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078B1 -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및 자동차용 시트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및 자동차용 시트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078B1
KR101284078B1 KR1020120003337A KR20120003337A KR101284078B1 KR 101284078 B1 KR101284078 B1 KR 101284078B1 KR 1020120003337 A KR1020120003337 A KR 1020120003337A KR 20120003337 A KR20120003337 A KR 20120003337A KR 101284078 B1 KR101284078 B1 KR 101284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seat
headrest
heigh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호
윤정환
윤보람
이민우
박승현
송인섭
이사균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3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078B1/ko
Priority to PCT/KR2012/000919 priority patent/WO201310568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시트 등받이 및 시트쿠션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차량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 시트에 착좌한 운전자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시트구동부; 상기 감지부로 감지하는 운전자 정보가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와 일치하도록 상기 시트구동부를 제어하는 시트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별도 조작이 없이도 운전자에게 적합한 시트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 사고발생시 운전자의 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및 자동차용 시트 조절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seat position for automobi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at position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자동으로 시트를 조절하여 운전자에게 최적의 시트포지션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 조절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운전시 운전자의 운전자세가 중요하며, 이는 사고방지 및 사고 후 운전자 부상 최소화와 직결되는 문제이다. 사고방지의 측면에서는 특히 운전자의 무릎각도가 중요하다. 원활한 자동차 페달조작 및 페달조작 미숙 방지를 통해 사고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사고 후 운전자 부상 최소화와 관련하여 운전자나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헤드레스트가 중요하다.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관성에 의해 탑승자의 몸이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때 탑승자 상체의 후방속도와 머리의 후방속도의 차이에 의해 목부분이 부상이 발생되는데, 관성에 의해 운전자의 몸은 후방으로 이동하며 이에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목부상을 입게되는데 이러한 운전자의 머리를 지지해주어 목부상을 최소화 하는 것이 헤드레스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자동차에 탑승시, 운전자가 직접 시트를 조절하여 무릎각도조절 및 헤드레스트 조절을 하게 되는데, 각각의 운전자 습관에 따라 시트를 조절하게 되어 부적절한 운전자세를 갖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고 이에 따라 페달조작 미숙 또는 피로누적으로 인한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 및 사고발생시 운전자의 부상정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부로 운전자의 머리높이, 운전자 머리와 헤드레스트와의 간격 및 운전자의 무릎각도를 감지하고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와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시트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운전자에게 적합한 운전자세를 제공하고, 교통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부상을 최소화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는, 헤드레스트, 시트 등받이 및 시트쿠션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차량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 시트에 착좌한 운전자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시트구동부; 상기 감지부로 감지하는 운전자 정보가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와 일치하도록 상기 시트구동부를 제어하는 시트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정보는, 상기 운전자의 머리높이와 상기 헤드레스트 높이의 차이, 상기 운전자 머리와 상기 헤드레스트 간의 이격된 간격 및 상기 운전자의 무릎각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구동부는, 상기 헤드레스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헤드레스트 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시트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운전자의 머리위치 및 상기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1높이감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제어부는, 상기 제1헤드레스트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제1높이감지모듈로 감지한 상기 운전자의 머리높이 및 상기 헤드레스트의 높이의 차이를 상기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와 일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헤드레스트 상단에 위치하고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를 구비한 제2높이감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제어부는, 상기 제2높이감지모듈을 통해 상기 운전자의 머리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기 제1헤드레스트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헤드레스트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와 일치하도록 상기 제1헤드레스트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헤드레스트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구동부는 상기 헤드레스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헤드레스트 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위치하여 상기 운전자의 머리와 상기 헤드레스트 간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는 제1거리감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제어부는 상기 제2헤드레스트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제1거리감지모듈로 감지한 상기 이격된 거리를 상기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와 일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운전자와 상기 차량 내측간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는 제2거리감지모듈; 상기 시트쿠션의 각도를 감지하는 각도감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제어부는, 상기 제2거리감지모듈로 감지한 상기 이격된 거리 및 상기 각도감지모듈로 감지한 상기 시트쿠션의 각도로부터 산출한 상기 운전자의 무릎각도와 상기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가 일치하도록 상기 시트쿠션 구동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는, 상기 운전자의 머리높이와 상기 헤드레스트의 높이의 차이값인 제1데이터, 상기 운전자의 머리높이와 상기 헤드레스트간의 이격된 거리값인 제2데이터 및 상기 운전자의 무릎각도값인 제3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데이터는, 0 초과 6센티미터 이하이고, 상기 제2데이터는 0 초과 7센티미터 이하이며, 상기 제3데이터는 100 내지 140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 조절방법은, 자동차 시트에 착좌한 운전자의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운전자 정보와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 불일치시, 상기 운전자 정보와 상기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가 일치하도록 상기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운전자 정보는 상기 운전자의 머리높이와 상기 헤드레스트 높이의 차이, 상기 운전자 머리와 상기 헤드레스트 간의 이격된 간격 및 상기 운전자의 무릎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별도로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시트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동일 자동차에 다른 운전자가 탑승하더라도 시트조절이 필요없는 효과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조작이 없더라도 각 운전자에게 적합한 무릎각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의 피로누적을 최소화하고 원활한 페달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사고발생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아울러, 별도의 조작이 없더라도 각 운전자에게 적합한 헤드레스트 위치를 제공하여 사고발생시 운전자의 목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중 헤드레스트 부분 상하방향 조절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중 헤드레스트 부분 상하방향 조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중 헤드레스트 부분의 전후방향 조절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중 시트쿠션 부분의 각도 조절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는, 자동차 시트(100), 자동차 시트(1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시트구동부(300), 차량 내에 설치되어 자동차 시트(100)에 착좌한 운전자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500) 및 감지부(500)로 감지하는 운전자 정보가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와 일치하도록 시트구동부(300)를 제어하는 시트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동차 시트(100)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이하 '운전자')가 차량 내에 착좌하는 부분으로서, 운전자의 머리부분을 받쳐주는 헤드레스트(110), 운전자의 상반신을 받쳐주는 시트등받이(130) 및 운전자의 하체부분을 받쳐주는 시트쿠션(150)으로 이루어진다.
시트구동부(300)는 상술한 자동차시트(100)의 각 부분을 상하 또는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수단으로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구동모터의 움직임량을 측정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시트구동부(300)는 헤드레스트(110)를 상하방향(Y1-Y2)으로 움직이는 제1헤드레스트 구동모듈(310) 및 헤드레스트(110)를 전후방향(Y3-Y4)으로 움직이는 제2헤드레스트 구동모듈(33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시트쿠션(150)의 일측 또는 양측을 상하방향(X1-X2)으로 움직이는 시트쿠션 구동모듈(350)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각 구동모듈(310, 330, 350)은 각각 상술한 구동모터 및 위치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시트구동부(300)는 시트등받이(1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동모듈 및 전체 자동차 시트(100)를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동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 가능한, 시트 위치를 조절하는 모든 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500)는 자동차 시트(100)에 착좌한 운전자의 정보를 감지하는 부분이며, 여기서 운전자 정보란 운전자의 머리(900a)높이와 헤드레스트(110) 높이간의 차이(H), 운전자의 머리(900a)와 헤드레스트(110) 간의 이격된 간격(d) 및 운전자의 무릎각도(θ)를 포함한다. 이러한 운전자 정보 감지를 위하여 본 발명의 감지부(500)는 차량 내측에 위치하여 운전자의 머리(900a)위치 및 헤드레스트(110)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1높이감지모듈(510), 헤드레스트(110) 상단에 위치하여 운전자의 머리(900a)위치를 감지하는 제2높이감지모듈(530), 헤드레스트(110)에 위치하여 운전자의 머리(900a)와 헤드레스트(110) 간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는 제1거리감지모듈(550), 차량 내측에 위치하여 운전자와 차량 내측간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는 제2거리감지모듈(570), 시트쿠션(150)의 각도를 감지하는 각도감지모듈(590) 중 하나 이상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제1높이감지모듈(510) 및 제1거리감지모듈(550)은 거리센서(distance send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방식으로는 공지의 적외선방식, 자연광방식 및 초음파방식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 가능한 모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2높이감지모듈(530) 및 제2거리감지모듈(570)은 근접센서(Proximity sens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술한 거리센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근접센서(Proximity sensor)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로서, 교류자계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 정전용량의 변화율을 이용하는 방식, 광원과 빛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수신기를 이용하는 방식, 적외선(또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식 등을 통해 대상 물체의 존재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각도감지모듈(590)은 시트쿠션 구동모듈(350)에 포함되는 위치센서를 이용하여 구동모터의 움직임량(또는 회전변위량)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 별도의 각도센서(tilt sens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시트제어부(700)는 시트구동부(300) 및 감지부(500) 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프로그램,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700)에는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저장데이터는 운전자의 머리(900a)높이와 헤드레스트(110)의 높이의 차이값인 제1데이터, 운전자의 머리(900a)높이와 헤드레스트(110)간의 이격된 거리값인 제2데이터 및 운전자의 무릎각도값인 제3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는 헤드레스트(110)의 위치와 관련된 데이터로서, 제1데이터는 0 초과 6센티미터 이하, 제2데이터는 0 초과 7센티미터 이하일 수 있다. 헤드레스트와 운전자의 머리사이의 간격이 7센티미터 이하인 경우, 헤드레스트와 운전자 머리간의 높이 차이가 6센티미터 이하인 경우에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운전자 머리의 움직임을 줄여 목을 보호함으로써 심각한 상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평소 자동차 운전시 급출발 및 급제동의 상황에서 목을 보호함으로써 목디스크발생 및 근육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제3데이터는 운전자의 무릎각도와 관련된 데이터로서, 100 내지 140도일 수 있다. 운전자의 무릎각도가 100도 미만인 경우 운전 중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사고발생위험성이 발생하며, 140도를 초과하는 경우 원활한 페달조작이 어려워지게 되어 사고발생 위험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다만, 상술한 각 데이터들의 수치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자동차의 구조 및 운전자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한 자동차 시트(100)의 동작에 대한 내용은 도 3 내지 도 5에서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중 헤드레스트 부분 상하방향 조절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지부(500)의 제1높이감지모듈(510)은 차량 내 상측에 위치하여 운전자 머리(900a)의 높이 및 헤드레스트(110)의 높이를 감지한다. 시트제어부(도 1의 700)는 제1높이감지모듈(510)이 감지한 운전자 머리(900a) 높이와 헤드레스트(110) 높이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계산한 차이값이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데이터)와 상이한 경우, 헤드레스트(110)에 장착된 제1헤드레스트 구동모듈(310)을 구동하여 차이값이 저장데이터와 일치할 때까지 헤드레스트(110)의 위치를 상하방향(Y1-Y2)로 조절한다. 이때 제1데이터 는 0 내지 6센티미터의 범위내의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이에 따르면, 운전자가 별도로 헤드레스트 위치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 편의가 증진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되고, 다른 운전자가 탑승하더라도 별도 조작이 필요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고발생시 운전자의 목부상 또는 경추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중 헤드레스트 부분 상하방향 조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자동차 시트에 착좌시 시트제어부(도 1의 700)는 헤드레스트(110) 상단에 위치한 제2높이감지모듈(530)에 운전자 머리(900a)가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제1헤드레스트 구동모듈(310)을 구동하여 헤드레스트(110)를 상측(Y1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운전자 머리(900a)의 최고점을 감지한다. 그리고 시트제어부(도 1의 700)는 제1헤드레스트 구동모듈(310)을 구동하여 운전자 머리(900a)의 최고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데이터) 만큼 헤드레스트(110)를 하측방향(Y2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데이터는 0 내지 6센티미터의 범위내의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도 2 및 도 3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중 헤드레스트 부분의 전후방향 조절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헤드레스트(110) 중 운전자 머리(900a)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거리감지모듈(550)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자가 자동차 시트에 착좌시, 제1거리감지모듈(550)은 운전자 머리(900a)와 헤드레스트(110)간의 이격된 거리(d)를 감지한다. 그리고 시트제어부(도 1의 700)은 제1거리감지모듈(550)로 감지한 거리(d)가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보다 구체적으로 제2데이터)보다 큰 경우, 제2헤드레스트 구동모듈(330)을 구동하여 거리(d)와 제2데이터가 동일하게 될 때까지 헤드레스트(110)를 전방(Y3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감지한 거리(d)가 제2데이터보다 작은 경우, 시트제어부(도 1의 700)는 제2헤드레스트 구동모듈(330)을 구동하여 거리(d)와 제2데이터가 동일하게 될 때까지 헤드레스트(110)를 후방(Y4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2데이터는 0 초과 7센치미터 이하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외에 제2데이터가 0의 값을 가짐으로써 운전자 머리(900a)와 헤드레스트(110)를 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에 따르면, 운전자가 별도로 헤드레스트 위치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 편의가 증진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되고, 다른 운전자가 탑승하더라도 별도 조작이 필요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후방충돌로 인한 사고발생시 운전자의 목이 관성에 의해 꺾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운전자의 목부상 또는 경추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도 거둘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중 시트쿠션 부분의 각도 조절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내측에는 운전자 무릎(900b)과 차량 내측간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는 제2거리감지모듈(570)이 구비되어 있으며, 자동차 시트에는 시트쿠션(150)의 각도(a)를 감지하는 각도감지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제2거리감지모듈(570)이 운전자 무릎(900b)과 차량 내측간의 이격된 거리(D1)을 감지하면, 시트제어부(도 1의 700)는 차량의 제원값과 감지한 거리값인 D1 및 각도감지모듈로 감지한 시트쿠션(150)의 각도(a)로부터 운전자의 무릎각도를 산출한다. 예컨대, 제2거리감지모듈(570)이 위치하는 부분은 일정한 바, D2-D1값은 일정하다. 따라서 D1값을 알게되면 D2값(페달로부터 운전자 무릎까지의 수평거리)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폴트 상태에서의 시트쿠션(150) 높이는 일정한 바, 시트쿠션(150)의 기울어진 각도(a)를 알게되면 D3값(차량 내측 하단으로부터 운전자 무릎까지의 높이)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D2값 및 D3값으로부터 페달과 운전자 다리와의 각도(d) 및 각도(c)를 산출할 수 있게 되며 기 감지한 시트쿠션(150)의 각도(a)로부터 운전자의 무릎각도(180-a-d)를 알 수 있게 된다. 다만, 상술한 내용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 가능한 모든 기술을 통해 운전자의 무릎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현재 운전자의 무릎각도를 감지(또는 산출)한 후, 시트제어부(도 1의 700)는 감지한 현재 운전자의 무릎각도와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보다 구체적으로 제3데이터)를 비교하고 양 값이 서로 불일치하는 경우, 시트쿠션 구동모듈(350)을 구동하여 양 값이 서로 일치할 때까지 시트쿠션(150)을 움직임으로써,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운전자가 별도로 조작을 하지 않아도 각 운전자에게 적합한 무릎각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 운행중 운전자의 피로누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 및 페달조작 실수로 인한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조절방법은, 자동차 시트에 착좌한 운전자의 정보를 감지하고(S1), 감지한 운전자 정보와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를 비교하고(S3, S5), 비교결과 불일치시 감지한 운전자 정보와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가 일치하도록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S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운전자 정보는, 운전자의 머리높이와 헤드레스트 높이의 차이, 운전자 머리와 헤드레스트 간의 이격된 간격 및 운전자의 무릎각도를 포함함은 도 1 및 도 2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S1단계에서 운전자 정보의 감지는 도 1 내지 도 6의 설명에서 상술한 감지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S3단계 및 S5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와 운전자 정보의 비교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시트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S7단계에서의 자동차 시트 위치조절은 도 1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시트제어부 및 시트구동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형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자동차 시트 110: 헤드레스트
130: 시트 등받이 150: 시트 쿠션
300: 시트구동부 310: 제1헤드레스트 구동모듈
330: 제2헤드레스트 구동모듈 350: 시트쿠션 구동모듈
500: 감지부 510: 제1높이감지모듈
530: 제2높이감지모듈 550: 제1거리감지모듈
570: 제2거리감지모듈
700: 시트제어부

Claims (13)

  1. 헤드레스트, 시트 등받이 및 시트쿠션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차량 내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 시트에 착좌한 운전자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시트구동부;
    상기 감지부로 감지하는 운전자 정보가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와 일치하도록 상기 시트구동부를 제어하는 시트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정보는,
    상기 운전자의 머리높이와 상기 헤드레스트 높이의 차이, 상기 운전자 머리와 상기 헤드레스트 간의 이격된 간격 및 상기 운전자의 무릎각도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구동부는,
    상기 헤드레스트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헤드레스트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운전자의 머리위치 및 상기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감지하는 제1높이감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제어부는,
    상기 제1헤드레스트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제1높이감지모듈로 감지한 상기 운전자의 머리높이 및 상기 헤드레스트의 높이의 차이를 상기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와 일치시키는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헤드레스트 상단에 위치하고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를 구비한 제2높이감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제어부는,
    상기 제2높이감지모듈을 통해 상기 운전자의 머리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기 제1헤드레스트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헤드레스트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와 일치하도록 상기 제1헤드레스트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헤드레스트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구동부는,
    상기 헤드레스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헤드레스트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위치하여 상기 운전자의 머리와 상기 헤드레스트 간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는 제1거리감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제어부는,
    상기 제2헤드레스트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제1거리감지모듈로 감지한 상기 이격된 거리를 상기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와 일치시키는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구동부는,
    상기 시트쿠션의 각도를 조절하는 시트쿠션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운전자와 상기 차량 내측간의 이격된 거리를 감지하는 제2거리감지모듈;
    상기 시트쿠션의 각도를 감지하는 각도감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제어부는,
    상기 제2거리감지모듈로 감지한 상기 이격된 거리 및 상기 각도감지모듈로 감지한 상기 시트쿠션의 각도로부터 산출한 상기 운전자의 무릎각도와 상기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가 일치하도록 상기 시트쿠션 구동모듈을 제어하는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는,
    상기 운전자의 머리높이와 상기 헤드레스트의 높이의 차이값인 제1데이터, 상기 운전자의 머리높이와 상기 헤드레스트간의 이격된 거리값인 제2데이터 및 상기 운전자의 무릎각도값인 제3데이터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데이터는,
    0 초과 6센티미터 이하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데이터는,
    0 초과 7센티미터 이하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데이터는,
    100 내지 140도인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13. 자동차 시트에 착좌한 운전자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운전자 정보와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 불일치시, 상기 운전자 정보와 상기 기 설정된 저장데이터가 일치하도록 상기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운전자 정보는,
    상기 운전자의 머리높이와 상기 헤드레스트 높이의 차이, 상기 운전자 머리와 상기 헤드레스트 간의 이격된 간격 및 상기 운전자의 무릎각도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조절방법.
KR1020120003337A 2012-01-11 2012-01-11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및 자동차용 시트 조절방법 KR101284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337A KR101284078B1 (ko) 2012-01-11 2012-01-11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및 자동차용 시트 조절방법
PCT/KR2012/000919 WO2013105687A1 (ko) 2012-01-11 2012-02-08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및 자동차용 시트 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337A KR101284078B1 (ko) 2012-01-11 2012-01-11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및 자동차용 시트 조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4078B1 true KR101284078B1 (ko) 2013-07-10

Family

ID=4878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337A KR101284078B1 (ko) 2012-01-11 2012-01-11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및 자동차용 시트 조절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4078B1 (ko)
WO (1) WO20131056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943B1 (ko) * 2013-08-13 2015-04-10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헤드레스트의 위치 조절 방법
KR101854861B1 (ko) 2017-03-30 2018-05-04 대연화학(주)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9119B (zh) * 2015-11-19 2017-06-3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座椅的控制系统及方法
CN115071513A (zh) * 2022-05-24 2022-09-20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座椅调节装置、脚托调节装置自适应的调节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468A (ja) * 1993-09-13 1995-03-28 Mazda Motor Corp 稼働シートの制御装置
JP2006182276A (ja) 2004-12-28 2006-07-13 Toyota Boshoku Corp 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KR20070053560A (ko) * 2005-11-21 2007-05-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운전석 시트의 좌우 높이 조절 장치
KR20110093813A (ko) * 2008-10-29 2011-08-18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헤드레스트 위치조정장치 및 헤드레스트 위치조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468A (ja) * 1993-09-13 1995-03-28 Mazda Motor Corp 稼働シートの制御装置
JP2006182276A (ja) 2004-12-28 2006-07-13 Toyota Boshoku Corp 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KR20070053560A (ko) * 2005-11-21 2007-05-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운전석 시트의 좌우 높이 조절 장치
KR20110093813A (ko) * 2008-10-29 2011-08-18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헤드레스트 위치조정장치 및 헤드레스트 위치조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943B1 (ko) * 2013-08-13 2015-04-10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헤드레스트의 위치 조절 방법
KR101854861B1 (ko) 2017-03-30 2018-05-04 대연화학(주) Pdlc 필름을 이용한 가변식 선바이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5687A1 (ko)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88452B (zh) 一种车辆座椅调节方法、系统及车载终端
US8600626B2 (en) Headrest apparatus, method of adjusting headrest position, vehicle seat
US7369928B2 (en) Automatically adjusting head restraint system
KR101284078B1 (ko) 자동차 시트 조절장치 및 자동차용 시트 조절방법
US11584332B2 (en) Seat belt device
JP7394538B2 (ja) 乗員保護システム
US7894960B2 (en) Active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US11584326B2 (en) Roof airbag system and vehicle
US11007914B2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20200046940A (ko) 프리 세이프 시트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130429B2 (en) Vehicle seat
US20200047770A1 (en) Vehicle control system
KR102312410B1 (ko) 차량용 초음파 센서의 위치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JP2022120852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US20080036186A1 (en) Active Headrest System
KR20130050680A (ko) 운전자 시트 자동 조절장치
KR101755898B1 (ko) 시트 충격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JP2017154590A (ja) 乗員保護制御装置、乗員保護システムおよび乗員保護制御方法
KR20130032064A (ko) 운송장치용 시트 제어 시스템
CN115303149A (zh) 用于车辆的座椅调控方法、计算机程序产品、控制系统及车辆
JP2019123333A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KR102371608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26065A (ko) 루프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90381920A1 (en) Seat including a head sensor
KR20110047518A (ko) 사이드 미러 보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