으로 직접 도달하게 되며, 제2 위치(H2)는 운전자의 눈높이를 벗어난 위치이므로 제2 위치(H2)로 들어오는 직사광선은 운전자에게 눈부심 등의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여기서, 제1 및 제 2 위치(H1, H2) 간의 이격 거리는 운전자 귀의 길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귀의 길이는 귀의 가장 윗부분과 아랫부분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센서부(1220)는 헤드레스트(400)의 좌측부(운전자 기준)에 설치되어 측면 유리창(200)을 통해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부(1220)는 측면 유리창(200)을 통해 입사되는 직사광선 중 제1 위치(H1)와 제2 위치(H2)에 설치되어 해당 위치로 각각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센서부(1220)는 상부 광 센서(1221)와 하부 광 센서(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광 센서(1221)는 제1 위치(H1)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며, 하부 광 센서(1212)는 제2 위치(H2)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위치(H1)는 운전자의 눈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이고, 제2 위치(H2)는 제1 위치(H1)보다 일정 거리 아래의 위치를 의미하며, 제1 및 제2 위치(H1, H2)는 운전자의 눈으로 직사광선이 직접 입사되는지 여부에 따른 차이점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직사광선이 제1 위치(H1)로 입사되는 경우 운전자의 눈으로 직사광선이 직접 입사되어 그에 따른 눈부심을 느낄 수 있고, 직사광선이 제2 위치(H2)로 입사되는 경우 운전자의 눈으로 직사광선이 직접 입사되지 않음에 따라 운전자의 눈은 직사광선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즉, 제1 위치(H1)는 운전자의 눈높이와 대략 같기 때문에 제1 위치(H1)로 들어오는 직사광선은 운전자의 눈으로 직접 도달하게 되며, 제2 위치(H2)는 운전자의 눈높이를 벗어난 위치이므로 제2 위치(H2)로 들어오는 직사광선은 운전자에게 눈부심 등의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여기서, 제1 및 제 2 위치(H1, H2) 간의 이격 거리는 운전자 귀의 길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귀의 길이는 귀의 가장 윗부분과 아랫부분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0)는 센서부(1200)를 통해 제1 위치(H1)와 제2 위치(H2)에 대한 직사광선의 감지 여부에 따라 PDLC 필름부(1100)의 구동영역으로 각각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PDLC 필름부(1100)를 통해 형성되는 차광 영역을 가변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0)는 제1 센서부(1210)를 이용하여 제1 PDLC 필름부(1110)의 차광 영역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1 제어부(1310)와, 제2 센서부(1220)를 이용하여 제2 PDLC 필름부(1120)의 차광 영역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2 제어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부(1310)와 제2 제어부(1320)는 동일하게 구성되고 동작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제어부(1310)에 대한 구성 및 동작에 관하여 대표로 하여 설명하고, 제2 제어부(132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제어부(1310)는, 제1 PDLC 필름부(1110)의 제1 구동영역(1111)에 대한 전류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 전류공급라인(1114)과 연결되는 제1 전류공급제어기(1311), 제1 PDLC 필름부(1110)의 제2 구동영역(1112)에 대한 전류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2 전류공급라인(1115)과 연결되는 제2 전류공급제어기(1312), 및 제1 PDLC 필름부(1110)의 제3 구동영역(1113)에 대한 전류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3 전류공급라인(1116)과 연결되는 제3 전류공급제어기(1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1310)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거나 운전석에 사용자 탑승이 감지되는 경우, 하부 광 센서(1212)를 통한 직사광선의 입사 감지 여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되, 하부 광 센서(1212)를 통해 직사광선이 입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때마다 제1 PDLC 필름부(1110)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한 구동영역에서 가장 위에 위치한 구동영역 순으로 전류가 단계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고, 하부 광 센서(1212)를 통한 직사광선이 입사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부 광 센서(1211)를 통한 직사광선의 입사 감지 여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되, 상부 광 센서(1211)를 통해 직사광선이 입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하부 광 센서(1212)를 통한 직사광선의 입사 감지 여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상부 광 센서(1211)를 통해 직사광선이 입사되는 것으로 확인될 때마다 가장 위에 위치한 구동영역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한 제3 구동영역 순으로 전류가 단계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동작 방식을 아래와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제어부(1310)는 우선 차량의 시동이 걸려있는지 또는 탑승자(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S601). 이를 위해 제1 제어부(1310)가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결되거나 운전석의 안전벨트 착탈 감지 센서와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시동이 걸려있는지 여부 또는 탑승자(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1310)는 현재 차량에 시동이 걸려있지 않거나 탑승자(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 경우, 제1 PDLC 필름부(1110)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여 제1 PDLC 필름부(1110)로 공급되는 전류가 모두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PDLC 필름부(1110) 전체는 오프되어 불투명한 상태가 된다(S602).
상기 제1 제어부(1310)는 현재 차량에 시동이 걸려있거나 탑승자(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것으로 확인한 경우, 우선, 하부 광 센서(1212)를 통해 제2 위치(H2)로 직사광선이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603). 그 확인 결과, 하부 광 센서(1212)을 통해 직사광선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현재 제1 PDLC 필름부(1110)에서 불투명한 PDLC 라인 중 가장 아래에 있는 PDLC 라인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여 해당 PDLC 라인이 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S604). 예를 들어, 제1 PDLC 필름부(1110)가 제1 내지 제3 구동영역(1111, 1112, 1113)으로 이루어지고 현재 모두 불투명한 상태인 경우, 도 7의 (a-1)과 같이 제1 내지 제3 구동영역(1111, 1112, 1113)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제3 구동영역(1113)에 전류를 인가하여 제3 구동영역(1113)이 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1 제어부(1310)는 해당 PDLC 라인에 대한 제어가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S605),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하부 광 센서(1212)를 통해 제2 위치(H2)로 직사광선이 도달하였는지를 다시 확인하고(S603), 그렇지 않은 경우 현재 제1 PDLC 필름부(1110)에서 불투명한 PDLC 라인 중 가장 아래에 있는 PDLC 라인부터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여 PDLC 라인이 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S604). 예를 들어, 도 7의 (a-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제1 PDLC 필름부(1110)에서 제1 및 제2 구동영역(1111, 1112)이 불투명한 상태인 경우, 제1 및 제2 구동영역(1111, 1112)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제2 구동영역(1112)에 전류를 인가하여 도 7의 (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영역(1112)이 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1 제어부(1310)는 해당 PDLC 라인에 대한 제어가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S605),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하부 광 센서(1212)를 통해 제2 위치(H2)로 직사광선이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하고(S603), 그렇지 않은 경우 현재 제1 PDLC 필름부(1110)에서 불투명한 PDLC 라인 중 가장 아래에 있는 PDLC 라인부터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여 PDLC 라인이 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S604). 예를 들어, 도 7의 (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제1 PDLC 필름부(1110)에서 제1 구동영역(1111)이 불투명한 상태인 경우, 제1 구동영역(1111)에 전류를 인가하여 도 7의 (c-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영역(1111)이 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은 운전자의 눈높이 아래 즉 제2 위치(H2)에도 직사광선이 들어오지 않은 상태이며, 이러한 경우 제1 PDLC 필름부(1110)에 의한 운전자의 시야를 가릴 필요가 없으므로, 제1 제어부(1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알고리즘을 따라 제1 PDLC 필름부(1110) 중 가장 아래의 PDLC 라인부터 가장 위의 PDLC 라인까지 순차적으로 투명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 하부 광 센서(1212)에 직사광선이 감지되면 아래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부(1310)는 하부 광 센서(1212)를 통해 제2 위치(H2)로 직사광선이 입사되는 것을 확인하면(S603), 상부 광 센서(1211)를 통해 제1 위치(H1)로 직사광선이 입사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606). 그 확인 결과, 상부 광 센서(1211)로 직사광선이 입사되는 것으로 확인하면, 현재 운전자의 눈으로 직사광선이 들어오는 것으로 간주하여 현재 제1 PDLC 필름부(1110)에서 투명한 PDLC 라인 중 가장 위에 위치한 PDLC 라인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07). 예를 들어, 제1 PDLC 필름부(1110)의 제1 내지 제3 구동영역(1111, 1112, 1113)이 모두 투명한 상태인 경우 제1 내지 제3 구동영역(1111, 1112, 1113) 중 가장 위에 위치한 제1 구동영역(1111)에 대한 전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도 7의 (a-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영역(1111)이 불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1 제어부(1310)는 해당 PDLC 라인에 대한 제어가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S608),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부 광 센서(1211)를 통해 제1 위치(H1)로 직사광선이 도달하였는지를 다시 확인하고(S606), 상부 광 센서(1211)를 통해 계속해서 직사광선이 감지되는 경우 현재 제1 PDLC 필름부(1110)에서 투명한 PDLC 라인 중 가장 위에 위치한 PDLC 라인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07). 예를 들어, 제1 PDLC 필름부(1110)의 제1 내지 제3 구동영역(1111, 1112, 1113) 중 도 7의 (a-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구동영역(1112, 1113)이 투명한 상태인 경우 제2 및 제3 구동영역(1112, 1113) 중 가장 위에 위치한 제2 구동영역(1112)에 대한 전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도 7의 (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영역(1111)이 불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1 제어부(1310)는 해당 PDLC 라인에 대한 제어가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고(S608),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부 광 센서(1211)를 통해 제1 위치(H1)로 직사광선이 도달하였는지를 다시 확인하고(S606), 상부 광 센서(1211)를 통해 계속해서 직사광선이 감지되는 경우 현재 제1 PDLC 필름부(1110)에서 투명한 PDLC 라인 중 가장 위에 위치한 PDLC 라인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07). 예를 들어, 도 7의 (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제1 PDLC 필름부(1110)에서 제3 구동영역(1112, 1113)이 투명한 상태인 경우 제3 구동영역(1113)에 대한 전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도 7의 (c-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구동영역(1113)이 불투명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은 상부 광 센서(1211)에 직사광선이 감지되지 않은 때까지 진행되며, 상부 광 센서(1211)에 직사광선이 감지되지 않으면, 다시 현재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거나 탑승자가 운전석에 착석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601). 이러한 과정은 제1 PDLC 필름부(1110)의 제어 과정 간에 시동 걸림 상태나 운전자의 착석 여부를 중간 점검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시동이 꺼지거나 운전자가 자리를 비운 경우 제1 PDLC 필름부(1110)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제1 PDLC 필름부(1110)에 인가되는 전류를 모두 차단하여 제1 PDLC 필름부(1110) 전체를 불투명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차량의 시동이 계속해서 걸려있거나 운전자가 자리에 착석되어 있는 경우, 하부 광 센서(1212)를 통해 제2 위치(H2)에 직사광선이 입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S603)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하부 광 센서(1212)를 통해 직사광선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1 PDLC 필름부(1110)에서 불투명한 PDLC 라인 중 가장 아래에 있는 PDLC 라인에 전류를 인가하여 해당 PDLC 라인이 투명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하부 광 센서(1212)를 통해 제2 위치(H2)에 직사광선이 입사되었는지를 다시 확인하는 과정(S603)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하부 광 센서(1212)를 통해 직사광선이 감지되면 상부 광 센서(1211)를 통해 제1 위치(H1)에 직사광선이 입사되었는지를 확인하고(S606), 확인 결과 직사광선이 감지되면 운전자의 눈으로 직사광선이 도달한 것으로 간주하여, 제1 PDLC 필름부(1110)에서 투명한 PDLC 라인 중 가장 위에 있는 PDLC 라인에 전류를 인가하여 해당 PDLC 라인이 불투명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604 단계를 통해 투명하게 제어했던 PDLC 라인을 S607 단계를 통해 다시 불투명하게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직사광선의 입사 각도가 바뀜에 따라 제1 PDLC 필름부(1110)의 차광 영역을 자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310)는 하부 광 센서(1212)를 통해 직사광선이 감지되지만 상부 광 센서(1211)를 통해 감지되지 않은 경우 또한, 운전자의 눈으로 직사광선이 들어오지 않은 경우로서 상부 광 센서(1211)를 통해 직사광선이 감지되기 전까지 제1 PDLC 필름부(1110)를 투명한 상태로 유지시킨 채 S601, S602, S603 단계를 계속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추가 구성 중 제1 및 제2 레벨 센서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1210)는 제1 레벨 센서(1213), 제2 레벨 센서(1214), 제1 위치 이동부(1215) 및 제2 위치 이동부(121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센서부(1220)는 제1 레벨 센서(1223), 제2 레벨 센서(1224), 제1 위치 이동부(1225) 및 제2 위치 이동부(1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센서부(1210)와 제2 센서부(1220)는 설치 위치에 대한 차이 이외에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센서부(1210)의 추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2 센서부(12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레벨 센서(1213)는 제1 위치(H1)의 레벨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H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 운전석에 착석하면, 그 운전자의 귀에서 가장 윗부분과 같은 높이의 위치로 지정될 수 있다. 다만, 제1 위치(H1)를 이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운전자의 눈으로 들어오는 직사광선이 감지할 수 있는 운전자 눈높이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제2 레벨 센서(1214)는 제2 위치(H2)의 레벨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위치(H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귀에서 가장 아랫부분과 같은 높이의 위치로 지정될 수 있다. 다만, 제2 위치(H2)를 이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위치(H1)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운전자의 눈으로 직사광선이 들어오는 범위를 벗어나거나 벗어나기 시작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제1 및 제2 레벨 센서(1213, 1214)는 초음파 센서 및 반사식 포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를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얼굴의 일부(예를 들어 귀, 눈 등)의 특정 위치에 대한 레벨(높이)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1 위치 이동부(1215)는 제1 레벨 센서(1213)를 통해 감지된 제1 위치(H1)로 상부 광 센서(1211)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위치 이동부(1215)는 상부 광 센서(1211)를 제1 위치(H1)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부 광 센서(121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기계적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기계적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위치 이동부(1215)는 자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으나, 수동 구동도 가능하며, 수동으로 구동되는 경우 전동방식으로 상부 광 센서(12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 이동부(1216)는 제1 레벨 센서(1213)를 통해 감지된 제2 위치(H2)로 하부 광 센서(1212)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위치 이동부(1216)는 하부 광 센서(1212)를 제2 위치(H2)로 이동시키기 위해 하부 광 센서(121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기계적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기계적 수단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위치 이동부(1216)는 자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으나, 수동 구동도 가능하며, 수동으로 구동되는 경우 전동방식으로 하부 광 센서(121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400)는 PDLC 필름부(110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어부(1300)에 의해 PDLC 필름부(1100)로 공급되는 전력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1400)는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차량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부(1400)는 블랙박스와 같은 차량 주변 전자 장치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전원 온/오프가 가능하며, 차량의 시동이 걸려 있는 경우 PDLC 필름부(1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는 경우에는 PDLC 필름부(110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는 경우에는 PDLC 필름부(1100)의 상태를 투명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없으며, 차량 방전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PDLC 필름부(110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의 시동이 꺼져 있더라도, PDLC 필름부(1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투명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 따른 가변식 선바이저(1000)는 기존의 차량에 설치된 선바이저의 각도를 직사광선의 입사 각도에 따라 운전자가 직접 조절하였던 것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선바이저의 직접적인 조작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그에 따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가변식 선바이저 1100: PDLC 필름부
1110: 제1 PDLC 필름부 1111: 제1 구동영역
1112: 제2 구동영역 1113: 제3 구동영역
1114: 제1 전류공급라인 1115: 제2 전류공급라인
1116: 제3 전류공급라인 1120: 제2 PDLC 필름부
1121: 제1 구동영역 1122: 제2 구동영역
1123: 제3 구동영역 1124: 제1 전류공급라인
1125: 제2 전류공급라인 1126: 제3 전류공급라인
1200: 센서부 1210: 제1 센서부
1211: 상부 광 센서 1212: 하부 광 센서
1213: 제1 레벨 센서 1214: 제2 레벨 센서
1215: 제1 위치 이동부 1216: 제2 위치 이동부
1220: 제2 센서부 1221: 상부 광 센서
1222: 하부 광 센서 1223: 제1 레벨 센서
1224: 제2 레벨 센서 1225: 제1 위치 이동부
1226: 제2 위치 이동부 1300: 제어부
1310: 제1 제어부 1311: 제1 전류공급제어기
1312: 제2 전류공급제어기 1313: 제3 전류공급제어기
1320: 제2 제어부 1321: 제1 전류공급제어기
1322: 제2 전류공급제어기 1323: 제3 전류공급제어기
1400: 전원부 100: 전면 유리창
200: 측면 유리창 300: 프론트 바이저
400: 헤드레스트 H1: 제1 위치
H2: 제2 위치

Claims (8)

  1. 주행 또는 운항이 가능한 이동수단에서 서로 다른 방향의 유리창 중 적어도 하나의 유리창에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영역을 구비하는 PDLC 필름부;
    상기 이동수단의 탑승자 눈높이 위치인 제1 위치와 눈높이 위치보다 일정 거리 아래의 제2 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통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직사광선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PDLC 필름부의 구동영역으로 각각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PDLC 필름부를 통해 형성되는 차광 영역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PDLC 필름부는,
    상기 PDLC 필름부의 상부구동라인을 이루는 제1 구동영역;
    상기 PDLC 필름부의 중부구동라인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동영역;
    상기 PDLC 필름부의 하부구동라인을 이루는 제3 구동영역;
    상기 제1 구동영역의 전류공급을 위한 제1 전류공급라인;
    상기 제2 구동영역의 전류공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전류공급라인; 및
    상기 제3 구동영역의 전류공급을 위한 제3 전류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수단의 운전석 헤드레스트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창을 통해 입사되는 직사광선 중 제1 위치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하기 위한 상부 광 센서;
    상기 상부 광 센서와 일정 거리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창을 통해 입사되는 직사광선 중 제2 위치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감지하기 위한 하부 광 센서;
    상기 제1 위치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제1 레벨 센서;
    상기 제2 위치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제2 레벨 센서;
    상기 제1 레벨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1 위치로 상기 상부 광 센서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위치 이동부; 및
    상기 제2 레벨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하부 광 센서를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위치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DLC 필름부는,
    상기 이동수단의 전면 유리창에 설치된 제1 PDLC 필름부; 및
    상기 이동수단의 운전석 측면 유리창에 설치된 제2 PDLC 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DLC 필름부는, 상기 전면 유리창의 상단라인에 설치되거나, 상기 전면 유리창의 상단라인에 프론트 바이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프론트 바이저 필름의 하부라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수단의 시동이 걸리거나 운전석에 사용자 탑승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하부 광 센서를 통한 직사광선의 입사 감지 여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되, 상기 하부 광 센서를 통해 직사광선이 입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때마다 상기 제3 구동영역에서 상기 제1 구동영역 순으로 전류가 단계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하부 광 센서를 통한 직사광선이 입사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상부 광 센서를 통한 직사광선의 입사 감지 여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되, 상기 상부 광 센서를 통해 직사광선이 입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하부 광 센서를 통한 직사광선의 입사 감지 여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상부 광 센서를 통해 직사광선이 입사되는 것으로 확인될 때마다 상기 제1 구동영역에서 상기 제3 구동영역 순으로 전류가 단계적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수단의 시동이 꺼지거나 운전석에 사용자 탑승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PDLC 필름부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모두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벨 센서 및 상기 제2 레벨 센서는 초음파 센서 및 반사식 포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벨 센서는 상기 이동수단 탑승자의 귀의 최상단 부분을 상기 제1 위치로 감지하고,
    상기 제2 레벨 센서는 상기 이동수단 탑승자의 귀의 최하단 부분을 상기 제2 위치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
KR1020170040575A 2017-03-30 2017-03-30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 KR101854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575A KR101854861B1 (ko) 2017-03-30 2017-03-30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575A KR101854861B1 (ko) 2017-03-30 2017-03-30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861B1 true KR101854861B1 (ko) 2018-05-04

Family

ID=6219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575A KR101854861B1 (ko) 2017-03-30 2017-03-30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33474A1 (de) * 2019-10-16 2021-04-2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scheib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5334A (ja) * 2001-11-30 2003-06-10 Nissan Diesel Motor Co Ltd 車両の光感知式サンバイザー装置
KR101284078B1 (ko) 2012-01-11 2013-07-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및 자동차용 시트 조절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5334A (ja) * 2001-11-30 2003-06-10 Nissan Diesel Motor Co Ltd 車両の光感知式サンバイザー装置
KR101284078B1 (ko) 2012-01-11 2013-07-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및 자동차용 시트 조절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170040575_000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33474A1 (de) * 2019-10-16 2021-04-2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scheib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5954B2 (en) Windshield with electrically controllable sun visor
US10919269B2 (en) Composite pane comprising a functional element having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US9776478B2 (en) Digital sunshade for automotive glass
CN108430816B (zh) 一种最小化人体反应的自动驾驶汽车
US8044784B2 (en) Sun protect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JP4872332B2 (ja) 移動体用防眩装置
US20210379968A1 (en) Composite pane with functional element which can be switched in segments and has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US20090015740A1 (en) Window darkening system
US2010009450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n Automated Sun Glare Block Area and Sunshield in a Vehicular Windshield
JP7369192B2 (ja) 電気的に制御可能な光学特性を有しており、かつ活性物質の濃度勾配を有している機能要素を備えている複合ペイン
US11966113B2 (en) Composite pane with functional element which can be switched in segments and has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US11673374B2 (en) Laminated pane with functional element having electrically controllable optical properties
US10556490B2 (en) Vehicle visor and system, vehicle and light blocking and display method
BR112020023455A2 (pt) elemento funcional com propriedades óticas eletricamente controláveis
BR112020023662A2 (pt) elemento funcional com propriedades óticas eletricamente controláveis
KR101854861B1 (ko)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
JP3688637B2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装置
JP2003165334A (ja) 車両の光感知式サンバイザー装置
JP4395568B2 (ja) 車両用防眩装置
US20120205938A1 (en) Sun visor
KR101294896B1 (ko) 윈도우 틴팅 시스템
KR20110112182A (ko) 자동 차광장치
CN114253016A (zh) 智能挡风玻璃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16175424A (ja) 産業車両
JP3233096U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